KR101594415B1 -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415B1
KR101594415B1 KR1020140107428A KR20140107428A KR101594415B1 KR 101594415 B1 KR101594415 B1 KR 101594415B1 KR 1020140107428 A KR1020140107428 A KR 1020140107428A KR 20140107428 A KR20140107428 A KR 20140107428A KR 101594415 B1 KR101594415 B1 KR 101594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ging
connection
devices
plugging device
appl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욱
김철민
윤홍수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 셋톱박스를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으로 설계하고 임의의 레고형 플러깅 디바이스를 착탈하면서 해당 플러깅 디바이스를 등록하고 해제하는 기술로서, 공통 인터페이스인 호스트 디바이스에 하나 이상의 레고형 플러깅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등록시키거나 이탈하여 해제시키는 과정에서 당시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 유지되어 있는 각 플러깅 디바이스에 대해 최적의 호처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웨이 셋톱박스를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으로 설계할 때 공통 인터페이스인 호스트 디바이스에 대해 임의의 레고형 플러깅 디바이스 활용을 통해 개발시간 단축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여 시장과 고객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신기술을 간편하게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lego type media-platform based method for providing device junction managem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 셋톱박스(Gateway Set-Top Box)를 레고형(Lego Type) 미디어 플랫폼으로 설계하고 임의의 레고형 플러깅 디바이스를 착탈하면서 해당 플러깅 디바이스를 등록하고 해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공통 인터페이스인 호스트 디바이스에 하나 이상의 레고형 플러깅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등록시키거나 이탈하여 해제시키는 과정에서 당시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 유지되어 있는 각 플러깅 디바이스에 대해 최적의 호처리를 유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셋톱박스는 [도 1]과 같이 단순히 방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IP/Hybrid 셋톱박스와 같이 방송수신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발전하여왔다. 또한, 스마트 OTT 셋톱박스와 같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와 미디어를 공유하는 장치로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게이트웨이 셋톱박스와 같이 다양한 유무선 통신기술이 융합된 홈네트워크 서비스 장치로 진화하고 있다.
현재 스마트 OTT 셋톱박스와 게이트웨이 셋톱박스의 주요 수요 기업으로는 구글 TV, SK 브로드밴드, 까날 디지털(Canal Digital) 등이 있으며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전통적인 셋톱박스의 시장규모는 약 22조원으로 매우 크지만 시장이 정체되고 있어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제품으로써 최근들어 게이트웨이 셋톱박스가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U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서비스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태의 게이트웨이 셋톱박스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제품 경쟁력을 확보를 위해 5세대 WiFi(IEEE 802.11ac), LTE 브로드캐스트, IoT(Internet of Things) 등과 같은 신기술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서비스 및 기술 생태계에 맞춰 다양한 게이트웨이 셋톱박스를 연구개발하고 양산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고객의 요구사항과 수출지역별로 상이한 방송통신 규격 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셋톱박스 모델이 다양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화로 인하여 실제 비지니스에서는 부품 비용 증가, 개발인력 인건비 상승, 경쟁업체(중국 등)와의 가격경쟁 심화, 특허 로열티 증가 등 원가 상승의 부담이 커지게 된다. 또한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동안 동일한 기능 중복개발, 갑작스러운 기능 추가 및 변경, 칩셋 및 모듈의 교체, 펌웨어 및 응용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작업 등으로 인해 개발 시간이 늘어나서 적기 시장진입(Time-to-Market)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들어 자동차, 집, PC, 스마트폰 등의 여러 산업 분야에서 다양화를 지원하기 위해 레고형 설계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게이트웨이 셋톱박스와 같은 미디어 플랫폼에 적용된 경우는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레고형 설계가 실현될 경우 레고형 장치들의 활용을 통해 원가 절감 및 개발 시간 단축이 가능하여 시장과 고객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신기술을 손쉽게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때, 미디어 플랫폼에 레고형의 개념을 도입하는 데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가장 큰 어려움은 공통 인터페이스인 호스트 디바이스에 레고형의 플러깅 디바이스를 등록하고 해제하는 기술에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048327호 "모듈 직결 방식의 셋톱박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01315호 "SDK 모듈을 이용한 VOD 연동 셋톱박스 및 그 연동 방법"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94062호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다중출력 방송수신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09419호 "셋톱박스와 스마트카드 간의 통신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용 모듈"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트 디바이스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가 연결되도록 형성한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호스트 디바이스에 플러깅 디바이스를 삽입하여 등록하거나 제거하여 해제하는 과정에서 최적의 호처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은, 호스트 디바이스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호스트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기술로서, (a) 호스트 디바이스에 플러깅 디바이스가 삽입되면 플러깅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단계; (b) 플러깅 디바이스를 미리 저장된 장치목록에서 식별하는 단계; (c) 식별한 플러깅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소스를 설치하여 식별한 플러깅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단계; (d) 호스트 디바이스에 이전에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과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 간에 통신 가능한 응용서비스를 참조하여 연결 설정하는 단계; (e)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최적 연결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단계 (b)의 식별이 실패하는 경우,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서버로부터 최신 목록을 장치목록에 업데이트한 후, 플러깅 디바이스를 업데이트된 장치 목록에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계 (d)는 (d-1) 호스트 디바이스에 호스트 디바이스 전용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는 단계; (d-2)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와 호스트 디바이스에 이전에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 사이에서 통신가능한 응용서비스를 식별하는 단계; (d-3) 호스트 디바이스에 이전에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 중 식별된 응용서비스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d-4)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와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를 연결 설정하는 단계; (d-5)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시 예상되는 소비전력을 등록하는 단계; (d-6)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시 예상되는 처리시간을 등록하는 단계;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d-4)와 상기 단계 (d-5) 사이에,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보안처리 수단을 등록하는 단계;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실시간처리 수단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e)는 (e-1)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소비전력, 처리시간, 보안처리 수단, 실시간처리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응용서비스 목록 중 하나 이상을 갱신하는 단계; (e-2) 갱신된 응용서비스 목록에 따라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e-3) 변경된 연결 정보에 따라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의 우선순위를 입력하는 단계; (e-4) 입력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e-5) 갱신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최적의 연결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 (e-6) 도출된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최적 연결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e) 이후, (f)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플러깅 디바이스가 제거되면 플러깅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응용서비스를 참조하여 기연결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 (g) 기연결 설정의 해제에 따른 등록된 보안처리 수단을 수정하는 단계; (h) 기연결 설정의 해제에 따른 등록된 실시간처리 수단을 수정하는 단계; (i) 기연결 설정의 해제에 따른 등록된 예상 소비전력을 수정하는 단계; (j) 기연결 설정의 해제에 따른 등록된 예상 처리시간을 수정하는 단계; (k) 수정에 대응하여 응용서비스 목록을 재갱신하는 단계; (l) 재갱신된 응용서비스 목록 별로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의 우선순위를 재설정하는 단계; (m) 재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최적 연결 순위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상기와 같은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을 위한 장치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디바이스에 임의의 플러깅 디바이스를 삽입하거나 제거할 때 해당 응용서비스에 연계되어 등록과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에 연동하여 응용서비스 목록을 갱신함으로써 현재 호스트 디바이스에 연결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 최적의 호처리 설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웨이 셋톱박스를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으로 설계하여 레고형 플러깅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기술 요소를 추가로 수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개발시간 단축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하여 시장과 고객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신기술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셋톱박스의 산업동향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플러깅 디바이스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플러깅 디바이스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플러깅 디바이스를 등록하고 연결 설정 및 호처리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플러깅 디바이스를 연결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그 선택된 플러깅 디바이스 간에 연결을 설정할 때 필요에 따라 미디어 변환 및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플러깅 디바이스 연결 변화에 따라 응용서비스 목록과 플러깅 디바이스의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최적의 연결순위를 설정하는 연결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결관리 과정에 있어서 소비전력과 처리시간의 기준에 따라 최적 연결순위를 관리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연결관리 과정에 있어서 보안, 실시간성, 소비전력, 처리시간 등의 기준에 따라 최적 호처리 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플러깅 디바이스를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플러깅 디바이스의 해제에 따라 응용서비스 목록을 갱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해제한 플러깅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변환을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호처리를 재갱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플러깅 디바이스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호스트 디바이스와 플러깅 디바이스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호스트 디바이스(100)에는 개별 플러깅 디바이스(310, 320, 330, 340, 350, 360)가 레고 타입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연결 포트가 마련된다. 그리고,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중앙처리부(110), 미디어 변환부(120), 프로토콜 변환부(130)를 구비하며, 중앙처리부(110)는 각 플러깅 디바이스의 연결을 식별하고 미디어 변환부(120)와 프로토콜 변환부(130)를 제어함으로써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연결 포트에 플러깅 디바이스가 삽입/제거되면서 연결 설정 및 연결 해제시 현재 상태의 플러깅 디바이스 간에 최적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공통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연결 포트를 통해 레고 방식으로 플러깅 디바이스가 연결될 수 있고, 이렇게 연결되는 플러깅 디바이스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미디어 관련 동작을 구현하는 메인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공통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USB를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미디어 플랫폼의 특성 상, 호스트 디바이스(100)와 이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모든 플러깅 디바이스에는 논리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연결된다. 먼저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연결해 둔 상태에서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연결된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플러깅 디바이스를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플러깅 디바이스를 등록하고 연결 설정 및 호처리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호스트 디바이스(100) 및 하나 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기술인데, [도 4]를 참조하여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하나 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310, 320, 330, 340, 350, 360,370)를 등록하고 연결 설정 및 호처리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10, S120 : 먼저, 복수 개의 연결 포트가 구비된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사용자가 플러깅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끼워서 삽입하면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이렇게 삽입된 플러깅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그 식별된 플러깅 디바이스를 미리 저장된 장치목록에 조회한다.
S130, S140, S150 : 호스트 디바이스(100)의 장치목록에 식별된 플러깅 디바이스의 목록이 존재하면 해당 목록의 리소스를 설치하여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해당 플러깅 디바이스를 등록한다.
S131, S132 : 이때, 그 식별된 플러깅 디바이스를 장치목록에 조회한 결과 식별한 플러깅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항목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서버로부터 최신 목록을 획득하여 장치목록을 업데이트한 후에 다시 조회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터넷망을 통한 외부서버로부터 최신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데에 실패하거나 혹은 추가로 업데이트할 것이 없는 경우에는 장치목록에 해당 플러깅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이 때에는 그 플러깅 디바이스에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구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에러메시지를 출력하고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삽입된 플러깅 디바이스의 등록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S140, S141, S142 : 또한, 장치목록으로부터의 식별에 성공한 경우, 플러깅 디바이스에 대해 이전에 기 등록한 리소스가 있다면 바람직하게는 그대로 활용하고 이전에 저장된 리소스가 없을 경우에는 리소스를 획득하여 설치한다. 이때 리소스를 획득하여 설치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권한 부여와 인증 처리 절차를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S160 : 위 식별된 플러깅 디바이스가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후에는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통신 가능한 응용서비스를 참조하여 이전에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과 연결을 설정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아래 [도 5]와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S170 : 이어서, 그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 순위인 호처리를 최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아래 [도 7]을 통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플러깅 디바이스를 연결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플러깅 디바이스의 연결 설정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61 : 먼저,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연결한다.
S162, S163, S164 :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플러깅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등록되면 이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와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이전에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 간에 통신가능한 응용서비스를 식별한다. 이는 이번에 새로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어떠한 미디어 관련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어서, 호스트 디바이스에 이전에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 중 그 식별된 응용서비스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와 현재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를 연결 설정한다.
S165, S166 : 이어서, 플러깅 디바이스들 간에 연결을 설정할 때 필요에 따라서 보안(예: 침입감지, 화재센서)에 관한 사항인 보안처리 수단 및 실시간 서비스 지원 여부에 관한 실시간처리 수단을 등록한다.
S167, S168 : 또한,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간에는 연결 순위(호처리)를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하여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실제 연결 동작시 예상되는 소비전력 및 그 예상되는 처리시간을 등록한다.
[도 6]은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그 선택된 플러깅 디바이스 간에 연결을 설정할 때 필요에 따라 미디어 변환 및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간에 통신 프로토콜 및 미디어를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641 : 먼저, 단계 S162에서 식별된 응용서비스를 고려하여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데, 이들은 응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연결 설정할 대상들이다.
이하의 과정은 그 선택된 각각의 플러깅 디바이스에 대해서 연결 설정을 위해 프로토콜 변환 내지 미디어 변환을 수행한다. 설명의 편이상,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플러깅 디바이스의 대표적인 예로서 센서장치(360)와 WiFi 장치(350)에 대하여 설명한다.
S1642', S1643', S1646', S1647' : 연결 대상인 플러깅 디바이스가 센서장치(360)인 경우에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즉, 센서장치(360)의 특성에 따라 센서장치(360)와 호스트 디바이스(100) 간의 통신을 위한 제 1 프로토콜 및 타방 플러깅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타방 플러깅 디바이스와 호스트 디바이스(100) 간의 통신을 위한 제 2 프로토콜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S1642, S1643, S1644, S1645, S1646, S1647 : 연결 대상인 플러깅 디바이스가 WiFi 장치(350)인 경우에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미디어 포맷의 정합성을 달성하기 위해 미디어 변환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WiFi 장치(350)가 연결되었다면 이는 당해 WiFi 장치(350)를 통해 외부의 장치, 예컨대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외부 송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송신받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미디어 포맷 및 타방 플러깅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 2 미디어 포맷 간의 미디어 변환을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플러깅 디바이스 연결 변화에 따라 응용서비스 목록과 플러깅 디바이스의 연결 정보를 갱신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최적의 연결순위를 설정하는 연결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연결관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71 :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이전에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현재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가 연결 설정된 경우 현재 등록된 플러깅 디바이스가 이전에 등록된 개별 플러깅 디바이스와 실제 연결 동작하는 경우 예상되는 소비전력 및 처리시간이 자동으로 인식되고 또한 보안처리 수단과 실시간처리 수단이 인식되는데 그에 따라 플러깅 디바이스 간 연결 동작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응용서비스 목록을 갱신한다. 즉, 플러깅 디바이스 간의 응용서비스 목록을 갱신하여야 그에 따라 최적의 호처리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S172, S173, S174 : 위 갱신된 응용서비스 목록에 대응하여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 정보를 변경하고, 그 변경된 응용서비스 목록에 대응하여 위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간의 우선순위를 입력한다. 그리고 나서, 우선순위에 따라 플러깅 디바이스 간의 연결 정보를 갱신한다.
S175, S176 : 이어서, 갱신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우선순위에 합치하는 최적의 연결 패턴(호처리)를 도출한다. 그리고 나서, 그 도출한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위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간에 최적 연결 순위를 설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결관리 과정에 있어서 응용서비스 목록에 대해 소비전력과 처리시간의 기준에 따라 최적 연결순위를 관리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연결관리 과정에 있어서 보안, 실시간성, 소비전력, 처리시간 등의 기준에 따라 최적 호처리 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최적 연결순위 관리 내지 최적 호처리를 위한 응용서비스 목록의 관리 과정을 살펴본다. 설명의 편이상,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복수 개의 플러깅 디바이스가 연결 설정되어 [도 2] 및 [도 3]의 기기접속 상태가 되었다고 가정한다.
먼저 응용서비스(S1)를 살펴보면, 사용 디바이스로서 위성 방송 수신 장치(D1; 310), 호스트 디바이스(D0; 100), WiFi 장치(D5; 350), 스마트폰(D7; 370)가 연결되어 동작한다. 응용 서비스(S1)의 특성상 보안 등급의 설정은 필요하지 않고 실시간 서비스가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응용서비스(S1)이 작동하면 소비전력과 처리시간은 각각 "W1+W0+W5+W7"과 "T1+T0+T5+T7"로 예상된다.
다음으로 응용서비스(S2)를 살펴보면, 사용 디바이스로서 센서 장치(D6; 360), 호스트 디바이스(D0; 100), WiFi 장치(D5; 350), 스마트폰(D7; 370)가 연결되어 동작한다. 응용 서비스(S2)의 특성상 보안 등급의 설정을 요구하고 실시간 서비스 지원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응용서비스(S2)가 작동하면 소비전력과 처리시간은 각각 "W6+W0+W5+W7"과 "T6+T0+T5+T7"로 예상된다.
이렇게 인식된 응용서비스 목록에 대해 소비전력(W1+W0+W5+W7, W6+W0+W5+W7)은 어느 응용서비스에서 최소인지, 처리시간(T1+T0+T5+T7, T6+T0+T5+T7)은 어느 응용서비스에서 최소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플러깅 디바이스 간의 최적 호처리 방안을 도출한다. 그리고, 그 도출한 호처리를 설정 갱신하여 이후 재차 해당 플러깅 디바이스가 연결 설정되는 경우 그에 따른 최적의 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플러깅 디바이스를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플러깅 디바이스의 해제 과정은 등록 과정의 역과정으로서 [도 10]을 참조하여 플러깅 디바이스의 해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210, S220 : 먼저, 복수 개의 연결 포트가 구비된 호스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소정 플러깅 디바이스를 제거하면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기 연결 설정을 해제한다. 이어서, 기 연결 설정시 해당 플러깅 디바이스에 설정되었던 연결 패턴(호처리) 설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기 연결 설정 해제와 그에 따른 연결 패턴 설정의 해제에 관해서는 아래 [도 11] 내지 [도 1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230, S240, S250, S251 : 이때, 플러깅 디바이스의 기 연결 설정을 해제하고, 연결 패턴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기존 플러깅 디바이스의 연결 설정을 위해 설치해 두었던 리소스를 저장하여 이후 플러깅 디바이스를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연결하는 경우 재사용할 수 있으며 리소스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렇게 리소스까지 처리하면 해당 플러깅 디바이스의 해제가 완료된다.
[도 11]은 플러깅 디바이스의 해제에 따라 응용서비스 목록을 갱신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플러깅 디바이스의 해제와 응용서비스 목록의 갱신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211, S212 : 호스트 디바이스(100)로부터 플러깅 디바이스가 제거되면 플러깅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응용서비스를 고려하여 기 연결 설정을 해제한다.
S213, S214, S215, S216 : 이어서, 기 연결 설정 해제에 따라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 설정되었던 보안처리 수단, 실시간처리 수단, 예상 소비전력, 예상 처리시간을 수정한다.
[도 12]는 해제한 플러깅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변환을 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해제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간에 프로토콜과 미디어 변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2121 : 먼저, 호스트 디바이스(100)에서 하나의 플러깅 디바이스를 제거하면 제거한 플러깅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응용서비스를 고려하여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제거된 플러깅 디바이스의 기 설정 연결을 해제한다. 여기서는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WiFi 장치(350)와 연결 해제되는 플러깅 디바이스로 센서장치(360)가 선택되고, 현재 호스트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거되어 센서 장치(360)와의 연결 설정이 해제되는 플러깅 디바이스는 WiFi 장치(350)가 선택된 것을 예로 하였다.
S2122', S2123', S2126', S2127' : 호스트 디바이스(100)로부터 WiFi 장치(350)가 제거되면 WiFi 장치(350)와 호처리 설정되었던 센서장치(360)는 WiFi 장치(350)와의 연결 설정이 해제되고, 기 호처리 설정시 프로토콜의 변환이 있었던 경우 프로토콜의 변환도 해제된다.
S2122, S2123, S2124, S2125, S2126, S2127 : 호스트 디바이스(100)로부터 WiFi 장치(350)가 제거되면 센서 장치(360)와 호처리 설정되었던 WiFi 장치(350)는 센세 장치(360)와의 연결 설정이 해제되고, 기 호처리 설정시 미디어 변환, 프로토콜의 변환이 있었던 경우 그 변환이 해제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호처리를 재갱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플러깅 디바이스의 호처리 재갱신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221 : 플러깅 디바이스의 연결 설정 해제에 따라 보안처리 수단, 실시간처리 수단, 예상 소비전력, 예상 처리시간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지고 그 수정에 기초하여 응용서비스 목록을 재갱신한다.
S222 : 재갱신된 응용서비스 목록에 따라 현재 연결 설정되어 있는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 정보를 변경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모드 변경이나 보안처리 수단의 옵션을 선택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S223 : 변경된 응용서비스 목록에 따라 현재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우선순위를 입력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선택한 옵션을 입력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S224, S225, S226 : 호스트 디바이스(100)는 입력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 정보를 재갱신하고, 재갱신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최적의 연결 패턴(호처리)를 도출한다. 이렇게 도출된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현재 호스트 디바이스(100)에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최적의 연결 순위를 재설정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 호스트 디바이스
200 : 디스플레이 장치
310 : 위성 방송 수신 장치
320 : 지상파 방송 수신 장치
330 :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340 : LTE 브로드 캐스트 장치
350 : WiFi 장치
360 : 센서 장치
370 : 스마트폰

Claims (7)

  1. 호스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 개의 플러깅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대응하여 응용 서비스 기반으로 복수 개의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가 플러깅 디바이스들 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 신규 삽입된 플러깅 디바이스(이하, '신규 플러깅 디바이스'라 함)를 식별하는 단계;
    (b) 상기 신규 플러깅 디바이스를 미리 저장된 장치목록에서 식별하는 단계;
    (c) 상기 신규 플러깅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소스를 설치하여 상기 신규 플러깅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단계;
    (d) 상기 신규 플러깅 디바이스와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에 이전에 등록되었던 하나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이하, '플러깅 디바이스 그룹'이라 함) 간의 조합을 통해 미디어 관련 서비스로서 구성 가능한 응용서비스를 식별하는 단계;
    (e) 상기 플러깅 디바이스 그룹으로부터 상기 식별된 응용서비스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플러깅 디바이스(이하, '서비스기여 플러깅 디바이스 그룹'이라 함)를 식별하는 단계;
    (f) 상기 서비스기여 플러깅 디바이스 그룹과 상기 신규 플러깅 디바이스를 연결 설정하여 상기 식별된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식별이 실패하는 경우,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서버로부터 최신 목록을 상기 장치목록에 업데이트한 후, 상기 신규 플러깅 디바이스를 상기 업데이트된 장치 목록에서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e) 이후,
    상기 서비스기여 플러깅 디바이스 그룹에 대해서 상기 신규 플러깅 디바이스와 연결 설정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 및 미디어 변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계 (f) 이후,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보안처리 수단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실시간처리 수단을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계 (f) 이후,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시 예상되는 소비전력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시 예상되는 처리시간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소비전력, 상기 처리시간, 상기 보안처리 수단, 상기 실시간처리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응용서비스 목록 중 하나 이상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응용서비스 목록에 따라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연결 정보에 따라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의 우선순위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연결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최적의 연결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연결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최적 연결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계 (f) 이후,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로부터 플러깅 디바이스가 제거되면 상기 플러깅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응용서비스를 참조하여 기연결 설정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기연결 설정의 해제에 따른 상기 등록된 보안처리 수단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기연결 설정의 해제에 따른 상기 등록된 실시간처리 수단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기연결 설정의 해제에 따른 상기 등록된 예상 소비전력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기연결 설정의 해제에 따른 상기 등록된 예상 처리시간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수정에 대응하여 상기 응용서비스 목록을 재갱신하는 단계;
    상기 재갱신된 응용서비스 목록 별로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연결의 우선순위를 재설정하는 단계;
    상기 재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설정된 플러깅 디바이스 사이에서 최적 연결 순위를 재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7. 컴퓨터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107428A 2014-08-19 2014-08-19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594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428A KR101594415B1 (ko) 2014-08-19 2014-08-19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428A KR101594415B1 (ko) 2014-08-19 2014-08-19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415B1 true KR101594415B1 (ko) 2016-02-16

Family

ID=5544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428A KR101594415B1 (ko) 2014-08-19 2014-08-19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4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419A (ko) 2003-07-16 2005-01-2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데이타 출력 장치
KR20050094062A (ko) 2004-03-17 2005-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48327A (ko) 2004-06-29 2006-05-18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공유 디스크 캐리어를 구비하는 방사상으로 포개어진클러치들을 가진 이중 클러치 변속기
WO2009084080A1 (ja) * 2007-12-27 2009-07-09 Panasonic Corporation 映像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プラグインモジュールおよびプラグインモジュールの電源制御方法
KR20110001315A (ko) 2009-06-30 2011-01-06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수로용 펜스
KR20130087747A (ko) * 2012-01-30 201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419A (ko) 2003-07-16 2005-01-2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데이타 출력 장치
KR20050094062A (ko) 2004-03-17 2005-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48327A (ko) 2004-06-29 2006-05-18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공유 디스크 캐리어를 구비하는 방사상으로 포개어진클러치들을 가진 이중 클러치 변속기
WO2009084080A1 (ja) * 2007-12-27 2009-07-09 Panasonic Corporation 映像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プラグインモジュールおよびプラグインモジュールの電源制御方法
KR20110001315A (ko) 2009-06-30 2011-01-06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수로용 펜스
KR20130087747A (ko) * 2012-01-30 201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40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istent wireless docking
US9326126B2 (en) Transferring operating environment of registered network to unregistered network
US20200100111A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210274328A1 (en) Internet of vehicles message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57534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3129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wireless dockees to find and dock with a wireless docking host being used by another dockee
CN110958593A (zh) 一种蓝牙联网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介质
CN105516246A (zh) 一种防应用程序下载劫持的方法及服务器
CN112969167A (zh) 一种设备配网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876858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connection in a machine to machine environment
US20170324576A1 (en) Master module
KR101543578B1 (ko) 차량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단말기 인증 시스템 및 그 인증 방법
JP2018092565A (ja) クラウド中継装置、クラウド接続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694814B (zh) 兼具无线上网功能和无线接入点功能的高清视频播放器
EP3833153B1 (en) Network connection methods and devices
CN103945263A (zh) 一种机顶盒升级方法及系统
CN104426816A (zh) 一种虚拟机通信方法及装置
KR101594415B1 (ko) 레고형 미디어 플랫폼에서 플러깅 디바이스의 접속 변경에 따른 응용 서비스 기반의 디바이스 조합 연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2019531610A (ja) Sip情報分析方法、装置、サーバ及び媒体
TW201513651A (zh) 決定在一資料處理裝置與另一個資料處理裝置之間傳輸多媒體檔案之前橫跨其間的格式相容性
CN114338794B (zh) 一种服务消息的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630402B (zh) 协议自适应方法及装置、平台、存储介质
US10795721B2 (en) Transferring tasks from failing devices using IoT
CN111294888B (zh) 一种网络选择方法及装置
TWI557643B (zh) 自動化程式下載系統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