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267B1 - 모니터 - Google Patents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267B1
KR100699267B1 KR1020050074309A KR20050074309A KR100699267B1 KR 100699267 B1 KR100699267 B1 KR 100699267B1 KR 1020050074309 A KR1020050074309 A KR 1020050074309A KR 20050074309 A KR20050074309 A KR 20050074309A KR 100699267 B1 KR100699267 B1 KR 100699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signal
unit
network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381A (ko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267B1/ko
Priority to US11/496,517 priority patent/US20070035663A1/en
Priority to EP06118550A priority patent/EP1755032A3/en
Priority to CNA2006101109878A priority patent/CN1913581A/zh
Publication of KR2007001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운드가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부와; PC(Personal Computer)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PC신호 처리모듈과;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과; 상기 PC신호 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오디오신호 스위칭부와; 상기 PC신호 처리모듈과 상기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사운드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신호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자동으로 스피커 등의 사운드 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MONI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연결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디스플레이부 20 : 사운드 출력부
30 : PC신호 처리모듈 4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50 : 오디오신호 스위칭부 60 : 제어부
31 : PC 비디오 인터페이스부 32 : PC 오디오인터페이스부
41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42 : 데이터 분리부
43 : 비디오 변환부 44 : 오디오 변환부
61 : ADC 62 : 스케일러
63 : 마이컴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PC(Personal Computer)와 연결되어 PC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CRT(Cathod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 다양하게 마련된다.
현재의 모니터와 컴퓨터는 D-Sub 커넥터나 DVI 커넥터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의 비디오신호가 모니터로 전달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모니터는 D-Sub 커넥터나 DVI 커넥터 이외에도, S-비디오 커넥터, 컴포넌트(Component) 커넥터 또는 컴포지트(Composite) 커넥터를 별도로 마련하여 DVD 플레이어나 VCR 등과 같은 외부 영상기기로부터의 비디오신호도 수신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다.
한편, 컴퓨터와 모니터 간에는 비디오신호의 전송 뿐 아니라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해졌다. 일예로,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에서 규정한 DDC 통신 라인을 통해 모니터는 자체 정보를 컴퓨터에 제공하고, 컴퓨터 또한 DDC 통신 라인을 통해 모니터에 일정한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모니터는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소스로부터의 정보를 처리하는 모니터에 있어서, 모니터 고유의 특성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어 바람직 할 것이다.
특히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과 P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처리 방법은 다를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적절한 출력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C로부터 입력되는 영상과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따라 적절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모니터에 있어서, 모니터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운드가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부와; PC(Personal Computer)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PC신호 처리모듈과;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과; 상기 PC신호 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오디오신호 스위칭부와; 상기 PC신호 처리모듈과 상기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사운드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신호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는 ADC (Analog/Digital Converter)와; 상기 ADC를 거친 이미지의 해상도를 변화시키는 스케일러와;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ADC 및 상기 스케일러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사운드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신호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C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상기 네트워크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선택하는 소스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선택부 조작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마이컴은 상기 오디오신호 스위칭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중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와; 상기 데이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처리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데이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1)가 PC(3) 및 네트워크(2)와 연결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1)는 네트워크(2) 및 PC(3) 와 동시에 연결되기 위해 PC(3) 와 연결되는 D-Sub 커넥터나 DVI 커넥터와 네트워크(2)와 연결되는 랜 포트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와, 사운드 출력부(20)와, PC신호 처리모듈(30)과,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과, 오디오신호 스위칭부(50)와,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소정의 이미지가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10)는 CRT, LCD, PDP 등 다양한 표시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는 LCD 로 마련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사운드 출력부(20)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1)의 옆면 또는 전면부 등에 소형 스피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운드 출력부(20)는 스피커로 마련되는 것을 일예로 한다.
PC신호 처리모듈(30)은 PC(3)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해 PC(3)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PC 비디오 인터페이스부(31)와, PC(3)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PC 오디오 인터페이스부(32)를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PC 비디오 인터페이스부(31)는 DVI, D-Sub, S-비디오, 컴포넌트, 컴포지트 커넥터로 마련될 수 있고, PC 오디오 인터페이스부(32)는 PC(3) 의 사운드 외부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신호 처리모듈(40)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네트워크(2)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신호 처리모듈(40)은 네트워크(2)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2)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신호 처리모듈(40)은 데이터 분리부(42)와, 비디오 변환부(43)와, 오디오 변환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분리부(4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중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분리한다. 그리고 비디오 변환부(43)는 데이터 분리부(42)에 의해 분리된 비디오 신호를 제어부(60)가 처리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비디오 변환부(43)는 데이터 분리부(42)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를 제어부(60)가 처리 가능한 포맷의 비디오신호로 변환한다. 즉, 비디오 변환부(43)는 데이터 분리부(42)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비디오신호를 제어부(60)가 처리 가능한 포맷의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변환부(43)는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2 방식으로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MPEG-2의 디코딩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MPEG-2 방식으로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변환부(43)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0)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포맷의 비디오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가 LCD로 마련되는 경우 비디오 변환부(43)는 LVDS 엔코딩(Encoding) 기능을 지원하여 디코딩된 비디오신호를 LVDS 신호로 엔코딩하여 LCD를 구동하기 위한 LCD 모듈 등(미도시)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변환부(43)는 아날로그 RGB 신호나 디지털 RGB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RGB 신호나 디지털 RGB 신호는 각각 디스플레 이부(10)의 신호처리부나 스케일러(62)로 출력된다.
오디오 변환부(44)는 데이터 분리부(42)에 의해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 출력부(2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디코딩한다. 예컨대, 오디오 변환부(44)는 MPEG-2나 AC-3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출력부(20)가 스피커인 경우 오디오 변환부(44)는 디코딩된 오디오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D/A 컨버팅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디오 변환부(44)는 이처럼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 하기 위한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신호 스위칭부(50)는 PC신호 처리모듈(3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네트워크 신호 처리모듈(4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사운드 출력부(20)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한다. PC(3) 및 네트워크(2)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 중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가 사운드 출력부(20)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한다. 이를 위해 오디오신호 스위칭부(50)는 스위칭작용을 위한 단일칩으로 마련될 수 있고, 스위칭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분리부(42), 비디오 변환부(43), 오디오 변환부(44)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1)는 winCE, 상용RTOS, 임베디드 리눅스 등과 같은 임베디드 OS(Operating System)을 포함 할 수 있다. 임베디드 OS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1)가 네트워크(2)와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할 수 있도록 하고,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변환을 하도록 하는 등 필요 한 최소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1)에 전원이 공급되어 초기화 되는 경우 임베디드 OS에 의한 부팅이 이루어지고 부팅 후에 네트워크(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처리를 준비한다. 이 경우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0)에 보이는 비디오 신호의 선택에 따라 부팅과정이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네트워크(2)로부터의 비디오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는 부팅에 의한 초기화 과정의 메시지를 사용자는 볼 수 있고, PC(3)로부터의 비디오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는 부팅과정의 메시지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60)는 PC신호 처리모듈(30)과 네트워크 신호 처리모듈(40)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하고,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사운드 출력부(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오디오신호 스위칭부(50)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60)는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는 ADC(61) (Analog/Digital Converter)와, ADC(61)를 거친 이미지의 해상도를 변화시키는 스케일러(62)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도록 ADC(61) 및 스케일러(62)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사운드 출력부(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오디오신호 스위칭부(50)를 제어하는 마이컴(6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컴(63)은 ADC(61) 및 스케일러(6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컴은 네트워크(2)로부터 입력되어 비디오 변환부(43)에 의해 변환된 비디오 신호가 디지털 신호인 경우에는 ADC를 거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0) 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마이컴(63)은 입력되는 비디오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는 ADC(61)를 제어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게 하고, 스케일러(62)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일러(62)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영상의 노이즈 제거, 윤곽보상 등 소정의 필터 기능을 포함 할 수 있다.
마이컴(63)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PC(3)로부터 입력된 것인지 또는 네트워크(2)로부터 입력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PC(3)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PC(3)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오디오신호 스위칭부(50)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2)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2)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오디오신호 스위칭부(50)를 제어한다.
오디오신호 스위칭부(50)를 거친 오디오 신호는 AMP(70)(Amplifier)를 통하면서 증폭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1)는 PC(3)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네트워크(2)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도록 선택하는 소스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소스선택부 조작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2)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거나 또는 PC(3)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 호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소스선택부의 조작에 따라 마이컴(63)은 네트워크(2) 또는 PC(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하고, 표시되는 신호를 기초로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오디오신호 스위칭부(5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1)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또는 PC 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사운드 출력부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는 비디오 신호와 함께 그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를 예를 들어 모니터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들을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Claims (5)

  1. 모니터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운드가 출력되는 사운드 출력부와;
    PC(Personal Computer)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PC신호 처리모듈과;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과;
    상기 PC신호 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오디오신호 스위칭부와;
    상기 PC신호 처리모듈과 상기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사운드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신호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는 ADC (Analog/Digital Converter)와;
    상기 ADC를 거친 이미지의 해상도를 변화시키는 스케일러와;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ADC 및 상기 스케일러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사운드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신호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C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상기 네트워크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선택하는 소스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선택부 조작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상기 마이컴은 상기 오디오신호 스위칭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신호 처리모듈은,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중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와;
    상기 데이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처리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변환부는 상기 데이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코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KR1020050074309A 2005-08-12 2005-08-12 모니터 KR100699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309A KR100699267B1 (ko) 2005-08-12 2005-08-12 모니터
US11/496,517 US20070035663A1 (en) 2005-08-12 2006-08-01 Display apparatus to output an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EP06118550A EP1755032A3 (en) 2005-08-12 2006-08-07 Apparatu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for use with a display
CNA2006101109878A CN1913581A (zh) 2005-08-12 2006-08-11 输出音频信号的显示设备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309A KR100699267B1 (ko) 2005-08-12 2005-08-12 모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381A KR20070019381A (ko) 2007-02-15
KR100699267B1 true KR100699267B1 (ko) 2007-03-27

Family

ID=37235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309A KR100699267B1 (ko) 2005-08-12 2005-08-12 모니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35663A1 (ko)
EP (1) EP1755032A3 (ko)
KR (1) KR100699267B1 (ko)
CN (1) CN19135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9606B2 (en) * 2008-08-04 2012-04-17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ible, polynomial based image scaling
CN101854705B (zh) * 2009-03-30 2013-02-13 联想(北京)有限公司 音频切换方法、音频切换设备、音频编解码器及终端设备
US20110213664A1 (en) * 2010-02-28 2011-09-01 Osterhout Group, Inc. Local advertising content on an interactive head-mounted eyepiece
CN105916029A (zh) * 2015-12-18 2016-08-31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音频播放的控制设备、视频显示设备及音视频播放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403U (ko) * 1997-07-16 1999-02-18 윤종용 Dvd-p를 내장한 디스플레이 모니터
KR20030061601A (ko) * 2002-01-15 2003-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상파 데이터방송 수신장치 및그를 이용한 수신데이터 처리 방법
KR20040071944A (ko) * 2003-02-07 2004-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70189A (ko) * 2003-12-29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50082267A (ko) * 2004-02-18 2005-08-23 탑헤드 주식회사 티브이 수신용 모니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291A (en) * 1994-06-02 1997-09-09 Sony Corporation Device for interfacing a CD-ROM player to an entertainment or information network and a network including such device
US6373503B1 (en) * 1996-02-22 2002-04-16 Lumenati, Inc. Multimedia computer and television apparatus
US6034689A (en) * 1996-06-03 2000-03-07 Webtv Networks, Inc. Web browser allowing navigation between hypertext objects using remote control
US6046721A (en) * 1997-10-29 2000-04-04 Bo Xu Multi-functional monitor
KR200172661Y1 (ko) * 1997-11-08 2000-03-02 윤종용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000001754A (ko) * 1998-06-13 2000-01-15 윤종용 순차주사방식의 투사형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US6834390B2 (en) * 2000-12-06 2004-12-2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related interfaces supporting the processing of media content
US6957396B2 (en) * 2001-10-18 2005-10-18 Sony Corporation Graphic user interface for digital networks
US20030193619A1 (en) * 2002-04-11 2003-10-16 Toby Farrand System and method for speculative tuning
US7496480B2 (en) * 2003-08-15 2009-02-24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Sweep manager for signal analysis
JP4300127B2 (ja) * 2004-01-20 2009-07-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送受信システム、情報送信装置、情報受信装置、情報送受信方法
KR101046586B1 (ko) * 2004-05-28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403U (ko) * 1997-07-16 1999-02-18 윤종용 Dvd-p를 내장한 디스플레이 모니터
KR20030061601A (ko) * 2002-01-15 2003-07-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상파 데이터방송 수신장치 및그를 이용한 수신데이터 처리 방법
KR20040071944A (ko) * 2003-02-07 2004-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70189A (ko) * 2003-12-29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50082267A (ko) * 2004-02-18 2005-08-23 탑헤드 주식회사 티브이 수신용 모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381A (ko) 2007-02-15
EP1755032A2 (en) 2007-02-21
EP1755032A3 (en) 2009-07-29
CN1913581A (zh) 2007-02-14
US20070035663A1 (en)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8425B2 (ja) 外部ビデオ信号表示機能と統合された携帯デバイス
EP1926316A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video call function, method thereof, and video call system
US2005027560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JP2009141720A (ja) 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映像処理装置
WO2017190468A1 (zh) 视频处理系统及具有其的多媒体播放设备
KR100699267B1 (ko) 모니터
KR100558945B1 (ko) 멀티미디어출력장치 및 그 멀티미디어출력장치를 갖는멀티미디어시스템
US20050268008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EP1521236A2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uch a display device
KR100471057B1 (ko) 휴대용 컴퓨터 및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 재생 방법
US200401744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video data
JP397363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0466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100999783B1 (ko) 모니터 장치 및 그 방법
KR10037722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4158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47798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189364A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0515748B1 (ko) 분리형 영상표시기기 및 신호 처리 장치
KR20040025407A (ko) 모니터의 av 신호 출력 제어 장치
KR200396105Y1 (ko) 다중 영상 입력이 가능한 영상 엘씨디 콘트롤 장치
JP3102447U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分離式基板装置
JP2011041332A (ja) 映像表示装置
JP2006033738A (ja) 電子機器および映像データ受信装置
KR20020041988A (ko) 피디피 티브이의 자막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