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977A - 이득 보상 장치 - Google Patents

이득 보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977A
KR20050111977A KR1020040036923A KR20040036923A KR20050111977A KR 20050111977 A KR20050111977 A KR 20050111977A KR 1020040036923 A KR1020040036923 A KR 1020040036923A KR 20040036923 A KR20040036923 A KR 20040036923A KR 20050111977 A KR20050111977 A KR 20050111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essage signal
output
messag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호
윤성욱
이광원
이용석
이경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Priority to KR102004003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1977A/ko
Publication of KR2005011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97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송신 시스템에서 회로 내부의 이득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로서, PLL(Phase Locked Loop)로 이루어지며, 반송파를 제공하는 신호 발생기; 상기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반송파를 메시지 신호의 진폭에 따라 진폭 변조하는 AM 변조기; 상기 AM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상기 신호는 반송파와 메시지 신호 성분을 모두 포함함-를 수신하여 메시지 신호를 검출하는 AM 검파기; 상기 AM 검파기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or); 및 상기 메시지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여 회로 내부에서의 이득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조정된 메시지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정된 메시지 신호가 상기 AM 변조기에 입력되는 이득 보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득 변화의 보상을 위해, 반송파를 포함하는 신호 전체가 아닌 메시지 신호를 제어하기 때문에, 메시지 신호를 기준으로 정확한 이득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지 증폭 과정에서의 이득 변화만을 보상하는 것이 아니라, 변조 과정 및 그밖에 부품의 특성변화로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이득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득 보상 장치{Apparatus for Compensating Gain}
본 발명은 이득 보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송신 장치에 있어서, 반송파에 실리는 메시지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증폭기뿐만 아니라,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득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주로 유선을 이용한 통신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통신 기술의 발달로 근래에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무선 통신은 전자기파를 매개로 하여 통신을 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송신 장치에서 원 신호인 메시지 신호를 변조 및 증폭하여 무선으로 송출하고, 원격지에 위치한 수신 장치가 이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무선 통신의 영역은 날로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무선 통신은 인간 생활에 직접적인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무선 송신 장치에 있어서, 메시지 신호가 원격지에 위치한 수신기까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이득(gain)을 가지는 전력 증폭기에서 신호의 출력 레벨을 높이는 과정이 수행되는데, 무선 신호가 원격지에 위치한 수신 장치로 정확히 전송되고, 수신 장치에서 메시지 신호를 정확히 판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출력 레벨 이상으로 신호를 증폭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력 증폭기가 증폭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열에 의해 전력 증폭기의 이득이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전력 증폭기의 이득이 감소하여 원하는 출력 레벨로 전파가 방사되지 않게 되면, 신호의 송신 거리가 짧아지게 되며, 수신 장치에서 메시지 신호의 판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무선 송신 장치는 가변감쇠기와 자동이득제어(Automatic Gain Control : AGC)를 이용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득 보상 장치는 신호 입력부(100), 가변감쇠기(102), 전력 증폭기(104), AGC(106) 및 신호 출력부(108)로 구성된다.
AGC(106)에는 신호 입력부(100)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일부 및 증폭기(104)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일부가 입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증폭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력 증폭기의 이득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송출 신호의 전력 레벨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AGC(106)는 입력 신호의 전력 레벨과 출력 신호의 전력 레벨을 서로 비교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압신호를 가변감쇠기(102)로 출력하고, 가변감쇠기(102)는 AGC(106)로부터 수신한 전압신호에 따라 신호 입력부(100)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감쇠량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전력 증폭기(104)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는 입력 및 출력 신호의 전력 레벨을 비교하여 이득을 보상하는데, 이때 각 신호는 메시지 신호와 반송파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반송파를 포함한 전체 신호의 전력 레벨을 비교하여 이득 감소를 보상하는데, 이러한 경우, 전체 신호의 출력이 높아진다고 하더라도 메시지 신호의 크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까지 높아지지 않을 수 있다.
무선 통신에서 신호의 출력 레벨이 기준치 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은 신호를 멀리 보내기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더욱 중요하게는 수신 장치에서 메시지 신호가 복조되어 정확히 해독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즉, 메시지 신호가 소정의 레벨 이상으로 출력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르면, 이득 감소를 보상하더라도 메시지 신호의 레벨이 원하는 수치 이상 높아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수신 장치에서 메시지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단지 증폭 과정에서 일어나는 이득 감소만을 보상하며, 변조 과정이나 회로의 다른 부분에서 발생하는 이득 변화는 보상하지 못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송신 장치와 같이 많은 부품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증폭기에서만 이득 감소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변조 과정에서도 이득 감소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회로의 여러 부분에서 부품들의 특성 변화로 인해 이득 감소가 발생하는데, 종래기술에 따르면, 다양한 경로에서 발생하는 이득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과 같이, 변조기와 증폭기 사이에 가변감쇠기를 배치하면, 감쇠기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이 커서 구동 증폭기(drive amplifier)가 필요하게 된다. 이는 회로를 복잡하게 하고, 장비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과 같은 이득 보상 장치는 항공기의 항로 결정을 위한 DVOR(doppler Very high frequency Omni directional Range : 도플러 전방향 표지시설) 시스템에서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DVOR 시스템은 운항중이 항공기에 진폭 변조된 항법용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항공기의 현재 위치, 비행방향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항공기 유도 시스템으로서, 반송파에 변조된 2개의 30Hz 신호인 기준위상신호와 가변위상신호를 이용하여 항공기 유도 기능 등을 수행한다.
DVOR 시스템에 있어서, 기준위상신호는 30Hz 정현파 신호로 진폭 변조된 반송파에 의해 얻어지며, 이 신호가 전 방향으로 복사된다. 또한, 가변위상신호는 진폭 변조된 반송파와 10KHz의 차이가 있는 부반송파로 반송파를 진폭 변조하여 얻어지는데, 이 신호는 측파대 안테나로부터 분리되는 상측파대 및 하측파대 신호의 공간합성에 의해 주파수 변조된다.
이러한 기준위상신호와 가변위상신호를 항공기의 수신기에서 수신하고, 이들 신호의 위상 차이를 결정함으로써, 항공기의 현재 위치, 항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DVOR 시스템은 두 개의 위상 신호 파형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시스템 내에 위상 제어 및 진폭 파형 보상을 위한 회로가 부가된다. 따라서 종래의 감쇠기, AGC를 이용하는 이득 보상 방법을 DVOR 시스템에 적용하게 되면, 시스템이 매우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시지 신호를 제어하여 무선 송신 장치의 이득을 보상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이득 감소뿐만 아니라, 변조기와 같은 다른 부품의 특성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이득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쇠기 및 자동이득제어기를 사용함이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장치 내부의 이득을 보상할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시스템에서 회로 내부의 이득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로서, PLL(Phase Locked Loop)로 이루어지며, 반송파를 제공하는 신호 발생기; 상기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반송파를 메시지 신호의 진폭에 따라 진폭 변조하는 AM 변조기; 상기 AM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상기 신호는 반송파와 메시지 신호 성분을 모두 포함함-를 수신하여 메시지 신호를 검출하는 AM 검파기; 상기 AM 검파기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or); 및 상기 메시지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여 회로 내부에서의 이득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된 메시지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정된 메시지 신호가 상기 AM 변조기에 입력되는 이득 보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송신 시스템에서 회로 내부의 이득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로서, PLL(Phase Locked Loop)로 이루어지며, 반송파를 제공하는 신호 발생기; 상기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반송파를 메시지 신호의 진폭에 따라 진폭 변조하는 AM 변조기; 상기 AM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상기 신호는 반송파와 메시지 신호 성분을 모두 포함함-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검파기; 상기 전력 검파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or); 및 상기 전력 검파기에서 검출되는 전력 레벨에 상응하는 메시지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여 회로 내부의 이득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조정된 메시지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이 조정된 메시지 신호가 상기 AM 변조기에 입력되는 이득 보상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는 신호 발생기(200), AM 변조기(202), 전력 증폭기(204), 커플러(206), AM 검파기(208), ADC(analog digital converter)(210), 프로세서부(212), 아날로그부(214) 및 안테나(216)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발생기(200)는 원 신호인 메시지 신호를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반송파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신호 발생기(200)는 위상 비교기(phase detecter), 저역 통과 필터,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VCO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피드백되고, 위상 비교기에서 출력 신호와 기준 신호의 차이에 상응하는 펄스가 출력되며, 이 펄스가 전압신호로 변환되어 VCO에 인가됨으로써, 주파수(위상)가 고정된 반송파가 출력될 수 있다.
신호 발생기(200)에서 출력된 반송파는 AM 변조기(202)로 입력되고, AM 변조기(202)에서 반송파가 메시지 신호의 진폭에 따라 진폭 변조된다.
본 발명은 항공기의 표지시설로 사용되는 DVOR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DVOR 시스템의 경우, 진폭 변조기가 진폭 변조뿐만 아니라, 위상 제어 및 메시지 신호 파형 보상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적절한 출력을 내기 위해, 몇 개의 구동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서부(212)에서 제어된 신호(M(t))가 메시지 신호로서 AM 변조기(202)에 입력된다. 제어된 메시지 신호의 입력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AM 변조기(202)에서 출력된 신호는 에너지를 높이기 위해, 전력 증폭기(204)를 거쳐 증폭된다.
전력 증폭기(204)는 신호를 증폭해주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회로로서, 원하는 특성이 나오도록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bias) 조건을 정해준 다음, 그 바이어스에 의해 들어오는 전력을 입력신호 변화에 비례하는 형태로 출력한다. 즉, 전력 증폭기(204)는 입력신호 자체를 크게 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신호의 전압/전류 변화에 민감하게 바이어스 전력을 움직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입력신호를 확대 복사한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에서는 진폭 변조의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예에 불과하며, 주파수 변조를 하여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전력 증폭기(204)에서 증폭된 신호는 커플러(coupler)(206)를 통과하는데, 커플러(206)는 증폭된 신호를 두 개의 특정 신호로 배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커플러(206)는 인접 선로끼리 서로 방출된 신호에너지가 상대방 선로에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현상인 커플링 효과를 이용하여 증폭된 신호를 안테나(216)로 출력되는 주 신호와 커플링 포트로 출력되는 커플링 신호로 분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플러(206)에서 분리된 커플러 신호는 AM 검파기(208)로 입력된다. AM 검파기(208)에 입력된 커플러 신호는 반송파와 메시지 신호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신호로 이루어지는데, AM 검파기(208)는 이러한 커플러 신호 중에서 반송파를 제거하고 메시지 신호만을 검출한다.
메시지 신호만을 검출하는 과정을 수학식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변조 및 증폭 과정에서 위상 변화는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반송파를 cos(wt+θ), 최초의 메시지 신호를 m(t)라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송신 장치의 구동 중에는 열의 발생에 의해, 특히, 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열의 의해, 회로 내부의 이득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전력 증폭기(204)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 메시지 신호의 크기도 감소하게 된다. 즉, 메시지 신호가 최초 m(t)에서 m'(t)로 변하게 되며, AM 검파기(208)에 입력되는 신호는 m'(t)cos(wt+θ)가 된다.
AM 검파기(208)는 m'(t)cos(wt+θ)에 반송파 신호와 같은 cos(wt+θ)를 혼합한다. 이 경우, 신호는 m'(t)cos2(wt+θ)로 되고, 이를 적절히 변환하면, m'(t)-m'(t)sin2(wt+θ)로 된다. 이러한 신호가 AM 검파기(208)에 구비된 저역 통과 여파기를 통과하게 되면, 고주파 성분 걸러지면서 메시지 신호를 나타내는 m'(t)만이 검출된다.
AM 검파기(208)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ADC(analog/digital convertor)(210)를 지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프로세서부(212)로 입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부(212)는 AM 검파기에서 검출된 m'(t)의 상태를 판단하여 제어된 메시지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스부(212)에는 m'(t)의 크기에 따라 얼마만큼의 조정된 메시지 신호를 출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가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저장부는 바람직하게는 롬(read only memory: ROM)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외의 데이터 저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부(212)는 AM 검파기(208)에서 검출된 m'(t)의 크기를 판단하여 레벨이 적절하게 조정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프로세서부(212)에서 출력된 신호가 아날로그부(214)를 지나 M(t)로 변환되고, 이 신호가 AM 변조기(202)에 입력된다.
아날로그부(214)는 연산 증폭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프로세서부(212)에서 출력된 메시지 신호에 대해 버퍼링(buffering) 및 증폭한 후 M(t)로 변환하여 AM 변조기(202)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M(t)는 회로 전체에서의 이득 변화를 고려한 메시지 신호이기 때문에, 메시지 신호가 AM 변조기 및 전력 증폭기를 지나더라도 최종적으로 송출되는 신호는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한 레벨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장치에서 AM 검파기(208)와 프로세서부(212) 사이에 전력 검파기(300)를 더 포함시켜 구성할 수 있다.
전력 검파기(300)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변조 및 증폭 과정이 수행된 후, 커플러(206)를 통해 일부 출력신호가 추출되어 AM 검파기(208)로 입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 신호로부터 추출된 신호는 반송파와 메시지 신호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신호로 이루어지며, AM 검파기(208)는 이러한 커플러 신호 중에서 반송파를 제거하고 메시지 신호만을 검출한다.
AM 검파기(208)에서 추출된 메시지 신호가 전력 검파기(300)로 입력되며, 전력 검파기(300)는 메시지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한다.
도 2에서는 메시지 신호가 직접 프로세서부(212)에 입력되나 도 3에 도시된 이득 보상 장치에서는 메시지 신호의 전력 레벨이 프로세서부(212)로 입력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전력 검파기(300)에서 검출된 전력 레벨이 ADC(210)을 거쳐 프로세서부(212)로 입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부(212)는 이득 감소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하게 조정된 메시지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전력 검파기(30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신호, m'(t)의 전력 레벨을 판단하여 출력될 메시지 신호의 레벨이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부(212)에는 입력된 메시지 신호, m'(t)의 전력 레벨에 따라 레벨을 어느정도로 조절할 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부가 연결되어 있어 입력된 신호인 m'(t)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된 메시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프로세서부(212)에서 메시지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메시지 신호의 파형이나 그밖에 메시지 신호의 다른 성분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프로세서부(212)에서 출력된 신호가 아날로그부(214)를 거치면서 M(t)로 변환되어 AM 변조기(202)로 입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장치에서 AM 검파기(208) 대신 전력 검파기(300)를 프로세서 앞단에 배치한 것이다.
전력 검파기(400)는 커플러(206)에서 추출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력 레벨은 반송파 및 메시지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이다.
전력 검파기(400)에서 검출된 신호가 ADC(210)를 거쳐 프로세서부(212)로 입력되면 프로세서부(212)는 레벨이 조정된 메시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부(212)에는 변조 및 증폭 과정을 거친 후에 출력되는 신호, 즉, 반송파와 메시지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신호의 전체 전력 레벨에 대응되는 메시지 신호의 상태에 대한 정보 및 프로세서부(212)에 입력된 메시지 신호, m'(t)에 따라 얼마만큼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가 연결되어 있다.
프로세서부(212)에서 출력된 신호는 아날로그부로 거치면서 M(t)로 변환되고, 이 신호가 AM 변조기(202)에 입력된다.
종래기술과 같이, 회로 내부의 이득 감소에 대해 반송파 및 메시지 신호 전체의 전력을 검출하여 이득을 보상하면, 메시지 신호의 이득 보상은 무선 송수신 장치 사이에서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할 정도에 못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회로 내부의 이득 감소에 대해 전체 신호가 아니라, 메시지 신호를 적절하게 제어하게 되면, 메시지 신호를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할 정도로 보상할 수 있으므로 수신 장치에서 메시지 신호를 왜곡 해석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득 보상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발생기(200)에서 특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반송파가 출력되고(S500), 출력된 반송파는 메시지 신호의 진폭에 따라 진폭 변조된다(S502).
이때, 메시지 신호는 별도의 루프를 통해 입력되는데, 그 과정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진폭 변조된 신호에 대해 전력 증폭 과정이 수행된다(S504). 전술한 바와 같이, 증폭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다른 부품의 특성 변화로 인해 회로 내부의 이득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이득 변화에 따라 메시지 신호의 크기도 변화하게 된다.
회로 내부의 이득을 보상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증폭된 신호가 피드백 되고, 반송파 및 메시지 신호 성분이 모두 포함된 출력 신호에서 메시지 신호만을 검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506).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은 AM 검파기(208)를 이용하여 직접 메시지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전력 검파기(300)에서 메시지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방법 및 반송파와 메시지 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한 후에 전체 전력에 대응되는 메시지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검출된 메시지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고(S508), 제어된 메시지 신호를 출력한다(S5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 내부의 이득 변화를 고려하여 메시지 신호가 생성되고, 이 제어된 신호가 진폭 변조 및 전력 증폭되기 때문에, 메시지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는 회로 내부의 이득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메시지 신호를 제어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의 메시지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폭 변조 및 전력 증폭과 같은 신호의 가공 과정을 거친 신호를 검출하여 메시지 신호를 제어하기 때문에, 회로 전체에 대한 이득 변화에 대해 보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과 같이, 이득의 보상을 위해, 감쇠기 및 자동이득제어기(AGC)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득 보상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득 보상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2 : 가변감쇠기 106 : AGC
200 : 신호 발생기 202: AM 변조기
204 : 전력 증폭기 206 : 커플러
208 : AM 검파기 212 : 프로세서부

Claims (7)

  1. 무선 송신 시스템에서 회로 내부의 이득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로서,
    PLL(Phase Locked Loop)로 이루어지며, 반송파를 제공하는 신호 발생기;
    상기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반송파를 메시지 신호의 진폭에 따라 진폭 변조하는 AM 변조기;
    상기 AM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상기 신호는 반송파와 메시지 신호 성분을 모두 포함함-를 수신하여 메시지 신호를 검출하는 AM 검파기;
    상기 AM 검파기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or); 및
    상기 메시지 신호의 크기를 판단하여 회로 내부에서의 이득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된 메시지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정된 메시지 신호가 상기 AM 변조기에 입력되어 진폭 변조 및 전력 증폭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보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보상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AM 검파기로 분기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프로세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버퍼링 및 증폭을 수행하는 아날로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보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프로세서부로 입력되는 메시지 신호의 크기에 따라 출력 메시지 신호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보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보상 장치는,
    상기 AM 검파기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 신호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검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보상 장치.
  5. 무선 송신 시스템에서 회로 내부의 이득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로서,
    PLL(Phase Locked Loop)로 이루어지며, 반송파를 제공하는 신호 발생기;
    상기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반송파를 메시지 신호의 진폭에 따라 진폭 변조하는 AM 변조기;
    상기 AM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상기 신호는 반송파와 메시지 신호 성분을 모두 포함함-의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검파기;
    상기 전력 검파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or); 및
    상기 전력 검파기에서 검출되는 전력 레벨에 대응되는 메시지 신호의 크기를 판단하여 회로 내부의 이득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조정된 메시지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정된 메시지 신호가 상기 AM 변조기에 입력되어 진폭 변조 및 전력 증폭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보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보상 장치는,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AM 검파기로 분기시키는 커플러; 및
    상기 프로세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버퍼링 및 증폭을 수행하는 아날로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보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전력 검파기에서 검출되는 전력 레벨에 대응되는 메시지 신호의 크기 정보 및 상기 메시지 신호의 크기에 따라 출력 메시지 신호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보상 장치.
KR1020040036923A 2004-05-24 2004-05-24 이득 보상 장치 KR20050111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923A KR20050111977A (ko) 2004-05-24 2004-05-24 이득 보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923A KR20050111977A (ko) 2004-05-24 2004-05-24 이득 보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977A true KR20050111977A (ko) 2005-11-29

Family

ID=37286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923A KR20050111977A (ko) 2004-05-24 2004-05-24 이득 보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1977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0006A (ja) * 1990-11-29 1992-07-21 Toshiba Corp 利得制御増幅器
JPH06283948A (ja) * 1993-03-26 1994-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利得制御装置
KR0152002B1 (ko) * 1995-07-11 1998-12-15 이형도 자동이득 제어되는 전력증폭회로
KR100193860B1 (ko) * 1996-12-24 1999-06-15 윤종용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
KR100251586B1 (ko) * 1997-12-31 2000-04-15 윤종용 디지탈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 신호의 이득 자동 제어장치
KR20000061607A (ko) * 1999-03-29 2000-10-25 윤종용 자동 이득 제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0006A (ja) * 1990-11-29 1992-07-21 Toshiba Corp 利得制御増幅器
JPH06283948A (ja) * 1993-03-26 1994-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利得制御装置
KR0152002B1 (ko) * 1995-07-11 1998-12-15 이형도 자동이득 제어되는 전력증폭회로
KR100193860B1 (ko) * 1996-12-24 1999-06-15 윤종용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
KR100251586B1 (ko) * 1997-12-31 2000-04-15 윤종용 디지탈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 신호의 이득 자동 제어장치
KR20000061607A (ko) * 1999-03-29 2000-10-25 윤종용 자동 이득 제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913B1 (ko) 무선 트랜시버 전력 증폭기로의 변조 주입을 포함하는연속 폐루프 전력 제어 시스템
US6917823B2 (en) Cellular telephone
US10951443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930702823A (ko) Tdma 무선 주파수 송신기용 전력 제어 회로
WO2002101916A3 (fr) Procede de modulation de l&#39;amplitude d&#39;un signal radiofrequence,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CA2088750C (en) Linearized output control of a nonlinear amplifier
US20030013427A1 (en) Wireless transmitter and device for mobile station
US7095988B2 (en) Apparatus for linear transmitter with improved loop gain stabilization
US20150303886A1 (en) High-Frequency Transmitter, Wireless Microphone and Guitar Transmitter or Pocket Transmitter
KR20050111977A (ko) 이득 보상 장치
JP2937866B2 (ja) 無線送信装置
JP2013098693A (ja) 利得測定回路、利得測定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9231804B2 (en) Digital broadcast transmitting device and exciter
KR100610820B1 (ko) 위상 고정 장치
KR100242417B1 (ko) 기지국의송신전력을조정하는장치
JPH03154430A (ja) 自動送信電力制御装置
JP7351673B2 (ja) 光ファイバ無線通信の受信モジュールおよび光ファイバ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5007060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JP6579607B2 (ja) 送信装置および信号レベル制御方法
JP2009141463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33936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H04302229A (ja) アナログ信号伝送装置
JP4487310B2 (ja) 出力レベル制御回路
JP2005328235A (ja) 無線装置遠隔有線制御システム
KR19980014474A (ko) 전파 탐지장치(beac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