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384A - 진동 절연형 냉장고 - Google Patents

진동 절연형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384A
KR20050110384A KR1020040035355A KR20040035355A KR20050110384A KR 20050110384 A KR20050110384 A KR 20050110384A KR 1020040035355 A KR1020040035355 A KR 1020040035355A KR 20040035355 A KR20040035355 A KR 20040035355A KR 20050110384 A KR20050110384 A KR 20050110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main body
base
machine room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307B1 (ko
Inventor
이동훈
이태희
윤영훈
김용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5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307B1/ko
Priority to EP04030927.0A priority patent/EP1598621B1/en
Priority to US11/028,632 priority patent/US7168260B2/en
Priority to JP2005003900A priority patent/JP2005331226A/ja
Priority to CNB2005100065562A priority patent/CN100339668C/zh
Publication of KR2005011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41Locking; Fixing in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16K37/0016Mechanical means having a graduated sca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2Removal, transportation or shipping of refrigerating devices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절연형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기계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 저부에 상기 본체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면에 압축기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베이스지지부재와; 일측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지지부재가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향 이동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위치와, 상기 베이스지지부재가 상기 설치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하강되는 설치위치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설치시 기계실의 진동이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동시 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절연형 냉장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진동 절연형 냉장고{VIBRATION ISOLATION TYPE REFRIGERATOR}
본 발명은, 진동 절연형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시 기계실의 진동이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동시 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진동 절연형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기계실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계실영역의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내부에 음식물을 냉각 보관할 수 있도록 냉각실이 형성되는 본체(11)와, 냉각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1)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1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1)의 전방 하부영역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부재(15)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본체(11)의 후방 저부영역에는 본체(11)를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롤러(17)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1)의 후방 하부영역에는 후방 및 하측으로 각각 개구된 기계실(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 개구의 연부에는 기계실커버(21)가 복수의 스크류(23)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기계실(20)의 내부 일측에는 제어부품이 구비된 콘트롤박스(25)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계실(20)의 중앙 상부영역에는 제상시 발생된 제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상수트레이(27)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체(11)의 후방 저부에는 기계실(20)의 저부를 차단하도록 직사각 판상부재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31)가 스크류(32)에 의해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31)의 상측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5)가 복수의 방진고무부재(3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압축기(35)에는 냉매가 토출 및 흡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본체(11)에 매입 설치된 도시 않은 응축기 및 증발기에 각각 연결된 토출연결배관(38) 및 흡입연결배관(39)의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흡입연결배관(39) 및 토출연결배관(38)의 일측에는 냉동사이클 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드라이어(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기계실(20)의 저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되고 상면에 압축기(35)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1)는 본체(11)의 후방 저부에 스크류(32)에 의해 일체로 고정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압축기(35)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본체(11)와 일체로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31) 및 스크류(32)를 통해 본체(11)에 전달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시 기계실의 진동이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동시 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진동 절연형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계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 저부에 상기 본체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면에 압축기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베이스지지부재와; 일측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지지부재가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향 이동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위치와, 상기 베이스지지부재가 상기 설치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하강되는 설치위치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에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기계실의 양 측 내벽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돌출된 베이스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결합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측 연부에는 상기 기계실의 내벽과 나란하게 상향 절곡된 측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측벽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측벽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통과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수용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와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제1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제2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저부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후방레그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승강부는, 일측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위치 및 상기 설치위치 간을 회동하는 승강레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기계실의 양 측벽에는 상기 승강레버가 통과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레버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승강레버가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유지되도록 상기 승강레버에 연결되는 레버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상기 고정위치 및 상기 설치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아암과, 일측은 상기 회동아암과 일체로 회전되고 타측은 상기 기계실의 측벽을 통과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고 일측이 상기 회동축의 타단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위치 및 상기 설치위치간을 회동하면서 상기 회동아암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아암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회동아암이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유지되도록 상기 구동아암 또는 상기 회동아암에 연결되는 아암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는, 상면에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경사면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슬라이딩 접촉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설치위치간을 구동시키는 슬라이더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슬라이더구동부는, 일측은 상기 슬라이더에 자유회전가능함과 아울러 축선방향을 따라 일체로 유동되게 결합되고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축과,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노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절연형 냉장고의 기계실영역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승강레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일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진동 절연형 냉장고는, 후방 하부영역에 후방 및 하측으로 개구된 기계실(2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와, 기계실(20)의 내부 저부에 본체(11)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면에 압축기(35)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41)와, 베이스플레이트(41)의 저부에 배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41)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베이스지지부재(51)와, 일측은 본체(11)에 연결되고 타측은 베이스플레이트(41)에 연결되어 본체(11)에 대해 베이스플레이트(41)가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55)와, 베이스지지부재(51)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베이스플레이트(41)가 상향 이동되어 본체(11)에 고정되는 고정위치와, 베이스지지부재(51)가 설치면에 접촉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41)가 하강되는 설치위치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계실(20)의 내부 일 측벽에는 콘트롤박스(25)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 측벽에는 드라이어(40)가 인접되게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20)의 중앙 상부영역에는 제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상수트레이(27)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체(11)의 후방 저부에는 본체(11)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높이조절부재(15)와 상호 협조적으로 본체(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후방레그(1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후방레그(19)는 높이조절부재(15)와 마찬가지로 본체(11)의 저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롤러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기계실(20)의 내부 양 측벽의 하부영역에는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본체(11)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베이스결합부(4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결합부(43)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공(4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공(45)에는 고정부재(55)와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제1방진부재(47a)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기계실(20)의 저부에는 평면투영시 기계실(20)의 길이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41)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41)의 양 측 연부는 상향 절곡되고 외측으로 연장되어 각 베이스결합부(43)의 상측에 소정 높이차를 두고 각각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41)의 저부에는 양측 연부가 베이스결합부(43)의 상측에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41)를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베이스지지부재(51)가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지지부재(51)는 베이스플레이트(41)를 완충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플레이트(41)의 양측 연부에는 고정부재(55)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각 관통공(45)에 대응되게 수용공(42)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수용공(42)에는 고정부재(55)와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제1방진부재(47b)가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재(55)의 일측 단부에는 소정 길이 구간 수나사부(56a)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수나사부(56a)에 너트(57) 체결시 베이스플레이트(41)가 본체(11)에 대해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유동가능하도록 수나사부(56a)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헤드부(56b)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41)의 상측에는 복수의 방진고무부재(37)에 의해 지지되도록 압축기(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축기(35)에는 냉매의 토출 및 흡입을 위해 토출연결배관(38) 및 흡입연결배관(39)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편, 승강부(61)는, 일측은 베이스플레이트(41)의 하측에 회동시 접촉가능하게 배치되고 타측은 본체(11)의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41)를 고정위치 및 설치위치간을 승강시키는 승강레버(63)와, 승강레버(63)를 회동지지하는 회동지지부(65)와, 승강레버(63)가 고정위치에 고정유지되도록 하는 레버스프링(6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계실(20)의 양 측 내벽에는 승강레버(63)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관통된 레버공(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레버(63)의 양측에는 승강레버(63)의 양측에 폭방향을 따라 돌출된 회동축(66)을 각각 수용하여 회동지지하는 회동지지부(6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승강레버(63)의 폭방향을 따라 중앙영역에는 개구(64)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64)의 일측 연부에는 일측이 베이스결합부(43)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스프링(67)의 타단이 상대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베이스결합부(43)의 관통공(45) 및 베이스플레이트(41)의 수용공(42)에 제1방진부재(47a,47b)를 각각 결합하고, 베이스결합부(43)의 상측에 베이스플레이트(41)의 양 측 연부가 위치하도록 기계실(20)의 내부에 베이스플레이트(41)를 배치한다. 이 때, 승강레버(63)는 설치위치에 위치되어 있어 승강레버(63)의 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41)의 저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베이스결합부(43) 및 베이스플레이트(41)를 통과하도록 고정부재(55)를 결합하고, 고정부재(55)의 선단에 너트(57)를 체결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이런 상태에서 압축기(35)가 구동되어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베이스플레이트(41)는 본체(1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지지부재(51)에 의해 독립적으로 지지되어 있어 진동이 본체(11)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한편, 본체(11)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승강레버(63)의 노출측 단부를 하향 가압하면 승강레버(63)는 회동축(66)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고, 타측 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41)의 저부에 접촉되어 베이스플레이트(41)를 상향 가압하게 된다. 베이스플레이트(41)는 베이스지지부재(51)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향 이동되어 고정부재(55)의 헤드부(56b) 및 너트(57)에 의해 본체(11)와 일체로 고정된 상태가 되어 이동시 외력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41) 및 압축기(35)의 유동에 기인하여 주변 부품이 손상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승강레버(63)는 레버스프링(67)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절연형 냉장고의 기계실영역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구동아암영역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회동아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진동 절연형 냉장고는, 후방 하부영역에 후방 및 하측으로 개구된 기계실(2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와, 기계실(20)의 내부 저부에 본체(11)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면에 압축기(35)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71)와, 베이스플레이트(71)의 저부에 배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71)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베이스지지부재(51)와, 일측은 본체(11)에 연결되고 타측은 베이스플레이트(71)에 연결되어 본체(11)에 대해 베이스플레이트(71)가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55)와, 베이스지지부재(51)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베이스플레이트(71)가 상향 이동되어 본체(11)에 고정되는 고정위치와, 베이스지지부재(51)가 설치면에 접촉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71)가 하강되는 설치위치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8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계실(20)의 내부 일 측벽에는 콘트롤박스(25)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 측벽에는 드라이어(40)가 인접되게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20)의 중앙 상부영역에는 제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상수트레이(27)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1)의 후방 저부에는 본체(11)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높이조절부재(15)와 상호 협조적으로 본체(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후방레그(1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후방레그(19)는 높이조절부재(15)와 마찬가지로 본체(11)의 저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롤러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베이스플레이트(71)의 저부에는 설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베이스플레이트(71)를 지지하는 한 쌍의 베이스지지부재(51)가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지지부재(51)는 베이스플레이트(71)를 완충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플레이트(71)의 상측에는 복수의 방진고무부재(37)에 의해 지지되도록 압축기(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축기(35)에는 냉매의 토출 및 흡입을 위해 토출연결배관(38) 및 흡입연결배관(39)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71)의 양 측에는 기계실(20)의 내벽과 나란하게 상향 절곡된 양 측벽부(73)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측벽부(73)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고정부재수용공(75)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수용공(75)은 고정부재(55)의 결합시 베이스플레이트(71)가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유동될 수 있게 상하로 긴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재수용공(75)에는 제2방진부재(77)가 삽입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재(55)의 일측에는 소정 길이 구간 수나사부(56a)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계실(20)의 내벽에는 수나사부(56a)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58)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55)는 결합시 베이스플레이트(71)가 소정 폭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헤드부(56b)로부터 수나사부(56a)가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승강부(81)는, 베이스플레이트(71)의 하측에 베이스플레이트(71)를 상향 이동시키는 고정위치와 베이스지지부재(51)에 의해 지지되는 설치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아암(82)과, 일측은 회동아암(82)에 연결되고 타측은 기계실(20)의 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본체(1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84)과, 회전축(84)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축(84)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연장되는 구동아암(86)과, 회동아암(82)이 고정위치에 고정유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아암스프링(88)을 구비하고 있다.
기계실(20)의 외벽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축소된 아암결합부(59)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아암(86)의 일측에는 일측이 아암결합부(59)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고정된 아암스프링(88)의 타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고정부(89)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아암(86)의 상측 및 하측에는 구동아암(86)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상부스톱퍼(87a) 및 하부스톱퍼(87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체(11)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구동아암(86)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위치로 회동되도록 한다. 구동아암(86)이 하향 회동되면 회전축(84)에 의해 연결된 회동아암(82)은 회전축(84)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베이스플레이트(71)의 저부를 상향 가압한다. 이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71)는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고 고정부재(55)에 밀착되어 본체(11)와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이동시 베이스플레이트(71) 및 압축기(35)의 유동에 기인한 연결 부품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아암스프링(88)은 구동아암(86)의 회전중심을 지나게 되어 구동아암(86)이 하부스톱퍼(87b)에 접촉 지지된 상태, 즉 고정위치에 고정유지되도록 구동아암(86)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본체(11)의 이동 후에는 구동아암(86)을 상향 가압하여 설치위치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회동아암(82)은 회전축(84)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고 베이스플레이트(71)는 설치면에 접촉된 베이스지지부재(51)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아암스프링(88)은 구동아암(86)이 상부스톱퍼(87a)에 접촉 지지된 상태, 즉 설치위치에 고정 유지되도록 구동아암(86)에 탄성력를 가하게 된다.
한편, 이런 상태에서 압축기(35)가 구동되어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베이스플레이트(71)는 본체(11)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설치면에 접촉된 베이스지지부재(51)에 의해 독립적으로 지지되어 있어 진동이 본체(11)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절연형 냉장고의 기계실영역의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손잡이부재영역의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슬라이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진동 절연형 냉장고는, 후방 하부영역에 후방 및 하측으로 개구된 기계실(2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와, 기계실(20)의 내부 저부에 본체(11)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면에 압축기(35)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41)와, 베이스플레이트(41)의 저부에 배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41)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베이스지지부재(51)와, 일측은 본체(11)에 연결되고 타측은 베이스플레이트(41)에 연결되어 본체(11)에 대해 베이스플레이트(41)가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55)와, 베이스지지부재(51)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베이스플레이트(41)가 상향 이동되어 본체(11)에 고정되는 고정위치와, 베이스지지부재(51)가 설치면에 접촉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41)가 하강되는 설치위치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9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계실(20)의 내부 일 측벽에는 콘트롤박스(25)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 측벽에는 드라이어(40)가 인접되게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20)의 중앙 상부영역에는 제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상수트레이(27)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체(11)의 후방 저부에는 본체(11)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높이조절부재(15)와 상호 협조적으로 본체(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후방레그(1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후방레그(19)는 높이조절부재(15)와 마찬가지로 본체(11)의 저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롤러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기계실(20)의 내부 양 측벽의 하부영역에는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본체(11)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된 베이스결합부(4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결합부(43)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공(4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공(45)에는 고정부재(55)와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제1방진부재(47a)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기계실(20)의 저부에는 평면투영시 기계실(20)의 길이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판상의 베이스플레이트(41)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41)의 양 측 연부는 상향 절곡되고 외측으로 연장되어 각 베이스결합부(43)의 상측에 소정 높이차를 두고 각각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41)의 저부에는 양측 연부가 베이스결합부(43)의 상측에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41)를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베이스지지부재(51)가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지지부재(51)는 베이스플레이트(41)를 완충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플레이트(41)의 양측 연부에는 고정부재(55)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각 관통공(45)에 대응되게 수용공(42)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수용공(42)에는 고정부재(55)와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제1방진부재(47b)가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재(55)의 일측 단부에는 소정 길이 구간 수나사부(56a)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수나사부(56a)에 너트(57) 체결시 베이스플레이트(41)가 본체(11)에 대해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유동가능하도록 수나사부(56a)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헤드부(56b)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41)의 상측에는 복수의 방진고무부재(37)에 의해 지지되도록 압축기(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축기(35)에는 냉매의 토출 및 흡입을 위해 토출연결배관(38) 및 흡입연결배관(39)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편, 승강부(91)는, 베이스플레이트(41)의 저부에 슬라이딩 접촉될 수 있게 형성된 경사면(93a)을 구비하여 본체(11)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92)와, 슬라이더(92)가 베이스플레이트(41)의 하측에서 베이스플레이트(41)를 지지하는 고정위치와 베이스플레이트(41)로부터 이격되어 베이스플레이트(41)가 베이스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설치위치간을 구동시키는 슬라이더구동부(95)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구동부(95)는, 일측은 슬라이더(92)에 자유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축선방향을 따라 일체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외면에 수나사부(97a)가 형성된 구동축(96)과, 본체(11)에 고정되어 수나사부(97a)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98)와, 본체(11)의 외측에 노출되게 배치되어 구동축(96)과 일체로 회전되는 손잡이부재(99)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41)의 양 측 연부의 저부에는 슬라이더(92)의 경사면(93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경사접촉부(4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부재(99)는 구동축(96)에 대해 직각으로 고정형성되는 고정손잡이부(100a)와 고정손잡이부(100a)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동손잡이부(100b)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체(11)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가동손잡이부(100b)를 고정손잡이부(100a)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시키고 슬라이더(92)가 고정위치로 이동되도록 가동손잡이부(100b)를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92)의 경사면(93a)은 베이스플레이트(41)의 경사접촉부(44)에 슬라이딩 접촉되어 베이스플레이트(41)는 베이스지지부재(51)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향 이동되어 슬라이더(9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본체(11)와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41) 및 압축기(35)의 유동에 기인한 주변 부품의 손상 및 변형을 억제하게 된다.
이동 후에는 슬라이더(92)가 설치위치로 이동되도록 가동손잡이부(100b)를 회동시키면 슬라이더(92)는 베이스플레이트(4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41)는 서서히 하강하여 설치면에 접촉된 베이스지지부재(51)에 의해 지지된다.
이런 상태에서 압축기(35)가 구동되면 베이스플레이트(41)는 본체(11)와 분리되고 베이스지지부재(51)에 의해 독립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압축기(35)에서 발생된 진동이 본체(11)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방 하부영역에 후방 및 하측으로 개구된 기계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기계실의 내부 저부에 본체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면에 압축기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부에 배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베이스지지부재와, 일측은 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어 본체에 대해 베이스플레이트가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베이스지지부재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베이스플레이트가 상향 이동되어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위치와 베이스지지부재가 설치면에 접촉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가 하강되는 설치위치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시 기계실의 진동이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동시 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기계실영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계실영역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절연형 냉장고의 기계실영역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평단면도,
도 6은 도 3의 승강레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절연형 냉장고의 기계실영역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구동아암영역의 측면도,
도 9는 도 7의 회동아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절연형 냉장고의 기계실영역의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손잡이부재영역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슬라이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9 : 후방레그
20 : 기계실 22 : 레버공
41 : 베이스플레이트 42 : 수용공
43 : 베이스결합부 47a,47b : 제1방진부재
51 : 베이스지지부재 55 : 고정부재
56a : 수나사부 56b : 헤드부
61 : 승강부 63 : 승강레버
65 : 회동지지부 67 : 레버스프링

Claims (14)

  1. 기계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 저부에 상기 본체에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면에 압축기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베이스지지부재와;
    일측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지지부재가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향 이동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위치와, 상기 베이스지지부재가 상기 설치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하강되는 설치위치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기계실의 양 측 내벽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돌출된 베이스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결합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측 연부에는 상기 기계실의 내벽과 나란하게 상향 절곡된 측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측벽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측벽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통과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수용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제1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제2방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부 후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후방레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일측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위치 및 상기 설치위치 간을 회동하는 승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기계실의 양 측벽에는 상기 승강레버가 통과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레버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레버가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유지되도록 상기 승강레버에 연결되는 레버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상기 고정위치 및 상기 설치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아암과, 일측은 상기 회동아암과 일체로 회전되고 타측은 상기 기계실의 측벽을 통과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고 일측이 상기 회동축의 타단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위치 및 상기 설치위치간을 회동하면서 상기 회동아암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아암이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유지되도록 상기 구동아암 또는 상기 회동아암에 연결되는 아암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면에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경사면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슬라이딩 접촉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는 고정위치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설치위치간을 구동시키는 슬라이더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구동부는, 일측은 상기 슬라이더에 자유회전가능함과 아울러 축선방향을 따라 일체로 유동되게 결합되고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축과,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노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절연형 냉장고.
KR1020040035355A 2004-05-18 2004-05-18 진동 절연형 냉장고 KR100548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355A KR100548307B1 (ko) 2004-05-18 2004-05-18 진동 절연형 냉장고
EP04030927.0A EP1598621B1 (en) 2004-05-18 2004-12-29 Refrigerator
US11/028,632 US7168260B2 (en) 2004-05-18 2005-01-05 Refrigerator
JP2005003900A JP2005331226A (ja) 2004-05-18 2005-01-11 冷蔵庫
CNB2005100065562A CN100339668C (zh) 2004-05-18 2005-02-23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355A KR100548307B1 (ko) 2004-05-18 2004-05-18 진동 절연형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384A true KR20050110384A (ko) 2005-11-23
KR100548307B1 KR100548307B1 (ko) 2006-02-02

Family

ID=3492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355A KR100548307B1 (ko) 2004-05-18 2004-05-18 진동 절연형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68260B2 (ko)
EP (1) EP1598621B1 (ko)
JP (1) JP2005331226A (ko)
KR (1) KR100548307B1 (ko)
CN (1) CN10033966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45321B1 (en) * 2006-01-30 2017-07-26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moisture adsorbing device
JP4911141B2 (ja) * 2007-12-27 2012-04-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5389369B2 (ja) * 2008-03-31 2014-01-15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冷却貯蔵庫
SE537069C2 (sv) * 2011-03-22 2014-12-23 Scania Cv Ab Fordon innefattande upphängningssystem för kompressor
CN103423855B (zh) * 2012-05-22 2017-03-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底盘组件
CN102927763B (zh) * 2012-11-26 2015-01-2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压缩机底板和具有其的冰箱
US20140216098A1 (en) * 2013-02-04 2014-08-07 Metro Industries Inc. Mobile refrigeration cabinet
US10408526B2 (en) 2014-05-16 2019-09-1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ressor mounting base plate
WO2016069448A1 (en) 2014-10-29 2016-05-0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ressor mounting base plate
US10065848B2 (en) * 2015-10-08 2018-09-04 Dee Volin Unique self-pressurizing, self-cooling beverage system, having impact-and-vibration-absorbing systems, anti-shaking anti-rolling clamping system, root-beer-float system, beverage-dispensing system, and multi-height spigot system
KR101807968B1 (ko) 2016-09-30 2017-12-12 국방기술품질원 복합형 진동 저감 장치
CN106595188B (zh) * 2016-11-23 2018-11-30 滁州聚保利电装有限公司 一种冰箱压缩机用支撑板
CN107084585B (zh) * 2017-04-25 2019-06-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箱式设备
CN207963280U (zh) * 2017-11-27 2018-10-1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US11391503B2 (en) * 2019-03-26 2022-07-19 Thaddeus Medical Systems, Inc. Rotating pump mount and support for transportation enclosure
CN111677651B (zh) * 2020-05-07 2023-01-10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压缩机装配结构及冷藏设备
JP2022015025A (ja) * 2020-07-08 2022-01-21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US20230027815A1 (en) * 2021-07-23 2023-01-26 Nokia Shanghai Bell Co., Ltd. Vibration isolation to protect electrical circuits from vibration-induced damag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24051A (en) * 1926-07-21 1929-08-13 Frigidaire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1981848A (en) * 1932-08-04 1934-11-27 Walter J Sugden Refrigerating machine
US2209477A (en) * 1938-11-03 1940-07-30 Gen Motors Corp Resilient motor mount
FR891160A (fr) * 1942-08-28 1944-02-29 Châssis-support élastique transportable, plus particulièrement applicable aux groupes frigorifiques
US2575858A (en) * 1947-02-27 1951-11-20 Gen Tire & Rubber Co Resilient mounting
US2637178A (en) * 1949-03-17 1953-05-05 Liquid Carbonic Corp Refrigerated storage, dispensing, and display cabinet
DE1040323B (de) * 1953-06-20 1958-10-02 Adolf Kindler Dipl Ing Einrichtung fuer zwei durch elastische Zwischenglieder gegeneinander abgestuetzte Geraete- oder Maschinenteile, insbesondere fuer die Auflagerung von Kolbenkraftmaschinen
US2812189A (en) * 1953-10-13 1957-11-05 Whirlpool Seeger Corp Caster jack assembly for automatic washing machines
US2952430A (en) * 1957-11-18 1960-09-13 Prestole Corp Motor mounting bracket
US3059882A (en) * 1958-10-07 1962-10-23 Staar Marcel Jules Helene Devices for locking the chassis of record turnatables, record changers and the like turntable apparatus
US3208700A (en) * 1963-04-26 1965-09-28 Coleman Co Mounting assembly for refrigeration compressors
US3758058A (en) * 1971-09-27 1973-09-11 Amana Refrigeration Inc Shipping mount for room air conditioners
FR2235850B1 (ko) * 1973-07-05 1977-08-26 Amiens Const Elect Mec
US4416594A (en) * 1979-08-17 1983-11-22 Sawafuji Electric Company, Ltd. Horizontal type vibrating compressor
JPS61210851A (ja) * 1985-03-14 1986-09-19 Toshiba Corp 圧縮機支持装置
US4849667A (en) * 1987-05-28 1989-07-18 Morrill Giles W Motor mount
US5335893A (en) * 1992-10-23 1994-08-09 The Boeing Company 360 degree adjustable vibration dampening and thermal isolating bracket
US5810322A (en) * 1995-12-26 1998-09-22 Zhao; Guoquan Apparatus for mounting a compressor
SE510469C2 (sv) * 1996-12-05 1999-05-25 Electrolux Ab Anordning för upphängning av ett organ, såsom en förgasare för en förbränningsmotor
US5915602A (en) * 1997-03-31 1999-06-29 Nelson; Andrew Douglas Portable bar with movable top
US6354558B1 (en) * 1998-11-20 2002-03-12 Carrier Corporation Compressor mounting
JP2000234586A (ja) * 1998-12-17 2000-08-29 Denso Corp 電動圧縮機の取付構造
US6378832B1 (en) * 1999-10-01 2002-04-30 Carrier Corporation Isolation mounting for a cantilevered load
FR2803502A1 (fr) * 2000-01-11 2001-07-13 Roger Forte Vitrine superieure pour marches
US6543741B1 (en) * 2001-12-26 2003-04-08 Carrier Corporation Vibration isolation for a transversely mounted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57556A1 (en) 2005-11-24
EP1598621B1 (en) 2013-10-23
EP1598621A2 (en) 2005-11-23
US7168260B2 (en) 2007-01-30
JP2005331226A (ja) 2005-12-02
KR100548307B1 (ko) 2006-02-02
CN1699896A (zh) 2005-11-23
CN100339668C (zh) 2007-09-26
EP1598621A3 (en)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8307B1 (ko) 진동 절연형 냉장고
US7237399B2 (en) Cold storage
JP4190451B2 (ja) 冷却貯蔵庫
EP4105421A1 (en) Hinge assembly and storage cabinet
KR100611317B1 (ko) 냉장고
KR100652583B1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48306B1 (ko) 진동 절연형 냉장고
KR100575680B1 (ko) 방진기능을 구비한 와인 냉장고
KR20130063836A (ko) 냉장고
EP2520883A2 (en) Appliance with frontal installation adjustment
KR20090133008A (ko)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AU2005200497A1 (en) Refrigerating storage
JP4553860B2 (ja) 冷却貯蔵庫
JP6238875B2 (ja) 冷蔵庫
KR100470477B1 (ko) 김치저장고의 승강장치
KR100675777B1 (ko) 냉장고 도어의 상하조절 힌지장치
KR100848513B1 (ko) 냉장고
KR20030000632A (ko) 김치저장고의 승강식 서랍장치
KR200464839Y1 (ko) 공기조화기
KR200290942Y1 (ko) 반찬 냉장고의 도어
KR100207083B1 (ko) 가스켓삽입장치
KR19990017805A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 조절 장치
JP2021067435A (ja) 冷却貯蔵庫
JP2019035568A (ja) 冷蔵庫
JP2000232850A (ja) 冷菓の注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