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3008A -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3008A
KR20090133008A KR1020080059245A KR20080059245A KR20090133008A KR 20090133008 A KR20090133008 A KR 20090133008A KR 1020080059245 A KR1020080059245 A KR 1020080059245A KR 20080059245 A KR20080059245 A KR 20080059245A KR 20090133008 A KR20090133008 A KR 20090133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vent
adjusting member
refrigerator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151B1 (ko
Inventor
김원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151B1/ko
Publication of KR2009013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25D2317/04131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실에 수납되며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드로어와, 통기구에 대해 회동되면서 통기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결합시 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의 조작이 원활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냉장고, 드로어, 통기구, 회동, 조절부재

Description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HUMIDITY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주지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장치)을 구비한다.
상기 냉동사이클은, 통상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방열하면서 응축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되는 증발기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드로어영역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절부재영역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절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내부에 냉장실(20) 및 냉동실(30)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10)와, 상기 냉장실(20) 및 냉동실(30)을 각각 개폐하는 냉장실도어(25) 및 냉동실도어(35)를 구비한다.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상부영역에는 냉장실(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20)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실(20)을 회동 개폐할 수 있게 한 쌍의 냉장실도어(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저부에는 냉동실(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30)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냉동실(30)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3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2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면에 음식물이 수납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선반(4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20)의 내부 하부영역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복수의 드로어(5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드로어(51) 중 일부에는 내부에 야채 및/또는 과일을 수납하는 소위 야채박스로 이용되며, 이러한 드로어(51)에는 내부의 습도(습기)를 조절할 수 있게 통기구(57) 및 습도 조절부재(71)가 구비된다.
상기 드로어(51)는 통상 상면이 개구된 사각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드로어(51)의 상측에는 상기 드로어(51)의 수납 시 상기 드로어(51)의 상부 개구를 차단할 수 있게 커버(61)가 설치된다.
상기 드로어(51)의 전면에는 상기 드로어(51)의 인출 및 수납을 위해 손잡이(5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드로어(51)의 전면판(53)은 파지 공간 형성을 위해 상부영역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55)의 배후에는 상기 드로어(51)의 수납 시 내외가 연통될 수 있게 통기구(5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구(57)의 전방에는 좌우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통기구(57)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7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재(7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판상의 바디(73)와, 상기 바디(73)의 일 단에 절곡 형성되는 손잡이(75)를 구비한다. 상기 바디(73)에는 습도 조절을 위해 상기 통기구(57)와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공(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구(57)의 일 측에는 상기 조절부재(71)의 바디(7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59)는 상기 바디(73)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바디(73)의 상부 연부 및 하부 연부를 각각 수용지지할 수 있게 "L"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드로어(51)의 손잡이(55)의 후방 영역에 통기구(57)가 형성되고, 이 통기구(57)의 일 측에 "L"형상으로 돌출된 지지부(59)를 형성하고, 조절부재(71)에 힘을 가하여 조절부재(71)를 지지부(59)의 내부에 삽입 결합하도록 되어 있어, 조절부재(71)의 삽입 작업이 곤란하게 되고 무리한 힘을 가할 경우 지지부(59) 또는 조절부재(71)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립 시 조절부재(71)의 삽입 여부의 확인작업이 곤란하여 조절부재(71)의 불완전 삽입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기인하여 조절부재(71)가 탈거(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절부재(71)는 상기 통기구(57) 형성영역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이 접촉 및 슬라이딩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조절부재(71) 및 통기구(57) 주변의 평면 도를 유지하기가 곤란하여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더욱이, 조절부재(71)의 양 측에 지지부(59)를 형성하여 조절부재(71)의 상측부 및 하측부를 동시에 수용하도록 되어 있어 형상 및 치수 관리가 곤란하게 되고, 이에 기인하여 슬라이딩 조작이 원활치 못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71)는 바디(73)의 일 단부에 이동방향에 가로로 절곡 연장된 손잡이(75)를 형성하고, 이 손잡이(75)로 바디(73)를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어, 조절부재(71)의 슬라이딩 조작이 원활하게 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절부재(71)의 조작 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의 변형을 통한 결합을 배제하여 결합시 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이 원활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에 수납되며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드로어; 상기 통기구에 대해 회동되면서 상기 통기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통기구는 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통기구에 대응되게 호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드로어의 전면에 노출되는 호형상의 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드로어에는 스크류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에는 상기 스크류보스에 결합되는 스크류가 통과할 수 있게 스크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에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에는 상기 회동축에 결합될 수 있게 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원호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주에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 단면 형상의 조절판을 구비하며; 상기 드로어에는 상기 조절판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된 부분 원통형상의 함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기구는 상기 함몰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냉각실에 수납되는 드로어; 상기 냉각실에 수납되어 상기 드로어의 수납시 상기 드로어의 상부 개구를 차단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통기구; 상기 통기구에 대해 회동하면서 상기 통기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의 저부에는 상기 드로어의 수납 시 상기 드로어의 상부와 중첩되게 하향 돌출되고 좌우로 연장된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기구는 상기 차단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는 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통기구에 대응되게 호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커버의 전면에 노출되는 호형상의 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스크류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에는 상기 스크류보스에 결합되는 스크류가 통과할 수 있게 스크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에는 상기 회동축에 결합될 수 있게 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원호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주에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 단면 형상의 조절판을 구비하며; 상기 드로어는 상기 조절판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부분원통형상을 가지게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기구는 상기 함몰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부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부재의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부재의 결합 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아니하므로 부품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부재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어 조작이 원활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드로어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2의 조절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110); 상기 냉각실에 수납되며 통기구(163)가 형성되어 있는 드로어(151); 상기 통기구(163)에 대해 회동되면서 상기 통기구(163)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1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은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지 아니하는 냉장실을 의미하며, 통상의 냉장실에 비해 더 높은 온도 대역을 가지는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냉장실만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냉장고 본체(110)는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부재(171)는 상기 냉장실(120)에 배치된 드로어(151)에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상부영역에는 냉장실(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120)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실(1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한 쌍의 냉장실도어(125)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하부영역에는 냉동실(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130)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서랍형의 냉동실도어(13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120)의 내부에는 식품을 수납지지할 수 있게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선반(14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120)의 하부영역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복수의 드로어(151)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드로어(151)는,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드로어(151) 들의 상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어(151)의 수납 시 상부 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판 상의 커버(181)가 각각 배치 되어 있다.
상기 드로어(151)의 전면에는 상기 드로어(151)의 손잡이(15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드로어(151)의 전면판(153)은 상기 손잡이(155)의 파지지 손가락이 삽입되는 공간 확보를 위해 상부영역이 상기 손잡이(155)로부터 이격될 수 있게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153)의 상부 경사영역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어(151) 중 일부에는 상기 드로어(151)의 수납 시 내부의 습도(습기)를 조절할 수 있게 통기구(1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구(163)의 일 측에는 상기 통기구(163)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게 조절부재(17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재(17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단면 형상을 가지는 조절판(173)과, 상기 조절판(173)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75)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175)는 일 측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판면에는 축공(17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75)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부(175)의 원호에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호 단면 형상을 가지는 조절판(173)이 축선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75)의 판면방향을 따라 타 측에는 상기 지지부(175)에 비해 확장된 원호 형상을 가지는 노브(knob)(177)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지지부(175) 및 조절판(173)의 회동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노브(177)의 외주에는 상기 노브(177)의 회동 조작 시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돌출 및 철회된 요철부(17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로어(151)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17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회동축(1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165)의 하단에는 상기 축공(176)에 삽입될 수 있게 축소된 삽입부(16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66)의 중앙에는 상기 조절부재(171)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69)가 결합될 수 있게 결합부(16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67)는 암나사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51)의 전면판(153)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조절부재(171)의 회동시 상기 조절판(173)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부분 원통 형상을 가지게 함몰된 함몰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함몰부(161)에는 상기 조절판(173)의 회동에 의해 개도가 조절될 수 있게 관통된 통기구(16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통기구(163) 및 조절판(173)의 크기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조절부재(171)를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조절판(173)이 하측을 향하고 노브(177)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회동축(165)의 하측에 조절부재(171)를 배치한다. 다음, 상기 지지부(175)의 축공(176)의 내부에 상기 회동축(165)의 삽입부(166)가 삽입되게 한 후, 상기 회동축(165)의 결합부(167)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69)를 체결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드로어(151)가 수납된 상태에서 습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상기 노브(177)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상기 조절판(173)은 상기 통기구(163)에 대해 상대 회동하면서 통기구(163)를 개폐하거나, 상기 통기구(163)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드로어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조절부재 설치 영역의 저부사시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요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일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동실(130) 및 냉장실(120)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110);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냉장실(120)에 수납되는 드로어(151); 상기 냉장실(120)에 수납되어 상기 드로어(151)의 수납시 상기 드로어(151)의 상부 개구를 차단하는 커버(181); 상기 커버(181)에 형성되는 통기구(189); 상기 통기구(189)에 대해 회동하면서 상기 통기구(189)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1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영역에는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에는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을 각각 개폐할 수 있게 냉장실도어(125) 및 냉동실도어(135)가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120)의 내부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복수의 드로어(1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드로어(151)의 상측에는 상기 드로어(151)의 수납 시 상기 드로어(151)의 상부 개구를 차단할 수 있게 커버(181)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버(181)는 상기 냉장실(12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181)의 전면에는 상기 드로어(151)의 수납 시 상기 드로어(151)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181)와 상기 드로어(151)의 틈새를 차단하는 차단부(18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185)는 상기 각 드로어(151)의 수납 시 각 드로어(151)의 전면 상부와 중첩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81)의 저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185)는 상기 드로어(151)의 상단부의 두께에 대응되게 상기 커버(181)의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185)에는 상기 드로어(151) 중 일부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게 통기구(18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구(189)는 부분 원통 형상을 가지게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87)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구(189)의 일 측에는 상기 통기구(189)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게 조절부재(17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181)의 전방 저부에는 상기 조절부재(171)가 결합될 수 있게 보스부(191)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스부(191)에는 상기 조절부재(171)를 통과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169)가 결합될 수 있게 결합부(19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부(193)는 체결부재(169)의 형태, 즉 스크류 또는 볼트의 수나사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암나사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171)는, 원호 단면 형상을 가지는 조절판(173)과, 상기 조절판(173)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75)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175)는 일 측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판면에는 스크류 등 체결부재(169)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공(17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75)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부(175)의 원호에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호 단면 형상을 가지는 조절판(173)이 축선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75)의 판면 방향을 따라 타 측에는 상기 지지부(175)에 비해 확장된 원호 형상을 가지는 노브(17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조절부재(171)를 결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조절판(173)이 하측을 향하고 상기 노브(177)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조절부재(171)를 상기 커버(181)의 보스부(191)의 하방에 배치하고, 상기 조절부재(171)의 관통공(179)을 통해 스크류 등 체결부재(169)를 삽입하여 보스부(191)의 결합부(193)에 체결하면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조절부재에 스크류 등 체결부재가 직접 접촉되게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조절부재와 스크류 사이에 와셔가 개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와 보스부 사이 또는 조절부재와 회동축 사이에도 와셔가 개재되어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회동축에 조절부재에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를 형성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회동축의 단부에 조절부재가 접촉되게 배치되어 스크류 등에 의해 체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조절부재의 회동 조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게 와셔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의 외주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하향 연장되게 조절판이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지지부의 외주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조절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의 외주 중앙에 상기 조절판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드로어영역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절부재영역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절부재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드로어의 확대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2의 조절부재의 확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드로어의 확대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조절부재 설치 영역의 저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냉장고 본체 120 : 냉장실
141 : 선반 151 : 드로어
153 : 전면판 155 : 손잡이
161 : 함몰부 163 : 통기구
165 : 회동축 166 : 삽입부
167 : 결합부 169 : 체결부재
171 : 조절부재 173 : 조절판
175 : 지지부 176 : 축공
177 : 노브 178 : 요철부

Claims (13)

  1.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에 수납되며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드로어;
    상기 통기구에 대해 회동되면서 상기 통기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통기구에 대응되게 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드로어의 전면에 노출되는 호형상의 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에는 스크류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에는 상기 스크류보스에 결합되는 스크류가 통과할 수 있게 스크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에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에는 상기 회동축에 결합될 수 있게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원호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주에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 단면 형상의 조절판을 구비하며;
    상기 드로어에는 상기 조절판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된 부분원통형상의 함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기구는 상기 함몰부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7. 내부에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냉장고 본체;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냉각실에 수납되는 드로어;
    상기 냉각실에 수납되어 상기 드로어의 수납시 상기 드로어의 상부 개구를 차단하는 커버;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통기구;
    상기 통기구에 대해 회동하면서 상기 통기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저부에는 상기 드로어의 수납 시 상기 드로어의 상부와 중첩되게 하향 돌출되고 좌우로 연장된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기구는 상기 차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통기구에 대응되게 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커버의 전면에 노출되는 호형상의 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스크류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에는 상기 스크류보스에 결합되는 스크류가 통과할 수 있게 스크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에는 상기 회동축에 결합될 수 있게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원호형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외주에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원통형상의 조절판을 구비하며;
    상기 드로어는 상기 조절판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부분원통형상을 가지게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기구는 상기 함몰부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080059245A 2008-06-23 2008-06-23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KR100983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245A KR100983151B1 (ko) 2008-06-23 2008-06-23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245A KR100983151B1 (ko) 2008-06-23 2008-06-23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3008A true KR20090133008A (ko) 2009-12-31
KR100983151B1 KR100983151B1 (ko) 2010-09-20

Family

ID=4169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245A KR100983151B1 (ko) 2008-06-23 2008-06-23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15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8554A1 (de) * 2015-11-11 2017-05-1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frischhaltebehälter, dessen frontwand eine aussenwand des geräts ist
EP3343156A1 (en) * 2017-01-03 2018-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3772625A1 (en) 2019-08-05 2021-02-10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EP3809069A1 (de) * 2019-10-18 2021-04-21 BSH Hausgeräte GmbH Lebensmittel-aufnahmebehälter mit in tiefenrichtung verschiebbarem schieber einer lüftungsvorrichtung, sowie haushaltskältegerät
CN114061212A (zh) * 2021-10-27 2022-02-18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恒温控风保湿装置及冰箱,及控制方法
CN114777401A (zh) * 2022-04-25 2022-07-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抽屉、冰箱以及冰箱抽屉的湿度控制方法
WO2022181974A1 (ko) * 2021-02-24 2022-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4119869A1 (en) * 2021-07-12 2023-01-18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050Y1 (ko) * 1992-08-22 1995-04-19 이헌조 냉장고의 야채실 온도 및 습도 조절장치
KR960024073U (ko) * 1994-12-06 1996-07-22 냉기통풍구를 갖춘 냉장고의 야채실
KR200146134Y1 (ko) * 1996-12-20 1999-06-15 윤종용 냉장고의 야채실 습도조절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8554A1 (de) * 2015-11-11 2017-05-1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frischhaltebehälter, dessen frontwand eine aussenwand des geräts ist
US9903635B2 (en) 2015-11-11 2018-02-27 BSH Hausgeräte GmbH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keep-fresh container the front wall of which is an outer wall of the appliance
US10962281B2 (en) 2017-01-03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08266948A (zh) * 2017-01-03 2018-07-10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CN108266948B (zh) * 2017-01-03 2020-11-17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EP3343156A1 (en) * 2017-01-03 2018-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EP3772625A1 (en) 2019-08-05 2021-02-10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EP3809069A1 (de) * 2019-10-18 2021-04-21 BSH Hausgeräte GmbH Lebensmittel-aufnahmebehälter mit in tiefenrichtung verschiebbarem schieber einer lüftungsvorrichtung, sowie haushaltskältegerät
WO2022181974A1 (ko) * 2021-02-24 2022-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4119869A1 (en) * 2021-07-12 2023-01-18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appliance
US11703267B2 (en) 2021-07-12 2023-07-18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appliance
CN114061212A (zh) * 2021-10-27 2022-02-18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恒温控风保湿装置及冰箱,及控制方法
CN114061212B (zh) * 2021-10-27 2023-10-20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恒温控风保湿装置及冰箱,及控制方法
CN114777401A (zh) * 2022-04-25 2022-07-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抽屉、冰箱以及冰箱抽屉的湿度控制方法
CN114777401B (zh) * 2022-04-25 2024-05-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抽屉、冰箱以及冰箱抽屉的湿度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151B1 (ko) 201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151B1 (ko) 조절부재를 구비한 냉장고
US8973392B2 (en) Refrigerator
KR101291206B1 (ko) 냉장고
US9212841B2 (en) Refrigerator
KR101586306B1 (ko) 냉장고
US20200284493A1 (en) Refrigerator
EP2559960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255363B1 (en) Refrigerator
EP2789944A2 (en) Refrigerator
US1004799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ice machine thereof
US11391505B2 (en) Refrigerator
US9534828B2 (en) Refrigerator
US10203146B2 (en) Refrigerator
KR101741392B1 (ko)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JP3559715B2 (ja) 冷蔵庫
KR20150050939A (ko) 냉장고
US11073321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uger for the refrigerator
KR101283190B1 (ko) 도어에 증발기가 설치된 냉장고
KR20090121030A (ko) 슬라이딩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
US20240085097A1 (en) Refrigerator
US10161668B2 (en) Refrigerator
EP3130872B1 (en) Refrigerator
KR20100080971A (ko) 냉장고
KR100412409B1 (ko) 공간활용을 개선한 김치저장고
KR101988308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