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052A -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 - Google Patents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052A
KR20050108052A KR1020040033090A KR20040033090A KR20050108052A KR 20050108052 A KR20050108052 A KR 20050108052A KR 1020040033090 A KR1020040033090 A KR 1020040033090A KR 20040033090 A KR20040033090 A KR 20040033090A KR 20050108052 A KR20050108052 A KR 20050108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ly coupled
coupled
lever
wheelchair lift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4914B1 (ko
Inventor
전영옥
권영조
Original Assignee
노성셸링(주)
전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셸링(주), 전영옥 filed Critical 노성셸링(주)
Priority to KR102004003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914B1/ko
Publication of KR2005010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3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separate from the vehicle, e.g. fixed on the pa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tiltabl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관절로 구성된 레버를 포함하는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 뿐만 아니라 건설현장 등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축, 회전축 및 다수의 레버를 포함하는 수평 유지 장치와, 상기 수평 유지 장치의 다관절 레버에 탑승테이블을 장치한 리프트에 노약자 및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편리하게 버스 등의 대중교통 수단에 승하차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 {Apparatus for horizon maintenance and wheel chair lif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관절로 구성된 레버를 이용한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상세하게는, 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 뿐만 아니라 건설현장 등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축, 회전축 및 다수의 레버를 포함하는 수평 유지 장치와, 상기 수평 유지 장치의 다관절 레버에 탑승테이블을 장치한 리프트에 노약자 및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편리하게 버스 등의 대중교통 수단에 승하차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高所作業) 장치는 고가도로의 수리작업이나 도장작업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고층구조물에서의 시설보수작업이나 화물의 승하강작업 등과 같이 일반적인 사다리높이의 한계를 벗어난 높이에서의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매우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고소작업장치는 그 특성상 주로 3층높이 이상의 높은 장소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부분의 경우 고소작업장치의 말단 붐에 연결된 탑승함에는 작업자가 탑승하기때문에 고소작업장치를 구성하는 붐의 굴절각이 작업높이에 따라 변화하게 되더라도 최종 붐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탑승함은 반드시 수평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말단 붐과 상기 말단 붐에 연결되는 탑승함과의 연결구조에 적용될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 유지 장치에 노약자 또는 휠체어 이용자를 탑승시킬수 있는 탑승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휠체어 리프트의 탑승테이블에 탑승한 노약자 또는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테이블 일측에 위치하는 타워형의 조작반에 본인이 탑승하고자 하는 대중교통의 식별번호를 인식시킨 후, 주변의 도움을 받지 않고 본인 스스로의 간단한 조작으로 대중교통 수단에 탑승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삶의 질이 향상되어감에 따라 노약자 및 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그들을 위한 환경개선에 실질적으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일부 국가에서는 법의 보호아래 모든 작업장, 공공시설 내지 상업지역에 휠체어 리프트 등의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선행 기술에 따른 장애자용 휠체어 리프트는 단순히 경사각을 갖는 판상의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이는 버스 등의 대중교통차량 정차시 수작업에 의해 거치시킨 형태로서 판상의 리프트를 승강장과 경사구조를 이루도록 설치하여 그 경사면을 따라 휠체어가 승하차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와 같은 리프트를 이용하여 장애인을 승강시키는 경우,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를 이동시킬수 있는 동행인이 반드시 필요하고, 판상의 경사 리프트에 탑승한 장애인의 이탈방지를 위한 안전장치가 구비되지않아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간접식 구동실린더를 이용한 리프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간접식 구동실린더를 이용한 리프트 간접 유압장치를 내설한 리프트 본체 하단에 연결판이 수납된 탑승판을 형성하여, 리프트 본체를 고정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버스 등의 대중교통 수단이 정차한 상태에서 수작업에 의해 고정축에 설치된 리프트 본체를 차량의 외부로 180°회전 고정되게 한 후, 리프트를 차량의 바닥면 높이로 승하강 안내되도록 하여 장애인을 승차 또는 하차 시키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의 간접식 구동실린더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는 유압작동방식에 의해 안정적인 힘을 발휘하며 휠체어에 의지하고 있는 장애인을 편리하게 승하차 되도록 하는 다소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수작업에 의한 조작관계와 유압작동에 의한 조작관계를 반드시 병행해야만 하는 복잡한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과다한 작동시간을 요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휠체어 리프트 사용을 위해 반드시 승무원이나 주변의 도움을 필요로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지면과 같은 높이에서 탑승테이블이 구비된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탑승하여, 주변의 도움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버스 등의 대중교통 수단에 승하차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휠체어 리프트의 수평 유지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소작업장치 등에도 적용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중 고소작업장치 등에 적용되는 탑승함의 수평 유지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관절 레버를 이용한 수평 유지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다수의 레버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관절구조를 구성하며, 다수의 스프로킷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과 결합되어 관절을 구성하는 레버 중 말단 레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수의 스프로킷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회전축; 상기 고정축과 회전축의 스프로킷에 연결되는 체인; 및 상기 관절구조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유압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를 제공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인 노약자 및 장애인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수평 유지 장치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를 제공 한다.
상기 휠체어 리프트는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부로 확장된 수평 유지부; 및 상기 수평 유지부의 말단에 연결되어 노약자 또는 휠체어를 이동시킬수 있는 이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유지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다수의 레버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관절구조를 구성하며, 다수의 스프로킷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과 결합되어 관절을 구성하는 레버 중 말단 레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수의 스프로킷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회전축; 상기 고정축과 회전축의 스프로킷에 연결되는 체인; 및 상기 관절구조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유압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평 유지부 말단 레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에 브래킷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종행테이블; 상기 종행테이블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주행부; 및 상기 주행부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탑승테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부는, 상기 종행테이블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랙기어, 상기 탑승테이블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랙기어로 구성된 랙기어부; 상기 랙기어부의 전후이동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전후이동모터, 상기 좌우이동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좌우이동모터로 구성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내장,장착되는 모터베이스; 상기 종행테이블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 상기 탑승테이블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로 구성된 레일부; 및 상기 모터베이스 상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좌우이동운동 베어링, 상기 모터베이스 하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이동운동 베어링으로 구성된 베어링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승테이블의 전면에는 상기 휠체어 리프트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추구하는 기술적 사상은 고소작업에 사용되는 장치의 말단과 연결되는 탑승함의 수평 유지를 위한 다관절 레버부를 포함하는 수평 유지 장치와, 상기 수평 유지 장치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를 구성함에 있다.
이하, 수평 유지 장치를 설명 한다.
[수평 유지 장치]
고소작업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다수의 레버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관절구조를 구성하는 다수의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과 결합되어 관절을 구성하는 레버 중 말단 레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으로 구성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레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레버 동작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적용된 고소작업차량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유지 장치(50)는 하부 베이스 프레임(51)에 고정결합되는 브래킷(52)에 결합되는 구조이며, 다수의 레버(55, 57) 및 고정축(54, 56), 회전축(58)으로 구성되어 관절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구조이다.
상기 관절구조의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축(54)과 제2 고정축(56), 상기 두축을 베어링(6a, 6b; 도 2a 참조)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레버(55, 도 2a의 도면부호 7 참조), 상기 제2 고정축(56)에 베어링(6c, 도 2a 참조)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2 레버(57), 상기 제2 레버(57)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축(58)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51)의 일측면에는 유압 실린더(53)가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유압 실린더(53)는 제1 레버(55)에 형성된 핀(17, 도1b 도면 부호 참조)에 핀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1 레버(55)의 상부에도 유압 실린더(60)의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유압 실린더(60)의 타측은, 브래킷(59)이 용접결합되어 있는 플레이트(61)의 하부면에 형성된 핀(미도시)에 핀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플레이트(61)에는 도 10에 도시된 탑승합(63) 등이 설치되어 전신주(66) 등의 고소작업시에 플레이트(61)의 수평을 용이하게 유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 유지 장치(50)의 개략적인 메카니즘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려 한다. 수평 유지 장치(50)의 작동원리는, 하기에 언급하는 본 수평 유지 장치(50)가 적용된 휠체어 리프트의 수평 유지부의 설명에서 보다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 유지 장치(50)는 복수의 고정축(54, 56)과 회전축(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축들은 제1 레버(55) 및 제2 레버(57)를 이용하여 관절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58)에는 플레이트(61)가 회전축(58)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버(55) 및 플레이트(61)에는 유압 실린더(53, 60)가 연결되어 있어서, 유압 실린더(53, 60)의 작동에 따라 구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유압 실린더(53)의 이동변위(α)가 발생되어 제1 레버(55)가 이동(θ1)되게 된다. 이후에 제1 레버(55)의 일측과 플레이트(61) 하부면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60)의 이동변위(α')가 발생됨과 동시에, 제2 레버(57)의 각변위(θ2)가 발생되어 플레이트(61)의 수평유지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61)의 높이변위도 변하게 되는 원리이다.
상기와 같은 플레이트(61)의 수평유지 원리는 고정축(54, 56), 회전축(58), 레버(55, 57), 유압 실린더(53, 60) 및 플레이트(61)로 구성되는 연결구조에서 가능하다.
이에 따른 보다 명확한 결합관계는 하기에 언급되는 본 수평 유지 장치(50)가 적용된 휠체어 리프트의 수평 유지부에서 상기 각각의 축(54, 56, 58)에 결합되는 스프로킷 및 체인을 부가하여 보다 명확히 설명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적용된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고소작업차량(65)에 연결된 다단붐(62)의 말단부에 고정결합되는 브래킷(64)을 이용하여 수평 유지 장치(50)가 결합되어 전신주(66)와 같은 고소작업물에 접근하는 일예를 보여준다.
이하, 상기와 같은 수평 유지 장치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를 설명하고자 한다.
[휠체어 리프트]
상기의 수평 유지 장치가 주요 부재로 구성된 휠체어 리프트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는 수평 유지부, 상기 수평 유지부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노약자 또는 휠체어를 이동시킬수 있는 이송부로 구성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의 주요부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2)은 피트(1, 도 4 참조)의 바닥면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 상면에는 브래킷(3)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3)에는 제1 고정축(4)이 고정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축(4)은 회전이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수평 유지부
수평 유지부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축(4)과 제2 고정축(5), 상기 두축을 베어링(6a, 6b)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레버(7), 상기 제2 고정축(5)에 베어링(6c)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2 레버(8), 상기 제2 레버(8)에 베어링(6d)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축(9)으로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수평 유지부를 부연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수평 유지부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2a의 A부 상세도이다.
제1 고정축(4)은 브래킷(3)에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이 불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제1 고정축(4)의 양측에는 스프로킷(10)이 상기 제1 고정축(4)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결합되어 있다.
제1 레버(7)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고정축(4)과 연결되는 제2 고정축(5)의 양측에도 스프로킷(11)이 고정결합되어 있고, 제2 레버(8)가 연결되는 제2 고정축(5) 상에도 스프로킷(12)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2 고정축(5)과 베어링(6c)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2 레버(8)의 말단에 연결되는 회전축(9)에도 스프로킷(13)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브래킷(3)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제1 고정축(4)에 고정결합된 스프로킷(10)과 상기 제2 고정축(5)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스프로킷(11)과는 체인(14)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고정축(4)이 상기 브래킷(3)에 결합되어 고정됨에 따라 제2 고정축(5)도 고정되어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성이고, 상기 제2 고정축(5)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스프로킷(12)도 회전축(9)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스프로킷(13)과 체인(15)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제1 레버(7)의 각각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에 일측이 힌지결합된 유압 실린더(16)가 제1 레버(7) 내측에 돌출된 핀(17)에 핀결합되어 있는 구조이고, 상기 제1 레버(7)의 상부 일측에도 유압실린더(18)가 힌지결합되어 하기에 언급하는 종행테이블(19)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송부
이송부는 상기 수평 유지부 제2 레버(8)의 말단에 결합되는 회전축(9)에 결합되는 종행테이블(19), 상기 종행테이블(19)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탑승테이블(20)로 구성된다.
이하, 종행테이블(19)을 설명한다.
종행테이블(19)의 양측 하부에는 브래킷(21)이 종행테이블(19)에 용접결합되어 있고, 회전축(9)에 상기 브래킷(21)이 회전축(9)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레버(7)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18)가 종행테이블(19) 하부에 핀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참고로, 상기에 언급했던 바와 같이 수평 유지부가 유압 실린더(16, 18)와 고정축(4, 5) 및 회전축(9)으로 구성되는 이유는, 수평 유지부의 말단에는 수평이 유지되어야 하는 종행테이블(19)이 연결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 유지부의 말단에 연결되는 종행테이블(19) 수평이 유지 원리를 도 2a 및 도 2b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종행테이블(19)은 베이스 프레임(2)과 제1 레버(7)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6)가 작동해도 수평을 유지해야 하고, 제1 레버(7)의 상부 일측과 종행테이블(19) 하부면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8)가 작동해도 수평을 유지해야 하는바, 상기 두 유압실린더(16, 18)의 작동에 따른 종행테이블(19)의 수평유지 관계를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베이스 프레임(2)과 제1 레버(7)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6)가 작동하게 되면, 제1 고정축(4)은 베이스 프레임(2)에 연결된 브래킷(3)에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이 불가능하고, 상기 제1 고정축(4)에 베어링(6a)을 이용하여 결합된 제1 레버(7)가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 고정축(4)에 고정결합된 스프로킷(10)과 제2 고정축(5)에 고정결합된 스프로킷(11)은 체인(14)으로 연동되게 감겨있기 때문에, 제1 고정축(4)이 브래킷(3)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서 제2 고정축(5)도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제2 레버(8)와 지면 간의 사이각은 제1 레버(7)가 수직으로 상승되더라도 상기 제2 고정축(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레버(7)와 종행테이블(19)과 연결된 유압 실린더(18)의 결합구성에 의해 제2 고정축(5) 및 제 2 레버(8)의 회전가능요소가 모두 배제됨으로써 종행테이블(19)의 수평이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제1 레버(7)의 일측 상부와 종행테이블(19) 하부면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8)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에 언급한 구성원리로 인해 제2 고정축(5)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9)이 반시계방향(도 4 평면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유압실린더(18)가 종행테이블(19)을 밀어올린 만큼, 제2 고정축(5)에 베어링(6c) 결합된 제2 레버(8)가 상승되어 종행테이블(19)의 수평이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즉, 제2 고정축(5)을 고정절점으로 하는 외팔보 형태의 제2 레버(8)가 유압실린더(18)의 이동변위 만큼, 상승되거나 하강되어 수평변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부연하면, 유압실린더(18)가 상승할때는 회전축(9)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레버(8)를 상승시킴에 따라, 유압실린더(18)의 이동변위를 회전축(9)의 회전으로 흡수하게 되어 종행테이블(19)을 수평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유압실린더(18)가 하강할때는 회전축(9)이 시계방향(도 4 평면 기준)으로 회전하여 제2 레버(8)를 하강시킴에 따라, 유압실린더(18)의 이동변위를 회전축(9)의 회전으로 흡수하게 되어 종행테이블(19)을 수평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주행부를 설명한다.
주행부는 상기 종행테이블(19)의 상면과 하기에 언급하는 탑승테이블(20)하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탑승테이블(20)을 전후, 좌우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주요 구성 부분이다.
주행부는 크게 랙기어부, 상기 랙기어부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장착하여 구성되는 이동모터를 구비한 구동부, 사기 구동부가 내장,장착되는 모터베이스, 주행부의 이송을 안내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부로 구성된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주행부의 주요 부재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랙기어부는 종행테이블(19)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랙기어(22)와, 탑승테이블(20)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랙기어(23)로 구성된다.
구동부는 상기 전후이동랙기어(22)에 맞물리는 피니언(24)을 장착한 전후이동모터(26)와, 상기 좌우이동랙기어(23)에 맞물리는 피니언(25)을 장착한 좌우이동모터(27)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이동모터(26) 및 좌우이동모터(27)는 모터베이스(28)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체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레일부는 상기 종행테이블(19)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29), 상기 탑승테이블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부는 상기 모터베이스(28) 상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좌우이동운동 베어링(31), 상기 모터베이스(28) 하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운동 베어링 레일(29)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이동운동 베어링(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행부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언급하는 감지부에서 함께 설명한다.
이하, 탑승테이블(20)을 설명한다.
탑승테이블(20)은 상기 주행부의 좌우이동운동 베어링(31)에 상기 탑승테이블(20)의 하면에 장착된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30)이 삽입,안치되는 구조로 상기 주행부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탑승테이블(20)에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33)이 용접결합되어 있고, 상기 핸드레일(33) 일측에 핀으로 연결된 2절링크(35)를 이용하여 접이식의자(34)를 구성하여 휠체어 사용자가 아닌 노약자도 상기 접이식의자(34)를 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상기 탑승테이블(2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전부스토퍼(36) 및 후부스토퍼(37)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인데 이는, 탑승테이블(20)에 탑승된 휠체어 사용자가 탑승했을시에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구성한 것이고, 이를 위해 탑승테이블 내에는 상기 전부스토퍼(36) 및 후부스토퍼(37)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내장된다.
상기 전부스토퍼(36) 및 후부스토퍼(37)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반을 통하여 얼마든지 본 발명이 추구하는 특허청구범위 안에서 변형할 수 있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용이하게 받아들여질 것이다.
또한, 상기 탑승테이블(20)의 전면에 감지센서(38)를 장착하여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작동관계에서 언급하는 버스 출입구에 부착된 위치인식좌표(39, 도 6 참조)를 승강장에 설치된 조작반(40, 도 6 참조)의 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상기에 언급한 주행부가 버스의 위치인식좌표(39, 도 6 참조)에 맞게 좌우이동한 후, 휠체어 리프트가 전후이동을 하여 버스내로 진입하게 될때, 전후이동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의 위치 검색을 감지센서(38)에서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적용된 휠체어 리프트는, 베이스 프레임과 수평 유지부 및 이송부로 구성된 휠체어 리프트에 탑승한 이용자가,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하여 휠체어 리프트가 위치하는 승강장 일측에 조작반을 구성한다.
조작반은 휠체어 리프트에 부착되어 구성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가 구동되어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에 이용자가 탑승하기 위하여 승강장 일측에 위치하는 타워형의 조작반을 구성하여 승차하고자 하는 버스의 식별번호를 인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작반의 자세한 구성 및 작용을 특허청구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탑승하고자 하는 대중교통의 식별번호를 인식시킬수 있는 조작반을 청구하는 것임을 밝히고, 휠체어 리프트 장치와의 보다 자세한 연동관계는 하기의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작동관계에서 언급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작동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작동관계는 버스와 같은 대중교토의 승차시와 하차시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승차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 장치가 장치되는 장애인 및 노약자 승강장은 노선버스일반정류장과는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도 5와 같이 별도로 구성된 승강장에 도착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트(1)에 설치되어 탑승테이블(20)이 지면과 같은 높이로 구성된 본 발명의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탑승(도 6 참조)하게 된다(s100).
이때, 탑승자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탑승하여 조작반(40)을 조작하여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의 식별번호를 인식시키고 버스 운전자가 도 5와 같은 승강장 구조에서 자신의 버스 번호가 번호 표시판(41)에 나타나게 되면 장애인 및 노약자 승강장에 정차하게 된다.
상기의 번호 표시판(41)에 나타난 번호의 버스가 장애인 및 노약자 승강장에 도착하게 되면, 버스 운전자는 원격조작으로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승차 신호를 보내게 되고,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반(미도시)에서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동작을 명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버스 운전자의 원격조작 수단은 리모트 콘트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명령에 의해 연동될 수 있는 수신 제어반(미도시)의 전기제어적 구성은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승차신호를 받게 되면 후부스토퍼(37)가 닫히게 되고, 유압실린더(16)의 작동으로 인해 제1 레버(7)가 상승하게 된다(도 1a 참조).
이때, 조작반(40)에 구성된 센서(미도시)가 버스 출입구 일측에 부착된 위치인식좌표(39, 도 6 및 도 7 참조)를 감지하여 버스의 출입구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s200).
상기와 같이 버스 출입구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면, 현재 탑승테이블(20)에 탑승한 이용자와 버스 출입구 간의 위치오차를 파악하게 되고, 상기 조작반(40)에 구성된 센서(미도시)에서 검출된 위치오차만큼, 제2 레버(8, 도 1a 참조)와 종행테이블(19)에 연결된 실린더가 작동하여 버스 출입구와 휠체어 리프트 간의 높이오차를 수정한 후, 좌우로 탑승테이블(20)이 이동하게 되면, 버스 출입구 정면에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게 된다(s300).
상기와 같이 버스 출입구에 휠체어 리프트 사용자가 들어갈 수 있도록 위치되면, 종행테이블(19) 상면의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29, 도 3a 참조)을 따라 주행부와 탑승테이블(20) 모두 전진하여 휠체어 리프트 사용자가 버스내로 진입할 수 있게 되어 승차할 수 있게 된다(s400).
이때, 탑승테이블(20) 전면에 장착된 감지센서(38)에 의해 버스의 내부 위치가 감지되면 탑승테이블(20) 및 주행부의 작동은 멈춰지게 되고, 전부스토퍼(36, 도 1a 참조)는 수평으로 내려지게 되어 휠체어 탑승자나 노약자가 용이하게 내릴수 있다.
상기와 같이 휠체어 탑승자나 노약자가 버스에 내린 후, 버스 운전자가 원격조작으로 복귀신호를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보내게 되면, 전부스토퍼(36, 도 1a 참조)는 닫히게 되고 초기 위치로 후진하여 초기 피트(1) 위치로 하강하게 되고 후부스토퍼(37)를 내리면서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하차시
하차시의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작동은 승차시와는 반대로 대칭순서로 이루어 짐에 따라 간략히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진행 순서만을 설명하고자 한다.
하차시에는 버스에 탑승하고 있는 장애인 및 노약자가 버스 운전자에게 신호를 보내면, 버스 운전자가 도 5와 같은 장애인 및 노약자 승강장에 정차하게 된다.
이후에, 버스 운전자가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승강장에 위치하는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하차 신호를 보내게 되면, 하차 신호를 받은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상기에 언급한 승차시의 작동을 탑승자 없이 작동하여 버스 출입문까지 진행하게 된다.
이후에, 휠체어 이용자나 탑승자가 휠체어 리프트 장치에 탑승하게 되면 버스 운전자가 다시 하차 신호를 보내게 되고, 하차 신호를 받은 휠체어 리프트 장치는 후부스토퍼(37)를 닫고 상기의 승차시에 사용자를 버스에 내린 후 후방 초기 위치로 복귀하듯이 복귀함으로써, 사용자가 승강자에 내릴수 있게 순차적으로 진행되게 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소작업차량 및 장치의 말단붐에 적용될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고소작업자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받을수 있는 효과가 기대 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 유지 장치가 적용된 휠체어 리프트를 제공함에 따라, 장애인 및 노약자가 따로이 구성된 승강장에서 주변의 도움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에 승차할 수 있어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과 노약자들에게 대중 교통시설에 대한 보다 용이한 이동권과 접근권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측면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평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 및 휠체어 리프트의 수평 유지부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부분 상세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주행부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주행부 측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의 주행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해 버스에 탑승할때의 동작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를 이용해 탑승하는 버스 승강장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에 탑승한 휠체어 이용자가 버스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는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리프트에 탑승한 휠체어 이용자가 버스에 탑승하는 순간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레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레버 동작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적용된 고소작업차량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 베이스 프레임 4: 제1 고정축
5: 제2 고정축 7: 제1 레버
8: 제2 레버 9: 회전축
16, 18: 유압실린더 19: 종행테이블
20: 탑승테이블 22: 전후이동랙기어
23: 좌우이동랙기어 26: 전후이동모터
27: 좌우이동모터 28: 모터베이스
29: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 30: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
31: 좌우이동운동 베어링 32: 전후이동운동 베어링
36: 전부스토퍼 37: 후부스토퍼
38: 감지센서 39: 위치인식좌표
40: 조작반 41: 번호표시판

Claims (6)

  1. 다관절 레버를 이용한 수평 유지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다수의 레버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관절구조를 구성하며, 다수의 스프로킷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과 결합되어 관절을 구성하는 레버 중 말단 레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수의 스프로킷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회전축;
    상기 고정축과 회전축의 스프로킷에 연결되는 체인; 및
    상기 관절구조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유압 실린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
  2. 노약자 또는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휠체어 리프트에 있어서,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부로 확장된 수평 유지부; 및
    상기 수평 유지부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노약자 또는 휠체어를 이동시킬수 있는 이송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지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다수의 레버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관절구조를 구성하며, 다수의 스프로킷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과 결합되어 관절을 구성하는 레버 중 말단 레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수의 스프로킷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회전축;
    상기 고정축과 회전축의 스프로킷에 연결되는 체인; 및
    상기 관절구조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유압 실린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평 유지부 말단 레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에 브래킷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종행테이블;
    상기 종행테이블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주행부; 및
    상기 주행부 상면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탑승테이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상기 종행테이블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랙기어, 상기 탑승테이블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랙기어로 구성된 랙기어부;
    상기 랙기어부의 전후이동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전후이동모터, 상기 좌우이동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좌우이동모터로 구성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내장,장착되는 모터베이스;
    상기 종행테이블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 상기 탑승테이블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로 구성된 레일부; 및
    상기 모터베이스 상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 베어링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좌우이동운동 베어링, 상기 모터베이스 하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 베어링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이동운동 베어링으로 구성된 베어링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테이블의 전면에는 상기 휠체어 리프트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리프트.
KR1020040033090A 2004-05-11 2004-05-11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 KR100654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090A KR100654914B1 (ko) 2004-05-11 2004-05-11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090A KR100654914B1 (ko) 2004-05-11 2004-05-11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052A true KR20050108052A (ko) 2005-11-16
KR100654914B1 KR100654914B1 (ko) 2006-12-06

Family

ID=3728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090A KR100654914B1 (ko) 2004-05-11 2004-05-11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22B1 (ko) * 2010-10-11 2011-03-09 (주)삼성정밀 장애인 휠체어 승강 리프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0187A (en) * 1981-06-19 1982-11-23 Chapman Leonard T Compact hoisting device
JPH0640698A (ja) * 1991-03-11 1994-02-15 Hajime Ban 斜行リフ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22B1 (ko) * 2010-10-11 2011-03-09 (주)삼성정밀 장애인 휠체어 승강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914B1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6539A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US5425615A (en) Combination folding stair and platform wheelchair lift
US4058228A (en) Passenger vehicle access stair and elevator apparatus
CA1159793A (en) Lift for handicapped persons for a rail car
JP5049682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5268480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CA1084005A (en) Wheelchair lift device
US20220412097A1 (en) Ascending mechanised access ramp (a-mar)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KR101924515B1 (ko) 주차타워의 승하강장치
US4407624A (en) Wheelchair loading device for passenger carrying vehicles
KR100654914B1 (ko) 수평 유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휠체어 리프트
JP2723444B2 (ja) 車椅子用乗船装置
JP6095410B2 (ja) バリアフリー乗下船設備
JP2007030677A (ja) 乗降用車両
EP0236600A1 (en) Wheelchair passenger lift apparatus for transit stations
RU99704U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адки и высадки пассажира в кресле-коляске, установленное в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вагоне
KR102620648B1 (ko) 휠체어 입수용 리프트
JP3081073U (ja) 懸架式カゴの移送装置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JP3403017B2 (ja) 立体駐車場
JP2552095Y2 (ja) 機械式駐車場における乗降装置
CN219769861U (zh) 地铁站台轮椅渡板装置
JP2932879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CN218055027U (zh) 无障碍乘车装置和无障碍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