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918A -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918A
KR20050103918A KR1020057014475A KR20057014475A KR20050103918A KR 20050103918 A KR20050103918 A KR 20050103918A KR 1020057014475 A KR1020057014475 A KR 1020057014475A KR 20057014475 A KR20057014475 A KR 20057014475A KR 20050103918 A KR20050103918 A KR 20050103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sheet
folding
foldabl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브라이언 패트릭 던
브라언 피터 던
Original Assignee
리차드 브라이언 패트릭 던
브라언 피터 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302810A external-priority patent/GB0302810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324852A external-priority patent/GB0324852D0/en
Application filed by 리차드 브라이언 패트릭 던, 브라언 피터 던 filed Critical 리차드 브라이언 패트릭 던
Publication of KR2005010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9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4Fold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16Rotary f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12Devices for colouring or bleaching separated strands of hair, e.g. highlighting
    • A45D19/016Devices for colouring or bleaching separated strands of hair, e.g. highlighting comprising an open, flat support for strands of hair or for wrapping foils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dyeing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10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포일(11)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20)는 공급기(23)와 접음 수단(24)을 구비한다. 공급기(23)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음 수단(24)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접음 수단(24)은 제 1 표면(27)과 제 2 표면(28)을 구비하여, 이들이 포일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11')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하여 포일(11)의 시이트의 일부(31)의 제 1 및 제 2 의 반대 면들에 대하여 각각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표면(27,28)들의 하나 또는 양쪽은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1 의 접힘부를 만들도록 접을 수 있는 축을 중심으로 제 1 과 제 2 의 반대면들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Description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olding a sheet of foil}
본 발명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힘부를 가진 포일의 개별 부분들을 만들도록 포일의 시이트를 접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부분들은, 비록 전적으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모발을 염색하거나 또는 돋보이게 할 때 미용 산업에서 사용하는데 적절한 것이다.
모발을 염색하거나 또는 돋보이게 할 때, 스타일리스트(stylist)가 모발의 특정한 부분에 칼러를 "페인트"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포일이 사용되어 모발의 가닥들을 분리시킨다. 포일은 처리되어야 하는 모발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상이한 길이들로 절단되는데, 이것은 10 cm 내지 40 cm 사이일 수 있다. 다음에 포일의 일 단부는 1 회 또는 2 회로 접힌다. 이러한 접음(folding)은 1 cm 의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접음의 이유는 염색자(colourist)에게 색조의 적용을 어디에서 시작할 것인지에 관해서 안내하고 그리고 포일에 매끄러운 가장자리를 부여하여 그것이 고객의 머리를 자극하거나 또는 긁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염색자는 모발의 가닥을 선택하고, 접혀진 측이 머리를 향하는 상태로 모발의 가닥을 절단된 포일상에 배치시킨다. 다음에 이들은 칼러 브러시를 이용하여 소기의 효과에 따라서 모발을 모발 라이트너(lightener) 또는 염료로 덮는다. 양쪽 측부들은 다음에 내측으로 접혀져서 모발과 염색제를 감싸는 약간의 포장을 만든다. 포일은 염색제가 특정의 부분에 정확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모발을 분리할 뿐만 아니라, 염색 과정의 속도를 보조하도록 열을 유지하기도 한다.
포일은 항상 14,18 및 20 마이크론의 두께와 10 cm, 12 cm 및 44 cm 로 공급된다. 포일은 롤이나 또는 사전 절단된 길이들로 가져올 수 있다. 롤들은 항상 100 m, 150 m, 225 m, 500 m 및 1000 m 의 길이이거나, 또는 10 cm 와 12 cm 의 길이로 사전 절단된다.
포일을 요구되는 길이들로 절단하는 것은 매우 강도 높은 노동이며 곤란한 과정이어서, 제조자는 길이를 측정하고, 직선의 절단을 획득하고, 단부 위로 접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고객마다 약 80 회로 반복되어야 한다. 미리 절단된 포일들이 제공되었을지라도, 포일의 가장자리를 접는 것은 여전히 매우 시간 소모적이며 지루한 일이다.
공보 번호 US 2002-0003157A1 로 간행된 미국 특허 출원은 알루미늄 포일로 접힘부를 제조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이 장치는 알루미늄 포일을 나이프 장치로 공급하며 나이프 장치는 절단 시이트를 만들도록 시이트의 종단 가장자리를 절단한다. 나이프 메카니즘은 톱니 모양이 제공된 녹-다운 롤러(knock-down roller)와 작용할 수 있는 종단 가장자리상에 접힌 부분을 만든다. 롤러와 접힌 부분 사이의 상호 작용은 절단 시이트가 전진할 때 접힌 부분이 그 자체 위로 접혀지게 한다. 이러한 장치는 접힘부의 제조에 대하여 거의 제어를 하지 않는다.
도 1 은 접힘 작용을 시작하기 이전의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2 는 평탄한 표면들이 포일의 선단 가장자리와 상호 작용하는 도 1 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3 은 평탄한 표면의 회전 이후에 도 2 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4 는 포일이 전진된 위치에 있는 도 3 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5 는 평탄한 표면이 철회되고 포일이 접힌 형상으로 있는 도 4 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6 은 개별의 포일 시이트와 평탄화 수단으로 막 진입하려는 접혀진 선단 가장자리를 만드는 절단 작용 이전에 도 5 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7 은 절단 수단이 포일의 시이트와 접촉하고 있는 도 6 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8 은 다른 접힘 작용의 개시 이전에 포일의 다른 선단 가장자리를 막 수용하려는 평탄 표면들을 도시한다.
도 9 는 평탄한 표면이 중립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 은 도 9 의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작용을 도시한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 는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개별적인 포일 시이트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3 은 접음 과정의 개시 이전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 구현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 는 접음 과정이 시작된 도 13 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5 는 접음 과정이 완료된 도 13 및 도 14 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6 은 절단 수단이 작용중인 도 13 내지 도 15 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7(a) 내지 도 17(f)는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 대한 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라서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음 수단에 공급하는 공급기를 구비하고, 접음 수단은
포일의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에 있거나 또는 그에 근접한 포일 시이트의 일부의 제 1 및 제 2 의 반대 면들에 대하여 각각 유지하도록 배치된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면들중 하나 또는 양쪽은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1 의 접힘부를 만들도록 제 1 과 제 2 의 반대 면들 사이에서 접을 수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포일의 반대 면들상에 제 1 및 제 2 면들을 배치하고 다음에 포일을 그들 사이에서 회전시키는 것은 접힘부가 포일의 길이를 따라서 만들어지는 곳에 걸쳐서 보다 큰 정도의 조절을 제공한다. 선단 가장자리를 향하여 접힘부가 만들어지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 일단 포일이 접혀졌다면 포일은 접힘을 방해하는 그 어떤 것과도 접촉하지 않으면서 즉각적으로 접음 수단을 떠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스럽게는 제 1 및 제 2 의 표면들이 포일의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하여 다중의 접힘부를 만들도록 회전될 수 있다.
편리하게는, 제 1 및 제 2 의 표면들이 포일의 길이를 따라서 같은 지점이나, 포일의 선단 가장자리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중에,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포일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힘부를 만들도록 접을 수 있는 축을 중심으로 같은 의미로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있어서, 표면들이 시이트의 평면과 같은 평면에 있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표면들은 접히기 이전에 시이트의 어느 측에든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실질적으로 그 어떤 각도로부터도 포일의 시이트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제 1 및 제 2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180 도를 통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은 180 도 또는 그 이상으로 더 회전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약 180 도로 회전시키는 것은 포일 안에서 단일의 접힘부를 제공한다. 약 360 도 더욱 회전시키는 것은 포일에 이중의 접힘부를 만든다.
편리하게는,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시이트로부터 회수 가능하다.
바람직스럽게는,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공통의 평면에서 서로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표면들은 전체적으로 u 형상인 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u 형상인 부재들의 각각의 가지(limb)들이 포일의 시이트의 대향하는 면들을 유지할 수 있도록 u 형상인 부재는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포일은 다음에 적절한 접힘부 또는 접힘부들을 만들도록 u 형상인 부재의 둘레에 간단하게 비틀릴 수 있다. u 형상인 부재의 가지부들은 실질적으로 길이가 10 cm 내지 50 cm 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가지부들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10 cm 내지 20 cm 일 수 있다. 가지부들 사이의 분리는 실질적으로 1 내지 5 mm 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스러게는, 분리가 약 2 내지 3 mm 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 1 의 표면은 사용상에 있어서 접힘 가능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 2 표면은 사용상에 있어서 정지 상태이다.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제 2 의 표면이 제 1 의 가장자리를 가지는데, 제 1 표면은 사용에 있어서 제 2 표면에 대하여 접을 수 있는 부분의 축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고 엇걸리는 제 1 의 위치로부터,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접을 수 있는 부분을 포착하여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1 의 접힘부를 만드는 제 2 위치로 회전 가능하며, 제 1 표면은 제 1 의 위치로 다시 회전될 수 있다.
제 1 표면과 제 2 표면들 사이에 포일을 포착하고 그것을 정지 상태의 제 2 표면의 제 1 가장자리 위로 접는 것은 예리하고, 잘 한정된 접힘부를 포일에 만든다.
장치는 접음 동안에 포일의 측방향 운동(lateral movement)을 방지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안내 부재가 제 1 및/또는 제 2 표면들과 일체로 된다. 안내 부재의 사용은 포일이 접음 작용 동안에 포일의 경로로부터 분기하는 것을 방지한다.
편리하게는, 장치가 포일 일부의 종단 가장자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수단을 구비한다. 절단 수단은 나이프 또는 길로틴(guillotine)을 구비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포일의 부분이 접음 작용의 완료 이후에 절단된다.
바람직스럽게는, 장치가 접음 이후에 포일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수단을 더 구비한다. 수용 수단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의 형태를 취할 수 있어서 그 위로 절단 부분이 전진될 수 있다.
편리하게는, 장치가 평탄화 수단을 더 구비하여, 평탄화 수단이 사용중에 접힘부 또는 접힘부들을 평탄화하도록 포일의 접혀진 단부와 맞물리게 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평탄화 수단이 한쌍의 롤러들을 구비하여 롤러들 사이에서 포일의 접혀진 부분이 통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평탄화 수단이 한쌍의 반대편 표면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표면들은 포일의 접혀진 부분들을 수용하도록 함께 가져올 수 있다. 평탄화 수단의 사용은 접힘부 또는 접힘부들이 이격되게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혀진 부분을 가압하거나 또는 평활하게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장치는 스코어링 수단(scoring means)을 더 구비하는데, 이러한 스코어링 수단은 사용상에 있어서 접혀진 부분과 종단 가장자리 사이에서 포일 시이트의 제 1 면 그리고/또는 제 2 면에 금을 긋기 위하여 사용된다. 바람직스럽게는, 금은 실질적으로 종단 가장자리 및/또는 접혀진 부분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종단 가장자리와 접혀진 부분 사이에서 포일 시이트의 표면상에 금(score)을 제공하는 것은 머리를 염색할 때 접혀진 포장을 만들도록 포일을 위로 접을 때 헤어스타일리스트(hair-stylist)를 안내한다. 바람직스럽게는, 금이 종단 가장자리와 접혀진 부분 사이의 중간에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장치가 접음 수단으로부터 포일 시이트의 일부를 제거하도록 하는 제거 수단을 더 구비한다. 제거 수단은 한쌍의 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스코어링 수단은 평탄화 수단, 수용 수단 또는 제거 수단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특정의 구현예들에 있어서,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식별 표시를 가지는 포일 일부의 반대면들중 하나 또는 양쪽에 표시를 만들기 위한 표시 수단을 구비한다. 식별 표시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칼러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스럽게는 칼러의 줄무늬를 구비할 수 있다. 줄무늬는 길이가 10 mm 내지 50 mm 일 수 있다. 식별 표시는 지시된 방식으로 사용되는 포일의 개별 시이트를 식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의 칼러가 포일상에 표시되면, 이것은 어떠한 염료의 칼러가 포일의 단편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또는 부가적으로, 정보가 포일의 표면(들)상에 스탬핑(stamping)되거나 또는 찍혀질 수 있는데, 상기 정보는 효과적으로 모발을 염색하도록 포일의 단편이 모발과 접촉을 유지하여야만 하는 시간의 길이와 같은 것이다. 표시 수단은 잉크 제트 인쇄기 또는 스탬프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 있어서, 스코어링 수단이 포일의 시이트의 표면(들)상에 식별 표시를 찍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단단하다. 단단한 표면의 사용은 예리하고, 잘 한정되며, 안정된 접힘을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들의 사용은 평탄한 접힘 표면을 만든다.
개별 시이트들의 길이는 변화될 수 있다. 개별 시이트들의 길이는 제 2 표면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그리고/또는 제 1 가장자리와 절단 수단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종단 가장자리를 향하는 방향에서 선단 가장자리로부터의 접혀진 부분의 폭은 제 1 가장자리와 수용 수단 사이의 분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장치는 하우징 안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포일의 시이트를 접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위에 한정된 그 어떤 구현예들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상기 방법이,
포일의 시이트를 접음 수단에 공급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면들을 포일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하게 포일의 시이트 일부의 제 1 및 제 2 의 반대면들에 대하여 각각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의 하나 또는 양쪽을 접을 수 있는 축을 중심으로 제 1 과 제 2 의 반대 면들 사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1 의 접힘부를 만드는 단계;를 구비한다.
편리하게는 상기 방법이: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포일의 길이를 따라서 같은 지점이나, 포일의 선단 가장자리, 또는 포일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단계; 및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접을 수 있는 축을 중심으로 같은 방식으로 회전시켜서, 포일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힘부를 만드는 단계;를 구비한다.
바람직스럽게는, 상기 방법이,
제 1 및 제 2 표면을 실질적으로 180 도를 통하여 회전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 1 및 제 2 표면을 180 도 또는 그 이상으로 더 회전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바람직스럽게는 상기 방법이:
제 1 표면을 제 2 표면에 대하여 접을 수 있는 부분의 축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평행하고 서로에 대하여 엇걸린 제 1 의 위치로부터, 제 2 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제 2 의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사용하여 접을 수 있는 부분을 포착함으로써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1 의 접힘을 만드는 단계; 및
제 1 표면을 제 1 의 위치로 다시 회전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편리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이:
접을 수 있는 다른 부분을 선단 가장자리에, 또는 그에 근접하게 제공하도록 포일의 시이트를 전진시키는 단계;
제 1 의 표면을 제 2 표면에 대하여 다른 접을 수 있는 부분의 축을 중심으로, 제 1 의 위치로부터 제 2 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제 2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사용하여 접을 수 있는 부분을 포착함으로써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2 의 접힘부를 만드는 단계; 및
제 1 표면을 제 1 의 위치로 다시 회전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접힘부의 완성 이후에 포일의 부분의 종단 가장자리를 절단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본 발명의 방법이 접힌 부분과 종단 가장자리 사이에서 포일 시이트에 금을 긋는(scoring) 단계를 더 구비한다.
특정의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은 포일 부분의 반대 면들의 하나 또는 양쪽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식별 표시로써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바람직스럽게는, 표시하는 것이 접힘 작용 이후에 발생된다. 가장 바람직스럽게는, 포일의 시이트에는 절단 작업 이후에 표시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장치는 미용실에 위치되는 것이 편리하며 필요에 따라 회전될 수 있는 포일의 롤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스럽게는 미용실에서 다수의 보조자들에 의해서 작동되는 반자동 장치에 의해서 알루미늄 포일이 준비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편리하게는, 알루미늄 포일이 소정의 길이들로 절단되며 일 단부가 필요에 따라서 위로 접혀진다. 알루미늄 포일은 상이한 폭과 두께일 수 있다. 대안의 구현예에 있어서, 알루미늄 포일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며 완전하게 자동적인 모드로서 요건에 따라 일 단부가 위로 접혀진다.
편리하게는, 알루미늄 포일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일 단부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서 요건에 따라 위로 접혀진다. 다른 구현예들에 있어서, 알루미늄 포일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일 단부가 전자적으로 구동된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서 요건에 따라 위로 접혀진다. 바람직스럽게는, 알루미늄 포일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일 단부가 소정의 개수로 요건에 따라 위로 접혀진다.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포일은 회전 스핀들상에 배치되어서 풀려진 단부가 한쌍의 롤러들 사이로 끼워진다. 포일의 길이는 롤러를 지나서 연장되고 접음 장치에 의해서 파지된다. 이것은 장착부로부터 가장 먼 단부에서 가장 좁은 부분을 가지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이것은 회전될 수 있다. 한번 또는 그 이상으로 회전되면 제 1 세트의 롤러들로부터 평탄화 장치가 위치되는 미리 설정된 위치로 견인된다. 다음에 수평으로 움직여서 포일을 개방된 접힘 형상으로 둔다. 이것은 미리 설정된 위치 위에 위치된 평탄화로써 평탄화된다. 부분 부재들은 다음에 롤러에 근접한 개시 위치로 복귀된다. 포일은 다음에 가위나 또는 다른 절단 수단에 의해 분리된다. 과정은 반복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하나의 실례로서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11 에 도시되어 있다. 회전하는 스핀들(12)상에 위치된 롤에 감기게 되는 알루미늄 포일(11)은 공급 수단(13)으로 공급된다. 포일의 선단 가장자리(11')는 공급 수단을 통해 공급되는데, 상기 공급 수단은 도면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포일의 가장자리(11')를 접음 수단(14)을 향하여 공급하는 한상의 롤러(13)의 형태를 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 있어서, 접음 수단(14)은 전체적으로 U 형상인 부재의 형태를 취하는데, 상기 U 형상 부재는 제 1 단부에서 연결되고 갭(16)에 의해 길이의 일부에 걸쳐 분리된 한쌍의 가지(15)를 가진다. 접음 수단(14)은 가지(15)의 가장자리(15')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일(11)의 위와 아래에 위치되도록 선단 가장자리(11')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한 곳에서 포일의 일부로 도입될 수 있다.
접음 수단(14)은 다음에 포일의 선단 가장자리(11')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하여 제 1 의 접힘부를 만들도록 약 180°로 회전될 수 있다. 접음 수단(14)을 180°이상으로 더 회전시키는 것은 포일의 선단 가장자리(1)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하여 제 2 의 접힘부를 만든다. 효과적으로 선단 가장자리(11')가 이중의 접힘부를 만들도록 뒤로 접힌다. 이러한 이중의 접음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포일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될 수 있다. 접음 수단(14)은 다음에 포일의 접혀진 단부(17)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포일은 도 5 에 도시되어 있다.
접혀진 단부(17)는 평탄화 수단(18) 안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절단 수단(19)이 포일의 시이트로 도입된다. 절단 수단(19)은 시이트상에 충격될 수 있어서 시이트를 절단하고 종단 가장자리(20)를 가진 개별의 시이트를 만든다. 시이트의 접혀진 단부(17)는 평탄화 수단(18)에 의해 수용될 수 있어서 평탄화 수단이 접혀진 가장자리(17)를 평활하거나 또는 평탄화시킨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평탄화 수단(18)은 접혀진 단부(17)로 맞물리게 될 수 있는 2 개의 반대편 표면의 형태를 취한다. 다른 구현예(미도시)에서, 평탄화 수단은 한쌍의 롤러를 구비하며 롤러를 통하여 개별의 시이트가 통과될 수 있다.
도 11(a)는 상대적으로 예각에서 시이트(11)의 선단 가장자리(11')와 맞물리는 접음 수단(14)의 접음 수단 가지부(15)를 도시한다. 접음 수단(14)이 회전하면, 선단 가장자리(11')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한 포일의 일부가 포착되어서 시이트의 상부 표면을 향하여 뒤로 접힌다. 도 11(c)는 단일의 접힘부를 만들도록 대략 180°를 통해 접혀졌던 선단 가장자리(11')를 도시한다.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11')는 대략 180°를 더 접혀져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 가장자리(11')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한 제 2 의 접힘부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이중의 접힘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접음 수단(14)은 회수될 수 있으며 시이트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절단된다.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의 장치(20)는 도 13 내지 도 16 에 도시되어 있다. 제 2 구현예의 장치(20)는 포일(11)의 시이트를 접음 수단(24)을 향하여 공급할 수 있는 공급 수단(23)을 구비한다.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11')가 접음 수단(23)을 떠나면, 그것은 한쌍의 하부 지지 표면(25,25')의 위와 상부 안내 표면(26)의 아래를 통과한다. 접음 수단(24)은 제 1 및 제 2 표면(27,28)들로 이루어지며 그러한 표면들 사이에서 포일은 접힘부를 만들도록 포착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제 1 표면(27)은 절반의 실린더형 동체(29)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2 표면(28)은 제 1 가장자리(30)를 가지며 제 2 가장자리 둘레에 포일이 접혀져서 포일 안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힘부를 만든다. 절반 실린더형 동체(29)는 전체적으로 실린더형인 동체에 연결되는데, 상기 전체적으로 실린더형인 동체는 접음 작용 동안에 포일의 측방향 운동을 방지하도록 안내 부재로서 작용하는 평탄한 표면(29')을 가진다. 다른 구현예(미도시)에서, 안내 부재는 상부 안내 표면(26)이나 또는 제 2 표면(28)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된 측벽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접음 과정 이전에, 포일(11)의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11')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한 포일의 시이트의 일부(31)는 제 2 표면(28)의 제 1 가장자리(30)를 지나서 접음 영역 또는 부위로 돌출한다. 이것은 도 13 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비-접음(non-folding) 위치에서 포일의 일부(31)는 제 1 과 제 2 표면(27,28) 사이에 위치되며 이러한 표면들은 서로 평행하고 엇걸린 형상이다.
작용에 있어서, 제 1 의 표면(27)은 제 2 표면(28)에 대하여 접을 수 있는 부분(31)의 축을 중심으로,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표면(27,28)들이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고 엇걸려 있는 제 1 의 위치로부터,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표면(27,28)들이 접을 수 있는 부분(31)을 포착하여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1 의 접힘부를 만드는 제 2 의 위치로 회전된다.
접힘부가 만들어진 이후에, 제 1 표면(27)은 제 1 의 위치로 회전된다. 포일의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11')는 다음에 전진되어서 선단 가장자리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하게 다른 접을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한다. 반복 과정에서, 제 1 의 표면(27)은 제 2 의 표면(28)에 대하여 다른 접을 수 있는 부분의 축을 중심으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된다. 제 1 및 제 2 표면(27,28)들은 제 2 위치에서 접을 수 있는 부분을 포착하며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2 의 접힘부를 만든다. 제 2 의 접음 작용 이후에, 제 1 표면(27)은 제 1 의 위치로 복귀된다.
도 15 는 포일의 선단 가장자리가 2 회 접혀져서 접혀진 가장자리(17)를 만들었던 상황을 나타낸다. 절단 수단(32)은 포일의 시이트와 맞물릴 수 있어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종단 가장자리를 만들고 그리고 접혀진 가장자리(17)를 가지는 시이트의 절단 부분이나 또는 개별 부분을 만든다.
시이트가 절단된 이후에, 개별의 시이트들은 수용 수단(33)에 의해서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수용 수단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의 형태를 취한다. 부분은 접혀진 가장자리(17)를 평활하시키고 평탄화시키는 평탄화 수단(34)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 있어서, 평탄화 수단(34)은 한쌍의 롤러(35)를 구비한다.
개별의 시이트들이 평탄화 수단(34)을 떠난 이후에, 또는 그에 진입하기 전에, 스코어링 수단(미도시)이 사용되어 개별 시이트의 상부 표면에 금을 그을 수 있다. 스코어링 수단은 절단 수단과 유사한 블레이드 요소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것은 포일 시이트의 표면에 충격을 가하기는 하지만, 시이트를 절단하지는 않도록 배치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스코어링 수단은 블레이드 또는 다른 예리한 요소를 구비할 수 있어서 그러한 요소가 포일 시이트의 이동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포일 시이트를 가로질러서 견인된다. 실제에 있어서, 금은 종단 가장자리와 접혀진 부분에 평행하며, 2 개의 지점들 사이에서 중간에 배치된다. 포일 시이트의 표면상에 금을 제공하는 것은 염색자가 모발을 염색할 때 개별의 포일 시이트를 접혀진 포장들로 접을 경우 염색자를 위한 안내부로서 작용한다.
도 17(a) 내지 도 17(f)는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 의해서 사용된 접힘 과정에 포함된 다양한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17(a)는 접힘 과정 이전의 제 1 및 제 2 표면(27,28)들을 도시한다. 포일의 선단 가장자리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한 접을 수 있는 부분(31)은 제 2 표면(28)의 제 1 가장자리(30)를 지나서 연장된다. 제 1 표면(27)은 다음에 제 2 표면(28)에 대하여 회전되어서 제 1 의 접힘부를 만들게 되며 다음에 그것의 최초 위치로 회전된다 (도 17(b) 와 도 17(c)). 그러한 과정은 이중의 접힘부를 만들도록 반복된다 (도 17(d) 내지 도 17(f)).
다른 구현예(미도시)에서 식별 표시를 포일 시이트의 표면들 양쪽이나 한쪽에 배치하도록 표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수단은 프린터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잉크제트 프린터인데, 이것은 식별 표시를 포일의 표면(들)에 배치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표시부는 단순히 스탬프나 또는 프레스에 의해서 포일의 표면들로 찍혀질 수 있다. 표시 수단은 평탄화 수단(34), 수용 수단(33) 또는 제거 수단들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 수단은 수용 수단(33)의 평탄 플레이트의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표시 수단은 수용 수단(33)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수단은 절단 과정에 이후에 포일(11)의 개별 시이트들이 접음 부위로부터 통과될 때 포일(11)의 개별 시이트들의 하부에 표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표시는 평탄화 과정 이전, 평탄화 과정 동안이나 또는 이후에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용실에서 모발 염색시에 사용되는 포일 시이트를 접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1)

  1. 포일의 시이트를 접음 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기를 구비하고,
    접음 수단은 포일의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하여 포일 시이트의 일부의 제 1 및 제 2 의 반대 면들에 대하여 각각 유지되도록 배치된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중 하나 또는 양쪽은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1 의 접힘부를 만들도록 제 1 과 제 2 의 반대 면들 사이에서 접을 수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은 포일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하여 다중의 접힘부들을 만들도록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의 표면들은 포일의 길이를 따라서 같은 지점이나. 포일의 선단 가장자리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사용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힘부들을 포일에 만들도록 접을 수 있는 축을 중심으로 같은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시이트의 평면과 공통의 평면상에 있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표면들은, 접힘 이전에, 시이트의 어느 측부상에도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180 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180 도 또는 그 이상으로 더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7.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은 시이트로부터 회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7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의 표면들은 공통의 평면에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표면은 사용중에 접을 수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 2 표면은 사용중에 정지 상태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표면은 제 1 가장자리를 가지고, 제 1 표면은 사용중에 제 2 표면에 대하여 접을 수 있는 부분의 접을 수 있는 축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평행하고 서로에 대하여 엇걸리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1 의 접힘부를 만들도록 접을 수 있는 부분을 포착하는 제 2 위치로 회전 가능하며, 제 1 표면은 제 1 위치로 다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11.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는 동안에 포일의 측방향 운동을 방지하는 안내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12.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일의 부분의 종단 가장자리를 절단하는 절단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13.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음 이후에 포일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14.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일 시이트의 일부를 접음 수단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제거 수단을 더 구비하는,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15.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탄화 수단을 더 구비하며, 평탄화 수단은 접힘부 또는 접힘부들을 평탄하게 하도록 포일의 접힌 단부와 맞물리게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16.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코어링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스코어링 수단은 사용에 있어서 접혀진 단부와 종단 가장자리 사이에 포일 시이트의 제 1 및/또는 제 2 면에 금을 긋도록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17.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식별 표시부로 포일 부분의 반대 면들의 하나 또는 양쪽에 표시를 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18.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단단한(rigi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19.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실질적으로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20. 전기한 항들에 한정된 바와 같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포일의 시이트를 접음 수단으로 공급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포일 시이트의 선단 가장자리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하게 포일 시이트의 부분의 제 1 및 제 2 면들에 대하여 각각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의 하나 또는 양쪽을 접을 수 있는 축을 중심으로 제 1 과 제 2 의 반대 면들 사이에서 회전시켜서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1 의 접힘부를 만드는 단계;를 구비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포일의 길이를 따라서 같은 지점이나, 포일의 선단 가장자리에서나 또는 그에 근접하게 배치시키는 단계; 및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접을 수 있는 축을 중심으로 같은 방식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힘부를 포일에 만드는 단계;를 구비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방법.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실질적으로 180 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방법.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180 도나 또는 그 이상으로 더 회전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제 1 표면을 제 2 표면에 대하여 접을 수 있는 부분의 접을 수 있는 축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표면들이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고 엇걸리게 되어 있는 제 1 의 위치로부터, 제 2 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제 2 의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사용하여 접을 수 있는 부분을 포착함으로써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1 의 접힘부를 만드는 단계; 및
    제 1 의 표면을 제 1 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선단 가장자리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게 다른 접을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하도록 포일의 시이트를 전진시키는 단계;
    제 1 표면을 제 2 표면에 대하여 다른 접을 수 있는 부분의 축을 중심으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제 2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표면들을 사용하여 다른 접을 수 있는 부분을 포착함으로써 접을 수 있는 축을 따라서 제 2 의 접힘부를 만드는 단계; 및
    제 1 표면을 제 2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방법.
  27. 제 20 항 내지 제 2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음을 완료한 이후에 포일의 부분의 종단 가장자리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방법.
  28. 제 20 항 내지 제 27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혀진 단부와 종단 가장자리 사이에서 포일 부분의 제 1 및/또는 제 2 면에 금을 긋는(scoring)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방법.
  29. 제 20 항 내지 제 28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식별 표시로 포일의 부분의 반대 면들의 하나 또는 양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방법.
  30.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제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
  31.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제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
KR1020057014475A 2003-02-07 2004-02-05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501039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302810A GB0302810D0 (en) 2003-02-07 2003-02-07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making hairdressing foils for the purpose of colouring or highlighting hair
GB0302810.7 2003-02-07
GB0322916.8 2003-10-01
GB0322916A GB0322916D0 (en) 2003-02-07 2003-10-01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making hairdressing foils for the purpose of colouring or highlighting hair
GB0324852A GB0324852D0 (en) 2003-10-24 2003-10-24 Apparatus for folding
GB0324852.3 2003-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918A true KR20050103918A (ko) 2005-11-01

Family

ID=3285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475A KR20050103918A (ko) 2003-02-07 2004-02-05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789381B2 (ko)
EP (1) EP1590286B1 (ko)
JP (1) JP2006516942A (ko)
KR (1) KR20050103918A (ko)
AT (1) ATE361256T1 (ko)
CA (1) CA2515101C (ko)
CY (1) CY1106787T1 (ko)
DE (1) DE602004006230T2 (ko)
DK (1) DK1590286T3 (ko)
ES (1) ES2287696T3 (ko)
NO (1) NO20052361L (ko)
NZ (1) NZ542146A (ko)
PL (1) PL378029A1 (ko)
WO (1) WO2004069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6831B (en) * 2006-04-06 2008-07-02 Procare Uk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heets of foil
US8943936B2 (en) * 2007-03-13 2015-02-03 Moran BORENSTEI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heet of foil
ITMC20080212A1 (it) * 2008-12-02 2010-06-03 Hair Gallery Di Fabio E Jonni Cappe Lla S N C Macchina automatica per il taglio e la piegatura di striscioline di carta stagnola.
TWI463375B (zh) 2011-10-19 2014-12-01 Pixart Imaging Inc 光學觸控系統、光學感測模組及其運作方法
US9549601B2 (en) * 2014-12-16 2017-01-24 Mary E. Callicutt Mini brake for hair color placement foils and its method of use
DE102018118937A1 (de) * 2018-08-03 2020-02-06 Schmale-Holding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lden einer Schlauf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0846A (en) * 1941-10-15 1944-10-24 Wilhelm B Bronander Machine for making and filling packages
US3425606A (en) * 1966-09-21 1969-02-04 Roll O Sheets Integral plastic roll dispenser
JP2684509B2 (ja) 1993-08-04 1997-12-03 有限会社山貴製作所 パーマネントウエーブ施術方法およびその施術器具
US6237608B1 (en) * 1997-09-11 2001-05-29 Ollie Kari Foil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GB9822491D0 (en) 1998-10-16 1998-12-09 Fils Fine Foileeze Limited Hairdressing device and method of use
DE20008406U1 (de) 2000-05-10 2001-08-30 Schwan Roland Automatischer Folienfaltabroller
US6602177B2 (en) * 2000-06-28 2003-08-05 Grant Muir Machine for producing aluminum foil sheets for hair coloring
GB0118567D0 (en) * 2001-07-31 2001-09-19 Autogly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material
WO2003062110A1 (en) 2002-01-24 2003-07-31 James Douglas Farfor Cutting and fol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89381B2 (en) 2010-09-07
PL378029A1 (pl) 2006-02-20
CA2515101A1 (en) 2004-08-19
CY1106787T1 (el) 2012-05-23
CA2515101C (en) 2009-12-15
WO2004069711A1 (en) 2004-08-19
JP2006516942A (ja) 2006-07-13
US20070181628A1 (en) 2007-08-09
AU2004208912A1 (en) 2004-08-19
DE602004006230T2 (de) 2008-01-10
ES2287696T3 (es) 2007-12-16
NO20052361L (no) 2005-08-29
ATE361256T1 (de) 2007-05-15
DK1590286T3 (da) 2007-09-10
DE602004006230D1 (de) 2007-06-14
EP1590286B1 (en) 2007-05-02
EP1590286A1 (en) 2005-11-02
NZ542146A (en) 2007-05-31
NO20052361D0 (no)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7608B1 (en) Foil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US83874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heets of foil
KR20050103918A (ko) 포일의 시이트를 접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222894A1 (en) Method and device to cut aluminum foil
US20150165635A1 (en) Cutting device and method for cross-cutting a moving fiber web
AU20042089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lding a sheet of foil
EP0599058B1 (de) Spenderdose für Tücher
US20160278499A1 (en) Foiling Board
US10758022B2 (en) Mini brake for hair color placement foils and its method of use
US89439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heet of foil
ZA200506153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lding a sheet of foil
AU2022200009B2 (en) Hair treatment substrate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PT1590286E (pt) ''equipamento e método para dobrar uma folha de película metalizada''
JP3298000B2 (ja) 切取構造を具えたpetボトルラップ用の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JP2004141229A (ja) 紙巻鉛筆型化粧品若しくは筆記用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766391B2 (ja) 枠替方法
DE627664C (de)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Krepprollen mit abreissbaren Streifen, die mit Klebstellen versehen sind
JPH08267397A (ja) 変則マイクロミシン刃及びその製造方法
EP1329406A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ebrauchsfertigen Folienstreifen zum Färben einzelner Haarsträhnen
US20030170094A1 (en) Method for binding books and a cutter therefor
DE545159C (de)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Blattgoldfetzchen
DE4313777C2 (de) Registereinlage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r Registereinlage
JP2019126870A (ja) 八の字機構を用いたシート体を加工する方法、およびシート体を加工する装置
CA2465412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folded aluminum foil sheets
DE8337766U1 (de) Querfalz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