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803A -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803A
KR20050103803A KR1020040029109A KR20040029109A KR20050103803A KR 20050103803 A KR20050103803 A KR 20050103803A KR 1020040029109 A KR1020040029109 A KR 1020040029109A KR 20040029109 A KR20040029109 A KR 20040029109A KR 20050103803 A KR20050103803 A KR 20050103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haracter
input
short
f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우
Original Assignee
안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우 filed Critical 안재우
Priority to KR102004002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3803A/ko
Priority to JP2005126302A priority patent/JP2005317008A/ja
Publication of KR2005010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8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02Details
    • H03M11/04Coding of multifunction keys
    • H03M11/06Coding of multifunction keys by operating the multifunction key itself in different ways
    • H03M11/08Coding of multifunction keys by operating the multifunction key itself in different ways by operating selected combinations of multi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02Details
    • H03M11/04Coding of multifunction keys
    • H03M11/06Coding of multifunction keys by operating the multifunction key itself in different ways
    • H03M11/10Coding of multifunction keys by operating the multifunction key itself in different ways by methods based on duration or pressure detection of keystrok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02Details
    • H03M11/04Coding of multifunction keys
    • H03M11/06Coding of multifunction keys by operating the multifunction key itself in different ways
    • H03M11/12Coding of multifunction keys by operating the multifunction key itself in different ways by operating a key a selected number of consecutive times whereafter a separate enter key is used which marks the end of the s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10개의 숫자 입력 버튼과 두 개의 기호 입력 버튼으로 구성된 키 패드를 이용하여 일본어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Japanese}
본 발명은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10개의 숫자 입력 버튼과 두 개의 기호 입력 버튼으로 구성된 키 패드를 이용하여 일본어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중화된 모바일 기기인 휴대폰을 이용하여 50음의 일본어를 모두 표현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방법이 요구된다. 종래 방법의 예로는 문자 입력 버튼 중 1번에 「あ」행의 5개 문자, 2 번 버튼에 「か」행의 5개 문자 등을 할당한 후, 각 문자 입력 버튼을 1번 누르면 あ단의 문자, 2번 연속하여 누르면 い단의 문자, 3번 연속하여 누르면 う단의 문자, 4번 연속하여 누르면 え단의 문자, 5번 연속하여 누르면 お단의 문자를 입력하도록 설정된 방식(일명 멀티탭(multitap)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문장 작성시 버튼의 누름 횟수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비실용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방법이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351599호 및 제2003-01580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351599호는 0 내지 9의 10개 입력 버튼(행 선택 버튼)에 각각「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ん」행을 할당하고, 추가적으로 4개의 단 선택 버튼을 구비하여 「ア」단을 제외한「イ」단, 「ウ」단, 「エ」단 및「オ」단을 각각의 버튼에 할당한다. 이러한 문자 배치를 이용한 입력 방법은 다음과 같다. 「ア」단에 해당하는 문자(あ, か, さ, た, な... 등)는 행 선택 버튼을 직접 눌러서 입력하며, 「ア」단을 제외한 나머지 단에 해당하는 문자는 단 선택 버튼을 먼저 누른 후 해당 문자가 속한 행 선택 버튼을 눌러서 입력한다. 탁음, 반탁음 및 소문자는 별도로 구비된 전환 버튼을 눌러서 입력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351599호에 개시된 문자 입력 방법은 12개의 입력 버튼을 가진 단말기에는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휴대폰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입력 버튼 이외에 추가적으로 4개의 단 선택 버튼을 구비하여야 함으로, 생산 설비를 변경하지 않고서는 휴대폰 등에 그대로 적용하기가 어렵다. 아울러, 상기한 4개의 단 입력 버튼을 휴대폰 등에 있는 위치 이동 버튼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위치 이동 기능과 단 입력 기능이 서로 충돌하여 이를 구분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탁음 전환 기능과 반탁음 전환 기능이 하나의 버튼에 할당되어 있음으로써, 전환을 위해 버튼을 누르는 회수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015805호에 개시된 문자 입력 방법은 (1) 문자 입력 모드 변환 시 버튼의 누름 회수가 현저히 증가하며, (2) 여전히 별도의 단 입력 버튼이 필요하며, (3) 영어 문자 입력 시 기존의 멀티탭 방식과 호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모바일 기기용 문자 입력 방법 또는 장치는 제한된 환경 내에서의 개선 방법을 찾기 보다는 그 환경 자체를 개선하는데 주력하였다. 특히, 숫자키와 몇 개의 기능키만으로 구성된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의 문자 입력은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문자 입력보다 불편하고 입력 속도 또한 저조한 것이 사실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버튼을 추가하거나 새로운 구조의 버튼을 적용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기존 모바일 기기의 구조를 변경해야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최소한의 버튼을 이용하여 일본어 문자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기본적으로 포함된 버튼만으로 모든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종래의 입력 방법에 비해 버튼의 조작 회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버튼만으로도 많은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버튼을 누르는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의 차이에 따라 각각 다른 문자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의 입력 방식은 하나의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최소 1번에서 최고 6번까지 조작하여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버튼 조작 회수를 평균 2회 이하(최대 3회)로 줄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행 선택 기능만이 부여된 복수의 행 버튼, 행 선택 기능과 단 선택 기능이 함께 부여된 복수의 행/단 버튼 및 적어도 하나의 쉬프트 버튼이 3x4 형태로 배열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쉬프트 버튼에 상응하는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쉬프트 플래그의 상태를 조정하고 쉬프트 버튼 입력을 출력하고, 상기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버튼이 쉬프트 버튼이 아니면, 상기 선택된 버튼의 장단 입력을 결정하여 상기 감지된 버튼에 상응하는 버튼 입력을 짧은 버튼 입력과 긴 버튼 입력으로 구별하고, 상기 버튼 입력이 짧은 버튼 입력이면, 단 플래그의 상태를 참조하여, 상기 장단 입력 구별된 버튼이 행/단 선택 버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 플래그를 상기 버튼 입력에 상응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문자 셋을 포함하는 시작 문자 테이블 및 복수의 단 문자 테이블 중 상기 단 플래그에 상응하는 문자 테이블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문자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쉬프트 버튼 입력, 상기 짧은 버튼 입력 및 상기 긴 버튼 입력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행 선택 기능만이 부여된 복수의 행 버튼, 행 선택 기능과 단 선택 기능이 함께 부여된 복수의 행/단 버튼이 3x4 형태로 배열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최종 문자 플래그를 참조하여 직전 선택된 버튼을 확인하고, 상기 버튼이 상기 직전 선택된 버튼과 동일하면, 단 플래그의 상태에 상응하는 문자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버튼의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문자를 추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최종 문자 플래그의 상태 및 상기 행/단 버튼에 의해 설정되는 단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선택된 버튼이 상기 복수의 행/단 버튼 중 어느 하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버튼이 행/단 버튼이면, 상기 단 플래그를 상기 버튼에 상응하도록 설정한 후, 상기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리셋하며, 상기 선택된 버튼이 단 버튼이면, 상기 최종 문자 플래그를 상기 버튼에 상응하도록 설정한 후, 상기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단 플래그를 리셋하며, 상기 단 플래그의 상태에 상응하는 문자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버튼의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문자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문자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문자 셋을 포함하는 시작 문자 테이블 및 복수의 단 문자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인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행 버튼, 복수의 행/단 버튼 및 적어도 하나의 쉬프트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문자 셋을 포함하는 시작 문자 테이블, 상기 복수의 행/단 버튼에 의한 단 선택 시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문자 셋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 문자 테이블, 선택된 버튼에 상응하는 버튼 입력을 출력하는 입력 판단부, 상기 시작 문자 테이블 및 상기 복수의 단 문자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버튼 입력에 상응하여 출력될 문자를 선택하는 버튼 입력 처리부 및 상기 선택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 출력부를 포함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첨부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문자의 배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반적인 모바일 기기인 휴대폰의 키패드는 숫자 0 내지 9와 *, # 문자가 각각 할당된 총 12개의 버튼(1110 내지 12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숫자만 할당된 10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 또는 *, # 문자 이외에 다른 문자가 할당된 12개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에도 물론 적용이 가능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12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12개의 버튼은 각각 행 버튼, 행/단 버튼 및 쉬프트 버튼으로 각각 구별된다.
행 버튼은 일본어의 5개 행이 할당된 버튼으로서, 도 1에서는 버튼 1(1110) 내지 버튼 4(1140) 및 버튼 6(1160)이며, 각각 「あ」행 내지 「た」행 및 「は」행이 할당되어 있다.
행/단 버튼은 행 버튼에 할당되지 않은 나머지 5개의 행과 일본어의 5개 단이 할당된 버튼으로서, 도 1에서는 버튼 5(1150) 및 버튼 7(1170) 내지 버튼 0(1200)이며, 각각 행은 「な」행 및 「ま」행 내지 「わ/ん」행이 할당되어 있고, 단은 「ア」단,「イ」단, 「ウ」단, 「エ」단 및「オ」단이 할당되어 있다. 즉, 행/단 버튼은 선택적으로 행 버튼과 단 버튼으로 동작하는 기능 버튼(function key)이다. 행/단 버튼은 제조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재배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행/단 버튼이 어느 경우에 행 선택 또는 단 선택을 위해 이용되는지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쉬프트 버튼(shift button)은 행 버튼 또는 행/단 버튼에 할당된 특수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도 1에서는 각각 버튼 *(1210)과 버튼 #(1220)이다.
도 1에 도시된 키패드에 표시된 문자 배열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버튼 1 내지 버튼 0(1110 내지 1200)에는 좌측을 기준으로 제1 문자, 제2 문자 및 제3 문자가 할당된다. 제1 문자(1111 내지 1201)는 일본어 문자의 10개 행의 「ア」단에 해당하는 문자이며, 제2 문자(1112 내지 1202)는 소문자(1112), 요음(1182), 탁음(1122, 1132, 1142, 1162), 기호(1152, 1172, 1192), ん(1202)이며, 제3 문자는 반탁음(1163), 기호(1113, 1123, 1133, 1153, 1173, 1183, 1193,1203)와 촉음(1143)이다.
버튼 1 내지 버튼 0(1110 내지 1200)에는 일본어 문자의 10개 행이 순서대로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버튼 2(1120)는 「か」행(1121)이 할당되어 있는 「か」행 버튼이다. 행 배열은 현재 일본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배열과 동일하지만, 제조 업체가 이를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다. 버튼 2(1120)의 제2 문자(1122)는 해당 버튼을 길게 누르면 입력(이하에서는 "긴 버튼 입력"이라 함)할 수 있는 일본어 문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버튼 2(1120)의 제2 문자(1122)는 해당 버튼을 연속하여 2회 누르면 입력할 수 있는 일본어 문자이다. 버튼 2(1120)의 제3 문자(1123)는 쉬프트 버튼이 선택된 이후 해당 버튼을 누르면 입력(이하에서는 "쉬프트 버튼 입력"이라 함)할 수 있는 일본어 문자 또는 특수 문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버튼 2(1120)의 제3 문자(1123)는 해당 버튼을 연속하여 3회 누르면 입력할 수 있는 일본어 문자이다.
일본어 문자는 청음, 탁음, 반탁음, 요음, 촉음, 소문자, 발음(撥音)으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이를 상기 버튼에 모두 할당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사용 빈도와 편리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일본어 문자를 버튼에 할당하였다. 먼저, 청음의 경우는 상응하는 버튼을 짧게 누르면 입력(이하에서는 "짧은 버튼 입력"이라 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문자로 할당하였다. 다음으로, 탁음, 요음, 소문자와 발음의 경우는 상응하는 버튼을 길게 누르면 입력할 수 있도록 제2 문자로 할당하였다. 마지막으로, 반탁음과 촉음의 경우는 쉬프트 버튼과 행 버튼과의 조합을 통해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1회 버튼 선택 시 청음, 연속하여 2회 버튼 선택 시 탁음, 요음, 소문자와 발음 그리고, 연속하여 3회 선택 시 반탁음과 촉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버튼 1(1110) 내지 버튼 0(1200)에 표시된 원문자는 일본어 문자 이외의 기호가 할당된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가령,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⑥ = 、, ⑦ = x, ⑧ = ¥, ⑨ = 。, ⑩ = O, ⑪ = . 이 할당된다. 원문자로 표시된 부분에 할당될 수 있는 기호와 할당 위치는 사용자 또는 제조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먼저 행/단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할 문자의 모음을 선택한 후 자음을 선택하는 입력 방식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문자는 (1) 버튼마다 일정하게 문자가 배열된 "문자 배열"을 이용하여 (2) 일정한 "입력 방식"에 의해 선택된다. "문자 배열"이란 버튼마다 일정하게 할당된 문자들의 배열로서, 영어에서는 QWERTY PC 자판이 대표적인 문자 배열이다. "입력 방식"이란 일정하게 문자가 배열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대표적인 입력 방식으로는 멀티탭 방식(버튼의 누름 회수에 따라 문자 선택)이 있다. 본 발명은 단 버튼이 행 버튼의 일부에 할당된 문자 배열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으로서,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시간을 기준으로 동일한 버튼에 할당된 2개 문자를 구별하여 선택할 수 있는 입력 방식(장단 입력)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こ를 입력하려면 「オ」행/단 버튼인 버튼 0(1200)을 선택하여 모음을 결정한다. 버튼 0(1200)가 선택된 상태에서 각 버튼들을 눌렀을 때 입력할 수 있는 자음들은 도 5의 「オ」단 문자 테이블(550)에 표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 2(1120)를 짧게 누르면 こ가 선택되고, 긴 버튼 입력하면 ご가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는 행/단 버튼을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음의 일부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행 버튼에 할당된 문자 즉, あ, か, さ, た, は는 행/단 버튼을 먼저 누르지 않고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ア」행/단 버튼인 버튼 5(1170)를 누른 후 「あ」행 버튼인 버튼 1(1110)을 짧게 누르거나, 「あ」행 버튼인 버튼 0(1110)만 누르면 양쪽 모두 あ가 입력된다. 행 버튼만 눌러도 입력할 수 있는 문자는 사용자나 제조 업체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행 버튼을 긴 버튼 입력할 때와 짧은 버튼 입력할 때 각각 입력할 수 있는 문자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단계 200에서, 일본어 입력 장치에서 일본어 입력 준비가 완료되면, 단(段) 플래그(dan flag)와 쉬프트 플래그(shift flag)를 각각 리셋한 후 단계 205로 진행하여 버튼 입력을 대기한다.
단계 205에서, 키패드상에 3x4 형태로 배열된 행 버튼들, 행/단 버튼들 및 쉬프트 버튼 중 어느 하나(이하에서는 '버튼 b'라 함)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이 감지된다. 즉, 사용자가 버튼 b를 누르면, 단계 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210에서, 현재 쉬프트 플래그를 확인하여, False 이면(즉,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215로 진행하고, True 이면 단계 265로 진행한다. 여기서, 쉬프트 버튼은 버튼 # 또는 버튼 *이며, 바람직하게는 양 버튼 모두 동일한 쉬프트 버튼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키패드에 할당하는 문자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양 버튼이 각각 다른 쉬프트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복수의 쉬프트 플래그를 이용하여 각 쉬프트 버튼을 구별할 수 있다.
단계 215에서, 버튼 b가 쉬프트 버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쉬프트 버튼이면 단계 220으로 진행하며, 쉬프트 버튼이 아니면 단계 225로 진행한다. 단계 220에서는 쉬프트 플래그를 버튼 b로 설정한다. 버튼 # 및 버튼 * 중 어느 하나만을 쉬프트 버튼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양 버튼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쉬프트 플래그를 True로 세팅한다. 버튼 # 및 버튼 *를 구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쉬프트 플래그에 버튼 # 또는 버튼 *에 상응하는 값을 기록하거나 또는 버튼 # 및 버튼 *에 각각 상응하는 2 개의 쉬프트 플래그 중 버튼 b에 상응하는 쉬프트 플래그만을 True로 세팅한다. 이후 단계 205로 되돌아가서 다음 버튼 입력을 대기한다.
단계 225에서, 버튼 b가 쉬프트 버튼이 아니면 타이머를 미리 결정된 threshold 값으로 구동한다. 단계 225 내지 단계 260에서는 버튼 b를 짧게 누르는 짧은 버튼 입력(b)과 길게 누르는 긴 버튼 입력(b~)을 구별한다. 여기서 버튼 누름의 짧고 긴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threshold 값은 제조 업체에 의해 기본값이 설정되며,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장단 입력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기본값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으며, 숙련된 사용자는 기본값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입력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머가 만기되기 이전에 버튼 b가 해제되면, 단계230으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해제하며, 타이머가 만기되기까지 버튼 b가 해제되지 않으면, 단계 260으로 진행하여 긴 버튼 입력(b~)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출력한다.
단계 235에서,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240으로 진행하며,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250으로 진행하여 짧은 버튼 입력(b)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출력한다. 여기서, 단 플래그에는 행/단 선택 버튼에 대응하는 숫자가 기록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5, 7, 8, 9, 0이다.
단계 240에서, 버튼 b가 행/단 버튼 즉 버튼 5, 버튼 7 내지 버튼 0 중 어느 하나이면, 단계 245로 진행하여 버튼 b에 상응하는 숫자를 단 플래그에 기록한 후 단계 205로 되돌아가서 다음 버튼 입력을 대기한다. 버튼 b가 행 버튼 즉 버튼 1 내지 버튼 4 및 버튼 6 중 어느 하나이면 단계 250으로 진행하여 짧은 버튼 입력(b)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출력한다.
단계 265에서, 버튼 b가 쉬프트 버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쉬프트 버튼이면 ##를 출력하며, 쉬프트 버튼이면 단계 270으로 진행하여 버튼 b의 쉬프트 버튼 입력(#b)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출력한다. 쉬프트 버튼을 연속하여 2회 누르는 입력(##)은 (1) 공백 문자(space) 입력 후 단 플래그 및 쉬프트 플래그 리셋, (2) 공백 문자 입력 없이 단 플래그 및 쉬프트 플래그만을 리셋 및 (3) 2번째 선택된 쉬프트 버튼을 무시(discard)하는 방식 중 어느 것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단계 250, 260, 270 및 275 이후에는 단계 200로 되돌아가서 단 플래그와 쉬프트 플래그를 리셋 한 후 단계 205로 진행하여 다음 버튼 입력을 대기한다. 버튼 b의 장단 구분 및 쉬프트 버튼 입력인 b, b~, #b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출력하는 과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5에 도시된 일본어 문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b, b~, #b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일본어 문자 테이블을 일본어 50음도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적합하도록 변형한 것이다.
단계 300a에서 버튼 b에 상응하는 입력이 짧은 버튼 입력(b)이면, i 의 값을 1로, 단계 300b에서 버튼 b에 상응하는 입력이 긴 버튼 입력(b~)이면, i 의 값을 2로, 단계300c에서 버튼 b에 상응하는 입력이 쉬프트 버튼 입력(#b)이면, i 의 값을 3으로 각각 기록한다.
단계 310에서, 단 플래그의 값을 이용하여 단 문자 테이블을 선택하고, 버튼 b을 이용하여 단 문자 테이블의 세로축상의 위치 및 i 값을 이용하여 단 문자 테이블의 가로축상의 위치를 결정하여 상응하는 위치에 기록된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된 정보는 일본어 문자(또는 기호) 또는 Null 문자 중 어느 하나이다.
단계 320에서 추출된 정보가 일본어 문자이면 단계 330에서 출력하고 Null 문자이면 아무 문자도 출력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5의 문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실제 버튼 입력에 따른 일본어 문자 출력 과정을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회 버튼 조작으로 일본어 문자를 출력하는 과정은 최초 문자 입력 상태(단 플래그 및 쉬프트 플래그가 리셋 된 상태의 단계 205)에서 버튼 2가 눌려지면, 버튼 2가 쉬프트 버튼이 아님을 확인한 후(단계 210 내지 단계 215) 타이머를 구동하여 장단 입력을 구분한다(단계 225). 버튼 2가 threshold 값 이상 눌러지면(즉, 타이머가 만기되면) 긴 버튼 입력으로 처리하며(단계 260), 타이머 만기 전에 해제되면 버튼 2가 행/단 버튼인지를 판단한다(단계 235 내지 240). 버튼 2는 행/단 버튼이 아니므로, 짧은 버튼 입력으로 처리된다(단계 250). 버튼 2가 짧은 버튼 입력이면 i가 1이므로, 시작 문자 테이블의 버튼 2와 i = 1 (b)가 교차하는 위치에 있는 일본어 문자 「か」가 출력된다. 이후 단 플래그와 쉬프트 플래그는 리셋 된다(최초 문자 입력 상태;단계 200). 버튼 2가 긴 버튼 입력이면 i가 2이므로, 시작 문자 테이블의 버튼 2와 i = 2 (b~)가 교차하는 위치에 있는 일본어 문자 「が」가 출력된다. 이후 단 플래그와 쉬프트 플래그는 리셋 된다(최초 문자 입력 상태;단계 200).
2회 버튼 조작으로 일본어 문자를 출력하는 과정은 최초 문자 입력 상태(단 플래그 및 쉬프트 플래그가 리셋 된 상태의 단계 205)에서 버튼 5가 눌려지면, 버튼 5가 쉬프트 버튼이 아님을 확인한 후(단계 210 내지 단계 215) 타이머를 구동하여 장단 입력을 구분한다(단계 225). 버튼 5가 타이머 만기 전에 해제되면 버튼 5가 행/단 버튼인지를 판단한다(단계 235 내지 240). 버튼 5는 단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된 행/단 버튼이므로, 단 플래그를 5(또는 「エ」 단)로 설정한 후(단계 245) 다음 버튼 입력을 대기한다.(단계 205). 버튼 2가 눌려지면, 버튼 2가 쉬프트 버튼이 아님을 확인한 후(단계 210 내지 단계 215) 타이머를 구동하여 장단 입력을 구분한다(단계 225). 버튼 2가 threshold 값 이상 눌러지면(즉, 타이머가 만기되면) 긴 버튼 입력으로 처리하며(단계 260), 타이머 만기 전에 해제되면 단 플래그가 5로 설정되어 있으므로(단계 235), 짧은 버튼 입력으로 처리된다(단계 250). 단 플래그가 5이고, 버튼 2가 짧은 버튼 입력이면 i가 1이므로, 「エ」단 문자 테이블의 버튼 2와 i = 1 (b)가 교차하는 위치에 있는 일본어 문자 「け」가 출력된다. 이후 단 플래그와 쉬프트 플래그는 리셋 된다(최초 문자 입력 상태;단계 200). 버튼 2가 긴 버튼 입력이면 i가 2이므로, 「エ」단 문자 테이블의 버튼 2와 i = 2 (b~)가 교차하는 위치에 있는 일본어 문자 「げ」가 출력된다. 이후 단 플래그와 쉬프트 플래그는 리셋 된다(최초 문자 입력 상태;단계 200).
도 5의 각 테이블 중 'x'로 표시된 위치에는 일본어 문자나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다(Null 문자). 따라서,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해당하는 단 문자 테이블의 특정 위치에 Null 문자가 할당된 경우에는 아무런 문자나 기호도 출력하지 않고 최초 입력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도 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일본어 문자들을 포함하는 문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b, b~, #b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b, b~, #b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조합하는 과정은 도 5에 도시된 일본어 문자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단계 400a 내지 400c는 도 3의 단계 300a 내지 300c과 동일하다.
단계 410에서, 버튼 b의 제i 문자를 추출한다. 버튼 b의 제i 문자는 도 1에 도시된 키패드의 각 버튼에 표시된 일본어 문자 또는 기호 중 어느 하나이다.
단계 420에서, 버튼 b의 제i 문자가 일본어 문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본어 문자이면 단계 430으로 진행하고, 일본어 문자가 아니면 단계 460으로 진행한다.
단계 430에서,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440으로 진행하여 단 플래그를 「ア」단으로 설정한 후 단계 450으로 진행한다. 단 플래그가 「ア」단, 「イ」단, 「ウ」단, 「エ」단, 「オ」단(또는 5, 7, 8, 9, 0)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450으로 진행한다.
단계 450에서, 문자 테이블의 가로축에서 버튼 b의 제i 문자에 상응하는 행을 선택하고, 세로축에서 설정된 단 플래그에 상응하는 단을 선택하여 교차점에 위치하는 기록된 정보를 추출한 후 단계 480으로 진행한다.
단계 480에서, 추출된 정보가 일본어 문자인지 판단한다. 일본어 문자이면 단계 490으로 진행하여 출력하고, Null 문자이면 아무런 문자로 출력하지 않은 채 상기 과정이 종료된다.
버튼 b의 제i 문자가 기호이면, 단계 460에서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480 및 단계 490으로 진행하여 버튼 b의 제i 문자를 출력한다. 버튼 b의 제i 문자가 기호이면 Null 문자가 아니므로, 단계 480은 생략되어질 수 있다.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470으로 진행하여 버튼 b의 제i 문자가 Null 문자인 것으로 취급한다. 따라서, 아무런 문자로 출력하지 않은 채 상기 과정이 종료된다.
상기 단계 460 내지 470은 긴 버튼 입력(b~) 또는 쉬프트 버튼 입력(#b)을 이용하여 각 버튼에 할당된 기호를 선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행/단 버튼을 선택한 후 긴 버튼 입력(b~) 또는 쉬프트 버튼 입력(#b)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또는 제조자의 선택에 따라 생략될 수 있는 단계이다. 단계 460 내지 470이 생략될 경우 사용자는 행/단 버튼을 선택하여 단 플래그를 설정한 상태에서도 버튼의 제2 문자 또는 제3 문자로 할당된 기호를 긴 버튼 입력(b~) 또는 쉬프트 버튼 입력(#b)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시작 문자 테이블과 단 문자 테이블은 장단 입력 및 쉬프트 버튼 입력에 따른 버튼 각각에 할당된 문자 셋을 포함한다. 시작 문자 테이블과 단 문자 테이블은 도 11의 전체 일본어 문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한 도 4의 문자 조합 방식에 따라 일본어 문자를 선택하는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시작 문자 테이블(500)은 동일한 버튼의 서로 다른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서브 문자 셋들을 포함하고 있다. 시작 문자 테이블(500)의 각 버튼별 서브 문자 셋은 실제 키패드에 표시된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이다. 시작 문자 테이블(500)의 서브 문자 셋 중에서 원형 문자로 표시된 문자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문자 또는 기호를 할당할 수 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 문자 테이블(510 내지 550)들은 단 플래그에 의해 지정되는 「あ」단,「い」단, 「う」단, 「え」단 및「お」단 문자 테이블로서, 동일한 버튼의 서로 다른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서브 문자 셋들을 포함하고 있다. 단 문자 테이블(510 내지 550)의 서브 문자 셋 중에서 X로 표시된 문자는 할당된 문자가 없음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응하는 버튼 입력이 있어도 아무런 문자가 출력되지 않는다. 물론, 제조자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문자 또는 기호를 할당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의 일본어 입력 방식은 입력 전처리 단계(610), 문자 출력 단계(630) 및 단 처리 단계(650)로 크게 나누어질 수 있다. 아울러, 구분자 처리 단계(620)와 긴 버튼 입력 처리 단계(6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00에서, 일본어 입력 장치에서 일본어 입력 준비가 완료되면, 단(段) 플래그(dan flag)와 최종 문자 플래그(last flag)를 각각 리셋 한 후 단계 601로 진행하여 버튼 입력을 대기한다. 최종 문자 플래그는 버튼 b가 눌러지기 직전에 눌러진 버튼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입력 전처리 단계(610)는 사용자에 의한 최초 버튼 입력 및 버튼 입력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입력 처리를 위한 단계로서, 다음과 같은 부단계(sub step)들로 구성된다.
단계 601에서,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 후, 타이머가 만기되면 단계 615로 진행하며,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버튼 b가 눌러질 때까지 대기한다. 버튼 b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단계 602로 진행한다. 여기서, 타이머는 단계 640에서 미리 결정된 threshold 값으로 구동된 타이머이다. 타이머는 상기 구분자 처리 단계(620)의 목적과 동일하게 새로운 문자 입력을 위해 현재 문자 입력 위치에서의 문자 입력을 완료하고, 다음 위치에서의 문자 입력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601에서 타이머가 만기되면, 입력 전처리 단계를 종료한 후 단계 615로 진행한다. 단계 615에서는 현재 출력된 문자의 다음 위치에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커서(또는 프롬프트)를 이동한다.
단계 602에서,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621로 진행하며,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603으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타이머를 해제한 후 단계 621로 진행한다. 상기 일본어 입력 방식에 구분자 처리 단계(620)와 긴 버튼 입력 처리 단계(680)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602 또는 603 이후 단계 651로 진행한다.
구분자 처리 단계(620)는 사용자가 일본어 문자를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해 버튼 #, 화살표 등을 입력하면, 새로운 문자 입력을 준비하기 위한 단계로서, 다음과 같은 부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621에서, 버튼 b가 구분자인지를 판단한다. 버튼 b가 구분자이면 단계 622로 진행하며, 구분자가 아니면 구분자 처리 단계(620)를 종료하고 단계 681로 진행한다.
단계 622에서,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623로 진행하며,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구분자 처리 단계(620)를 종료하고 단계 615로 진행한다.
단계 623에서,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구분자 처리 단계(620)를 종료한 후 단 플래그와 최종 문자 플래그를 리셋한 후(단계 600), 다시 입력 전처리 단계(610)를 시작한다. 상기 단계 623은 사용자가 선택한 단 플래그를 해제하기 위한 처리 과정이다.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624로 진행하여 공백 문자를 출력한다. 이후 단계 615로 진행하여 커서를 다음 문자 입력 위치로 이동한다.
긴 버튼 입력 처리 단계(680)는 키패드에 할당된 문자 이외의 다른 문자 예를 들어 숫자(또는 히라가나 입력 모드에서 모드 변환 없이 카타카나)를 입력하기 위한 단계로서, 다음과 같은 부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681에서, 타이머를 미리 결정된 threshold 값으로 구동한다. 타이머가 만기되기 전에 버튼 b가 해제되면 단계 685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해제한다. 버튼 b가 해제되기 전에 타이머가 만기되면 단계 682로 진행한다.
단계 682에서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683으로 진행하여 버튼 b의 긴 버튼 입력(b~)에 상응하는 숫자를 출력한 후 긴 버튼 입력 처리 단계(680)를 종료하며,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684로 진행하여 커서를 이동한 후 단계 683으로 진행한다.
단계 682 내지 단계 683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현재 문자 입력 위치에 임의의 문자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버튼 1을 길게 누르면(단계 681), 현재 문자 입력 위치에서의 문자 입력은 종료되고(단계 682, 684), 버튼 1에 해당하는 숫자 '1'은 다음 문자 입력 위치에 출력된다(단계 683). 즉, 현재 문자 입력 위치에 'あ'가 출력되어 있다면, 'あ1'이 출력된 후 다음 문자 입력 위치에서(단계615) 새로이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단계 600).
현재 문자 입력 위치에 문자가 출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버튼 1을 길게 누르면(단계 681), 현재 문자 입력 위치에(단계 682), 버튼 1에 해당하는 숫자 '1'이 출력된다(단계 683). 즉, 현재 문자 입력 위치에 '1'이 출력된 후 다음 문자 입력 위치에서(단계615) 새로이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단계 600).
단 처리 단계(650)는 버튼 b가 행 버튼인지 행/단 버튼인지의 판단 및 단 플래그 설정/해제를 위한 단계로서, 다음과 같은 부단계(sub step)들로 구성된다.
단계 651에서, 최종 문자 플래그를 참조하여 버튼 b가 직전에 선택된 버튼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동일하면 단 처리 단계(650)를 종료한 후 단계 631로 진행하며, 동일하지 않으면 단계 652로 진행한다.
단계 652에서,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667로 진행하여 커서를 다음 문자 입력 위치로 이동한 후 단계 668에서 버튼 b가 행/단 버튼인지를 판단한다. 버튼 b가 행/단 버튼이면 단계 670으로 진행하여 단 플래그에 버튼 b를 기록하고, 최종 문자 플래그를 리셋 한다. 버튼 b가 행 버튼이면 단계 669로 진행하여 단 플래그를 리셋 한 후 단계 656으로 진행한다.
단계 652에서,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653으로 진행하여 단 플래그를 검사한다.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656으로 진행하여 최종 문자 플래그에 버튼 b를 기록하고, 변수 i는 리셋 한 후 단계 631로 진행한다.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654로 진행하여 버튼 b가 행/단 버튼인지를 판단한다. 버튼 b가 행/단 버튼이면 단계 655로 진행하여 단 플래그에 버튼 b를 기록한 후 단 처리 단계(650)를 종료한다. 버튼 b가 행 버튼이면 단계 656으로 진행한다.
문자 출력 단계(630)는 버튼 b의 누름 회수에 따라 현재 문자 입력 위치에 출력을 위한 단계로서, 다음과 같은 부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631에서 변수 i에 대해 모듈라 연산을 수행한다. 즉, 변수 i의 현재 값을 3으로 나눈 나머지에 1을 가산하여 변수 i를 갱신한다. 여기서, 3은 버튼에 할당된 문자의 수 중 최대값으로서, 일반적인 멀티탭 방식에서는 통상 3회의 버튼 누름으로 입력할 문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4회 이상의 경우에는 1회 누름과 동일하게 취급되므로, 제수로 3을 선택한다. 그러나, 버튼에 4개 이상의 문자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4 이상의 수를 제수로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632에서, 변수 i가 1인지를 판단한 후, 단계 633에서 버튼 b의 1회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변수 i의 값에 따라 버튼 b의 2회 누름 및 3회 누름에 각각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출력한다(단계 634 내지 636).
단계 640에서, 버튼 b의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가 현재 문자 입력 위치에 출력되면 타이머를 미리 결정된 threshold 값으로 구동한 후 단계 601로 진행한다.
버튼 b의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출력하는 과정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9에 도시된 일본어 문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버튼의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일본어 문자 테이블을 일본어 50음도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적합하도록 변형한 것이다.
단계 700에서 변수 k에 1을 기록한다. 변수 k는 단 플래그가 지시하는 단 문자 테이블의 서브 문자 셋 중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 b에 해당하는 서브 문자 셋이 없거나 혹은 1 개 또는 2 개의 일본어 문자 또는 기호로만 구성된 경우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710에서, 변수 i의 현재 값을 3으로 나눈 나머지에 1을 가산하여 변수 i를 갱신한다.
단계 720에서, 단 플래그의 값을 이용하여 단 문자 테이블을 선택하고, 버튼 b을 이용하여 단 문자 테이블의 세로축상의 위치 및 i 값을 이용하여 단 문자 테이블의 가로축상의 위치를 결정하여 교차하는 위치에 기록된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된 정보는 일본어 문자 또는 Null 문자 중 어느 하나이다.
단계 730에서 추출된 정보가 일본어 문자 또는 기호이면 단계 760에서 출력하고 Null 문자이면 단계 740으로 진행한다.
단계 740에서 변수 k의 값을 1 증가시킨 후 단계 750에서 변수 k의 값이 3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3 이하이면 단계 710으로 진행하고, 3을 초과하면 최초 문자 입력 상태(단계 600)로 진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9의 문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실제 버튼 입력에 따른 일본어 문자 출력 과정을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의 문자 테이블은 상술한 도5의 문자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도 11의 전체 일본어 문자 테이블을 멀티탭 방식인 본 실시예에 적합하도록 변형한 것이다. 따라서, 기호를 선택하는 방식이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르기 때문에, 시작 문자 테이블에 위치했던 일부 기호들이 다른 단 문자 테이블에 할당된 것과 「ん」을 제외하고는 도 9의 문자 테이블은 도 5에 도시된 문자 테이블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최초 문자 입력 상태(단 플래그 및 최종 문자 플래그가 리셋 된 상태의 단계 600)에서 버튼 2를 연속하여 누르는 경우, 최초로 버튼 2를 누르면, 최종 문자 플래그 및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단계 651 내지 653), 행/단 버튼이 아니므로(단계 654), 최종 문자 플래그 및 변수 i를 리셋 한다(단계 656). 변수 k가 1로 설정된 후(단계 700) 변수 i는 1로 설정된다(단계 710).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시작 문자 테이블의 버튼 2와 i = 1 (b)의 교차 위치에 있는 일본어 문자 「か」가 출력된다. 타이머 만기 이전에 버튼 2를 다시 누르면(단 플래그 미 설정, 최종 문자 플래그는 버튼 2로 설정, 변수 i는 1로 설정), 직전 버튼과 동일하므로(단계 651), 변수 k는 1로 설정된 후(단계 700), 변수 i는 2로 설정된다(단계 710).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시작 문자 테이블의 버튼 2와 i = 2 (bb)의 교차 위치에 있는 일본어 문자 「が」가 출력된다.
최초 문자 입력 상태(단 플래그 및 최종 문자 플래그가 리셋 된 상태의 단계 600)에서 버튼 5(행/단 버튼)을 누른 후(단 플래그는 5(또는 「エ) 단)으로 설정, 최종 문자 플래그는 리셋 상태의 단계 601) 버튼 7을 연속하여 누르는 경우, 최초로 버튼 7을 누르면,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므로(단계 651 내지 653), 최종 문자 플래그를 버튼 7로 설정하고 변수 i를 리셋 한다(단계 656). 변수 k가 1로 설정된 후(단계 700) 변수 i는 1로 설정된다(단계 710). 단 플래그가 5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エ」 단 문자 테이블의 버튼 7과 i = 1 (b)의 교차 위치에 있는 일본어 문자 「め」가 현재 문자 입력 위치에 출력된다. 타이머 만기 이전에 버튼 7을 다시 누르면(단 플래그 설정, 최종 문자 플래그는 버튼 7로 설정, 변수 i는 1로 설정), 직전 버튼과 동일하므로(단계 651), 변수 k는 1로 설정된 후(단계 700), 변수 i는 2로 설정된다(단계 710). 단 플래그가 5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エ」 단 문자 테이블의 버튼 7과 i = 2 (bb)의 교차 위치의 Null 문자가 추출되며, 일본어 문자 또는 기호가 아니므로, 현재 문자 입력 위치에 출력된 「め」는 다른 문자로 변경되지 않으며, 변수 k만 1만큼 증가된다(단계 740). 변수 k가 3 이하이므로(단계 750), 변수 i는 3으로 설정된다(단계 710). 단 플래그가 5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エ」 단 문자 테이블의 버튼 7과 i = 3 (bbb)의 교차 위치의 Null 문자가 추출되며, 일본어 문자 또는 기호가 아니므로, 변수 k만 1 만큼 증가된다(단계 740). 변수 k가 3이므로(단계 750), 변수 i는 1로 설정된다(단계 710). 단 플래그가 5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エ」 단 문자 테이블의 버튼 7과 i = 1 (b)의 교차 위치에 있는 일본어 문자 「め」가 추출되어 현재 문자 입력 위치에 다시 출력되고 문자 출력 단계는 종료된다.
도 9의 각 테이블 중 'x'로 표시된 위치에는 일본어 문자나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다(Null 문자). 따라서, 사용자의 버튼 입력에 해당하는 단 문자 테이블의 특정 위치에 Null 문자가 할당된 경우에는 i = i % 3 + 1 의 위치에 있는 문자를 추출해서 출력하는데, Null이 아닌 문자가 하나도 없는 경우에는 결국 k > 3이 되어 아무런 문자나 기호도 출력하지 않고 최초 입력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도 8은 도 11에 도시된 문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버튼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버튼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조합하는 과정은 도 9에 도시된 일본어 문자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단계 800 내지 805 및 850 내지 870은 도 7의 단계 700 내지 710 및 730 내지 760와 동일하다.
단계 810에서, 버튼 b의 제i 문자를 추출한다. 버튼 b의 제i 문자는 도 1에 도시된 키패드의 각 버튼에 표시된 일본어 문자 또는 기호 중 어느 하나이다.
단계 815에서, 버튼 b의 제i 문자가 일본어 문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본어 문자이면 단계 820으로 진행하고, 일본어 문자가 아니면 단계 835로 진행한다.
단계 820에서,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830으로 진행하여 「ア」단과 버튼 b의 제i 문자에 상응하는 행에 위치한 일본어 문자를 선택하고, 단계 850으로 진행한다. 단 플래그가 「ア」단, 「イ」단, 「ウ」단, 「エ」단, 「オ」단(또는 5, 7, 8, 9, 0)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825로 진행하여, 단 플래그에 상응하는 단과 버튼 b의 제i 문자에 상응하는 행에 위치한 일본어 문자를 선택한 후 단계 850으로 진행한다.
단계 835에서,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84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855로 진행하여 버튼 b의 제 i문자를 출력한다. 단계 840에서, 단 플래그가 버튼 b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 플래그가 버튼 b로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855로 진행하여 버튼 b의 제 i문자를 출력한다. 단 플래그가 버튼 b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버튼 b의 제 i문자를 Null 문자로 취급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 장치는 키패드(1010), 입력 판단부(1020), 버튼 입력 처리부(1030), 메모리(1040) 및 문자 출력부(10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키(1010)는 [버튼 1] 내지 [버튼 0], [버튼 *], [버튼 #]으로 구성되며, 각 버튼에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입력 판단부(10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버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해서 어떤 버튼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입력 방식에 따른 결과값을 출력한다. 일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누른 시간을 측정하여 장단 입력을 구분하고, 메모리(1040)에 포함된 쉬프트 플래그와 단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여 장단 구분 버튼 정보를 출력한다. 입력 판단부(1020)의 버튼 입력 처리부(1030)로의 출력은 짧은 버튼 입력(b), 긴 입력(b~) 및 쉬프트 버튼 입력(#b) 중 어느 하나이다. 아울러, 입력 판단부(1020)는 현재 버튼 입력 시 쉬프트 플래그와 단 플래그의 상태를 기초로 하여 쉬프트 플래그와 단 플래그의 상태를 변경한다. 입력 판단부(1020)의 상세한 동작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 판단부(1020)는 메모리(1040)에 포함된 단 플래그, 최종 문자 플래그를 참조하여 행/단 버튼 및 행 버튼의 입력을 구별하고, 현재 단 플래그 및 최종 문자 플래그의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한다. 입력 판단부(1020)의 버튼 입력 처리부(1030)로의 출력은 현재 입력된 버튼에 관한 정보 및 현재 문자 입력 위치 이동 명령(도 6의 단계 615, 667, 684)이다. 입력 판단부(1020)의 상세한 동작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버튼 입력 처리부(1030)는 입력 판단부(1020)의 출력 및 플래그의 상태에 따라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 또는 기호를 문자 테이블(1040)에서 추출한다. 버튼 입력 처리부(1030)는 도 5 또는 도 9에 도시된 문자 테이블 중 단 플래그에 따라 문자를 추출할 문자 테이블을 선택한다. 일실시예에서, 선택된 문자 테이블에서 장단 구분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 또는 기호가 추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최종 문자 플래그를 참조하여 버튼의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 또는 기호가 선택된 문자 테이블에서 추출된다. 버튼 입력 처리부(1030)가 버튼 입력에 상응하는 문자를 추출하는 과정은 도 3,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과정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1040)는 단 플래그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쉬프트 플래그와 최종 문자 플래그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1040)는 도 5,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문자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한다.
문자 출력부(1050)는 버튼 입력 처리부(1030)에 의해 추출된 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여기서, 문자 출력부(105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키패드(1010)와 문자 출력부(1050)는 하나의 장치일 수 있으며, 키패드(1010)가 출력되는 단 플래그에 상응하는 시작 문자 테이블 또는 단 문자 테이블에 따라 문자 출력부(105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폰과 같이 숫자 입력을 위한 최소한의 버튼을 갖는 모바일 기기에서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종래 모바일 기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모든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제조 업체는 사용자 친화적인(user-friendly)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품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는 사용중인 제품을 교체하지 않고도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버튼 조합 방식 및 장단 입력 방식에 의해 제한된 버튼만으로도 매우 많은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는 반드시 일본어 입력 방법뿐 아니라 다른 언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버튼 조합 방식 및 장단 입력 방식에 의해 버튼 조작 회수가 획기적으로 줄어듦으로써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종래의 다른 입력 방식은 입력 시 조작해야 하는 버튼의 수의 편차가 매우 컸지만, 본 발명은 평균 2회 이하(최대 3회)의 버튼 조작만으로도 모든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매우 적은 수의 키 조작만으로도 동일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문자의 배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5에 도시된 일본어 문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짧은 버튼 누름 (b), 긴 버튼 누름 (b~), 쉬프트 버튼을 누른 다음 누름 (#b)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1에 도시된 문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b, b~, #b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9에 도시된 일본어 문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버튼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1에 도시된 문자 테이블을 이용하여 버튼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일본어 문자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전체 일본어 문자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18)

  1. 행 선택 기능만이 부여된 복수의 행 버튼, 행 선택 기능과 단 선택 기능이 함께 부여된 복수의 행/단 버튼 및 적어도 하나의 쉬프트 버튼이 3x4 형태로 배열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쉬프트 버튼에 상응하는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쉬프트 플래그의 상태를 조정하고 쉬프트 버튼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버튼이 쉬프트 버튼이 아니면, 상기 선택된 버튼의 장단 입력을 결정하여 상기 감지된 버튼에 상응하는 버튼 입력을 짧은 버튼 입력과 긴 버튼 입력으로 구별하는 단계;
    상기 버튼 입력이 짧은 버튼 입력이면, 단 플래그의 상태를 참조하여, 상기 장단 입력 구별된 버튼이 행/단 선택 버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 플래그를 상기 버튼 입력에 상응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문자 셋을 포함하는 시작 문자 테이블 및 복수의 단 문자 테이블 중 상기 단 플래그에 상응하는 문자 테이블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문자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쉬프트 버튼 입력, 상기 짧은 버튼 입력 및 상기 긴 버튼 입력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버튼이 쉬프트 버튼이 아니면, 상기 선택된 버튼의 장단 입력을 결정하여 상기 감지된 버튼에 상응하는 버튼 입력을 짧은 버튼 입력, 긴 버튼 입력 및 쉬프트 버튼 입력으로 구별하는 단계는,
    상기 버튼이 선택되면, 미리 결정된 threshold 값으로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 만기 이전에 상기 버튼이 해제되면, 타이머 작동을 정지한 후 짧은 버튼 입력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가 만기되면 긴 버튼 입력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hreshold 값은 변경 가능한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키는 좌측 쉬프트 키 및 우측 쉬프트 키를 포함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키는 좌측 쉬프트 키 및 우측 쉬프트 키가 서로 구별되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입력이 짧은 버튼 입력이면, 단 플래그의 상태를 참조하여, 상기 장단 입력 구별된 버튼이 행/단 선택 버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 플래그를 상기 버튼 입력에 상응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짧은 버튼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 플래그가 리셋 상태이고, 상기 짧은 버튼 입력이 상기 행/단 버튼에 상응하는 입력이면 상기 단 플래그를 상기 짧은 버튼 입력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 플래그가 리셋 상태이고, 상기 짧은 버튼 입력이 상기 행 버튼에 상응하는 입력이면 상기 짧은 버튼 입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7. 행 선택 기능만이 부여된 복수의 행 버튼, 행 선택 기능과 단 선택 기능이 함께 부여된 복수의 행/단 버튼이 3x4 형태로 배열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일본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최종 문자 플래그를 참조하여 직전 선택된 버튼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버튼이 상기 직전 선택된 버튼과 동일하면, 단 플래그의 상태에 상응하는 문자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버튼의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문자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최종 문자 플래그의 상태 및 상기 행/단 버튼에 의해 설정되는 단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버튼이 상기 복수의 행/단 버튼 중 어느 하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버튼이 행/단 버튼이면, 상기 단 플래그를 상기 버튼에 상응하도록 설정한 후, 상기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리셋 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버튼이 단 버튼이면, 상기 최종 문자 플래그를 상기 버튼에 상응하도록 설정한 후, 상기 최종 문자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단 플래그를 리셋하며, 상기 단 플래그의 상태에 상응하는 문자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버튼의 누름 회수에 상응하는 문자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문자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문자 셋을 포함하는 시작 문자 테이블 및 복수의 단 문자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인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8.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행 버튼, 복수의 행/단 버튼 및 적어도 하나의 쉬프트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문자 셋을 포함하는 시작 문자 테이블;
    상기 복수의 행/단 버튼에 의한 단 선택 시 상기 복수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문자 셋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 문자 테이블;
    선택된 버튼에 상응하는 버튼 입력을 출력하는 입력 판단부;
    상기 시작 문자 테이블 및 상기 복수의 단 문자 테이블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버튼 입력에 상응하여 출력될 문자를 선택하는 버튼 입력 처리부; 및
    상기 선택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 출력부를 포함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복수의 버튼들이 3X4 형태로 배열되는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버튼은 적어도 2 이상인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행 버튼, 복수의 행/단 버튼 및 적어도 하나의 쉬프트 버튼은 재설정 가능한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출력부는 터치 스크린이며, 상기 복수의 버튼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문자 테이블 및 상기 복수의 단 문자 테이블은 단 선택 여부에 상응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판단부는 선택된 버튼이 눌려진 시간을 기준으로 짧은 버튼 입력과 긴 버튼 입력을 구별하여 출력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판단부는 상기 쉬프트 버튼이 선택되면 다음 버튼이 선택된 후에 쉬프트 버튼 입력을 출력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는 단 플래그와 쉬프트 플래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튼 입력 처리부는 상기 입력 판단부의 출력, 상기 단 플래그의 상태 및 상기 쉬프트 플래그의 상태를 조합하여 일본어 문자 출력 및 상기 플래그들의 상태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행 버튼 및 상기 복수의 행/단 버튼의 제1 문자는 청음 문자인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판단부는 현재 테이블과 선택된 버튼의 조합에 의해 선택된 버튼에 상응하는 버튼 입력의 출력 및 현재 테이블의 변경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일본어 문자 입력 장치.
KR1020040029109A 2004-04-27 2004-04-27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103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109A KR20050103803A (ko) 2004-04-27 2004-04-27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JP2005126302A JP2005317008A (ja) 2004-04-27 2005-04-25 日本語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109A KR20050103803A (ko) 2004-04-27 2004-04-27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803A true KR20050103803A (ko) 2005-11-01

Family

ID=3544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109A KR20050103803A (ko) 2004-04-27 2004-04-27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317008A (ko)
KR (1) KR200501038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5175A (zh) * 2021-08-18 2021-11-26 厦门海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表格行列精简的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096B1 (ko) * 2008-03-25 2008-12-26 윤영식 휴대용 단말기의 일본어 입력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5175A (zh) * 2021-08-18 2021-11-26 厦门海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表格行列精简的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CN113705175B (zh) * 2021-08-18 2024-02-23 厦门海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表格行列精简的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17008A (ja)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47096A5 (ko)
KR20040082326A (ko) 문자 배열,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
KR101512133B1 (ko) 문자 입력 장치
KR101747037B1 (ko) 문자 입력 방법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KR100989836B1 (ko) 문자열 예측 입력방법 및 그 방법이 구현되는 전자장치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JP2002007042A (ja) 情報入力装置
KR20050103803A (ko)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JP2008293498A (ja) 日本語入力方法
KR20010107446A (ko) 한글을 숫자 키패드에 배열하는 방법
JP2003263264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KR100388301B1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100434668B1 (ko) 한글 입력장치
RU2344564C2 (ru) Раскладки знаков, способы в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KR100839281B1 (ko) 통신단말기용 한글 자음 조합방법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KR20080055249A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131793A (ja) 仮名文字入力装置および仮名文字入力方法
KR20080072287A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34669B1 (ko) 한글 입력장치
JP3088476B2 (ja) ミャンマー語入力装置
KR20030006750A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101370258B1 (ko)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