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281B1 - 통신단말기용 한글 자음 조합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용 한글 자음 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281B1
KR100839281B1 KR1020060056111A KR20060056111A KR100839281B1 KR 100839281 B1 KR100839281 B1 KR 100839281B1 KR 1020060056111 A KR1020060056111 A KR 1020060056111A KR 20060056111 A KR20060056111 A KR 20060056111A KR 100839281 B1 KR100839281 B1 KR 100839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sonant
consonants
hangu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279A (ko
Inventor
전재형
Original Assignee
전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형 filed Critical 전재형
Priority to KR102006005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281B1/ko
Publication of KR2007012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자음 조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특히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장착되는 버튼(키)의 수가 제한되는 휴대전화(통신단말기) 등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용 한글자음 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글의 모든 자음의 필기방식의 공통요소를 추출하여 이들의 순열에 의해 자음을 결정하며 ㄱ(기역), ㄴ(니은), ㅅ(시옷), ㅇ(이응), --(별도 자음요소) 로 구성된 5개의 주요입력키(자음입력키)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한글자음, 문자(한글,영어 등),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한 또는 프로그램상 기능을 불러오기 위한 키조합을 설정,저장하여 하나의 키로 손쉽게 입력하는(단축키 기능) 3개(버튼수의 여분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연속입력에 따라 신호를 달리한다.)의 보조입력키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한글입력처리 알고리즘과 프로그램상의 다양한 기능, 휴대전화에서의 소위 천지인이라는 모음입력방식, 또는 다른 모음입력방식과 병행하여 사용하면 보다 빠르고 쉽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한글자음,입력방법,한글자음조합

Description

통신단말기용 한글 자음 조합방법{Korean consonant input methods in keypad}
도 1 은 본 발명의 한글자음 입력키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한글 자음이 겹칠 경우의 초종성 분리 원리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에서 종성과 초성을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플로우차트,
도 5 는 본 발명의 단위 자음요소에 따른 자음 음소 조합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한글입력키 11;자음입력키 12;보조입력키 13;모음입력키 14;특수기능 입력키 20;데이터베이스부 30;음소추출부 40;음소결정부 50;제어부 60;임시저장장치 70;디스플레이장치
본 발명은 한글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특히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장착되는 버튼(키)의 수가 제한되는 각종 휴대전화 등에 적용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용 한글 자음 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각 음소(a phoneme) 즉, 알파벳 하나 하나가 일차원적으로(즉 일렬로) 나열되는 영어, 불어, 독어, 한자를 제외한 일본어 등과는 달리 각 음소가 초성(the initial consonant of a Korean syllable), 중성(the vowels of a Korean syllable), 종성(the final consonant of a Korean syllable)으로 구분되어 초성과 중성 또는 초성, 중성 및 종성이 어우러져 이차원적으로 배치되면서 하나의 음절(a syllable)을 이루는 문자체계를 갖는다.
전자기기(통신단말기 등)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일차원적 문자는 단순히 음소의 순서와 공백만으로 하나의 단어가 완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문자입력 프로토콜만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한글의 경우 이차원적으로 배열되어야 할 뿐 아니라, 엮이, 역기, 여끼의 예에서처럼 이응(ㅇ)을 제외한 둘 이상의 자음(consonants)이 반복될 때, 이 자음을 각 음절에 어떻게 배치해야 할 지를 결정해야 하며, 기본적으로 14개의 자음과 이론상 거의 무한대의 모음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복잡한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전기전자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CDMA, PCS, TDMA, GSM, AMPS, IMT-2000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휴대전화, PDA, 호출기, 소형 게임기, 리모콘, 카메라, 가전기구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들이 소형화, 첨단화되고 있다.
그러나, 소형화에 반비례하여 기능이 향상되면서, 또한 전자기기에 문자를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면서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필요성도 계속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특히 버튼(키)이 한정된 휴대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각종 방법(장치)이 개발되었다. 초기 입력장치는 가장 단순한 것으로서, 한글 입력 모드가 되면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 모든 자음(초성)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커서를 사용하여 원하는 자음을 선택하고, 이어서 많은 수의 모음이 표시되면 역시 사용자가 커서를 움직여 원하는 모음을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하나의 음절을 결정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모음에 대해서는 각 모음의 기본 형태소를 추출하여 ━, · , ┃를 3개의 버튼에 배치하고 이들의 순열을 통해 모든 모음을 입력하는 소위 천지인 모음 입력방법(장치)이 개발·정착되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7-2558호).
자음 입력방법(장치)은 크게 ① 모든 자음을 2~3개씩 하나의 키에 배치하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특정 키를 누른 횟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자음을 결정하는 방법(연속배치형),
② 형태상으로 핵심이 되는 자음들만을 각각 하나의 키에 배치하고 2 또는 3개의 기능키를 부가하여 키에 배치되지 않은 자음은 그와 형태상으로 가까운 자음이 배치된 키를 누른 후 소정 시간 이내에 기능키를 눌러서 자음을 선택하는 방법(기능키활용형), 및
③ 각 자음을 형태학적으로 해체하고 형태상으로 공통되는 도형(또는 기호)을 추출하여 이들을 각 키에 배치하고 이들 키를 1~수회 누름으로써 그 순열에 의해 자음을 선택하는 방법(도형순열형),
④ 한글 자음의 기본형태소를 추출하여 이를 기본도형( ━, ┃, ∧ ,○)에 대응하여 획 하나,하나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형태소순열형)이 있다.
연속배치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0-18394호 및 제00-4131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자료에 의하면, 자음 및 모음이 순서대로 또는 임의로 2~3 개씩 배당된 총 8 또는 11개의 키로 구성된 자판에서 특정 키를 누른 횟수에 대응하는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을 차례로 선택하여 하나의 음절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하나의 키에 많은 복수 개의 음소가 인쇄되어 있어 사용자가 혼란을 느끼게 될 뿐 아니라, 키를 누름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음소의 변화를 계속 주시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기능키활용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0-42231호, 제00-49346호, 제00-49347호 및 제00-54571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들 자료에 의한 기술은, 대표적인 자음 6~7개를 각각 하나의 키에 배당하고, 상기 3개의 천지인 모음 형태소 또는 6개의 대표적인 모음을 5~6개의 키에 각각 배치하며, 1~3개의 기능키를 배치한 자판을 적용하고 있다. 키에 표시되지 않은 음소는 키에 표시된 소정의 음소를 선택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소정의 기능키를 소정횟수 누름으로써 정하게 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자판이 시각적으로 깨끗하게 처리된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키에 표시되지 않은 음소를 빠르고 자유롭게 선택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연속배치형 및 기능키활용형과는 다른 개념 하에서 접근한 도형순열형 한글 입력방식의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0-1777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발명은 2회의 키 입력으로 하나의 음소를 결정하기 위하여, 자음을 해체하여 추출한 공통도형을 너무 추상화시킴으로써 도형의 순열과 그에 대응하는 음소와의 관계를 모 두-그리고-확실하게 암기하고 있어야만 입력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중성과 중성 사이(즉 모음과 모음 사이)에 이응(ㅇ) 이외의 자음이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기능키(예를 들면 커서 이동키)를 눌러주어야 원하는 음절을 결정할 수 있게 되는 한계가 있다.
형태소순열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79177호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자료에 의하면 획 하나 하나를 따로 입력함으로써 기존의 1~2번만의 키 입력으로 끝났던 자음의 입력 수를 대부분 늘림으로서 편의성에 문제가 있으며 소위 천지인이라는 모음입력방식과 유사하여 사용자에게 모음과 자음 입력 간의 혼란을 야기시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종래 한글 입력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글 자체의 형태소를 이용하는 착안에서 한 단계 진보하여 일반인의 자음 필기체에서 주로 1획으로 처리하는 부분의 형태 (ㄱ(기역), ㄴ(니은), ㅅ(시옷), ㅇ(이응), --(별도 자음요소))를 추출하여 기존의 방법보다 휠씬 적은 입력수로서 자음을 구현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나아가 각각의 보조 입력키에 사용자가 조합 자음, 문자(한글,영어 등),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한 또는 프로그램상 구동이 가능한 스페이스바(띄어 쓰기) 기능, 2배 입력기능 등을 불러오기 위한 키조합을 설정,저장하여 하나의 키로 손쉽게 사용자만의 한글입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적으로 암기해야 할 필요가 없고, 최대 3번의 키입력으로 복자음(ㄶ,ㄺ,ㄼ,ㅀ 등)을 제외한 모든 자음의 입력이 가능하며, 입력수가 많은 자음, 문자(한글,영어 등), 특수문자에 대하여는 편의상 키조합을 보조입력키에 저장함으로서 입력수를 조절하여 개인별 습관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글자음 입력키와 보조입력키, 한글모음입력키, 데이터베이스부와 음소추출부와 음절결정부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용 한글 자음 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글입력부는, 한글자음의 필기 방식의 공통요소를 분리하여 추출한 5개의 기본요소가 배당된 제1키 내지 제5키의 자음입력키로 이루어진 자음 입력키,
키조합을 사용자가 저장하여 입력수가 많은 자음,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수개(3개)의 보조 입력키 (이는 키패드의 여유분에 따라 그 수가 증감될 수 있다.), 및
기존방식의 모음입력방식을 구현하는 수개(3~4개)의 모음 입력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키보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의 한글 입력키를 예시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통상 전자기기에 필요한 별도의 특수 기능 입력키(휴대전화기를 예로 들면, 신호전송키, 통화중지키, 각종 메뉴키 등)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한글-숫자-영문 전환키, 특수문자 입력키 등도 추가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부는 주요 자음 입력키에 의한 입력신호의 순열에 대응하여 코딩된, 각 한글자음 정보와, 보조입력키에 의한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코딩된 사용자가 입 력·저장한 각 키조합정보, 기존의 모음입력키에 의한 입력신호의 순열에 대응하여 코딩된 각 한글 모음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검색가능한 정보군 이다. 데이터베이스부는 물리적으로 RAM 또는 ROM과 같은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다.
음소 추출부는 한글 입력부의 자음 입력키, 및 한글 입력부의 모음 입력키로부터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신호를 입력받은 후, 데이터베이스부를 조회하여 입력신호의 순열에 대응하는 자음 및 모음을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 음소추출부는 일종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음절 결정부는 음소 추출부가 추출한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 음절을 완성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일종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음절 결정부는, ① 모음과 모음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자음의 수는 1∼4개이고, ② 초성은 1∼2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지며, ③ 종성은 0∼2개의 자음으로 이루 어지고, ④ 초성에서 자음 수가 2인 경우 자음은 항상 동일하며, ⑤ 자음 이응(ㅇ)이 초성에 오면 음가가 없고, ⑥ 자음 이응(ㅇ)은 자음과 자음 사이에 존재할 수 없다는 현대 한글의 특성에 기초하여 추출된 자음과 모음의 음소로부터 한글 음절을 결정하게 된다.
한편, [여끼, 역기], [역끼, 엮기], [아빠, 압바], [갓소, 가쏘], [갔소, 갓쏘] 등과 같은 예에서처럼, 한글에서는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의 수가 2 또는 3이고 뒤의 두 자음이 동일하면 같은 음소순열에 의해 가능한 음절이 2종류가 되어 음절 결정부가 정확하게 작동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한글 입력부의 키입력에 따라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의 수가 2 또는 3이고 뒤의 두 자음이 동일하게 되는 것이 예정되는 경우에 -음절 결정부의 작용이 아닌- 인위적으로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또는 사용자의 비조작에 의해 자음군을 앞 음절의 종성과 뒤 음절의 초성으로 분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방법은, 입력장치의 한글 입력부에 종초성분리키(스페이스바 기능)를 추가하여, 종초성 분리키가 입력되면 직전에 입력되어 추출된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결정하고, 이어서 새로운 입력키 신호에 의해 자음이 추출되면 이를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음이 연속되는 경우에는 모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종초성 분리방식이 적용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사용자의 비조작에 의한 종초성 분리방법은, 자음과 모음이 추출된 후 또는 자음, 모음 및 자음이 추출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추가의 키입력 신호가 없으면 각각 상기 자음과 모음 또는 자음, 모음 및 자음을 초성과 종성 또는 초성, 중성과 종성으로 하는 음절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별도의 키가 추가될 필요가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치의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도 1 과 같이 한글 자음의 기본요소로 설정한 5개의 자음 입력키 (11), 사용자가 단축키 형태로 입력저장한 키조합 들인 보조 입력키(12), 기존의 모음입력을 위한 모음 입력키(13)(예를 들면 ㅡ, ·, ㅣ) 및 특수기능키(14)(#,*등) 등을 포함한다. 5개의 자음 입력키(11)는 ㄱ(기역), ㄴ(니은), ㅅ(시옷), ㅇ(이응),--(별도로 설정하여 조합 사용하는 단위 자음요소)로 구성한다. 모음 입력 키(13)는 기본적으로 설치된 구성을 그대로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기존의 입력 방식과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한급 입력을 가능토록 하는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 도 3 에 도시되는 음절 결정부(40)는, 음소 추출부(30)에 의해 추출된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 수가 도 2 와 같이 1이면(A), 상기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며, 상기 음소 추출부(30)에 의해 추출된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 수가 2 또는 3이고 뒤의 두 자음이 상이하면(B,C), 마지막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나머지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결정하며, 상기 음소 추출부(30)에 의해 추출된 모음과 모음 사이의 자음 수가 4이면(D), 앞의 자음 둘과 뒤의 자음 둘을 각각 앞 음절의 종성과 뒤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기본적으로 도 3 과 같이 주요 자음입력키(11), 보조입력키(12), 모음입력키(13)로 이루어진 한글 입력키(10)와, 각 한글 입력키(10)의 순열에 대응하는 자음 또는 모음에 대한 정보 및 키조합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부(20)와, 한글입력키(10)의 신호를 입력받고 데이터베이스부(20)를 조회하여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자음 및 모음을 추출하는 음소 추출부(30)와, 추출된 음소를 조합하여 한글음절을 완성하는 음절 결정부(4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장치에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관계를 제어하고 조절하는 제어부(50)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에는 완성된 한글음절을 임시로 보관하는 임시저장장치(60), 한글음절 확정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70) 등이 추가될 수 있다.
도 4 의 플로우차트와 같이 모음입력키(13)신호 이후에 자음입력키(11) 신호가 있으면 그 신호순열을 임지저장장치(60)에 저장하며, 음소 추출부(30)가 데이터베이스부(20)를 조회하여 저장된 신호순열에 대응하는 자음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대응 자음이 없으면 계속해서 자음입력키(11)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50)가 그 순열을 저장하고 음소 추출부(30)가 대응 자음을 확인한다. 대응 자음이 있으면 그 자음을 추출하여 원하는 자음으로 결정하고 임시저장된 신호순열을 삭제한다(자음결정단계).
이어서 즉시 자음 입력키 신호가 있으면 그 순열을 저장하면서 전기한 과정을 반복하며, 종초성 분리키 신호 또는 추가적인 자음 입력키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 전기 과정에서 결정된 자음을 앞 음절의 종성으로 결정하고(종초성 분리단계),
그 이후에 결정되는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한다(자음결정단계).
전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한글로 된 음절, 단어, 문장 등이 작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장치의 각 구성 요소들은 본 발명의 작용을 위한 기능적 구분일 뿐이며 이들이 물리적으로 반드시 독립된 존재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와 음소추출부(30)는 일체화된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에, 따옴표, 쉼표, 마침표 등과 같은 특수문자의 입력, 한글-영문-숫자입력 전환, 사이 띄우기(space bar 기능) 등과 같은 추가적 기 능을 위해 부가적인 입력키 및 입력키의 기능을 추가하는 특수기능 입력키(14) 구성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인에게는 용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 중의 하나인 휴대폰 키패드에서의 사용을 설명하면, 한글 자음을 필기하는 과정에서 1획으로 처리하는 부분의 형태를 나타내는 기본요소를 ㄱ(기역), ㄴ(니은), ㅅ(시옷), ㅇ(이응),--(자음요소) 로 선정하였다. 이들 각각을 12개의 키가 장착된 키패드(키보드 또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에 4×3로 배치하게 되는데, 첫 번째 열에는 4개 키(K1~K4)를 위에서 아래로 ㄱ, ㄴ, ㅅ, ㅇ 으로 정하여 잡읍 입력키(11)를 이루고, 두 번째 열에는 4개의 키를 위에서 아래로 3개의 보조입력키(12)(한번 누를때와, 두 번 누를때의 입력신호를 달리한다.)와 한글자음요소로 상기 자음 입력키(11)를 더 이루는 단위 자음요소(--) 를 배열시킨다. 마지막 열에는 기존의 모음입력방식을 위한 최소 3개의 키로된 모음입력키(13)를 배치 시킨다. 이는 왼손으로 자음의 입력을 오른손으로 모음의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주로 조합이 요구되는 키를 근접하게 배치하여 빠른 입력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한글 입력키(10)에서 입력되는 각 자음입력키(11)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자음은 도 5 와 같이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된 자음의 코딩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0)에 저장된다.
보조 입력키(12)(편의상 f키라고 명하였다.)에는 쌍자음 등의 원할한 입력을 위하여, 두배(×2) 기능 또는 종성과 초성을 분리하기 위한 스페이스바 기능을 불러오기 위한 키조합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은 프로그램상으로 구동, 선택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사용자가 보조 입력키(12)에 단축키 개념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보조입력키(12)는 예를 들어 도 1 과 같이 제 6 내지 제 8키(f1~f3)로 구성하고, 각 제 6 내지 제 8키(f1~f3)는 제 1 내지 제 5 키(K1~K5)의 조합으로 설정한 자음입력 음소를 불러오기 위한 키 조합을 설정 저장하여 사용자 편의대로 데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한 것을 불러오는 단축 기능을 수행토록 구성한다.
상기는 예시에 불과하며 복잡한 입력방식은 주요 입력키의 조합을 보조 입력키(12)(f키를 1회, 2회 누름에 따라 각기 신호가 결정)에 저장하여 사용이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의 경우, 비정상적인 상황, 예를 들면 자음 입력키(11)가 계속 입력되어 종성 및 초성을 결정할 수 없게 되거나, 테이터베이스부(20)에 저장된 순열이 아닌 키 신호순열이 입력되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올바른 사용을 촉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장치는 한글자음의 필기형태의 기본요소 5개를 추출하여 한글의 ㄱ, ㄴ, ㅅ, ㅇ과 단위 자음 음소를 이루는 자음요소(--) 를 조합하여 이들의 순열에 의해 자음을 완성하며, 연속해서 누름에 따라 신호가 바뀌는 보조 입력키에 입력 수가 많은 자음, 문자(한글, 영어 등), 특수문자 등의 입력을 위한, 또는 프로그램상 기능을 불러오기 위한 복잡한 키조합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설정,단축키 방식으로 저장함으로써 기존의 방법보다 쉽고, 적은 입력 수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모음입력방식을 위한 모음키를 3열에 할당함으로써 기존기술의 활용이 가능하여 장점의 조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 입력키는 새로운 기능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기존의 프로그램상 기능을 불러오기 위한 키 조합을 설정, 저장하여 1개의 키로 불러오는 역할을 할 뿐이어서 기존의 제품과의 호환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은 5개의 자음 입력키 만으로도 모든 한글 자음의 표현이 가능하며, 또한 추가적인 보조 입력키를 이용하여 개인의 취향에 맞는 키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한정된 수의 키로 모든 한글 자음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휴대전화 등 소형화-다기능화된 전자기기에 소형 키보드,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적용이 기대된다.

Claims (6)

  1. 한글 입력부의 입력키를 제어부에서 인식하여 음소와 음절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통신 단말기용 한글자음 조합방법에 있어서,
    제어부는 단위 자음요소를 ㄱ, ㄴ, ㅅ , ㅇ 과, 특별 자음요소인 -- 을 포함하는 입력키의 입력를 받아 조합 추출하며,
    조합시 한글 자음의 필기방식 순서에 따라 각 단위요소를 상호 조합하여 한글자음을 완성토록 하는 통신 단말기용 한글자음 조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필기방식 순서는
    "ㅁ"은 "ㄱ" 과 "ㄴ"으로,
    "ㅂ"은 "ㄴ" 과 "ㄱ"으로,
    "ㅍ"은 "--"과 "ㅅ"과 "--"로,
    "ㅉ"은 "--"과 "ㅅㅅ"으로,
    "ㄸ"은 "--"과 "ㄴㄴ"의 순서로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용 한글자음 조합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60056111A 2006-06-21 2006-06-21 통신단말기용 한글 자음 조합방법 KR100839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111A KR100839281B1 (ko) 2006-06-21 2006-06-21 통신단말기용 한글 자음 조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111A KR100839281B1 (ko) 2006-06-21 2006-06-21 통신단말기용 한글 자음 조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279A KR20070121279A (ko) 2007-12-27
KR100839281B1 true KR100839281B1 (ko) 2008-06-17

Family

ID=3913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111A KR100839281B1 (ko) 2006-06-21 2006-06-21 통신단말기용 한글 자음 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721B1 (ko) * 2012-02-12 2012-08-09 차영훈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279A (ko)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24595A (ja) 個々のテキストフィールドのデータ入力をカスタマイズするための方法
US20060279433A1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KR20060101367A (ko) 숫자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US6799914B2 (en) Arabic-persian alphabeth input apparatus
KR102126831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39281B1 (ko) 통신단말기용 한글 자음 조합방법
JP4662859B2 (ja) シフトキーレス入力方式、文字コード入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271375B1 (ko)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KR100434668B1 (ko) 한글 입력장치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624255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US20040080435A1 (en) Data input system and method
CN101388976A (zh) 实现在电视机上输入文字的方法
KR100434669B1 (ko) 한글 입력장치
RU2344564C2 (ru) Раскладки знаков, способы в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451164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일본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KR100904286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16862A (j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EP2916200A2 (en) Semi-compact keyboard and method therefor
KR20150088974A (ko) 키 사용 빈도에 따라 인식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적용한 qwerty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