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255B1 -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255B1
KR101624255B1 KR1020140058093A KR20140058093A KR101624255B1 KR 101624255 B1 KR101624255 B1 KR 101624255B1 KR 1020140058093 A KR1020140058093 A KR 1020140058093A KR 20140058093 A KR20140058093 A KR 20140058093A KR 101624255 B1 KR101624255 B1 KR 10162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button
hidden
represent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104A (ko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이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우 filed Critical 이진우
Priority to KR102014005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25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와,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터치가 감지될 때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표출시키는 화면 표출부와,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터치가 감지될 때, 터치된 상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나머지 대표 문자 버튼들의 표출 영역에 전환 표시되는 전환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표출시키는 전환 표출부와, 전환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에 대한 터치 드래그를 검출하는 드래그 검출부와, 상기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에 대한 터치 드래그가 발생되어 터치 오프될 때 상기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입력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문자 입력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 등과 휴대용 정보 기기에 적용하는데 적합한 문자 입력 장치로서 입력 사용 빈도에 의거하여 문자 구성요소가 표시되는 버튼 크기를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우수한 직관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입력 오류를 절감하고 신속히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휴대 단말(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기기, 네비게이션, 워치 폰, 웨어러블 기기 등) 등과 같은 대부분의 휴대용 정보 기기는 터치식의 소형 키패드(터치 패널)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소형 키패드는 종래의 단문(SMS) 입력뿐만 아니라 메모, 휴대용 정보 기기를 이용한 각종 데이터 처리 등 활용 범위를 점점 넓혀가고 있으며, IP TV 등에서도 간편한 문자 입력 수단으로 그 필요성이 주목 받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은 크게 쿼티 키보드 방식과 3X4 키보드 또는 이의 변형된 방식을 이용한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쿼티 자판은 모든 문자를 자판에 표시하여 자판을 1번 터치로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한 문자에 할당되는 자판의 면적이 작아 입력 오류가 많이 발생하고, 또한 직관적이지 않아 사용자가 모든 자판을 외워야만 하기 때문에 초보자인 경우에 익숙해지기까지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 하다.
그리고, 소형 키보드 방식은 각 문자에 할당된 자판의 면적은 넓으나 여러 번 터치를 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영문 입력 시 사용 빈도와 무관하게 단순한 사전식 순서에 따라 한 버튼에 여러 개의 문자를 배치하여,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문자를 입력할 때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문자보다 버튼을 오히려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서가 3번 깜박인 후 다음 문자열로 커서가 이동하므로 숙련 시에도 지체가 필요 하며, 타이밍이 맞지 않을 경우 같은 문자열의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오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한글 입력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지만, 이 또한 자판이 사전식 순서에 따라 배치되지 않아 순서를 외어야만 하므로 직관적이지 않으며, 사용 빈도를 고려하지 않아 입력의 횟수도 많다는 문제가 있다.
즉, 공통적인 큰 문제점은 가장 사용 빈도가 많은 문자와 가장 사용 빈도가 적은 문자에 할당된 자판의 면적이 같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어 입력 시 사용 빈도가 각각 약 7%대인 I, O 와 1% 및 0.2%대인 W, J 가 쿼티 자판과 3X4 키패드 모두 같은 면적을 사용하기 때문에 최대 35배의 불균형을 이루며, 특히 3x4 키패드인 경우에는 여기에 더해 I, O의 입력 시 3배의 횟수를 눌러야 하는 비능률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한글에 있어서도 자음 빈도가 20% 대인 ㅇ 와 6% 대인 ㅈ 이 쿼티 자판과 한글 KS 표준인 천지인 방식에서 같은 자판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천지인 방식은 자음의 위치를 숙지해야 하고, 앞글자의 종성과 뒷글자의 초성이 같은 문자이거나 같은 키에 배정된 문자들인 경우 연속 입력이 불가능하며, 삭제 시 글자 전체를 지워야 하는 문제가 있고, 모음 입력시 많은 입력 횟수가 필요하며, 특히 ㅞ 와 ㅙ 의 입력 시에는 5회를 터치(누름)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8082호(등록공고일: 2009. 09. 22)
본 발명은,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각 문자 버튼(또는 대표 문자 버튼)을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함으로써, 직관성을 높여 자판의 배치 구조를 외울 필요없이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문자 입력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사용 빈도에 의거하여 문자 구성요소가 표시되는 버튼 크기를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입력의 실현과 동시에 입력 오류를 최소화(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문자 입력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만을 입력 화면(문자 입력 화면)으로 표출시키고, 각 대표 문자 버튼의 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나머지의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소형의 표시 패널(터치 패널)을 필요로 하는 소형의 휴대용 정보 기기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새로운 문자 입력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입력 대상의 문자를 위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문자 버튼과, 상기 문자의 입력과 관련하는 기능 설정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문자 버튼 내 각 버튼은,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문자의 입력을 위한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과, 상기 문자의 입력과 관련하는 기능 설정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내 각 버튼은,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문자의 입력을 위한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표시 패널에 표출시키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중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이 터치될 때, 터치된 상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나머지 대표 문자 버튼들의 표출 영역에 전환 표출시키는 과정과, 전환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하나로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어 터치 오프될 때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와,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터치가 감지될 때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표출시키는 화면 표출부와,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터치가 감지될 때, 터치된 상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나머지 대표 문자 버튼들의 표출 영역에 전환 표시되는 전환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표출시키는 전환 표출부와, 전환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에 대한 터치 드래그를 검출하는 드래그 검출부와, 상기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에 대한 터치 드래그가 발생되어 터치 오프될 때 상기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입력 인식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문자를 구성하기 위한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표시 패널에 표출시키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중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이 터치되어 버튼 외측으로 드래그될 때, 터치된 상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상기 표시 패널의 특정 위치에 표출시키는 과정과,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하나에서 상기 터치가 오프될 때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기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와,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터치가 감지될 때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표출시키는 화면 표출부와, 상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중 특정 대표 문자 버튼에 대한 터치 드래그를 검출하는 드래그 검출부와, 상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터치 드래그가 검출될 때 상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상기 표시 패널의 특정 위치에 표출시키는 은닉 문자 표출부와,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하나에서 상기 터치가 오프될 때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입력 인식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문자 버튼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버튼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함으로써, 문자 입력을 자판(버튼)에 대한 직관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보다 신속한 문자 입력의 실현과 동시에 입력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만을 입력 화면으로 표출시키고, 각 대표 문자 버튼의 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여 나머지의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선택적으로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초소형의 표시 패널을 요구하는 소형의 휴대용 정보 기기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버튼 크기를 갖는 한글 자판에 대한 문자 입력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버튼 크기를 갖는 영어 자판에 대한 문자 입력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버튼 크기를 갖는 일본어 자판에 대한 문자 입력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 및 은닉 문자 버튼이 서로 다른 버튼 크기를 갖는 영어 자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 및 은닉 문자 버튼이 서로 다른 버튼 크기를 갖는 한글 자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 및 은닉 문자 버튼이 서로 다른 버튼 크기를 갖는 일본어 자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으로부터 은닉 문자 버튼을 표출시켜 문자를 입력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9e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 및 은닉 문자 화면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영어 자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 및 은닉 문자 화면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한글 자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 및 은닉 문자 화면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일본어 자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으로부터 은닉 문자 화면을 표출시켜 문자를 입력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버튼 크기를 갖는 한글 자판에 대한 문자 입력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입력 대상의 문자를 위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문자 버튼, 즉 각 모음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모음 버튼과 각 자음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자음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각 문자 버튼(각 모음 버튼 및 각 자음 버튼)은 입력 사용 빈도(빈도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된다. 예컨대, 각 문자 버튼은 입력 사용 빈도가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자 버튼(한글 버튼)은 터치키로서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각 문자 구성요소의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각 문자 구성요소에 할당된 버튼(자판)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조절하여 각 버튼(문자판)의 넓이를 조절하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모음 구성요소 부분과 자음 구성요소 부분을 분리하여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자음 버튼과 관련하여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ㄴ, ㄹ, ㅇ 등의 자음 버튼(자음 자판)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배치)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ㅁ, ㅂ 등의 자음 버튼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모음 버튼과 관련하여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ㅏ 등의 모음 버튼(모음 자판)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배치)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ㅜ 등의 모음 버튼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다수의 문자 버튼을 이용한 문자의 입력과 관련하는 기능 설정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 버튼, 예컨대 FINAL 버튼, SPACE 버튼, BACK SPACE 버튼, ENTER 버튼 등과 같은 기능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기능키 버튼 또한 그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버튼 크기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FINAL 버튼은, 예컨대 한글의 경음 입력을 위한 경음 버튼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각 기능키 버튼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능키 한글 버튼은 터치키로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한글을 입력할 때 FINAL 버튼(끝키)을 사용하여 모든 자음과 모음 입력을 2회 이내에 입력할 수 있다. 즉, 버튼(자판)을 누르고 FINAL 버튼을 누름으로써 가장 획수가 많은 자음인 경음이나 중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ㄱ 버튼(자판)을 누르고 FINAL 버튼을 누르면 ㄲ이 입력되고 ㅗ 버튼을 누르고 FINAL 버튼을 누르면 ㅙ 이 입력되는 방식이다.
그 외의 중모음은 기존의 조합식 입력 방법을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ㅗ 을 ㅏ 을 누르면 ㅘ 이 입력되고, ㅏ 을 누르고 ㅡ 을 누르면 ㅑ 이 입력되며, ㅏ 을 누르고 ㅣ 을 누르면 ㅐ 이 입력된다. 격음은 각 자음 버튼(자판)을 길게 눌러 입력할 수 있다. 즉, ㄱ 을 길게 누르면 ㅋ 이 입력되는데, 사실 사용 빈도로 따지면 중모음이나 격음의 사용 빈도는 기본 자음이나 모음의 빈도에 비하면 미미한 정도이기 때문에 문자 입력 속도에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버튼 크기를 갖는 영어 자판에 대한 문자 입력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입력 대상의 문자를 위한 모든 알파벳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문자 버튼, 즉 모든 알파벳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알파벳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각 알파벳 버튼은, 전술한 한글 버튼에서와 동일하게, 입력 사용 빈도(빈도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된다. 예컨대, 각 알파벳 버튼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알파벳 버튼은 터치키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전술한 한글 자판에서와 유사하게, 다수의 알파벳 버튼을 이용한 문자의 입력과 관련하는 기능 설정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 버튼, 예컨대 SHIFT 버튼, SPACE 버튼, BACK SPACE 버튼, ENTER 버튼 등과 같은 기능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기능키 버튼 또한 그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버튼 크기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알파벳 버튼과 관련하여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A, E, I, O, U 등의 모음 알파벳 버튼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하여 자판의 좌측 방향에 집중 배치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V, P, J, X 등의 알파벳 버튼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는 달리,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A, E, I, ㅇ 등의 알파벳 버튼은, 일례로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대략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으며, 각 기능키 버튼들을 하단 부분에 일련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버튼 크기를 갖는 일본어 자판에 대한 문자 입력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입력 대상의 문자를 위한 히라가나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문자 버튼, 즉 각 히라가나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히라가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각 히라가나 버튼은, 전술한 한글 버튼에서와 동일하게, 입력 사용 빈도(빈도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된다. 예컨대, 각 히라가나 버튼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히라가나 버튼은 터치키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전술한 한글 자판에서와 유사하게, 다수의 히라가나 버튼을 이용한 문자의 입력과 관련하는 기능 설정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 버튼, 예컨대 NEXT 버튼, SPACE 버튼, BACK SPACE 버튼, ENTER 버튼 등과 같은 기능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기능키 버튼 또한 그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버튼 크기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히라가나 버튼과 관련하여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히라가나 버튼들(예컨대, い(8%),か(6%),し(6%),ん(6%) 등의 히라가나 버튼)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배치)하여, 해당 히라가나가 포함되어 있는 열은 기본 표시 화면(도 3a)에 배치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어 히라가나 버튼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되어 있는 히라가나가 포함되어 있는 열은 은닉 표시 화면(도 3b)에 배치하였으며 NEXT 기능키를 터치하여 서로 전환하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은닉 화면에 배치된 열의 히라가나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번하게 사용되는 の 버튼만을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들에서는 한글 자판, 영어 자판, 일본어 자판을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한 예시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의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 측면의 미학적 관점을 고려하여 곡선 등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자판으로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실시 예]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 및 은닉 문자 버튼이 서로 다른 버튼 크기를 갖는 영어 자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예컨대 워치 폰, 스마트 시계 등과 같은 소형이면서 대략 원 형상의 터치 패널을 갖는 휴대용 정보 기기에 장착되는 문자 입력 수단으로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의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알파벳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예컨대, A, E, I, O, U의 모음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또는 다수의 모음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모음 버튼(대표 문자 버튼)은 입력 사용 빈도(빈도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모음 버튼은 터치키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대표 문자 버튼으로서 표시되는 모음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자음 구성요소들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로서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각 모음 버튼의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각 모음 구성요소에 할당된 버튼(자판)의 넓이를 조절하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예컨대, 모음 버튼과 관련하여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E 등의 모음 버튼(모음 자판)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배치)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U 등의 모음 버튼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대표 문자 구성요소(모음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대표 문자 버튼(모음 버튼)이 표시 패널에 표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모음 버튼, 예컨대 I 모음 버튼을 터치하면, 일례로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된 I 모음 버튼의 I 모음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예컨대 I 모음과 O 모음 사이에 존재하는 J, K, L, M, N 의 자음 구성요소(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I 모음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 버튼들(나머지 대표 문자 버튼들)의 표출 영역에 은닉 문자 버튼으로서 전환 표출된다.
즉, A 모음 버튼을 터치하면 A와 E 사이에 존재하는 자음 구성요소들이 은닉 문자 버튼으로서 표출되고, E 모음 버튼을 터치하면 E와 I 사이에 존재하는 자음 구성요소들이 은닉 문자 버튼으로서 표출되며, O 모음 버튼을 터치하면 O와 U 사이에 존재하는 자음 구성요소들이 은닉 문자 버튼으로서 표출되고, U 모음 버튼을 터치하면 U 이후에 존재하는 모든 자음 구성요소들이 은닉 문자 버튼으로서 표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환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하나로 터치를 드래그한 후 그 터치를 오프함으로써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원하는 문자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대표 문자 버튼(모음 버튼)의 터치를 통해 표출되는 은닉 문자 버튼들은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그 표출 크기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즉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또는 은닉 문자 버튼)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표출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표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또는 은닉 문자 버튼을 이용한 문자의 입력과 관련하는 기능 설정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 버튼, 예컨대 SHIFT 버튼, SPACE 버튼, BACK SPACE 버튼, ENTER 버튼 등과 같은 기능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기능키 버튼 또한 그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버튼 크기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4c는 도 4b에서 좁은 자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터치된 모음의 버튼 면적이 최소화되어 은닉 문자 버튼인 자음의 문자 버튼에 면적을 배분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 및 은닉 문자 버튼이 서로 다른 버튼 크기를 갖는 한글 자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일례로서 자음의 첫 글자(ㄱ)와 모음의 첫 글자(ㅏ)를 대표 문자 구성요소(대표 자음 구성요소 및 대표 모음 구성요소)로 하여 이들을 각각 표시하는 두 개의 대표 문자 버튼(대표 자음 문자 버튼과 대표 모음 문자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기능키 버튼, 예컨대 FINAL 버튼, SPACE 버튼, BACK SPACE 버튼, ENTER 버튼 등과 같은 기능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 기능키 버튼은 그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버튼 크기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FINAL 버튼은, 예컨대 한글의 경음 입력을 위한 경음 버튼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대표 자음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자음 구성요소들과 대표 모음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모음 구성요소들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은닉 자음 구성요소 및 은닉 모음 구성요소)들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와는 달리, 다수의(둘 이상의) 대표 모음 버튼과 다수의(둘 이상의) 대표 자음 버튼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대표 자음 문자 버튼을 터치하면, 일례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 자음 문자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에 은닉되어 있던 나머지 자음 구성요소들(은닉 자음 구성요소들)이 각각의 자음 버튼(은닉 자음 버튼)으로 표시되어 표출되는데, 이러한 은닉 자음 버튼들은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그 표출 크기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즉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은닉 자음 버튼(은닉 문자 버튼)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표출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은닉 자음 버튼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표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a의 표출 상태에서 사용자가 대표 모음 문자 버튼을 터치하면, 일례로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 모음 문자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에 은닉되어 있던 나머지 모음 구성요소들(은닉 모음 구성요소들)이 각각의 모음 버튼(은닉 모음 버튼)으로 표시되어 표출되는데, 이러한 은닉 모음 버튼들은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그 표출 크기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즉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은닉 모음 버튼(은닉 문자 버튼)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표출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은닉 모음 버튼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표출될 수 있다.
도 5c와 5e는 도 4c의 영어 자판과 같이 좁은 자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터치된 자음과 모음의 버튼 면적이 최소화되어 은닉 문자 버튼인 자음과 모음의 문자 버튼에 면적을 배분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 및 은닉 문자 버튼이 서로 다른 버튼 크기를 갖는 일본어 자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일례로서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히라가나 い, か, し, た, ん를 대표 문자 구성요소로 하여 이들을 각각 표시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기능키 버튼, 예컨대 NEXT 버튼, SHIFT 버튼, SPACE 버튼, BACK SPACE 버튼, ENTER 버튼 등과 같은 기능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 대표 문자 버튼과 각 기능키 버튼은 그 입력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버튼 크기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표 문자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 구성요소들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로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도 6a의 표시 패널 상태에서 い 문자 버튼(특정 대표 문자 버튼)을 터치하면, 일례로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 문자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에 은닉되어 있던 나머지 문자 구성요소들(あ, う, え, お)이 표시되는 각각의 문자 버튼(은닉 문자 버튼)으로 표시 패널에 표출되는데, 이러한 은닉 문자 버튼들은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그 표출 크기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즉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은닉 문자 버튼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표출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은닉 문자 버튼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표출될 수 있다.
이때, 한글과 영어에서와 마찬가지로 터치된 대표 문자 버튼의 면적이 최소화되어 은닉 문자 버튼에 면적을 배분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6c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일례로서 히라가나 の, は, ま, や, ら, わ를 대표 문자 구성요소로 하여 이들을 각각 표시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도 6c의 표시 패널 상태에서 の 문자 버튼(특정 대표 문자 버튼)을 터치하면, 일례로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표 문자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에 은닉되어 있던 나머지 문자 구성요소들(な, に, ぬ, ね)이 표시되는 각각의 문자 버튼(은닉 문자 버튼)으로 표시 패널에 표출되는데, 이러한 은닉 문자 버튼들은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그 표출 크기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즉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은닉 문자 버튼은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표출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은닉 문자 버튼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표출될 수 있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터치된 대표 문자 버튼 면적이 최소화되어 은닉 문자 버튼에 면적을 배분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터치 감지부(710), 드래그 검출부(720), 저장부(730) 및 제어 모듈(74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모듈(740)은 화면 표출부(742), 전환 표출부(744) 및 입력 인식부(7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터치 감지부(710)는, 예컨대 정전식의 터치 센서 등을 포함하여 문자 입력 등을 위한 사용자 터치, 버튼 터치 등을 감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에서 감지되는 터치신호(예컨대,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터치신호, 버튼 터치신호, 기능키 터치신호 등)는 제어 모듈(740)로 전달된다.
다음에, 드래그 검출부(720)는 후술하는 전환 표출부(744)에 의해 도시 생략된 표시 패널(또는 터치 패널)에 전환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터치된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특정 은닉 문자 버튼)에 대한 터치 드래그를 검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검출되는 드래그 신호는 제어 모듈(740)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표시 패널로 전환 표출되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는, 일례로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 구성요소 및 모음 구성요소, 영어의 알파벳 구성요소, 일본어의 히라가나 구성요소 중 어느 한 그룹일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730)에는 문자 입력을 위한 각 언어(예컨대, 한글, 영어, 인본어 등)들에 대한 문자 구성요소(예컨대, 한글의 자음 구성요소 및 모음 구성요소, 영어의 알파벳 구성요소, 일본어의 히라가나 구성요소 등)들의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과 다수의 기능키 버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입력 화면과 은닉 문자 구성소요들을 표시하는 은닉 문자 버튼들을 포함하는 전환 화면 등과 같은 화면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여기에서, 입력 화면 및 전환 화면은 중앙 부분에 기능키 버튼들이 배치되고,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들이 배치되는 원 형상의 화면일 수 있다.
다음에, 제어 모듈(740) 내 화면 표출부(742)는 터치 감지부(710)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터치신호가 전달될 때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화면을 생성, 즉 저장부(730)로부터 인출하여 표시 패널 측으로 표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화면은, 예컨대 한글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자음 버튼 및 대표 모음 버튼, 영어 입력을 위한 다수의 대표 알파벳 버튼(예컨대, 알파벳 모음 버튼), 일본어 입력을 위한 다수의 대표 히라가나 버튼 중 어느 한 그룹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표출부(742)는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내 각 버튼의 크기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즉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버튼을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버튼을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환 표출부(744)는 터치 감지부(710)로부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터치신호가 전달될 때, 터치된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나머지 대표 문자 버튼들의 표출 영역에 전환 표시되는 전환 화면을 생성, 즉 저장부(730)로부터 인출하여 표시 패널에 표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일례로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 구성요소 및 모음 구성요소, 영어의 알파벳 구성요소, 일본어의 히라가나 구성요소 중 어느 한 그룹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전환 표출부(744)는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의 표출 크기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전환 표출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전환 표출할 수 있다.
다음에, 입력 인식부(746)는 전환 표출부(744)로부터의 전환 제어에 따라 표시 패널에 전환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에 대한 드래그 검출신호가 드래그 검출부(720)로부터 전달된 후 터치 오프가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의 터치 드래그에 대한 터치 오프가 검출되면, 터치 오프가 발생된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임의의 대표 문자 버튼에 대한 터치를 통해 은닉 문자 버튼들이 전환 표출되는 상태에서 자신이 원하는 은닉 문자 버튼으로 터치를 드래그한 후 터치를 오프(제거)시킴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문자 심볼로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환 표출부(744)는,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가 입력으로 인식될 때, 은닉 문자 버튼들을 표출시키는 전환 화면을 입력 화면으로 복귀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으로부터 은닉 문자 버튼을 표출시켜 문자를 입력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감지부(710)에서는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사용자 터치신호를 발생하여 제어 모듈(740) 내 화면 표출부(742)로 전달한다(단계 802).
이에 응답하여, 화면 표출부(742)에서는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화면을 저장부(730)로부터 인출하여 표시 패널 측으로 표출시킨다(단계 804).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패널에 표출되는 입력 화면상의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중의 어느 하나를 터치(선택)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을 터치하면(단계 806), 전환 표출부(744)에서는 터치된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나머지 대표 문자 버튼들의 표출 영역에 전환 표시되는 전환 화면을 저장부(730)로부터 인출하여 표시 패널로 전환 표출시킨다(단계 808).
이후, 사용자는 특정 대표 문자 버튼에 대한 터치를 오프하거나(단계 810) 혹은 임의의 은닉 문자 버튼으로 드래그할 수 있는데(단계 812), 단계(810)에서의 체크 결과 사용자가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터치를 오프한 것으로 판단되면, 즉 터치 감지부(710)로부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에 대한 터치 오프신호가 전달되면, 입력 인식부(746)에서는 특정 대표 문자 버튼에 표시된 대표 문자 구성요소를 문자 입력으로 인식하며(단계 816), 그 결과 입력된 문자를 나타내는 입력창(입력 메뉴)에 해당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문자 심볼로서 표출(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단계(812)에서의 체크 결과, 드래그가 검출, 즉 드래그 검출부(720)로부터 드래그 검출신호가 전달되면, 입력 인식부(746)에서는 터치 감지부(710)로부터 드래그된 위치의 은닉 문자 버튼(은닉 문자 구성요소가 표시된 은닉 문자 버튼)에 대한 터치 오프신호가 전달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 즉 드래그된 위치의 은닉 문자 버튼에 대한 터치가 오프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814). 여기에서,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한글의 자음 구성요소 및 모음 구성요소, 영어의 알파벳 구성요소, 일본어의 히라가나 구성요소 중 어느 한 그룹일 수 있다.
상기 단계(814)에서의 체크 결과, 드래그된 위치의 은닉 문자 버튼에 대한 터치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816)로 진행되며, 그에 따라 입력 인식부(746)에서는 해당 은닉 문자 버튼에 표시된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문자 입력으로 인식하며, 그 결과 입력된 문자를 나타내는 입력창(입력 메뉴)에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가 문자 심볼로서 표출(디스플레이)된다.
[제 3 실시 예]
도 9a 내지 9e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 및 은닉 문자 화면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영어 자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예컨대 워치 폰, 스마트 시계 등과 같은 소형의 터치 패널을 갖는 휴대용 정보 기기에 장착되는 문자 입력 수단으로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의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알파벳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예컨대, A, E, I, O, U의 모음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또는 다수의 모음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모음 버튼(대표 문자 버튼)은 입력 사용 빈도(빈도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모음 버튼은 터치키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대표 문자 버튼으로서 표시되는 모음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자음 구성요소들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로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대표 문자 구성요소(모음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대표 문자 버튼(모음 버튼)이 표시 패널에 표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모음 버튼, 예컨대 I 모음 버튼을 터치한 후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그 이동 거리에 따라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열 방향으로 일련하게 순차 표출, 즉 드래그의 이동 거리에 따라 J, K, L, M, N의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팝업창 형태로 순차 표출된다. 일례로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I 모음을 터치하여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M 자음 구성요소가 표출될 때 터치를 오프(제거)함으로써 M 자음을 문자 심볼로서 입력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I 모음 버튼을 터치한 후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H, G, F의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팝업창 형태로 순차 표출된다. 일례로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I 모음을 터치하여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H 자음 구성요소가 표출될 때 터치를 오프(제거)함으로써 H 자음을 문자 심볼로서 입력할 수 있다.
도 9b는 대표 문자 구성요소(모음 구성요소)중 A 모음 문자 버튼(모음 버튼)을 중심으로 우측에 E 모음 문자, 아래(하)에 I 모음, 문자 좌측에 O 모음 문자, 위(상)에 U 모음 문자가 표시 패널에 표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A 모음 외에 E, A, I, O 모음은 은닉 모음으로 A 모음 터치 후 각 방향으로 드래그 하여 표출하게 할 수도 있다.
도 9c는 그 일례로 사용자가 임의의 모음 버튼, 예컨대 E 모음 버튼을 터치한 후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그 이동 거리에 따라 은닉 자음 문자 구성요소들인 F, G, H 자음이 열 방향으로 일련하게 순차 표출되며,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그 이동 거리에 따라 은닉 자음 문자 구성요소들인 D, C, B 자음이 열 방향으로 일련하게 순차 표출된다.
도 9d는 대표 문자 구성요소(모음 구성요소)중 A 모음 문자 버튼(모음 버튼)만 표시 패널에 표출되고, E,I,O,U 문자를 은닉 모음으로 하여 A 모음을 터치한 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E,O,U의 은닉 모음 구성요소들이 팝업창 형태로 순차 표출되며,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U,O,I,E의 은닉 모음이 팝업창 형태로 순차 표출된다.
그리고, 드래그를 통해 터치된 모음의 위치에서 상(위) 또는 하(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해당 모음에 은닉되어 있는 자음이 순차 표출된다. 일례로써, A 모음 버튼을 터치한 후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E 모음이 표출된 위치에서 다시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G 자음이 표출될 때 터치를 오프(제거)함으로써 G 자음을 문자 심볼로서 입력할 수 있다.
도 9e는 도 9d에서와 같이 A 모음 문자 버튼(모음 버튼)만 표시 패널에 표출되며, A 모음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면 우측에 E, 아래에 I, 좌측에 O, 위에 U의 은닉 모음이 순차적으로 표출된다. A 모음의 우측에 표출된 E 은닉 모음과 좌측에 표출된 O 은닉 모음에서는 상(위)하(아래)로 드래그하면 은닉되어 있는 자음이 순차 표출되며, A 모음의 아래에 표출된 I 은닉 모음과 위에 표출된 U 은닉 모음에서는 좌우로 드래그하면 은닉 자음이 표출된다. 일례로써, A 모음 버튼을 터치한 후 위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U 은닉 모음이 표출된 위치에서 다시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T 은닉 자음이 표출될 때 터치를 오프(제거)함으로써 T 은닉 자음을 문자 심볼로서 입력할 수 있으며, U 은닉 모음이 표출된 위치에서 다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V 은닉 자음이 표출될 때 터치를 오프(제거)함으로써 V 은닉 자음을 문자 심볼로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대표 문자 버튼을 터치한 후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드래그할 때, 각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개별의 팝업창으로 표출하지 않고, 사전 순서적으로 일련하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연결된 팝업 메뉴 형태로 동시 표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예컨대, J, K, L, M, N의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표출,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팝업창으로 표출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팝업창으로 표출될 수 있다.
상기와는 달리,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예컨대, J, K, L, M, N의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표출,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긴 설정 시간 동안 표출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설정 시간 동안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영어 입력 방식에서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상하 방향으로 배열(배치)하고, 버튼의 드래그를 좌우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의 영어 입력 방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수평 방향으로 배열(배치)하고, 버튼의 드래그를 상하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은닉 문서 구성요소들은 상 또는 하 방향에서 수직으로(횡 방향으로 일련하게) 순차 표출되거나 혹은 연결된 팝업 메뉴 형태로 표출될 것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 및 은닉 문자 화면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한글 자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예컨대 워치 폰, 스마트 시계 등과 같은 소형의 터치 패널을 갖는 휴대용 정보 기기에 장착되는 문자 입력 수단으로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의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자음 구성요소 및 모음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예컨대, ㄱ, ㄹ, ㅅ의 자음 구성요소와 ㅏ, ㅗ, ㅣ의 모음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또는 다수의 자음 버튼 및 다수의 모음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대표 문자 버튼은 입력 사용 빈도(빈도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대표 문자 버튼은 터치키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대표 문자 버튼으로서 표시되는 다수의 자음 구성요소 및 다수의 모음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자음 구성요소들 및 모음 구성요소들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로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대표 문자 버튼이 표시 패널에 표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자음 버튼, 예컨대 ㄱ 자음 버튼을 터치한 후 우측 방향의 버튼 외측으로 드래그하면, 일례로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이동 거리에 따라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열 방향으로 일련하게 드래그의 이동 거리에 따라 ㄴ, ㄷ 등의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팝업창 형태로 순차 표출되고, 예컨대 ㄹ 자음 버튼을 터치한 후 좌측 방향의 버튼 외측으로 드래그하면, 그 이동 거리에 따라 ㄷ 등의 은닉 문자 구성요소가 팝업창 형태로 표출된다.
즉, ㄱ 자음 버튼을 터치한 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ㄴ, ㄷ이 팝업창 형태로 순차 표출되고, ㄹ 자음 버튼을 터치한 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ㅁ, ㅂ이 팝업창 형태로 순차 표출되고, ㄹ 자음 버튼을 터치한 후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ㄷ, ㄴ 이 팝업창 형태로 순차 표출되는 등과 같은 방식으로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표출된다. 여기에서, 은닉 문자 구성요소(자음 구성요소)가 표출되는 위치에서 터치를 오프(제거)함으로써 해당 자음 구성요소를 문자 심볼로서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a에서 ㅏ 모음 버튼을 터치하여 우측으로 드래그하거나 혹은 ㅣ 모음 버튼을 터치하여 좌측으로 드래그하면, 일례로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ㅏ와 ㅣ에 대해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해당 모음의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팝업창 형태로 표출된다. 여기에서, 은닉 문자 구성요소(모음 구성요소)가 표출되는 위치에서 터치를 오프(제거)함으로써 해당 모음 구성요소를 문자 심볼로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들 중 좌측에 있는 자음 대표 버튼 중의 하나를 터치하면 우측에 있는 모음 대표 버튼들은 사라지게(표시 패널에서의 표출 오프) 되고, 마찬가지로 우측에 있는 모음 대표 버튼 중의 하나를 터치하면 좌측에 있는 자음 대표 버튼들은 사라지게(표시 패널에서의 표출 오프)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대표 문자 버튼을 터치한 후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할 때, 각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개별의 팝업창으로 표출하지 않고, 사전 순서적으로 일련하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연결된 팝업 메뉴 형태로 동시 표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자음 또는 모음의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표출,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팝업창으로 표출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팝업창으로 표출될 수 있다.
상기와는 달리, 자음 또는 모음의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표출,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긴 설정 시간 동안 표출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설정 시간 동안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한글 입력 방식에서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상하 방향으로 배열(배치)하고, 버튼의 드래그를 좌우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의 한글 입력 방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수평 방향으로 배열(배치)하고, 버튼의 드래그를 상하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은닉 문서 구성요소들은 상 또는 하 방향에서 수직으로(횡 방향으로 일련하게) 순차 표출되거나 혹은 연결된 팝업 메뉴 형태로 표출될 것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 및 은닉 문자 화면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일본어 자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예컨대 워치 폰, 스마트 시계 등과 같은 소형의 터치 패널을 갖는 휴대용 정보 기기에 장착되는 문자 입력 수단으로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의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히라가나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예컨대, い, か, し, た, ん, の, ほ, も, を, ろ의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대표 문자 버튼은 입력 사용 빈도(빈도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대표 문자 버튼은 터치키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대표 문자 버튼으로서 표시되는 다수의 히라가나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히라가나 구성요소들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로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대표 문자 버튼이 표시 패널에 표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히라가나 버튼, 예컨대 ぅ 버튼을 터치한 후 좌측으로 드래그하거나 혹은 き 버튼을 터치한 후 우측으로 드래그하면, 일례로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이동 거리에 따라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열 방향으로 일련하게 순차 표출, 예컨대 전술한 영어 및 한글 입력 방식에서와 동일하게,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의 이동 거리에 따라 사전 순서적인 관련을 갖는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팝업창 형태로 순차 표출된다. 여기에서, 은닉 문자 구성요소(히라가나 구성요소)가 표출되는 위치에서 터치를 오프(제거)함으로써 해당 히라가나 구성요소를 문자 심볼로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들 중 좌측에 있는 히라가나 대표 버튼 중의 하나를 터치하면 우측에 있는 히라가나 버튼들은 사라지게(표시 패널에서의 표출 오프) 되고, 마찬가지로 우측에 있는 히라가나 대표 버튼 중의 하나를 터치하면 좌측에 있는 히라가나 대표 버튼들은 사라지게(표시 패널에서의 표출 오프)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용의 문자 입력 장치는 대표 문자 버튼을 터치한 후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드래그할 때, 각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개별의 팝업창으로 표출하지 않고, 사전 순서적으로 일련하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이 연결된 팝업 메뉴 형태로 동시 표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표출,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팝업창으로 표출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팝업창으로 표출될 수 있다.
상기와는 달리,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표출,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긴 설정 시간 동안 표출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설정 시간 동안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일본어 입력 방식에서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상하 방향으로 배열(배치)하고, 버튼의 드래그를 좌우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의 일본어 입력 방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수평 방향으로 배열(배치)하고, 버튼의 드래그를 상하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은닉 문서 구성요소들은 상 또는 하 방향에서 수직으로(횡 방향으로 일련하게) 순차 표출되거나 혹은 연결된 팝업 메뉴 형태로 표출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터치 감지부(1210), 드래그 검출부(1220), 저장부(1230) 및 제어 모듈(124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모듈(1240)은 화면 표출부(1242), 은닉 문자 표출부(1244) 및 입력 인식부(12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터치 감지부(1210) 및 드래그 검출부(1220) 각각의 구성 및 기능은 도 7에 도시된 대응하는 터치 감지부(710) 및 드래그 검출부(720)의 구성 및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이들 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저장부(1230)에는, 도 7의 저장부(730)에서와 마찬가지로, 문자 입력을 위한 각 언어(예컨대, 한글, 영어, 인본어 등)들에 대한 문자 구성요소(예컨대, 한글의 자음 구성요소 및 모음 구성요소, 영어의 알파벳 구성요소, 일본어의 히라가나 구성요소 등)들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과 다수의 기능키 버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입력 화면과 은닉 문자 구성소요들을 표시하는 은닉 문자 버튼들을 포함하는 전환 화면 등과 같은 화면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여기에서, 입력 화면 및 전환 화면은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들이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일련하는 사각 형상의 화면일 수 있다.
다음에, 제어 모듈(1240) 내 화면 표출부(1242)는 터치 감지부(1210)로부터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터치신호가 전달될 때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화면을 생성, 즉 저장부(1230)로부터 인출하여 표시 패널 측으로 표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화면은, 예컨대 한글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표 자음 버튼 및 대표 모음 버튼, 영어 입력을 위한 다수의 대표 알파벳 버튼(예컨대, 알파벳 모음 버튼), 일본어 입력을 위한 다수의 히라가나 버튼 중 어느 한 그룹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표출부(1242)는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내 각 버튼의 크기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즉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버튼을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버튼을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은닉 문자 표출부(1244)는 드래그 검출부(1220)로부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드래그 검출신호가 전달될 때, 터치된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표시 패널의 측정 위치, 즉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팝업창 형태로 표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일례로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 구성요소 및 모음 구성요소, 영어의 알파벳 구성요소, 일본어의 히라가나 구성요소 중 어느 한 그룹일 수 있다.
또한, 은닉 문자 표출부(1244)는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의 표출 크기(팝업창의 크기)를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팝업창으로 표출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팝업창으로 표출할 수 있다.
상기와는 달리, 은닉 문자 표출부(1244)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그 입력 사용 빈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표출, 예컨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긴 설정 시간 동안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의 팝업창이 표출되고,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설정 시간 동안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의 팝업창이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에, 입력 인식부(1246)는 은닉 문자 표출부(1244)로부터의 표출 제어에 따라 표시 패널에 팝업창 형태로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에 대한 터치 오프신호가 터치 감지부(1210)로부터 전달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의 터치 오프가 검출되면, 터치 오프가 발생된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임의의 대표 문자 버튼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은닉 문자 버튼들이 팝업창 형태로 표출되는 상태에서 자신이 원하는 은닉 문자 버튼의 위치로 드래그한 후 그 터치를 오프(제거)시킴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문자 심볼로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은닉 문자 표출부(1244)는, 특정 은닉 문자 구성요소가 입력으로 인식될 때, 현재 화면을 입력 화면으로 복귀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라 대표 문자 버튼으로부터 은닉 문자 버튼을 표출시켜 문자를 입력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 감지부(1210)에서는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사용자 터치신호를 발생하여 제어 모듈(1240) 내 화면 표출부(1242)로 전달한다(단계 1302).
이에 응답하여, 화면 표출부(1242)에서는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화면을 저장부(1230)로부터 인출하여 표시 패널 측으로 표출시킨다(단계 1304).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패널에 표출되는 입력 화면상의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중의 어느 하나를 터치(선택)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을 터치하면(단계 1306), 입력 인식부(1246)에서는 터치 감지부(1210)로부터 터치된 특정 대표 문자 버튼에 대한 터치 오프신호가 전달되는 지의 여부(터치 오프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1308), 은닉 문자 표출부(1244)에서는 드래그 검출부(1220)로부터 드래그 검출신호가 전달되는 지의 여부(드래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1310).
상기 단계(1308)에서의 체크 결과, 사용자가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터치를 오프한 것으로 판단되면, 즉 터치 감지부(1210)로부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에 대한 터치 오프신호가 전달되면, 입력 인식부(1246)에서는 특정 대표 문자 버튼에 표시된 대표 문자 구성요소를 문자 입력으로 인식하며(단계 1316), 그 결과 입력된 문자를 나타내는 입력창(입력 메뉴)에 해당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문자 심볼로서 표출(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단계(1310)에서의 체크 결과, 드래그가 검출, 즉 드래그 검출부(1220)로부터 드래그 검출신호가 전달되면, 은닉 문자 표출부(1244)에서는 터치된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드래그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의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표시 패널의 측정 위치, 즉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팝업창 형태로 표출시킨다(단계 1312). 여기에서,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일례로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의 자음 구성요소 및 모음 구성요소, 영어의 알파벳 구성요소, 일본어의 히라가나 구성요소 중 어느 한 그룹일 수 있다.
다음에, 입력 인식부(1246)에서는 드래그의 이동 거리에 따라 팝업창 형태로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에 대한 터치 오프신호가 터치 감지부(1210)로부터 전달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단계 1314),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의 터치 오프가 검출되면, 터치 오프가 발생된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입력으로 인식하며(단계 1316), 그 결과 입력된 문자를 나타내는 입력창(입력 메뉴)에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가 문자 심볼로서 표출(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한글, 영어, 일본어에 대한 문자 입력 장치를 예시적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다양한 언어, 예컨대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과 같은 다양한 언어들에도 동일한 기술사상으로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710, 1210 : 터치 감지부
720, 1220 : 드래그 검출부
730, 1230 : 저장부
740, 1240 : 제어 모듈
742, 1242 : 화면 표출부
744 : 전환 표출부
746, 1246 : 입력 인식부
1244 : 은닉 문자 표출부

Claims (19)

  1. 화면 표출부가 문자의 입력을 위한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표시 패널에 표출시키는 과정과,
    전환 표출부가 상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중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이 터치될 때, 터치된 상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나머지 대표 문자 버튼들의 표출 영역에 전환 표출시키는 과정과,
    입력 인식부가 전환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하나로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어 터치 오프될 때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내 각 버튼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되며,
    상기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전환 표출되고,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전환 표출되며,
    상기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로 전환 표출될 때, 터치된 상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면적은,
    상기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상대적으로 면적이 가장 작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배분되는
    문자 입력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화면 표출부가 문자를 구성하기 위한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표시 패널에 표출시키는 과정과,
    은닉 문자 표출부가 상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중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이 터치되어 버튼 외측으로 드래그될 때, 터치된 상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상기 표시 패널의 특정 위치에 표출시키는 과정과,
    입력 인식부가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하나에서 상기 터치가 오프될 때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긴 설정 시간 동안 표출되고,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설정 시간 동안 표출되는
    문자 입력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내 각 버튼은,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되는
    문자 입력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는,
    상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의 배열 형태에 따라 상하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문자 입력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팝업창 형태로 표출되는
    문자 입력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상기 드래그의 이동 거리에 따라 열 방향으로 순차 표출되는
    문자 입력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상기 드래그의 이동 거리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순차 표출되는
    문자 입력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은,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표출되고,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을수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표출되는
    문자 입력 방법.
  15. 삭제
  16.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와,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터치가 감지될 때 다수의 문자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가 각각 표시되는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표출시키는 화면 표출부와,
    상기 다수의 대표 문자 버튼 중 특정 대표 문자 버튼에 대한 터치 드래그를 검출하는 드래그 검출부와,
    상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터치 드래그가 검출될 때 상기 특정 대표 문자 버튼의 대표 문자 구성요소와 사전 순서적인 관련성을 갖는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을 상기 표시 패널의 특정 위치에 표출시키는 은닉 문자 표출부와,
    표출 중인 은닉 문자 구성요소들 중 하나에서 상기 터치가 오프될 때 해당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입력 인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은닉 문자 표출부는,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의 표출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하고,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의 표출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는
    문자 입력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출부는,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버튼을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하고,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버튼을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하는
    문자 입력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 문자 표출부는,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표출하고, 상기 입력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은닉 문자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표출하는
    문자 입력 장치.
  19. 삭제
KR1020140058093A 2014-05-15 2014-05-15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624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093A KR101624255B1 (ko) 2014-05-15 2014-05-15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093A KR101624255B1 (ko) 2014-05-15 2014-05-15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184A Division KR20150061889A (ko) 2013-11-28 2013-11-28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104A KR20150062104A (ko) 2015-06-05
KR101624255B1 true KR101624255B1 (ko) 2016-05-26

Family

ID=5350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093A KR101624255B1 (ko) 2014-05-15 2014-05-15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8704A1 (en) * 2018-09-26 2020-04-02 Ebay Inc. Detecting selection of disabled inner links within nested con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24B1 (ko) 2016-08-26 2017-06-07 이진우 문자 출력 영역에서 입력과 출력의 듀얼 기능을 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0153A (ja) 2006-04-10 2007-10-2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JP2011233501A (ja) 2010-04-26 2011-11-17 Sumitomo Electric Ind Ltd コネクタ部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0153A (ja) 2006-04-10 2007-10-2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JP2011233501A (ja) 2010-04-26 2011-11-17 Sumitomo Electric Ind Ltd コネクタ部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8704A1 (en) * 2018-09-26 2020-04-02 Ebay Inc. Detecting selection of disabled inner links within nested content
US10878053B2 (en) 2018-09-26 2020-12-29 Ebay Inc. Detecting selection of disabled inner links within nested content
US11194880B2 (en) 2018-09-26 2021-12-07 Ebay Inc. Detecting selection of disabled inner links within nested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104A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088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391080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EP1988444A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RE45694E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1100180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EP3190482B1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KR101039284B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624255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2126831B1 (ko) 처음입력문자에 기반한 한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82956A (ko)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1744124B1 (ko) 문자 출력 영역에서 입력과 출력의 듀얼 기능을 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N107003748B (zh) 字符输入辅助装置
JP4907296B2 (ja) 入力装置
KR101016948B1 (ko)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KR20110131575A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50061889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157084B1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JP7211481B2 (ja) 情報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KR101152293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창 출력방법 및 문자입력창 출력장치
JP6605921B2 (ja) ソフトウエアキーボードプログラム、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KR101804069B1 (ko) 범아랍어용 문자입력장치
KR20150066204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드래그 방식 문자입력방법 및 그 장치
KR101399150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US10387031B2 (en) Generating a touch-screen output of a selected character with a selected diacri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