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326A - 문자 배열,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배열,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326A
KR20040082326A KR1020040017964A KR20040017964A KR20040082326A KR 20040082326 A KR20040082326 A KR 20040082326A KR 1020040017964 A KR1020040017964 A KR 1020040017964A KR 20040017964 A KR20040017964 A KR 20040017964A KR 20040082326 A KR20040082326 A KR 20040082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haracter
input
buttons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878B1 (ko
Inventor
안재우
Original Assignee
안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우 filed Critical 안재우
Publication of KR2004008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식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한된 수의 버튼에 효율적으로 할당된 영어, 한글 및 기호의 문자 배열과, 이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자 배열,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식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한된 수의 버튼에 효율적으로 할당된 영어, 한글 및 기호의 문자 배열과, 이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휴대폰, PDA, 리모컨과 같이 제한된 수의 버튼을 구비한 휴대 장치에서의 문자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수많은 입력 방법과 문자 배열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휴대 장치는 문자 입력을 위해 고안된 장치가 아니며, 장치 자체의 성능 향상에 의해 문자 입력 기능이 추가된 것이므로, PC의 키보드보다 사용이 불편하다. 상기 휴대 장치에 보편적으로 적용된 버튼은 3x4 배열의 버튼 혹은 숫자 키패드이다. 상기 숫자 키패드는 PC 키보드에 비해 버튼의 수가 매우 적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숫자 버튼에 적어도 2 이상의 문자가 할당되는 것이 보편적이며,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평균적으로 1회 또는 1개가 넘는 키를 조작하여야 한다.
지금까지 일반적인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입력 방식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문자 배열,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가 제안되었다. 제안된 방식 중 일부는 종래 방식에 비해 획기적으로 문자 입력 속도와 사용자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는 있지만, 사용자가 새로운 문자 배열을 익혀야 하는 부담이 존재한다. 즉, 지금까지 제안된 입력 방식은 입력 방법의 변경과 더불어 새로운 문자 배열 또는 버튼의 증가를 수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그에 따른 입력 방법과 문자 배열을 숙지하여야 하며, 제조자는 새로운 입력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휴대 장치의 구조 특히 버튼의 개수를 변경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익숙하지 않은 입력 방식의 휴대 장치를 구매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새로운 입력 방식에서 문자 배열 및 입력 방법 중 어느 하나만 변경된다면 사용자의 부담은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측면에서는 입력 방법을 익히는 것 보다는 문자 배열을 익히는데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익숙해져 있는 문자 배열이 변경되지 않으면 제조자는 사용자의 별 부담 없이 다양한 입력 방법들을 휴대 장치에 시도해 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사용자로서도 자신에 맞는 입력 방법을 무리 없이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입력 방법에 적용이 가능한 기본적이고 효율적인 문자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입력 방법에 익숙한 사용자도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배열을 이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이며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배열 및 종래의 문자 배열에도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입력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문자 배열에 익숙한 사용자도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문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호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배열에 적용 가능한 문자 입력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누름의 장단 구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쉬프트 키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개의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에 있어서, 3x4 배열로 구성된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상기 제1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 문자로 할당되는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문자들로 구성된 제1 문자 셋, 상기 제1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2 문자로 할당되는 사용 빈도가 중간인 문자들로 구성된 제2 문자 셋 및 상기 제1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3 문자로 할당되는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문자들로 구성된 제3 문자 셋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문자셋에 포함된 문자는 1회의 키 조작에 의해 선택되며, 상기 제2 문자 셋 및 상기 제3 문자 셋에 포함된 문자는 미리 지정된 문자 입력 방식에 따른 키 조작에 의해 선택되며, 상기 제1 문자 셋 내지 상기 제3 문자 셋은 양손을 사용한 입력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할당된 키패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할당되며, 상기 제11 버튼 및 상기 제12 버튼을 각각 좌측 쉬프트 키와 우측 쉬프트 키로 이용하는 3x4 배열로 구성된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문자 내지 상기 제3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상에서 눌려진 버튼을 감지하고, 상기 좌측 쉬프트 플래그 및 상기 우측 쉬프트 플래그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좌측 쉬프트 플래그 및 상기 우측 쉬프트 플래그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제2 문자 및 제3 문자 중 어느 하나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하고, 상기 판단 결과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버튼이 상기 좌측 쉬프트 키 또는 우측 쉬프트 키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감지된 버튼이 좌측 쉬프트 키 또는 우측 쉬프트 키이면 상응하는 좌측 쉬프트 플래그 또는 우측 쉬프트 플래그를 설정하며,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감지된 버튼이 좌측 쉬프트 키 또는 우측 쉬프트 키가 아니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제1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하나에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할당되며, 상기 제11 버튼 및 상기 제12 버튼을 각각 좌측 쉬프트 키와 우측 쉬프트 키로 이용하는 3x4 배열로 구성된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문자 내지 상기 제3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진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버튼의 장단 입력을 판단하고, 상기 쉬프트 키에 상응하는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제2 문자 및 제3 문자중 하나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하고, 상기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버튼이 쉬프트 키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버튼이 쉬프트 키이면 상기 쉬프트 플래그를 설정하며, 상기 감지된 버튼이 쉬프트 키가 아니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상기 장단 입력에 상응하는 문자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할당된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를 버튼의 누름 회수에 따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진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버튼의 장단 입력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짧은 입력인 경우, 상기 버튼의 눌림 회수에 상응하는 상기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고, 판단 결과 긴 입력인 경우, 상기 감지된 버튼 직전에 눌려진 버튼이 동일한 버튼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동일하면, 구분자를 삽입하여 상기 긴 입력된 버튼을 직전 눌려진 버튼과 구별하며, 판단 결과 다르면, 스페이스를 삽입하여 상기 긴 입력된 버튼을 직전 눌려진 버튼과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할당된 3x4 배열의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문자 내지 상기 제3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서 일정 길이 이상의 선 긋기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선 긋기 방향에 상응하여 상기 감지된 버튼에 미리 할당된 상기 제2 문자 및 상기 제3 문자 중 어느 하나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하고, 상기 감지된 버튼의 일정 길이 이상의 선 긋기 방향이 존재하지 않으면, 장단 입력을 판단하며,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상기 장단 입력에 상응하는 문자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할당된 3x4 배열의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문자 내지 상기 제3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진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버튼의 장단 입력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 긴 입력이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상기 제2 문자 및 제3 문자 중 상기 긴 입력에 상응하는 문자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하고, 판단 결과 짧은 입력이면 상기 감지된 버튼이 연속하여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연속 선택되었으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상기 제2 문자 및제3 문자 중 상기 연속 선택에 상응하는 문자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하며, 판단 결과 연속 선택되지 않았으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제1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입력 모드에서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문자와 제2 입력 모드에서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문자가 할당된 3x4 배열의 버튼에서 상기 제2 문자를 상기 제1 입력 모드에서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입력 모드에서 제1 키 입력을 감지하고-여기서, 상기 제1 키 입력은 쉬프트 키, 버튼의 장단 입력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쉬프트 키는 상기 3x4 배열의 키패드 상의 [버튼 *] 및 [버튼 #] 중 어느 하나임, 제1 입력 모드에서 제2 키 입력을 감지하며-여기서, 상기 제2 키 입력은 버튼의 연속 선택, 버튼의 장단 입력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임, 상기 제1 키 입력 및 상기 제2 키 입력의 조합에 상응하여 미리 결정된 제2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입력 모드에서 선택할 수 있는 상기 제1키 입력 및 상기 제2 키 입력의 조합이 더 할당되어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할당되며, 상기 제11 버튼 및 상기 제12 버튼을 쉬프트 키로 이용하는 3x4 배열로 구성된 키패드와, 상기 복수의 버튼 중 눌려진 버튼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버튼의 장단 입력을 구분하는 입력 판단부와, 상기 쉬프트 키에 상응하는 쉬프트 플래그의 설정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장단 구분된 버튼에 상응하는 상기 제1 문자내지 상기 제3 문자를 선택하는 버튼 처리부 및 상기 버튼 처리부의 명령에 따라 설정 또는 해제되는 상기 쉬프트 플래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버튼에 할당된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문자 배열은 3x4 배열의 버튼들로 구성된 키패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문자 입력을 위해 버튼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배열은 각 문자별로 사용 빈도를 구해 (1) 버튼을 누르는 횟수의 최소화, (2) 양손 사용의 극대화, 그리고 (3) 쉬운 암기가 될 것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문자 배열을 암기하기 위한 적정한 정도의 학습을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배열에 익숙해지면 빠른 입력이 가능하도록 문자를 각 버튼에 배열하였다.
기본적으로 각 버튼마다 1~3개의 문자(제1 문자, 제2 문자, 제3 문자)가 지정이 되는데, 제1 문자들은 제2 문자들보다, 제2 문자들은 제3 문자들보다 쓰이는 빈도가 대체적으로 더 많은 문자들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문장 입력 시 버튼 누름이 문자 배열 전체에 골고루 분포 되도록 한다. 또한 입력의 단순함을 위해 모든 입력 문자는 버튼에 표기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3x4 키패드의 버튼 배열과 버튼의 이름은 다음과 같이 하기로 한다.
[버튼 1] [버튼 2] [버튼 3]
[버튼 4] [버튼 5] [버튼 6]
[버튼 7] [버튼 8] [버튼 9]
[버튼 *] [버튼 0] [버튼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문 배열 및 PC의 QWERTY 키보드 배열과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즉, QWERTY 키보드와의 연관성을 통한 사용자의 빠른 학습을 위해 전반적인 알파벳의 위치는 QWERTY 키보드의 배열을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영문 문자 배열은 3x4로 구성된 입력 버튼 중 [버튼 1] 내지 [버튼 9](1110 내지 1190)에 2 내지 3개의 영문자가 할당되며, 스페이스 문자는 [버튼 0](1200)에 할당된다. [버튼 1] 내지 [버튼 9](1110 내지 1190)에는 각각 제1 문자(1111 내지 1191), 제2 문자(1112 내지 1192) 및 제3 문자(1113 내지 1193)가 할당되며, 이중 [버튼 3](1130)에는 제1 문자(1131)와 제2 문자(1132)만 할당된다.
제1 문자 셋은 26개의 영문자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9개의 영문자이며, 제2 문자 셋은 그 다음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9개의 영문자이며, 제3 문자 셋은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8개의 영문자이다. 여기서, 기존 PC의 QWERTY 키보드와 유사한 문자 배열을 만들기 위해 최종 배열의 효율에 별 영향이 없는 한도 내에서 약간의 예외는 있을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1 문자 셋에 포함된 문자는 [버튼 1] 내지 [버튼 9](1110 내지 1190)의 제1 문자(1111 내지 1191)로 할당되며, 본 문자 배열이 어떠한 입력 방법에 적용되더라도 해당 버튼이 선택되면 기본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문자 셋 및 제3 문자 셋에 포함된 문자는 [버튼 1] 내지 [버튼 9](1110 내지 1190)의 각각 제2 문자(1112 내지 1192) 및 제3 문자(1113 내지 1193) 중 어느 하나로 할당되며 본 문자 배열이 적용된 입력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 가능한 문자이다. 표 1은 26개의 영문자를 제1 문자 셋 내지 제3 문자 셋으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통계에 따른 문자 빈도이다. 문자의 빈도는 쓰인 통계자료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지만 대체로 이런 비율이며, 약간의 차이는 무시할 수 있다.
표 1
통계 1 통계 2 통계 3
문자 빈도(%) 문자 빈도(%) 문자 빈도(%)
스페이스 18.59
E 14.00 E 10.31 E 12.77
T 9.85 T 7.96 T 8.55
A 7.49 A 6.42 O 8.07
O 7.37 O 6.32 A 7.78
S 6.95 I 5.75 N 6.86
N 6.74 N 5.74 I 6.67
I 6.65 S 5.14 R 6.51
R 6.14 R 4.84 S 6.22
H 4.22 H 4.67 H 5.95
D 3.62 L 3.21 D 4.02
L 3.57 D 3.17 L 3.72
C 3.54 U 2.28 U 3.08
M 3.39 F 2.08 C 2.96
U 3.00 M 1.98 M 2.88
P 2.43 W 1.75 P 2.23
F 2.18 Y 1.64 F 1.97
G 1.74 G 1.52 Y 1.96
W 1.69 P 1.52 W 1.76
Y 1.64 C 1.28 G 1.74
B 1.29 B 1.27 B 1.41
V 1.16 V 0.83 V 1.12
K 0.47 K 0.49 K 0.74
X 0.28 X 0.13 J 0.51
J 0.27 J 0.08 X 0.27
Q 0.26 Q 0.08 Z 0.17
Z 0.04 Z 0.05 Q 0.08
상기 표에 의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 빈도: 스페이스 E T [A O] [I N S R] H [D L] [U M C] [F P] [Y W G] B V K [J X Q Z]
상기 사용 빈도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사용 빈도가 낮아지며, 브래킷 내의 문자는 서로 유사한 빈도로 사용됨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페이스가 가장 높은 빈도로 이용된다. 따라서, PC 키보드의 스페이스 바와 상대적으로 같은 위치인 [버튼 0](1200)에 스페이스를 할당한다.
다음으로, 제1 문자 셋 내지 제3 문자 셋은 PC 키보드의 사실상 표준인 QWERTY 키보드를 기준으로 배열한다. 영문자를 QWERTY 키보드를 기준으로 배열하는 것은 사용자들이 이미 QWERTY 키보드에 익숙하므로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영문자 배열에 적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QWERTY 키보드 상에서의 위치와 그 키를 누르는 손(즉, 왼손 또는 오른손)을 고려하여 제1 문자 셋에 해당하는 9개의 영문자(E T A O I N S R H)를 [버튼 1] 내지 [버튼 9](1110 내지 1190)에 할당한다. 즉, QWERTY 키보드 상에서 왼쪽에 위치하고 왼손으로 입력하는 'E' 'A' 'S'는 각각 [버튼 1](1110), [버튼 4](1140), [버튼 7](1170)에 할당하고, 오른손으로 입력하는 'O' 'I' 'N'은 각각 [버튼 3](1130), [버튼 6](1160), [버튼 9](1190)에 할당하며, QWERTY 키보드 상에서 중간에 위치한 'T' 'R' 'H'는 각각 [버튼 2](1120), [버튼 5](1150), [버튼 8](1180)에 할당한다. 여기서, 'T'와 'R'의 위치는 서로 치환 가능하며, 'A'와 'S'의 위치도 서로 치환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된 제1 문자를 기준으로 QWERTY 키보드에서 해당 문자의 인근에 위치한 제2 문자 셋에 포함된 문자와 제3 문자 셋에 포함된 문자를 선택한다. 즉, 제1 문자 셋에 해당하는 문자를 배열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제2 문자 셋에 해당하는 9개의 영문자(D L U M C F P W G)와 제3 문자 셋에 해당하는 8개의 영문자(Y B V K J X Q Z)를 [버튼 1] 내지 [버튼 9](1110 내지 1190)에 할당한다. 여기서, 제2 문자 셋과 제3 문자 셋은 QWERTY 키보드의 배열과 유사한 문자 배열을 만들기 위해 약간 빈도가 어긋나게 정의 될 수 있다. 이는 빈도가 높은 문자들은 중요하면서도 또한 빈도 표에 거의 정확하게 순서가 정해지는 반면, 빈도가 낮은 문자들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편의에 따라 최종 배열의 효율에 별 영향 없이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상기 빈도 표의 평균을 기준으로 본다면 'Y' 가 'W' 나 'G' 보다 사용 빈도가 조금 높지만, 'Y'는 제3 문자이고 'W' 와 'G'는 제2 문자이다. 즉, 사용 빈도를 기준으로 판단하였을 때 별 차이가 없는 문자는 편의에 따라 제2 문자 또는 제3 문자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 [버튼 2](1120), [버튼 5](1150) 및 [버튼 8](1180)의 제2 문자 및 제3 문자를 동일한 기준과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버튼 2] = [T U Y]
[버튼 5] = [R F G]
[버튼 8] = [H B V]
혹은
[버튼 2] = [T U F]
[버튼 5] = [R Y G]
[버튼 8] = [H B V]
이상 설명한 영문 문자 배열은 3x4 배열의 버튼들로 구성된 키패드에 적용시사용자가 QWERTY 키보드에서 왼손으로 입력하는 문자는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오른손으로 입력하는 문자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입력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자의 기본 위치 및 입력 효율이 QWERTY 키보드와 비슷하므로 QWERTY 키보드에 익숙해져 있는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학습을 할 수 있고 또한 빈도를 고려한 효율까지 고려되어 있으므로 효율적인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불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네덜란드어 등과 같은 언어에서의 문자 변형은 해당 알파벳을 입력한 다음 별도로 구비된 변형 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 변형한다. 예를 들면,와 같이 'A'를 입력한 후 희망하는 문자가 표시될 때까지 변형 버튼을 누른다. 또한, 독일어 등에서와 같이 영문자에는 없는, 가령, ''를 [버튼 3](1130)의 제3 문자로 배치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문자 배열은 3x4로 구성된 입력 버튼 중 [버튼 1] 내지 [버튼 0](2110 내지 2200)에 2 내지 3개의 한글 자음과 모음이 할당된다. [버튼 1] 내지 [버튼 0](2110 내지 2200)에는 각각 제1 문자(2111 내지 2201), 제2 문자(2112 내지 2202) 및 제3 문자(2113 내지 2203)가 할당되며, 이중 [버튼 3](2130)에는 제1 문자(2131)와 제2 문자(2132)만 할당된다.
본 발명에 따라 키패드에 배치되는 문자는 총 29개로 다음과 같다.
14개 기본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5개 쌍자음(ㄲ ㄸ ㅃ ㅆ ㅉ)
10개 기본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나머지 11개 복자음(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과 11개 복모음(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은 키패드에 배치된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표준 2벌식 PC 키보드와 같은 문자 조합 규칙에 따라 입력한다.
제1 문자 셋은 29개의 자음과 모음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10개의 문자(자음과 모음)이며, 제2 문자 셋은 그 다음으로 빈도가 높은 10개의 문자이며, 제3 문자 셋은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9개의 문자이다. 여기서, 최종 배열의 효율에 별 영향이 없는 한도 내에서 약간의 예외는 있을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1 문자 셋에 포함된 문자는 [버튼 1] 내지 [버튼 0](2110 내지 2200)의 제1 문자(2111 내지 2201)로 할당되며, 본 문자 배열이 어떠한 입력 방법에 적용되더라도 해당 버튼이 선택되면 기본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문자 셋 및 제3 문자 셋에 포함된 문자는 [버튼 1] 내지 [버튼 0](2110 내지 2200)의 제2 문자(2112 내지 2202) 및 제3 문자(2113 내지 2203) 중 어느 하나로 할당되며 본 문자 배열이 적용된 입력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 가능한 문자이다. 표 2는 29개의 한글 문자를 제1 문자 셋 내지 제3 문자 셋으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통계에 따른 문자 빈도이다. 문자의 빈도는 쓰인 통계자료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지만 대체로 이런 비율이며, 약간의 차이는 무시할 수 있다.
표 2
자음 + 모음 자음 모음
문자 빈도(%) 문자 빈도(%) 문자 빈도(%)
11.83 11.83
11.07 11.07
10.66 10.66
8.28 8.28
6.95 6.95
5.86 5.86
5.81 5.81
5.57 5.57
5.00 5.00
3.88 3.88
3.56 3.56
3.40 3.40
3.16 3.16
3.01 3.01
2.81 2.81
2.36 2.36
2.05 2.05
0.98 0.98
0.97 0.97
0.58 0.58
0.51 0.51
0.38 0.38
0.26 0.26
0.26 0.26
0.25 0.25
0.24 0.24
0.22 0.22
0.07 0.07
0.06 0.06
상기 표에 의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ㅇㅣㅏㄴㄱㄹㅓㅡㅗㅅㄷㅈㅜㅎㅁㅂㅕㅆㅊㅌㅍㅛㄸㅑㅠㄲㅋㅉㅃ
자음: ㅇ ㄴㄱㄹ ㅅㄷㅈ ㅎㅁㅂ ㅆㅊㅌㅍ ㄸ ㄲㅋㅉㅃ
모음: ㅣㅏ ㅓㅡㅗ ㅜ ㅕ ㅛ ㅑㅠ
상기 리스트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사용 빈도가 낮아진다.
한글 문자를 키패드의 버튼에 할당하는 원칙을 먼저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문자를 제1 문자로 할당한다.
(2) 사용자가 이미 익숙해져 있는 PC의 2벌식 한글 표준 키보드와의 연관성을 통한 빠른 학습을 위해 자음은 왼손으로, 모음은 오른손으로 입력이 가능한 위치에 할당한다.
(3) 실제 한글 글자에서 자음과 모음이 쓰이는 위치를 고려하여 상응하는 위치에 있는 버튼에 문자를 할당한다.
(4) 제2 문자 및 제3 문자는 각 버튼에 이미 할당된 제1 문자와 연관되는 문자를 할당한다.
(5) 'ㅣ'는 'ㅏ', 'ㅑ', 'ㅓ', 'ㅕ', ㅗ', 'ㅜ', 'ㅡ'와 조합이 되어 복모음을형성하므로 이들의 가운데 부분에 둔다.
이상의 원칙에 따라 버튼에 문자를 할당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문자 셋에 해당하는 10개의 문자(ㅇ ㅣ ㅏ ㄴ ㄱ ㄹ ㅓ ㅡ ㅗ ㅅ)를 [버튼 1] 내지 [버튼 0](2110 내지 2200)에 할당한다. 표준 2벌식 PC 키보드에서 왼손으로 입력하는 자음인 'ㅇ', 'ㄴ', 'ㄱ', 'ㄹ', 'ㅅ'은 키패드에서 왼손 엄지 손가락으로 입력하기 편한 위치인 [버튼 5](2150), [버튼 4](2140), [버튼 1](2110), [버튼 7](2170), [버튼 2](2120)에 각각 할당하고, 2벌식 PC 키보드에서 오른손으로 입력하는 모음인 'ㅣ', 'ㅏ', 'ㅓ' 'ㅡ', 'ㅗ'는 키패드에서 오른손 엄지 손가락으로 입력하기 편한 위치인 [버튼 6](2160), [버튼 9](2190), [버튼 3](2130), [버튼 0](2200), [버튼 8](2180)에 각각 할당한다. 여기서, 모음 'ㅣ' 'ㅏ' 'ㅓ' 는 실제 글자에서 쓰이는 위치가 오른쪽이며, 모음 'ㅡ' 'ㅗ'는 실제 글자에서 쓰이는 위치가 아래쪽이므로, 할당되는 키패드 상에서의 버튼도 각각 오른쪽과 아래쪽에 위치한 버튼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성보다는 종성으로 많이 쓰이는 'ㅆ'의 경우 키패드의 아래 부분에 위치한 버튼에 할당하며, 종성보다는 초성으로 많이 쓰이는 'ㅈ'의 경우 키패드의 윗 부분에 위치한 버튼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된 제1 문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문자 셋에 해당하는 10개의 문자(ㄷ ㅈ ㅜ ㅎ ㅁ ㅂ ㅕ ㅆ ㅊ ㅛ)와 제3 문자 셋에 해당하는 9개의 문자(ㅌ ㅍ ㄸ ㅑ ㅠ ㄲ ㅋ ㅉ ㅃ)를 [버튼 1] 내지 [버튼 0](2110 내지 2200)에 할당한다. 여기서, 제2 문자 셋과 제3 문자 셋은 최종 배열의 효율에 별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안에서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입력 등의 편의에 따라 실제 통계에 의한 빈도와는 약간 어긋나게 정의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빈도 표를 기준으로 본다면 'ㅌ' 가 'ㅛ' 보다 사용 빈도가 조금 높지만, 'ㅌ'는 제3 문자이고 'ㅛ'는 제2 문자이다. 즉, 사용 빈도를 기준으로 판단하였을 때 별 차이가 없는 문자는 편의에 따라 제2 문자 또는 제3 문자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한글의 특성상 유사한 형상을 갖는 자음(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ㅅ ㅆ, ㅈ ㅉ ㅊ) 및 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이 존재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연상할 수 있도록 유사한 형상의 자음 및 모음을 제1 문자를 기준으로 가까운 버튼의 제2 문자 및 제3 문자로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문자 배치 기준에 따라 도 2에서 'ㅈ', 'ㅆ', 'ㅊ'는 다음과 같이 치환될 수 있다.
[버튼 2] = [ㅅ ㅆ ㅋ]
[버튼 8] = [ㅗ ㅈ ㅍ]
[버튼 0] = [ㅡ ㅊ ㅉ]
혹은
[버튼 2] = [ㅅ ㅆ ㅋ]
[버튼 8] = [ㅗ ㅊ ㅍ]
[버튼 0] = [ㅡ ㅈ ㅉ]
또한, 위의 문자 배치 기준에 따라 도 2에서 [버튼 6](2160)과 [버튼9](2190)도 다음과 같이 치환될 수 있다.
[버튼 6] = [ㅏ ㅛ ㅑ]
[버튼 9] = [ㅣ ㅜ 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호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호 배열은 3x4로 구성된 입력 버튼 중 [버튼 1] 내지 [버튼 #](3110 내지 3220)에 2 내지 3개의 기호가 할당된다. [버튼 1] 내지 [버튼 #](3110 내지 3220)에는 각각 제1 문자(3111 내지 3221), 제2 문자(3112 내지 3222) 및 제3 문자(3113 내지 3223)가 할당되며, 이중 [버튼 0](3200)에는 제1 문자만 할당되고, [버튼 *](3210), [버튼 #](3220)에는 제1 문자와 제2 문자만 할당된다. 다만, 도 3에서 제2 문자, 제3 문자가 할당되지 않은 버튼은 추후에 사용자나 제조자의 필요에 의해 새로운 기호를 할당할 수 있다.
제1 문자 셋은 표준 PC 키보드에 포함된 32개의 기호 중 사용 빈도가 가장높은 기호인 문장 부호(punctuation mark)를 포함한 총 12개의 기호이며, 제2 문자 셋은 그 다음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11개의 기호이며, 제3 문자 셋은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9개의 기호이다.
제1 문자 셋에 포함된 기호는 [버튼 1] 내지 [버튼 #](3110 내지 3220)의 제1 문자(3111 내지 3221)로 할당되며, 본 기호 배열이 어떠한 입력 방식에 적용되더라도 해당 버튼이 선택되면 기본적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문자 셋 및 제3 문자 셋에 포함된 기호는 [버튼 1] 내지 [버튼 #](3110 내지 3220)의 제2 문자(3112 내지 3222) 및 제3 문자(3113 내지 3223) 중 어느 하나로 할당되며 본 문자 배열이 적용된 입력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 가능한 문자이다. 표 3은 32개의 기호를 (1) 숫자와 형상이 유사한 정도 (2) PC 키보드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각 버튼에 할당한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함으로써 임의로 배치가 되어 암기에 어려움을 가지는 것 보다는 훨씬 자연스럽게 암기를 할 수 있고 결국 효율적인 입력이 가능한 기호의 배치가 될 수 있다.
표 3
버튼 제1 문자 제2 문자 제3 문자 설명
1 ! / 숫자 1과 유사한 형상
2 ? ~ ` 숫자 2와 유사한 형상
3 ?? + | 키보드 상의 위치
4 ' < [ 숫자 4와 유사한 형상
5 " = _ 숫자 5와 유사한 형상
6 @ ( { 숫자 6과 유사한 형상
7 ; > ] 숫자 7과 유사한 형상
8 : & $ 숫자 8과 유사한 형상
9 , ) } 숫자 9와 유사한 형상
0 . 숫자 0과 유사한 형상
* ^ * 기호 *와 유사한 형상
# % # 기호 #과 유사한 형상
제1 문자 셋은 문장 부호인 ! ? - ' " ; : , . 와 이메일 주소 표시용 기호인 @을 포함한다. 사용자 측면에서 학습이 용이하도록 유사한 형상을 갖는 기호는 서로 같은 버튼 혹은 인접한 버튼에 할당하며, 형상이 닮은 숫자 버튼에 할당한다. 단, - + | 는 PC 키보드의 우상에 위치한 기호이므로 키패드 상의 상대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버튼 3](3130)에 할당한다. 또한, 기호는 상대적으로 많이 쓰이지 않는 문자이므로 사용자의 학습의 용이성이 실제 문자 빈도보다 배열의 기준에서 우선하며, 대체적으로 제1 문자는 제2 문자보다, 제2 문자는 제3 문자보다 빈도가 높은 기호가 되도록 배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배열에 적용 가능한 몇 가지 문자 입력 방법이다. 여기서 임의의 [버튼 b]를 짧게 한번, 두번, 세번, 네번 누르는 것은 b, bb, bbb, bbbb 로 나타내며, [버튼 b]를 길게 누르는 것은 b~ 로, [버튼 *]나 [버튼 #]을 누른 다음 누르는 것은 각각 *b, #b로 나타낸다. 특히 버튼을 짧게 누르는 것과 길게 누르는 것을 구별하는 입력 방법에서 [버튼 b]를 짧게 누르거나 길게 누르거나 상관없이 같은 결과를 내는 경우에는 이를 b- 로 나타낸다. 아울러, b 다음에 화살표가 나오는 것은 [버튼 b]에서 해당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상의 선을 그음을 의미한다.
구분자(separator)는 동일한 버튼에 할당된 문자들을 연속하여 입력하는 경우 현재 글자의 입력 완성과 다음 글자의 입력 시작을 구분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서, [버튼 #]을 한번 누르거나 (#), 일정 시간 아무런 입력을 하지 않은 채 대기하거나 (wait), 혹은 오른쪽 화살표 버튼을 누르거나 (→) 하는 등이 구분자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구분자로서 b~ 가 쓰일 수도 있는데 이는 해당 버튼을 길게 누름으로써 새로운 문자의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구분자가 필요 없는 입력 방법에서는 이를 X 로 나타내었다. 구분자가 필요 없는 입력 방법은 입력 시 문자들 사이를 전혀 구분해 주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가 입력 문장에만 집중할 수 있는 입력 방법이다.
또한, 입력 모드를 숫자 모드로 변경하면 숫자의 입력은 입력 방법에 따라 b 혹은 b- 로 입력이 되고, 기호 모드로 변경하면 문자 모드에서의 제1 문자, 제2 문자, 제3 문자의 입력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호의 입력이 가능함은 물론이지만, 도 4에는 특히 문자 입력 모드에서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숫자와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경우(M1, M2, F1, F2, P1, P2) 이를 나타내었다.
도 4에서 기존 입력 방법에 새로운 요소가 더해진 것(M1, M2, H2, F2, P1, P2)은 + 로 구분 하였고 전혀 새로운 입력 방법(F1)인 경우는 o 로 구분을 하였다.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 중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배열에 적용 가능한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멀티탭 방식(M1, M2)이 있다. 멀티탭 방식은 버튼에 할당된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를 해당 버튼을 1회 내지 3회 눌러서 선택(b, bb, bbb)하는 방식이다. 멀티탭 방식은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식이며, 이를 기초로 하여 많은 개선된 멀티탭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인 개선된 멀티탭 방식으로 한국의 천지인 방식이 있다. 도 4의 M1 과 M2 방법도 기존의 멀티탭 방식을 개선한 것이다. 특히 문자 입력 모드에서 입력 모드 변경 없이 *b, *bb, *bbb 를 입력함으로써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M2 방법에서는 해당 버튼을 길게 누르는 것을 구분자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현재 문자가 [버튼 b]를 마지막 누름으로 입력이 끝났을 때같은 [버튼 b]로 시작하는 다음 문자의 입력의 시작을 b~ 로 하는 것이다. 즉, b~, b~b, b~bb 를 누름으로써 다음 문자로 [버튼 b]의 제1 문자, 제2 문자, 제3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버튼 b]로 시작하는 다음 문자의 입력의 시작을 그냥 b 로만 해도 되는 상황에서 b~ 로 하게 되면 해당 문자의 입력 전에 스페이스 문자를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입력 중 대개의 경우 스페이스 문자 입력을 위해 특별히 다른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단어와 단어 사이를 구별해 줄 수 있게 되므로 입력 효율이 높아진다.
문자 입력 모드에서 기호 입력 모드로 전환하거나 팝업 메뉴를 이용하지 않고도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추가로 버튼 조합을 할당한다. 추가로 할당된 버튼 조합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각 버튼에 할당된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조합 이외의 버튼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방법으로, 문자 입력 모드에서 모드 변환 없이 기호 입력, 영문 소문자 입력 모드에서 영문 대문자 입력, 한글 문자 입력 모드에서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듀얼 쉬프트 방식(D)은 [버튼 *]과 [버튼 #]을 좌우 쉬프트 키로 이용하여 제2 문자와 제3 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즉,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제2 문자인 경우, [버튼 *]을 누른 후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제2 문자로 할당된 버튼을 눌러 문자를 선택(*b)하며,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제3 문자인 경우에는 [버튼 #]을 누른 후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제3 문자로 할당된 버튼을 눌러 문자를 선택(#b)한다. 여기서 제2 문자를 #b로, 제3 문자를 *b로 선택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한글 문자의 경우 자음은 왼손, 모음은 오른손으로입력이 가능하도록 분리가 되어 있으므로, [버튼 *]는 왼손이 누르기 쉽고 [버튼 #]은 오른손이 누르기 쉬운 점에 착안하면 제2 문자가 자음인 경우는 #b, 제2 문자가 모음인 경우는 *b로 입력을 하는 것이 양손을 사용할 확률이 많아 지므로 보다 효율적이다. 따라서, 제3 문자가 자음인 경우는 *b, 제3 문자가 모음인 경우는 #b로 입력을 한다.
하이브리드 방식(H1, H2)은 멀티탭 방식과 듀얼 쉬프트 방식을 결합한 것으로서, 제3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동일한 버튼을 3회 누르는 대신 쉬프트 키를 누른 후 버튼을 누름으로써 제3 문자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버튼 #]을 구분자로 사용하는 경우(H1)는 제3 문자를 *b 로 선택을 하고, [버튼 #]을 구분자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H2)는 제3 문자를 *b 혹은 #b 로 선택을 한다. 즉, 후자의 경우 [버튼 *]과 [버튼 #]을 좌우 구분 없이 동일한 쉬프트 키로 사용한다. 이것은 * 또는 # 을 눌러야 할 때 그 순간에 편한 위치에 있는 * 나 # 을 누르면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문자의 선택 방법과 제3 문자의 선택 방법은 서로 바꿔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문자 배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입력 방법(F1, F2)은 버튼을 누르는 시간을 구분하여 제1 문자는 버튼을 짧게 눌러 선택(b)하고, 제2 문자는 버튼을 길게 눌러 선택(b~)하며, 제3 문자는 F1 방법에서는 쉬프트 키를 누른 후 버튼을 눌러 선택(*b 혹은 #b)하고 F2 방법에서는 해당 버튼을 두 번 눌러 선택(bb)하는 것이다. F2 방법에서는 제2 문자와 제3 문자의 선택 방법을 서로 바꿀 수 있다. 도 4에 있는 대로 F1 방법과 F2 방법 모두 문자 입력 모드에서모드 변경 없이 숫자와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데, F2 방법에서는 상기 M1, M2에서와 같은 방법인 *b, *bb, *bbb 로 선택할 수도 있고, 혹은 F2 방법에서의 제1 문자, 제2 문자, 제3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을 이용해서 *b, *b~, *bb 로 선택할 수도 있다. 특히 F1 방법에서는 숫자 입력 모드와 기호 입력 모드를 하나로 둘 수가 있는데, 이 모드에서는 숫자는 b 로 입력하고 기호는 #b, *b, b~ 로 입력을 할 수 있다.
F1 방법은 구분자가 필요 없는 입력 방법으로서 임의의 [버튼 b]에 대해서 모두 10개의 버튼 입력 조합(b, b~, *b, #b, *b~, #b~, *~b, #~b, *~b~, #~b~)을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버튼 *]나 [버튼 #]이 길게 입력되면 그 다음 입력되는 버튼의 장단 구별은 없는 것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b = *~b~ 이고 #~b = #~b~ 이다. 이것을 *~b- 와 #~b- 로 표시한다. 또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의 입력 효율을 높이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 와 # 의 일부 쉬프트 기능을 PC 키보드에서의 왼쪽 쉬프트와 오른쪽 쉬프트처럼 기능의 구분 없이 사용하면 모두 7개의 조합(b, b~, *b = #b, *b~, #b~, *~b-, #~b-)이 남는다. 여기서 도 4처럼 b, b~, *b = #b 를 문자의 입력에 사용하고 나머지 *b~, #b~, *~b-, #~b- 를 문자 입력 모드에서의 숫자와 기호의 입력에 사용한다. F1 방법을 본 발명에서 제안된 문자 배열에 적용하면 통계적으로 버튼을 한번 눌러(b, b~) 입력되는 영어 알파벳은 전체의 94~95% 정도가 되며 한글 자음과 모음은 전체의 97~98% 정도가 된다. 물론, 여기서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서의 알파벳 사용시에는 이 비율이 어느 정도 달라질 수 있다.
PDA 등과 같은 장치에서는 펜을 이용해 선을 그을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P1 방법에서는 상기 F1 방법을 변형한 형태로서, 버튼 누름의 장단은 그대로 두고 [버튼 *] 나 [버튼 #] 같은 shift 버튼을 누른 다음 버튼을 누르는 대신에 해당 버튼의 위치에서 좌 내지 좌하 방향이나 우 내지 우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상의 선을 긋는 것으로 대신한다. P2 방법에서는 상기 듀얼 쉬프트 방법을 변형한 형태로서 *b 대신에 [버튼 b]에서 좌 내지 좌하 방향으로 선을 긋고, #b 대신에 [버튼 b]에서 우 내지 우하 방향으로 선을 긋는다. P1 방법과 P2 방법 모두 구분자가 필요 없는 방식이며 자연스럽게 문자 모드에서 숫자 및 기호의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버튼 b]에서 아래방향으로 선을 그음으로써 숫자를 입력할 수 있고, [버튼 b]에서 우상 방향, 좌상 방향, 위 방향으로 선을 그음으로써 3개의 기호를 구분해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P1 방법과 P2 방법 모두 제2 문자와 제3 문자의 선택 방법을 서로 바꿔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입력 방식을 이용한 장치에서는 영문, 한글, 숫자, 기호 등의 입력을 위한 모드로의 변경을 위해 별도의 모드 전환 버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영문 입력 모드로의 전환 버튼의 경우 대문자와 소문자의 입력 모드 설정은 다음과 같이 한다. 비 영문 입력모드에서 영문 입력 모드 버튼을 누르면 영문 소문자 입력 모드가 된다. 이미 영문 입력모드인 경우 영문 입력 모드 버튼을 누르면 PC의 CapsLock 버튼처럼 대문자 입력 모드와 소문자 입력 모드가 toggle 된다. 영문 입력모드이든 비 영문 입력모드이든 상관없이 영문 입력모드 버튼을 길게 누르면 One-Time-CapsLock 모드가 되는데 이 모드에서는 처음 글자만 대문자로 입력되고, 처음 글자의 입력 후에는 바로 영문 소문자 모드로 된다.
도 5는 [버튼 b]를 짧게 누르는 것(b)과 길게 누르는 것(b~), 그리고 짧게 누르는 것과 길게 누르는 것이 차이가 없는 것(b-)을 구분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버튼 누름의 짧고 긴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시간은 제조 업체에 의해 기본값이 설정되며,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장단 입력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기본값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으며, 숙련된 사용자는 기본값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입력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단계 500에서, 사용자가 [버튼 b]를 누르면, 단계 510에서, 장단 입력을 구분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 모드에서 쉬프트 플래그가 긴 입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속되어 눌려진 버튼의 장단 입력을 구분할 필요가 없다. 이는 입력 속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긴 입력된 쉬프트에 연속하여 눌려진 버튼의 장단 입력을 구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520에서, 장단 구분이 필요한 경우에는 미리 결정된 threshold 값으로 타이머를 구동한다. 여기서, threshold 값은 장단 구분의 기준 시간으로서 제조 업체에 의해 기본값으로 설정되며,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버튼 b]가 해제되면, 단계 530에서 타이머 작동을 정지한 후, 단계 540에서 [버튼 b]를 짧은 입력(b)으로 출력한다.
타이머 threshold 값만큼의 시간이 경과하면 단계 550에서 눌려진 [버튼 b]을 긴 입력(b~)으로 출력한다.
장단 구분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단계 560에서 장단 구분 없는 입력(b-)으로 출력한다.
도 6은 [버튼 b]를 쉬프트 없이 그냥 누르는 것(b)과 [버튼 *], [버튼 #]을 쉬프트로 사용해서 누르는 것(*b, #b)을 구분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b와 b~의 구분, *와 *~의 구분, 그리고 #와 #~의 구분은 도 5의 흐름도를 이용하면 알 수 있으므로 도 5의 출력을 도 6의 입력으로 받으면 된다.
단계 610에서 [버튼 b]에 의한 입력(b)을 받는다. 여기서, 실제 입력은 도 5에서 장단 구분된 입력(b, b~, b-)일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630으로 진행되고, 설정 되어 있으면 단계 660으로 진행된다.
단계 630에서, [버튼 b]가 [버튼 *] 또는 [버튼 #]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버튼 b]가 [버튼 *] 또는 [버튼 #]이면, 단계 640에서 쉬프트 플래그에 b 를 설정한다. 판단 결과 [버튼 b]가 [버튼 *] 또는 [버튼 #]이 아니면, 단계 650에서 b 를 그대로 출력한다.
단계 660에서, 설정된 쉬프트 플래그를 검사하여 * 이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670에서 *b 를 출력하고, # 이 설정되어 있으면 단계 680에서 #b 를 출력한다. 이후 단계 690에서는 설정된 쉬프트 플래그를 리셋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F1 입력 방법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는 키패드(710), 입력 판단부(720), 입력키 처리부(730), 메모리(740) 및 문자 테이블(75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키(710)는 [버튼 1] 내지 [버튼 0], [버튼 *], [버튼 #]으로 구성되며, 각 버튼에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할당된다.
입력 판단부(720)는 선택된 버튼 정보를 수신해서 어떤 버튼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누른 시간을 측정하여 장단 입력을 구분하고, 상응하는 장단 구분 버튼 정보를 출력한다. 즉, 도 5에서 설명한 짧은 입력(b), 긴 입력(b~), 장단 구분 없는 입력(b-)을 구분하여 출력한다. 아울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PDA와 같은 휴대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선 긋기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선의 방향은 출력되는 버튼 정보에 포함된다. 상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입력 키 처리부(730)는 도 6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장단 구분 버튼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와 메모리(740)에 포함된 쉬프트 플래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 출력 여부를 판단한다. 즉, 도 6에서 설명한 쉬프트 판단 방법을 이용하여 장단 구분된 버튼에 상응하는 문자의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버튼 *]과 [버튼 #]은 구분 없이 이용될 수 있다. 판단 결과 문자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문자 테이블(750)을 참조하여 상응하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를 문자 출력부(760)로출력하며, 판단 결과 문자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는 쉬프트 플래그를 설정한다. b, b~, *b=#b 를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어느 문자에 할당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 또는 제조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버튼 *]과 [버튼 #]은 구분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입력 모드의 변환 없이 숫자와 기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b-, #b~, *b~, *~b- 를 숫자 및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에 해당하는 기호 중 어느 숫자/기호에 할당할 것이지 여부는 사용자 또는 제조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메모리(740)는 쉬프트 플래그로 동작하며, 입력키 처리부(730)의 명령에 따라 수신된 장단 구분된 버튼 정보와 쉬프트 플래그 설정 정보를 입력키 처리부(730)로 전송한다. 아울러, 메모리(740)는 문자 테이블(750)을 저장한다.
문자 테이블(750)은 입력키 처리부(730)의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를 포함하고 있다.
문자 출력부(760)는 입력키 처리부(730)로부터 출력된 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여기서, 문자 출력부(76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키패드(710)와 문자 출력부(760)는 하나의 장치일 수 있다. 키패드(710)가 문자 출력부(760)에 출력되는 경우 펜을 이용해 선을 그을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제2 문자, 제3 문자, 숫자 또는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배열에 따르면 다양한 입력 방식에 채택되어 사용되더라도 효율적이고 빠른 문자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즉, 다른 입력 방식에 익숙한 사용자도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배열을 이용하여 좀 더 신속하게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방법은 종래의 문자 배열에 채택되어 사용되더라도 역시 효율적이고 빠른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배열과 입력 방법의 조합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배열과 입력 방법은 다양한 휴대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새로운 입력 방법을 시도하는 다양한 휴대 장치들이 시장에 등장해도 본 발명의 효율적인 문자 배열에 익숙해져 있는 사용자들이 쉽게 적응할 수 있게 되므로, 시장이 활성화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3)

  1. 사용자가 수동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개의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에 있어서,
    3x4 배열로 구성된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상기 제1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 문자로 할당되는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문자들로 구성된 제1 문자 셋;
    상기 제1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2 문자로 할당되는 사용 빈도가 중간인 문자들로 구성된 제2 문자 셋; 및
    상기 제1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3 문자로 할당되는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문자들로 구성된 제3 문자 셋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문자 셋에 포함된 문자는 1회의 키 조작에 의해 선택되며, 상기 제2 문자 셋 및 상기 제3 문자 셋에 포함된 문자는 미리 지정된 문자 입력 방식에 따른 키 조작에 의해 선택되며,
    상기 제1 문자 셋 내지 상기 제3 문자 셋은 양손을 사용한 입력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할당된 키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셋은 E T A O I N S R H space 를 포함하는 키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내지 상기 제3 문자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상기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에 배열된 키패드.
    제1 버튼{E W Q} 제2 버튼{T F Y} 제3 버튼{O P ※}
    제4 버튼{A D Z} 제5 버튼{R G V} 제6 버튼{I L J}
    제7 버튼{S C X} 제8 버튼{H U B} 제9 버튼{N M K}
    제11버튼{※ ※ ※} 제10버튼{space ※ ※} 제12버튼{※ ※ ※}
    여기서, ※는 문자가 할당되지 않은 것을 표시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셋은 ㅇ ㅣ ㅏ ㄴ ㄱ ㄹ ㅓ ㅡ ㅗ ㅅ 를 포함하는 키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내지 상기 제3 문자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상기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에 배열된 키패드.
    제1 버튼{ㄱ ㅁ ㄲ} 제2 버튼{ㅅ ㅈ ㅋ} 제3 버튼{ㅓ ㅕ ※}
    제4 버튼{ㄴ ㄷ ㄸ} 제5 버튼{ㅇ ㅎ ㅌ} 제6 버튼{ㅣ ㅜ ㅠ}
    제7 버튼{ㄹ ㅂ ㅃ} 제8 버튼{ㅗ ㅆ ㅍ} 제9 버튼{ㅏ ㅛ ㅑ}
    제11버튼{※ ※ ※} 제10버튼{ㅡ ㅊ ㅉ} 제12버튼{※ ※ ※}
    여기서, ※는 문자가 할당되지 않은 것을 표시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셋은 ! ? - ' " ; : , . @ 를 포함하는 키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 내지 상기 제3 문자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상기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에 배열된 키패드.
    제1 버튼{! / \} 제2 버튼{? ~ `} 제3 버튼{- + |}
    제4 버튼{' < [} 제5 버튼{" = _} 제6 버튼{@ ( {}
    제7 버튼{; > ]} 제8 버튼{: & $} 제9 버튼{, ) }}
    제11버튼{^ * ※} 제10버튼{. ※ ※} 제12버튼{% # ※}
    여기서, ※는 문자가 할당되지 않은 것을 표시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문자 입력 방식은 멀티탭 방식(M1), 개선된 멀티탭 방식(M2), 듀얼 쉬프트 방식(D), 하이브리드 방식(H1, H2), 버튼 누름의 장단을 이용한 방식(F1, F2),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PDA 방식(P1, P2) 중 어느 하나인 키패드.
  9.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할당되며, 상기 제11 버튼 및 상기 제12 버튼을 각각 좌측 쉬프트 키와 우측 쉬프트 키로 이용하는 3x4 배열로 구성된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문자 내지 상기 제3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상에서 눌려진 버튼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좌측 쉬프트 플래그 및 상기 우측 쉬프트 플래그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좌측 쉬프트 플래그 및 상기 우측 쉬프트 플래그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제2 문자 및 제3 문자 중 어느 하나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버튼이 상기 좌측 쉬프트 키 또는 우측 쉬프트 키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감지된 버튼이 좌측 쉬프트 키 또는 우측 쉬프트 키이면 상응하는 좌측 쉬프트 플래그 또는 우측 쉬프트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감지된 버튼이 좌측 쉬프트 키 또는 우측 쉬프트 키가 아니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제1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0.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할당되며, 상기 제11 버튼 및 상기 제12 버튼을 각각 좌측 쉬프트 키와 우측 쉬프트 키로 이용하는 3x4 배열로 구성된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문자 내지 상기 제3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진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버튼의 장단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쉬프트 키에 상응하는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제2 문자 및 제3 문자 중 어느 하나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쉬프트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버튼이 쉬프트 키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버튼이 쉬프트 키이면 상기 쉬프트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버튼이 쉬프트 키가 아니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상기 장단 입력에 상응하는 문자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진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버튼의 장단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버튼 누름이 감지되면, 미리 결정된 threshold 값으로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 만료 이전에 상기 버튼 해제가 감지되면, 타이머 작동을 정지한 후 짧은 입력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면 긴 입력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threshold 값은 변경 가능한 문자 입력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키는 좌측 쉬프트 키 및 우측 쉬프트 키를 포함하며, 각각 구별되는 문자 입력 방법.
  14.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할당된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를 버튼의 누름 회수에 따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진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버튼의 장단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짧은 입력인 경우, 상기 버튼의 눌림 회수에 상응하는 상기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판단 결과 긴 입력인 경우, 상기 감지된 버튼 직전에 눌려진 버튼이 동일한 버튼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동일하면, 구분자를 삽입하여 상기 긴 입력된 버튼을 직전 눌려진 버튼과 구별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다르면, 스페이스를 삽입하여 상기 긴 입력된 버튼을 직전 눌려진 버튼과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5.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할당된 3x4 배열의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문자 내지 상기 제3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서 일정 길이 이상의 선 긋기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선 긋기 방향에 상응하여 상기 감지된 버튼에 미리 할당된 상기 제2 문자 및 제3 문자 중 어느 하나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버튼에서 일정 길이 이상의 선 긋기 방향이 존재하지 않으면, 장단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상기 장단 입력에 상응하는 문자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문자가 더 할당되며, 상기 일정 길이 이상의 선 긋기 방향에 의해 선택 가능한 문자 입력 방법.
  17.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할당된 3x4 배열의 키패드에서 상기 제1 문자 내지 상기 제3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진 것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버튼의 장단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긴 입력이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상기 제2 문자 및 제3 문자 중 상기 긴 입력에 상응하는 문자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판단 결과 짧은 입력이면 상기 감지된 버튼이 연속하여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연속 선택되었으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상기 제2 문자 및 제3 문자 중 상기 연속 선택에 상응하는 문자를 미리 지정된 규칙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연속 선택되지 않았으면, 상기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제1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8. 제1 입력 모드에서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문자와 제2 입력 모드에서 입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문자가 할당된 3x4 배열의 버튼에서 상기 제2 문자를 상기 제1 입력 모드에서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입력 모드에서 제1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키 입력은 쉬프트 키, 버튼의 장단 입력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쉬프트 키는 상기 3x4 배열의 키패드 상의 [버튼 *] 및 [버튼 #] 중 어느 하나임;
    제1 입력 모드에서 제2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2 키 입력은 버튼의 연속 선택, 버튼의 장단 입력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임; 및
    상기 제1 키 입력 및 상기 제2 키 입력의 조합에 상응하여 미리 결정된 제2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입력 모드에서 선택할 수 있는 상기 제1키 입력 및 상기 제2 키 입력의 조합이 더 할당되어 있는 문자 입력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 입력 및 상기 제2 키 입력의 조합은 *b, *bb, *bbb, *b~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 입력 및 상기 제2 키 입력의 조합은 #b~, *b~, #~b-, *~b-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자는 기호, 숫자, 영어 대문자 중 어느 하나인 문자 입력 방법.
  22.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제1 버튼 내지 제12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할당되며, 상기 제11 버튼 및 상기 제12 버튼을 쉬프트 키로 이용하는 3x4 배열로 구성된 키패드;
    상기 복수의 버튼 중 눌려진 버튼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버튼의 장단 입력을 구분하는 입력 판단부;
    상기 쉬프트 키에 상응하는 쉬프트 플래그의 설정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장단 구분된 버튼에 상응하는 상기 제1 문자 내지 상기 제3 문자를 선택하는 버튼 처리부; 및
    상기 버튼 처리부의 명령에 따라 설정 또는 해제되는 상기 쉬프트 플래그를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버튼에 할당된 제1 문자 내지 제3 문자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처리부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며, 상기 키패드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문자 입력 장치.
KR1020040017964A 2003-03-17 2004-03-17 문자 배열,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 KR100663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368 2003-03-17
KR1020030016369 2003-03-17
KR20030016369 2003-03-17
KR20030016368 2003-03-17
KR20030020402 2003-04-01
KR1020030020402 2003-04-01
KR20030020401 2003-04-01
KR1020030020401 2003-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326A true KR20040082326A (ko) 2004-09-24
KR100663878B1 KR100663878B1 (ko) 2007-01-02

Family

ID=3631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964A KR100663878B1 (ko) 2003-03-17 2004-03-17 문자 배열,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7339498B2 (ko)
EP (1) EP1611735A1 (ko)
JP (1) JP2006521072A (ko)
KR (1) KR100663878B1 (ko)
CN (1) CN1762144B (ko)
AU (1) AU2004220994B2 (ko)
BR (1) BRPI0409050A (ko)
CA (1) CA2518296A1 (ko)
MA (1) MA27790A1 (ko)
NO (1) NO20054570D0 (ko)
WO (1) WO20040845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324B1 (ko) * 2006-04-06 2009-02-11 (주)모비언스 키보드 지원 문자 입력 장치
WO2009148224A2 (ko) * 2008-06-02 2009-12-10 Cha Changho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WO2012002659A2 (ko) * 2010-06-29 2012-01-05 Moon Sung Yong 영문자 키패드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88B1 (ko) * 2005-11-11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JP2007179268A (ja) * 2005-12-27 2007-07-12 Toshiba Corp キー入力装置及びそのキー入力方法
WO2007114678A1 (en) * 2006-04-06 2007-10-11 Mobience, Inc. Dual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keyboard functions
WO2007114677A1 (en) * 2006-04-06 2007-10-11 Mobience, Inc.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method for supporting keyboard functions
KR100765887B1 (ko) * 2006-05-19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후보 문자군 추출을 통한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846042B1 (ko) 2007-01-22 2008-07-11 김기주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US20080183781A1 (en) * 2007-01-29 2008-07-31 Alistair Hamilton Multi-method input arrangement
KR100937971B1 (ko) * 2007-08-03 2010-01-21 이호윤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
US8462123B1 (en) * 2008-10-21 2013-06-11 Google Inc. Constrained keyboard organization
US8194041B2 (en) * 2009-03-11 2012-06-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Keypad with key pairs
US8264383B2 (en) * 2009-04-30 2012-09-11 National Cheng Kung University Group keypads in compliance with standard keyboard installation
US20110052296A1 (en) * 2009-08-28 2011-03-03 Toshiyasu Abe Keyboard
KR20120017272A (ko) * 2010-08-18 2012-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띄어쓰기 수행 장치 및 방법
US10331224B2 (en) * 2013-10-07 2019-06-25 Oslabs Pte. Ltd. Indian language keypad
US10338810B2 (en) 2013-12-26 2019-07-02 Joon Shin Four row overload QWERTY-like keypad layout
US10635306B2 (en) 2013-12-26 2020-04-28 Joon Shin Four row overloaded QWERTY-like keypad layout
US9983690B2 (en) 2013-12-26 2018-05-29 Joon Shin Four row overloaded QWERTY-like keypad layout
CN104053033A (zh) * 2014-06-30 2014-09-17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一种遥控器输入方法及遥控器
TW201627820A (zh) * 2015-01-16 2016-08-01 Penpower Technology Ltd 多鍵輸入方法及其輸入裝置
CN104731365A (zh) * 2015-03-31 2015-06-24 苏州乐聚一堂电子科技有限公司 快速拆分输入法
CN111459295A (zh) * 2019-01-18 2020-07-28 沈阳三翔科技有限公司 基于电脑windows系统的韩民族韩语输入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8345C (fi) * 1991-01-29 1993-04-26 Nokia Mobile Phones Ltd Belyst tastatur
JP2002532792A (ja) * 1998-12-10 2002-10-02 イートニ エルゴノミ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曖昧コードを基礎とするタッチタイプ装置およびそのような装置を設計する方法
EA004159B1 (ru) * 1999-06-09 2004-02-26 Мин Кьюм Ким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вода алфавитных символов с помощью малой клавиатуры
KR100351644B1 (ko) * 1999-10-05 2002-09-10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AU784459B2 (en) * 2000-01-17 2006-04-06 Min-Kyum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characters on keypad
KR20010075865A (ko) 2000-01-20 2001-08-11 황재엽 전화기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10077631A (ko) * 2000-02-03 2001-08-20 황재엽 자음의 출현빈도를 고려한 전화기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방법
JP2002049460A (ja) * 2000-08-04 2002-02-15 Keiji Nakagawa 文字入力装置
KR100421912B1 (ko) 2000-12-30 2004-03-11 (주) 엘지텔레콤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JP4084582B2 (ja) * 2001-04-27 2008-04-30 俊司 加藤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
KR20030000712A (ko) * 2001-06-26 200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에스엠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 키 패드 배열방법및 영문 키패드
US6643371B2 (en) * 2001-08-31 2003-11-04 Wildsee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KR100418066B1 (ko) * 2001-12-22 2004-02-14 강훈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AU2003234515A1 (en) * 2002-07-12 2004-02-02 Dana Suess Modified-qwerty letter layout for rapid data entr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324B1 (ko) * 2006-04-06 2009-02-11 (주)모비언스 키보드 지원 문자 입력 장치
WO2009148224A2 (ko) * 2008-06-02 2009-12-10 Cha Changho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WO2009148224A3 (ko) * 2008-06-02 2010-01-28 Cha Changho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1038727B1 (ko) * 2008-06-02 2011-06-03 차창호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WO2012002659A2 (ko) * 2010-06-29 2012-01-05 Moon Sung Yong 영문자 키패드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WO2012002659A3 (ko) * 2010-06-29 2012-03-01 Moon Sung Yong 영문자 키패드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93468A1 (en) 2006-08-31
AU2004220994A1 (en) 2004-09-30
CN1762144A (zh) 2006-04-19
EP1611735A1 (en) 2006-01-04
WO2004084528A1 (en) 2004-09-30
US20080088491A1 (en) 2008-04-17
NO20054570L (no) 2005-10-05
MA27790A1 (fr) 2006-03-01
CA2518296A1 (en) 2004-09-30
NO20054570D0 (no) 2005-10-05
KR100663878B1 (ko) 2007-01-02
AU2004220994B2 (en) 2009-11-26
US7339498B2 (en) 2008-03-04
US7864076B2 (en) 2011-01-04
CN1762144B (zh) 2010-12-29
BRPI0409050A (pt) 2006-08-29
JP2006521072A (ja)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878B1 (ko) 문자 배열,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
KR100602400B1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20000064556A (ko) 키이입력장치
US858914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KR20060101367A (ko) 숫자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RU2344564C2 (ru) Раскладки знаков, способы в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KR100397509B1 (ko) 전화기자판이부착된한글입력장치및그방법
KR101569626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EP170124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KR1009803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392353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10086619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KR100709309B1 (ko) 한글 자음 입력장치
KR100434668B1 (ko) 한글 입력장치
KR100377914B1 (ko) 컴퓨터 키보드상에서 연속 2 타법을 이용한 상단 문자의 효율적인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3003478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영문자 입력방법
KR2002009615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방법
KR100613629B1 (ko) 번호 및 문자입력장치
KR1005568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50061011A (ko) 전화기를 이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KR20030094811A (ko) 통신기기용 다국어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국어입력방법
KR101017777B1 (ko) 영어 단어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기
KR20050103803A (ko)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JP2006081137A (ja) 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