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644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644B1
KR100351644B1 KR1019990042910A KR19990042910A KR100351644B1 KR 100351644 B1 KR100351644 B1 KR 100351644B1 KR 1019990042910 A KR1019990042910 A KR 1019990042910A KR 19990042910 A KR19990042910 A KR 19990042910A KR 100351644 B1 KR100351644 B1 KR 10035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input
series
vowels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070A (ko
Inventor
은태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644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의 창제 원리와 발음 법칙, 그리고 모음의 계열 분류를 적용하여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의 모음을 아, 오, 이 계열로 분류하여 3개의 키에 아 계열 모음, 오 계열 모음, 이 계열 모음을 각각 할당하고, 나머지 7개의 키에 자음을 2개씩 쌍을 지어 할당하되, 해당 키 입력이 있을 때마다 해당 키에 표시되어 있는 자음/모음을 차례로 바꾸어 디스플레이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된소리를 갖는 자음이 입력되면 해당 자음의 된소리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 계열 모음이 입력된 후에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되면 모음의 발음 법칙에 따라 생성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된 후에 이 계열 모음이 입력되면 모음의 조합 법칙에 따라 생성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글의 창제 원리와 발음 법칙, 그리고 모음의 계열 분류를 적용하여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를 걸거나 받는 것을 주 기능으로 하지만 사용의 편리성 및 유용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기능을 제공하는 데, 이러한 기능으로는 소정의 문자 정보를 저장시키거나 상대방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기능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문자 정보를 저장시키거나 상대방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서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데, 문자 입력 방식으로는 한글의 창제 원리를 응용하여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는 천지인 한글과, 키패드에 단순한 나열식으로 배열한 한글의 자모를 입력하는 한글 입력 방식 등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한다.
도 1은 종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천지인 한글 키패드를 보인 예시도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천지인 한글 키패드는 천지인 모음을 1, 2, 3번 키에 각각 인(ㅣ), 천(·), 지(ㅡ)를 할당하고, 나머지 7개의 키에 14개의 자음을 각각 2개씩 묶어서 할당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천지인 한글을 사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는 경우에 하나의 음소를 입력하기 위해서 최악의 경우 3번의 키입력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5번의 키입력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꾈'이라는 한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4→4→4→2→3→1→5→5와 같은 입력 순서로 8번의 키입력을 해야 한 글자가 완성된다.
도 2는 종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보인 예시도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패드에 한글의 자모를 단순한 나열식으로 배열하여 자음에 5개의 키를 할당하고, 모음에 5개의 키를 할당하여, 보통 하나의 키에 3~4개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음소를 입력하기 위해서 최악의 경우 4번의 키입력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꾈'이라는 한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1→1→1→1→8→8→0→2→2와 같은 입력 순서로 9번의 키입력을 해야 한 글자가 완성된다. 그리고, 한글의 자모를 단순한 나열식으로 배열하여 입력할 글자를 찾기가 쉽지 않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천지인 한글이나 기타 한글 입력 방법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키를 눌러야 하는 횟수가 너무 많을 뿐만 아니라 문자 입력 시에 해당 문자를 찾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글의 창제 원리와 발음 법칙, 그리고 모음의 계열 분류를 적용하여 쉽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천지인 한글 키패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키패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의 모음을 아, 오, 이 계열로 분류하여 3개의 키에 아 계열 모음, 오 계열 모음, 이 계열 모음을 각각 할당하고, 나머지 7개의 키에 자음을 2개씩 쌍을 지어 할당하되, 해당 키 입력이 있을 때마다 해당 키에 표시되어 있는 자음/모음을 차례로 바꾸어 디스플레이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된소리를 갖는 자음이 입력되면 해당 자음의 된소리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 계열 모음이 입력된 후에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되면 모음의 발음 법칙에 따라 생성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된 후에 이 계열 모음이 입력되면 모음의 조합 법칙에 따라 생성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상기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되면 상기 모음의 발음 법칙에 따라 생성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키패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키패드는 1, 2, 3번 키에 각각 아 계열 모음(ㅏ, ㅓ), 이 계열 모음(ㅣ, ㅡ), 오 계열 모음(ㅗ, ㅜ)을 할당하고, 나머지 7개의 키에 14개의 자음을 각각 2개씩 쌍을 지어 할당한다.
전술한 아 계열 모음, 오 계열 모음, 이 계열 모음은 한글의 모음을 계열화하는 데 근간이 되는 기본 모음으로, 한글의 창제 원리에 따라 아오이 계열의 기본 모음은 조합을 통해서 다른 모음으로 구성되는 데, 아/오 계열 + 이 계열은 조합 법칙이 적용되고, 이 계열 + 아/오 계열은 발음 법칙이 적용된다.
이러한 모음의 조합 법칙 및 발음 법칙을 통해서 생성되는 모음은 표 1과 같다.
조합법칙(ㅏ/ㅗ + ㅣ) 발음법칙(ㅣ + ㅏ/ㅗ)
ㅏ + ㅣ = ㅐㅓ + ㅣ = ㅔㅗ + ㅣ = ㅚㅜ + ㅣ = ㅟㅗ + ㅏ = ㅘㅜ + ㅓ = ㅝㅗ + ㅏ + ㅣ = ㅙㅜ + ㅓ + ㅣ = ㅞ: ㅣ + ㅏ = ㅑㅣ + ㅓ = ㅕㅣ + ㅗ = ㅛㅣ + ㅜ = 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먼저, 문자키 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S10). 상기한 과정 S10의 판단결과 문자키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문자키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문자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길게 누르는(long press) 지를 판단한다(S12).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해당 문자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길게 누르지 않는 경우, 즉, 해당 키를 짧게 누르는(short press) 경우에는 이 계열 모음 입력 후에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14). 상기한 과정 S14의 판단결과 이 계열 모음 입력 후에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모음의 발음 법칙에 따라 생성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S16), 상기한 과정 S14의 판단결과 이 계열 모음 입력 후에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오 계열 모음 입력 후에 이 계열 모음이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18). 상기한 과정 S18의 판단결과 아/오 계열 모음 입력 후에 이 계열 모음이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모음의 조합 법칙에 따라 생성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S20), 상기한 과정 S20의 판단결과 아/오 계열 모음 입력 후에 이 계열 모음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키에 표시되어 있는 자음/모음을 번갈아가며 차례로 바꾸어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22).
한편,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해당 문자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길게 누르는 경우에는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24). 상기한 과정 S24의 판단결과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모음의 발음 법칙에 따라 생성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S16), 상기한 과정 S24의 판단결과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된소리를 갖는 자음이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26). 상기한 과정 S26의 판단결과 된소리를 갖는 자음이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자음의 된소리를 디스플레이하고(S28), 상기한 과정 S26의 판단결과 된소리를 갖는 자음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키에 표시되어 있는 자음/모음을 번갈아가며 차례로 바꾸어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30).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키패드에 표시되어 있는 자음 및 모음은 키를 누를 때마다 차례로 바뀌어 화면에 나타나는 데, 예를 들어, 4번 키(ㄱ, ㅋ)를 한 번 누르면 'ㄱ'이 나타나고, 한 번 더 누르면 'ㅋ'이 나타난다. 그리고, 4번 키를 또 한 번 더 누르면 다시 'ㄱ'이 나타나는 식으로 4번 키를 누를 때마다 자음 'ㄱ'과 'ㅋ'이 ㄱ→ㅋ→ㄱ→ㅋ→…순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모음도 자음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데, 예를 들어, 1번 키(ㅏ, ㅓ)를 한 번 누르면 'ㅏ'가 나타나고, 한 번 더 누르면 'ㅓ'가 나타난다. 그리고, 1번 키를 또 한 번 더 누르면 다시 'ㅏ;가 나타나는 식으로 1번 키를 누를 때마다 모음 'ㅏ'와 'ㅓ'가 ㅏ→ㅓ→ㅏ→ㅓ→…순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한편, 자음에는 기본적으로 5개의 된소리인 ㄲ, ㄸ, ㅃ, ㅆ, ㅉ, 등이 존재하는 데, 이 된소리들은 각 해당 키(4, 6, 7, 8번 키)를 길게 눌러서(대략 1~2초 가량)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번 키를 길게 누르면 'ㅆ'이 나타난다.
모음도 자음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데, 예를 들어, 1번 키를 한 번 길게 누르면 'ㅏ'가 나타났다가 1초 정도가 지나면 'ㅏ'가 'ㅑ'로 변하게 되고, 'ㅓ' 상태에서 길게 누르면 'ㅓ'가 'ㅕ'로 변하게 된다. 즉, 'ㅑ'는 1번 키를 한 번 길게 누르면 나타나고, 'ㅕ'는 1번 키를 짧게 한 번 누른 뒤, 1번 키를 또 한 번 길게 누르면 나타난다. 그리고, 모음의 'ㅑ'나 'ㅕ'는 각각 'ㅣ'키와 'ㅏ'키, 'ㅣ'키와 'ㅓ'키를 차례로 눌러 표시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문자를 입력하면 키입력 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데, '꾈'이라는 글자는 4(길게)→3→2→8→8과 같은 입력 순서로 5번의 키입력으로 완성할 수 있다.
표 2는 하나의 예제 문장을 입력할 때 천지인 한글과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의 키 눌림 횟수를 비교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이 천지인 한글에 비해 적은 키입력으로 문장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제문장 합계
천지인한글 4 4 6 7 2 3 6 3 2 3 40
본 발명 4 4 4 4 2 3 4 4 2 2 33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르면, 한글의 창제 원리와 발음 법칙, 그리고 모음의 계열 분류를 적용하여 한글 입력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쉽고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한글의 모음을 아, 오, 이 계열로 분류하여 3개의 키에 아 계열 모음, 오 계열 모음, 이 계열 모음을 각각 할당하고, 나머지 7개의 키에 자음을 2개씩 쌍을 지어 할당하되,
    해당 키 입력이 있을 때마다 해당 키에 표시되어 있는 자음/모음을 차례로 바꾸어 디스플레이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된소리를 갖는 자음이 입력되면 해당 자음의 된소리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 계열 모음이 입력된 후에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되면 모음의 발음 법칙에 따라 생성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된 후에 이 계열 모음이 입력되면 모음의 조합 법칙에 따라 생성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상기 아/오 계열 모음이 입력되면 상기 모음의 발음 법칙에 따라 생성된 모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9990042910A 1999-10-05 1999-10-0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35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910A KR100351644B1 (ko) 1999-10-05 1999-10-0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910A KR100351644B1 (ko) 1999-10-05 1999-10-0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070A KR20010036070A (ko) 2001-05-07
KR100351644B1 true KR100351644B1 (ko) 2002-09-10

Family

ID=1961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910A KR100351644B1 (ko) 1999-10-05 1999-10-0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890B1 (ko) 2000-09-19 2009-03-20 김민겸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952B1 (ko) * 2001-10-17 2008-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484224B1 (ko) * 2002-09-23 2005-04-20 박찬용 소형키패드를 갖는 한글 코드 발생 장치 및 방법
BRPI0409050A (pt) 2003-03-17 2006-08-29 Jaewoo Ahn disposição de caracteres, método de entrada de caracteres e dispositivo de entrada de caracte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890B1 (ko) 2000-09-19 2009-03-20 김민겸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070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653B1 (ko) 한글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371381B1 (ko)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KR100321322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5164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9990039862A (ko) 전화기 번호판 및 입력 키보드 활용 한글조합방법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6833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JP3285821B2 (ja) タイ文字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KR10045120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200200876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JP2000276288A (ja) 携帯端末
KR20000042959A (ko) 전화기 자판이 부착된 한글 입력장치 및 그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352793B1 (ko) 키폰의한글입력방법
KR200378650Y1 (ko) 한글 입력 가능한 무선 단말기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KR100422379B1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635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코드 발생 장치
KR20020012824A (ko) 2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40091353A (ko) 한글 입력 방법
KR20020028078A (ko) 휴대폰의 문자판및 문자입력시스템
KR100613628B1 (ko) 숫자 및 문자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