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971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971B1
KR100937971B1 KR1020070099274A KR20070099274A KR100937971B1 KR 100937971 B1 KR100937971 B1 KR 100937971B1 KR 1020070099274 A KR1020070099274 A KR 1020070099274A KR 20070099274 A KR20070099274 A KR 20070099274A KR 100937971 B1 KR100937971 B1 KR 10093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etter
combination
english
nu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074A (ko
Inventor
이호윤
Original Assignee
이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윤 filed Critical 이호윤
Priority to PCT/KR2008/00424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20295A1/en
Priority to US12/670,028 priority patent/US20100201628A1/en
Publication of KR20090014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문자를 입력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0부터 9까지 10개의 숫자키에 '└', '∧', '┘', '<', '○', '>', '┌', '∨', '┐', 'イ'를 할당하며, *키와 #키를 포함하여 각각의 키 조합에 의해 영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 상기 키패드의 키 조합에 의해 입력된 영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를 포함하되, 영문자 'a'는 '○'키와 'イ'키를, 영문자 'b'는 '└'키와 '○'키를, 영문자 'c'는 '<'키와 *키 또는 '<'키와 '<'키를, 영문자 'd'는 '○'키와 '┘'키를, 영문자 'e'는 '○'키와 '<'키를, 영문자 'f'는 '┘'키와 '┌'키를, 영문자 'g'는 '○'키와 '>'키를, 영문자 'h'는 '└'키와 '∧'키를, 영문자 'i'는 'イ'키와 *키를, 영문자 'j'는 '┌'키와 *키를, 영문자 'k'는 '└'키와 '<'키를, 영문자 'l'은 '┘'키와 *키 또는 '┘'키와 '┘'키를, 영문자 'm'은 '∧'키와 '∧'키를, 영문자 'n'은 '∧'키와 *키를, 영문자'o'는 '○'키와 *키를, 영문자 'p'는 '┌'키와 '○'키를, 영문자 'q'는 '○'키와 '┐'키를, 영문자 'r'은 'イ'키와 '∧'키를, 영문자 's'는 '<'키와 '>'키를, 영문자 't'는 'イ'키와 'イ'키를, 영문자 'u'는 '∨'키와 'イ'키를, 영문자 'v'는 '∨'키와 *키를, 영문자 'w'는 '∨'키와 '∨'키를, 영문자 'x'는 '∨'키와 '∧'키를, 영문자 'y'는 '∨'키와 '┐'키를, 영문자 'z'는 '>'키와 '<'키를 각각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해당하는 영문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문자입력시스템, 알파벳, 이동통신 단말기, 기호조합, 알파벳형상, 방향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ALPHABET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문자의 모양과 흡사한 형태의 기호 조합을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암기하여 원하는 영문자를 입력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영문자 입력하는 시스템은 하나의 숫자키에 세 개 이상의 알파벳을 나열하여 영문자를 입력하는 방식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컴퓨터 키보드 형태의 자판화면을 통하여 직접 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하여 영문자를 입력하는 방식과, 자주 사용하는 단어를 미리 사전에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글자 입력시 데이터베이스와의 패턴 매칭을 통하여 가장 비슷한 단어를 찾아주는 티나인(T9)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영문자 입력 방식은 하나의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여러번 버튼을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알파벳의 특성을 이용하여 글자를 써갈 때의 특정패턴을 추출 및 기호화하여 기호 조합에 의해 알파벳을 입력하는 시스템이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 10-066145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알파벳 입력 시스템은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최대 4번을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기호 조합이 알파벳 형상과 비슷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 누구나 암기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KR 10-0661457 B1, 2006.12.19, 1-2쪽, 도 3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누구나 암기하기 쉽도록 창안된 기호 조합에 의하여 영문자를 쉽고 빠르게 입력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문자를 입력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0부터 9까지 10개의 숫자키에 '└', '∧', '┘', '<', '○', '>', '┌', '∨', '┐', 'イ'를 할당하며, *키와 #키를 포함하여 각각의 키 조합에 의해 영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 상기 키패드의 키 조합에 의해 입력된 영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면표시부;를 포함하되, 영문자 'a'는 '○'키와 'イ'키를, 영문자 'b'는 '└'키와 '○'키를, 영문자 'c'는 '<'키와 *키 또는 '<'키와 '<'키를, 영문자 'd'는 '○'키와 '┘'키를, 영문자 'e'는 '○'키와 '<'키를, 영문자 'f'는 '┘'키와 '┌'키를, 영문자 'g'는 '○'키와 '>'키를, 영문자 'h'는 '└'키와 '∧'키를, 영문자 'i'는 'イ'키와 *키를, 영문자 'j'는 '┌'키와 *키를, 영문자 'k'는 '└'키와 '<'키를, 영문자 'l'은 '┘'키와 *키 또는 '┘'키와 '┘'키를, 영문자 'm'은 '∧'키와 '∧'키를, 영문자 'n'은 '∧'키와 *키를, 영문자'o'는 '○'키와 *키를, 영문자 'p'는 '┌'키와 '○'키를, 영문자 'q'는 '○'키와 '┐'키를, 영문자 'r'은 'イ'키와 '∧'키를, 영문자 's'는 '<'키와 '>'키를, 영문자 't'는 'イ'키 와 'イ'키를, 영문자 'u'는 '∨'키와 'イ'키를, 영문자 'v'는 '∨'키와 *키를, 영문자 'w'는 '∨'키와 '∨'키를, 영문자 'x'는 '∨'키와 '∧'키를, 영문자 'y'는 '∨'키와 '┐'키를, 영문자 'z'는 '>'키와 '<'키를 각각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해당하는 영문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키패드는 상기 '└'키는 1번 숫자키에, 상기 '∧'키는 2번 숫자키에, 상기 '┘'키는 3번 숫자키에, '<'키는 4번 숫자키에, '○'키는 5번 숫자키에, '>'키는 6번 숫자키에, '┌'키는 7번 숫자키에, '∨'키는 8번 숫자키에, '┐'키는 9번 숫자키에, 'イ'키는 0번 숫자키에 각각 할당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패드 중 상기 #키는 1회 누를 때 띄어쓰기 기능을 하고, 2회 누를 때 영문자의 대/소 전환 기능 또는 특수문자표시기능을 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키패드의 조합에 의해 영문자 입력도중, 영단어의 적어도 둘 이상의 초기문자만 입력하면, 내부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자주 사용하는 단어 중 상기 초기문자를 포함하는 최근 입력된 영단어를 순서대로 서브메뉴 화면에 배열하여 제공하고, 원하는 영단어를 숫자키를 이용하여 선택한 후 상기 #키를 입력하여 해당 영단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문자 입력 시스템은, 영문자 입력 도중 1회 누를 때마다 방향키 모드 또는 문자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키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드전환키에 의해 방향키 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의 '∧' 키는 상 방향키기능, 상기 키패드의 '<'키는 좌 방향키기능, '>'키는 우 방향키기능, '∨'키는 하 방향키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은 키패드의 숫자키 1에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01
', 숫자키 2에 '∧', 숫자키 3에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02
'와 '-', 숫자키 4에 '>', 숫자키 5에 '○', 숫자키 6에 '>', 숫자키 7에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03
', 숫자키 8에 '∨', 숫자키 9에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04
'와 '-'이 할당되고, 영문자 'a'는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05
'키의 조합, 영문자 'b'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06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c'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d'는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07
'키의 조합, 영문자 'e'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f'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08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09
'키의 조합 또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10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g'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h'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11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i'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12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j'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13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k'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14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l'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15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16
'키의 조합, 영문자 'm'은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n'은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17
'키의 조합 또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o'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p'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18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q'는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19
'키의 조합, 영문자 'r'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20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s'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t'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21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u'는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22
'키의 조합, 영문자 'v'는 '∨'키와 *키의 조합 또는 '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w'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x'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y'는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23
'키의 조합, 영문자 'z'는 '>'키와 '-'키의 조합이 순차적으로 입력됨으로써 해당하는 영문자가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은 알파벳의 기초 형상을 갖는 기호의 조합을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조합을 암기하여 영문자를 쉽게 입력하며, 최대 두 번의 입력으로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 신속하게 문자입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로는, 방향키기능을 키패드를 통하여 병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방향키가 차지하는 공간을 디스플레이 공간 활용 등으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의 키패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문자 입력 시스템을 이용하여 히스토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 메뉴 화면의 일실시예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창안된 10개의 알파벳의 기초 모양을 갖는 기호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10)의 숫자키 0~1번 키에 각각 할당된다.
이때, 알파벳 소문자 'a'~ 'z'까지 문자를 상기 기호의 조합에 의해 입력시 운지거리를 고려하여 기호조합시에 최대한 가깝도록 배치하여 빠른 문자입력을 가능하도록 한다.
즉, 1번 숫자키에 '└'을, 2번 숫자키에 '∧'을, 3번 숫자키에 '┘'을, 4번 숫자키에 '<'을, 5번 숫자키에 '○'을, 6번 숫자키에 '>'을, 7번 숫자키에 '┌'을, 8번 숫자키에 '∨'을, 9번 숫자키에 '┐'을, 0번 숫자키에 'イ'을 각각 할당하며, 나머지에 *키와 #키를 포함하여 배치할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은 10개의 숫자키에 할당된 기호 및 *키를 이용하여 조합에 의해 알파벳 소문자의 형상을 고려한 'a'~'z'까지의 기호 조합은 아래 표 1과 같다.
영문자 기호 조합 비고 영문자 기호조합 비고
a '○'+'イ' 5+0 n '∧'+ *키 +모음 조합시 '∧'으로문자입력 (2+*)
b '└'+'○' 1+5 o '○'+ *키 또는 '○'+'○' 5+* 또는 5+5
c '<'+ *키 또는 '<'+'<' +모음 조합시 '<'으로문자입력 (4+* 또는4+4) p '┌'+'○' 7+5
d '○'+'┘' 5+3 q '○'+'┐' 5+9
e '○'+'<' 5+4 r 'イ'+'∧' 0+2
f '┘'+'┌' 3+7 s '<'+'>' 4+6
g '○'+'>' 5+6 t 'イ'+'イ' 0+0
h '└'+'∧' 1+2 u '∨'+'イ' 8+0
i 'イ'+ *키 0+* v '∨'+ *키 +모음 조합시 '∨'으로문자입력 (8+*)
j '┌'+ *키 7+* w '∨'+'∨' 8+8
k '└'+'<' 1+4 x '∨'+'∧' 8+2
l '┘'+ *키 또는 '┘'+'┘' +모음 조합시 '┘'으로문자입력 (3+*또는3+3) y '∨'+'┐' 8+9
m '∧'+'∧' 2+2 z '>'+'<' 6+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문자 'a'~'z'까지의 기호 조합은 최대한 영문자 형상에 가깝도록 조합되어 있고, 각각의 영문자는 2회 입력만으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쉽고 빠르게 암기 및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c','l','o' 는 각각 입력가능한 조합이 두가지 방식인데, 운지거리 및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편한 조합을 입력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류된 것이다.
또한, 각각의 영문자의 기호 조합은 최대한 운지거리를 가깝도록 배열되어 있는데, 표 1의 비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대 운지거리(숫자키 간 간격)는 3칸으로('c','l','o'의 경우, 두가지 방식 중 최소 운지거리 고려) 빠른 문자입력이 가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영문자 중 'c','l','n','v'는 단축키 기능을 제공하는데, 각각의 영문자 입력을 위한 두 개의 기호 조합 중 앞에 기호만 입력 후, 모음 입력을 위한 기호 조합이 이루어지면 총 3회 입력만으로 영문자 2개를 입력됨으로써, 단축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면, 영단어 'vote'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표 1을 참고하여 8+5+*+0+0+5+4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총 7회의 입력으로 화면에 'vote'가 표시된다.
한편, 영문자 입력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입력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기능키를 아래 표 2에 나타낸다.
기능키 기능
*키 단축키 기능 영문자 + *키 입력시, 해당 영문자 복사 기능
#키 띄어쓰기 기능 대/소문자 전환 기능 특수문자 표시 기능 히스토리(history)에 기저장된 영단어 선택 기능
모드전환키 문자입력모드/방향키모드 전환 기능
상기 키패드(10) 상에 구비되는 *키는 영문자 입력시, 상술된 단축키 기능외에 동일한 영문자를 입력할 때 같은 입력을 반복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문자 복사 기능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tt'를 입력하는 경우, 0+0+* 을 누르면, 0-0에 해당하는 't'가 복사되어, 'tt'가 화면상에 표시됨으로써, 총 3회의 입력만으로 동일문자를 두 번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10)에 구비되는 #키는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키로, 기본적으로 띄어쓰기 기능, 대/소문자 전환 기능 및 특수문자 표시 기능을 포함한다.
띄어쓰기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문자 입력 도중 #키 1회 입력시 자동으로 1회 커서 이동에 의해 띄어쓰기 기능을 제공한다.
대/소문자 전환 기능은 상기 #키를 2회 입력시 대/소문자로 전환하도록 하는데, 기본적으로 소문자 모드로 시작해서 상기 #키 2회 입력에 의해 대문자로 전환하고, 다시 2회 입력시 소문자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를 이용하여 특수문자 표시 기능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3회 입력에 의해 특수문자 표시창을 화면상에 띄우고, 원하는 특수문자를 검색해서 해당 특수문자에 할당된 숫자를 입력하여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특수문자 표시 기능을 위하여 구비되는 특수문자는 기본적으로 영어의 어포스트로피(Apostrophe), 독일어의 움라우트(Umlaut), 프랑스어의 악상떼귀, 악상그라브 등을 포함하여, 영어권뿐만 아니라, 알파벳을 사용하는 국가에서 상기 영문자 입력 시스템을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는 상기 기본적인 기능 외에 히스토리(history) 기능을 이용하는 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히스토리 기능이라 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에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는 영문자 입력에 의해 영단어별로 저장되도록 하되, 최근에 입력된 영단어 순으로 목록화한 히스토리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영문자 입력 도중 해당 영문자를 포함한 영단어를 히스토리 목록화면을 통하여 최근에 입력된 영단어 검색 및 입력하도록 하는 일종의 단어 기억 기능이다.
상기 히스토리 기능을 이용한 영단어 입력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o'를 입력하게 되면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최근 입력된 단어 순으로 focus, fold, force가 순서대로 히스토리 목록에 의해 서브메뉴 화면으로 제공되어, 'force'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3+#을 입력함으로써 간단하게 영단어 입력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모드전환키는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모드와, 키패드(10) 중 일부를 방향키 기능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향키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하도록 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문자입력모드상태에서 1회 입력시 방향키모드로 전환하고, 다시 1회 입력시 문자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방향키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각각 방향키 형상을 갖는 기호가 포함된 숫자키 2,4,6,8 을 각각 상,좌,우,하 방향키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드전환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로 구비하거나, 키패드(10)의 키 중 활용하거나 키패드(10) 외의 키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영문자 입력 시스템을 이용하여 'nominate'를 입력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영문자 입력 시스템을 이용하여 'nominate'를 입력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키패드(10)를 이용하지만, 제2실시예의 경우 단축키 기능이 지원되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nominate'가 입력되는 과정을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키패드(10)에 의해 'nominate'를 입력하기 위하여, 문자 입력 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숫자키 2와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n'인식에 의해 화면상에 표시된다(S200, S202)).
다음, 숫자키 5와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시 'o'를 인식하여 화면상에 표시된다(S204).
다음, 숫자키 5와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시 'o'를 인식하여 화면상에 표시된다(S204).
다음, 'm'을 입력하기 위하여 숫자키 2를 2회 입력시 해당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된다(S206).
이어서 숫자키 0과 *키 입력에 의해 'i'를 인식하여 표시된다(S208).
마찬가지로 숫자키 2와 *키 입력에 의해 'n'이 인식되어 표시되고, 숫자키 5와 숫자키 0 입력에 의해 'a' 인식 및 표시되고, 숫자키 0 2회 입력에 의해 't' 인식 및 표시되고, 마지막으로 숫자키 5와 숫자키 4를 입력하여 'e'를 인식하여 표시됨으로써, 영단어 'nominate'를 완성하게 된다(S210, S212, S214, S216).
이때, 상기 입력에 의해 'nominate'를 입력하기 위하여 총 16회의 입력을 하게 되는데, 단축키 기능을 활용하게 되면 보다 빠른 입력이 가능해진다. 즉, 단축키 기능을 지원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nominate'가 입력되는 경우, 제1실시예에 비하여 입력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입력하게 되면,
먼저, 문자입력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숫자키 2, 숫자키 5와 *키를 순차적으로 입력시 단축키 기능에 의해 'no'를 인식하여 화면상에 표시된다(S300, S302).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문자 'n'을 입력하는 경우 단축키 기능을 제공하는데, 원칙적으로 'n'을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숫자키 2를 누른 후 *키를 눌러야 하나, 예시단어('no')의 경우 'n'이 모음인 'o'와 결합하므로 전술한 단축키 기능이 이용되어 'n'을 입력하기 위한 두 개의 기호 조합(숫자키 2와 *키) 중 앞에 기호(숫자키 2)만 입력 후, 모음 입력을 위한 기호 조합(숫자키 5와 *키)의 입력이 이루어지면 총 3회 입력만으로 영문자 2개를 입력됨으로써 'no'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숫자키 2를 2회 입력함으로써 'm'을 인식에 의해 표시되며, 숫자키 0과 *키 입력에 의해 'i'가 다음 문자로 인식되어 화면상에 표시된다(S304, S306).
또한, 'na'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전술한 단축키 기능을 활용하여 숫자키 2를 입력한 후, 숫자키 5와 *키를 입력하면 'na'가 입력되어 화면상에 표시된다(S308).
이어서, 숫자키 0을 2회 입력하여 't'를 화면상에 표시시키고, 숫자키 5와 숫자키 4를 재차 입력하여 'e'입력함으로써, 원하는 영문자를 입력하게 된다(S310, S312).
상기 도 3의 단축키 기능을 활용한 영문자 입력 방식에 의해 총 14회의 입력만으로 해당 영단어 입력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의 키패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영문자 입력시스템의 키패드의 각 키에는 일정한 형상의 선과 원이 할당된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비하여 제3실시예는 사용자의 입력편의성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동선으로 편리하게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터치패드형 키패드로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한번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동시켜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제고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문자 입력 시스템을 'PICTOS'라 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의 숫자키 1에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24
', 숫자키 2에 '∧', 숫자키 3에 '-'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25
', 숫자키 4에 '>', 숫자키 5에 '○', 숫자키 6에 '>', 숫자키 7에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26
', 숫자키 8에 '∨', 숫자키 9에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27
'와 '-'이 할당되며, 사용자는 상술한 각 키와 *키를 조작하여 원하는 영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아래의 표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10개의 숫자키에 할당된 기호 및 *키의 조합을 도시한 표이다.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키패드에 할당되는 일정한 형상의 선 및 원)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키에 할당된 기호의 조합을 통해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숫자키 3에 '-'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28
'를 할당하고, 숫자키 9에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29
'와 '-'를 할당하여 사용자가 영문자 입력시 조작해야 하는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2개의 기호가 할당된 숫자키 즉 숫자키3 또는 숫자키 9가 조작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조합되어 입력되는 기호를 판단하여 '-' 또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30
'로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s'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숫자키 3을 입력한 후 숫자키 6을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키 3에 해당되는 기호를 '-'로 판단하여 's'를 표시하는 반면, 만일 'a'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숫자키 5를 입력한 후 숫자키 3을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키 3에 해당되는 기호를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31
'로 판단하여 'a'를 표시하게 된다.
Figure 112007071033151-pat00032
Figure 112007071033151-pat00033
Figure 112007071033151-pat00034
첨부된 표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문자 입력시스템을 이용하여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호의 조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영문자 'a'는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35
'키의 조합(숫자키 5 + 숫자키 3 또는 숫자키 9, 여기서 '+'의 의미는 순차적으로 조작됨을 의미한다.), 영문자 'b'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36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1 + 숫자키 5), 영문자 'c'는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4 + 숫자키 4, 2번의 숫자키 4의 조작으로도 입력이 가능하며, 일정한 시간 이상 숫자키 4를 누르고 있는 경우 2번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여 영문자 'c'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패드 형식이 적용될 경우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키패드 위에서 원을 그림.), 영문자 'd'는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37
'키의 조합(숫자키 5 + 숫자키 1), 영문자 'e'는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5 + 숫자키 4), 영문자 'f'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38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39
'키의 조합(숫자키 1 + 숫자키 7) 또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40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1 + 숫자키 3), 영문자 'g'는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5 + 숫자키 6), 영문자 'h'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41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1 + 숫자키 2), 영문자 'i'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42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3 + 숫자키 5), 영문자 'j'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43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7 + *키), 영문자 'k'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44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1 + 숫자키 4), 영문자 'l'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45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46
'키의 조합(숫자키 1 + 숫자키 1, 2번의 숫자키 1의 조작으로도 입력이 가능하며, 일정한 시간 이상 숫자키 1을 누르고 있는 경우 2번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여 영문자 'l'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패드 형식이 적용될 경우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키패드 위에서 원을 그림.), 영문자 'm'은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2 + 숫자키 2, 또는 일정한 시간 이상 숫자키 2를 누름. 또는, 터치패드 형식이 적용될 경우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키패드(숫자키 2) 위에서 원을 그림.), 영문자 'n'은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47
'키의 조합(숫자키 2 + 숫자키 3) 또는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2 + 숫자키 5), 영문자'o'는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5 + 숫자키 5, 또는 일정한 시간 이상 숫자키 5를 누름. 또는, 터치패드 형식이 적용될 경우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키패드 위(숫자키 5)에서 원을 그림.), 영문자 'p'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48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7 + 숫자키 5), 영문자 'q'는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49
'키의 조합(숫자키 5 + 숫자키 7), 영문자 'r'은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3 + 숫자키 2), 영문자 's'는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3 + 숫자키 6), 영문자 't'는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51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3 + 숫자키 3, 또는 숫자키 9 + 숫자키 9, 또는 숫자키 3 + 숫자키 9, 또는 일정한 시간 이상 숫자키 3을 누름, 또는 일정한 시간 이상 숫자키 9를 누름. 또는, 터치패드 형식이 적용될 경우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키패드(숫자키 3 또는 숫자키 9) 위에서 원을 그림.), 영문자 'u'는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52
'키의 조합(숫자키 8 + 숫자키 9), 영문자 'v'는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8 + *키) , 또는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8 + 숫자키 5), 영문자 'w'는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8 + 숫자키 8, 또는, 일정한 시간 이상 숫자키 8을 누름. 또는, 터치패드 형식이 적용될 경우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키패드(숫자키 8) 위에서 원을 그림.), 영문자 'x'는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2 + 숫자키 8, 또는 숫자키 8 + 숫자키 2), 영문자 'y'는 '∨'키와 '
Figure 112007071033151-pat00053
'키의 조합(숫자키 7 + 숫자키 8, 또는 숫자키 8 + 숫자키 7), 영문자 'z'는 '>'키와 '-'키의 조합(숫자키 6 + 숫자키 9)이 순차적으로 입력됨으로써 해당하는 영문자가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문자 입력시스템은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표 2에 나타나 있는 각종 기능키 기능이 지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키패드(10) 상에 구비되는 *키는 단축키 기능외에 동일한 영문자를 입력할 때 같은 입력을 반복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문자 복사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키패드(10)에 구비되는 #키는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키로, 기본적으로 띄어쓰기 기능, 대/소문자 전환 기능 및 특수문자 표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키는 상기 기본적인 기능 외에 히스토리(history) 기능을 이용하는 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모드전환키는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모드와, 키패드(10) 중 일부를 방향키 기능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향키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하도록 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문자입력모드상태에서 1회 입력시 방향키모드로 전환하고, 다시 1회 입력시 문자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방향키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각각 방향키 형상을 갖는 기호가 포함된 숫자키 2,4,6,8 을 각각 상,좌,우,하 방향키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기능키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의 키패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영문자 입력 시스템을 이용하여 'nominate'를 입력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영문자 입력 시스템을 이용하여 'nominate'를 입력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을 이용하여 히스토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 메뉴 화면의 일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의 키패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부호의 설명>
10 : 키패드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한 형상의 선과 원이 단말기 키패드의 각 키에 할당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선과 상기 원의 조합으로 영문자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선은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85
    ',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86
    ',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87
    ', '∧', '<', '>', '∨', '-'이고, 상기 원은 '○'이며,
    영문자 'a'는 '○'키와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88
    '키의 조합, 영문자 'b'는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89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c'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d'는 '○'키와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90
    '키의 조합, 영문자 'e'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f'는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91
    '키와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92
    '키의 조합 또는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93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g'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h'는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94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i'는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95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j'는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96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k'는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97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l'은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98
    '키와 '
    Figure 112009055563939-pat00099
    '키의 조합, 영문자 'm'은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n'은 '∧'키와 '
    Figure 112009055563939-pat00100
    '키의 조합 또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o'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p'는 '
    Figure 112009055563939-pat00101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q'는 '○'키와 '
    Figure 112009055563939-pat00102
    '키의 조합, 영문자 'r'은 '
    Figure 112009055563939-pat00103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s'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t'는 '
    Figure 112009055563939-pat00104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u'는 '∨'키와 '
    Figure 112009055563939-pat00105
    '키의 조합, 영문자 'v'는 '∨'키와 *키의 조합 또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w'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x'는 '∨'키와 '∧'키의 조합, 영문자 'y'는 '∨'키와 '
    Figure 112009055563939-pat00106
    '키의 조합, 영문자 'z'는 '>'키와 '-'키의 조합이 순차적으로 입력됨으로써 해당하는 영문자가 표시되며,
    상기 키패드는,
    숫자키 1에 '
    Figure 112009055563939-pat00107
    ', 숫자키 2에 '∧', 숫자키 3에 '
    Figure 112009055563939-pat00108
    '와 '-', 숫자키 4에 '<', 숫자키 5에 '○', 숫자키 6에 '>', 숫자키 7에 '
    Figure 112009055563939-pat00109
    ', 숫자키 8에 '∨', 숫자키 9에 '
    Figure 112009055563939-pat00110
    '와 '-'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영문자 입력 도중 1회 누를 때마다 방향키 모드 또는 문자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키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드전환키에 의해 방향키 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의 '∧'키는 상 방향키기능, 상기 키패드의 '<'키는 좌 방향키기능, '>'키는 우 방향키기능, '∨'키는 하 방향키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터치패드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시스템은 특정 숫자키 위에서 원이 그려지는 경우, 특정 숫자키에 할당된 형상이 순차적으로 2번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
KR1020070099274A 2007-08-03 2007-10-02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 KR10093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4243 WO2009020295A1 (en) 2007-08-03 2008-07-21 Alphabet input system for mobile terminal
US12/670,028 US20100201628A1 (en) 2007-08-03 2008-07-21 Alphabet input system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8103 2007-08-03
KR1020070078103 2007-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074A KR20090014074A (ko) 2009-02-06
KR100937971B1 true KR100937971B1 (ko) 2010-01-21

Family

ID=4068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274A KR100937971B1 (ko) 2007-08-03 2007-10-02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201628A1 (ko)
KR (1) KR100937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734B1 (ko) 2009-05-12 2012-03-29 셀코일렉트로닉스(주)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531540B1 (ko) * 2014-03-17 2015-06-25 이선규 알파벳 입력 시스템
CN104615265B (zh) * 2015-01-07 2019-03-26 深圳市致璞科技有限公司 一种输入字符的方法
CN104615266A (zh) * 2015-01-07 2015-05-13 深圳市艾优尼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
KR101632022B1 (ko) * 2015-04-22 2016-06-21 원준연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091A (ko) * 2002-09-28 2004-04-03 석경환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영문자 입력 시스템
KR20050061011A (ko) * 2003-12-17 2005-06-22 이상훈 전화기를 이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11735A1 (en) * 2003-03-17 2006-01-04 Jaewoo Ah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JP4583258B2 (ja) * 2004-07-12 2010-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制御装置
EP1787281A2 (en) * 2004-07-15 2007-05-23 N-Trig Ltd. Automatic switching for a dual mode digitizer
RU2304301C2 (ru) * 2004-10-29 2007-08-10 Дмитрий Иванович Самаль Способ ввода символов в электронно-вычислительные устройств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091A (ko) * 2002-09-28 2004-04-03 석경환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영문자 입력 시스템
KR20050061011A (ko) * 2003-12-17 2005-06-22 이상훈 전화기를 이용한 영문자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074A (ko) 2009-02-06
US20100201628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5039B2 (en) Text input
KR1010581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AU2017330125B2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09379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
JP5495702B2 (ja) 入力装置
US7642932B2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KR20060101367A (ko) 숫자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JP2002251253A (ja) 移動端末の入力部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050088415A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device
KR100860837B1 (ko) 디스플레이 변환형 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단말기
CN101388976A (zh) 实现在电视机上输入文字的方法
WO2009020295A1 (en) Alphabet input system for mobile terminal
JP2004038897A (ja) 目的の文字を直接入力できる携帯電話機の入力装置
KR10068665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904286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271352B1 (ko) 5버튼 키보드
KR20090010144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숫자 조합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KR200377783Y1 (ko) 기능성 버튼을 이용한 휴대폰 문장 부호 자판 배열에관한 고안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66213B1 (ko) ㄷ자형 자음 입력 버튼 배열을 갖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폰
JP2006081137A (ja) 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188133B1 (ko) 휴대단말의 문자입력 키패드
JP2720832B2 (ja) 入力文字可変型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