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540B1 - 알파벳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알파벳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540B1
KR101531540B1 KR1020140030915A KR20140030915A KR101531540B1 KR 101531540 B1 KR101531540 B1 KR 101531540B1 KR 1020140030915 A KR1020140030915 A KR 1020140030915A KR 20140030915 A KR20140030915 A KR 20140030915A KR 101531540 B1 KR101531540 B1 KR 101531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character
combination
inp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규
Original Assignee
이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규 filed Critical 이선규
Priority to KR1020140030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540B1/ko
Priority to US15/113,320 priority patent/US9933860B2/en
Priority to PCT/KR2015/002439 priority patent/WO2015141987A1/ko
Priority to GB1613445.4A priority patent/GB2538193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6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integrated keyboard for transport,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벳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알파벳 중, 매칭된 제1 문자
를 입력하는 복수의 대표키와; 상기 복수의 대표키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하
여 입력되어 상기 제1 문자를 제외한 알파벳인 조합문자를 생성하는 조합키
를 포함하며; 상기 조합문자는 상기 복수의 대표키에 각각 매칭된 상기
제1 문자의 형상과 상기 조합키의 '역J' 형상의 조합기호로부터 파생되어
상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소형화된 입력기에서
직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상형의 기호를 조합하여 알파벳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파벳 입력 시스템 {ALPHABET INPUTTING SYSTEM}
본 발명은 알파벳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직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상형의 기호를 조합하여 소형화된 입력시스템에서 알파벳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알파벳 키보드를 소형화 하기 위한 제안과 현실화는 끊임 없이 이어져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25429호(공개일 2001년04월06일, 축소형
자판을 이용한 영문 입력 방법)에는 문자키와 기능키를 함께 눌러 입력하는
방식의 축소형 자판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과 유사한 대표적인 소형화된 알파벳 문자 입력기의 유형과 그
문제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토글 방식을 사용하는 기존 알파벳 입력기의 배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4 × 3 키 구조를 가지는
입력 시스템에서 각 문자는 알파벳의 사용빈도와 무관하게 종속 배치되어
각 대표 문자에 종속된 문자 1개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최대 4회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더욱이 동일 문자나 동일 키에 포함된 문자 2개를 연속 입력할 경우, 구분자
를 별도로 입력해야하므로 최대 6타의 타수 낭비를 초래한다. 이는 소형화
기기에서 고속 입력을 어렵게 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도 2는 1대1 입력식의 QWERTY 기술의 배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
한 입력방식에서는 각각의 독립된 키를 입력받는 구조로서, 물리적 촉감을
제공하는 소형화된 기계식 입력기가 사용되고 있지만, 입력 시스템을 배치
하기 위해 휴대장치의 무게 및 크기 등에 현저한 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휴대장치의 휴대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이의 또다른 방법인 화면 표시장치(LCD Display등)에서 독립된 키를 입력 받
는 터치식 QWERTY 입력기가 사용되고 있지만, 입력부의 크기가 작아져 오타
율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크기에도 한계가 있어 모
든 소형화 기기에서의 보편적 사용은 부적합하다.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조합 방식을 사용하는 문자입력을 위한 배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와 같은 방식에서는 조합의 원리와 타수 최
소화를 위해 사용 빈도를 고려한 대표키를 배치함으로써 입력 속도를 일부
개선하였으나, 조합 모양에 있어 개개인의 해석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조합의 연관성이 낮은 경우도 많아 사용 숙지가 어렵고, 숙련 과정 또한
길어져 그 실용적 가치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알파벳 입력 방법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범용적이고 궁극적
인 소형의 대체 입력 시스템은 아직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자 조합 방법이
직관적이고 일관된 방식을 이용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소형의 장치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최소화된 입력회수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알파벳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입력한 문자의 지속적인 반복 입력이 가능한 알파벳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통상의 4 × 3 키 기반의 문자 입력 시스템과 형태를 공유하여 높은
이식성과 호환성을 갖춘 소형화된 알파벳 입력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파벳 중, 매칭된 제1 문
자를 입력하는 복수의 대표키와; 상기 복수의 대표키 중, 어느 하나와 조합
하여 입력되어 상기 제1 문자를 제외한 알파벳인 조합문자를 생성하는 조합
키를 포함하며; 상기 조합문자는 상기 복수의 대표키에 각각 매칭된 상기 제
1 문자의 형상과 상기 조합키의 '역J' 형상의 조합기호의 조합으로부터 파생
되어 상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으로 달
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합문자는 상기 대표키와 상기 조합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
여 생성한 문자인 제2 문자와; 상기 조합키와 상기 대표키를 순차적으로 입
력하여 생성한 문자인 제3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조합문자는 상기 조합키를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 대표키를
입력하여 생성한 문자인 제2 문자와;
상기 대표키를 입력하고, 조합키를 복수로 입력하여 생성한 문자인 제3 문자
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문자는 알파벳 중, 'C', 'E', 'N', 'O', 'F', 'P', 'U',
'T', 'I', 'Y', 'L'이고, 상기 제2 문자는 알파벳 중, 'G', 'B', 'M', 'Q',
'A', 'R', 'W', 'S', 'H', 'K', 'D'이고, 상기 제3 문자는 알파벳 중, 'J',
'X', 'V', 'Z' 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대표키는 11개로 구성되고, 상기 조합키는 1개로 구성되
어 알파벳을 입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대표키와 상기 조합키는 배치되는 위치의 변경이 가능
하고, 상기 복수의 대표키 각각에 매칭되는 상기 제1 문자의 설정이 가능하
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J', 'X', 'V', 'Z'의 제3 문자가 설정되지 않은 상기 복수의
대표키에 상기 제3 문자의 입력방식에 의해 입력되는 지정문자의 추가적인
설정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소형화된 알파벳 입력 시스템에서 대표키와 단 1개
의 조합키를 사용하여 상형적인 원리에 의해 조합문자를 입력하게 되므로 조
합하여 파생될 문자를 쉽게 예측할 수 있고, 대체로 일관성 있는 입력 구조
를 갖게 되므로 사용법 이해와 숙련 과정을 대폭 감소 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개 문자당 2 타자만으로 조합이 완성되어 타수 낭비가 없고, 사용
빈도가 높은 문자를 제 1문자로 배치하고, 그 중 상대적으로 빈도가 더욱 높
은 문자는 '역J'키 인접 공간에 배치하여 입력 효율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
다.
또한, 종래 소형화된 토글식 입력 시스템에서 구현하기 힘들었던 동일 문자
의 연속 입력 기능을 조합키 외에 별도의 기능키 부여 없이 실현 할 수 있
다.
또한, 통상의 4 × 3 배치의 문자입력시스템과 같은 키 수를 공유하고, '역
J'키의 위치가 통상의 문자입력시스템에서의 기준키와 그 배치를 같이하여
별도의 구조적 수정없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높은 이식성을 제공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종래의 토글 방식을 사용하는 기존 알파벳 입력기의 배열 구조를 나
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1대1 입력식의 QWERTY 기술의 배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
고,
도 3과 도 4는 종래의 조합 방식을 사용하는 기술의 배열 구조를 나타낸 도
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파벳 입력 시스템의 입력키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문자의 파생원리와 입력순서를 설명하
기 위한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과 종래기술에 따른 타자 수와 효율을 비교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문자 표현 양식의 다양성을 제시한 도
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파벳 입력 시스템의 입력키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합문자의 파생원리와
입력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파벳 입력 시스템은 복수의 대표키와 조합키를 포함
한다.
복수의 대표키는 알파벳 중, 매칭된 제1 문자를 입력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
명의 실시예에서 매칭되는 제1 문자는 대표키 각각의 독립적인 입력으로 매
칭된 문자가 입력되며, 11개의 키로 구성된 것을 예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표키에 매칭되는 제1 문자는 'C', 'E',
'N', 'O', 'F', 'P', 'U', 'T', 'I', 'Y', 'L' 이 된다.
조합키는 복수의 대표키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하여 입력되어 상기 제1 문자
를 제외한 알파벳인 조합문자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합문자는 제2 문자와 제3 문자를 포함한다.
제2 문자는 알파벳 중, 'G', 'B', 'M', 'Q', 'A', 'R', 'W', 'S', 'H', 'K',
'D'로 구성되고, 제3 문자는 알파벳 중, 'J', 'X', 'V', 'Z'로 구성되는 것
을 예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자에‘역J'의 형상을 조합하면 어떤 문자가
파생될지 짐작할 수 있는데, 조합되는 문자는 복수의 대표키에 각각 매칭된
제1 문자의 형상과 조합키의 '역J' 형상의 조합기호로부터 파생되어 상형적
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직관적으로 조합문자의 파생원리를 파악할 수 있어 숙련과정에
용이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대표키에 해당하는 제1 문자인 'C', 'E', 'N', 'O', 'F',
'P','U', 'T', 'I', 'Y', 'L' 총 11문자는 대표키의 독립적인 1회 타자로 입
력이 완료된다.
제2 문자와 제3 문자는 각각 2가지 실시예의 입력방식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시예
조합문자는 대표키와 조합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제2와 제3 문자를 생성
하여 입력할 수 있다.
대표키(제 1문자)를 입력한 후 '역J'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직전에 입력
된 제 1문자에 소급 적용되어 목적하는 제2 문자가 입력된다.
제1 문자인 'C', 'E', 'N', 'O', 'F', 'P','U', 'T', 'I', 'Y', 'L' 에 조합
키의 '역J'와 조합되어 제2 문자 'G', 'B', 'M', 'Q', 'A', 'R', 'W', 'S',
'H', 'K', 'D' 가 입력되며 그 조합은 다음과 같다.
'G'는 'C' + '역J', 'B'는 'E' + '역J', 'M'은 'N' + '역J',
'Q'는 'O' + '역J', 'A'는 'F' + '역J', 'R'은 'P' + '역J',
'W'는 'U' + '역J', 'S'는 'T' + '역J', 'H'는 'I' + '역J',
'K'는 'Y' + '역J', 'D'는 'L' + '역J'

대표키('U', 'I', 'Y', 'L')를 눌렀다 뗀 후 '역J' 키를 연타하여 제3 문자
(제2 문자에 소급적용 됨)를 입력할 수 도있다. 그 조합은 다음과 같다.
'J'는 'U' + '역J' + '역J', 'X'는 'I' + '역J' + '역J',
'V'는 'Y' + '역J' + '역J', 'Z'는 'L' + '역J' + '역J'.

제3 문자인 'J', 'X', 'V', 'Z'는 제2 문자의 대표키와 상기 조합키의 순차
적인 입력 순서와 반대인 조합키와 대표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서 'U'가 매칭된 대표키와 조합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면, 제2
문자인 'W'가 생성되지만, 반대로 조합키와 'U'가 매칭된 대표키를 순차적으
로 입력하면 'J'가 입력되는 방식이다.
여기서, 순차적인 입력이라 함은 대표키 또는 조합키 중, 어느 하나의 누름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조합문자의 생성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로서, '역J'키를 누름 상태(╋)에서 각 대표키('U', 'I', 'Y', 'L')를 누
르면 제2 문자 보다 우선하여 제3 문자 'J'또는 'X'또는 'V'또는 'Z'가 입력
되는 방법이 이용되며, 그 조합은 아래와 같다.
'J'는 '역J' ╋ 'U', 'X'는 '역J' ╋ 'I',
'V'는 '역J' ╋ 'Y', 'Z'는 '역J' ╋ 'L'

제2 실시예
조합문자는 조합키를 입력한 상태 즉, 조합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대표키를 입력하여 제2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문자 'G', 'B', 'M', 'Q', 'A', 'R', 'W', 'S', 'H', 'K', 'D' 중에서,
'G', 'B', 'M', 'Q', 'A', 'R', 'S' 총 7문자가 여기에 해당하고 그 조합은
다음과 같다.
'G'는 '역J' ╋ 'C', 'B'는 '역J' ╋ 'E', 'M'은 '역J' ╋ 'N',
'Q'는 '역J' ╋ 'O', 'A'는 '역J' ╋ 'F', 'R'은 '역J' ╋ 'P',
'S'는 '역J' ╋ 'T'

예외적으로 제 3문자와 키를 공유하는 제 2문자 'W', 'H', 'K', 'D'를 상기
제2 실시예의 입력방식과 같이 '역J' 키를 누름 상태로 입력하고자 할 경우,
먼저 '역J'키를 연타 후 누름 상태(╋)를 유지한 채로 대표
키('U','I','Y','L')를 입력하면 각각 'W', 'H', 'K', 'D'가 입력되고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W'는 '역J' + '역J' ╋ 'U', 'H'는 '역J' + '역J' ╋ 'I',
'K'는 '역J' + '역J' ╋ 'Y', 'D'는 '역J' + '역J' ╋ 'L'

또한, 대표키('U', 'I', 'Y', 'L')를 눌렀다 뗀 후 '역J' 키를 연타하여 제3
문자(제2 문자에 소급적용 됨)를 입력할 수 도있다. 그 조합은 다음과 같다.
'J'는 'U' + '역J' + '역J', 'X'는 'I' + '역J' + '역J',
'V'는 'Y' + '역J' + '역J', 'Z'는 'L' + '역J' + '역J'.

상기와 같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 동일 문자를 연속
해서 반복 입력을 해야하는 경우, 다음의 방식이 이용된다.
제 1문자는 연타하거나 누름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반복입력한다.
제2 문자와 제3 문자를 포함하는 조합문자는 '역J'키를 누름 상태에서 대표
키를 연타하거나 누름 상태를 유지 하는 방법으로 반복입력한다.
이때, 제2 문자와 제3 문자가 공유되는 대표키('U', 'I', 'Y', 'L')에서의
제2문자의 반복 입력은 '역J' 연타 후 누름 상태를 유지한 채로 각 대표키를
연타하거나 누름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제 2문자를 반복 입력할 수 있
다.

도 7은 본 발명과 종래기술에 따른 타자 수와 효율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효율을 증명할 수 있는 타수 산출 프로그
램의 결과로 임의의('노인과 바다' 원문) 영문 문서 일부(6110자)를 각 기술
의 입력 방법을 적용하여 타수와 그 증가율을 산출한 자료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기기에 기본 내장된 'Legacy'(도 1의 기술) 입력 방법으로
는 90 ~ 110 % 평균 2배의 타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인 '등록번호 10-0935883'(도3 의 기술) 기술을 사용한 입력 방법
으로는 85 ~ 90 % ('T' 문자를 대표키로 할당할 경우 75 ~ 85 % )의 효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인 '등록번호 20-0419301'(도4 의 기술) 기술을 사용한 입력 방법
으로는 80 ~ 90 %,의 효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인 알파벳 입력 시스템으로는 30 ~ 45 %(최대 3타수로 입력해야하는
터치식 입력기의 경우 35% ~ 50 %)로 비교 대상 중 최저의 타수로 입력이 가
능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문자 수나 내용에 큰 상관 없이 매번 유사한 증가율을 유
지한다.

한편으로, 시스템의 특성과 편의에 따라 문자의 할당과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만약 키 수가 11개의 입력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해야 한다면, 우선
적으로 'T'는 'E' 또는 'F'의 제 3문자로, 'S'는 'C'의 제 3문자로 재할당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 수가 10개 이하라면 문자의 유사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제3 문자가 없는
문자 그룹에 각각 나누어 잔여 문자를 할당하고 제3 문자 입력 방법과 동일
한 방법으로 문자를 입력하도록 한다.
또한 통상 도 5와 같은 기본 배치를 따르되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 설정
등으로 편의나 환경에 따라 키의 위치는 재할당될 수 있다.
만약 기존 사용 중인 표준 입력 시스템에서 편수(한손 키보드)용 또는 소형
입력시스템으로 사용 하고자 한다면 본 발명의 원리와, 공개된 한글 입력 기
술('천지인', '나랏글') 등을 접목하고, 소프트웨어적인 후킹 기술 이용하면
추가적 비용 없이 편수 또는 소형 문자 입력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는 한 손으로 키보드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유용하며, 통상의 숫자 전용
입력기(키패드)에서 우선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조합 표현 양식에 있어 대체적으로 문자의 원형을 유지 하여도 무방
하나, 제2 문자와 제3 문자에 보다 나은 직관성 확보를 위해 'I'('H','X'),
'T'('S'), 'Y'('K','V'), 'L'('Z') 등은 인지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장 자연
스러운 조합 형태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알파벳 문자의 다양한 표현 양식을 활용한
예이다. 장래 문자의 표현 양식을 거듭 진보시켜 보다 인지하기 좋은 입력
시스템으로 발전시킨다면 개개인의 사용법 숙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더욱
줄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 보다 쉽게 문자 배치를 기억 할 수 있도록 몇 가지
경향성을 부여하고 있다. 첫번째, 상 좌에서 하 우방향('ㄴ')은 알파벳 쓰기
우선 순위에서 순방향의 문자 그룹이 배치되고, 그 반대 방향('ㄱ')은 알파
벳 쓰기의 역방향인 문자 그룹이 배치되는 경향성을 지닌다.
두번째, 상 좌에서 하 우에는 크기가 작은 '역J'가 조합되고, 그 반대 방향
에는 크기가 큰 '역J'가 조합되는 경향성을 지닌다.
세번째, 'U'와 'Y'는 각 원형 문자의 수직, 수평 단면을 사용하여 제 3문자
'J', 'V'가 파생(표현 양식에 따라 '역J'를 빼는 형태의 표현도 가능하다)됨
을 알 수 있고, 그런 차이 점을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하 중앙에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대로 본 발명은 알파벳 문자에 '역J'를 첨가하여 시각적으
로 파생 가능한 문자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것이다. 여기에 대표키 + 조합
키, 또는 조합키 ╋ 대표키 입력 순서라는 단순한 규칙성을 부여하면 소형화
된 입력 시스템에서 누구나 쉽고, 빠르게 목적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
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 : 키의 누름 유지 상태를 나타냄.

Claims (7)

  1. 알파벳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알파벳 중, 매칭된 제1 문자를 입력하는 복수의 대표키와;
    상기 복수의 대표키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하여 입력되어 상기 제1 문자를
    제외한 알파벳인 조합문자를 생성하는 조합키를 포함하며;
    상기 조합문자는 상기 복수의 대표키에 각각 매칭된 상기 제1 문자의 형상과
    상기 조합키의 '역J' 형상의 조합기호의 조합으로부터 파생되어 상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
    (여기서, ‘역J’라 함은‘J’의 역상을 의미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문자는 상기 대표키와 상기 조합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생성한
    문자인 제2 문자와;
    상기 조합키와 상기 대표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생성한 문자인
    제3 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문자는 상기 조합키를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 대표키를 입력하여
    생성한 문자인 제2 문자와;
    상기 대표키를 입력하고, 조합키를 복수로 입력하여 생성한 문자인
    제3 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자는 알파벳 중, 'C', 'E', 'N', 'O', 'F', 'P', 'U', 'T', 'I',
    'Y', 'L'이고,
    상기 제2 문자는 알파벳 중, 'G', 'B', 'M', 'Q', 'A', 'R', 'W', 'S', 'H',
    'K', 'D'이고,
    상기 제3 문자는 알파벳 중, 'J', 'X', 'V', 'Z'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표키는 11개로 구성되고, 상기 조합키는 1개로 구성되어
    알파벳을 입력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표키와 상기 조합키는 배치되는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대표키 각각에 매칭되는 상기 제1 문자의 설정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J', 'X', 'V', 'Z'의 제3 문자가 설정되지 않은 상기 복수의 대표키에
    상기 제3 문자의 입력형식에 의해 입력되는 지정문자의 추가적인 설정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벳 입력 시스템.
KR1020140030915A 2014-03-17 2014-03-17 알파벳 입력 시스템 KR101531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915A KR101531540B1 (ko) 2014-03-17 2014-03-17 알파벳 입력 시스템
US15/113,320 US9933860B2 (en) 2014-03-17 2015-03-13 Alphabet input system
PCT/KR2015/002439 WO2015141987A1 (ko) 2014-03-17 2015-03-13 알파벳 입력 시스템
GB1613445.4A GB2538193B (en) 2014-03-17 2015-03-13 Alphabet inpu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915A KR101531540B1 (ko) 2014-03-17 2014-03-17 알파벳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540B1 true KR101531540B1 (ko) 2015-06-25

Family

ID=5351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915A KR101531540B1 (ko) 2014-03-17 2014-03-17 알파벳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33860B2 (ko)
KR (1) KR101531540B1 (ko)
GB (1) GB2538193B (ko)
WO (1) WO2015141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827A (ko) * 2015-12-04 2017-06-14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이의 누설 검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120A (ko) * 2000-01-17 2001-08-31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419301Y1 (ko) * 2006-02-01 2006-06-20 김진규 휴대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키패드
KR20090125518A (ko) * 2008-06-02 2009-12-07 차창호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0935883B1 (ko) * 2008-07-14 2010-01-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267A (en) * 1990-03-27 1994-04-26 Yang Gong M Method and keyboard for input of characters via use of specified shapes and patterns
AU2003211641A1 (en) * 2002-02-19 2003-09-09 Hyun Jin Ji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40068031A (ko) 2003-01-22 2004-07-30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937971B1 (ko) * 2007-08-03 2010-01-21 이호윤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시스템
KR101271352B1 (ko) * 2010-12-15 2013-06-04 조근우 5버튼 키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120A (ko) * 2000-01-17 2001-08-31 김민겸 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419301Y1 (ko) * 2006-02-01 2006-06-20 김진규 휴대 단말기의 영문자 입력 키패드
KR20090125518A (ko) * 2008-06-02 2009-12-07 차창호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0935883B1 (ko) * 2008-07-14 2010-01-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형적 조합 및 사용 빈도수를 함께 이용한 소형키패드에서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1987A1 (ko) 2015-09-24
GB2538193A (en) 2016-11-09
US20170010684A1 (en) 2017-01-12
US9933860B2 (en) 2018-04-03
GB2538193B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75691A (zh) 一种虚拟键盘布局方法及键盘
US200801581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Through Direction Input Unit
NZ589653A (en) System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KR101531540B1 (ko) 알파벳 입력 시스템
CN102650909A (zh) 字符输入装置及字符输入方法
KR100749137B1 (ko)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JP2013219752A (ja) 日本語入力システム
CN103365429A (zh) 一种t码输入法
JP2010020747A (ja) 象形的組み合わせ及び使用頻度数を使用した小型キーパッドでのアルファベット入力装置及びアルファベット認識システム
KR20130069391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1071812B1 (ko)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N101299167A (zh) 适合手持设备和移动通讯的统一码键盘和相应输入方法
CN206353293U (zh) 一种三笔数码输入法通用鼠标子母键键盘
KR101427524B1 (ko) 효율적인 입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키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CN201876822U (zh) 一种数字字母盲打键盘
KR101105210B1 (ko) 휴대단말기의 태국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KR20110033163A (ko) 부수 입력 방식의 휴대용 전자기기 영어 자판 입력 체계
CN101482778A (zh) 在手机上输入文字的方法
KR20130023309A (ko) 전화기 키패드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KR20160033958A (ko) 빠른 입력이 가능한 웨어러블용 소형 키보드
CN102541269A (zh) 一种手机和电脑通用的单手键盘及其手机式电脑
Mishra Inventions on reducing number of keys on a Computer Keyboard--A TRIZ based analysis
KR20110124857A (ko) 알파벳 연상 기호를 이용한 알파벳 제자 원리에 기반한 알파벳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302385B1 (ko) 한글 입력 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