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309B1 - 한글 자음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한글 자음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309B1
KR100709309B1 KR1020050022372A KR20050022372A KR100709309B1 KR 100709309 B1 KR100709309 B1 KR 100709309B1 KR 1020050022372 A KR1020050022372 A KR 1020050022372A KR 20050022372 A KR20050022372 A KR 20050022372A KR 100709309 B1 KR100709309 B1 KR 10070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button
consonants
hangu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655A (ko
Inventor
홍성용
이진영
Original Assignee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filed Critical 타임스페이스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5002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309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입력공간이 제한되는 PDA등에 적용이 가능한 한글을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장치로는 한글 자음 14개를 축약한 9개 키 + 한글모음 3개 + 쌍자음 키 1개를 추출하여 총 13개의 키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한된 공간에서의 한글 자음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한글 입력장치, 전자 입력기기, 카 네비게이션, PDA, 핸드폰, 전자기기, 문자 입력장치

Description

한글 자음 입력장치{Speed Korean Inpu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가 도시된 단말기 자판의 일 예이다.
도 2 내지 도 5는 각종 단말기에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가 장착된 예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글은 각 음소 (a Phoneme), 즉 알파벳 하나하나가 일차원적으로 나열되는 영어, 불어, 독어, 한자를 제외한 일본어 등과는 달리 각 음소가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되어 초성과 중성 또는 초성, 중성, 종성이 어우러져 이차원적으로 배치되면서 하나의 음절을 이루는 문자체계를 갖는다.
<8> 전자기기에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단순한 일차원적인 문자는 음소의 순서와 사이 띄우기 만으로 하나의 단어가 완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문자입력 프로토콜 만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자면 apple이란 단어는 일차원적인 한 단어로써 a+p+p+l+e 이라는 문자를 하나씩 입력을 하게 되면 입력이 완료되는 입력법이다. 그렇지만, 한글의 경우, 이차원적으로 배열되어야 할 뿐 아니라, "엮이", "역기", "여끼"의 예에서처럼 이응(ㅇ)을 제외한 둘 이상의 자음이 반복될 때, 이 자음을 각 음절에 어떻게 배치해야 할 지를 결정해야 하며, 기본적으로 14개의 자음과 이론상 거의 무한대의 모음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복잡한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9> 전기전자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CDMA, PCS, TDMA, GSM, AMPS, IMT-2000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휴대전화, PDA (Windows, Linux, Palm 등을 장착한 각종 OS), 호출기, 소형 게임기, 리모콘, 셋탑 박스, 카메라, 가전기구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에 문자를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면서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필요성도 계속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특히 입력공간이 한정된 PDA와 스마 트 폰 등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각종 방법(장치)이 개발되었다. 초기 입력장치는 가장 단순한 것으로서, 한글 입력모드가 되면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 모든 자음(초성)이 표시되면 사용자가 커서를 움직여 원하는 자음을 선택했고 이어서 많은 수의 모음이 표시되면 역시 사용자가 커서를 사용하여 원하는 모음을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하나의 음절을 결정하는 방식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9-24321호). 이후 모음에 대해서는 각 모음의 기본 형태소를 추출하여 ㅡ, ㆍ, ㅣ를 3개의 버튼에 배치하고 이들의 순열을 통해 모든 모음을 입력하는 소위 "천지인 모음 입력방법(장치)"가 개발, 정착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97-2558호).
<10> 자음 입력방법(장치)은 크게 1. PDA상에서의 키보드 입력 방식이다. 이것은 공간이 혐소한 PDA상에서 컴퓨터 키보드와 같이 자음, 모음 모두를 한 화면에 배치한 방식이다. 2. 모든 자음을 2~3개씩 하나의 키에 배치하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특정 키를 누른 횟수에 대응하여 하나의 자음을 결정하는 방법(연속배치형), 3. 형태상으로 핵심이 되는 자음들만을 각각 하나의 키에 배치하고 2또는 3개의 기능키를 부가하여 배치되지 않은 자음은 그와 형태상으로 가까운 자음이 배치된 키를 누 른 후 소정 시간 이내에 기능키를 눌러서 자음을 선택하는 방법(기능키활용형) 및 각 자음을 형태학적으로 해체하고 형태상으로 공통되는 도형(또는 기호)을 추출하여 이들을 각 키에 배치하고 이들 키를 1~수회 누름으로써 그 순열에 의해 자음을 선택하는 방법(도형순열형) 으로 구분된다.
<11> 키보드 방식 입력 시스템은 전체 버튼(key)의 수가 20개를 넘어간다. 하지만 PDA상에서의 터치스크린은 제한된 공간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제한된 공간 안에서 모든 자음과 모음을 배치하다 보니 각각의 버튼이 작아 입력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다른 버튼(key)을 누르게 되는 일도 다반사다. 또한 각 버튼(key)의 크기가 작아 손으로 직접 입력은 사실상 불가능 하다.
<12> 연속배치형은 하나의 키에 많은 복수개의 음소가 인쇄되어있어 사용자가 혼란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키를 누름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음소의 변화를 계속 주시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13> 기능키활용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00-42231호, 제00-49346호, 제00-49347호 및 제00-54571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들 자료에 의한 기술은 대표적인 자음 6~7 개를 각각 하나의 키에 배당하고 있고, 상기 3개의 천지인 모음 형태소 또는 6개의 대표적인 모음을 5~6새의 키에 각각 배치하여 1~3개의 기능키를 배치한 자판을 적용하고 있다.
<14> 키에 표시되지 않은 음소는 키에 표시된 소정의 음소를 선택한 후 소정의 시간내에 소정의 기능키를 소정횟수 누름으로써 정하게 되는 방식이다. 또한 도형순열형은 형태상으로 공통되는 도형(또는 기호)을 추출하여 이들을 각 키에 배치하고 이들 키를 1~수회 누름으로써 그 순열에 의해 자음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15> 다른 한가지의 입력 방식은 모든 모음을 자판에 할당한 것이다. 10개의 자판에 모든 모음을 배치하고 중복해서 기본 자음을 각 자판에 할당하고 있다. 따라서, 모음 입력부분은 다른 입력기에 비해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많은 자소를 배치함으로써 인지도 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다. 하지만, 한 자판에 자음과 모음이 동시에 배치됨으로써 연속글자가 입력이 되지 않아 입력 도중 이동키를 입력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16> 이것과 다르게 기존의 입력시스템이 모두 한손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에 비해 양손을 이용하여 입력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 예를 들어, 1번 자판에 "ㄱㄴㄷ"이 배치되어 있어 "*"를 누른 상태에서 1번 버튼을 선택하면 "ㄱ"이 입력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철이나 버스 등을 타고 이동중에 입력하기가 불편하다는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언급된 한글 입력방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적으로 암기해야 할 필요가 없고, 한글 자음 14개를 축약한 9개 (-,|,ㅁ,ㅅ,ㅇ,ㄹ,ㅋ,ㅌ,ㅍ) 버튼(키) + 한글모음 3개 (ㅡ,ㆍ,ㅣ) + 쌍자음 버튼(키)을 추출하여 총 13개의 키가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펜으로 글을 쓰는 방식과 동일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각각 [ㅡ], [ㅣ], [ㅁ], [ㅅ], [ㅇ], [ㄹ], [ㅋ], [ㅌ] 및 [ㅍ]이 표시된 9개의 버튼과 쌍자음 전환용 기능버튼 1개를 포함하며,
(B) 순차적으로 [ㅡ], [ㅣ]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기억(ㄱ)으로,
순차적으로 [ㅣ], [ㅡ]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니은(ㄴ)으로,
순차적으로 [ㅡ], [ㅡ]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디귿(ㄷ)으로,
[ㄹ]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리을(ㄹ)로,
[ㅁ]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미음(ㅁ)으로,
순차적으로 [ㅣ], [ㅣ]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비읍(ㅂ)으로,
[ㅅ]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시읏(ㅅ)으로,
[ㅇ]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이응(ㅇ)으로,
순차적으로 [ㅡ], [ㅅ]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지읒(ㅈ)으로,
순차적으로 [ㅣ], [ㅅ]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치읓(ㅊ)으로,
[ㅋ]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키읔(ㅋ)으로,
[ㅌ]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티읕(ㅌ)으로,
[ㅍ]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피읖(ㅍ)으로,
순차적으로 [ㅣ], [ㅇ]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히읗(ㅎ)으로 인식/표현되고,
(C) ㄱ, ㄷ, ㅂ, ㅅ 및 ㅈ으로 인식/표현된 후 상기 기능버튼 입력신호가 눌려지면 각각 ㄲ, ㄸ, ㅃ, ㅆ 및 ㅉ으로 변환되어 인식/표현되는 한글 자음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 1)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자음 입력장치에 있어서 자음인 초성 또는 종성 입력키의 입력신호 순열과 그에 따른 자음음소의 모음을 도시한 것이다. (표 2)는 중성(모음) 입력키의 입력신호 순열과 그에 대응되는 모음 음소에 관한 것을 예시적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여기서는 천지인 모음 입력법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67330717-pat00001

Figure 112006067330717-pat00002

(예 1)은 두 자음과 모음을 합하여 한 단어를 만들어내게 되는 예시이다.
(예 1)
"가" 라는 글자를 만들 시에는: -+|+ㅣ+ㆍ(1+2+9+8 버튼)
"쌍둥이"라는 글자를 만들 시: ㅅ+쌍자음 버튼+ㅣ+ㆍ+ㅇ -+-+ㅡ+ㆍ+ㅇ ㅇ+ㅣ(4+쌍자음 버튼+9+8+5 1+1+7+8+5 5+9 버튼)
이러한 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문자입력 시스템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각종 단말기상에서 문자 입력을 할 시에 이러한 문자입력 시스템이 보다 원활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특히, 핸드폰 상에서는 모든 버튼(key)을 적재 적시에 배치하여 타수를 수치를 극대화하였으며 (이는 천지인이 10개 버튼만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13개 버튼을 사용하여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PDA상에서는 버튼(key)이 필요없이 터치패드에 의해 입력 가능한 상황에 유용하다. 한글 자음 14개를 축약한 9개의 버튼과, 한글 모음(ㅡ, ㆍ, ㅣ)또한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보기에 간편하고 최소한의 교육만으로 입력이 가능하며, 필기를 하듯(handwriting) 자연스럽게 써나갈 수 있다. 이에 대한 명시는 각각 (도 1)과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삭제
사용자가 특별히 의식하여 암기할 필요가 없으며 한글을 필기하는(handwriting) 방식과 같은 순서로 편리하게 한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한정된 수의 키로 모든 한글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휴대전화 등 소형화-다기능화된 전자기기에 소형 키보드 또는 키패드로 적용 또는 이식이 기대된다.
또한 천지인 방식과는 다르게 모음이 7,8,9번 버튼에 있어 자음과의 융합을 꾀하여 더욱 빠른 입력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연타 또한 가능하므로 실제 타수 차이에서는 많은 차이가 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5)

  1. 한글 자음 입력장치에 있어서,
    (A) 각각 [ㅡ], [ㅣ], [ㅁ], [ㅅ], [ㅇ], [ㄹ], [ㅋ], [ㅌ] 및 [ㅍ]이 표시된 9개의 버튼과 쌍자음 전환용 기능버튼 1개를 포함하며,
    (B) 순차적으로 [ㅡ], [ㅣ]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기억(ㄱ)으로,
    순차적으로 [ㅣ], [ㅡ]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니은(ㄴ)으로,
    순차적으로 [ㅡ], [ㅡ]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디귿(ㄷ)으로,
    [ㄹ]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리을(ㄹ)로,
    [ㅁ]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미음(ㅁ)으로,
    순차적으로 [ㅣ], [ㅣ]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비읍(ㅂ)으로,
    [ㅅ]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시옷(ㅅ)으로,
    [ㅇ]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이응(ㅇ)으로,
    순차적으로 [ㅡ], [ㅅ]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지읒(ㅈ)으로,
    순차적으로 [ㅣ], [ㅅ]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치읓(ㅊ)으로,
    [ㅋ]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한글의 키읔(ㅋ)으로,
    [ㅌ]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티읕(ㅌ)으로,
    [ㅍ]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피읖(ㅍ)으로,
    순차적으로 [ㅣ], [ㅇ]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히읗(ㅎ)으로 인식/표현되고,
    (C) ㄱ, ㄷ, ㅂ, ㅅ 및 ㅈ으로 인식/표현된 후 상기 기능버튼 입력신호가 눌려지면 각각 ㄲ, ㄸ, ㅃ, ㅆ 및 ㅉ으로 변환되어 인식/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음 입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50022372A 2005-03-17 2005-03-17 한글 자음 입력장치 KR10070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372A KR100709309B1 (ko) 2005-03-17 2005-03-17 한글 자음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372A KR100709309B1 (ko) 2005-03-17 2005-03-17 한글 자음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655A KR20060100655A (ko) 2006-09-21
KR100709309B1 true KR100709309B1 (ko) 2007-04-20

Family

ID=3763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372A KR100709309B1 (ko) 2005-03-17 2005-03-17 한글 자음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431B1 (ko) * 2008-05-06 2009-12-03 노승영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177A (ko) * 2001-06-20 2001-08-22 홍성용 한글 입력장치
KR20020000474A (ko) * 2000-06-22 2002-01-05 가게야마 도시히코 필기구용 그립 및 필기구몸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474A (ko) * 2000-06-22 2002-01-05 가게야마 도시히코 필기구용 그립 및 필기구몸체
KR20010079177A (ko) * 2001-06-20 2001-08-22 홍성용 한글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655A (ko)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CA25865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KR20000064556A (ko) 키이입력장치
KR20050056277A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709309B1 (ko) 한글 자음 입력장치
KR101325653B1 (ko) 분리형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63716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966142B1 (ko)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101921586B1 (ko)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100404752B1 (ko) 다접점스위치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다접점스위치의문자배열방법
KR100432267B1 (ko) 간편한 한글자판
RU2344564C2 (ru) Раскладки знаков, способы в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KR100663705B1 (ko) 한글 자음 입력장치
KR100601355B1 (ko) 한글 입력장치
KR101008632B1 (ko) 문자 입력장치
JP3109642U (ja) 携帯韓国語入力装置
KR100374710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623061B1 (ko)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434669B1 (ko) 한글 입력장치
KR200412641Y1 (ko) 숫자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12방향키 입력장치
KR20070077500A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문자입력방법
KR101509571B1 (ko)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