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835A - 프리젠스 시스템 및 프리젠스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젠스 시스템 및 프리젠스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835A
KR20050096835A KR1020040116611A KR20040116611A KR20050096835A KR 20050096835 A KR20050096835 A KR 20050096835A KR 1020040116611 A KR1020040116611 A KR 1020040116611A KR 20040116611 A KR20040116611 A KR 20040116611A KR 20050096835 A KR20050096835 A KR 20050096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dentifier
subscription
subscrib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379B1 (ko
Inventor
오노다까시
가꾸따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6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프리젠스의 통지나 갱신의 수고를 삭감한다. 프리젠스 서버는 사용자 A의 프리젠스로서, 프리젠스 ID "a1", "a2"로 식별되는 프리젠스를 기억하고 있다. 사용자 A는 보유하고 있는 카드를 카드 리더에 임의의 타이밍에서 댄다. 카드 리더는 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프리젠스 서버에 갱신 의뢰를 송신한다. 갱신 의뢰는 갱신자 ID, 대상자 ID, 종별 정보, 프리젠스를 포함한다. 프리젠스 서버는 갱신 의뢰를 수신하면,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A의 프리젠스 ID "a1"을 갱신 대상으로 특정하고, 또한 프리젠스 ID "a1"의 프리젠스를,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는 프리젠스 "회의실 A"로 재기입한다. 따라서, 카드 리더는 "종별 정보"에 의해 지정한 프리젠스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된 프리젠스는 프리젠스 "a1"의 워처에게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통지된다.

Description

프리젠스 시스템 및 프리젠스 관리 방법{PRESENCE SYSTEM AND PRESENC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프리젠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프리젠스 시스템에서는 프리젠스 소유자(이하, 프리젠티티라고 함)의 프리젠스가 갱신되면, 그 내용이 프리젠스 통지 의뢰자(이하, 워처라고 함)에게 리얼타임으로 통지된다.
본 발명에서 프리젠스란, 프리젠티티가 갖는 임의의 정보이다. 예를 들면, 프리젠티티의 상태를 나타내는 텍스트 메시지, 아이콘 등의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수치, 위치 정보, 통신 어드레스를 프리젠스로서 들 수 있다. 또한, 프리젠티티란, 프리젠스를 지닐 수 있는 모든 대상이며, 예를 들면 사람이나 물건, 기업체, 조직,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프리젠스 시스템에 있어서는, 하나의 프리젠티티는 복수의 프리젠스를 소유 가능하다. 또한, 프리젠티티는 워처에 대하여, 자신이 소유하는 프리젠스 중 어느 프리젠스를 통지할지 제어 가능하다. 프리젠티티가 소유하는 각 프리젠스의 용도는 프리젠티티가 임의로 결정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프리젠스의 갱신자는 그 프리젠스의 소유자이다. 그러나, 프리젠스의 소유자가 다른 사람에게 갱신 권한을 부여하고, 소유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갱신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프리젠스의 소유자 A가 갱신자 B에게 갱신 권한을 부여했다고 한다. 그런데, 프리젠티티 A가 복수의 프리젠스를 갖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프리젠티티는 고유한 ID를 각 프리젠스에 할당한다. 갱신자 B는 갱신 권한을 주어진 프리젠스의 ID를 지정함으로써, 갱신 대상 프리젠스를 지정하여 그 갱신을 행한다.
또한, 특허 문헌1에는 복수의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를 관련짓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자의 프리젠티티의 한쪽을 전송원, 다른 쪽을 전송지로서, 미리 관련시켜 놓는다. 전송원의 프리젠스가 갱신되었을 때, 그 내용을 전송지에 전파시키고, 전송지의 프리젠스도 자동적으로 동일한 내용으로 갱신시킨다. 그 후, 전송지에서는 전송지 프리젠티티에의 워처에 대하여, 갱신 통지가 행하여진다.
한편, 최근 RFID/IC 카드가 주목받고 있다. 이 카드가 카드 리더가 부착되어 있는 게이트를 지나기만 하여도 카드에 기입된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검지 가능하기 때문에,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프리젠스 시스템에, 이 RFID/IC 카드 기술을 적용하면, 이하와 같은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IC 카드를 지닌 사용자가 회의실 A에 들어갈 때에 입구의 카드 리더에 IC 카드를 대면, 자동적으로 그 사용자가 있는 곳을 나타내는 프리젠스가 「회의실 A」로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IC 카드에 카드 소유자의 사용자 ID를 기록해 놓고, 카드 리더가 그 정보를 판독하여, 카드 소유자의 프리젠스 정보를 갱신하면 된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 2003-296525호 공보
복수의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프리젠티티는, 자신이 소유하는 프리젠스 전체의 구조를 타인에게 개시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복수의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프리젠티티는, 하나 하나의 프리젠스를 자기가 갱신하는 것이 번거롭다고 느낀다. 따라서, 이러한 프리젠티티는 자신의 프리젠스 전체의 구조를 개시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자신의 프리젠스를 갱신하고자 한다.
한편,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를 갱신하는 갱신자는,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를 갱신하기 위해서, 그 프리젠티티가 소유하는 프리젠스의 구조를 조사해야 한다. 예를 들면, 갱신자가 갱신하는 것이 허용되어 있는 프리젠스의 ID와, 프리젠스로서 설정할 수 있는 내용의 선택지를, 갱신자는 프리젠티티로부터 배워 두어야 한다. 갱신 대상의 프리젠스가 다른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에 의존하는 경우에는, 또한 그 프리젠스를 갱신자는 취득해 놓을 필요도 있다.
갱신자가 RFID 카드나 RFID 태그, IC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인 경우, 프리젠티티가 소유하는 복수의 프리젠스 중 어느 것을 갱신할 것인지, 카드 리더가 지정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카드 리더가 판독하는 카드의 소유자는 불특정 다수로 되기 때문에, 각 소유자가 카드 리더에 대하여 개방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카드 리더가 판단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카드 리더가 갱신할 수 있는 프리젠스의 ID를 고정적으로 정하여 놓을 수도 있다. 그러나, 프리젠스의 소유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것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즉, 프리젠티티의 입장에서 보면, 복수의 프리젠스를 수고를 들이지 않고서 간단히 갱신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한편, 갱신자의 입장에서 보면, 프리젠티티의 프라이버시를 배려하여 갱신하는 것은 시간이 걸린다. 그 한편, 갱신자가 자유롭게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를 갱신하는 것은, 프리젠티티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1은, 프리젠티티가 복수의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경우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프리젠티티가 복수의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경우, 전송원으로부터 전송지에 어느 프리젠스를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없다. 또한, 전송지의 어느 프리젠스를 갱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수단도 없다. 더구나, 전송원으로부터 전송지에 전송된 프리젠스는 전송지의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전송원이 의도하지 않는 워처에 대하여, 원래 전송원이 소유하고 있던 프리젠스가 공개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프리젠스를 갖는 사용자(서브 스크라이비)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서브 스크라이버)가 프리젠스의 참조를 요구할(서브 스크라이브) 때에도, 이하의 문제가 있다. 그 중에서도, 서브 스크라이버가 서브 스크라이비의 프리젠스 구조를 모르면 서브 스크라이브 요구할 수 없다고 한다면, 서브 스크라이버의 부담이 증대된다. 예를 들면, 서브 스크라이비에 대응되어 있는 프리젠스 중 어느 프리젠스가 서브 스크라이버에게 있어서 알고 싶은 정보인지를, 서브 스크라이버는 미리 조사해야 한다. 또한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어느 프리젠스가 공개될 것인지를 조사하여, 그 중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은, 서브 스크라이버측의 부담으로 된다. 그 한편, 서브 스크라이비가, 자신의 프리젠스에 설정되는 내용이나 그 공개 조건을 포함하는 프리젠스 구조를 공개하는 것은, 프라이버시나 시큐러티상 문제로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프리젠스를 갖는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를 갱신하기 위한 프리젠티티의 수고나, 워처가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를 참조할 때의 수고를 경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프리젠스를 갖는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를 제3 자가 갱신함에 있어서, 프리젠티티의 프라이버시의 보호와 갱신자의 수고의 경감을 양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 1은,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이하의 수단을 포함한다.
· 프리젠스의 소유자 이외의 사용자인 갱신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갱신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
· 프리젠스의 내용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이고, 상기 갱신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종별 취득 수단,
· 상기 갱신 대상자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기억하는 관련 부가 테이블,
· 상기 관련 부가 테이블을 참조하고, 상기 갱신자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에 관련된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는 프리젠스 특정 수단과,
· 상기 특정한 프리젠스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던 프리젠스를 설정하는 프리젠스 설정 수단.
발명 2는 이하의 수단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의 프리젠스 식별자, 종별 정보 및 프리젠스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종별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
·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 식별자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워처 리스트,
· 서브 스크라이버가 구독하고자 하는 프리젠스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 식별자, 서브 스크라이비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는 제1 서브 스크라이브 수신 수단,
· 종별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포함되는 서브 스크라이비의 사용자 식별자 및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고, 해당 프리젠스 식별자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의 식별자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
발명 3은 이하의 수단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을, 프리젠스 식별자, 종별 정보 및 프리젠스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종별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
·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워처 리스트,
· 서브 스크라이버가 구독하고자 하는 프리젠스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 식별자, 서브 스크라이비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는 제1 서브 스크라이브 수신 수단,
·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 중,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을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가 만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만족하고 있으면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를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워처 리스트에 등록하는 공개 판정 수단.
발명 4는 이하의 수단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프리젠스 식별자 및 종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1 프리젠스 테이블,
·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제1 워처 리스트,
· 프리젠스의 전송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의뢰를 수신하는 제1 전송 의뢰 수신 수단,
· 상기 전송 의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지를 서브 스크라이버로 하고, 상기 전송원을 서브 스크라이비로 하고, 상기 전송 의뢰중의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하는 제1 서브 스크라이브 생성 수단,
·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원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전송 의뢰중의 종별 정보를 대응시켜 등록하는 제1 워처 등록 수단,
·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가 갱신된 경우, 상기 전송지에 대하여, 상기 전송 의뢰에 포함되는 상기 종별 정보와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를 통지하는 종별 정보 부가 통지 수단.
발명 5는 발명 4에 있어서, 이하의 수단을 더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프리젠스 식별자 및 상기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2 프리젠스 테이블,
·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제2 워처 리스트,
· 프리젠스의 전송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의뢰를 수신하는 제2 전송 의뢰 수신 수단,
· 상기 전송 의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지를 서브 스크라이버로 하고, 상기 전송원을 서브 스크라이비로 하고, 상기 전송지의 워처 리스트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하는 제2 서브 스크라이브 생성 수단,
·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 중 그 공개 조건을 상기 전송지가 만족하는 프리젠스를 상기 프리젠스 테이블로부터 검색하여, 검색한 프리젠스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는 제2 워처 등록 수단.
발명 6은 발명 4에 있어서, 이하의 수단을 더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프리젠스 식별자 및 상기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3 프리젠스 테이블,
·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제3 워처 리스트,
· 프리젠스의 전송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의뢰를 수신하는 제3 전송 의뢰 수신 수단,
· 상기 전송 의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지를 서브 스크라이버로 하고, 상기 전송원을 서브 스크라이비로 하고, 상기 전송지의 공개 조건을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하는 제3 서브 스크라이브 생성 수단,
·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 중 그 공개 조건을 상기 전송지가 만족하는 프리젠스를 상기 프리젠스 테이블로부터 검색하여, 검색한 프리젠스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는 제3 워처 등록 수단.
발명 7은 상기 프리젠스 시스템이 실행하는 프리젠스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 8은 상기 프리젠스 관리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발명 9는 상기 프리젠스 시스템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리젠스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발명 10은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하기 수단을 포함한다.
· 어떤 프리젠스의 소유자 이외의 사용자인 의뢰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임의의 프리젠스의 종별을 나타내고 상기 갱신자 또는 상기 대상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
· 상기 대상자의 프리젠스를 처리하는 커맨드의 종류를 결정하는 판정 수단,
· 상기 판정 수단이 결정한 커맨드의 종류와, 상기 취득 수단이 취득한 종별 정보와, 상기 의뢰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생성하는 커맨드 생성 수단,
· 상기 커맨드 생성 수단이 생성한 커맨드를 접수하고, 그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대상자의 프리젠스의 갱신, 서브 스크라이브/ 서브 스크라이브의 해제 또는 전송/ 전송의 해제를 행하는 커맨드 실행 수단.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프리젠스 시스템은, 프리젠스 서버와 복수의 프리젠스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프리젠스 서버는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를 관리하고, 프리젠스의 워처에게 프리젠스의 갱신을 통지한다. 프리젠티티란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사용자이다. 워처란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를 열람하고 있는 사용자이다. 프리젠스 클라이언트는, 프리젠스의 갱신 의뢰를 프리젠스 서버에 통지하거나, 프리젠스의 갱신 통지를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수신하기도 한다. 프리젠티티나 워처로 될 수 있는 사용자는, 사람, 조직, 물건, 서비스 등이고, 프리젠스 시스템 상에서 사용자 ID에 의해 식별된다. 이하, 사용자 ID "A"의 사용자를, 사용자 A, 프리젠티티 A 또는 워처 A라고 부른다. 다른 사용자 I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프리젠스 서버는 사용자 A의 프리젠스로서, 프리젠스 ID "a1", "a2"로 식별되는 프리젠스를 기억하고 있다. 사용자 A는 카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카드를 카드 리더에 임의의 타이밍에서 댄다. 카드 리더는 카드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프리젠스 서버에 갱신 의뢰를 송신한다. 갱신 의뢰에는 이하의 정보 (a)∼(d)가 포함되어 있다.
(a) 갱신자 ID: 이 경우에는 카드 리더에 할당된 사용자 ID. 갱신 의뢰의 송신원을 식별한다.
(b) 대상자 ID: 갱신 의뢰에 포함되는 프리젠스의 설정 대상 사용자의 ID를 특정한다.
(c) 종별 정보: 프리젠스의 종별.
(d) 프리젠스: 대상자 ID로 특정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특정한다.
상기의 정보 중, (a) 갱신자 ID 및 (d) 프리젠스는 카드 리더가 기억하고 있다. (b) 사용자 ID 및 (c) 식별 정보는 사용자 A가 소지하는 카드에 기록되어 있다.
프리젠스 서버는 갱신 의뢰를 수신하면,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A의 프리젠스 ID "a1"을 갱신 대상으로 특정한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는, 프리젠스 ID "a1"의 프리젠스를,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는 프리젠스 "회의실 A"로 재기입한다. 이에 의해, 카드 리더는 "종별 정보"에 의해 지정한 프리젠스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된 프리젠스는 프리젠스 "a1"의 워처에게 프리젠스 서버로부터 통지된다.
도 2는 프리젠티티 A의 프리젠스의 갱신 의뢰가 사용자 Y로부터 있었음을 도시하는 화면 예이다. 프리젠스 서버는, 예를 들면 이 화면 예를 사용자 A가 조작하는 프리젠스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고, 제3 자로부터의 갱신 의뢰를 통지한다. 이 도면이 도시한 바와 같이, 갱신자가 지정하여 온 종별 정보에 대하여, 프리젠티티는 자신이 소유하는 프리젠스를 자유롭게 관련지울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시스템 전체의 기능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100a)의 개략 구성도이다. 프리젠스 시스템(100a)은 프리젠스 서버(10)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프리젠스 시스템(100a)은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무방하다.
프리젠스 서버(10)는 세션 관리부(11), 프리젠스 테이블(12), 프리젠스 관리부(13), 워처 관리부(14), 통지부(15), 관련 부가 테이블(16)을 갖는다. 세션 관리부(11)는 네트워크와 프리젠스 서버(10) 내의 각 구성 요소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프리젠스 테이블(12)은 사용자마다 관리되고, 적어도 프리젠스 ID 및 프리젠스를 기억한다. 본 예에서는, 프리젠스 테이블(12)에는 프리젠스마다의 워처 리스트를 포함한다. 또한, 프리젠스 테이블(12)은 각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프리젠스 관리부(13)는 프리젠스의 갱신 통지를 수신하면, 프리젠스 테이블(12)을 갱신한다. 워처 관리부(14)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면, 프리젠스 테이블(12) 내의 워처 리스트를 갱신한다. 통지부(15)는 프리젠스의 갱신 통지를 수신하면, 그 프리젠스의 워처에게 새로운 프리젠스를 통지한다. 관련 부가 테이블(16)은 종별 정보와 프리젠스의 관련 부가를 정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종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3 자의 프리젠스를 갱신한다.
[프리젠스 서버의 각 부의 기능]
프리젠스 관리부(13)는 관련 부가 설정부(131)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설정지 판정부(132), 설정부(133), 설정 내용 결정부(134), 설정 룰(135) 및 /또는 종별 정보 취득부(136)를 갖고 있다. 또한, 워처 관리부(14)는 바람직하게는 공개 판정부(141)를 갖고 있다. 이하, 이들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종별 정보와 프리젠스의 관련 부가
관련 부가 테이블(16)은 종별 정보와 프리젠스를 관계시킨다. 관련 부가 설정부(131)는, 화면을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에게 제공하여 관련 부가 테이블(16)에의 등록을 접수하고, 접수한 내용을 관련 부가 테이블(16)에 등록한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종별 정보와 프리젠스의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관련 부가 테이블(16)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관련 부가 테이블(16)은 종별 정보와 프리젠스 ID를 대응시키고 있다. 또한, 이 관련 부가 테이블(16)은,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의 갱신이, 시간대에 따라서 변화하도록 정의하고 있다. 즉, 8:00∼18:00에서는 프리젠스 "a3"이 갱신 의뢰에 의해서 갱신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에는 프리젠스 "a4"가 갱신 의뢰에 의해서 갱신된다. 도 5는 상기 도 4의 관련 부가 테이블(16)을 프리젠스 서버(10)에 등록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프리젠스와 종별 정보를, 이 화면에서 관련시킬 수 있다. 이 화면은 관련 부가 설정부(131)로부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된다.
도 6은 관련 부가 테이블(16)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관련 부가 테이블(16)은 종별 정보와 프리젠스 ID를 대응시키고 있다. 또한, 이 관련 부가 테이블(16)은,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도면 중, 갱신지 프리젠스 ID)의 갱신이, 다른 프리젠스(도면 중, 체크 프리젠스 ID)의 내용에 의해서 변화하도록 정의하고 있다. 즉, 체크 프리젠스 "a1"이 「회사」일 때에는, 갱신지 프리젠스 ID "a3"이 갱신 의뢰에 의해서 갱신된다. 또한, 체크 프리젠스 "a1"이 「자택」일 때에는, 갱신지 프리젠스 ID "a4"가 갱신 의뢰에 의해서 갱신된다. 도 7은 상기 도 6의 관련 부가 테이블(16)을 프리젠스 서버(10)에 등록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프리젠스와 종별 정보를, 이 화면에서 관련시킬 수 있다. 이 화면은 관련 부가 설정부(131)로부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된다.
도 8은 관련 부가 테이블(16)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관련 부가 테이블(16)은, 프리젠티티의 워처 리스트에 갱신자가 등록되어 있는 프리젠스를, 종별 정보에 대응시키고 있다. 도 9는 상기 도 8의 관련 부가 테이블(16)을 등록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이 화면은 관련 부가 설정부(131)로부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관련 부가 테이블(16)은, 어는 종별 정보에 의해서 어느 프리젠스가 갱신될지 또는 갱신되지 않을지를 정의한다. 프리젠티티는 관련 부가 테이블(16)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2) 별 정보 부가 갱신 의뢰
재차 도 1을 참조한다. 설정지 판정부(132)는 하기의 내용을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수신하면, 대상자 ID에 의해 특정되는 사용자 A의 프리젠스 테이블(12)로부터, 종별 정보 「위치」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 "a1"을 갱신 대상으로 특정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프리젠스 테이블(12)과 관련 부가 테이블(16)을 정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설정부(133)는 프리젠스 ID "a1"의 내용으로서, 프리젠스 「회의실 A」를 설정한다. 갱신 대상자가 종별 정보와 자신의 프리젠스를 대응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 도 2에 예시하는 통지가 대상자에게 송신된다. 본 예에서는 사용자 A가 조작하는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에게 이 화면이 제공된다. 사용자 A는 이 화면 상에서, 종별 정보 「위치」에 관련짓는 자신의 프리젠스를 설정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갱신자 X가 지정하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가 대상자의 프리젠스 테이블(12)에 있는 한, 갱신자는 자유롭게 종별 정보를 지정하여 갱신 의뢰를 송신할 수 있다. 그 후, 통상의 프리젠스 서버(10)와 마찬가지로, 통지부(15)는 프리젠스 ID "a1"의 워처에게 새로운 프리젠스 「회의실 A」를 통지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프리젠스 테이블(12)이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갱신 의뢰)
갱신자 ID "X"
대상자 ID "A"
프리젠스 「회의실 A」
종별 정보 「위치」
(3) 프리젠스의 변환·설정
도 10을 참조하여, 갱신 의뢰에 포함되는 프리젠스를 변환하여 대상자의 프리젠스로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관련 부가 설정부(131)가 하기의 내용을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수신한 경우를 생각한다.
(갱신 의뢰)
신자 ID "X"
대상자 ID "하물(荷物; 짐) A"
프리젠스 「집하 점포 ID」
종별 정보 「하물 정보」
또한, 사용자인 하물 A의 설정 룰(135)로서, 도 10에 도시하는 내용이 기억되어 있다고 한다. 이 설정 룰(135)은 이하와 같이 갱신 의뢰에 포함되는 프리젠스를 변환하는 것을 정의한다.
(설정 룰)
신 의뢰에 포함되는 프리젠스가 「집하 점포 ID」→「집하 완료」
갱신 의뢰에 포함되는 프리젠스가 「운송 트랙 정보」→「운송중」
갱신 의뢰에 포함되는 프리젠스가 「택배 완료」→「택배 완료」
이 경우, 설정 내용 결정부(134)는 갱신 의뢰와 설정 룰(135)을 비교하여, 변환 가능한 프리젠스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변환 가능한 프리젠스, 이 경우에는 「집하 점포 ID」가 있으면, 그것을 설정 룰(135)에 따라서 변환한다. 설정부(133)는 설정 내용 결정부(134)에 의해 변환된 프리젠스를, 대상자의 프리젠스로 설정한다. 운송업자가 설정하는 프리젠스 「집하 점포 ID」를 「집하 종료」로 변환함으로써, 하물 A의 프리젠스의 워처는 하물 A의 상태를 파악하기 쉽게 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예에서는 프리젠스 테이블(12)이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을 포함하고 있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도 1과 같이 갱신 의뢰에 종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설정 룰(135)에 따라서 변환한 프리젠스를,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1은 설정 내용 결정부(134)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에게 제공하는 화면 예이다. 이 화면은 설정 룰(135)의 입력을 접수한다. 설정 내용 결정부(134)는, 화면에 입력된 내용을 설정 룰(135)에 등록한다.
(4) 종별 정보와 갱신자의 관리
도 12는 종별 정보와 갱신자의 대응 부가에 기초하여, 갱신자가 제3자의 프리젠스를 갱신하는 것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는, 갱신자의 사용자 ID와, 그 갱신자가 갱신 대상으로 하는 프리젠스의 종별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다. 하기의 내용을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프리젠스 서버(10)가 수신하면, 종별 정보 취득부(136)는, 갱신자 X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 「위치」를,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로부터 취득한다.
(갱신 의뢰)
갱신자 ID "X"
대상자 ID "A"
프리젠스 「회의실 A」
그 후에는, 프리젠스 서버(10)는 상기 도 1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즉, 설정지 판정부(132)에 의해 취득한 종별 정보 「위치」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를 사용자 A의 프리젠스 테이블(12)로부터 특정한다. 그리고, 설정부(133)에 의해, 특정한 프리젠스 ID의 내용으로서,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는 프리젠스 「회의실 A」를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예에서는 프리젠스 테이블(12)이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를 프리젠스 서버(10)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함으로써, 갱신 의뢰에 종별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더라도 갱신 대상의 프리젠스를 특정할 수 있다.
(5) 종별 정보를 이용한 서브 스크라이브
도 13은 종별 정보를 이용한 서브 스크라이브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워처 관리부(14)가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면, 워처 관리부(14)의 공개 판정부(141)는 다음 처리를 행한다. 하기는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의 내용이다.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
서브 스크라이버 ID "X"
서브 스크라이비 ID "A"
종별 정보 「위치」
이 서브 스크라이브에 기초하여, 공개 판정부(141)는, 서브 스크라이비 A의 프리젠스 테이블(12)을 참조하여, 서브 스크라이브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 「위치」에 대응하는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을, 서브 스크라이버 X가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예에서는, 서브 스크라이버 X는 프리젠스 ID "a1"의 공개 조건을 만족한다. 그래서, 공개 판정부(141)는 서브 스크라이버 X를 프리젠스 ID "a1"의 워처 리스트에 등록한다. 공개 판정부(141)는 워처 리스트에의 등록을, 서브 스크라이비에게 문의한 후에 행하여도 된다.
도 14(a)∼(d)는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요구하는 화면 예이다. 공개 판정부(141)는 이들 화면을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에게 제공하고, 화면에 입력된 정보를 취득한다. 동도(a)는 서브 스크라이버를 "X"로 하면, 상기의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서브 스크라이버가 생성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동도(b)는,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위해서, 서브 스크라이비가 프리젠스 ID "a1"과 종별 정보 「위치」를 관련짓기 위한 화면이다. 동도(c)는 프리젠스 서버(10)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등에서 출력되는 화면이고,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의 수신 시에 서브 스크라이브를 거부할지 서브 스크라이비에게 문의할지를 설정한다. 동도(d)는 상기 (c)에서 「사용자에게 문의한다」를 선택한 경우에, 서브 스크라이브 수신 시에 서브 스크라이비에게 통지되는 화면 예이다.
서브 스크라이브에 종별 정보를 부가하면, 서브 스크라이버는 종별 정보를 지정하여 서브 스크라이브를 송신하기 때문에, 서브 스크라이비의 프리젠스의 구성이나 각 프리젠스 식별자를 미리 조사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서브 스크라이버는 손쉽게 서브 스크라이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스크라이비는 자신의 프리젠스 테이블(12)의 구성을 타인에게 공개하지 않고 해결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서브 스크라이버란, 다른 사용자의 프리젠스의 열람을 요구하는 사용자이다. 또한 서브 스크라이비란, 서브 스크라이버가 열람을 요구하고 있는 프리젠스의 소유자이다.
<제2 실시 형태>
[시스템 전체의 기능 구성]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100b)의 개략 구성도이다. 프리젠스 시스템(100b)은 프리젠스 서버(10)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리젠스 시스템(100b)은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무방하다. 도면 중,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번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리젠스 서버(10)는 세션 관리부(11), 프리젠스 테이블(12), 프리젠스 관리부(13), 워처 관리부(14), 통지부(15)를 갖고, 관련 부가 테이블(16)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션 관리부(11)는 네트워크와 프리젠스 서버(10) 내의 각 구성 요소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프리젠스 테이블(12)은 사용자마다 관리되고, 적어도 프리젠스 ID 및 프리젠스를 기억한다. 본 예에서는, 프리젠스 테이블(12)에는 프리젠스마다의 워처 리스트를 포함한다. 또한, 프리젠스 테이블(12)은 각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 및 필요에 따라서 프리젠스의 전송원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프리젠스 관리부(13)는 프리젠스의 갱신 통지를 수신하면, 프리젠스 테이블(12)을 갱신한다. 워처 관리부(14)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면, 프리젠스 테이블(12) 내의 워처 리스트를 갱신한다. 통지부(15)는 프리젠스의 갱신 통지를 수신하면, 그 프리젠스의 워처에게 새로운 프리젠스를 통지한다. 관련 부가 테이블(16)은 종별 정보와 프리젠스의 관련 부가를 정의한다.
[프리젠스 서버의 각 부의 기능]
프리젠스 관리부(13)는, 바람직하게는 관련 부가 설정부(131), 치환 처리부(137) 및 전송원 공개 조건 설정부(138)를 갖고 있다. 또한, 워처 관리부(14)는 바람직하게는 전송 처리부(142) 및 서브 스크라이브 중개부(143)를 갖고 있다. 이하, 이들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관련 부가 설정부(131)의 기능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1) 종별 정보를 이용한 전송 의뢰
도 16은 종별 정보 부가 전송 의뢰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10)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종별 정보 부가 전송 의뢰는 하기의 내용을 포함한다.
(종별 정보 부가 전송 의뢰)
전송 의뢰자 ID "X"
전송지 ID "B"
전송원 ID "A"
종별 정보 「위치」
전송 처리부(142)는, 상기 전송 의뢰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 「위치」를 키로 전송지 사용자 B의 프리젠스 테이블(12)을 참조한다. 또한, 전송 처리부(142)는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한다.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에는 하기의 내용이 포함된다.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
서브 스크라이버 ID=전송지 ID "B"
서브 스크라이비 ID=전송원 ID "A"
종별 정보 「위치」
또한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원 사용자 A의 프리젠스 ID "a1"의 워처 리스트에, 전송지 사용자 B 및 종별 정보 「위치」를 등록한다. 또한,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지 B의 종별 정보 「위치」에 대응하는 프리젠스의 전송원으로서, 사용자 B의 프리젠스 테이블(12)에 사용자 A를 등록한다.
사용자 A의 프리젠스 "a1"이 갱신되면, 프리젠스 관리부(13)는 사용자 B에 대하여 하기의 종별 정보 부가 프리젠스 통지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 B는, 자신의 종별 정보 「위치」의 프리젠스가, 사용자 A의 프리젠스로부터 자동적으로 전송되고 있음을 안다. 또한, 프리젠스 관리부(13)의 치환 처리부(137)는, 전송원 A의 프리젠스를, 전송지 B의 프리젠스로서 프리젠스 테이블(12)에 설정한다.
(종별 정보 부가 프리젠스 통지)
프리젠티티 ID=전송원 ID "A"
워처 ID=전송지 ID "B"
종별 정보 「위치」
프리젠스 「회의실 A」
도 17은 전송 처리부(142)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에게 제공하는 화면 예이다. 이 화면 예는 전송 의뢰자로부터의 전송 의뢰의 설정을 접수하여, 프리젠스 서버(10)에 송신한다.
이 구성에서는, 전송지에 전송원의 프리젠스를 통지할 때에, 종별 정보를 동시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의뢰자는 전송원으로부터의 프리젠스를 전송지의 어느 프리젠스에 반영시키고자 하는지를, 종별 정보에 의해 지정할 수 있다. 즉, 전송에 의한 프리젠스의 자동 갱신의 구조를 필요에 따라서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2) 워처 리스트 부가 전송
도 18은 워처 리스트 부가 전송 의뢰에 기초하여 워처 리스트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하는 설명도이다. 프리젠스 서버(10)는 하기의 내용의 전송 의뢰를 수신한다.
(전송 의뢰)
전송 의뢰자 ID "X"
전송지 ID "B"
전송원 ID "A"
워처 관리부(14)의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지 B의 워처 리스트를 취득하고, 워처 리스트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한다.
(워처 리스트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
서브 스크라이버 ID=전송지 ID "B"
서브 스크라이비 ID=전송원 ID "A"
워처 리스트 "Z"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원의 프리젠스 테이블(12)의 프리젠스 중, 그 공개 조건을 전송원 사용자가 만족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검색한다. 그리고 그 프리젠스의 워처로서, 전송지 B를 등록한다. 그 후,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지 B의 프리젠스의 전송원으로서, 사용자 B의 프리젠스 테이블(12)에 사용자 A를 등록한다. 또한, 프리젠스 관리부(13)의 치환 처리부(137)는, 전송원 A의 프리젠스를, 전송지 B의 프리젠스로서 프리젠스 테이블(12)에 설정한다.
이 구성에서는, 전송원 A가 자신의 프리젠스 배신을 허가하고 있는 범위 내에서, 그 전송원의 프리젠스의 전송을 행한다. 따라서, 전송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의뢰자가 전송하는 프리젠스의 종별 정보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전송 의뢰자가 전송을 희망하는 분류의 프리젠스가 전송된다고 기대할 수 있고, 동시에 전송원의 프라이버시가 보호된다.
(3) 공개 조건 부가 전송
도 19는 공개 조건 부가 전송의 설명도이다. 프리젠스 서버(10)는 하기의 내용의 전송 의뢰를 수신한다.
(전송 의뢰)
전송 의뢰자 ID "X"
전송지 ID "B"
전송원 ID "A"
워처 관리부(14)의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지 B의 공개 조건을 취득하고, 하기의 내용을 포함하는 공개 조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한다.
(공개 조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
서브 스크라이버 ID=전송지 ID "B"
서브 스크라이비 ID=전송원 ID "A"
공개 조건 "Z에 허가"
또한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원 사용자 A의 공개 조건과 전송지 사용자 B의 공개 조건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전송원 사용자 A의 워처 리스트에 전송지 사용자 B를 등록한다. 예를 들면, 전송지 사용자 B의 공개 조건이 전송원 사용자 A의 어떤 공개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그 공개 조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의 워처로서 사용자 B를 등록한다. 통상, 전송원의 공개 조건의 우선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서이다. 그 후,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지 B의 프리젠스의 전송원으로서, 사용자 B의 프리젠스 테이블(12)에 사용자 A를 등록한다. 또한, 프리젠스 관리부(13)의 치환 처리부(137)는, 전송원 A의 프리젠스를, 전송지 B의 프리젠스로서 프리젠스 테이블(12)에 설정한다.
도 20(a)은 전송 처리부(142)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에게 제공하는 화면 예이다. 이 화면 예는, 워처 리스트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의 수신 시에, 전송지(서브 스크라이버)에 문의할지, 문의하지 않고서 공개 조건이 합치하면 프리젠스를 전송할지의 설정을 접수한다. 동도(b)는 전송원에 대하여, 워처 리스트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도면 중, 전송 의뢰)를 통지하는 화면 예이다. 이 화면은 어느 프리젠스를 전송할지의 선택을 접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전송지와 전송원의 양방의 공개 조건이 만족되는 범위에서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전송 의뢰자는 전송원이나 전송지의 프리젠스의 구성이나 프라이버시에의 배려를 신경쓰지 않고서 전송 의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프리젠스를 지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4) 전송원의 공개 조건을 전송지에 설정
도 21은 전송원의 공개 조건을 전송지에 설정하는 설명도이다. 전송 처리부(142)는 하기 내용의 종별 정보 부가 전송 의뢰를 수신한다.
(종별 정보 부가 전송 의뢰)
전송 의뢰자 ID "X"
전송지 ID "B"
전송원 ID "A"
종별 정보 「위치」
전송 처리부(142)는, 상기 전송 의뢰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 「위치」를 키로 전송지 사용자 B의 프리젠스 테이블(12)을 참조한다. 또한, 전송 처리부(142)는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한다.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에는 하기의 내용이 포함된다.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
서브 스크라이버 ID=전송지 ID "B"
서브 스크라이비 ID=전송원 ID "A"
종별 정보 「위치」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원 사용자 A의 프리젠스 ID "a1"의 워처 리스트에, 전송지 사용자 B 및 종별 정보 「위치」를 등록한다. 또한,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지 B의 종별 정보 「위치」에 대응하는 프리젠스의 전송원으로서, 사용자 B의 프리젠스 테이블(12)에 사용자 A를 등록한다.
한편, 프리젠스 관리부(13)의 전송원 공개 조건 설정부(138)는, 전송지 B가 워처로 된 프리젠스 "a1"의 공개 조건을, 사용자 A의 프리젠스 테이블(12)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이것을, 전송 의뢰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b1"의 공개 조건으로서, 사용자 B의 프리젠스 테이블(12)에 등록한다.
즉, 전송 의뢰자가 종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프리젠스의 종별을 지정하면, 그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원의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이, 그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지의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으로서 설정된다. 따라서, 종별 정보를 이용한 전송 의뢰에 의해, 전송원의 프라이버시를 간단히 보호할 수 있다.
(5) 전송원 공개 조건의 갱신을 전송지에 반영
도 22는 전송원의 공개 조건의 변경을, 전송지의 공개 조건에 반영시키는 설명도이다. 상기 도 19에 있어서, 전송원 A와 전송지 B의 양방의 공개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전송원의 워처 리스트를 갱신한 후, 전송원 A의 공개 조건이 변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도 21에 있어서, 전송지 B의 프리젠스 "b1"에, 전송원 A의 공개 조건을 설정한 후, 이것이 변경되는 경우가 있다. 전송원 A의 공개 조건의 설정 통지는 하기의 내용을 포함한다.
(공개 조건의 설정 의뢰)
설정 의뢰자 ID "A"
프리젠티티 "A"
공개 조건「B, Y, Z」
전송원 공개 조건 설정부(138)는, 워처 리스트를 참조하여, 하기의 공개 조건 통지를 생성한다. 이제, 워처 리스트에는 사용자 ID "B"와 「위치」가 기술되어 있다.
(공개 조건 통지)
전송원 ID "A"
전송지 ID "B"
종별 정보 「위치」
공개 조건「B, Y, Z」
전송원 공개 조건 설정부(138)는, 이 통지에 기초하여, 종별 정보 「위치」에 관련된 프리젠스 ID "b1"을 특정하고, 그 공개 조건을 재기입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전송원의 공개 조건을 종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지의 공개 조건으로 설정한 후, 전송원의 공개 조건의 변화를 전송지에도 반영시킨다. 따라서, 전송원의 공개 조건이 변화해도, 전송원의 프라이버시를 동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6) 전송지 공개 조건의 갱신을 전송원에 반영
도 23은 전송지의 공개 조건의 변경을, 전송원의 공개 조건에 반영시키는 설명도이다. 상기 도 19에 있어서, 전송원 A와 전송지 B의 양방의 공개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전송원 A의 워처 리스트를 갱신한 후, 전송지 B의 공개 조건이 변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21에 있어서, 전송지 B의 프리젠스 "b1"에, 전송원 A의 공개 조건을 설정한 후, 사용자 B가 이것을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전송지 B의 새로운 공개 조건의 설정 통지는 하기의 내용을 포함한다.
(사용자 B의 새로운 공개 조건의 설정 의뢰)
설정 의뢰자 ID "B"
프리젠티티 "B"
공개 조건「Y, Z」
워처 관리부(14)의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지 B의 공개 조건을 취득하고, 하기의 내용을 포함하는 공개 조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한다.
(공개 조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
서브 스크라이버 ID=전송지 ID "B"
서브 스크라이비 ID=전송원 ID "A"
공개 조건 "Y, Z에 허가"
또한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원 사용자 A의 공개 조건과 전송지 사용자 B의 새로운 공개 조건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전송원 사용자 A의 워처 리스트를 갱신한다. 예를 들면, 전송지 사용자 B가 워처에 등록되어 있는 프리젠스에 대하여, 전송지 B의 공개 조건이 전송원 A의 공개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전송 처리부(142)는 판단한다. 통상, 전송원의 공개 조건의 우선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서이다. 전송지 B의 새로운 공개 조건이 전송원 A의 공개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그 프리젠스의 워처로서 사용자 B를 등록한다. 만족하고 있지 않으면, 워처로부터 사용자 B를 삭제한다. 그 경우, 전송 처리부(142)는 전송지 B의 프리젠스로부터 통지원 A를 삭제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전송지의 공개 조건이 동적으로 변화하더라도, 전송지와 전송원의 양방의 공개 조건이 만족되는 범위에서의 전송이 항상 가능하게 된다. 전송 의뢰자는 전송 의뢰 후에 전송지의 공개 조건이 변화하여 전송원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것을 우려하지 않고서 전송 의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종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프리젠스를 지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7) 간접적인 서브 스크라이브
도 24는 간접적인 서브 스크라이브의 설명도이다. 워처 관리부(14)의 서브 스크라이브 중개부(143)는, 하기의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면, 하기의 워처 리스트 추가 의뢰를 전송원 A에 의뢰한다. 여기서, 서브 스크라이비 B의 프리젠스 "b1"은 사용자 A의 프리젠스가 전송된 것이다.
(서브 스크라이브)
서브 스크라이버 ID "Y"
서브 스크라이비 ID "B"
(워처 리스트 추가 의뢰)
서브 스크라이비 ID "B"
전송원 ID "A"
서브 스크라이버 ID "Y"
서브 스크라이브 중개부(143)는, 전송지 A의 공개 조건과 워처 리스트 추가 의뢰의 서브 스크라이버를 비교한다. 그리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전송지 B의 프리젠스 "b1"의 워처에 서브 스크라이버 Y를 추가한다. 예를 들면, 서브 스크라이버의 전원이 전송지의 공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이다.
도 25는 전송원 공개 조건 설정부(138)가 제공하는 화면 예이다. 동도(a)는 워처 리스트 추가 의뢰 발생 시에, 프리젠스 서버(10)의 조작자에게 통지하는 화면 예이다. 동도(b)는 전송원에 통지하는 화면 예이다. 전송원 사용자는 공개하는 프리젠스나 공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결국, 전송원의 사용자 A의 공개 조건의 범위 내에서 서브 스크라이버 B의 워처를 추가하면, 전송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종별 정보를 이용한 갱신 의뢰나 서브 스크라이브, 전송 의뢰를 행할 때에,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가 없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을 생각한다.
도 2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100c)의 개략 구성도이다. 프리젠스 시스템(100c)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시스템(100a)과 마찬가지로, 프리젠스 서버(10)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프리젠스 시스템(100c)은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프리젠스 서버(10)는 도시하지 않은 카드 리더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번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리젠스 서버(10)는 사전 DB(200)를 갖고 있다. 사전 DB(200)는 예를 들면 유의어 사전이나 동의어 사전을 기억하고 있다. 유의어 사전이 사전 DB(200)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카드 리더로부터 하기의 종별 정보 부가 갱신 의뢰가 프리젠스 서버(10)에 송신된 경우를 생각한다.
(갱신 의뢰)
갱신자 ID "X"
대상자 ID "A"
프리젠스 " 회의실 A"
종별 정보 "위치"
프리젠스 서버(10)의 설정지 판정부(132)는, 유의어 사전에 기초하여, 갱신 의뢰중의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를, 사용자 A의 프리젠스 테이블로부터 특정한다. 설정부(133)는 그 프리젠스 ID의 내용으로서,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는 프리젠스 「회의실 A」를 설정한다.
설정지 판정부(132)의 처리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설정지 판정부(132)는, 갱신 의뢰중의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유의어, 예를 들면 「장소」, 「지점」을, 사전 DB(200)로부터 추출한다. 설정지 판정부(132)는 갱신 의뢰중의 종별 정보 및 그 유의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를, 사용자 A의 프리젠스 테이블로부터 특정한다. 유의어 사전이나 동의어 사전을 이용하여 갱신 대상의 프리젠스 ID를 특정함으로써, 제3 자가 자유롭게 지정한 종별 정보에 대응 가능한 프리젠스 ID의 폭이 넓어진다. 바꿔 말하면, 타인의 프리젠스를 갱신하려고 하는 제3 자가, 종별 정보를 지정하는 자유도가 넓어진다. 그리고, 지정된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하기 쉽게 된다.
유의어 사전이나 동의어 사전을 이용함으로써, 갱신 의뢰와 마찬가지로, 제3 자에 의한 종별 정보를 이용한 서브 스크라이브나, 제3 자에 의한 종별 정보를 이용한 전송 의뢰에 있어서도, 지정된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를 특정하는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사전 DB(200)에 다른 사전, 예를 들면 프리젠스 시스템(100c) 내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종별 정보를 기억한 공통 사전을 축적해 두어도 된다. 카드 리더나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에는, 공통 사전에서 사용하는 어느 하나의 종별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갱신 의뢰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갱신자인 카드 리더의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의 행동에 기인하는 프리젠스의 변화가 예측되는 경우, 그 변화하는 프리젠스와 종별 정보를 사용자가 미리 대응하여 놓는다. 이에 의해, 제3 자의 갱신 의뢰와 함께 통지되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사용자 A가 온라인 티켓 판매 시스템 상에서 비행기의 티켓을 구입한 경우를 생각한다.
[시스템 전체의 기능 구성]
도 2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100d)의 개략 구성도이다. 프리젠스 시스템(100d)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시스템(100a)과 마찬가지로, 프리젠스 서버(10)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10)는 카드 리더(47a, b, c), 관리 서버(60) 및 사용자 단말기(7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3개의 카드 리더(47a, b, c)는 각각 공항 입구와, 체크인 입구와, 탑승구에 설치되어 있다. 프리젠스 시스템(100d)은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무방하다. 도면 중,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번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카드 리더]
카드 리더(47a, b, c)는 각각 마찬가지의 구성을 나타내므로, 카드 리더(47a)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드 리더(47a)는 종별 리스트(471a)를 기억하고, 판독부(472a) 및 커맨드 생성부(473a)를 갖고 있다. 판독부(472a)는 IC 카드(도 1 참조) 상의 정보를 판독한다. 판독된 정보 및 종별 리스트(471a)에 기초하여, 커맨드 생성부(473a)가 갱신 의뢰를 생성·송신한다.
도 28(a)은 카드 리더(47a)의 종별 리스트(471a)의 개념 설명도를 도시한다. 종별 리스트(471a)에는 갱신자 ID와, 프리젠스와, 종별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갱신자 ID는 프리젠스 시스템(100d) 상에서의 카드 리더의 사용자 ID이다. 이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리더(47a)는 하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프리젠스 서버(10)에 송신한다. 도 29는 이 갱신 의뢰의 송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갱신 의뢰)
갱신자 ID "X1"
대상자 ID "A"
프리젠스 "공항 입구"
종별 정보 "위치"
도 28(b)은 카드 리더(47b)가 갖는 종별 리스트(471b)의 개념 설명도이다. 이 종류별 리스트에 기초하여, 카드 리더(47b)는 하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프리젠스 서버(10)에 송신한다.
(갱신 의뢰)
갱신자 ID "X2"
대상자 ID "A"
프리젠스 "체크인 입구"
종별 정보 "수속"
도 28(c)은 카드 리더(47c)가 갖는 종별 리스트(471c)의 개념 설명도이다. 이 종류별 리스트에 기초하여, 카드 리더(47c)는 하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프리젠스 서버(10)에 송신한다.
(갱신 의뢰)
갱신자 ID "X3"
대상자 ID "A"
프리젠스 "탑승구"
종별 정보 "수속"
[관리 서버]
관리 서버(60)는 티켓 판매부(601)에 의해 온라인으로 비행기의 티켓을 판매하고 있다. 또한 관리 서버(60)의 리스트 송신부(602)는 구입된 티켓에 따라, 그 티켓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70)에 송신한다. 리스트 송신부(602)가 송신하는 종별 정보 리스트는, 본 예에서는 각 카드 리더(47a, b, c)가 기억하는 종별 정보를 포함한다. 종별 정보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기(7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70)는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 외에 티켓 구입부(701) 및 종별 정보 설정부(702)를 갖고 있다. 티켓 구입부(701)는 관리 서버(60)로부터 티켓을 온라인으로 구입하는 기능을 갖는다. 종별 정보 설정부(702)는, 관리 서버(60)로부터 수신한 종별 정보와 프리젠스 ID의 대응 부가를, 사용자 단말기(70)의 조작자에게 재촉한다. 또한, 종별 정보 설정부(702)는 종별 정보와 프리젠스 ID의 대응을 프리젠스 서버(10)에 송신한다.
도 30은 종별 정보 리스트 통지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화면은 종별 정보 설정부(702)에 의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이 화면 상에서 관리 서버(60)로부터 통지된 종별 정보 리스트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종별 정보를 드러그 & 드롭으로 프리젠스 ID에 대응시킨다.
[시스템 전체의 처리의 흐름]
도 31은 프리젠스 시스템(100d) 전체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우선, 사용자 단말기(70)로부터 관리 서버(60)에 대하여, 티켓의 구입 의뢰가 송신된다(#1). 이에 대하여, 종별 정보 리스트가, 관리 서버(6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70)에 반환된다. 이어서, 종별 정보 리스트 중의 종별 정보와 프리젠스 ID의 대응 부가가, 사용자 단말기(70)로부터 프리젠스 서버(10)에 송신된다(#3). 프리젠스 서버(10)의 관련 부가 설정부(131)는, 이 대응 부가를 관련 부가 테이블(16)에 저장한다. 이에 의해, 카드 리더의 종별 정보와 사용자의 프리젠스 ID의 대응이 프리젠스 서버(10) 내에 기억된다.
이 상태에서, 카드 리더(47a, b, c)가 사용자 A의 IC 카드를 판독하면(#4), 갱신 의뢰가 프리젠스 서버(10)에 송신된다. 이 갱신 의뢰에 기초하여, 갱신 의뢰중의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가 갱신된다. 카드 리더의 종별 정보와 사용자 A의 프리젠스 ID의 대응 부가는 프리젠스 서버(10)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갱신 의뢰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가 없다고 하는 사태를 방지하여, 확실하게 프리젠스를 갱신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하, 제5 내지 제11 실시 형태에서는, 갱신 의뢰나 서브 스크라이브의 설정, 전송 의뢰 등(이하, 커맨드라고 함)을, 카드 리더 또는 프리젠스 서버에서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이하의 제5 내지 제11 실시 형태에서는, 트랙이 집하장 CP1, CP2…를 돌아서 상품을 수집하고, 이송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트랙의 사용자 ID는 "T"로 한다. 또한, 상품의 사용자 ID는 "G1", "G2", "G3"…으로 한다. 집하장 CP1, CP2에는 카드 리더가 설치되어 있다.
[시스템 전체의 기능 구성]
도 32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100e)의 개략 구성도이다. 프리젠스 시스템(100e)은 프리젠스 서버(10e)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프리젠스 시스템(100e)은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카드 리더(40)가 IC 카드로부터 판독하는 정보에는 종별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10)는 카드 리더(4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번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프리젠스 서버]
프리젠스 서버(10e)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프리젠스 서버(10)의 구성 외에 전송 처리부(142) 및 서브 스크라이브 중개부(143)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송 의뢰나 서브 스크라이브 의뢰의 커맨드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송 의뢰에 따라서 전송을 실행하기 위해서, 프리젠스 서버(10e)는 치환 처리부(137)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드 리더]
카드 리더(40)는 판독부(401)와, 이력 기억부(402)와, 제1 판정부(403)와, 커맨드 생성부(404)를 갖고 있다. 판독부(401)는 IC 카드(도 1 참조) 상의 사용자 ID 및 종별 정보를 판독한다. 이력 기억부(402)는 판독된 정보의 이력을 기억한다. 제1 판정부(403)는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커맨드의 종류를 결정한다. 또한, 제1 판정부(403)는 전송 의뢰를 생성하는 경우, 전송원 및 전송지를 결정한다. 또한 제1 판정부(403)는, 서브 스크라이브 의뢰를 생성하는 경우, 서브 스크라이비 및 서브 스크라이버를 결정한다. 커맨드 생성부(404)는 제1 판정부(403)의 결정에 기초하여 각종 커맨드를 생성한다.
도 33은 이력 기억부(402)가 기억하는 이력 정보의 개념 설명도이다. 이력 정보에는 이하의 정보(a)∼(c)가 적어도 포함된다.
(a) 시각: IC 카드로부터 사용자 ID나 종별 정보가 판독된 시각
(b) 사용자 ID: 판독된 IC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프리젠스 시스템(100e) 상의 사용자 ID
(c) 종별 정보: 판독된 IC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종별 정보
[커맨드 생성 처리]
도 34는 카드 리더(40)가 행하는 커맨드 생성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집하장 CP1의 카드 리더 "X"에 우선 트랙 "T"의 IC 카드를 통과시키고, 이어서 그 트랙 "T"에 적재한 상품의 IC 카드를 통과시킨다고 하는 전제로 커맨드 생성 처리가 행하여진다.
단계 S1∼S2: 판독부(401)는 상품에 첨부된 IC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면(S1), 그 정보를 이력 정보로서 이력 기억부(402)에 저장한다(S2). 예를 들면, 시각 "15:20", 사용자 ID "G2", 종별 정보 "위치"라고 하는 이력 정보를, 이력 정보부(402)에 저장했다고 한다(도 33 참조). 이하에서는 이 판독한 최신의 이력 정보의 엔트리를 커런트 엔트리라고 부른다.
단계 S3: 제1 판정부(403)는 과거 소정 시간 ΔT 내의 이력 정보를, 이력 기억부(402)로부터 판독한다. 예를 들면, 도 33에 도시하는 이력 정보를 판독했다고 한다.
단계 S4: 제1 판정부(403)는, 커런트 엔트리 이외의 다른 엔트리가 과거 ΔT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ΔT가 30분이면, 이 경우에는 2개의 엔트리가 있다.
단계 S5: 과거 ΔT 내의 엔트리가 있는 경우, 제1 판정부는 커맨드의 종류를 예를 들면 "전송 의뢰"라고 결정한다. 또한, 제1 판정부(403)는 ΔT 내의 엔트리 중 가장 오래된 엔트리의 사용자 ID를 전송원이라고 결정한다. 또한 제1 판정부(403)는, 최신의 엔트리의 사용자 ID를 전송지라고 결정한다. 본 예에서는, 전송원은 트랙 "T"로 되고, 전송지는 상품 "G2"로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커맨드 종별을 "전송"이 아니라 "서브 스크라이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이력 정보의 시각이나 사용자 ID에 기초하여, 서브 스크라이버나 서브 스크라이비를 결정할 수 있다.
커맨드 생성부(404)는 제1 판정부(403)의 결정에 따라서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서버(10e)에 송신한다. 커맨드에 포함시키는 종별 정보는, 카드 리더가 판독한 종별 정보이다. 상품 "G1"의 IC 카드를 판독했을 때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35는 집하장 CP1의 카드 리더 "X"가 트랙 "T"로부터 상품 "G1"로의 전송 의뢰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서버(10e)에 송신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단계 S6: 과거 ΔT 내의 엔트리가 커런트 엔트리 이외에 없는 경우, 제1 판정부(403)는 커맨드의 종류를 예를 들면 "갱신 의뢰"라고 결정한다. 또한, 제1 판정부(403)는, 갱신 대상의 사용자 ID 및 종별 정보를, 커런트 엔트리 내의 사용자 ID 및 종별 정보로 결정한다. 커맨드 생성부(404)는 제1 판정부(403)의 결정에 따라서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서버(10e)에 송신한다. 커맨드에 포함시키는 종별 정보는, 카드 리더가 판독한 종별 정보이다. 도 36은 집하장 CP1의 카드 리더 "X"가 트랙 "T"에 대한 갱신 의뢰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서버(10e)에 송신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10e)가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로부터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 IC 카드로부터 종별 정보를 판독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카드 리더(40)가 판독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하려고 하는 커맨드의 종별 등을 결정하여, 커맨드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에서는 갱신 의뢰 등의 커맨드를, 프리젠스 서버측에서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전체의 기능 구성]
도 37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100f)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프리젠스 시스템(100f)에서는 카드 리더에서 판독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젠스 서버(10) 내에서 갱신 의뢰 등의 커맨드를 생성한다.
프리젠스 시스템(100f)은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시스템(100e)과 마찬가지로, 프리젠스 서버(10f)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프리젠스 시스템(100f)은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10)는 카드 리더(41)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번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프리젠스 서버]
프리젠스 서버(10f)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서버(10e)의 구성 외에 또한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a) 리드 커맨드 수신부(17): 카드 리더(41)로부터의 리드 커맨드를 수신하고, 후술하는 이력 기억부(110)에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이력 정보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정보를 포함한다.
(b) 제1 판정부(18):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카드 리더(40)에 있어서의 제1 판정부(403)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즉, 생성하는 커맨드의 종류 등을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c) 커맨드 생성부(19):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카드 리더(40)에 있어서의 커맨드 생성부(404)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즉,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관리부(13) 또는 워처 관리부(14)에 통지한다.
(d) 이력 기억부(110): 리드 커맨드와 함께 수신한 이력 정보를 기억한다.
즉, 프리젠스 서버(10f)는, 제5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서버(10)에, 카드 리더(40)의 일부의 구성을 부가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리젠스 서버(10f)는, 리드 커맨드에 기초하여 갱신 의뢰 등의 커맨드를 생성하여, 생성한 커맨드에 기초하는 프리젠스의 갱신·전송·서브 스크라이브를 행한다.
[카드 리더의 구성]
카드 리더(41)는 판독부(411)와 리드 커맨드 생성부(412)를 갖고 있다. 판독부(411)는, 제5 실시 형태의 카드 리더(40)의 판독부(401)와 마찬가지로, IC 카드(도 1 참조) 상의 사용자 ID 및 종별 정보를 판독한다. 리드 커맨드 생성부(412)는 판독한 정보를 프리젠스 서버(10f)에 송신한다.
[커맨드 생성 처리]
도 38은 프리젠스 서버(10f)가 행하는 커맨드 생성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집하장 CP1의 카드 리더 "X"에 우선 트랙 "T"의 IC 카드를 통과시키고, 이어서 그 트랙 "T"에 적재한 상품의 IC 카드를 통과시킨다고 하는 전제로 커맨드 생성 처리가 행하여진다.
우선, 카드 리더(41)의 판독부(411)는, 상품에 첨부된 IC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면(#11),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리드 커맨드를 프리젠스 서버(10f)에 송신한다(#12).
프리젠스 서버(10f)의 리드 커맨드 수신부(17)는, 리드 커맨드를 수신하면(#13), 이력 정보, 즉 커런트 엔트리를 이력 기억부(110)에 저장한다(#14).
또한, 제1 판정부(18)는 과거 소정 시간 ΔT 내의 이력 정보를 이력 기억부(110)로부터 판독한다(#15).
이어서, 제1 판정부(18)는 커런트 엔트리 이외의 다른 엔트리가 과거 ΔT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6).
제1 판정부(18)는, 과거 ΔT 내의 엔트리가 커런트 엔트리 이외에도 있는 경우, 커맨드의 종류를 예를 들면 "전송 의뢰"라고 결정한다(#17). 또한, 제1 판정부(18)는, 과거 ΔT 내의 엔트리 중 가장 오래된 엔트리의 사용자 ID를 전송원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1 판정부(18)는, 최신의 엔트리의 사용자 ID를 전송지라고 결정한다. 또한, 커맨드 종별을 전송이 아니라 서브 스크라이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이력 정보의 시각이나 사용자 ID에 기초하여, 서브 스크라이버나 서브 스크라이비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커맨드 생성부(19)는, 제1 판정부(18)의 결정에 따라서 전송 의뢰의 커맨드를 생성하여, 워처 관리부(14)에 통지한다(#17). 커맨드에 포함시키는 종별 정보는 리드 커맨드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이다. 워처 관리부(14)의 전송 처리부(142)는 이 통지에 기초하여 전송 설정을 행한다. 도 39는 집하장 CP1의 카드 리더 "X"로부터의 리드 커맨드에 기초하여, 프리젠스 서버(10f)가 트랙 "T"로부터 상품 "G1"로의 전송 의뢰를 생성하여, 전송 설정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제1 판정부(18)는 과거 ΔT 내의 엔트리가 커런트 엔트리 이외에 없는 경우, 커맨드의 종류를 예를 들면 "갱신 의뢰"라고 결정한다(#18). 또한, 제1 판정부(18)는, 갱신 대상의 사용자 ID 및 종별 정보를, 커런트 엔트리 내의 사용자 ID 및 종별 정보라고 결정한다. 커맨드 생성부(19)는, 제1 판정부(18)의 결정에 따라서 갱신 의뢰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관리부(13)에 통지한다. 커맨드에 포함시키는 종별 정보는 리드 커맨드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이다. 프리젠스 관리부(13)의 설정부(133)는 수취한 갱신 의뢰에 기초하여 프리젠스의 갱신을 행한다. 도 40은 집하장 CP1의 카드 리더 "X"로부터의 리드 커맨드에 기초하여, 프리젠스 서버(10f)가 트랙 "T"에 대한 갱신 의뢰를 생성하여, 프리젠스를 설정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커맨드의 종류가 "전송"이 아니라 "서브 스크라이브"이어도 된다. 이 경우, 커맨드 생성부(18)는 서브 스크라이브 의뢰를 워처 관리부(14)에 통지한다. 워처 관리부(14)의 서브 스크라이브 중개부(143)는, 수취한 서브 스크라이브 의뢰에 기초하여, 워처 리스트의 갱신을 행한다.
또한,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커맨드에 포함시키는 종별 정보를 프리젠스 서버(10f)가 그곳으로부터 취득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카드 리더(41)가 판독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젠스 서버(10f)가 생성하려고 하는 커맨드의 종별 등을 결정하고, 커맨드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도 41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100g)의 개략 구성도이다. 프리젠스 시스템(100g)은 프리젠스 서버(10g)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프리젠스 시스템(100g)은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10g)는 카드 리더(42)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번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프리젠스 서버(10g)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카드 리더]
카드 리더(42)는 판독부(421)와, 카테고리 기억부(422)와, 제2 판정부(423)와, 커맨드 생성부(424)를 갖고 있다. 판독부(421)는 IC 카드(도 1 참조) 상의 정보를 판독한다. 카테고리 기억부(422)는, 사용자 카테고리 테이블과, 카테고리 커맨드 테이블과, 이력 테이블을 기억한다. 제2 판정부(423)는 카테고리 기억부(422) 내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커맨드의 종류를 결정한다. 또한, 제2 판정부(423)는 전송 의뢰를 생성하는 경우, 전송원 및 전송지를 결정한다. 또한 제2 판정부(423)는, 서브 스크라이브 의뢰를 생성하는 경우, 서브 스크라이비 및 서브 스크라이버를 결정한다. 커맨드 생성부(424)는 제2 판정부(423)의 결정에 기초하여, 각종 커맨드를 생성한다.
도 42는 카테고리 기억부(422) 내에 기억되는 정보의 개념 설명도이다. 동도(a)는 사용자 카테고리 테이블(422a)에 축적되는 정보의 개념 설명도를 도시한다. 이 테이블(422a)에는 사용자 ID와 그 사용자의 카테고리가 대응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트랙의 사용자 ID "T"에는 카테고리 "트랙"이, 상품의 사용자 ID "G1", "G2"에는 카테고리 "상품"이, 각각 대응되어 있다.
동도(b)는 카테고리 커맨드 테이블(422b)에 축적되는 정보의 개념 설명도를 도시한다. 이 테이블(422b)에는 카테고리와 커맨드 종류가 대응되어 있다. 카테고리 "상품"에는 "전송 의뢰"가, 카테고리 "트랙"에는 "갱신 의뢰"가, 각각 대응되어 있다.
사용자 카테고리 테이블(422a)과 카테고리 커맨드 테이블(422b)에 의해, 사용자 ID와 커맨드 종류를 대응시킬 수 있다. 이 2개의 테이블(422a, 422b)은 미리 카테고리 기억부(422)에 기억되어 있다.
동도(c)는 이력 테이블(422c)에 축적되는 이력 정보의 개념 설명도를 도시한다. 이력 정보에는 시각 및 사용자 ID가 적어도 포함된다. 여기서, 시각은 IC 카드로부터 정보가 판독된 시각이다. 사용자 ID는 판독된 IC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프리젠스 시스템(100g) 상의 사용자 ID이다. 이력 정보는 카드 리더(42)가 IC 카드를 판독할 때마다 기억된다.
[커맨드 생성 처리]
도 43은 카드 리더(42)가 실행하는 커맨드 생성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집하장 CP1에 있어서 복수의 트랙에 차차로 상품이 적재된다. 하나의 트랙에 상품이 적재되면 1 그룹의 적재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간주된다. 1 그룹의 적재 처리 종료 후, 소정 시간 이상 비운 후에, 다음 그룹의 적재 처리가 개시된다.
단계 S11: 카드 리더(42)의 판독부(421)는, 트랙 또는 상품에 첨부된 IC 카드의 사용자 ID를 판독하면(S11), 이력 정보를 카테고리 기억부(422)에 저장한다(S12). 예를 들면, 시각 "15:10", 사용자 ID "G3"이라고 하는 이력 정보를, 이력 정보부(422)에 저장했다고 한다(도 42 참조). 이하에서는 이 판독한 최신의 이력 정보의 엔트리를 커런트 엔트리라고 부른다.
단계 S13: 제2 판정부(423)는 사용자 카테고리 테이블(422a)로부터, 커런트 엔트리 내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판독한다.
단계 S14: 제2 판정부(423)는 카테고리 커맨드 테이블(422b)로부터, 상기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커맨드 종류를 판독한다. 제2 판정부(423)는 이력 정보 중의 사용자 ID와, 판독한 카테고리와, 그것에 대응하는 커맨드 종별을 1 레코드로서 대응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버퍼 등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단계 S15: 제2 판정부(423)는, 1 그룹의 적재 처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예를 들면 이력 테이블(422c)을 참조하여, 커런트 엔트리 내의 시각과 그 하나 전의 엔트리의 시각의 사이의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지 아닌지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정 시간이 5분이고, 도 42(c)의 최후의 엔트리 "15:10, G3"이 커런트 엔트리인 경우를 예로 든다. 이 경우, 그 직전의 엔트리의 시각 "15:02"와의 차가 8분이기 때문에, 1 그룹의 적재 처리는 종료하였다고 판단된다.
단계 S16: 1 그룹의 적재 처리가 종료한 경우, 제2 판정부(423)는 상기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1 그룹의 각 레코드마다 커맨드를 생성한다. 어떤 레코드 중의 커맨드 종류가 전송 의뢰의 경우, 예를 들면 전송원을 1 그룹 중의 카테고리 "트랙"으로 특정하고, 전송지를 그 레코드 중의 사용자 ID로 할 수 있다. 서브 스크라이브 의뢰의 생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단계 S17: 그 후, 생성된 커맨드는 커맨드 생성부(424)에 의해 프리젠스 서버(10g)에 차차로 송신된다. 프리젠스 서버(10g)는 커맨드에 기초하여 프리젠스의 갱신이나 전송 설정, 서브 스크라이브 설정 등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 ID와 커맨드의 종류를 간접적으로 대응시켜 놓음으로써 커맨드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그룹 단위로 커맨드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전송원이나 서브 스크라이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ID와 커맨드의 종류를 직접적으로 대응시키고, 그에 기초하여 커맨드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처리에서 1 그룹 분의 정보를 버퍼에 기억하고 나서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은, 1 그룹 중에서 전송원이나 서브 스크라이비를 특정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트랙의 IC 카드를, 1 그룹의 최초가 아니라 도중이나 마지막에서 판독하는 양태에도 대응할 수 있다. 단, 상기 제5 실시 형태와 같이, 최초로 트랙의 IC 카드를 판독한다고 결정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트랙을 전송원에 처음부터 특정 가능하기 때문에, IC 카드를 판독할 때마다 커맨드를 생성·송신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처리에서는, 1 그룹의 적재 처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시간 간격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판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적재한 상품의 개수나, 명시의 종료 커맨드의 입력 유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상기의 처리에 있어서, 사용자 ID로부터 판독한 종별 정보 또는 카드 리더(42)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를, 생성한 커맨드에 포함시키더라도 무방하다. 그 경우에는, 종별 정보가 있는 갱신 의뢰, 전송 의뢰, 서브 스크라이브 의뢰를 프리젠스 서버(10g)에 송신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도 44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100h)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프리젠스 시스템(100h)에서는, 카드 리더로 판독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젠스 서버 내에서 갱신 의뢰 등의 커맨드를 생성한다.
프리젠스 시스템(100h)은 상기 제7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시스템(100g)과 마찬가지로, 프리젠스 서버(10h)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프리젠스 시스템(100h)은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10h)는 카드 리더(43)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번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프리젠스 서버]
프리젠스 서버(10h)는 상기 제7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서버(10g)의 구성 외에 또한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a) 리드 커맨드 수신부(111): 카드 리더(43)로부터의 리드 커맨드를 수신하고, 후술하는 카테고리 기억부(114)에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이력 정보는 상기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정보를 포함한다.
(b) 제2 판정부(112): 상기 제7 실시 형태의 카드 리더(42)에 있어서의 제2 판정부(423)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즉, 생성하는 커맨드의 종류 등을,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c) 커맨드 생성부(113): 상기 제7 실시 형태의 카드 리더(42)에 있어서의 커맨드 생성부(424)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즉,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관리부(13) 또는 워처 관리부(14)에 통지한다.
(d) 카테고리 기억부(114): 상기 제7 실시 형태의 카테고리 기억부(422)와 마찬가지의 정보를 기억한다(상기 도면42 참조). 이력 정보는 카드 리더(43)로부터의 리드 커맨드와 함께 취득 가능하다.
즉, 프리젠스 서버(10h)는, 제7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서버(10g)에, 카드 리더(42)의 일부의 구성을 부가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리젠스 서버(10h)는, 리드 커맨드에 기초하여 갱신 의뢰 등의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커맨드에 기초하는 프리젠스의 갱신·전송·서브 스크라이브를 행한다.
[카드 리더]
카드 리더(43)는 판독부(431)와 리드 커맨드 생성부(432)를 갖고 있다. 판독부(431)는 제7 실시 형태의 카드 리더(42)의 판독부(421)와 마찬가지로, IC 카드(도 1 참조) 상의 정보를 판독한다. 리드 커맨드 생성부(432)는 판독한 정보를 프리젠스 서버(10h)에 송신한다.
[커맨드 생성 처리]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프리젠스 시스템(100h)에서는, 프리젠스 서버(10h)가 리드 커맨드에 기초하여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관리부(13) 또는 워처 관리부(14)에 통지한다. 생성하는 커맨드의 종류의 판별, 전송원이나 전송지의 결정, 서브 스크라이버나 서브 스크라이비의 결정은, 상기 제8 실시 형태의 제2 판정부(423)와 같이 하여 제2 판정부(112)가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리젠스 서버(10h) 측에 있어서, 하나의 그룹 단위로 커맨드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9 실시 형태>
도 45는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100i)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드 리더가 갱신 의뢰 등의 커맨드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프리젠스 서버에 송신한다.
프리젠스 시스템(100i)은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시스템(100e)과 마찬가지로, 프리젠스 서버(10i)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프리젠스 시스템(100i)은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10i)는 카드 리더(44)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번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프리젠스 서버(10i)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카드 리더]
카드 리더(44)는, 판독부(441)와, 프리젠스 기억부(442)와, 제3 판정부(443)와, 커맨드 생성부(444)를 갖고 있다. 판독부(441)는 IC 카드(도 1 참조) 상의 정보를 판독한다. 프리젠스 기억부(442)는 사용자 프리젠스 테이블과, 프리젠스 커맨드 테이블과, 이력 테이블을 기억한다. 제3 판정부(443)는 프리젠스 기억부(442) 내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커맨드의 종류를 결정한다. 또한, 제3 판정부(443), 전송 의뢰를 생성하는 경우, 전송원 및 전송지를 결정한다. 또한 제3 판정부(443)는, 서브 스크라이브 의뢰를 생성하는 경우, 서브 스크라이비 및 서브 스크라이버를 결정한다. 커맨드 생성부(444)는 제3 판정부(443)의 결정에 기초하여 각종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서버(10i)에 송신한다.
도 46은 카테고리 기억부(442) 내에 기억되는 정보의 개념 설명도이다. 동도(a)는 사용자 프리젠스 테이블(442a)에 축적되는 정보의 개념 설명도를 도시한다. 이 테이블(442a)에는 사용자 ID와 그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프리젠스가 대응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트랙의 사용자 ID "T"에는 프리젠스 "집하장 CP1"이, 상품의 사용자 ID "G1", "G2"에는 프리젠스 "상품"이, 각각 대응되어 있다. 여기서, 상품의 프리젠스 "상품"은, 사용자의 카테고리를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도 46(b)은 프리젠스 커맨드 테이블(422b)에 축적되는 정보의 개념 설명도를 도시한다. 이 테이블(422b)에는 프리젠스와 커맨드 종류가 대응되어 있다. 프리젠스 "집하장 CP1"에는 "갱신 의뢰"가, 프리젠스 "상품"에는 "전송 의뢰"가, 각각 대응되어 있다.
사용자 프리젠스 테이블(442a)과 프리젠스 커맨드 테이블(442b)에 의해, 사용자 ID와 커맨드 종류를 대응시킬 수 있다. 이 2개의 테이블(442a, 442b)은 미리 프리젠스 기억부(442)에 기억되어 있다.
도 46(c)은 이력 테이블(442c)에 축적되는 이력 정보의 개념 설명도를 도시한다. 이력 정보에는 시각 및 사용자 ID가 적어도 포함된다. 여기서, 시각은 IC 카드로부터 정보가 판독된 시각이다. 사용자 ID는 판독된 IC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프리젠스 시스템(100i) 상의 사용자 ID이다. 이력 정보는 카드 리더(44)가 IC 카드를 판독할 때마다 기억된다.
[커맨드 생성 처리]
도 47은 카드 리더(44)가 실행하는 커맨드 생성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집하장 CP1에 있어서 복수의 트랙에 차차로 상품이 적재된다. 하나의 트랙에 상품이 적재되면 1 그룹의 적재 처리가 종료하였다고 간주된다. 1 그룹의 적재 처리 종료 후, 소정 시간 이상 비운 후에, 다음 그룹의 적재 처리가 개시된다.
단계 S21: 카드 리더(44)의 판독부(441)는, 트랙 또는 상품에 첨부된 IC 카드의 사용자 ID를 판독하면(S21), 이력 정보를 프리젠스 기억부(442)에 저장한다(S22). 예를 들면, 시각 "15:10", 사용자 ID "G3"이라고 하는 이력 정보를, 이력 정보부(442)에 저장했다고 한다(도 46 참조). 이하에서는 이 판독한 최신의 이력 정보의 엔트리를 커런트 엔트리라고 부른다.
단계 S23: 제3 판정부(443)는 사용자 프리젠스 테이블(442a)로부터, 커런트 엔트리 내의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프리젠스를 판독한다.
단계 S24: 제3 판정부(443)는, 프리젠스 커맨드 테이블(442b)로부터, 상기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커맨드 종류를 판독한다. 제3 판정부(443)는, 이력 정보 중의 사용자 ID와, 판독한 프리젠스와, 그것에 대응하는 커맨드 종별을 1 레코드로서 대응시키고, 도시하지 않은 버퍼 등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단계 S25: 제3 판정부(443)는 1 그룹의 적재 처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예를 들면 이력 테이블(442c)을 참조하여, 커런트 엔트리 내의 시각과 그 하나 전의 엔트리의 시각의 사이의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지 아닌지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판단은 상기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단계 S26: 1 그룹의 적재 처리가 종료한 경우, 제3 판정부(443)는 상기 버퍼에 축적되어 있는 1 그룹의 각 레코드마다 커맨드를 생성한다. 어떤 레코드 중의 커맨드 종류가 전송 의뢰인 경우, 예를 들면 전송원을 프리젠스 "집하장 CP1"에 의해 특정하고, 전송지를 그 레코드 중의 사용자 ID로 할 수 있다. 서브 스크라이브 의뢰의 생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단계 S27: 그 후, 생성된 1 그룹분의 커맨드는, 커맨드 생성부(444)에 의해 프리젠스 서버(10i)에 차차로 송신된다. 프리젠스 서버(10i)는 커맨드에 기초하여 프리젠스의 갱신이나 전송 설정, 서브 스크라이브 설정 등을 행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상기 제7 실시 형태와는 다른 방법에 의해, 카드 리더(44)가 하나의 그룹 단위로 커맨드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처리에서 1 그룹분의 정보를 버퍼에 기억하고 나서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은, 1 그룹 중에서 전송원이나 서브 스크라이비를 특정하기 위해서이다. 이 점은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트랙의 IC 카드를, 1 그룹의 최초가 아니라 도중이나 마지막에서 판독하는 양태에도 대응할 수 있다. 단, 상기 제5 실시 형태와 같이, 최초로 트랙의 IC 카드를 판독한다고 결정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트랙을 전송원에 처음부터 특정 가능하기 때문에, IC 카드를 판독하는 마다 커맨드를 생성·송신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처리에서는, 1 그룹의 적재 처리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시간 간격으로 판단하고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판단해도 되는 것은 상기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적재한 상품의 개수나, 명시의 종료 커맨드의 입력 유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상기의 처리에 있어서, 사용자 ID로부터 판독한 종별 정보 또는 카드 리더(42)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를, 생성한 커맨드에 포함시키더라도 무방하다. 그 경우에는, 종별 정보가 있는 갱신 의뢰, 전송 의뢰, 서브 스크라이브 의뢰가 프리젠스 서버(10g)에 송신되게 된다.
<제10 실시 형태>
도 48은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100j)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프리젠스 시스템(100j)에서는 카드 리더로 판독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젠스 서버 내에서 갱신 의뢰 등의 커맨드를 생성한다.
프리젠스 시스템(100j)은 상기 제9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시스템(100i)과 마찬가지로, 프리젠스 서버(10j)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프리젠스 시스템(100j)은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10j)는 카드 리더(45)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번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프리젠스 서버]
프리젠스 서버(10j)는 상기 제9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서버(10j)의 구성 외에 또한 이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a) 리드 커맨드 수신부(115): 카드 리더(45)로부터의 리드 커맨드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프리젠스 기억부(118)에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이력 정보는 상기 제9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정보를 포함한다.
(b) 제3 판정부(116): 상기 제9 실시 형태의 카드 리더(45)에 있어서의 제3 판정부(443)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즉, 생성하는 커맨드의 종류 등을, 후술하는 프리젠스 기억부(118) 내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c) 커맨드 생성부(117): 상기 제9 실시 형태의 카드 리더(45)에 있어서의 커맨드 생성부(444)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즉,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관리부(13) 또는 워처 관리부(14)에 통지한다.
(d) 프리젠스 기억부(118): 상기 제9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기억부(442)와 마찬가지의 정보를 기억한다(상기 도면46 참조). 이력 정보는 카드 리더(45)로부터의 리드 커맨드와 함께 취득 가능하다.
즉, 프리젠스 서버(10j)는, 제9 실시 형태의 프리젠스 서버(10i)에, 카드 리더(44)의 일부 구성을 부가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리젠스 서버(10j)는, 리드 커맨드에 기초하여 갱신 의뢰 등의 커맨드를 생성하여, 생성한 커맨드에 기초하는 프리젠스의 갱신·전송·서브 스크라이브를 행한다.
[카드 리더]
카드 리더(45)는 판독부(451)와 리드 커맨드 생성부(452)를 갖고 있다. 판독부(451)는 제9 실시 형태의 카드 리더(44)의 판독부(441)와 마찬가지로, IC 카드(도 1 참조) 상의 정보를 판독한다. 리드 커맨드 생성부(452)는 판독한 정보를 프리젠스 서버(10j)에 송신한다.
[커맨드 생성 처리]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프리젠스 시스템j 에서는, 프리젠스 서버(10j)가 리드 커맨드에 기초하여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관리부(13) 또는 워처 관리부(14)에 통지한다. 생성하는 커맨드의 종류의 판별, 전송원이나 전송지의 결정, 서브 스크라이버나 서브 스크라이비의 결정은, 상기 제9 실시 형태의 제3 판정부(443)와 같이 하여 제3 판정부(116)가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리젠스 서버(10j) 측에 있어서, 하나의 그룹 단위로 커맨드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11 실시 형태>
도 49는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100k)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드 리더가 전송 의뢰 또는 전송 해제 의뢰의 커맨드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프리젠스 서버에 송신한다.
프리젠스 시스템(100k)은 프리젠스 서버(10k)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20)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프리젠스 시스템(100k)은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10k)는 카드 리더(44)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번호를 붙여 도시하고 있다. 프리젠스 서버(10k)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카드 리더]
카드 리더(46)는, 판독부(461)와, 제4 판정부(462)와, 커맨드 생성부(463)를 갖고 있다. 판독부(451)는 IC 카드(도 1 참조) 상의 사용자 ID를 판독한다.
제4 판정부(462)는 상기 사용자 ID 및 카드 리더의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를 프리젠스 서버(10k)에서 취득한다. 제4 판정부(462)는 취득한 프리젠스에 기초하여 전송 의뢰 또는 전송 해제 의뢰 중 어느 것인지를 생성할지 결정한다. 또한, 제4 판정부(462)는 전송 의뢰를 생성하는 경우, 전송원 및 전송지를 결정한다. 이 결정 방법으로서는 상기 제5 내지 제10 실시 형태에서 기재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커맨드 생성부(463)는 제4 판정부(462)의 결정에 기초하여, 전송 의뢰 또는 전송 해제 의뢰의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서버(10k)에 송신한다. 이것을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10k)의 워처 관리부(14)는, 전송 처리부(142)에 의해 전송 설정 또는 전송 설정의 해제를 행한다.
[커맨드 생성 처리]
도 50은 카드 리더(46)가 실행하는 커맨드 생성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31: 카드 리더(46)의 판독부(461)는, 트랙 또는 상품에 첨부된 IC 카드로부터 적어도 사용자 ID를 판독한다.
단계 S32: 제4 판정부(462)는, 판독한 사용자 ID와 카드 리더(46) 내에 기억하는 종별 정보과 대응하는 프리젠스를, 프리젠스 서버(10k)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제4 판정부(462)는, 상기 사용자 ID 및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를 특정하고, 그 프리젠스 ID에 전송원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프리젠스의 기억 형태에 의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 ID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ID의 프리젠스에 대응시켜 기억되어 있는 전송원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33: 전송원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4 판정부(462)는 커맨드 종류를 "전송 해제"라고 결정한다. 그 후, 커맨드 생성부(463)는 전송 해제 의뢰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서버(10k)에 송신한다. 이 커맨드에는 사용자 ID 및 프리젠스 ID가 포함된다. 이것을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10k)의 전송 처리부(142)는, 사용자 ID 및 프리젠스 ID에 의해 특정되는 프리젠스 전송 설정을 해제한다.
단계 S34: 제4 판정부(462)가 특정한 프리젠스 ID에 전송원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4 판정부(462)는 커맨드 종류를 "전송 의뢰"라고 결정한다. 전송원은 상기 제5 내지 제10에 진술한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커맨드 생성부(463)는 전송 의뢰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서버(10k)에 송신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카드 리더(46)에 있어서 전송 의뢰 또는 전송 해제 의뢰의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리젠스 서버(10k)에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프리젠스에 이미 워처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서브 스크라이브 커맨드 또는 서브 스크라이브 해제 커맨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프리젠스 서버(10k)에 제4 판정부(462)의 기능을 마련하고, 프리젠스 서버(10k) 측에서 전송 의뢰 또는 전송 해제 의뢰의 커맨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드 리더(46)가 판독한 사용자 ID 및 종별 정보를 프리젠스 서버(10k)에 송신하면 된다. 종별 정보 관리 서버(3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종별 정보를 그곳으로부터 취득할 수도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A) 상기 실시 형태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B) 상기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여기서 기록 매체로서는, 컴퓨터가 기입 및 판독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CD-ROM, DVD, 광 자기 디스크(MO), 그 밖의 것을 들 수 있다.
<부기>
이상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이하의 부기를 더 개시한다.
(부기 1)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시스템에 있어서,
프리젠스의 소유자 이외의 사용자인 갱신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갱신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프리젠스의 내용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이고, 상기 갱신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종별 취득 수단과,
상기 갱신 대상자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기억하는 관련 부가 테이블과,
상기 관련 부가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갱신자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에 관련된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는 프리젠스 특정 수단과,
상기 특정한 프리젠스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던 프리젠스를 설정하는 프리젠스 설정 수단
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갱신자는, 제3 자의 프리젠스를 갱신할 때에, 그 제3 자의 프리젠스 전체의 구성이나 각 프리젠스 식별자를 미리 알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갱신자의 갱신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갱신자에게 프리젠스를 갱신되는 갱신 대상자는, 자신의 프리젠스의 구성 등을 갱신자에게 공개하지 않고서 해결된다. 따라서, 갱신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부기 2)
상기 갱신 의뢰는 상기 종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별 취득 수단은, 상기 접수 수단으로부터 상기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갱신자가 종별 정보를 지정하여 갱신 의뢰를 송신하면, 그 종별 정보에 관련된 프리젠스 식별자에 대하여 프리젠스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갱신자 X, 갱신 대상자 A, 종별 정보 「위치」, 프리젠스 「회의실」을 송신한다. 그렇게 하면, 사용자 A의 프리젠스 중, 종별 정보 「위치」에 관련된 프리젠스 식별자 a1의 프리젠스가 「회의실」로 갱신된다. 즉, 갱신자가 지정하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식별자가 있는 한, 갱신자는 자유롭게 종별 정보를 지정하여 갱신 의뢰를 송신할 수 있다.
(부기 3)
상기 종별 정보와 상기 갱신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종별 정보 관리 테이블을 기억하는 종별 정보 관리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종별 취득 수단은, 상기 종별 정보 관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갱신자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종별 정보 관리 수단은, 프리젠스 서버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다. 종별 정보 관리 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갱신자가 어떤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를 갱신하고자 하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부기 4)
상기 갱신 의뢰에 포함되는 프리젠스를 다른 프리젠스로 변환하는 변환 룰을 기억하는 변환 룰 테이블과,
상기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는 프리젠스를, 상기 변환 룰에 따라서 변환하는 변환 수단
을 더 구비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변환 룰을 이용하여 프리젠스를 변환함으로써, 갱신자에게 있어서 이해 가능한 프리젠스를 갱신 설정자의 워처에게 있어서 알기 쉬운 프리젠스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리젠스의 소유자인 갱신 설정자가 하물 A라고 한다. 갱신자는 운송업자라고 한다. 운송업자가 설정하는 프리젠스 「집하 점포 ID」를 「집하 종료」로 변환함으로써, 하물 A의 프리젠스의 워처는 하물 A의 상태를 파악하기 쉽게 된다.
(부기 5)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의 프리젠스 식별자, 종별 정보 및 프리젠스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종별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과,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 식별자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워처 리스트와,
서브 스크라이버가 구독하고자 하는 프리젠스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 식별자, 서브 스크라이비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는 제1 서브 스크라이브 수신 수단과,
종별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포함되는 서브 스크라이비의 사용자 식별자 및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고, 해당 프리젠스 식별자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의 식별자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
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서브 스크라이버는, 종별 정보를 지정하여 서브 스크라이브를 송신하기 때문에, 서브 스크라이비의 프리젠스의 구성이나 각 프리젠스 식별자를 미리 조사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서브 스크라이버는, 손쉽게 서브 스크라이브를 행할 수 있다.
(부기 6)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을, 프리젠스 식별자, 종별 정보 및 프리젠스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종별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과,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워처 리스트와,
서브 스크라이버가 구독하고자 하는 프리젠스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 식별자, 서브 스크라이비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는 제1 서브 스크라이브 수신 수단과,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 중,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을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가 만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만족하고 있으면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를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워처 리스트에 등록하는 공개 판정 수단
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서브 스크라이버는, 종별 정보를 지정하여 서브 스크라이브를 송신하기 때문에, 서브 스크라이비의 프리젠스의 구성이나 각 프리젠스 식별자를 미리 조사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서브 스크라이버는 손쉽게 서브 스크라이브를 행할 수 있다.
(부기 7)
상기 제1 서브 스크라이브 수신 수단은,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의 식별자와 종별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종별 정보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의 식별자에 대응시켜져 있는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종별 정보 취득 수단을 구비하는, 부기 5 내지 부기 6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프리젠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서버와, 프리젠스의 갱신 통지나 참조 요구를 프리젠스 서버에 송신하는 프리젠스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종별 정보 관리 수단은 프리젠스 서버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다. 종별 정보 관리 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서브 스크라이버가 어느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를 참조하고자 하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부기 8)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프리젠스 식별자 및 종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1 프리젠스 테이블과,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제1 워처 리스트와,
프리젠스의 전송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의뢰를 수신하는 제1 전송 의뢰 수신 수단과,
상기 전송 의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지를 서브 스크라이버로 하고, 상기 전송원을 서브 스크라이비로 하고, 상기 전송 의뢰중의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하는 제1 서브 스크라이브 생성 수단과,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원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전송 의뢰중의 종별 정보를 대응시켜 등록하는 제1 워처 등록 수단과,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가 갱신된 경우, 상기 전송지에 대하여, 상기 전송 의뢰에 포함되는 상기 종별 정보와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를 통지하는 종별 정보 부가 통지 수단
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전송지에 전송원의 프리젠스를 통지할 때에, 종별 정보를 동시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의뢰자는 전송원으로부터의 프리젠스를 전송지의 어느 프리젠스에 반영시키고자 하는지를, 종별 정보에 의해 지정할 수 있다. 즉, 전송에 의한 프리젠스의 자동 갱신의 구조를, 필요에 따라서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부기 9)
상기 제1 프리젠스 테이블은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을 또한 기억하고,
상기 종별 정보 부가 통지 수단은, 상기 전송지의 프리젠스 중 상기 전송 의뢰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와 대응하는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에, 상기 전송원의 공개 조건을 설정하는, 부기 8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종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프리젠스의 종별을 지정하면, 그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원의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이, 그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지의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으로서 설정된다. 따라서, 종별 정보를 이용한 전송 의뢰에 의해, 전송원의 프라이버시를 간단히 보호할 수 있다.
(부기 10)
상기 종별 정보 부가 통지 수단은,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이 변화한 경우, 상기 전송지의 프리젠스 중 상기 전송 의뢰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에, 상기 전송원의 공개 조건의 변화를 반영시키는, 부기 9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전송원의 공개 조건을 종별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지의 공개 조건으로 설정한 후, 전송원의 공개 조건의 변화를 전송지에도 반영시킨다. 따라서, 전송원의 공개 조건이 변화해도, 전송원의 프라이버시를 동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부기 11)
상기 제1 전송 의뢰 수신 수단은,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의 식별자와 종별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있는 종별 정보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의 식별자에 대응시켜져 있는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종별 정보 취득 수단을 구비하는, 부기 8 내지 부기 10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프리젠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서버와, 프리젠스의 갱신 통지나 참조 요구를 프리젠스 서버에 송신하는 프리젠스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종별 정보 관리 수단은 프리젠스 서버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다. 종별 정보 관리 수단이 기억하고 있는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전송 의뢰자가 어느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의 전송을 의뢰하고 있는 것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
(부기 12)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프리젠스 식별자 및 상기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2 프리젠스 테이블과,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제2 워처 리스트와,
프리젠스의 전송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의뢰를 수신하는 제2 전송 의뢰 수신 수단과,
상기 전송 의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지를 서브 스크라이버로 하고, 상기 전송원을 서브 스크라이비로 하고, 상기 전송지의 워처 리스트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하는 제2 서브 스크라이브 생성 수단과,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 중 그 공개 조건을 상기 전송지가 만족하는 프리젠스를 상기 프리젠스 테이블로부터 검색하여, 검색한 프리젠스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는 제2 워처 등록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부기 8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전송원 A가 자신의 프리젠스의 배신을 허가하고 있는 범위 내에서, 그 전송원의 프리젠스의 전송을 행한다. 따라서, 전송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부기 13)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프리젠스 식별자 및 상기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3 프리젠스 테이블과,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제3 워처 리스트와,
프리젠스의 전송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의뢰를 수신하는 제3 전송 의뢰 수신 수단과,
상기 전송 의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지를 서브 스크라이버로 하고, 상기 전송원을 서브 스크라이비로 하고, 상기 전송지의 공개 조건을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하는 제3 서브 스크라이브 생성 수단과,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 중 그 공개 조건을 전송지가 만족하는 프리젠스를 상기 프리젠스 테이블로부터 검색하여, 검색한 프리젠스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는 제3 워처 등록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부기 8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이 구성에 의해, 전송지와 전송원의 양방의 공개 조건이 만족되는 범위에서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전송 의뢰자는 전송원이나 전송지의 프리젠스의 구성이나 프라이버시에의 배려를 신경쓰지 않고서 전송 의뢰를 행할 수 있다.
(부기 14)
상기 제3 워처 등록 수단은, 상기 전송지의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이 변화한 경우, 상기 전송지의 공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워처 리스트의 등록 내용을 변경하는, 부기 13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전송지의 공개 조건이 변화하면, 전송원과 전송지의 공개 조건이 일치하는 범위가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에는, 전송되는 프리젠스의 워처 리스트의 재평가를 행함으로써, 전송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부기 15)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프리젠스 식별자, 상기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 및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원과 대응시켜 기억하는 공개 조건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과,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워처 리스트와,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 식별자와, 서브 스크라이비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는 제2 서브 스크라이브 수신 수단과,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프리젠스의 전송원에 대한 서브 스크라이브이고,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 식별자,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전송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하는 간접 서브 스크라이브 생성 수단과,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 중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가 그 공개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프리젠스이고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를 워처 리스트에 포함하는 프리젠스를, 상기 공개 조건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로부터 검색하여,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를 등록하는 간접 서브 스크라이브 수단
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예를 들면 서브 스크라이버 Y, 서브 스크라이비 B의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했다고 한다. 서브 스크라이비 B의 프리젠스는, 전송원의 사용자 A로부터 전송된다. 사용자 A의 프리젠스 "a1"의 워처 리스트에 서브 스크라이비 B가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게다가, 프리젠스 "a1"의 공개 조건이 서브 스크라이버 Y에의 프리젠스의 공개를 허가하고 있다고 한다. 이 경우, 서브 스크라이브에 의해, 전송원 A로부터 전송지 B로, 전송지 B로부터 서브 스크라이버 Y로, 전송원 A의 프리젠스 "a1"이 송신된다. 따라서, 서브 스크라이버 Y, 서브 스크라이비 B의 서브 스크라이브에 의해, 서브 스크라이버 Y는 서브 스크라이비의 워처 리스트에 등록된다. 이 등록은 결국, 전송원의 사용자 A의 공개 조건의 범위 내에서 서브 스크라이버 B의 워처를 추가한다.
(부기 16)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프리젠스의 소유자 이외의 사용자인 갱신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갱신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접수하는 접수 단계와,
프리젠스의 내용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이고, 상기 갱신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종별 취득 단계와,
상기 갱신 대상자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기억하는 관련 부가 테이블을 기억하는 관련 부가 기억 단계와,
상기 관련 부가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갱신자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에 관련된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는 프리젠스 특정 단계와,
상기 특정한 프리젠스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던 프리젠스를 설정하는 프리젠스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젠스 방법.
(부기 17)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프리젠스의 소유자 이외의 사용자인 갱신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갱신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접수하는 접수 단계와,
프리젠스의 내용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이고, 상기 갱신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종별 취득 단계와,
상기 갱신 대상자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기억하는 관련 부가 테이블을 기억하는 관련 부가 기억 단계와,
상기 관련 부가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갱신자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에 관련된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는 프리젠스 특정 단계와,
상기 특정한 프리젠스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던 프리젠스를 설정하는 프리젠스 설정 단계
를 실행하기 위한 프리젠스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부기 18)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관리 프로그램에 있어서,
프리젠스의 소유자 이외의 사용자인 갱신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갱신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
프리젠스의 내용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이고, 상기 갱신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종별 취득 수단,
상기 갱신 대상자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기억하는 관련 부가 테이블,
상기 관련 부가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갱신자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에 관련된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는 프리젠스 특정 수단, 및 상기 특정한 프리젠스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던 프리젠스를 설정하는 프리젠스 설정 수단,
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리젠스 프로그램.
(부기 19)
상기 갱신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기억하는 의뢰자 기억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이 상기 갱신 의뢰를 접수하기 전에, 상기 갱신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상기 갱신 대상자에게 통지하는 종별 정보 통지 수단과,
상기 갱신 대상자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접수하여, 상기 관련 부가 테이블에 저장하는 관련 부가 접수 수단
을 더 구비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예를 들면 갱신자가 카드 리더인 경우를 예로 든다. 카드 리더의 사용자 식별자와 카드 리더의 종별 정보는, 카드 리더 내에 기억되어 있다. 갱신 대상자가 사용할 것인 카드 리더의 종별 정보를 미리 갱신 대상자에게 통지하여, 갱신 대상자에게 자신의 프리젠스 ID와의 관련 부가를 생성시킨다. 이에 의해, 카드 리더가 종별 정보 부가 갱신 의뢰를 프리젠스 서버에 송신했을 때에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가 확실하게 존재하도록 된다.
(부기 20)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기억하는 의뢰자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서브 스크라이브 수신 수단이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에게 통지하는 종별 정보 통지 수단과,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에 대응된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접수하여, 상기 종별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에 저장하는 관련 부가 접수 수단을 더 갖고,
상기 등록 수단은,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에 대응된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는, 부기 5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예를 들면 서브 스크라이버가 카드 리더인 경우를 예로 든다. 카드 리더의 사용자 식별자와 카드 리더의 종별 정보는, 카드 리더 내에 기억되어 있다. 서브 스크라이비가 사용할 것인 카드 리더의 종별 정보를 미리 서브 스크라이비에게 통지하여, 서브 스크라이비에게 자신의 프리젠스 ID와의 관련 부가를 생성시킨다. 이에 의해, 카드 리더가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프리젠스 서버에 송신했을 때에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가 확실하게 존재하도록 된다.
(부기 21)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기억하는 의뢰자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서브 스크라이브 수신 수단이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에게 통지하는 종별 정보 통지 수단과,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에 대응된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접수하여, 상기 종별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에 저장하는 관련 부가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공개 판정 수단은,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에 대응된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고, 그 프리젠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공개 조건을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가 만족하고 있으면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를 워처 리스트에 등록하는, 부기 6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예를 들면 서브 스크라이버가 카드 리더인 경우를 예로 든다. 카드 리더의 사용자 식별자와 카드 리더의 종별 정보는, 카드 리더 내에 기억되어 있다. 서브 스크라이비가 사용할 것인 카드 리더의 종별 정보를 미리 서브 스크라이비에게 통지하여, 서브 스크라이비에게 자신의 프리젠스 ID와의 관련 부가를 생성시킨다. 이에 의해, 카드 리더가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프리젠스 서버에 송신했을 때에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가 확실하게 존재하도록 된다. 따라서, 서브 스크라이비의 공개 조건을 서브 스크라이버가 만족하고 있으면, 서브 스크라이버는 서브 스크라이비의 워처 리스트에 등록된다.
(부기 22)
상기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전송지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기억하는 의뢰자 기억 수단과,
상기 접수 수단이 상기 전송 의뢰를 접수하기 전에, 상기 전송지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상기 전송원에 통지하는 종별 정보 통지 수단과,
상기 전송원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상기 전송지에 대응된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접수하여, 상기 제1 프리젠스 테이블에 저장하는 관련 부가 접수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1 워처 등록 수단은, 상기 전송 의뢰 및 서브 스크라이브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송원의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고, 그 프리젠스 식별자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종별 정보를 등록하는, 부기 8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예를 들면 전송 의뢰자가 카드 리더인 경우를 예로 든다. 카드 리더의 사용자 식별자와 카드 리더의 종별 정보는, 카드 리더 내에 기억되어 있다. 전송지가 사용할 것인 카드 리더의 종별 정보를 미리 전송지에 통지하여, 전송지에 자신의 프리젠스 ID와의 관련 부가를 생성시킨다. 이에 의해, 카드 리더가 종별 정보 부가 전송 의뢰를 프리젠스 서버에 송신했을 때에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ID가 확실하게 존재하도록 된다.
(부기 23)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시스템에 있어서,
어떤 프리젠스의 소유자 이외의 사용자인 의뢰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임의의 프리젠스의 종별을 나타내고 상기 갱신자 또는 상기 대상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대상자의 프리젠스를 처리하는 커맨드의 종류를 결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이 결정한 커맨드의 종류와, 상기 취득 수단이 취득한 종별 정보와, 상기 의뢰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생성하는 커맨드 생성 수단과,
상기 커맨드 생성 수단이 생성한 커맨드를 접수하고, 그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대상자의 프리젠스의 갱신, 서브 스크라이브/ 서브 스크라이브의 해제 또는 전송/ 전송의 해제를 행하는 커맨드 실행 수단
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이 프리젠스 시스템은 부기 1 내지 18의 프리젠스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갱신 의뢰·서브 스크라이브/ 서브 스크라이브의 해제·전송/ 전송의 해제를 위한 커맨드를 생성한다. 즉, 종별 정보가 있는 이들 커맨드를, 카드 리더나 프리젠스 서버 내에서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부기 24)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의뢰자의 사용자 식별자의 취득 시각을 더 취득하고,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취득 시각을 포함하는 취득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새로운 의뢰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취득할 때마다, 상기 취득 이력에 기초하여 과거 소정 시간 ΔT 내에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취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커맨드의 종류를 결정하는, 상기 부기 23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예를 들면, 과거 ΔT 내에 취득한 데이터가 취득 이력중에 있는 경우, 커맨드의 종류는 "전송 의뢰"로 된다. 반대로 과거 ΔT 내에 취득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 커맨드의 종류는 "갱신 의뢰"로 된다.
(부기 25)
상기 판정 수단은, 결정한 커맨드의 종류가 전송인 경우, 과거 소정 시간 ΔT 내에 취득한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전송원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로 하는, 상기 부기 24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예를 들면, 과거 소정 시간 ΔT에서 가장 오래된 취득 시각을 갖는 대상자를, 전송원 사용자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부기 26)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커맨드의 종류의 대응 부가를 기억하는 대응 기억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대응 기억 수단에 기억된 대응 부가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커맨드 종류를 결정하는, 상기 부기 23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커맨드의 종류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취득 수단이 취득한 대상자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부기 27)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의뢰자의 사용자 식별자의 취득 시각을 더 취득하고,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그 취득 시각을 포함하는 취득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취득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그룹화하여, 커맨드 종류가 전송 또는 서브 스크라이브인 경우에는 1 그룹 내에서 전송원 및 서브 스크라이버로 되는 사용자 식별자를 특정하는, 부기 26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예를 들면, 취득 시각이 일정 시간 이상 비어 있는 경우, 거기가 1 그룹의 단락이라고 판단하여, 취득 이력중의 대상자를 그룹화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룹화함으로서, 새로운 취득 이력을 취득할 때마다가 아니라, 취득 이력을 어느 정도 축적하고 나서 커맨드를 생성하는 버퍼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1 그룹 내에서 전송원이나 서브 스크라이비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기 28)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의뢰자 또는 상기 대상자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젠스의 내용을 취득하는 프리젠스 내용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취득한 프리젠스 내용에 전송원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커맨드 종류를 전송 또는 전송 해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상기 부기 23에 기재된 프리젠스 시스템.
커맨드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프리젠스에 이미 전송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전송 커맨드 또는 전송 해제 커맨드를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프리젠스에 이미 워처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서브 스크라이브 커맨드 또는 서브 스크라이브 해제 커맨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복수의 프리젠스를 갖는 프리젠티티를 갱신하기 위한 프리젠티티의 수고나, 워처가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를 참조할 때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자의 프리젠스를 갱신하기 위한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스턴트 메시징 시스템 등의 상태 통지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 설명도.
도 2는 프리젠티티 A의 프리젠스의 갱신 의뢰가 사용자 Y로부터 있었음을 도시하는 화면 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관련 부가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도 4의 관련 부가 테이블을 프리젠스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화면 예.
도 6은 관련 부가 테이블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도 6의 관련 부가 테이블을 프리젠스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화면 예.
도 8은 관련 부가 테이블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도 8의 관련 부가 테이블을 등록하기 위한 화면 예.
도 10은 갱신 의뢰에 포함되는 프리젠스를 변환하여 대상자의 프리젠스에 설정하는 설명도.
도 11은 설정 내용 결정부가 프리젠스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화면 예.
도 12는 종별 정보와 갱신자의 대응 부가에 기초하는 프리젠스 갱신의 설명도.
도 13은 종별 정보를 이용한 서브 스크라이브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는 (a)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서브 스크라이버가 생성하기 위한 화면 예, (b) 서브 스크라이버가 프리젠스와 종별 정보를 관련짓기 위한 화면 예, (c) 종별 정보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의 수신 시의 화면 예, (d) 상기 (c)에서 「사용자에게 문의한다」를 선택한 경우의 화면 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16은 종별 정보 부가 전송 의뢰를 수신한 프리젠스 서버(10)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7은 전송 의뢰자로부터의 전송 의뢰의 설정을 접수하는 화면 예.
도 18은 워처 리스트 부가 전송 의뢰에 기초하여 워처 리스트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하는 설명도.
도 19는 공개 조건 부가 전송의 설명도.
도 20은 (a) 워처 리스트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의 수신 시의 화면 예, (b) 전송원에 대하여 워처 리스트 부가 서브 스크라이브(도면 중, 전송 의뢰)를 통지하는 화면 예.
도 21은 전송원의 공개 조건을 전송지에 설정하는 설명도.
도 22는 전송원의 공개 조건의 변경을, 전송지의 공개 조건에 반영시키는 설명도.
도 23은 전송지의 공개 조건의 변경을, 전송원의 공개 조건에 반영시키는 설명도.
도 24는 간접적인 서브 스크라이브의 설명도.
도 25는 (a) 워처 리스트 추가 의뢰 발생 시에 프리젠스 서버의 조작자에게 통지하는 화면 예, (b) 전송원에 통지하는 화면 예.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8은 도 27의 각 카드 리더에 기억되는 종별 리스트의 개념 설명도.
도 29는 도 27의 프리젠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종별 정보를 이용한 갱신 의뢰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0은 종별 정보 리스트 통지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1은 도 27의 프리젠스 시스템이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3은 도 32의 이력 기억부에 기억되는 이력 정보의 개념 설명도.
도 34는 도 32의 카드 리더가 실행하는 커맨드 생성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5는 도 32의 프리젠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종별 정보를 이용한 전송 의뢰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6은 도 32의 프리젠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종별 정보를 이용한 갱신 의뢰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8은 도 37의 프리젠스 서버가 행하는 커맨드 생성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9는 도 37의 프리젠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종별 정보를 이용한 전송 의뢰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0은 도 37의 프리젠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종별 정보를 이용한 갱신 의뢰의 흐름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42는 (a) 도 41의 카테고리 기억부에 기억되는 사용자 카테고리 테이블의 개념 설명도, (b) 도 41의 카테고리 기억부에 기억되는 카테고리 커맨드 테이블의 개념 설명도, (c) 도 41의 카테고리 기억부에 기억되는 이력 테이블의 개념 설명도.
도 43은 도 41의 카드 리더가 실행하는 커맨드 생성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4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46은 (a) 도 45의 프리젠스 기억부에 기억되는 사용자 프리젠스 테이블의 개념 설명도, (b) 도 45의 프리젠스 기억부에 기억되는 프리젠스 커맨드 테이블의 개념 설명도, (c) 도 45의 프리젠스 기억부에 기억되는 이력 테이블의 개념 설명도.
도 47은 도 45의 카드 리더가 실행하는 커맨드 생성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젠스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50은 도 49의 카드 리더가 실행하는 커맨드 생성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리젠스 시스템
10 : 프리젠스 서버
20 : 프리젠스 클라이언트
30 : 종별 정보 관리 서버
40-47 : 카드 리더

Claims (10)

  1.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시스템으로서,
    프리젠스의 소유자 이외의 사용자인 갱신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갱신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프리젠스의 내용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이고, 상기 갱신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종별 취득 수단과,
    상기 갱신 대상자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기억하는 관련 부가 테이블과,
    상기 관련 부가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갱신자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에 관련된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는 프리젠스 특정 수단과,
    상기 특정한 프리젠스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던 프리젠스를 설정하는 프리젠스 설정 수단
    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2.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의 프리젠스 식별자, 종별 정보 및 프리젠스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종별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과,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 식별자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워처 리스트와,
    서브 스크라이버가 구독하고자 하는 프리젠스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 식별자, 서브 스크라이비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는 제1 서브 스크라이브 수신 수단과,
    종별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포함되는 서브 스크라이비의 사용자 식별자 및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고, 해당 프리젠스 식별자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의 식별자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
    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3.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을, 프리젠스 식별자, 종별 정보 및 프리젠스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종별 부가 프리젠스 테이블과,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워처 리스트와,
    서브 스크라이버가 구독하고자 하는 프리젠스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의 사용자 식별자, 서브 스크라이비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수신하는 제1 서브 스크라이브 수신 수단과,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 중,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포함되는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을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가 만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만족하고 있으면 상기 서브 스크라이버를 상기 서브 스크라이비의 워처 리스트에 등록하는 공개 판정 수단
    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4.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프리젠스 식별자 및 종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1 프리젠스 테이블과,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제1 워처 리스트와,
    프리젠스의 전송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에 대응된 종별 정보와를 포함하는 전송 의뢰를 수신하는 제1 전송 의뢰 수신 수단과,
    상기 전송 의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지를 서브 스크라이버로 하고, 상기 전송원을 서브 스크라이비로 하고, 상기 전송 의뢰중의 종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하는 제1 서브 스크라이브 생성 수단과,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원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전송 의뢰중의 종별 정보를 대응시켜 등록하는 제1 워처 등록 수단과,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가 갱신된 경우, 상기 전송지에 대하여, 상기 전송 의뢰에 포함되는 상기 종별 정보와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를 통지하는 종별 정보 부가 통지 수단
    을 포함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프리젠스 식별자 및 상기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2 프리젠스 테이블과,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제2 워처 리스트와,
    프리젠스의 전송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의뢰를 수신하는 제2 전송 의뢰 수신 수단과,
    상기 전송 의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지를 서브 스크라이버로 하고, 상기 전송원을 서브 스크라이비로 하고, 상기 전송지의 워처 리스트를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하는 제2 서브 스크라이브 생성 수단과,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 중 그 공개 조건을 상기 전송지가 만족하는 프리젠스를 상기 프리젠스 테이블로부터 검색하여, 검색한 프리젠스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는 제2 워처 등록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프리젠스 식별자 및 상기 프리젠스의 공개 조건과 대응시켜 기억하는 제3 프리젠스 테이블과,
    각 사용자의 프리젠스마다, 프리젠스를 참조하는 워처를 기억하는 제3 워처 리스트와,
    프리젠스의 전송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의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송 의뢰를 수신하는 제3 전송 의뢰 수신 수단과,
    상기 전송 의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지를 서브 스크라이버로 하고, 상기 전송원을 서브 스크라이비로 하고, 상기 전송지의 공개 조건을 포함하는 서브 스크라이브를 생성하는 제3 서브 스크라이브 생성 수단과,
    상기 서브 스크라이브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원의 프리젠스 중 그 공개 조건을 상기 전송지가 만족하는 프리젠스를 상기 프리젠스 테이블로부터 검색하여, 검색한 프리젠스의 워처 리스트에 상기 전송지의 사용자 식별자를 등록하는 제3 워처 등록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7.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관리 방법으로서,
    프리젠스의 소유자 이외의 사용자인 갱신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갱신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접수하는 접수 단계와,
    프리젠스의 내용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이고, 상기 갱신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종별 취득 단계와,
    상기 갱신 대상자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기억하는 관련 부가 테이블을 기억하는 관련 부가 기억 단계와,
    상기 관련 부가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갱신자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에 관련된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는 프리젠스 특정 단계와,
    상기 특정한 프리젠스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던 프리젠스를 설정하는 프리젠스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프리젠스 방법.
  8.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프리젠스의 소유자 이외의 사용자인 갱신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갱신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접수하는 접수 단계와,
    프리젠스의 내용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이고, 상기 갱신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종별 취득 단계와,
    상기 갱신 대상자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기억하는 관련 부가 테이블을 기억하는 관련 부가 기억 단계와,
    상기 관련 부가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갱신자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에 관련된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는 프리젠스 특정 단계와,
    상기 특정한 프리젠스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던 프리젠스를 설정하는 프리젠스 설정 단계
    를 실행하기 위한 프리젠스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프리젠스의 소유자 이외의 사용자인 갱신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갱신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갱신자가 설정하려고 하고 있는 프리젠스를 포함하는 갱신 의뢰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
    프리젠스의 내용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이고, 상기 갱신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종별 취득 수단,
    상기 갱신 대상자의 각 프리젠스의 식별자와 종별 정보의 관련 부가를 기억하는 관련 부가 테이블,
    상기 관련 부가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갱신자에 대응하는 종별 정보에 관련된 프리젠스 식별자를 특정하는 프리젠스 특정 수단, 및 상기 특정한 프리젠스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갱신 의뢰에 포함되어 있던 프리젠스를 설정하는 프리젠스 설정 수단
    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리젠스 프로그램.
  10. 사용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프리젠스를 관리하는 프리젠스 시스템으로서,
    어떤 프리젠스의 소유자 이외의 사용자인 의뢰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프리젠스를 소유하는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임의의 프리젠스의 종별을 나타내고 상기 갱신자 또는 상기 대상자에 대응된 종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대상자의 프리젠스를 처리하는 커맨드의 종류를 결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이 결정한 커맨드의 종류와, 상기 취득 수단이 취득한 종별 정보와, 상기 의뢰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커맨드를 생성하는 커맨드 생성 수단과,
    상기 커맨드 생성 수단이 생성한 커맨드를 접수하고, 그 커맨드에 따라서 상기 대상자의 프리젠스의 갱신, 서브 스크라이브/ 서브 스크라이브의 해제 또는 전송/ 전송의 해제를 행하는 커맨드 실행 수단
    을 구비하는 프리젠스 시스템.
KR1020040116611A 2004-03-30 2004-12-30 프리젠스 시스템 및 프리젠스 관리 방법 KR100699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98202 2004-03-30
JP2004098202 2004-03-30
JPJP-P-2004-00281470 2004-09-28
JP2004281470A JP4202309B2 (ja) 2004-03-30 2004-09-28 プレゼンスシステム及びプレゼンス管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835A true KR20050096835A (ko) 2005-10-06
KR100699379B1 KR100699379B1 (ko) 2007-03-26

Family

ID=3488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611A KR100699379B1 (ko) 2004-03-30 2004-12-30 프리젠스 시스템 및 프리젠스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677436B2 (ko)
EP (2) EP2541508B1 (ko)
JP (1) JP4202309B2 (ko)
KR (1) KR100699379B1 (ko)
CN (1) CN16774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813B1 (ko) * 2005-11-10 2007-0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레즌스 서비스 가입 절차의 안정 수행을 보장하는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985271B1 (ko) * 2006-03-24 2010-10-0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프리젠스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프리젠스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리젠스 클라이언트
KR101414337B1 (ko) * 2006-03-31 2014-08-0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단일의 요청으로 다수의 프레즌스 발행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단일의 요청으로 다수의 발행 유형들을 구독하기 위한 시스템
KR20150016416A (ko) * 2012-03-09 2015-02-12 인포뱅크 주식회사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5329B1 (en) * 2002-05-13 2008-07-01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Real-time notification of presence availability changes
US7353455B2 (en) 2002-05-21 2008-04-01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Caller initiated distinctive presence alerting and auto-response messaging
US7370278B2 (en) * 2002-08-19 2008-05-06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Redirection of user-initiated distinctive presence alert messages
JP4345368B2 (ja) * 2003-06-17 2009-10-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レゼンス管理装置および情報配信システム
US20060286993A1 (en) * 2005-06-20 2006-12-21 Motorola, Inc. Throttling server communications in a communication network
DE202005014177U1 (de) * 2005-09-08 2005-11-17 Seda S.P.A., Arzano Doppelwandiger Becher
KR100799568B1 (ko) * 2005-12-07 2008-01-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기술을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US7561041B2 (en) * 2006-09-13 2009-07-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onitoring and entry system presence service
US8316117B2 (en) 2006-09-21 2012-11-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ersonal presentity presence subsystem
US20080077685A1 (en) * 2006-09-21 2008-03-2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Dynamically configurable presence service
US7483969B2 (en) * 2006-10-09 2009-01-27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presence based on relationship
US7836088B2 (en) * 2006-10-26 2010-11-16 Microsoft Corporation Relationship-based processing
JP5467866B2 (ja) 2007-05-08 2014-04-0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00185738A1 (en) * 2007-06-21 2010-07-22 Panasoni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server, and presence distribution system
US20090055526A1 (en) * 2007-08-22 2009-02-26 Nec Corporation Information terminal, server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552701B2 (en) * 2008-02-01 2020-02-04 Oath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ource of media content with application to business rules
US8219624B2 (en) * 2008-05-08 2012-07-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initiation contingent on busyness
US20100217614A1 (en) * 2009-02-24 2010-08-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virtual business card
EP2222106A1 (en) * 2009-02-24 2010-08-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 presence user with a presence service
EP2222055A1 (en) * 2009-02-24 2010-08-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tent-based publication-subscription system for presence information
JP4719282B2 (ja) * 2009-02-27 2011-07-06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モニタリングサーバ
KR101593912B1 (ko) * 2009-03-26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젠스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US9436955B2 (en) 2009-06-10 2016-09-06 Square, Inc. Methods for transferring funds using a payment service where financial account information is only entered once with a payment service and need not be re-entered for future transfers
US9258376B2 (en) 2009-08-04 2016-02-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ggregated presence over user federated devices
WO2011062530A1 (en) * 2009-11-23 2011-05-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user related traffic statistics
US9619797B2 (en) 2010-10-13 2017-04-11 Square, Inc. Payment methods with a payment service and tabs selected by a first party and opened by a second party at an geographic location of the first party's mobile device
US9454866B2 (en) 2010-10-13 2016-09-27 Square, Inc. Method of conducting financial transactions where a payer's financial account information is entered only once with a payment system
US20130211862A1 (en) * 2012-02-14 2013-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ggregated advertising
CN103425702A (zh) * 2012-05-24 2013-12-0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获取待调整账户的调整信息的方法、装置与设备
US9222788B2 (en) * 2012-06-27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active delivery of navigation options
JP6355520B2 (ja) * 2013-11-06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サー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9436938B1 (en) 2015-05-13 2016-09-06 Square, Inc. Transaction payment processing by multiple data centers
US10402807B1 (en) 2017-02-28 2019-09-03 Square, Inc. Estimating interchange fees for card paymen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5322A2 (en) 1999-12-14 2001-06-21 Nortel Networks Limited Presence management system using context information
WO2002054745A1 (en) * 2000-12-29 2002-07-11 Nokia Corporation Presence and session handling information
US7246371B2 (en) * 2001-02-05 2007-07-17 Openwav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unavailable devices in a presence and availability management system
ATE416430T1 (de) * 2001-03-14 2008-12-15 Nokia Corp Realisierung des präsenz-managements
DE60203798T2 (de) * 2001-05-11 2006-02-09 Nokia Corp. Mobiler instant-messaging- und präsenzdienst
JP4804663B2 (ja) * 2001-07-16 2011-11-02 富士通株式会社 紹介システム
US7310532B2 (en) * 2001-12-05 2007-12-18 Intel Corporation Method of automatically updating presence information
WO2003060752A1 (en) 2002-01-11 2003-07-24 Sap Aktiengesellschaft Context-aware and real-time item tracking system architecture and scenarios
GB0202370D0 (en) 2002-02-01 2002-03-20 Symbian Ltd Pinging
JP4046534B2 (ja) 2002-03-29 2008-02-13 富士通株式会社 プレゼンス管理方法及びプレゼンス設定方法
US7711810B2 (en) * 2003-01-03 2010-05-04 Nortel Networks Limited Distributed services based on presence technolog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813B1 (ko) * 2005-11-10 2007-0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레즌스 서비스 가입 절차의 안정 수행을 보장하는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985271B1 (ko) * 2006-03-24 2010-10-04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프리젠스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프리젠스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리젠스 클라이언트
US10063550B2 (en) 2006-03-24 2018-08-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presence service, presen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esentity client
KR101414337B1 (ko) * 2006-03-31 2014-08-0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단일의 요청으로 다수의 프레즌스 발행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단일의 요청으로 다수의 발행 유형들을 구독하기 위한 시스템
US9275375B2 (en) 2006-03-31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rich presence collections in a single request
KR20150016416A (ko) * 2012-03-09 2015-02-12 인포뱅크 주식회사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1508B1 (en) 2016-10-05
EP1583044A3 (en) 2008-07-23
JP4202309B2 (ja) 2008-12-24
EP1583044B1 (en) 2015-06-17
US7677436B2 (en) 2010-03-16
KR100699379B1 (ko) 2007-03-26
US7980459B2 (en) 2011-07-19
EP1583044A2 (en) 2005-10-05
US20050218206A1 (en) 2005-10-06
EP2541508A3 (en) 2013-11-27
US20100170943A1 (en) 2010-07-08
EP2541508A2 (en) 2013-01-02
JP2005316941A (ja) 2005-11-10
CN1677421A (zh)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379B1 (ko) 프리젠스 시스템 및 프리젠스 관리 방법
CN100488100C (zh) 关系信息的公开、获取方法及系统
US7401054B1 (en) Content bank for objects
US200300884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automatic status updates using electronic mail
CN102859541A (zh) 在发布/订阅通讯中控制消息传递
JP4777222B2 (ja) 状態管理装置及び状態管理方法
CN101453472A (zh) 关系信息的公开、获取方法及系统
CN102158424A (zh) 利用发布和订阅机制的消息传输系统
US20200005239A1 (en) Data processing system intended to facilitate confronting an offer and a demand
CN101064692B (zh) 一种呈现信息的发布方法、设备及系统
US20200272991A1 (en) Intelligent dynamic container routing
CN104637093B (zh) 信息管理装置、终端以及信息管理系统
KR10040870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화물 운송 알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알선방법
CN106804034B (zh) 一种电子名片系统
CA22542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work flow control in accordance with an input state of data
KR20180003324A (ko) 챗봇을 이용한 콘텐트 제공 방법 및 장치
JP4700090B2 (ja) プレゼンスシステム及びプレゼンス管理方法
US97630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among parties
JP4057925B2 (ja) サービス管理方法及び装置
US2020036464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mote management and tracking of baggage on a transportation carrier computing system
KR20230091317A (ko) 시스템 및 앱 메시징 서비스를 활용한 허브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430969B1 (ko) 금융업무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016230A (ja) 図書転貸支援システム、方法、認証サーバ、書籍データベースサーバ、メールサーバ、書籍データベースプログラム、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メール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230028065A (ko) 소셜네트워크 등을 통해 챗봇을 이용해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또는 그 장치
WO2003007525A2 (en) Integrating electronic storage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