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664A -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664A
KR20050095664A KR1020040020196A KR20040020196A KR20050095664A KR 20050095664 A KR20050095664 A KR 20050095664A KR 1020040020196 A KR1020040020196 A KR 1020040020196A KR 20040020196 A KR20040020196 A KR 20040020196A KR 20050095664 A KR20050095664 A KR 20050095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rying
drum
drying means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607B1 (ko
Inventor
노재숙
Original Assignee
노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숙 filed Critical 노재숙
Priority to KR1020040020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6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5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queezing, otherwise than by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06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in a sinuous or zig-zag path
    • F26B13/08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in a sinuous or zig-zag path usin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에 관한것으로, 익스펜더 롤러로 직물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며 직물원단의 변사말림을 펴주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변사말림을 편 직물원단이 수조부 및 스프레이 작업대를 통과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스프레이 작업대를 통과 후 유연조를 통과 망글 롤러에서 탈수 후 스팀 롤러에서 1차 건조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1차 건조된 직물원단은 넷트 컨베이어 건조수단에 연결되어 동일방향으로 배출되는 하부의 열을 잘 전달하면서 열과 바람에 의한 원단의 2차 건조 및 수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드럼 내부로 인버터 토오크 제어부에 의하여 직물원단의 이송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넷트 컨베이어건조수단에서 2차 건조 후 직물원단의 유연성을 위하여 드럼 내부에 돌출 바를 부착하여, 드럼의 정, 역회전 시에 원단과 돌출 바와의 충돌로 원단의 건조와 유연화를 시키는 제5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Textile goods automatic soft construction method and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방법으로 가공처리된 뻣뻣하고 늘어진 직물원단이 원래의 두께 및 소재특성을 복원하도록 유연건조시키기 위한 방법과 상기 방법을 효과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유연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 스위치로 조작하여 원단은 무장력에 의한 이송으로 원단의 수축율을 최소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정자동화와 생산성향상 및 인력감축을 적극적으로 구현하게 된 것이다.
종래 직조된 직물원단을 필요방법으로 가공처리하여 제품의 가공성과 기능향상을 도모하고 있음은 주지와 같으며, 이때 적용되는 가공처리방법은 유연가공(Softening), 멜로우가공(Mellowing finish)등의 다양한 가공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침지법에 의해 멜로우 가공된 면직물을 유연건조 시키는 종래의 대표적인 유연건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내장된 버너(114)에 의해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발생수단(102)과, 상기 열풍발생수단(102)의 양측에 설치되어 덕트(104)를 통해 열풍을 도입하는 건조틀(106)과, 상기 건조틀(106)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된 건조드럼(108)으로 구성되며, 상기 건조드럼(108)은 내부에 회전되도록 설치된 건조드럼(108)으로 구성되며, 상기 건조드럼(108)은 내부에 다수의 마찰돌출부(110)가 원주상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는 열풍이 출입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밀집 천공 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유연건조장치는 건조틀 전면의 도어(112)를 개방하고 가동대상 직물원단을 건조드럼 내에 투입한 후 열풍발생수단(102)으로부터 열풍을 도입함과 동시에 건조드럼을 저속회전 시킴으로써 직물원단이 마찰돌출부와(110) 주기적으로 마찰하여 유연하게 되면서 열풍에 의해 건조 되도록 한 것으로 1공정 처리속도는 50~60yds/30min 으로 시간당 100~120yds가 가공처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유연건조장치는 연속직조되는 직물원단을 50~60yds길이로 절단해야하므로 손실이 많았고, 최소한 한명 이상의 전문인력이 작업에 투입되어야 하며, 주기적으로 작업이 중단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었다.
작업의 효율성, 경제성 및 인력절감 품질향상 제품의 균일화를 목적으로 개발한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이다. 싱글닛트, 더블닛트, 보아, 면후직물을 위주로 품질의 향상을 위해 최대한 장점을 살려 기존의 기계에서 생산된 제품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제품을 생산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자동 유연건조장치의 전체구성 단면도이다. 수세 및 스팀건조수단(200), 넷트컨베이어건조수단(300), 제1연속회전건조수단(410), 제2연속회전건조수단(420)의 구성을 정단면도로 나타내었다.
상기 수세 및 스팀건조수단(200)은 그 내부에 다수의 직물원단의 양 변사 말린 부분 및 구김을 펴주는 익스펜더 롤러(202)와 유연처리 보조용 수조로서 적정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수조부(204)와 적정온도를 유지시켜 주며, 일부 수분이 제거된 원단에 유연제가 흡수되도록 하는 유연조부(206)와 유연조부를 지난 직물원단에 흡수된 유연제가 적정함량만 함유되도록 유지시키며, 탈수과정 후 건조 실린더로 이동시키는 롤러부(208)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넷트컨베이어건조수단(300)은 상기 수세 및 스팀 건조 수단(200)으로 부터 직물원단을 공급받아 컨베이어 내부에 바람이 골고루 분사시켜주는 팬 및 덕트부(302)와 롤러표면에 돌출바가 부착되어 벨트의 구동이 용이한 구동롤러부(304)가 구성된다.
도3은 자동 유연건조장치의 정면도이며, 도4는 자동 유연건조장치의 연속 회전 건조부의 정·단면도이다. 상기 제1연속회전건조수단(410)은 상기 넷트 컨베이어 건조수단으로 부터 직물원단을 공급받아 드럼내부로 이송되며 에어튜브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버터 토오크 제어부(417)과 드럼의 원활할 회전을 도와주는 상부 롤가이드 어셈블리(411) 및 롤가이드 어셈블리(도면 미도시)와 드럼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 및 중심에서 회전을 유도하는 레일 역할을 하는 롤가이드 어셈블리와 드럼 전체가 타공 되어 있어서 상부의 뜨거운 열을 전달 하기 쉬우며 드럼안의 돌출바는 원단의 건조 및 유연화 역할을 하는 드럼 어셈블리(도면 미도시)와 드럼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이 용이한 기어 및 롤 가이드(도면 미도시)와 이중 보호막 처리되어 상부 라디에이터(416)로부터 배출되는 열의 외부전달을 방지하는 외부 커버(412)와 드럼의 회전을 담당하는 모터인 정·역회전 구동부(413)와 회전하는 드럼의 각도를 조절하여 투입된 직물원단의 적체 정도를 조절하는 드럼 상.하 구동부(414)와 드럼 내부 원단에 나온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배출 하는 팬(4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익스펜더 롤러(202)로 직물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며 직물원단의 변사말림을 펴주는 제1단계와 상지 제1단계에서 변사말림을 편 직물원단이 수조부(204) 및 스프레이 작업대를 통과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스프레이 작업대를 통과 후 유연조부(206)를 통과 망글 롤러에서 탈수 후 스팀 롤러에서 1차 건조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1차 건조된 직물원단은 넷트 컨베이어 건조수단(300)에 연결되어 동일방향으로 팬의 적정힘으로 배출되는 하부의 열을 잘 전달하면서 열과 바람에 의한 원단의 2차 건조 및 수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드럼 내부로 인버터 토오크 제어부(417)에 의하여 직물원단의 이송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넷트 컨베이어건조수단에서 2차 건조 후 직물원단의 유연성을 위하여 드럼 내부에 돌출 바를 부착하여, 드럼의 정, 역회전 시에 원단과 돌출 바와의 충돌로 원단의 건조와 유연화를 시키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4단계의 넷트 컨베이어 건조수단(300)에 연결되어 동일방향으로 배출되는 팬의 적정힘은 7.5HP인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5단계에서 연속 회전 건조수단은 직물원단의 유연성을 위하여 제1연속 회전 건조수단(410)과 제2연속 회전 건조 수단(420)으로 직물원단의 이송 방향과 동일하게 설치되어 직물원단이 1차와 2차에 거쳐 유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발명의 범위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발명의 범주내에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의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속으로 작업할 수 있는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장치의 의하여 전 공정을 데이터에 의하여 작업을 하며 품질을 균일화 할 수 있으며, 공정의 자동화와 원단 손실방지를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원터치 스위치로 조작하여 원단은 무장력에 의한 이송으로 원단의 수축율을 최소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정자동화와 생산성향상 및 인력감축을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유연건조장치의 구성예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유연건조장치의 전체구성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유연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유연건조장치의 연속 회전 건조부의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열풍발생수단 104: 덕트
106: 건조틀 108: 건조드럼
200: 수세 및 스팀 건조수단 300: 넷트 컨베이어 건조수단
410: 제 1 연속 회전 건조수단 420: 제 2 연속 회전 건조수단
417: 인버터 토오크 제어부

Claims (6)

  1. 익스펜더 롤러로 직물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며 직물원단의 변사말림을 펴주는 제1단계;
    상지 제1단계에서 변사말림을 편 직물원단이 수조부 및 스프레이 작업대를 통과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스프레이 작업대를 통과 후 유연조부를 통과 망글 롤러에서 탈수 후 스팀 롤러에서 1차 건조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1차 건조된 직물원단은 넷트 컨베이어 건조수단에 연결되어 동일방향으로 팬의 적정힘으로 배출되는 하부의 열을 잘 전달하면서 열과 바람에 의한 원단의 2차 건조 및 수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드럼 내부로 인버터 토오크 제어부에 의하여 직물원단의 이송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넷트 컨베이어건조수단에서 2차 건조 후 직물원단의 유연성을 위하여 드럼 내부에 돌출 바를 부착하여, 드럼의 정, 역회전 시에 원단과 돌출 바와의 충돌로 원단의 건조와 유연화를 시키는 제5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넷트 컨베이어 건조수단에 연결되어 동일방향으로 배출되는 팬의 적정힘은 5HP ~ 10HP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연속 회전 건조수단은 직물원단의 유연성을 위하여 제1연속 회전 건조수단과 제2연속 회전 건조 수단으로 직물원단의 이송 방향과 동일하게 설치되어 직물원단이 1차와 2차에 거쳐 유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자동 유연 건조방법.
  4. 직물원단의 양 변사 말린 부분 및 구김을 펴주는 익스펜더 롤러와 유연처리 보조용 수조로서 적정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수조부와 적정온도를 유지시켜 주며, 일부 수분이 제거된 원단에 유연제가 흡수되도록 하는 유연조부와 유연조부를 지난 직물원단에 흡수된 유연제가 적정함량만 함유되도록 유지시키며, 탈수과정 후 건조 실린더로 이동시키는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세 및 스팀 건조 수단;
    상기 수세 및 스팀 건조 수단으로 부터 직물원단을 공급받아 컨베이어 내부에 바람이 골고루 분사시켜주는 팬 및 덕트부와 롤러표면에 돌출바가 부착되어 벨트의 구동이 용이한 구동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넷트 컨베이어 건조수단;
    상기 넷트 컨베이어 건조수단으로 부터 직물원단을 공급받아 드럼내부로 이송되며 에어튜브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버터 토오크 제어부과 드럼의 원활할 회전을 도와주는 상부 롤가이드 어셈블리 및 롤가이드 어셈블리와 드럼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 및 중심에서 회전을 유도하는 레일 역할을 하는 롤가이드 어셈블리와 드럼 전체가 타공 되어 있어서 상부의 뜨거운 열을 전달 하기 쉬우며 드럼안의 돌출바는 원단의 건조 및 유연화 역할을 하는 드럼 어셈블리와 드럼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이 용이한 기어 및 롤 가이드와 이중 보호막 처리되어 상부 라디에이터로부터 배출되는 열의 외부전달을 방지하는 외부 커버와 드럼의 회전을 담당하는 모터인 정·역회전 구동부와 회전하는 드럼의 각도를 조절하여 투입된 직물원단의 적체 정도를 조절하는 드럼 상.하 구동부와 드럼 내부 원단에 나온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배출 하는 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속 회전 건조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 및 스팀 건조수단 수조부와 유연조부의 온도는 40~ 50℃를 유지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회전 건조수단은 제 1 연속 회전 건조수단과 제 2 연속 회전 건조 수단으로 각각 설치되어 직물원단을 연속적으로 유연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 장치.
KR1020040020196A 2004-03-25 2004-03-25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625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196A KR100625607B1 (ko) 2004-03-25 2004-03-25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196A KR100625607B1 (ko) 2004-03-25 2004-03-25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664A true KR20050095664A (ko) 2005-09-30
KR100625607B1 KR100625607B1 (ko) 2006-09-20

Family

ID=3727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196A KR100625607B1 (ko) 2004-03-25 2004-03-25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60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46B1 (ko) * 2006-06-27 2007-11-07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원단 건조방법 및 장치
KR100964977B1 (ko) * 2008-05-31 2010-06-21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니트 원단용 수분공급 장치
KR101011461B1 (ko) * 2010-06-28 2011-02-07 구태우 직물 건조기
KR102456709B1 (ko) * 2022-01-28 2022-10-20 한원물산 주식회사 의류용 합지원단 제조방법
CN115814119A (zh) * 2023-01-10 2023-03-21 三苑宜友服饰股份有限公司 一种纳米光子纺织面料服饰的杀菌设备
CN116558255A (zh) * 2023-04-27 2023-08-08 桐乡市凤凰纺织股份有限公司 一种隧道式棉纱干燥杀菌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073B1 (ko) 2013-10-21 2015-05-13 비앤더비 주식회사 의류용 원단의 유연제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8731A (en) * 1976-07-28 1978-05-09 Clupak, Inc. Method of softening nonwoven fabrics
JP2852827B2 (ja) * 1991-10-29 1999-02-03 鐘紡株式会社 縫製品等の柔軟加工装置
KR0119970B1 (ko) * 1995-06-09 1997-10-22 김태구 자동차의 절첩식 리어시트구조
KR100285552B1 (ko) * 1998-11-13 2001-04-02 노재숙 직물원단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_
KR20040012270A (ko) * 2002-08-02 2004-02-11 이재영 섬유원단의 감량가공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46B1 (ko) * 2006-06-27 2007-11-07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원단 건조방법 및 장치
KR100964977B1 (ko) * 2008-05-31 2010-06-21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니트 원단용 수분공급 장치
KR101011461B1 (ko) * 2010-06-28 2011-02-07 구태우 직물 건조기
KR102456709B1 (ko) * 2022-01-28 2022-10-20 한원물산 주식회사 의류용 합지원단 제조방법
WO2023146171A1 (ko) * 2022-01-28 2023-08-03 한원물산 주식회사 의류용 합지원단 제조방법
CN115814119A (zh) * 2023-01-10 2023-03-21 三苑宜友服饰股份有限公司 一种纳米光子纺织面料服饰的杀菌设备
CN115814119B (zh) * 2023-01-10 2023-07-21 三苑宜友服饰股份有限公司 一种纳米光子纺织面料服饰的杀菌设备
CN116558255A (zh) * 2023-04-27 2023-08-08 桐乡市凤凰纺织股份有限公司 一种隧道式棉纱干燥杀菌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607B1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673B1 (ko) 스판원단 주름방지 장치
DE10065336A1 (de) Waschmaschine mit Glätt- und/oder Bügelfunktion
CN1818190A (zh) 用于在洗衣机中消除衣物褶皱的方法
CN210287830U (zh) 一种纺织布料印花压平装置
KR100625607B1 (ko)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DE10065335A1 (de) Waschmaschine mit Fördervorrichtung
CN115637541A (zh) 再生涤纶机织面料的染整工艺及其设备
US2325545A (en) Apparatus for preshrinking fabrics
DE10065334A1 (de) Waschmaschine mit Trockner
JPH0134080B2 (ko)
EP0950748B1 (en) Compaction device for fabrics
KR101046217B1 (ko) 신축성 직물 텐터 공정용 변부 말림 방지 장치 및 방법
CN208432016U (zh) 织物松式烘干机
CN111020933A (zh) 一种拉幅烘干机
US3149004A (en) Apparatus for treating textile materials
EP0217088B1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conditioning textile materials
KR100285552B1 (ko) 직물원단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_
US35450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eather
US3487566A (en) Ironing machine for clothes,textile fabrics or the like
ITUD970116A1 (it) Procedimento di smerigliatura in bagnato per materiale tessile e relativo dispositivo
US6473998B1 (en) Process for pre-drying textile filaments after wet treatment and device for practicing this method
KR940004383B1 (ko)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과 그 장치
US3914834A (en) Process for conditioning textiles in the presence of impacting and vibrating
US3044142A (en) Process for providing a finished knitted fabric with predetermined dimensions in the direction of its length and its width
JPH09296365A (ja) ニット生地のアンモニア処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