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383B1 -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383B1
KR940004383B1 KR1019910020846A KR910020846A KR940004383B1 KR 940004383 B1 KR940004383 B1 KR 940004383B1 KR 1019910020846 A KR1019910020846 A KR 1019910020846A KR 910020846 A KR910020846 A KR 910020846A KR 940004383 B1 KR940004383 B1 KR 94000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abric
chamber
high temperature
ai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277A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김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영 filed Critical 김재영
Priority to KR101991002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4383B1/ko
Priority to JP4308930A priority patent/JPH05195412A/ja
Publication of KR93001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5/00Forcing liquids, gases or vapours through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과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부발췌 확대단면도.
제4도는 내지 제5도는 제3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쳄버몸체 2 : 열처리실
3 : 고온습윤처리실 4 : 원단체류판
5 : 순환휀 6 : 덕트
7 : 열교환기 8 : 노즐쳄버
10 : 풍량유도쳄버
본 발명은 습윤상태의 공기를 발생시켜 고온으로 유지하여 노즐을 통하여 섬유원단에 접촉등의 충격을 가하여 섬유원단의 재직 상태의 변화를 주어 고품질의 섬유원단으로 재처리 하기위한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직기에서 재직된 섬유원단(생지)은 검사과정을 거친후 앤드레스작업과 원단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봉침작업을 거쳐서 섬유원단 자체에 가해져 있는 각종 기름, 호액, 때 등을 제거시킴과 동시에 축 소등을 행하고자 섬유원단의 재직 상태의 변화를 주기 위하여 정련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련작업은 행한후 탈수작업과 봉침의 해포작업 및 결반작업을 행한후 프리셋트(PRESET)공정을 순차적으로 행하여 섬유원단을 처리하여 왔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에 있어, 종래에는 로터리와셔(ROTARY WASHER)를 이용한 정련작업은 고압하(高壓下)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섬유원단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온도의 선택을 130℃까지 고열을 유지하여 섬유원단의 처리가 가능했다.
그러나 이러한 로터리와셔(ROTARY WASHER)에 의한 작업은 상기한 작업공정에 있어 반드시 앤드레스공정과 봉침공정이 수행 되었기 때문에 해포공정 또한 수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의 연속성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작업능률, 에너지손실 및 많은 인력이 필요하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없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쳄버(열처리실)내부에 고온이 상태(100℃)를 유지하고 그 내부에 가공섬유를 안내 로울러 등에 걸치면서 통과시켜 원단의 수축 또는 약품과의 반응을 행하는 방법(일번 특개소 54-16592호), 장치(일본 실개소 50-125587호)가 개시된바 있으나, 이는 작업의 연속성 즉 상기한 공정에 있어 앤드레스공정 및 봉침공정을 제거하여 생산능률을 향상시킨것에는 장점이 있으나 단지 쳄버내부에 고온다습한 공기를 강제순환시킴에 의한 섬유원단의 수축, 또는 약품과의 반응등을 행하는 방식이어서 순환되는 섬유원단의 재직상태에 직접적으로 충분한 변화를 주지 못하여 짧은 시간에 고품질의 섬유원단으로 재처리 하기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밀폐된 쳄버내에 습윤상태의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이를 강제로 고온화한 고온습윤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노즐쳄버의 노즐공을 통하여 배출시켜서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섬유에 상기한 고온습윤 공기로 강한 충격을 가하여 짧은시간에 섬유원단의 재직상태에 변화를 주어서 고품질의 섬유원단으로 재처리하기 위한 섬유원단의 정련 및 축소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장치를 첨부한 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있어 장치는 대별하여 밀폐된 쳄버몸체(1)내에 서로 격리된 예비열처리실(2)과 고온습윤처리실(3)로 구성되어서, 상기 예비열처리실(2)에는 원단체류판(4)을 장착하고, 상기 고온습윤처리실(3)에는 하부에 가습장치(5)를 구비하여 그 상부에 순환휀(6)과 관통연결된 덕트(7)에 열교환기(8)를 착설하되 그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ℓ)을 두고 병렬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노즐쳄버(9)가 상기 순환휀(6)을 내장한 상태로 밀폐된 풍량유도쳄버(10)에 밀폐장착되고 상기 풍량유도쳄버(10)의 중앙에는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11)가 착설되어진다.
한편 상기 다수의 노즐쳄버(9)를 이루는 간격(ℓ)에는 로울러(12)(12')에 각각 장치되어 회전하는 이송컨베이어(13)가 다수의 공기유통공(13')을 형성한 상태로 착설되어지되 상기 이송컨베이어(13)가 지나는 노즐쳄버(9)에는 노즐기능을 하는 다수의 노즐공(9')이 형성되어서 본 발명의 장치를 이룬다.
미설명부호 19는 공급로 로울러이고 20은 가이드 로울러이며 M은 상기 순환용휀(6)을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재직기에서 재직된 섬유원단(T)을 검사한 후 예비열처리실(2)에 공급하여 주게된다.
이때 예비열처리실(2)에 장착된 원단체류판(4)에는 섬유원단(T)을 중첩되게 공급하여 원단체류판(4)상에서 예비열처리하여 고온에서 일부자연수축을 행함과 동시에 고온습윤처리실(3)에 섬유원단(T)을 공급하기 위한 준비공정을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섬유원단(T)은 상부일측의 공급로울러(19)에 의해서 안내 공급되면서 이송컨베이어(13)의 일측상부에 얹혀지게 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13)의 로울러(12)(12')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송컨베이어(13)상부면을 따라 이동 하면서 하부의 가이드 로울러(20)의 안내를 받아 배출 되도록 되어있다.
이때 상기 가습장치(5)에서 생성된 습윤의 공기가 모터(M)의 구동에 의해 구동된 순환휀(6)에 의하여 열교환기(8)를 통과하면서 고온의 온도를 동반하여 빠른 풍속을 유지하는 상태로 풍량유도쳄버(10)에 인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풍량유도쳄버(10)에 인입된 고온습윤의 공기는 다시 그 필요에 따라 댐퍼(11)를 작동시켜 그 풍향을 조절하여 이에 고정된 각 노즐쳄버(9)에 공급되어 상기 노즐쳄버(9)에서 노즐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노즐공(9')을 거쳐 섬유원단(T)에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섬유재직에 강한 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섬유원단(T)에 접촉등의 충격을 가하는 공기는 가습장치(5)에 의한 습윤상태의 공기가 열교환기(8)을 통과하여 가열된 고온습윤의 공기의 분사에 의한 강한 충격을 받게 된다.
이러한 고온습윤공기는 각 노즐공(9')에서 이송컨베이어(13)의 공기유통공(13')을 통하거나 또는 섬유원단(T)의 상부에 위치하는 노즐쳄버(9)의 노즐공(9')을 통하여 직접 접촉되어 그 충격을 의하여 정련 및 축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섬유원단(T)에 접촉등에 의한 강한 충격을 주는 고온습윤의 공기는 밀폐된 공간 즉 고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습윤처리실(3)내에서 습윤공기 자체를 생성하여 가DUF하여 주게 되므로서 습윤공기의 잠열유지에 의하여 섬유원단(T)의 종류에 따라 필요로하는 고온을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습윤공기의 조절에 의하여 섬유원단(T)에 접촉등을 하는 습윤공기의 온도를 변화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한 것에 의하면 최소한 130℃이상의 온도까지 상승된 고온습윤공기를 섬유원단(T)에 접촉등의 강한 충격을 가할 수 있어 섬유원단(T)의 충분한 축소 효과를 위한 섬유원단(T)의 재직 상태변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섬유원단(T)의 종류에 따라 고온습윤공기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즉, 습윤공기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가습장치(5)에서 생성되는 습윤상태를 즉 공기중에 포함되는 습기의 밀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얼마든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습윤열처리실(3)내에서 습윤상태를 유지 하기 위한 습윤공기 발생을 유도하는 가습장치(5)가 첨부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내장시켜 히팅파이프(41)를 통하여 공급되는 스팀을 노즐(40)을 통하여 분출시킬 때 수조(43)상의 물(42)을 함께 증발함으로서 습윤상태를 습윤처리실(3)내에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습윤처리실(3)내를 습윤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나 또다른 방법 예컨데 히팅용 파이프상동에서 직접 습윤상태의 공기를 유지시켜도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 습윤상태의 공기를 생성시켜 이를 가열함으로서 고온습윤공기를 섬유원단(T)에 접촉등의 강한 충격을 가하여 주는 일련의 장치는 얼마든지 그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결국 다른 수단에 의하여 고온습윤공기를 이용한 섬유원단의 정련 및 축소는 결국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수단에 해당되는 것이라 하겠다.
이와 같이 고온습윤의 공기에 의하여 섬유원단(T)에 접촉되어 강한 충격을 가한 고온습윤의 공기는 다시 열교환기(8)를 새로 생성된 습윤공기와 함께 거치면서 재가열되어 결국 고온습윤상태의 공기가 계속하여 순환하면서 섬유원단(T)의 계속되는 공급이동에 따라서 접촉등의 충격을 가하여 주게 된다.
이와 같이 고온습윤공기에 의한 섬유원단(T)는 그에 따른 충분히 가열된 고온에 의하여 충분히 축소가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된 쳄버내에 습윤상태의 수증기 즉 습윤공기를 발생시켜 이를 강제로 고온화한 고온습윤공기를 순환시켜 노즐쳄버의 노즐공을 통하여 배출시켜서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섬유원단에 접촉등에 의한 강한 충격을 가하는 방법에 의하여 섬유원단의 정련 및 축소를 시켜 주므로서 종래의 단점을 일소에 제거하여 주는 효과가 있게 되고, 이러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므로서 그 효과가 더욱더 구체적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보았다.
한편, 첨부한 도면 제4도 내지 제6도에서와 같이 노즐쳄버(9)에 형성된 각 노즐공(9')을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시킬수 있으나 필요 따라 섬유원단(T)에 고온습윤공기가 일정한 기울기를 두고 접촉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노즐공(9')을 통하여 분출되는 고온습윤공기가 섬유원단(T)에 접촉될때 섬유원단(T)의 일부분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섬유원단(T)자체가 노즐쳄버(9)의 저면, 또는 상부면에 부딪칠 때 구득되는 충격효과를 위하여 편평한 상태의 노즐쳄버(9)면에 의해서도 구득이 되나 필요에 따라 요철부(50)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습윤공기를 이용함으로서 섬유원단의 그 필요로 하는 온도에까지 섬유원단의 종류에 따라 그 온도의 조절을 할 수 있되 종래에 취한 공정을 거치지 아니 하고도 극히 고온의 상태로 섬유원단을 처리 함으로서 정련 및 축소효과를 극대화 하고 또한 연속공정이 가능하여 시간별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사용되는 용수역시 극히 소량이어서 폐수처리에 필요한 비용등을 절감시킬 수 있어 결국 제품의 생산원가 및 적은 인력으로서도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밀폐된 쳄버내서 이송되는 섬유원단에 고온화한 고온습윤공기를 순환시켜서 섬유원단을 정련 및 수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송되는 섬유원단의 상,하방으로 근접하여 다수의 노즐쳄버를 형성하고 이 노즐쳄버가 갖는 노즐공을 통하여 상기 고온습윤공기를 섬유원단의 상,하방에서 직접배출 시킴에의한 강한 접촉 충격을 가하여서 섬유원단을 정련 및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
  2. 밀폐된 쳄버몸체(1)내에 격리된 예열처리실(2)과 고온습윤처리실(3)을 형성하고 이송컨베이어(13)에 의해서 이송되는 섬유원단(T)에 순환휀(6)에 의한 고온습윤공기를 풍량유도쳄버(10)을 통하여 순환공급시켜 섬유원단을 정련 및 수축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온습윤처리실(3)에는 하부로 가습장치(5)을 구비하고 그 상부에 상기 순환휀(6)이 내장설치되는 상기 풍량유도쳄버(10)에 덕트(7)가 열교환기(8)을 착설하여 관통연결 되어지되, 상기 풍량유도쳄버(10)의 상부에는 일정간격(ℓ)을 두고 병렬로 이루는 다수의 노즐쳄버(9)가 다수의 노즐공(9')을 형성하여 연결장착되고, 상기 다수의 노즐쳄버(9)가 갖는 일정간격(ℓ)에는 로울러(12)(12')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3)가 다수의 공기 유동공(13)을 형성하고 착설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장치.
KR1019910020846A 1991-11-21 1991-11-21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과 그 장치 KR94000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846A KR940004383B1 (ko) 1991-11-21 1991-11-21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과 그 장치
JP4308930A JPH05195412A (ja) 1991-11-21 1992-11-18 繊維原反の精練及び収縮方法とそ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846A KR940004383B1 (ko) 1991-11-21 1991-11-21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77A KR930010277A (ko) 1993-06-22
KR940004383B1 true KR940004383B1 (ko) 1994-05-23

Family

ID=1932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846A KR940004383B1 (ko) 1991-11-21 1991-11-21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95412A (ko)
KR (1) KR9400043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74B1 (ko) * 2008-03-26 2009-03-17 유지현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의 수축가공장치
KR101325168B1 (ko) * 2012-07-27 2013-11-07 주식회사 이주 마이크로나노버블을 이용한 정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321B1 (ko) * 2020-12-01 2021-03-3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선택적 건조 기능을 갖는 원단 수축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4679A (ko) * 1973-08-01 1975-04-03
JPS54142383A (en) * 1978-04-26 1979-11-06 Wakayama Iron Works Liquid treating apparatus for fabric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74B1 (ko) * 2008-03-26 2009-03-17 유지현 고수축성원사를 갖는 원단의 수축가공장치
KR101325168B1 (ko) * 2012-07-27 2013-11-07 주식회사 이주 마이크로나노버블을 이용한 정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277A (ko) 1993-06-22
JPH05195412A (ja) 199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73312A (en)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KR960011683B1 (ko) 가죽 또는 직물의 연속적인 건조 및 습도 조절처리를 위한 개량된 건조장치
US3804590A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treatment of thick, voluminous textile materials
JPH04272266A (ja) 帯状繊維製品を連続的に加湿する方法及び装置
US3597851A (en) Rotating apparatus fan subjecting textile materials to a shrinkage-reducing treatment
KR101580673B1 (ko) 스판원단 주름방지 장치
US3906596A (en) Combined sieve drum and tentering apparatus
US2083141A (en) Apparatus for conditioning sheet material
US3235931A (en) Apparatus for the heat setting of cloth layers
US3967473A (en) Equipment for selective steam treatment of continuous fabric pieces
KR940004383B1 (ko)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과 그 장치
GB21584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ry treatment of fabric
US1387072A (en) Apparatus for treating textiles and other materials
US4005500A (en) Finishing of textiles
US3766662A (en)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US3979930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reating textile materials
CN114576962A (zh) 具有选择性干燥功能的布料收缩干燥机
KR101021856B1 (ko) 직물 수축가공장치
US405279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finishing of webs of textiles, artificial leather and the like
KR100625607B1 (ko)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US28312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ontinuous lengths of textile fabric
US3469423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aterials
US25187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curing felts
EP1055764B1 (en) Method and device for finishing knitted or woven fabrics
US35450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eat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