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4689A -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 - Google Patents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4689A
KR20050094689A KR1020040020121A KR20040020121A KR20050094689A KR 20050094689 A KR20050094689 A KR 20050094689A KR 1020040020121 A KR1020040020121 A KR 1020040020121A KR 20040020121 A KR20040020121 A KR 20040020121A KR 20050094689 A KR20050094689 A KR 20050094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injection
cap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848B1 (ko
Inventor
박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네이처
Priority to KR1020040020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8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9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Abstract

본 발명은 2차에 걸친 물 분사작용과 3차에 걸친 충돌작용을 이용하여 음이온 및 습기의 발생효율을 향상시키고, 2차 충돌시에는 분사되는 물을 구체에 충돌시킴으로써 비교적 큰 물방울 입자가 비산되어 배출될 습기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충돌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순환수유입관으로부터 돌출되어 구성되며, 분사노즐을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노즐수용리브; 순환수유입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회전분사하는 분사노즐; 분사노즐에 체결되어 누수되지 않으면서 분사공을 덮어 씌우도록 구성되는 분사캡; 및 상면이 중앙부로 일정하게 경사져 돌출되는 원형의 판으로 구성되며, 돌출된 상면 중앙에는 분사캡 분사공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충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말단에 구형의 충돌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충돌봉이 분사캡 분사공 방향 수직으로 돌출되어 판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외측에는 분사노즐의 일측에 연결하여 판을 분사캡 분사공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지지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충돌판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 {Nozzle Assembly for Air Cleaner Having Anion-generation/Humidity-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수분사 및 충돌 원리를 이용하여 음이온 및 습기를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노즐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수분사 및 충돌시 발생하는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하고, 더 미세하고 균일한 습기를 생성시킬 수 있으며, 음이온 발생 효율 및 집진효율도 향상시킨,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숨쉬고 있는 공기는 건강과는 뗄 수 없는 관계로서 직`간접적인 많은 영향을 주게 되는데, 특히,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 의해 심하게 오염되어 있는 현대 도심의 공기는 호흡기 질환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도심의 오염 공기는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오존을 비롯한 각종 산화제, 미세먼지 등 다양한 오염물질들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오염물질들의 위해성이 널리 인식되면서 근래 필수적인 가전제품으로서 각광받기 시작한 것이 바로 공기청정기이다.
한편, 보통 신선한 공기라 할 수 있는 깊은 산속이나 시골의 공기중에는 일반적으로 양이온 4에 음이온 5의 비율로 이온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렇게 맑은 공기 속에 함유되어 있는 이온, 그중에서도 음이온은 혈액 정화작용, 세포 활성화작용, 저항력 증가작용, 통증 완화작용, 자율신경계 조절작용, 정신 안정작용, 폐기능 강화작용, 진통작용, 알레르기 체질의 개선작용 등 인체에 유용한 여러 가지 효능들을 가지고 있어 공기 비타민이라고도 불리우고 있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그 생활 공간속에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대기오염물질 등 각종 공해물질 및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양이온의 영향으로 균형잡힌 양이온/음이온 비를 가지는 공기 속에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의미에서 음이온 발생기능은 미세먼지나 세균을 제거하는 공기청정 기능만큼이나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공기청정기와 함께 근래 필수 가전제품으로서 각광받기 시작한 것이 바로 음이온발생장치이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이 실생활에서 공기청정기와 음이온발생장치의 비중이 점점 더 커져가고 있는 조류에 부응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6081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수가 유입되는 순환수유입관(110), 순환수를 회전분사하는 회전분사노즐(130), 분사된 순환수를 충돌시키기 위한 충돌판(140), 음이온 발생량을 증가시키는 자석(150),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구(160), 및 공기의 유출구(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습기발생실(100)과; 음이온/습기 함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0), 및 음이온/습기 함유 공기를 공기청정기 외부의 실내로 토출시키는 음이온/습기토출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습식집진실(200)과; 음이온/습기발생실(100)에서 생성된 음이온/습기 함유 공기를 습식집진실(200)로 전달하는 연결통로(300)와; 송풍팬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를 송풍구(160)로 안내하는 송풍덕트(400)와; 순환수를 저장하는 순환수저장조(500)와; 송풍팬(F), 순환펌프(P) 및 배수탱크(D)를 내장하는 기기실(600)과; 제어판(C)과 흡입구(710)가 구비되는 케이스(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에 대하여 출원한 바 있다.
사실, 공기청정장치는 필터를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음이온발생장치의 경우는 전극의 전기분해, 초음파, 광촉매, 자외선 등에 의한 음이온 발생효과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본 출원인에 의한 상기 2건의 특허 및 실용신안등록 출원들은 이러한 방식과 달리 공기정화 및 음이온 발생에 모두 물을 이용한 것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이 이렇게 음이온발생 및 공기정화에 물을 이용하고자 한 것은, 필터 방식 공기정화기의 경우 먼지에 의해 필터가 막힘으로써 2차오염의 우려가 있고 잦은 고장을 일으키며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전기분해, 초음파, 광촉매, 자외선 등을 이용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식의 경우, 오존 등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유해산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거나, 장치의 구성 및 유지, 관리에 큰 비용이 들거나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며, 물을 이용할 경우 이러한 단점 없이 음이온 발생 기능과 공기정화 기능에 습도조절 기능까지 한꺼번에 획득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편, 이렇게 물을 이용하여 음이온발생, 공기정화 및 습도조절 기능을 획득하는 구조의 경우, 물을 분사하고 충돌시킴으로써 공기중으로 비산시켜 습기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노즐(130) 및 충돌판(140)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 지는데, 이는 물이 분사되는 속도 및 형태, 충돌판에 충돌하는 충돌 압력 등이 변화함에 따라 생성되는 음이온 및 습기의 양과 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물을 분사, 충돌시켜 음이온 및 습기를 발생시키고 공기를 습식집진 하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음이온/습기 발생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노즐 및 노즐과 부합하는 충돌판으로 구성되는 노즐구조체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요구에 부합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36799호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형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며 중앙에 1개 이상의 분사공(11')이 구성되는 분사노즐(10')과;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며 내부에 캡(30')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캡수용공간(21')을 형성하는 캡수용리브(20')와; 캡수용공간(21')에 끼워지는 측이 개구되고 그 반대측 저면이 밀폐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밀폐된 저면의 중앙에는 분사공(31')이 구성되는 캡(30')과; 일정 두께의 원형 평판으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노즐에 대향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말단 중앙에 고정돌기(50')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공(42')이 함입되어 형성된 1개 이상의 지지대(41')가 구성되는 충돌판(40'); 및 지지대(41') 고정공(42')에 삽입되어 충돌판(4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캡수용리브(20')의 측면에 1개 이상 구성되는 고정돌기(50')로 구성되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에 대해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2003-36799호에 개시된 노즐구조로도 물을 이용하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의 가장 큰 단점이라고 할 수 있는 소음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었을 뿐만 아니라, 강력한 충돌후 비산하는 비교적 크기가 큰 물방울이 습도조절용 습기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물을 이용하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의 가장 큰 기술적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소음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충돌후 발생하는 비교적 입자 크기가 큰 비산 물방울의 발생량을 크게 저감시킴으로써 배출되는 습기를 미세하고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노즐구조에 비해 음이온 발생량 및 효율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물을 이용하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순환수유입관로부터 돌출되어 구성되며, 내부에 분사노즐의 체결구를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수용공간과 체결수단이 구성되는 노즐수용리브; 순환수유입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회전분사하는 것으로서, 회전된 물이 분사되는 분사공, 분사캡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 및 노즐수용리브에 수용 및 체결되는 체결구가 구성되는 분사노즐; 분사노즐에 체결되어 누수되지 않으면서 분사공을 덮어 씌우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분사노즐에 체결되는 측이 개구되고 그 반대측 저면이 밀폐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밀폐된 저면의 중앙에는 분사공이 구성되는 분사캡; 및 상면이 중앙부로 일정하게 경사져 돌출되는 원형의 판으로 구성되며, 돌출된 상면 중앙에는 분사캡 분사공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충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말단에 구형의 충돌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충돌봉이 분사캡 분사공 방향 수직으로 돌출되어 판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외측에는 분사노즐의 일측에 연결하여 판을 분사캡 분사공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지지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충돌판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수분사 및 충돌시 발생하는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하고, 더 미세하고 균일한 습기를 생성시킬 수 있으며, 음이온 발생 효율도 향상시킨,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2차에 걸친 물 분사작용과 3차에 걸친 충돌작용을 이용하여 음이온 및 습기의 발생효율을 향상시키고, 2차 충돌시에는 분사되는 물을 구체에 충돌시킴으로써 비교적 큰 물방울 입자가 비산되어 배출될 습기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충돌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노즐 입구에 소정의 캡을 구비하여 1차적인 물의 충돌/혼화 작용이 일어나도록 구성함으로써 음이온 발생 효율을 증가시키고, 캡의 분사공을 통하여 다시 분사되는 물을 충돌봉 선단의 구체에 2차적으로 충돌시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물방울 입자가 크게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구체에 충돌후 비산되는 물을 다시 3차로 충돌판에 충돌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노즐구조체는 물을 분사하여 충돌시킴으로써 음이온과 습도조절용 습기를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에서 수분사 및 충돌을 위하여 순환수유입관에 구비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을 이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 노즐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노즐구조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노즐구조체에서 분사된 물이 비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노즐캡 및 충돌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노즐구조체가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에서 실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는, 순환수유입관(P)으로부터 돌출되어 구성되며, 내부에 분사노즐(20)의 체결구(21)를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수용공간(11)과 체결수단(미도시)이 구성되는 노즐수용리브(10)와; 순환수유입관(P)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회전분사하는 것으로서, 회전된 물이 분사되는 분사공(미도시), 분사캡(3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미도시) 및 노즐수용리브(10)에 수용 및 체결되는 체결구(21)가 구성되는 분사노즐(20)과; 분사노즐(20)에 체결되는 측이 개구되고 그 반대측 저면이 밀폐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밀폐된 저면의 중앙에는 분사공(미도시)이 구성되는 분사캡(30)과; 상면이 중앙부로 일정하게 경사져 돌출되는 원형의 판(41)으로 구성되며, 돌출된 상면 중앙에는 분사캡(30) 분사공(미도시)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충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말단에 구형의 충돌구(43)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충돌봉(42)이 분사캡(30) 분사공(미도시) 방향 수직으로 돌출되어 판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외측에는 분사노즐(20)의 일측에 연결하여 판(41)을 분사캡(30) 분사공(미도시)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지지대(44)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충돌판(4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즐수용리브(10)는 순환수유입관(P)으로부터 돌출되어 구성되며, 내부에 분사노즐(20) 체결구(21)를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수용공간(11)과 체결수단(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분사노즐(20)을 순환수유입관(P)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구비되는 체결수단은 순환수의 누수가 없도록 분사노즐을 단단하게 밀폐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예를 들어 패킹이 구비된 나사형 등으로,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분사노즐(20)은 순환수유입관(P)의 외벽에 직각 방향으로 체결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순환수유입관(P)으로부터 순환수가 유입되는 유입공(미도시)이 분사공과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90°각도를 이루고 있어서 그 내부를 통과하는 물을 회전/혼화시킨 후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분사캡(30)은 분사노즐(20)에 체결되어 누수되지 않으면서 분사공을 덮어 씌우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분사노즐(30)에 체결되는 측이 개구되고 그 반대측 저면이 밀폐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밀폐된 저면의 중앙에는 분사공(미도시)이 구성됨으로써, 분사노즐(10)에 의해 분사된 물을 1차로 충돌 및 혼화시킨 후 저면에 구성된 분사공을 통해 다시 2차로 분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분사캡(30) 분사공으로부터 분사된 물을 충돌시켜 음이온을 배출하면서 수증기 형태의 미세한 습기가 비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기 충돌판(40)의 판(41)은, 노즐의 분무수압을 견딜 수 있는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며, 분사캡(30) 분사공에서 분사되는 물이 충돌구(43)에 충돌한 후 형성하는 분무 콘(Cone)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거리, 바람직하게는 분사캡(30) 분사공으로부터 30cm 이내의 거리에 구성된다.
충돌판(40)의 판(41) 상면 중앙에 분사캡(30) 분사공 방향 수직으로 돌출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충돌봉(42)의 분사공측 말단에는 소정 직경의 충돌구(43)가 구성되는데, 이는 분사공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판(41)에 충돌시키기 전에 먼저 충돌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이렇게 충돌봉(42) 충돌구(43)에 충돌된 순환수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의 흐름을 회절시키는 구체의 특성상 고깔모양의 수막을 형성하면서 다시 판(41)에 충돌하게 된다.
여기서 순환수에 충돌에 의해 생성되는 고깔 모양 수막의 하부 직경은 판(41)의 직경을 벗어나지 않아야 하는데, 분사캡(30) 분사공 직경이 통상 사용되는 분사노즐 직경의 범위인 1-15mm 라고 할 때, 직경 10-100mm 범위의 판(41)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크기의 고깔 모양 수막을 형성하기 위한 적절한 충돌구(43)의 직경은 1-20mm 이며, 충돌구(43)와 상기 분사캡(30) 분사공과의 적절한 간격은 0.50-1.50mm, 바람직하게는 0.65-1.00mm이다.
한편, 본 발명 노즐구조체에서 충돌판(40)에 사용되는 판(41)의 상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부로 일정하게 경사져 돌출되는데, 이와 같은 판 상면의 경사 구조는 분사되어 구체에 충돌한 후 부채꼴 모양의 미세물방울 수막을 형성한 순환수 가 평평한 판에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충돌할 때 다량의 공기방울이 형성되고 이것이 파쇄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소음을 방지하는 동시에, 비교적 큰 물방울 입자가 비산되어 습도조절용 습기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돌하는 물과 판 사이의 각도를 줄여줌으로써 충돌한 순환수의 대부분이 판(41) 상면을 따라 균일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노즐구조체에서 충돌판(40) 판(41)의 상면에 구성되는 경사면의 수평 단면은 변의 수가 3 이상인 정다각형을 이루며 이렇게 수평 단면이 변의 수 3 이상의 정다각형을 이루는 경우 판(41)의 상면은 3개 이상의 편평한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 역시 상기 경사구조에 의해 충돌후 충돌판을 따라 흘러내린 물이 부채꼴 모양의 호선 부분, 즉, 판(41)의 말단부에서 갈라져 비산되면서 서로 부딪쳐 소음을 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평으로 많은 초미세물방울을 비산시킴으로써 집진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충돌판(40)에서 판(41)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판(41)을 분사캡(30) 분사공(31)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분사노즐(20)에 고정해주기 위한 상기 지지대(44)는, 그 분사캡(30)측 말단에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분사노즐(20)에 체결됨으로써 연결되거나 말단부를 분사노즐(20)에 접착하여 고정하거나 하는 등의 방법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처음부터 분사노즐(20)과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결국 분사노즐(20)과 충돌판(40)을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는 분사노즐(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51), 노즐캡(50)을 순환수유입관에 밀착시켜 지지해주기 위한 지지부(52), 순환수유입관(P)에 형성된 리브(미도시)를 수용하여 노즐캡(50) 및 노즐캡(50)에 수용된 분사노즐(2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릿(53) 및 노즐캡(50)을 순환수유입관에 고정하여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54)으로 이루어지는 노즐캡(50)이 상기 충돌판(40) 지지대(44)와 일체형으로 더 구성된다.
이와 같이 노즐캡(50)을 더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은 분사노즐(20)이 순환수유입관(P)에 체결되어 구성된 후 실제 장시간 사용시 수압 등에 의해 유동함으로써 위치가 변형되거나 누수되는 것을 방지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는, 노즐캡(50)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 때, 먼저 순환수유입관(P) 외벽상의 노즐수용리브(10)에 분사노즐(20)의 체결구(21)를 수용하여 체결한 후, 분사노즐(20)의 분사캡(30) 체결수단에 분사캡(30)을 체결하여 분사를 위한 노즐구조를 완성한 다음, 여기에 다시 순환수유입관(P)에 형성된 리브(미도시)가 슬릿(53)에 수용될 수 있도록 노즐캡(50)을 씌워 체결함으로써 결합이 완료되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에 사용될 때에는 순환수유입관(P)에 다수개 구비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순환수유입관(P)로부터 분사노즐(20)로 유입된 순환수가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캡(30)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렇게 분사된 물은 그 분사압력에 의해 분사캡(30) 저면에 충돌하게 되며, 충돌된 물은 와류를 형성하면서 격렬하게 혼화된다.
이 과정에서 순환수는 2회 이상의 음이온 생성과정을 겪게 되는데, 우선 분사노즐(20)에 의한 물 분사시 노즐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내부에너지가 증가된 물이 90°각도로 분사되어 분사캡(30) 저면에 충돌함으로써 그 충돌에너지에 의해 1차로 음이온이 생성되며, 다음에 충돌 후 분사캡(30)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내부에너지 증가로 인해 2차적으로 음이온이 생성된다.
다음에, 이렇게 분사캡(30) 내부에서 충돌, 혼화된 물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사캡(30)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됨으로써 충돌구(43)에 충돌한 후 고깔모양의 미세물방울 수막을 형성하면서 판(41) 방향으로 비산됨으로써 다시 판(41)에 충돌하게 되는데, 이 때 순환수는 그 충돌과정에 의해 다시 한번 음이온 생성과정을 겪게 되며, 충돌구(43)에 충돌후 고깔 모양으로 비산되는 순간 및 판(41)에 충돌한 후 말단부에서 갈라져 수평으로 비산되는 순간 액체가 넓게 퍼지면서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음이온 및 습기 방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는, 분사노즐(20)에 의해 분사된 물이 밀폐된 캡 내부에서 1차로 충돌 및 혼화되고, 분사캡(30)의 분사공에 의해 다시 분사된 물이 충돌판(40) 충돌구(43)에 2차로 충돌 및 비산되며, 충돌구(43)에 충돌후 비산된 물이 다시 판(41)에 충돌후 비산되는 3중의 분사/충돌 구조를 가짐으로써, 음이온 발생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구체를 만나면 유체의 흐름이 회절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충돌된 물이 고깔 모양으로 균일하게 비산될 수 있도록 하고, 물과 판이 충돌하는 각도를 줄여주고 중앙으로 경사져 돌출하는 판(41) 상면에 각각 편평한 3개 이상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충돌된 물이 균일하게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말단 부분에서 균일하게 갈라져 수평으로 비산되도록 하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불규칙한 비산에 의해 큰 물방울 입자가 습도조절용 습기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집진효율을 높였으며, 무엇보다도 물을 이용하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의 가장 큰 문제점이었다고 할 수 있는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즐구조체는 일반적인 회전분사노즐과 단순한 구성의 분사캡 및 충돌판이 각각 용이하게 조립되는 개별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여 구성 및 유지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도 함께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내부에 분사노즐의 체결구를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수용공간과 체결수단이 구성되는 노즐수용리브; 순환수유입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회전분사하는 것으로서, 회전된 물이 분사되는 분사공, 분사캡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 및 노즐수용리브에 수용 및 체결되는 체결구가 구성되는 분사노즐; 분사노즐에 체결되어 누수되지 않으면서 분사공을 덮어 씌우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분사노즐에 체결되는 측이 개구되고 그 반대측 저면이 밀폐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밀폐된 저면의 중앙에는 분사공이 구성되는 분사캡; 및 상면이 중앙부로 일정하게 경사져 돌출되는 원형의 판으로 구성되며, 돌출된 상면 중앙에는 분사캡 분사공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충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말단에 구형의 충돌구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충돌봉이 분사캡 분사공 방향 수직으로 돌출되어 판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외측에는 분사노즐의 일측에 연결하여 판을 분사캡 분사공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지지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충돌판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물을 이용하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의 가장 큰 기술적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소음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충돌후 발생하는 비교적 입자 크기가 큰 비산 물방울의 발생량을 크게 저감시킴으로써 배출되는 습기를 미세하고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노즐구조에 비해 음이온 발생량 및 효율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물을 이용하는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 1은 선출원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선출원 노즐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노즐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노즐구조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노즐구조체에서 분사된 물이 비산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노즐캡 및 충돌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노즐구조체가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에서 실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순환수유입관 10: 노즐수용리브
20: 분사노즐 21: 체결구
30: 분사캡 40: 충돌판
41: 판 42: 충돌봉
43: 충돌구 44: 지지대
50: 노즐캡 51: 수용홈
52: 지지부 53: 슬릿
54: 체결수단

Claims (7)

  1.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에 있어서,
    순환수유입관(P)으로부터 돌출되어 구성되며, 내부에 분사노즐(20)의 체결구(21)를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수용공간(11)과 체결수단(미도시)이 구성되는 노즐수용리브(10);
    순환수유입관(P)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회전분사하는 것으로서, 회전된 물이 분사되는 분사공(미도시), 분사캡(3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미도시) 및 노즐수용리브(10)에 수용 및 체결되는 체결구(21)가 구성되는 분사노즐(20);
    분사노즐(20)에 체결되어 누수되지 않으면서 분사공을 덮어 씌우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분사노즐(20)에 체결되는 측이 개구되고 그 반대측 저면이 밀폐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밀폐된 저면의 중앙에는 분사공(미도시)이 구성되는 분사캡(30); 및
    상면이 중앙부로 일정하게 경사져 돌출되는 원형의 판(41)으로 구성되며, 돌출된 상면 중앙에는 분사캡(30) 분사공(미도시)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충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말단에 구형의 충돌구(43)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충돌봉(42)이 분사캡(30) 분사공(미도시) 방향 수직으로 돌출되어 판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외측에는 분사노즐(20)의 일측에 연결하여 판(41)을 분사캡(30) 분사공(미도시)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지지대(44)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충돌판(40)으로 이루어지는,
    노즐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충돌판(40)의 판(41)은, 분사캡(30) 분사공에서 분사되는 물이 충돌구(43)에 충돌한 후 형성하는 분무 콘(Cone)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거리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충돌구(43)의 직경은 1-2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충돌구(43)와 분사캡(30) 분사공과의 간격은 0.65-1.00mm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구조체.
  5. 제 1항에 있어서,
    판(41)의 상면은 3개 이상의 편평한 경사면으로 구성됨으로 특징으로 하는,
    노즐구조체.
  6. 제 1항에 있어서,
    충돌판(40)의 지지대(44)는 분사노즐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구조체.
  7. 제 1항에 있어서,
    분사노즐(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51), 노즐캡(50)을 순환수유입관에 밀착시켜 지지해주기 위한 지지부(52), 순환수유입관(P)에 형성된 리브(미도시)를 수용하여 노즐캡(50) 및 노즐캡(50)에 수용된 분사노즐(2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릿(53) 및 노즐캡(50)을 순환수유입관에 고정하여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54)으로 이루어지는 노즐캡(50)이 더 구성되며, 충돌판(40) 지지대(44)와 일체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구조체.
KR1020040020121A 2004-03-24 2004-03-24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 KR100609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121A KR100609848B1 (ko) 2004-03-24 2004-03-24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121A KR100609848B1 (ko) 2004-03-24 2004-03-24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689A true KR20050094689A (ko) 2005-09-28
KR100609848B1 KR100609848B1 (ko) 2006-08-08

Family

ID=3727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121A KR100609848B1 (ko) 2004-03-24 2004-03-24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8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340B1 (ko) * 2006-03-31 2007-04-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18329B1 (ko) * 2006-12-13 2008-04-01 주식회사 파인라이프 공기정화기의 음이온 발생 믹서장치
WO2016182253A1 (ko) * 2015-05-14 2016-11-17 정진규 공기순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9359B2 (ja) 1996-08-30 2002-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
GB2353958A (en) 1999-09-07 2001-03-14 Honda Canada Inc Air-scrubbing apparatus e.g. for removing paint overspray
KR100399340B1 (ko) 2001-05-11 2003-09-26 이용백 청정 음이온 공기의 제조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340B1 (ko) * 2006-03-31 2007-04-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18329B1 (ko) * 2006-12-13 2008-04-01 주식회사 파인라이프 공기정화기의 음이온 발생 믹서장치
WO2016182253A1 (ko) * 2015-05-14 2016-11-17 정진규 공기순환장치
CN107635643A (zh) * 2015-05-14 2018-01-26 郑镇奎 空气循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848B1 (ko) 200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323B1 (ko) 음이온 발생 장치
CN105921436B (zh) 一种中药清洗机
US7134614B2 (en) Hand-held sprayer for bathroom
CN212618885U (zh) 一种室内空气净化加湿装置
KR20130119336A (ko) 공기정화장치
RU2126289C1 (ru) Сухая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колонна и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увлажнения и/или очистки газа
KR100609848B1 (ko)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
CN207755955U (zh) 废气处理曝气系统
KR101032325B1 (ko) 차량 및 휴대용 살균가습기
CN209254478U (zh) 喷淋塔
KR102057800B1 (ko) 습식 공기청정기
CN205628721U (zh) 一种中药清洗机
KR102033871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20040105426A (ko) 음이온발생/습도조절 공기청정기용 노즐구조체
JP3844384B2 (ja) 気体処理装置
KR101633498B1 (ko) 음이온 발생 공기 청정기
CN114259858A (zh) 一种曝气除臭装置
KR20060108350A (ko) 진동자를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CN207324410U (zh) 多功能空气净化装置
JP3047230B1 (ja) マイナスイオン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空気清浄装置及び空気加湿装置
JPH0531198A (ja) 陰イオン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空気清浄方法並びにそれらの装置
JPH07741A (ja) 空気清浄装置
CN211177131U (zh) 空气净化模块及空调室内机
KR101689009B1 (ko) 폐가스 정화시스템
CN100504222C (zh) 空调冷凝水雾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