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800B1 - 습식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습식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800B1
KR102057800B1 KR1020190039071A KR20190039071A KR102057800B1 KR 102057800 B1 KR102057800 B1 KR 102057800B1 KR 1020190039071 A KR1020190039071 A KR 1020190039071A KR 20190039071 A KR20190039071 A KR 20190039071A KR 102057800 B1 KR102057800 B1 KR 102057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air
gear
coupled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길
Original Assignee
백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길 filed Critical 백종길
Priority to KR1020190039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8Spray cleaning with rotary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3/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ooling medium
    • F28B3/08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ooling medium with rotatable members
    • F24F2003/1617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모터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1 회전축,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적어도 변속하여 출력하는 기어 박스, 기어 박스에 결합되어 변속된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2 회전축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습식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습식 공기청정기{WET TYPE AIR CLEANER}
본 발명은 세정수를 이용하여 유입 공기를 정화하는 습식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어 박스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회전방향이나 속도와 세정수와 유입 공기의 마찰을 유도하는 회전체의 회전방향이나 속도를 달리하여 효과적으로 유입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습식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먼지란 대기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리는 입자상 물질을 나타내고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우거나 공장,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다수 발생한다. 머리카락 지름의 1/5 이하의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아 대기 중에 부유 후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통해 체내 이동하여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미세먼지는 황산염, 질산염, 중금속 등을 다량 함유하여 기도, 폐, 심혈관, 뇌 등에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를 이미 1군 발암 물질로 분류하였다.
최근에 이르러 다양한 국내외 요인으로 인해 미세먼지가 심각해지고 있어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 공기 내의 미세한 먼지나 세균을 걸러내고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는 기기로서 공기 정화 방식에 따라 습식 공기청정기, 필터식 공기청정기, 집진식 공기청정기로 분류할 수 있다. 필터식 공기청정기는 필터를 통해 먼지를 걸러내고 집진식 공기청정기는 전기적 성질(대전된 음이온 입자)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걸러 낼 수 있다.
습식 공기청정기는 물에 공기를 흡착시켜 먼지를 걸러내는 방식의 공기청정기이다. 습식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내부로 송풍하고 오염된 공기와 물(세정수)의 접촉으로 유입된 공기 내의 화학물질, 꽃가루, 미세먼지, 세균 등의 오염물질을 세정수에 흡착하여 제거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기기이다.
습식 공기청정기는 모터와 휀(FAN) 등을 구비하여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내부로 유입시키고 내부에서 오염 공기와 세정수의 접촉을 통해 공기 내의 미세먼지 등을 세정수에 흡착시키고 정화된 공기는 설계된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습식 공기청정기는 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고 음이온 등을 발생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다른 유형의 공기청정기에 비해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주로 습식 공기청정기의 공기 정화 효율성이 다른 공기청정기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습식 공기청정기의 기존 알려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습식 공기청정기가 필요하다.
10-1772555(B1), 2017년08월29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세정수를 이용하면서 오염 물질의 정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습식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유입 휀의 회전속도나 방향과 세정수의 충돌을 유도하는 회전체의 회전속도나 방향을 달리하여 유입 공기와 세정수의 접촉, 마찰 기회를 높여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습식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하는 분쇄기와 고정된 분쇄기를 통해 공기와 세정수의 혼합, 충돌 및 분리의 작용을 제공하여 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습식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 공기에 대한 회전체로의 전용통로를 구성하여 효율적으로 유입 공기와 세정수의 마찰이 이루어져 공기 정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습식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세정수를 이용하여 유입 공기를 정화하는 습식 공기청정기는 모터, 모터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1 회전축, 제1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1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적어도 변속하여 출력하는 기어 박스, 기어 박스에 결합되어 변속된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에 결합되어 제2 회전축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상기한 습식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기어 박스는,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기어, 제1 기어의 톱니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기어 및 제2 기어의 톱니에 결합하여 제1 기어의 회전속도보다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제2 회전축에 결합하는 제3 기어를 포함하고, 제3 기어는 제1 기어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한 습식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기어 박스 외측에 위치하고 제1 기어에 결합되어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휀, 구비된 복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기 및 세정수 분사기로부터 수평방향 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분쇄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습식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제2 회전축의 외측에 설치되어 구비된 복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기를 더 포함하고, 회전체는 내부에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을 수용하는 회전 커버를 포함하고, 회전 커버는 복수의 홀과 복수의 분사노즐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한 습식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홀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회전 커버는 돌기의 상하좌우 방향의 위치에 홀을 구비하고 돌기의 대각선 방향에 돌기를 구비하여 홀을 통해 마찰된 세정수와 유입 공기를 회전 커버 외부로 배출하고 돌기를 통해 세정수와 유입 공기의 마찰을 유도한다.
상기한 습식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회전체에 결합하여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 분쇄기 및 제1 베이스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분쇄기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분쇄기는 회전 커버 외부의 수평방향 측에 위치하고 그물망 형상을 가진다.
상기한 습식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제2 회전축의 외측에 설치되어 구비된 복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기,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및 제2 회전축에 결합하여 제2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저수조의 세정수를 세정수 분사기로 로딩하는 세정수 흡입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습식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습식 공기청정기의 케이스에 결합되어 저수조를 케이스로부터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한 저수조-고정기를 더 포함하고, 저수조-고정기는 스프링축에 고정되어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압력에 따라 스프링축을 중심으로 케이스 방향 또는 케이스 반대 반향으로 회전하는 눌림판, 눌림판의 케이스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눌림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지지대 및 저수조에 설치되어 눌림판의 케이스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저수조를 저수조-고정기에 고정시키고 눌림판의 케이스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저수조를 저수조-고정기로부터 분리하는 고정-분리대를 포함한다.
상기한 습식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회전체를 통해 배출된 세정수를 제2 베이스 측으로 배출하는 제1 물배출관 및 제2 베이스에 설치되어 제1 물배출관으로부터 낙하하는 세정수를 임시 보관하는 배출수 보관통,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및 제2 베이스에 설치되어 배출수 보관통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를 저수조로 배출하는 제2 물배출관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습식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공기 배출구로의 통로에 설치되어 습도를 조절하고 아크릴 재질로 구성된 습도조절판을 더 포함하고, 습도조절판은 복수의 차단막과 복수의 통과홀을 구비하여 차단막을 통해 수증기를 맺히게 하고 통과홀을 통해 공기를 상측으로 배출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공기청정기는 세정수를 이용하면서 오염 물질의 정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공기청정기는 공기 유입 휀의 회전속도나 방향과 세정수의 충돌을 유도하는 회전체의 회전속도나 방향을 달리하여 유입 공기와 세정수의 접촉, 마찰 기회를 높여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공기청정기는 회전하는 분쇄기와 고정된 분쇄기를 통해 공기와 세정수의 혼합, 충돌 및 분리의 작용을 제공하여 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공기청정기는 유입 공기에 대한 회전체로의 전용통로를 구성하여 효율적으로 유입 공기와 세정수의 마찰이 이루어져 공기 정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다른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공기청정기의 한 측면 케이스에 설치되는 저수조-고정기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기어 박스에 구비되는 기어들의 구성과 그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회전 커버를 포함하는 회전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공기청정기의 일 예에서의 유입 공기의 정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공기청정기의 예에서의 유입 공기의 정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세정수 분사기, 제2 회전체 및 분쇄기들의 예시적인 구성 예를 표현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세정수 분사기, 제2 회전체 및 분쇄기들의 예시적인 다른 구성 예를 표현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세정수 분사기, 제2 회전체 및 분쇄기들의 예시적인 또 다른 구성 예를 표현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세정수 분사기, 제2 회전체 및 분쇄기들의 예시적인 또 다른 구성 예를 표현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의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세정수를 이용하여 유입 공기를 정화하는 습식 공기청정기(100)의 예시적인 사시도 외형을 나타낸다. 도 1의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미세먼지, 세균, 화학물질 등을 함유하는 오염 공기를 내부에 구비된 블로어 등의 휀(105)(FAN)을 통해 또는 자연 흡입하고 유입 공기 내의 각종 오염 물질을 세정수(물)를 이용하여 걸러내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케이스의 상측에 설치된 공기 흡입구(177)를 통해 오염된 공기나 정화가 필요한 공기를 흡입한다.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내부에 구비된 모터(101)와 휀(105)(FAN)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휀(105)을 통해 흡입된 유입 공기를 세정수(물)를 이용하는 내부의 공기 정화 구조를 거쳐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케이스 측면에 설치된 공기 배출구(173)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설계 예로서,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케이스 측면에 공기 흡입구(177)를 구비하여 정화가 이루어질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세정수(물)를 이용하는 내부의 공기 정화 구조를 거쳐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케이스 상측에 설치된 공기 배출구(173)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비된 휀(105)은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상측으로) 송풍(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설계 변형 예에 따라 다양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도 1과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거나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거나 그 외 알려진 다양한 외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세정수를 담을 수 있는 저수조(161)를 구비하고 저수조(161)는 착탈식으로 구성된다. 저수조(161)는 습식 공기청정기(100) 바닥면으로 내부 이동하여 손잡이(165)를 통해 분리되거나 습식 공기청정기(100)의 상측으로 내부 이동하여 습식 공기청정기(100)의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 될 수 있다.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손잡이(165)와 손잡이 뚜껑을 도 1과 같이 구비하거나 손잡이(165)와 손잡이 뚜껑을 생략할 수 있다. 손잡이(165) 등이 생략된 경우,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측면에 저수조(161)의 단면 크기보다 큰 홀을 하나 또는 두 개 구비하여 홀을 통해 저수조(161)를 분리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공기청정기(100)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의 단면도는 도 1의 습식 공기청정기(100)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의 단면도와 그로부터 구성되는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구성되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주요한 사상 내에서 공기청정기(100)는 다양한 변형 예로 구성되고 표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통해 공기청정기(100)를 살펴보면, 공기청정기(100)는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모터(101), 하나 이상의(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회전축(107), 회전체(109), 다수의 분쇄기(121, 123), 세정수 분사기(141), 저수조(161), 기어 박스(191) 등을 포함한다.
공기청정기(100)는 주요한 내부 구성요소를 수용하고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중 케이스로 구성된다. 공기청정기(100)는 외부 케이스(131)와 내부 케이스(133)로 구성될 수 있고 플라스틱, 금속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되는 외부 케이스(131) 내에 별도의 내부 케이스(133)가 내장된다. 내부 케이스(133)는 플라스틱, 금속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가 이중 케이스로 구성되어 모터(101), 하나 이상의 회전축(107), 회전체(109), 분쇄기(121, 123), 세정수 분사기(141), 기어 박스(191) 등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외부 케이스(131)는 공기 청정기의 외형에 따라 직육면체 형태, 원통형의 형태를 띨 수 있고 내부 케이스(133)는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케이스(133)는 직육면체 형상이나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33)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습식 공기청정기(100)는(도 3 참조) 기어 박스(191), 휀(105), 회전체(109), 분쇄기(121, 123), 세정수 분사기(141) 등을 수용(보호)하고 외부로 세정수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펜스(135)(fen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펜스(135)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원통형의 형상을 바람직하게 가지고 펜스(135) 내부의 공간상에 휀(105), 회전체(109), 분쇄기(121, 123), 세정수 분사기(141), 기어 박스(19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다양한 구성예를 가질 수 있는 데 각각의 습식 공기청정기(100)의 구성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의 공기청정기(100)는 케이스 측면에 공기 흡입구(177)를 구비하고 케이스 상측(top surface)에 공기 배출구(173)를 구비한다. 도 3과 같이, 공기 흡입구(177)가 상측에 구비되고 측면에 공기 배출구(173)가 구비될 수도 있다.
공기 배출구(173)(또는 공기 흡입구(177))의 아래에, 습식 공기청정기(100)는 모터-고정틀(103)을 구비하고 모터-고정틀(103)에 모터(101)가 고정 설치된다. 모터(101)는 나사, 홀 등의 알려져 있는 고정 수단을 통해 모터-고정틀(103)에 고정되어 지정된 회전속도를 연결된 회전축(107)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모터(101)는 1800 RPM(또는 1200, 600, 2400 RPM 등)의 회전속도의 한쪽 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연결된 회전축(107)에 제공할 수 있다. 도면 등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기청정기(100)는 모터(101)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회로와 내부 구성요소를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식 공기청정기(100)의 하나의 회전축(107)(이하 '제1 회전축"이라 함)은 모터(101)에 결합되어 모터(101)의 회전에 따라 지정된 방향으로 설정된 회전속도에 따라 회전한다. 제1 회전축(107)은 길이 방향으로 긴 막대, 봉 등의 형상을 가지고 그 단면이 원형이거나 사각형일 수 있다.
제1 회전축(107)은 기어 박스(191)에 결합된다. 기어 박스(191)는 적어도 제1 회전축(107)의 회전속도를 변속하여 변속된 회전속도를 다른 회전축(107)으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어 박스(191)는 결합된 제1 회전축(107)의 회전속도보다 낮은 회전속도를 다른 회전축(107)으로 출력하고 제1 회전축(107)의 회전방향과는 반대의 회전방향으로 다른 회전축(107)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1 회전축(107)은 금속재, 플라스틱, 그 외 알려진 재질로 구성되고 모터(101)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수평의 시계 또는 반시계)으로 360도 회전한다.
도 5는 기어 박스(191)에 구비되는 기어들의 구성과 그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2의 기어 박스(191) 부분의 형상을 살펴보면, 기어 박스(191)는 바람직하게는 3개 유형의 기어로 구성된다.
하나의 기어(이하 "제1 기어"로 지칭함)는 결합구(이하 '제1 결합구)를 통해 제1 회전축(107)에 결합되어 제1 회전축(107)에 의한 회전방향과 속도에 따라 한쪽 방향(수평방향에서 시계방향이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기어(191-1)는 제1 회전축(107)의 회전속도(2400, 1800, 1200, 600 RPM 등)만큼 분당 회전할 수 있다. 제1 결합구(191-2)에 제1 회전축(107)이 삽입되거나 제1 회전축(107)과 제1 기어(191-1)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결합구(191-2)의 형상은 사각형(정사각형), 원형 또는 알려진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제1 결합구(191-2)는 제1 회전축(107)에 결합되어 제1 회전축(107)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 형상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기어(191-1)는 톱니를 가지고 제1 기어(191-1)의 톱니에 제2 기어(191-3)의 톱니가 결합되어 톱니간의 맞물림으로 제2 기어(191-3)가 회전한다. 기어 박스(191)는 제1 기어(191-1)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기어(191-3)를 가진다. 예를 들어, 기어 박스(191)는 1개, 2개, 3개 또는 4개의 제2 기어(191-3)를 가지고 제2 기어(191-3)는 제1 기어(191-1)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더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제2 기어(191-3)는 제1 기어(191-1)의 외측의 톱니에 결합되고 제1 기어(191-1)보다 작은 기어 크기와 제1 기어(191-1)의 톱니와 대응하는 형상의 톱니를 가지고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어(191-3)는 제1 기어(191-1)와의 크기와 톱니 수의 비례(기어비)에 따라 제1 기어(191-1)보다 2.5배(3배 등) 빠른 회전속도(6000, 4500, 3000, 1500 RPM 등)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기어(191-3)는 제2 결합구(191-4)를 통해 기어 박스(191)에 분리 또는 결합하는데, 제2 결합구(191-4)에는 제3 기어(191-5)에 고정되어 있는 막대, 바 등의 형태의 축(예를 들어, 심, 샤프트 등)이 삽입된다. 제2 결합구(191-4)를 통해 제2 기어(191-3)가 용이하게 기어 박스(191)에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결합구(191-4)의 단면 형상은 제3 기어(191-5)와 독립적으로 회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기어(191-5)는 하나 이상의 제2 기어(191-3)의 톱니에 구비된 대응 톱니를 통해 결합하여 회전한다. 제3 기어(191-5)는 제1 기어(191-1)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의 제2 기어(191-3)의 톱니에 맞불려 기어비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3 기어(191-5)는 제2 기어(191-3)와와의 크기와 톱니 수의 비례에 따라 제2 기어(191-3) 및 제1 기어(191-1)보다 더 느리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3 기어(191-5)는 제1 기어(191-1) 및 제2 기어(191-3)를 내부에 수용하는 형상으로 외측에 설치되어 더 느리게 회전한다.
예를 들어, 제3 기어(191-5)는 제1 기어(191-1)보다 회전속도가 낮은 1200~1400 RPM 정도의 속도로 회전한다. 제3 기어(191-5)는 제1 기어(191-1)가 맞물리는 제2 기어(191-3)의 톱니와 반대편의 톱니에 결합되어 제1 기어(191-1)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기어(19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3 기어(191-5)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기어(191-3)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3 기어(191-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기어(191-1) 내지 제3 기어(191-5)의 톱니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고 제1 기어(191-1) 내지 제3 기어(191-5)는 플라스틱, 아크릴, MC, 강철 등으로 구성된다. 제1 기어(191-1) 내지 제3 기어(191-5)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191)는 공냉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설계 예에 따라, 기어 박스(191)는 내에 오일을 포함하여 오일 내에서 제1 기어(191-1) 내지 제3 기어(191-5)가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통해 공기청정기(100)를 살펴보면, 공기청정기(100)의 기어 박스(191)에는 회전축(107)(이하 '제2 회전축'이라 함)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어 박스(191)의 제3 기어(191-5)에 제2 회전축(107)이 결합되어 제3 기어(191-5)의 회전에 따라 그 회전방향과 회전속도에 따라 제2 회전축(107)이 회전한다. 제2 회전축(107)은 길이 방향으로 긴 막대, 봉 등의 형상을 가지고 그 단면이 원형이거나 사각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회전축(107)은 제1 회전축(107)과는 달리 기어 박스(191)에 결합되어 변속된 회전속도와 반대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회전축(107)은 금속재, 플라스틱, 그 외 알려진 재질로 구성되고 제3 기어(191-5)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수평의 반시계 또는 시계)으로 360도 회전한다.
기어 박스(191)는 제2 회전축(107)에 결합되고 완충 부재(193)를 통해 공기청정기(100) 내부에 설치된다. 완충 부재(193)는 기어 박수의 회전에 따른 진동, 충돌, 마찰 등을 완화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베어링(볼 베어링) 등이거나 알려진 구성 요소일 수 있다.
기어 박스(191)에는 휀(105)이 결합된다. 휀(105)은 기어 박스(191)의 제1 기어(191-1)에 결합되어 제1 기어(19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내부의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2 예의 공기청정기(100)의 휀(105)은 내부의 정화된 공기를 모터(101) 상측의 공기 배출구(173)로 배출하도록 회전하고 도 3의 예의 공기청정기(100)의 휀(105)은 상측의 공기 흡입구(177)로부터의 공기를 내부의 회전체(109) 방향으로 흡입하도록 회전한다.
휀(105)은 기어 박스(191)의 외측에 바람직하게 위치하고 제1 기어(191-1)(제1 회전축(107))에 결합된다. 즉, 기어 박스(191)의 외측의 외주면에 제1 기어(191-1)의 연결 프레임에 결합되어 제1 기어(191-1)의 회전 또는 제1 회전축(107)의 회전에 따라 같은 방향과 속도로 회전한다. 휀(105)은 송풍팬, 블로워(blower) 등일 수 있고 공기 유동을 상측이나 하측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회전축(107)에 회전체(109)가 결합된다. 회전체(109)는 제2 회전축(107)에 결합하여 제2 회전축(107)의 회전에 따라 기어 박스(191)에 의해 변속된 회전속도로 특정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체(109)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회전체(109)는 금속재, 플라스틱, 그 외 알려진 재질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터(101), 제1 회전축(107), 기어 박스(191), 휀(105), 제2 회전축(107) 및 회전체(109)는 서로 직접 결합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축(107)에 결합되는 회전체(109)는 습식 공기청정기(100)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회전체(109)는 다수의 회전 커버(109-3)를 포함하고 회전 분쇄기(121)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회전체(109)는 1 개 이상의 회전 커버(109-3)를 포함하고 돔 형상의 상측에 다수의(예를 들어, 4개, 8개, 16개, 32개 등) 회전 분쇄기(121)가 설치된다.
도 2와 같이 내측의 회전 커버(109-3)와 외측의 회전 커버(109-3) 및 회전 분쇄기(121)는 제2 회전축(107)의 회전에 따라 같은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전한다.
도 3의 회전체(109)도 다수의 회전 커버(109-3)를 포함하고 다수의 회전 분쇄기(121)에 결합된다. 도 3의 회전체(109)는 돔 형상 상측에 다수의 공기 유입구(109-1)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이 회전체(109)는 4개, 8개, 16개 등의 공기 유입구(109-1)를 가질 수 있다. 휀(105)을 통해 하측으로 흐름 유도된 흡입 공기는 공기 유입구(109-1)를 통해 회전체(109)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09-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 커버(109-3)는 세정수 분사기(141)의 분사노즐(141-1)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내측의 회전 커버(109-3)는 내부에 세정수 분사기(141)의 분사노즐(141-1)들을 360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내측 회전 커버(109-3)의 일 방향의 수평회전에 따라 분사노즐(141-1)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와 유입 공기를 접촉시키거나 마찰시킬 수 있다.
회전 커버(109-3)는 다양한 형상을 띨 수 있다. 회전 커버(109-3)는 마찰 또는 접촉된 세정수 및/또는 유입 공기를 회전 커버(109-3)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홀(hole)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커버(109-3)는 세정수와 유입 공기의 접촉 및/또는 마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수의 홀들과 세정수 분사기(141)측(방향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도 6은 회전 커버(109-3)를 포함하는 회전체(109)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체(109)를 구성하는 회전 커버(109-3)는 다수의 홀과 다수의 돌기를 가지고 돌기는 내측 방향(즉, 세정수 분사기(141)의 분사노즐(141-1) 방향)으로 형성된다.
돌기와 홀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또는 N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 원형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돌기와 홀의 형상은 동일하거나 그 중 일부가 서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돌기 및/또는 홀의 크기는 설계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의 예와 같이, 회전 커버(109-3)는 임의의 돌기의 상하좌우 방향의 인접 위치에 홀을 구비하고 임의 돌기의 대각선 방향의 인접 위치에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홀은 마찰된 세정수와 유입 공기를 회전 커버(109-3) 외부로 배출시키고 돌기는 세정수와 유입 공기의 내부 마찰이나 접촉이 더 발생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돌기와 홀을 구비한 회전 커버(109-3)는 회전에 따라 세정수와 유입 공기의 마찰, 충돌 등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회전 커버(109-3) 내부의 표면의 홀을 통해 마찰되거나 혼합된 세정수와 유입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통해 공기청정기(100)를 살펴보면, 공기청정기(100)의 회전체(109)는 다수의 회전 커버(109-3)를 포함할 수 있고 외측 회전 커버(109-3)와 내측 회전 커버(109-3) 사이의 공간에 분쇄기(121, 123)를 수용할 수 있다. 회전체(109)를 구성하는 회전 커버(109-3)는 회전체(109)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구비된 홀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휀(105)의 회전속도 및/또는 회전방향과 회전체(109)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은 서로 상이한다. 즉, 제1 기어(191-1)에 결합되는 휀(105)은 제1 기어(191-1)(제1 회전체(107))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여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배출하고 제3 기어(191-5)에 결합되는 회전체(109)는 상대적으로 다른(낮은) 회전속도와 (반대)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낮은 속도로 회전체(109)가 회전하여 회전체(109) 자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유입 공기를 좀 더 효과적으로 세정수와 충돌하거나 마찰시킬 수 있다. 즉, 회전체(109)가 휀(105)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야기하는 공기 및 세정수의 혼합, 마찰 효율보다는 회전체(109)가 휀(105)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야기하는 공기 및/세정수의 혼합, 마찰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세정수를 통한 공기 정화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는 세정수 분사기(141)를 구비한다. 세정수 분사기(141)는 제2 회전축(107) 외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분사노즐(141-1)을 구비하고 복수의 분사노즐(141-1)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한다. 세정수 분사기(141)는 제2 회전축(107)과는 분리되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세정수를 분사노즐(141-1)을 통해 공기 흡착 및/또는 정화에 이용될 세정수를 외부로 분사한다.
세정수 분사기(141)는 회전체(109)의 회전 커버(109-3) 내에 위치하고 지정된 높이 간격마다 다수의(예를 들어, 각 높이 위치별로 2개, 4개, 8개 등) 분사노즐(141-1)을 구비한다. 특정 높이에 설치되는 각각의 분사노즐(141-1)은 수평 평면(공기청정기(100) 바닥면과 평행한 원형 평면)상의 360도 각도에서 서로 다른 지정된 각도(예를 들어, 0도, 90도, 180도, 270도 등) 방향으로 제공되는 세정수를 분사한다. 각각의 분사노즐(141-1)은 수평 방향(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또는 임의의 상하 각도 방향(예를 들어 상측이나 하측 30도 등)으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분사노즐(141-1)은 수 mm에서 수 Cm의 분사 노즐관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정수 분사기(141)는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다수의 분사노즐(141-1)을 구비하고 각 위치의 다수의 분사노즐(141-1) 각각은 서로 다른 각도 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어 회전체(109) 내에서 유입 공기와 세정수가 마찰, 혼합될 수 있다.
세정수 분사기(141)는 내부에 물공급관(151)을 구비하여 분사노즐(141-1)로 세정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의 베이스(이하 '제1 베이스'라 함)에는 다수의 분쇄기( 123)가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143)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다수의 고정 분쇄기(123)가 고정되고 또한, 제1 베이스(143)상에 세정수 분사기(141)가 고정되거나 통과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는 분사되는 세정수와 유입되는 공기(오염 공기)를 마찰, 접촉, 혼합, 분리 등을 유도하기 위한 분쇄기(121, 123)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각각의 분쇄기(121, 123)들은 세정수 분사기(141)의 중심축(수직방향의 중심축)으로부터 외부 케이스(131)로의 수평방향 측에 위치하고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는 세정수 분사기(141)의 중심축으로부터 외부 케이스(131)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에 24도 각도의 차이로 위치하는 16개의 분쇄기(121, 123)를 가지고 더 먼 거리에 15도 각도의 차이로 위치하는 24개의 분쇄기(121, 123)를 가질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가 구비하는 분쇄기(121, 123)는 회전 분쇄기(121)이거나 고정 분쇄기(123)일 수 있다. 고정 분쇄기(123)는 제1 베이스(143)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회전 분쇄기(121)는 회전체(109)에 결합하여 회전체(109)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한다.
회전 분쇄기(121)는 회전체(109)에 결합되는 데 예를 들어, 분쇄기-고정틀(109-5), 회전체(109)의 돔 형상 상부 등에 결합되어 회전체(109)의 수평방향 360도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한다. 회전 분쇄기(121)는 회전에 따라 분사되는 세정수를 분쇄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유입 공기와 세정수(미세기포)를 혼합, 접촉 및/또는 마찰시키도록 구성된다.
고정 분쇄기(123)는 제1 베이스(143)에 고정되어 회전 분쇄기(121)를 통해 배출된 공기 및/또는 세정수 등과 충돌하고 혼합되어 회전하는 공기 및/또는 세정수를 이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 분쇄기(121)와 고정 분쇄기(123)는 본 발명의 명세서의 설명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나 도 3과 같이, 공기청정기(100)는 세정수 분사기(141)로부터 외부 케이스(131) 방향으로 지정된 제1 거리(예를 들어, 10Cm)에 회전체(109)에 결합된 회전 분쇄기(121)(도 2의 ⓐ 참조)를 360도 방향으로 다수 가지고 제1 거리보다 더 먼 제2 거리(예를 들어, 20Cm)에 제1 베이스(143)에 결합된 고정 분쇄기(123)(도 2의 ⓑ 참조)를 360도 방향으로 다수 가지고 제2 거리보다 더 먼 제3 거리 위치에 제1 베이스(143)에 결합된 고정 분쇄기(123)(도 2의 ⓒ 참조)를 360도 방향으로 다수 가질 수 있다. 설치되는 분쇄기(121, 123)의 개수, 거리의 개수, 각각의 거리는 공기청정기(100)의 크기,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회전 분쇄기(121)와 고정 분쇄기(123)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분쇄기(121)는 회전체(109)의 분쇄기-고정틀(109-5)이나 돔 형상 등에 결합되고 하측 방향으로 바(bar) 형상을 가지는 수직바와 수직바에서 서로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를 가지는 형상(도 2의 ⓐ 참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바와 다수의 돌기는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질 등을 이용한 성형으로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 분쇄기(121)는 회전체(109)에 결합되어 회전체(109)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한다.
고정 분쇄기(123)는 제1 베이스(143)에 결합되어 상측 방향으로 바 형상의 수직바를 구비하고 수직바에서 서로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돌기 형상(도 2 ⓒ 참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바와 다수의 돌기는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분쇄기(123)는 회전 분쇄기(121)와는 달리 제1 베이스(143)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돌기는 다양한 형상을 띨 수 있고 수직바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직사각형(직육면체)의 형태, 타원형 형태, 또는 알려진 임의의 형태를 띨 수 있다. 수직바 상의 돌기는 서로 지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노출될 수 있다. 설계 예에 따라 수직바 내에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 분쇄기(121)나 고정 분쇄기(123)의 다양한 형상은 공기청정기(100)의 설계 예에 따라 이하에서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각각의 분쇄기(121, 123)에서의 돌기의 개수와 분쇄기(121, 123)와의 거리 등은 공기청정기(100)의 처리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 외 분쇄기(121, 123)는 공기와 세정수의 혼합, 분쇄 등에 적용 가능한 직선과 곡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임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분쇄기(121, 123)는 도면에 표시된 형상이나 도면으로부터 예상 가능한 형상 외에 돌기를 가지는 방망이 형상(예를 들어, 도깨비 방망이)이거나 타원형 형상이거나 꽈배기 형상이거나 임의의 곡선이나 직선의 불규칙 패턴을 가지는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분쇄기(121, 123)는 다른 여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데 도 2와 도 3의 고정 분쇄기(123)(도 2의 ⓑ 참조)는 회전체(109)의 내측 회전 커버(109-3)와 외측 회전 커버(109-3) 사이에 위치하고 내측 회전 커버(109-3)를 외부에서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의 고정 분쇄기(123)는 내측 회전 커버(109-3)를 포함하는 회전체(109) 외부의 수평방향 측에 위치하고 내측 회전 커버(109-3)를 둘러싸는 그물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고정 분쇄기(123)는 일정한 크기의 원형, 사각형 등의 홀을 가지는 철망 일 수 있다. 철망의 두께, 홀의 크기는 설계 예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 분쇄기(123)에 의해 회전체(109) 외부로 배출되는 세정수 및/또는 공기는 그물망 등과 충돌하여 세정수와 공기는 서로 이완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태의 펜스(135)(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펜스(135)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펜스이다. 펜스(135) 내에는 회전체(109), 세정수 분사기(141), 하나 이상의 회전 분쇄기(121)와 고정 분쇄기(123), 휀(105), 기어 박스(191) 등을 수용한다. 공기청정기(100)는 펜스(135) 내에서 공기의 오염물질이 세정수와의 각종 작동을 통해 결합되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는 공기 배출구(173)로의 공기 상승 통로 상에 다수의 습도조절판(171)을 더 구비한다. 습도조절판(171)은 공기 배출구(173)로 상승하는 정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도조절판(171)은 공기 중의 수증기를 맺히게 할 수 있는 재질의 다수의 차단막과 다수의 통과홀을 구비하여 차단막을 통해 수증기를 맺히게 하고 그 외 공기는 통과홀을 통해 상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습도조절판(171)은 아크릴 등 수증기를 쉽게 맺히게 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차단막과 통과홀을 구비한 습도조절판(171)은 격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막과 통과홀은 예를 들어 사각형이나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지고 습도조절판(171) 내에 서로 교차하여 위치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는 다수의 습도조절판(171)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습도조절판(171)을 가질 수 있다. 하측의 습도조절판(171)의 다수의 차단막의 위치와 상측의 습도조절판(171)의 다수의 차단막의 대응 위치는 서로 다르도록 구성하여 습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습도조절판(171)을 구성하는 경우, 기화를 통한 세정수의 소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습도조절판(171)의 차단막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습도조절판(171)의 간단한 구성을 통해서 습도 조절이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다.
도 2에 따르면, 공기청정기(100)는 제1 베이스(143) 아래에 하나 이상의 물배출관(153), 하나 이상의 배출수 보관통(155), 베이스(이하 '제2 베이스'라 함) 및 공기 유입통로(159)를 구비한다. 도 2의 공기청정기(100)는 측면의 공기 흡입구(177)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의 공기 배출구(173)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청정기(100)로서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상측 방향으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이러한 구조를 가진다.
제1 베이스(143)에 결합되어 제2 베이스(157)측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물배출관(153)은 제1 베이스(143) 상의 세정수를 제2 베이스(157) 측 방향의 배출수 보관통(155)으로 낙하시킨다. 배출수 보관통(155)은 물배출관(153)으로부터 낙하하는 세정수를 임시 보관한다.
제1 베이스(143)에 결합되는 물배출관(153)의 길이(수직방향 길이)와 배출수 보관통(155)의 길이(수직방향 길이)의 합은 제1 베이스(143)와 제2 베이스(157) 사이의 거리(길이)보다 길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또한, 물배출관(153)의 단면적은 배출수 보관통(155)의 단면적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즉, 물배출관(153)의 끝단면의 부분이 배출수 보관통(155) 내에 위치하여 배출수 보관통(155)을 통해 흘러 넘치는 세정수가 제2 베이스(157)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물배출관(153)은 적어도 세정수에 의해 밀폐되어 외부 유입하는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구성되고 공기 유입통로(159)로 측면으로부터의 유입 공기가 이동하여 효율적인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과 같이 상측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측면으로 정화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청정기(100)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물배출관(153), 하나 이상의 배출수 보관통(155), 제2 베이스(157) 및 공기 유입통로(159)를 생략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00)는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161)를 구비한다. 저수조(161)는 공기 정화를 위해 세정수 분사기(141)로 배출되는 세정수를 저장한다. 저수조(161)는 착탈식으로 구성되고 공기청정기(100) 외부로 분리되거나 공기청정기(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저수조(161)는 저수조-고정기(167)에 결합되어 공기청정기(100)에 고정되거나 저수조-고정기(167)로부터 분리된다. 분리시 저수조(161)는 바닥면(저면)(나아가 측면)에 구비된 레일을 통해서 케이스 외부로 분리되거나 손잡이(165)를 통해 케이스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수조-고정기(167)는 공기청정기(100) 케이스(예를 들어, 외부 케이스(131))에 결합되어 저수조(161)를 케이스로부터 고정하거나 분리가능하도록 한다.
저수조(161)는 제1 베이스(143)(또는 제2 베이스(157)) 아래의 공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슬라이딩)할 수 있고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저수조-고정기(167)에 의해 공기청정기(100)의 케이스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저수조(161)는 구비된 손잡이(165)나 오픈된 케이스 공간을 통해 외부로 분리되거나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 위치시에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저수조-고정기(167)의 구조에 의해 공기청정기(100)에 결합된다.
저수조-고정기(167)에 결합된 저수조(161)는 저수조-고정기(167)에 인가된 압력에 따라 저수조-고정기(167)로부터 분리되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공기청정기(100)의 한 측면 케이스에 설치되는 저수조-고정기(167)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의 도면은 측면 케이스에서 바라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의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수조-고정기(167)는 하나 이상의(바람직하게는 2개의 ) 고정바(167-1), 하나 이상의(바람직하게는 2개의 )지지대(167-3), 눌림판(167-5), 스프링축(167-9) 및 고정-분리대(167-7)를 포함한다. 저수조-고정기(167)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설계 예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는 생략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고정바(167-1)는 케이스에 결합되어 저수조-고정기(167)를 고정시킨다. 고정바(167-1)는 막대, 원통, 봉 등의 형상을 가지고 외부 케이스(131) 등에 결합되어 저수조-고정기(167)를 특정 하나의 위치에 고정시킨다.
눌림판(167-5)은 스프링축(167-9)에 고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압력에 의해 스프링축(167-9)을 중심으로 내측(케이스 반대 반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눌림판(167-5)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압력이 없어짐에 따라 스프링축(167-9)을 중심으로 외측(케이스 방향)으로 회전한다.
지지대(167-3)는 고정바(167-1)에 결합되고 눌림판(167-5)의 회전을 제한한다. 직사각형 등의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167-3)는 눌림판(167-5)에 인가된 압력이 없어 스프링축(167-9)에 의해 케이스 방향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눌림판(167-5)의 회전( 범위)을 제한하고 스프링축(167-9)에 의해 회전가능한 눌림판(167-5)을 고정시킨다.
스프링축(167-9)은 두 개의 고정바(167-1)에 고정되고 눌림판(167-5)에 결합되어 눌림이나 눌림 해소시에 눌림판(167-5)의 (회전)축을 제공한다. 스프링축(167-9)은 스프링을 구비하여 스프링에 의한 탄성으로 눌림판(167-5)을 외측의 케이스 방향이나 내측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눌림이 없는 경우, 스프링축(167-9)은 케이스 방향으로 회전하는 탄성을 눌림판(167-5)에 제공한다.
고정-분리대(167-7)는 저수조(161)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분리대(167-7)는 저수조(161)의 기구케이스 외측에 설치되고 돌출 형상을 가진다. 눌림판(167-5)은 고정-분리대(167-7)가 결합되는 부분에 걸쇠 형상을 가지고 이 걸쇠 형상이 고정-분리대(167-7)에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저수조(161)가 공기청정기(100)의 케이스에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의 눌림판(167-5) 눌림에 따라, 눌림판(167-5)은 저수조(161) 방향(케이스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고정-분리대(167-7)와 걸쇠 형상은 서로 분리되어 저수조(161)는 저수조-고정기(167)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시에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레일 등을 통해 저수조(161)는 아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후 공기청정기(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저수조(161)가 저수조-고정기(167)의 위치에 안착하고 눌림판(167-5)의 눌림이 없는 경우에, 눌림판(167-5)은 스프링축(167-9)에 의해 케이스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눌림판(167-5)의 걸쇠 형상은 고정-분리대(167-7)에 결합되어 저수조(161)가 내부에 고정된다.
도 4와 같은 저수조-고정기(167)를 구비한 공기청정기(100)는 세정수 분사기(141)나 저수조(161)에 구성되는 세정수 흡입구(181)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저수조(161)를 분리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통해 공기청정기(100)를 좀 더 살펴보면, 제2 베이스(157)(나 제1 베이스(143))에는 물배출관(153)이 결합된다. 도 2와 같이, 공기청정기(100)에 구비되고 제2 베이스(157)에 설치되는 물배출관(153)은 배출수 보관통(155)을 통해 흘러 넘쳐 배출되는 세정수를 저수조(161)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공기청정기(100)내의 세정수는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공기청정기(100)는 저수조(161) 내부에 필터(163)를 구비한다. 필터(163)는 공기청정기(100)와 결합시 제1 또는 제2 베이스(157)의 물배출관(153)으로부터 세정수의 낙하를 통한 소음 발생을 줄이고 곤충, 이물질, 미세 물질 등의 고형물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필터(163)는 공기청정기(100)로부터 분리되거나 공기청정기(100)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163)는 예를 들어 알려진 입자 크기를 가지는 미세 먼지나 초미세 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분리 세척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00)는 저수조(161)의 세정수를 세정수 분사기(141)로 로딩하는 세정수 흡입구(181)를 포함한다. 세정수 흡입구(181) 내부에는 제2 회전축(107)에 의한 회전으로 저수조(161)의 세정수를 상측 방향으로 로딩하기 위한 구조물(구성)을 가진다.
세정수 흡입구(181)는 제2 회전축(107)의 수평 회전에 따라 저수조(161)의 세정수를 상측의 분사노즐(141-1)로 끌어올리기 위한 형상(예를 들어, 나사 등의 스파일럴 형상)이나 다수의 프로펠러(도 2의 도 3의 세정수 흡입구(181)의 형상 참조) 등을 구비하여 제2 회전축(107)의 회전에 따라 저수조(161)의 세정수를 제2 회전축(107) 외곽에 구비된 상승 수로(151)를 통해 세정수 분사기(141)의 분사노즐(141-1)들로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의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모터(101), 하나 이상의 회전축(107), 기어 박스(191), 회전체(109)와 분쇄기(121, 123)를 구비하여 정화가 필요한 공기와 세정수를 접촉시키고 접촉에 따라 물을 통한 공기 세정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공기청정기(100)는 단일의 모터(101)를 이용하여 동시에 세정수를 로딩하고 회전체(109)를 회전시켜 오염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공기청정기(100)의 일 예에서의 유입 공기의 정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공기청정기(100)에서 발생하는 정화 흐름을 나타낸다.
먼저, 정화 대상인 외부 공기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 흡입구(177)를 통해 흡입되고 공기 유입통로(159)를 통해 회전체(109) 내부로 유입(① 참조)된다. 회전체(109) 내에서 세정수 분사기(141)는 외측 방향으로 세정수 흡입구(181)를 통해 로딩된 세정수를 분사하고 분사된 세정수와 유입된 공기는 내부의 회전 분쇄기(121), 회전체(109) 등의 회전에 따라 마찰, 혼합(② 참조)된다. 이에 따라, 유입 공기 내의 미세먼지 등이 세정수에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09-1)를 구비하지 않은 회전체(109)의 회전 커버(109-3)는 구비된 다수의 홀과 다수의 돌기를 통해 좀 더 세정수와 공기의 마찰을 유도하고 세정수와 공기를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마찰 후의 공기는 공기 배출통로(175)와 습도조절판(171)을 통해 상승한다. 공기와 혼합되거나 마찰된 세정수는 제1 베이스(143)의 물배출관(153), 제2 베이스(157)의 물배출관(153)을 통해 낙하한다. 세정수에 내포된 각종 오염물질은 필터(163)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회전 커버(109-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세정수와 공기는 고정 분쇄기(123) 등에 의해서 서로 이완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습도조절판(171)에 의해 수증기 등은 다시 제1 베이스(143)로 낙하할 수 있고 그 외 정화된 공기는 상승(③ 참조)하고 기어 박스(191) 외측에 구비된 휀(105)에 의한 상승 바람(④ 참조)으로 공기청정기(100)의 상측 외부로 공기 배출구(173)를 통해 배출(⑤ 참조)될 수 있다.
도 8은 다른 공기청정기(100)의 예에서의 유입 공기의 정화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공기청정기(100)에서 발생하는 정화 흐름을 나타낸다.
정화 대상인 외부 공기는 상측의 공기 흡입구(177)를 통해 유입(① 참조)되고 기어 박스(191) 외측에 구비된 휀(105)에 의한 하강 바람으로 회전체(109) 측으로 유입(② 참조)된다.
회전체(109)에 구비된 공기 유입구(109-1)를 통해 상측에서 정화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아래측의 세정수 흡입구(181)를 통해 로딩되어 세정수 분사기(141)에 의해 분사되는 세정수와 마찰, 혼합(③ 참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 공기 상의 오염 물질 등이 공기로부터 분리되고 세정수에 흡착될 수 있다.
회전체(109)의 회전 커버(109-3)는 구비된 다수의 홀과 다수의 돌기를 통해 좀 더 세정수와 공기의 마찰을 유도하고 세정수와 공기를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마찰 후의 공기는 공기 배출통로(175)와 습도조절판(171)을 통해 상승(④ 참조)한다. 공기와 혼합되거나 마찰된 세정수는 제1 베이스(143)의 물배출관(153)을 통해 낙하한다. 세정수에 내포된 각종 오염물질은 필터(163)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회전 커버(109-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세정수와 공기는 고정 분쇄기(123) 등에 의해서 서로 이완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습도조절판(171)에 의해 수증기 등은 다시 제1 베이스(143)로 낙하할 수 있고 그 외 정화된 공기는 측면의 공기 배출구(173)를 통해 배출(⑤ 참조)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의 정화 흐름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표적인 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변속되는 기어 박스(191)를 구비하여 휀(105)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과 회전체(109)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서로 다르고 반대 방향으로 구성하여 효과적으로 유입 공기와 세정수의 마찰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여러 분쇄기(121, 123)를 구비하여 이러한 공기 정화의 효율을 기존 알려진 습식 공기청정기(100)보다 높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세정수 분사기(141), 제2 회전체(109) 및 분쇄기(121, 123)들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 예를 표현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9의 예와 같이, 회전체(109)는 돔 형상의 구조물과 하나의 회전 커버(109-3) 및 분쇄기-고정틀(109-5)을 구비하고 회전체(109) 내에 세정수 분사기(141)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가지고 세정수 분사기(141) 둘레에 위치하는 회전 분쇄기(121)를 공기청정기(100)가 다수 포함한다.
일정 거리 내의 회전 분쇄기(121)들은 서로 동일할 필요는 없고 도 9와 같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하나의 회전 분쇄기(121))(도 9의 ⓐ 참조)는 수직바 내부에 홀을 구비하여 홀을 통해 세정수나 공기가 통과하거나 충돌 유도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회전 분쇄기(121)(도 9의 ⓑ 참조)는 수평 단면상으로 십자 형상일 수 있다. 일정 거리 내의 회전 분쇄기(121)들은 회전 커버(109-3) 내에서 회전체(109)와 같이 회전하며 세정수와 공기를 내부 혼합하고 세정수를 분쇄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형상의 회전 분쇄기(121)들은 서로 이웃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분쇄기-고정틀(109-5)에 고정되는 회전 분쇄기(121)들도 세정수 분사기(141)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고 각 회전 분쇄기(121)들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통형의 펜스(135) 등에는 고정 분쇄기(12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거리를 가지는 회전 분쇄기(121)가 회전 커버(109-3) 내부에 결합되거나 분쇄기-고정틀(109-5) 등을 통해 회전 커버(109-3)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세정수 분사기(141)는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분사노즐(141-1)을 구비하고 분사노즐(141-1)을 통해 내부의 회전 분쇄기(121)나 회전 커버(109-3)로 세정수를 분사한다. 한 위치의 분사노즐(141-1)들은 도 9와 같이 두 개일 수 있다.
도 10의 예와 같이, 회전체(109)는 돔 형상 구조물과 두 개의 회전 커버(109-3)를 구비하고 회전체(109) 내에 세정수 분사기(141)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가지고 세정수 분사기(141) 둘레에 위치하는 회전 분쇄기(121)와 고정 분쇄기(123)들을 공기청정기(100)가 다수 포함한다.
돔 형상의 구조물에 내부 결합되고 내측 회전 커버(109-3) 내에 위치하는 회전 분쇄기(121)들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회전 분쇄기(121)는 수직바 내부에 홀을 구비하여 홀을 통해 세정수나 공기가 통과하거나 충돌 유도할 수 있다.
내부 회전 커버(109-3)와 외부 회전 커버(109-3) 사이의 세정수 분사기(141)로부터 일정한 거리에는 다수의 고정 분쇄기(123)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 분쇄기(123)는 내측 회전 커버(109-3)의 공기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세정수, 수증기 등과 충돌하여 세정수와 혼합된 공기 등을 이완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외부의 펜스(135) 등에는 수평바 형상의 돌기를 가지는 고정 분쇄기(123)가 설치되고 세정수 분사기(141)의 분사노즐(141-1)은 각 위치별로 두 개씩 설치되어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은 회전체(109)는 원뿔 형상의 구조물과 분쇄기-고정틀(109-5)과 다수의 회전 분쇄기(121)와 고정 분쇄기(123)를 공기청정기(100)가 포함한다.
원뿔 형상의 구조물에 결합하는 분쇄기-고정틀(109-5)에는 세정수 분사기(141)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하는 회전 분쇄기(121)들을 포함한다. 가까운 거리의 회전 분쇄기(121)들(도 11의 ⓐ 참조)과 먼 거리의 회전 분쇄기(121)들(도 11의 ⓑ 참조)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가까운 거리의 회전 분쇄기(121)들은 십자가 형상의 돌기를 가지고 먼 거리의 회전 분쇄기(121)들은 직사각형(바) 형상의 돌기를 가진다.
두 회전 분쇄기(121) 사이에는 고정 분쇄기(123)들을 더 포함하여 회전 분쇄기(121)와 고정 분쇄기(123)에 의해 효율적으로 오염물질을 유입 공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세정수 분사기(141)는 각 위치별로 2개의 분사 노즐을 가질 수 있다.
도 12와 같이 회전체(109)는 돔 형상 구조물과 두 개의 회전 커버(109-3)를 구비하고 회전체(109) 내에 세정수 분사기(141)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가지고 세정수 분사기(141) 둘레에 위치하는 회전 분쇄기(121)와 고정 분쇄기(123)들을 공기청정기(100)가 다수 포함한다.
돔 형상의 구조물에 내부 결합하고 내측 회전 커버(109-3) 내에 위치하는 회전 분쇄기(121)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십자 형상의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내측 회전 커버(109-3) 내에 고정 분쇄기(12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회전 커버(109-3) 내에서 회전 분쇄기(121)(도 12의 ⓐ 참조)와 고정 분쇄기(123)를 이용하여 유입 공기에서 오염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다. 외측 회전 커버(109-3)와 내측 회전 커버(109-3) 사이에는 고정 분쇄기(123)가 설치되어 내측 회전 커버(109-3)의 공기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세정수, 수증기 등과 충돌하여 추가적인 오염물질의 분리와 공기와 세정수의 이완을 유도할 수 있다. 외곽의 펜스(135) 등에는 고정 분쇄기(123)를 더 포함하여 공기와 세정수의 분리나 이완을 유도하고 이후 정화된 공기가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세정수 분사기(141), 제2 회전체(109) 및 분쇄기(121, 123)들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 구성의 변형은 공기청정기(100)의 용량, 설치 위치의 면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00)의 처리 용량에 따라 거리별 회전 분쇄기(121)들의 배치 수와 하나의 거리 내의 회전 분쇄기(121)의 설치 개수가 달라질 수 있고 그 사이의 고정 분쇄기(123)의 개수 또한 변경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공기청정기
101 : 모터
103 : 모터-고정틀
105 : 휀
107 : 회전축
109 : 회전체
109-1 : 공기 유입구 109-3 : 회전 커버
109-5 : 분쇄기-고정틀
121 : 회전 분쇄기
123 : 고정 분쇄기
131 : 외부 케이스
133 : 내부 케이스
135 : 펜스
141 : 세정수 분사기 141-1 : 분사노즐
143 : 제1 베이스
151 : 물공급관
153 : 물배출관
155 : 배출수 보관통
157 : 제2 베이스
159 : 공기 유입통로
161 : 저수조
163 : 필터
165 : 손잡이
167 : 저수조-고정기
167-1 : 고정바 167-3 : 지지대
167-5 : 눌림판 167-7 : 고정-분리대
167-9 : 스프링축
171 : 습도조절판
173 : 공기 배출구
175 : 공기 배출통로
177 : 공기 흡입구
181 : 세정수 흡입구
191 : 기어 박스
191-1 : 제1 기어 191-2 : 제1 결합구
191-3 : 제2 기어 191-4 : 제2 결합구
191-5 : 제3 기어
193 : 완충 부재

Claims (10)

  1. 세정수를 이용하여 유입 공기를 정화하는 습식 공기청정기로서,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결합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속도보다 낮은 회전속도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회전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 박스;
    상기 기어 박스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기어의 연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휀;
    상기 제1 회전축과 동일한 축 방향을 가지고 상기 제3 기어에 결합하여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속도보다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기어 박스 및 상기 휀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내부에서 유입 공기와 세정수의 마찰을 유도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는 상기 제1 기어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기어의 외측 톱니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제2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어는 상기 복수의 제2 기어의 외측에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기어의 외측 톱니에 결합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체는 상측에 복수의 공기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휀에 의해 하측으로 흐름 유도된 공기는 상기 복수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회전체 내부로 유입되는,
    습식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내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분사노즐을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에 복수 개 구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기; 및
    상기 세정수 분사기로부터 수평방향 측 상기 회전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체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세정수 분사기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세정수와 마찰하는 복수의 회전 분쇄기;를 더 포함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의 외측에 설치되어 구비된 복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내부에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을 수용하는 회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커버는 복수의 홀과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홀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커버는 돌기의 상하좌우 방향의 위치에 홀을 구비하고 돌기의 대각선 방향에 돌기를 구비하여 홀을 통해 마찰된 세정수와 유입 공기를 회전 커버 외부로 배출하고 돌기를 통해 세정수와 유입 공기의 마찰을 유도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6. 제4항에 있어서,
    제1 베이스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분쇄기;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분쇄기는 상기 회전 커버 외부의 수평방향 측에 위치하고 그물망 형상을 가지는,
    습식 공기청정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의 외측에 설치되어 구비된 복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기;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결합하여 제2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저수조의 세정수를 세정수 분사기로 로딩하는 세정수 흡입구;를 더 포함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공기청정기의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조를 케이스로부터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한 저수조-고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고정기는 스프링축에 고정되어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압력에 따라 스프링축을 중심으로 케이스 방향 또는 케이스 반대 반향으로 회전하는 눌림판, 상기 눌림판의 케이스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눌림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지지대 및 상기 저수조에 설치되어 상기 눌림판의 케이스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저수조를 저수조-고정기에 고정시키고 상기 눌림판의 케이스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저수조를 저수조-고정기로부터 분리하는 고정-분리대를 포함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를 통해 배출된 세정수를 제2 베이스 측으로 배출하는 제1 물배출관;
    제2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물배출관으로부터 낙하하는 세정수를 임시 보관하는 배출수 보관통;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및
    제2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수 보관통을 통해 배출되는 세정수를 저수조로 배출하는 제2 물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물배출관과 상기 배출수 보관통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 사이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제1 물배출관의 끝단면은 상기 배출수 보관통 내에 위치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10. 제1항에 있어서,
    공기 배출구로의 통로에 설치되어 습도를 조절하고 아크릴 재질로 구성된 습도조절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조절판은 복수의 차단막과 복수의 통과홀을 구비하여 차단막을 통해 수증기를 맺히게 하고 통과홀을 통해 공기를 상측으로 배출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KR1020190039071A 2019-04-03 2019-04-03 습식 공기청정기 KR102057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071A KR102057800B1 (ko) 2019-04-03 2019-04-03 습식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071A KR102057800B1 (ko) 2019-04-03 2019-04-03 습식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800B1 true KR102057800B1 (ko) 2019-12-19

Family

ID=6905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071A KR102057800B1 (ko) 2019-04-03 2019-04-03 습식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8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8853A (zh) * 2021-11-15 2022-03-18 陕西维益智慧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新材料制备用空气循环净化装置
CN117065485A (zh) * 2023-09-25 2023-11-17 黄山徽建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公路施工用环保除尘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0720A (ja) * 2010-12-09 2012-06-28 Iwao Hishida 空気清浄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0720A (ja) * 2010-12-09 2012-06-28 Iwao Hishida 空気清浄方法及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8853A (zh) * 2021-11-15 2022-03-18 陕西维益智慧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新材料制备用空气循环净化装置
CN117065485A (zh) * 2023-09-25 2023-11-17 黄山徽建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公路施工用环保除尘装置
CN117065485B (zh) * 2023-09-25 2024-02-13 黄山徽建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公路施工用环保除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800B1 (ko) 습식 공기청정기
CN103071350B (zh) 一种空气清洗机
CN105003989B (zh) 一种空气调节装置
CN203090661U (zh) 一种自动清洗式空气净化器
CN203108388U (zh) 空气净化器
CN204830202U (zh) 一种新型水洗式空气净化器
KR20080111572A (ko) 세정수와 회전구조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JP2008520333A (ja) 湿式空気清浄機
JP2008540082A (ja) 湿式空気清浄機
CN203030143U (zh) 一种空气清洗机
KR102033871B1 (ko) 습식 공기청정기
CN104043308A (zh) 带超重力装置的空气净化器
CN106925054A (zh) 气体净化系统
CN209549065U (zh) 一种储水式空气循环净化器
JP2008520424A (ja) 湿式空気清浄機用浄化ユニット
JP2003343877A (ja) 空気清浄装置
CN204147708U (zh) 一种便携式油烟净化机
JP6670653B2 (ja) 空気浄化装置
KR20180082023A (ko) 회전식 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CN104289060A (zh) 一种便携式油烟净化机
CN203744397U (zh) 多态综合空气净化机
CN209809811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213049942U (zh) 一种空气净化器
CN107192073B (zh) 杯形加湿装置
KR102239749B1 (ko) 공기 정화에 이용되는 물 분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