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028A -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 Google Patents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028A
KR20050092028A KR1020057012368A KR20057012368A KR20050092028A KR 20050092028 A KR20050092028 A KR 20050092028A KR 1020057012368 A KR1020057012368 A KR 1020057012368A KR 20057012368 A KR20057012368 A KR 20057012368A KR 20050092028 A KR20050092028 A KR 20050092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elongation
main body
induction
induc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049B1 (ko
Inventor
아츠시 오가와
신이치 사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7090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9202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메딕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ublication of KR2005009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8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formed by fluidized, gelatinous or cellular remodelable materials, e.g. embolic liquids, foams or extracellular matrices
    • A61B17/121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formed by fluidized, gelatinous or cellular remodelable materials, e.g. embolic liquids, foams or extracellular matrices expandable in contact with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45Coils or wires having a pre-set deployed three-dimension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54Coils or wires having stretch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or resorp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유연성을 갖고, 소정 부위에 확실히 유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재유치 조작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높은 안전성 및 높은 조작성을 갖는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은 유연성을 가진 코일 본체와, 그 코일 본체에서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마련된, 흡수(吸水)하여 팽윤함에 의해 그 코일 본체의 신장을 억제하는, 수팽윤성(水膨潤性)을 가진 고분자 재료로 되는 신장 억제 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에서는 신장 억제 부재를 구성하는 수팽윤성을 가진 고분자 재료가 폴리비닐알콜계의 중합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EMBOLUS FORMING IN-VIVO INDWELLING COIL}
본 발명은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혈류의 개변(改變)이나 차단 및 병변부의 색전(塞栓)에 사용되는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에 관한 것이다.
이 출원의 발명에 관련하는 선행 기술 문헌 정보로는, 예를 들면 다음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02307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2909021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평8-187248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표2002-507902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제2908363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개평11-76249호 공보
현재, 동맥류(動脈瘤) 등에 대한 침습성이 적은 치료법으로서,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도구를 동맥류내에 유치하는 혈관 색전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혈관 색전 기술에서, 동맥류내에 유치된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도구는 혈액류에 대한 물리적인 장해로 되는 동시에, 그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도구의 주변에 혈전이 형성됨에 의해서, 동맥류 파열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동맥류 등의 혈관 중의 소정 부위에 유치되는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도구로서, 금속 코일로 되는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도구(이하,「색전 형성용 코일」이라고도 함.)가 있다.
이러한 색전 형성용 코일은 그 단부에 이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압출 수단(유도자)에 의해, 적당한 카테터를 거쳐서 동맥류내에 도입되어, 소정 부위에서 이탈되어 유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색전 형성용 코일에는, (1)혈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소정 부위에 확실히 도입하여 배치시키기 때문에, 혈관의 형상에 추종하여 변형 가능한 높은 유연성을 가진 것일 것, (2)카테터내로부터 압출되어 일단 혈관 중에 배치된 뒤에, 회수하여 위치 수정하는 재유치 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도록, 코일이 무제한으로 신장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것일 것, 즉 예를 들면 카테터의 선단 가장자리에 걸리는 등으로 색전용 코일이 신장함에 의해, 색전용 코일을 회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거나, 적용 부위를 손상시켜 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 구성의 것일 것, 등 각종 특성이 요구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높은 유연성을 갖고, 체내에서의 소정 부위에 확실히 도입하여 유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예를 들면, 일단 배치된 후에 회수하여 위치 수정하는 재유치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체내 유치 도구의 회수를 포함하는 재유치 조작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고, 따라서, 높은 안전성 및 높은 조작성을 갖는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은 유연성을 가진 코일 본체와, 그 코일 본체에서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마련된, 흡수(吸水)하여 팽윤함에 의해 그 코일 본체의 신장을 억제하는, 수팽윤성(水膨潤性)을 가진 고분자 재료로 되는 신장 억제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에서는 신장 억제 부재를 구성하는 수팽윤성을 가진 고분자 재료가 폴리비닐알콜계의 중합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 본체를 구성하는 선재(線材)의 직경이 10∼120㎛, 코일 본체의 코일 지름이 100∼500㎛, 코일 길이가 2∼500mm, 단위 길이(1mm) 당의 권횟수(number of turn)가 1∼100인 것도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로드(rod)상 또는 통(筒)상의 신장 억제 부재가 코일 본체의 코일 축방향으로 뻗도록 그 코일 본체의 내부에 삽통되어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신장 억제 부재의 직경은 건조 상태에서 코일 본체의 코일 내경에 대해서 1∼50% 정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통상 또는 튜브상으로 형성되는 신장 억제 부재가 코일 본체의 외주면을, 코일 축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피복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건조 상태에서, 신장 억제 부재의 두께는 0.01∼0.10mm, 코일 본체의 외주면과 신장 억제부재의 내주면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은 로드상 또는 통상의 신장 억제 부재가 코일 본체의 코일 축방향으로 뻗도록 그 코일 본체의 내부에 삽통되어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원통상 또는 튜브상으로 형성되는 신장 억제 부재가 코일 본체의 외주면을, 코일 축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피복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에 의하면, 유치 조작을 행할 때에, 미리 신장 억제 부재에 대해서 팽윤 처리가 행해져 팽윤 상태로 된 상태로 사용되지만, 팽윤 처리가 행해짐에 의해서, 신장 억제 부재는 코일 본체에서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코일 피치사이(선재사이)에 침입하여, 인접하는 선재끼리가 실질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로 된다.
그러나, 팽윤 상태에서, 신장 억제 부재는 가변형성을 가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기본적으로, 코일 본체 그 자체가 갖는 유연성이 신장 억제 부재에 의해서 크게 저해되지 않고, 따라서,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높은 유연성을 가진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어, 유치 조작을 행할 때 높은 조작성이 얻어지고, 이것에 의해 적당한 카테터를 거쳐서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소정 부위에 확실히 도입하여 유치시킬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면 일단 배치된 뒤에 회수하여 위치 수정하는 재유치 조작을 행하는 경우라도, 신장 억제 부재에 의해서 코일 본체를 구성하는 선재끼리가 실질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코일 축방향에 대한 코일 본체의 신장이 규제되어, 이 상태에서,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이 카테터내로 되돌아오므로, 그 체내 유치 코일의 회수를 포함하는 재유치 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높은 안전성을 가진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일례에서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용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에서, 팽윤 처리가 행해져 신장 억제 부재가 팽윤 상태로 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다른 예에서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용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에서, 팽윤 처리가 행해져 신장 억제 부재가 팽윤 상태로 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또다른 예에서의 구성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또다른 예에서의 구성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용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체내 유치 도구의 유연성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의 일례에서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용 단면도이다.
이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이하, 단지 「체내 유치 코일」이라 함)(10)은 유연성을 가진 코일 본체(11)를 구비하고, 이 코일 본체(11)의 근위측 단부(도 1에서 우단부)에는 코일 본체(11)를 유지하는 예를 들면 로드상의 코일 이탈용 부재(12)가, 그 일부가 코일 본체(11)의 근위측 단부에서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로, 코일 본체(11)의 근위측 단부의 가장자리보다 코일축 방향 바깥쪽(도 1에서 우측)으로 돌출하여 뻗도록 마련되어 있다.
코일 본체(11)를 구성하는 선재로는, 인체내에 장기간 유치시켰을 때에 인체에 대해서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생체 적합성을 가진 것)이면, 예를 들면 금속 선재, 수지 선재 등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코일 본체(11)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로는, 예를 들면 텅스텐, 금, 백금, 스텐레스강 및 이들 합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선재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예를 들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체내 유치 코일(10)을 구성하는 코일 본체(11)는 유연성을 가진 것으로 되어 있고, 코일 본체(11)를 구성하는 선재의 재질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의 것임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코일 본체(11)를 구성하는 선재의 직경(소선 지름)이 10∼120㎛, 코일 본체(11)의 코일 지름이 100∼500㎛, 코일 길이가 2∼500mm, 단위 길이(1mm)당 권횟수가 1∼100이다.
이 체내 유치 코일(10)에서는 수팽윤성을 가진 고분자 재료로 되고, 흡수하여 팽윤함에 의해 코일 본체(11)의 신장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예를 들면 로드상의 신장 억제 부재(15)가 코일 본체(11)의 코일 축방향으로 뻗도록 그 코일 본체(11)의 내부(관강내)에 삽통되어 마련되어 있다.
신장 억제 부재(15)를 구성하는 고분자 재료로는 적당한 수팽윤 특성을 갖고, 생체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면 좋고, 그 구체예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계의 중합체, 카라기닌, 한천, 알긴산, 전분, 펙틴, 갈락토만난, 크산탄, 히아루론산, 키틴, 키토산 등의 천연 다당류, 콜라겐, 액틴, 미오신, 튜브린, 카제인, 피브린 등의 천연 단백질, 카복시메틸화 셀룰로스, 카복시메틸화 전분, 아크릴산 그래프트 전분, 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 셀룰로스 가수분해물 등의 화학적으로 변성된 천연 고분자,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의 합성 고분자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결정질의 배향이 용이하고, 결정질을 배향시킴에 의해 우수한 물리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 폴리비닐알콜계의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신장 억제 부재(15)의 직경은 신장 억제 부재(15)를 구성하는 재료의 수팽윤 특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건조 상태에서 코일 본체의 내부(관강내)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이면 좋고, 예를 들면 코일 본체(11)의 코일 지름에 대해서 1∼50% 정도 작은 것임이 바람직하다.
신장 억제 부재(15)는 팽윤 상태에서 소기의 신장 방지 효과를 확실히 발현 시키는 관점에서, 코일 축방향에서의 코일 본체(11)의 전역에 걸쳐서 뻗도록 배설되어 있는 것, 즉 코일 본체(11)의 코일 길이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진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체내 유치 코일(10)에서는, 도 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원통상 또는 튜브상으로 형성되는 신장 억제 부재(15)가 코일 본체(11)의 외주면을, 코일 축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피복하는 상태로 마련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체내 유치 코일(10)을 구성하는 신장 억제 부재(15)의 두께는 습윤 상태에서 소기의 신장 방지 효과가 발현되도록 적당히 설정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건조 상태에서 0.01∼0.10mm, 또한 건조 상태에서, 코일 본체(11)의 외주면과 신장 억제 부재(15)의 내주면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체내 유치 도구(10)는 직선상의 일차적인 형태를 가진 그대로의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소정 부위에서의 색전 형성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직선상의 코일 본체(11)가 더 나선상(狀)으로 감겨져 2차 코일이 형성되는 상태나,「S」자상 또는「J」자상, 입체 구조 또는 기타의 이차적인 형태로 부형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상기의 체내 유치 코일(10)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예를 들면 동맥류의 치료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체내 유치 코일(10)을 구성하는 신장 억제 부재(15)에 대해서, 예를 들면 적당한 팽윤용수 중에 침지함에 의해 팽윤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서, 팽윤용수는 생체에 유해한 것이 아니면 특별히 제약을 받지 않고, 예를 들면 생리 식염수, 순수(純水), 초순수, 이온 교환수, 예를 들면 디메틸설폭시드 등의 화합물의 수용액, 혈액, 기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신장 억제 부재(15)에 대해서 팽윤 처리를 행할 때에, 체내 유치 코일(10)을 팽윤용수 중에 침지하는 시간은 신장 억제 부재(15)를 형성하는 재료 및 구성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를 들면 5∼180초간임이 바람직하다.
신장 억제 부재(15)에 대한 팽윤 처리가 행해진 체내 유치 코일(10)은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신장 억제 부재(15)가 코일 본체(11)의 내주면에서의 코일 피치사이(선재사이)에 침입하여, 또는,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신장 억제부재(15)가 코일 본체(11)의 외주면에서의 코일 피치사이에 침입하여, 말하자면 코일 본체(11)를 구성하는 인접하는 선재끼리가 실질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미리 예를 들면 2차 코일상 등의 이차적인 형태로 부형되어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에 이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여기에, 가이드 와이어에 대한 체내 유치 코일(10)의 이탈 방법으로는 (1)체내 유치 코일(10)에서의 코일 이탈용 부재(12)와 가이드 와이어를 기계적으로 계합(係合)시켜 기계적으로 착탈시키는 구조로 하는 방법, (2)예를 들면 모노폴라(monopolar) 고주파 전류를 공급함에 의해, 체내 유치 코일(10)에서의 코일 이탈용 부재(12)를 고주파 전류에 의해서 발열시켜 용융·절단하고, 이것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로부터 이탈되도록, 통전에 의해 전해 분리시키는 구조로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천자침(穿刺針)을 사용하여 경피적으로 혈관내에 적당한 카테터를 삽입하여, 동맥류의 입구에 카테터의 선단이 도달하도록 배치시킨 뒤, 체내 유치 코일(10)을 직선상으로 잡아늘여 일차적인 형태(도 2 또는 도 4에 나타내는 형태)로 되돌린 상태에서 가이드 와이어를 카테터내에 삽입하여 진행시키고, 또한, 체내 유치 코일(10)을 카테터의 선단으로부터 압출함에 의해 이것을 동맥류내에 배치시킨다.
체내 유치 코일(10)은 카테터로부터 압출시키면, 이차적인 형태인 2차 코일상으로 복원되어 삼차원적으로 얽힌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체내 유치 코일(10)이 동맥류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것을 방사선 투시에 의해서 확인한 뒤, 체내 유치 코일(10)을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으로부터 잘라내어 유치시킨다.
복수의 체내 유치 코일(10)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유치 조작을 필요에 따라서 반복하여 행하여, 동맥류내를 복수의 체내 유치 코일(10)에 의해서 매립되게 하여 혈전을 형성함에 의해, 혈액의 동맥류내로의 유입이 저지되고, 그 결과, 동맥류의 파열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체내 유치 코일(10)은 유치 조작을 행할 때, 미리 신장 억제 부재(15)에 대해서 팽윤 처리가 행해져 사용되지만, 신장 억제 부재(15)가 팽윤 처리에 의해서 팽윤 상태로 됨에 의해, 코일 본체(11)에서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선재사이에 침입하여, 말하자면 인접하는 선재끼리가 실질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의 체내 유치 코일(10)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억제 부재(15)가 팽윤됨에 의해서 코일 본체(11)의 내부(관강내)를 충전하고, 또한 코일 본체(11)의 내주면에서의 코일 피치사이에 침입(侵入)하고,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의 체내 유치 코일(10)에서는 신장 억제부재(15)가 팽윤됨에 의해서 코일 본체(11)의 외주면측으로부터 코일 피치사이에 침입하여, 이것에 의해, 인접하는 선재끼리 실질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로 되어, 코일 본체(11)가 신장 억제 부재(15)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신장 억제 부재(15)는 팽윤 상태에서 가변형성을 가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코일 본체(11) 그 자체가 갖는 유연성이 신장 억제 부재(15)에 의해서 크게 저해되지 않고, 따라서, 체내 유치 코일(10)을 높은 유연성을 갖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어, 유치 조작을 행할 때 높은 조작성을 얻을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적당한 카테터를 거쳐서 체내 유치 코일(10)을 소정 부위에 확실히 도입하여 유치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단 배치된 뒤에 회수하여 위치 수정하는 재유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체내 유치 코일(10)에 의하면, 코일 본체(11)를 구성하는 선재끼리 신장 억제 부재(15)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코일 축방향에 대한 코일 본체의 신장이 규제되고, 이 상태에서, 체내 유치 코일(10)이 카테터내로 되돌려지므로, 그 체내 유치 코일(10)의 회수를 포함하는 재유치 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체내 유치 코일(10)을 높은 안전성을 가진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의 체내 유치 코일(10)에 의하면, 코일 본체(11)의 외주면의 전역에 걸쳐서 신장 억제 부재(15)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이 신장 억제 부재(15)가 팽윤 상태에서 가변형성을 가진 유연한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카테터내에 삽입하여 소정 부위에 진행시킬 때에 윤활성 효과가 발현되어 높은 조작성이 얻어지는 동시에, 코일 본체(11)가 노출되지 있지 않으므로, 적용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여, 적용 부위에 대한 보호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태양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을 가할 수 있다.
(1) 신장 억제 부재는 팽윤 처리가 행해져 팽윤 상태로 된 상태에서, 코일 본체를 구성하는 선재사이에 침입한 상태가 실현되도록 배설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상태에서 선재의 전면을 덮도록 인접하는 선재를 연결한 상태로 막상(膜狀)으로 형성되는 것, 또는 도 6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건조 상태에서 인접하는 선재사이에 막상으로 형성되는 것,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것에서는, 팽윤 처리가 행해져 신장 억제 부재가 팽윤 상태로 됨에 의해, 신장 억제 부재가 유연한 상태 즉 가변형성을 가진 상태로 되므로, 코일 본체의 유연성을 신장 억제 부재에 의해서 크게 저해하지 않고, 코일 본체가 신장하는 것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체내 유치 코일에서, 신장 억제 부재는 예를 들면 통 상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소기의 신장 억제 기능이 발현되도록, 신장 억제 부재의 두께 및 외경 치수 등의 구체적 구성을 적당히 설정하면 좋다.
(2) 본 발명의 체내 유치 코일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코일 본체의 내부에 내면측 신장 억제 부재가 삽입 배치되는 동시에, 코일 본체의 외주면을 그 전역에 걸쳐서 피복하는 상태로 외면측 신장 억제 부재가 마련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내면측 신장 억제 부재 및 외면측 신장 억제 부재에 대해서 팽윤 처리가 행해짐에 의해서, 신장 억제 부재가 코일 본체에서의 코일 피치사이에 그 내면측 및 외면측의 양측으로부터 침입하여, 인접하는 선재끼리를 실질적으로 연결시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코일 본체에 대해서 한층 높은 신장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내면측 신장 억제 부재를 예를 들면 원통상의 것으로 구성함에 의해, 팽윤 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큰폭으로 증대시키지 않고, 소기의 신장 억제 효과를 확실히 발현시킬 수 있다.
(3)코일 본체를,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 재료가 코일 본체에 루프상으로 직조되어 마련되어 되는 것이나 원통상으로 직조된 섬유 재료에 의해 외표면이 피복되어 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체내 유치 코일을 한층 높은 색전 형성능을 가진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실험예>
이하, 본 발명의 체내 유치 코일에 의한 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행한 실험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조예 1]
소선지름 50㎛의 텅스텐 선재가 감겨져 형성된 금속 코일(코일지름:250㎛, 코일길이:50mm, 1mm당의 권횟수:20)의 내부에, 폴리비닐알콜로 되는 직경 120㎛, 길이 50mm의 로드상의 신장 억제 부재를 삽입하여 배설함에 의해,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의 체내 유치 코일을 제조하였다. 이것을「유치 코일 1」이라 한다.
[제조예 2]
제조예 1과 동일한 구성의 금속 코일을 형성하고, 이 금속 코일의 외주에, 폴리비닐알콜로 되는 직경 350㎛, 두께 50㎛, 길이 50mm의 원통상의 신장 억제 부재를, 금속 코일의 외주면의 전역을 피복한 상태로 배설함에 의해, 도 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의 체내 유치 코일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유치 코일 2」라 한다.
[제조예 3]
제조예 1과 동일한 구성의 금속 코일을 형성하고, 이 금속 코일의 내부에, 폴리비닐알콜로 되는 직경 120㎛, 길이 50mm의 로드상의 신장 억제 부재를 삽입하여 배설함과 동시에, 또한, 폴리비닐알콜로 되는 직경 350㎛, 두께 50㎛, 길이 50mm의 원통상의 신장 억제 부재를 금속 코일의 외주면의 전역을 피복한 상태로 배설함에 의해 체내 유치 코일을 제조하였다. 이것을「유치 코일 3」이라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된 유치 코일 1∼3의 각각에 대해서, 신장 억제 부재에 대해서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에 따라 팽윤 처리를 행한 뒤, (1)유치 코일 전체의 유연성, (2)습윤 상태에서의 코일 본체에 대한 신장 억제 부재의 신장 억제 기능에 대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평가]
(1)유치 코일 전체의 유연성은 이하와 같이 하여 얻어진 것이다.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체내 유치 코일(10)을, 코일 본체(11)의 일차 코일축이 예를 들면 연직 방향(도 7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뻗도록 관에 의해 고정하고, 2차 코일의 반피치로부터 1피치를 나온 상태에서, 체내 유치 코일( 10)에 대해서 그 위쪽으로부터 코일 축방향으로 서서히 하중을 걸어서, 코일 본체( 11)에서의 선단 반피치로부터 1피치가 눌려 굽혀졌을 때의 응력을 압축 탄성률로서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 중 부호 13은 체내 유치 코일(10)의 원위측 단부에 마련된 거의 반구상의 둥그스름함을 띤 머리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2)팽윤 처리가 행해진 유치 코일의 각각에 대해서, 코일 본체의 코일 축방향 바깥쪽으로 80mN/㎟의 하중을 작용시킨 상태에서의 코일 본체의 코일 길이를 측정함에 의해서, 코일 본체의 신장량을 산출하였다.
<표 1>  유치 코일 전체의 유연성과 코일 본체의 신장량
팽윤 처리 조건 유치 코일전체의 유연성[mN/㎟] 코일본체의 신장량[mm]
팽윤용수 체적증가율(%)
유치 코일 1 순수 185 8 3
유치 코일 2 생리식염수 115 8 3
유치 코일 3 순수 123 10 2
이상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유치 코일 1∼3에 의하면, 코일 축방향에 대한 코일 본체의 신장률이 3mm 이하로 규제되어, 소기의 신장 억제 효과가 확실히 발휘되는 것인 동시에, 체내 유치 코일이 높은 유연성을 가진 것임이 확인되고, 따라서, 유치 조작을 행할 때 높은 조작성 및 높은 안전성이 얻어져서, 유치 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음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에 의하면, 유치 조작을 행할 때, 미리 신장 억제 부재에 대해서 팽윤 처리가 행해져 팽윤 상태로 된 상태로 사용되지만, 팽윤 처리가 행해짐에 의해서, 신장 억제 부재는 코일 본체에서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코일 피치사이(선재사이)에 침입하여, 인접하는 선재끼리가 실질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로 된다.
그러나, 신장 억제 부재는 팽윤 상태에서 가변형성을 가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코일 본체 그 자체가 가진 유연성이 신장 억제 부재에 의해서 크게 저해되지 않고, 따라서,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높은 유연성을 가진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어, 유치 조작을 행할 때 높은 조작성이 얻어지고, 이것에 의해, 적당한 카테터를 거쳐서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소정 부위에 확실히 도입하여 유치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단 배치된 뒤에 회수하여 위치 수정하는 재유치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도, 코일 본체를 구성하는 선재끼리 신장 억제 부재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코일 축방향에 대한 코일 본체의 신장이 규제되고, 이 상태에서,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이 카테터내로 되돌려지므로, 그 체내 유치 코일의 회수를 포함하는 재유치 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고, 따라서,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을 높은 안전성을 가진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Claims (8)

  1. 유연성을 가진 코일 본체와, 그 코일 본체에서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한쪽 또는 양쪽에 마련된, 흡수(吸水)하여 팽윤함에 의해 그 코일 본체의 신장을 억제하는, 수팽윤성(水膨潤性)을 가진 고분자 재료로 되는 신장 억제 부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신장 억제 부재를 구성하는 수팽윤성을 가진 고분자 재료가 폴리비닐알콜계의 중합체로 구성되어 있는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코일 본체를 구성하는 선재(線材)의 직경이 10∼120㎛, 코일 본체의 코일 지름이 100∼500㎛, 코일길이가 2∼500mm, 단위 길이(1mm)당 권횟수가 1∼100인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드(rod)상(狀) 또는 통상(筒狀)의 신장 억제 부재가 코일 본체의 코일 축방향으로 뻗도록 그 코일 본체의 내부에 삽통되어 마련되어 있는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5. 제4항에 있어서, 신장 억제 부재의 직경은 건조 상태에서 코일 본체의 코일 내경에 대해서 1∼50% 정도 작은 것인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통상 또는 튜브상으로 형성되는 신장 억제 부재가 코일 본체의 외주면을, 코일 축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피복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7. 제6항에 있어서, 건조 상태에서, 신장 억제 부재의 두께는 0.01∼0.10mm, 코일 본체의 외주면과 신장 억제 부재의 내주면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0∼100㎛인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드상 또는 통상의 신장 억제 부재가 코일 본체의 코일 축방향으로 뻗도록 그 코일 본체의 내부에 삽통되어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원통상 또는 튜브상으로 형성되는 신장 억제 부재가 코일 본체의 외주면을, 코일 축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피복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는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KR1020057012368A 2003-01-10 2004-01-13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KR100721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5158 2003-01-10
JPJP-P-2003-00005158 2003-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028A true KR20050092028A (ko) 2005-09-16
KR100721049B1 KR100721049B1 (ko) 2007-05-23

Family

ID=3270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368A KR100721049B1 (ko) 2003-01-10 2004-01-13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217758A1 (ko)
EP (1) EP1582153B1 (ko)
JP (1) JP4412280B2 (ko)
KR (1) KR100721049B1 (ko)
CN (1) CN1722990A (ko)
CA (1) CA2512456A1 (ko)
WO (1) WO2004062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0506B2 (en) 2010-06-16 2015-12-29 DePuy Synthes Products, Inc. Occlusive device with stretch resistant member and anchor filament
CA3161632A1 (en) * 2014-09-15 2016-03-24 Embo Medical Limited An embolisation device
JP6780637B2 (ja) * 2015-03-03 2020-11-04 株式会社カネカメディックス 血管塞栓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36117B2 (ja) * 2015-03-26 2019-07-03 株式会社カネカ 生体内留置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6870335A (zh) * 2018-05-01 2023-10-13 朝日英达科株式会社 导丝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0070B2 (ja) * 1994-03-31 1999-04-05 株式会社カネカメディックス 生体内留置部材を有する医療用ワイヤー
US5853418A (en) * 1995-06-30 1998-12-29 Target Therapeutics, Inc. Stretch resistant vaso-occlusive coils (II)
JP3754145B2 (ja) * 1996-09-20 2006-03-08 株式会社カネカメディックス 生体内留置部材を有する医療用ワイヤー
JP4355038B2 (ja) * 1997-09-01 2009-10-28 株式会社カネカメディックス 血管塞栓用具
CA2265062C (en) * 1998-03-10 2008-09-16 Cordis Corporation Stretch resistant embolic coil with variable stiffness
JP4191301B2 (ja) * 1999-02-10 2008-12-03 株式会社カネカメディックス 生体内留置部材を有する医療用ワイヤー
US6280457B1 (en) * 1999-06-04 2001-08-28 Scimed Life Systems, Inc. Polymer covered vaso-occlusive devices and methods of producing such devices
US6602261B2 (en) * 1999-10-04 2003-08-05 Microvention, Inc. Filamentous embolic device with expansile elements
ATE516759T1 (de) * 2001-05-29 2011-08-15 Microvention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pandierbaren filamentösen embolisierungsvorrichtungen
CA2494287C (en) * 2002-07-31 2010-11-09 Microvention, Inc. Three element coaxial vaso-occlusiv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62510A1 (ja) 2006-05-18
WO2004062510A1 (ja) 2004-07-29
EP1582153B1 (en) 2013-05-22
KR100721049B1 (ko) 2007-05-23
EP1582153A4 (en) 2011-07-20
US20060217758A1 (en) 2006-09-28
CN1722990A (zh) 2006-01-18
EP1582153A1 (en) 2005-10-05
JP4412280B2 (ja) 2010-02-10
CA2512456A1 (en) 200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9656B2 (ja) 閉塞デバイス
US8888806B2 (en) Vasoocclusive coil with biplex windings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US73093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an implant utilizing a lumen reducing member
US6616617B1 (en) Vasoocclusive device for treatment of aneurysms
US8398700B2 (en) Intravascular flow modifier and reinforcement device and deployment system for same
JP3856841B2 (ja) 血管中に配置するための塞栓装置
US20050107823A1 (en) Anchored stent and occlusive device for treatment of aneurysms
US20080109057A1 (en) Multiple point detacher system
CN102309353B (zh) 具有抗拉伸构件和锚丝的闭塞装置
JP2005296657A (ja) 活性可能な生理活性型血管閉塞装置
US2018031793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Endovascular and Non-Endovascular Defects in Humans
EP2127605A1 (en) Aneurysm treatment system
EP1595506A1 (en) Indwelling instrument for forming embolus
EP2674114A1 (en) Implant for occlusion of vascular anomalies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implant
KR100721049B1 (ko) 색전 형성용 체내 유치 코일
CN115052535A (zh) 用于治疗动脉瘤的植入物
JP4175117B2 (ja) 塞栓形成用体内留置具
CN113951964A (zh) 栓塞弹簧圈和弹簧圈系统
WO2019054066A1 (ja) 塞栓形成用体内留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