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426A - 케이슨 진수대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 Google Patents

케이슨 진수대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426A
KR20050091426A KR1020040016873A KR20040016873A KR20050091426A KR 20050091426 A KR20050091426 A KR 20050091426A KR 1020040016873 A KR1020040016873 A KR 1020040016873A KR 20040016873 A KR20040016873 A KR 20040016873A KR 20050091426 A KR20050091426 A KR 20050091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isson
platform
vertical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710B1 (ko
Inventor
조광형
고한승
신주영
이영재
변부길
송수엽
박지윤
Original Assignee
휘선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휘선건설(주) filed Critical 휘선건설(주)
Priority to KR10-2004-0016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7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8Tracks on slip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 E02D23/08Lowering or sinking caissons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공사에 이용되는 케이슨을 케이슨제작장에서 제작하고, 대차를 이용하여 진수대로 케이슨을 운반한 후 물속으로 진수시키는 케이슨 진수대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진수대는 파일에 의하여 물속에서 지지되며, 플렛폼이 사이에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설치되고, 가압수단으로 작동되는 플렛폼승강수단이 양쪽으로 대칭 설치된 양단지지대; 및 상기 양단지지대 사이에 케이슨이 안착된 종방향대차가 이동될 수 있도록 부분 종방향레일을 지지하며 상기 부분 종방향레일과 직교되어 설치된 프레임지지대로서, 상기 플렛폼승강수단에 프레임지지대의 단부가 연결되어 케이슨이 실린 종방향대차에 함께 플렛폼승강수단에 의하여 물속에서 승강되는 플렛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슨 진수대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Caisson launching spot and the caisson launc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슨 진수대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항만공사에 이용되는 케이슨을 케이슨제작장에서 제작하고, 대차를 이용하여 진수대로 케이슨을 운반한 후 물속으로 진수시키는 케이슨 진수대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 항만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caisson)은 대형 박스형 구조물로서, 무게는 수백 톤에서 수천 톤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케이슨은 미리 케이슨제작장에서 제작되며, 대차를 이용하여 케이슨을 진수대(launching spot)에 운반시키고, 케이슨을 진수대로부터 진수시킨 후 예인선을 이용하여 케이슨이 설치되어야 할 장소에 예인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슨 운반과정, 진수과정은 케이슨제작장 내에서 모두 일괄적으로 진행되며, 이러한 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은 케이슨 제작비용 및 진수비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통상 진수대에서 케이슨을 하강시킬 때 윈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케이슨은 무게가 매우 크기 때문에 케이슨에 따라서는 하강시키기 위한 설비 제작, 설치, 작동비용이 매우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슨을 진수대에서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진수시키기 위한 케이슨 승강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케이슨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케이슨제작장으로부터 진수대까지 케이슨을 경제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케이슨 진수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슨제작장으로부터 케이슨을 진수대까지 대차를 이용하여 운반하되, 상기 진수대(A)를
파일(120)에 의하여 물속에서 지지되며 플렛폼(200)이 사이에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설치되고, 가압수단으로 작동되는 플렛폼승강수단(110)이 양쪽으로 대칭 설치된 양단지지대(100); 및 상기 양단지지대(100) 사이에 케이슨(300)이 안착된 종방향대차가(400) 이동될 수 있도록 부분 종방향레일(350)을 지지하며 상기 부분 종방향레일(350)과 직교되어 설치된 프레임지지대로서, 상기 플렛폼승강수단(110)에 프레임지지대의 단부가 연결되어 케이슨이 실린 종방향대차(300)에 함께 플렛폼승강수단(110)에 의하여 물속에서 승강되는 플렛폼(200);을 포함하도록 구성시키고,
상기 플렛폼승강수단(110)은 적어도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하단부가 플렛폼의 프레임지지대에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에는 구멍(111a)이 상, 하로 연속되어 형성되어 양단지지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수직지지대(111); 및 상기 수직지지대(111)가 양 측단을 관통되어 양단지지대에 고정되고 1 스트로크씩 수직지지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판(113c)이 측단을 관통하는 수직지지대를 감싸면서 상방으로 설치된 하부수평지지대(113a);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가압수단(114)에 의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가압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는 상부수평지지대(113b);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대(113);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가압수단에 의하여 수직지지대에 연결된 플렛폼이 승강하게 되며 더불어 수직지지대에 형성된 구멍에 핀을 단계적으로 끼우면서 상기 플렛폼이 1 스트로크씩 승강되도록 하고,
다른 플렛폼승강수단(140)으로서 하단부가 플렛폼의 프레임지지대에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에는 구멍(141a)이 상, 하로 연속되어 형성되어 양단지지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수직지지대(141); 및 상기 수직지지대(141)가 중간을 관통되며, 양단지지대에 고정되고, 1 스트로크씩 수직지지대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수직지지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핀을 지지하는 하부 핀지지구(145)가 설치된 하부수평지지대(142a);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가압수단(144)에 의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가압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며 상부 핀지지구(143)가 설치된 상부수평지지대(142b);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대(142);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진수대(A)를 이용한 케이슨 설치방법은 케이슨제작장(B)으로부터 횡방향레일(410)을 설치하고, 상기 횡방향레일(410)과 교차하도록 종방향레일(310)을 설치하여 레일교차점(C)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종방향레일은 진수대(A) 초입까지 연장되도록 하고,
횡방향레일(410) 위에 설치된 횡방향대차(400)에 실리도록 케이슨(500)을 제작하고, 상기 횡방향대차(400)에 설치된 리프팅수단(420)으로 케이슨(500)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횡방향대차(400)를 상기 레일교차점(C)까지 이동시킨 후, 레일교차점(C)에 설치된 종방향대차(300)의 임시지지대(320) 위에 케이슨(500)이 안착되도록 한 후 횡방향대차(400)를 케이슨제작장으로 회수하고,
케이슨(500)이 안착된 종방향대차(300)를 진수대(A)까지 이동시킨 후 진수대에 설치된 플렛폼승강수단(110,140)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슨(500)을 진수시키고,
상기 진수된 케이슨(500)에 부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예인수단(600)으로 케이슨(500)을 예항시킨 후 케이슨이 예항된 종방향대차(300)를 포함한 플렛폼(200)을 상승시킨 후 종방향대차(300)가 회수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슨을 진수시키기 전 육상에서 이루어지는 케이슨 제작 및 운반이 이루어지는 케이슨제작장(B) 전체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슨(500)은 케이슨제작장(B) 내에 설치된 기초몰드(B1) 위에 바닥거푸집(B2)을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구조물인 케이슨(500)을 성형시켜 제작되는 방식을 따른다.
상기 기초몰드(B1) 위에서 제작된 케이슨(500)은 횡방향레일(410)을 따라 이동하는 횡방향대차(400)에 실려 횡방향으로 운반된다.
도 2a 및 도 2b는 횡방향레일(410)을 따라 이동하는 횡방향대차(400)의 정면도 및 A-A단면도이다.
횡방향레일(410)은 제작된 케이슨(500)의 양 측단을 지지하는 횡방향대차(400)의 유도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기초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횡방향대차(400)를 구성하는 하부판 저면에 설치된 레일바퀴(431)가 횡방향레일 위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횡방향대차(400)는 레일바퀴(431)가 저면에 설치된 하부프레임(430);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리프팅수단(420) 및 지지수단(4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프레임(4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프레임(430)은 횡방향유압잭(460)에 의하여 횡방향레일(4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 리프팅수단(420)은 상부프레임(430) 위에 안착되는 케이슨(500)을 위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후술되는 종방향대차(300)의 임시지지대(320)에 케이슨(500)을 옮겨 싣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지지수단(440)은 상부프레임(450)이 하부프레임(4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횡방향레일(410)은 케이슨제작장(B)의 개략 중앙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종방향레일(310)과 교차되도록 하며, 이로서 레일교차점(C)이 형성된다. 종방향레일(310)은 횡방향레일(410)과 동일한 구조로 설치된다.
도 3은 종방향대차(300)의 정면도이다.
상기 레일교차점(C)에 설치되는 종방향대차(300)는 지지프레임(330) 하부에 레일바퀴가 형성되어 종방향레일(310) 위를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지지프레임 상부에는 트러스구조물로 제작되는 임시지지대(320)가 설치된다. 횡방향대차(400)로부터 케이슨(500)을 종방향대차(300)로 옮겨 싣기 위해서 횡방향대차(400)의 리프팅수단(420)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케이슨(500)은 그 들려 올려진 만큼의 높이에 대응하여 제작된 임시지지대(320) 위에 안착되어 종방향대차(300)에 옮겨지게 된다. 이에 케이슨(500)이 옮겨진 횡방향대차(400)는 새로이 제작된 케이슨(500)의 횡방향 운반을 위하여 다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종방향대차(300)에 옮겨진 케이슨(500)은 진수대(A) 초입까지 연장되어 설치된 종방향레일(310)을 따라 진수대(A)까지 운반된다. 진수대에 운반된 케이슨(500)은 본 발명의 플렛폼(200)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플렛폼승강수단(110)에 의하여 1 스트로크씩 단계적으로 물속으로 하강된다. 케이슨(500)의 크기, 홀수선에 따라 케이슨(500)이 충분히 물속으로 진수되면, 케이슨(500) 내에 물을 채워 수평을 유지하게 한다. 부력에 의하여 물에 떠있는 케이슨(500)은 예인선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예인되어 설치된다. 물속으로 하강된 플렛폼(200)은 다시 플렛폼승강수단(110)에 의하여 부상되어 종방향대차(300)를 윈치(600) 등을 이용하여 회수한다. 상기 횡방향대차(400) 및 종방향대차(300)의 이동은 횡방향레일(410) 및 종방향레일(310)에 설치된 각각의 대차 후방에 설치된 유압잭설비(런칭실린더) 즉, 횡방향유압잭(460) 및 종방향유압잭(340)에 의하여 이동된다.
상기 케이슨제작장(B)에서 케이슨(500)이 최종적으로 진수되는 진수대(Launching Spot,A)는 파일(120)에 의하여 물속에서 지지되며 플렛폼(200)이 사이에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설치되고, 플렛폼승강수단(110)이 양쪽으로 대칭 설치된 양단지지대(100); 및 상기 양단지지대(100) 사이에 케이슨(500)이 안착된 종방향대차(300)가 이동되어 위치되도록 부분 종방향레일(350)을 지지하며 상기 부분 종방향레일(350)과 직교되어 설치된 프레임지지대로서, 상기 플렛폼승강수단(110)에 프레임지지대의 단부가 연결되어 케이슨(500)이 실린 종방향대차(300)에 함께 플렛폼승강수단(110)에 의하여 물속에서 승강되는 플렛폼(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진수대(A) 및 상기 진수대(A)에 종방향대차(300)에 의하여 운반되는 케이슨(500)을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진수대에 설치되는 플렛폼(2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4c 및 도 4d는 플렛폼에 의하여 지지되며 종방향대차(300) 위에 실려진 케이슨(500)을 정면도로 도시한 것이다.(도 7d 및 도 7e참조)
양단지지대(100)는 도 4a와 같이 종방향레일(310)을 따라 종방향대차(300)에 위에 실려져 운반되는 케이슨(500)이 물속으로 진수될 수 있도록 지지대 역할을 하는 플렛폼(200)이 사이에 설치되고, 설치된 플렛폼(200)이 양단지지대(100)에 설치된 플렛폼승강수단(110)에 의하여 연결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물속에 설치된 파일(120)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물로서, 케이슨(500), 종방향대차(300) 및 플렛폼(20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플렛폼(200)은 도 4b와 같이 H형 강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격자형 프레임지지대로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H형 강재(220) 위에는 부분 종방향레일(350)이 케이슨제작장의 종방향레일(310)에 대응하여 연장 설치됨으로서 종방향대차(300)가 플렛폼(200)까지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렛폼의 H형강재는 도 4c 및 도 4d와 같이 양단지지대(100)에 좌, 우대칭으로 설치된 플렛폼승강수단(110)을 구성하는 수직지지대(111)의 단부가 연결구(1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에 플렛폼승강수단(110)의 승강작용에 따라서 케이슨(500)이 실려진 플렛폼(200)이 승강된다.
플렛폼(200)이 승강될 때, 물속의 흐름이 빠르거나 풍속이 심할 경우 케이슨(500)이 요동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플렛폼 수평이동방지수단(700a,700b)을 설치한다.
도 4c에서는 진수대의 양단지지대에 케이슨(500)과 접하여 설치된 플렛폼 수평이동방지수단(700a)이 도시되어 있고, 도 4d에서는 플렛폼의 H형 강재의 양단부 측면과 파일사이에 설치된 플렛폼 수평이동방지수단(700b)이 도시되어 있는데 고무바퀴를 이용하여 케이슨(500)이 플렛폼(200)과 함께 승강될 때 좌우로 요동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렛폼 수평이동방지수단은 설치위치, 설치갯수 등은 케이슨(500)의 크기, 플렛폼의 형태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a는 플렛폼승강수단(110)의 구체예 1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플렛폼승강수단(110)은 적어도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수직플레이트로서 하단부가 플렛폼에 연결되고 구멍(111a)이 상, 하로 연속되어 형성되어 양단지지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수직지지대(111); 수직지지대(111)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지지대의 구멍에 대응한 연결구멍(112a)이 형성된 연결플레이트(112); 및 상기 수직지지대(111)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가압수단(114)이 설치되며, 1 스트로크 씩 수직지지대를 승강시키는 승강판(113c)이 설치된 수평지지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c 및 도 4d와 같이 플렛폼(200)의 H형 강재(120)를 관통하도록 수직지지대의 하단부가 위치되어 연결구(130)에 의하여 플렛폼의 H형강재에 수직지지대의 하단부가 연결됨으로서 수직지지대(111)가 승강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플렛폼(200)이 승강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11)는 구멍(111a)이 형성된 수직플레이트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도 5a와 같이 연결플레이트(112)에 의하여 전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연결플레이트(112)에도 연결용구멍(112a)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플레이트(120) 및 수직지지대(111)를 관통하는 핀에 의하여 다수의 분절된 수직지지대(111)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수직지지지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2개의 수직플레이트를 서로 수평으로 연결시킴과 더불어 가압수단(114)이 지지되는 지지대 및 플렛폼을 1 스트로크씩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수평지지대(113)이다.
상기 수평지지대(113)는 수직지지대(111)가 측단에 관통되며 가압수단(114)의 지지대 역할을 하며 하부수평지지대(113a); 하부수평지지대(11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부수평지지대(113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수평지지대는 승강판(113c)이 설치되어 수직지지재(111)를 1 스트로크씩 승강되도록 한다.
하부수평지지대(113a)는 가압수단(114)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역할을 하는 수평지지대로서 도 4a와 같이 양단지지대에 고정된다. 하부수평지지대에는 수직지지대의 양 측면을 감싸듯이 하부수평지지대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승강판(113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판(113c)은 수직지지대의 구멍에 대응한 제 1핀구멍(115)이 하부에 형성되고 1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된 타원형구멍(116)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타원형구멍을 구성하는 상부는 제 2핀구멍(116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수평지지대(113b)는 수직지지대를 감싸고 있는 승강판(113c)을 수용하도록 측부가 블록아웃된 수평지지대로서 가압수단(114)에 의하여 수직지지대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수직지지대(111)에 부착되어 있다.
가압수단(114)은 상부 및 하부수평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오퍼레이터는 상기 가압수단을 작동시켜 수평지지대를 승강시킴으로서 플렛폼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b 내지 도 5g는 플렛폼승강수단(110)의 하강모드상태도로서, 1 스트로크씩 플렛폼승강수단이 하강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도 5b 내지 도 5d는 연결플레이트(112)에 의하여 수직지지대(111)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가압수단(114)인 유압잭을 1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하강시킴에 따라 플렛폼(200)도 함께 하강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b 및 도 5c와 같이 제 1핀(117)을 수직지지대(111)로부터 뽑은 상태에서는 상부수평지지대(113b)가 제 2핀(118)에 의하여 수직지지대(111)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에 하부수평지지대(113a)에 설치된 가압수단(114)을 도 5d와 같이 하강시키면 상부수평지지대(113b)는 수직지지대(111)를 따라 하강된다. 이로서 플렛폼(200)이 1 스트로크만큼 하강된다. 이때 상부수평지지대(113b)가 하강함에 따라 제 2핀(118)도 승강판의 타원형 구멍을 따라 아래로 1 스트로크만큼 하강하게 된다. 상부수평지지대가 1 스트로크가 하강되면 도 5d와 같이 뽑은 제 1핀(117)을 다시 끼우고, 제 2핀(118)을 빼내게 되면 제 1핀에 의하여 수직지지대가 승강판을 포함한 하부수평지지대에 고정된다.
도 5e와 같이 다시 유압잭(114)을 1 스트로크 상승시키게 되면 상부수평지지대(113b)만 위로 상승되어 수직지지대(111)의 재 하강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도 5f와 같이 승강판의 제 2핀구멍에 제 2핀(118)을 다시 끼워 넣어 도 5b와 동일한 상태가 되어 플렛폼승강수단(110)의 1 사이클이 완료된다.
만약 수직지지대(111)의 길이가 케이슨(500)을 진수시키기 위해 필요한 길이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연결플레이트(112)를 이용하여 수직지지대의 길이를 도 5g와 같이 연장시킬 수 있다.
도 6a는 플렛폼승강수단(140)의 구체예 2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플렛폼승강수단(140)은 하단부가 플렛폼의 프레임지지대에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에는 구멍이 상, 하로 연속되어 형성되어 양단지지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수직지지대(141); 및 상기 수직지지대(141)가 중간을 관통되며, 양단지지대에 고정되고, 1 스트로크씩 수직지지대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수직지지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핀을 지지하는 하부 핀지지구(143)가 설치된 하부수평지지대(142a);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가압수단(144)에 의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가압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며 상부 핀지지구(145)가 설치된 상부수평지지대(142b);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대(142);를 포함한다.
도 4c 및 도 4d와 같이 플렛폼(200)의 H형 강재(120)를 관통하도록 수직지지대(141)의 하단부가 위치되어 연결구(130)에 의하여 플렛폼의 H형강재에 수직지지대의 하단부가 연결됨으로서 수직지지대(141)가 승강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플렛폼(200)이 승강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41)는 구멍이 형성된 수직플레이트로 형성되며, 도 5a의 연결플레이트(112)와 같은 동일한 연결수단에 전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가압수단(144)이 수직지지대(141)와 더불어 상부 수평지지대, 하부 수평지지대 및 플렛폼을 1 스트로크씩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수평지지대(142)이다.
상기 수평지지대(142)는 수직지지대(141)가 중간에 관통되며 가압수단(144)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하부수평지지대(142a); 하부수평지지대(142a)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부수평지지대(142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수평지지대에는 수직지지대가 관통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부 및 하부 핀지지구(143,145)가 설치되어 수직지지재(141)를 1 스트로크씩 승강되도록 한다.
하부수평지지대(142a)는 가압수단(144)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역할을 하는 수평지지대로서 도 4a와 같이 양단지지대에 고정된다. 하부수평지지대에는 수직지지대(141)의 양 측에 가압수단(144)이 설치되며, 수직지지대가 중간을 관통하며, 상기 수직지지대에 형성된 구멍의 위치와 대응하여 하부 핀지지구(1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핀지지구(145)는 상기 구멍에 핀이 삽입된 경우 삽입된 핀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수직지지대에 연결된 플렛폼(200)이 함께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부수평지지대(142b)는 하부수평지지대(142a)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지지대가 역시 중간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수평지지대로서 가압수단(144)에 의하여 수직지지대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수직지지대(141)에 설치된다.
가압수단(144)은 상부 및 하부수평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잭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오퍼레이터는 상기 가압수단을 작동시켜 수평지지대를 승강시킴으로서 플렛폼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수직지지대(141)가 수평지지대(142a,142b)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압수단(144)인 유압잭을 1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하강시킴에 따라 플렛폼(200)도 함께 하강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와 같이 하부 수평지지대(142a)에 지지된 가압수단(144)에 의하여 상부 수평지지대(142b)는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는 상부 수평지지대(142b)에 설치된 상부 핀지지구(143)에 의하여 수직지지대(14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제 1핀(146)의 하부가 상기 상부 핀지지구(143)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수평지지대(142a,142b) 사이의 수직지지대(141)의 구멍에제 2핀(147)이 1 스트로크 하강길이를 고려하여 삽입되어 있다.
도 6b와 같이 가압수단(144)인 유압잭을 하강시키면 제 2핀(147)이 하부 수평지지대(142a)에 설치된 하부 핀지지구(145)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플렛폼이 연결된 수직지지대는 유압잭을 하강시킨 만큼(1 스트로크) 하강되어 지지된 상태가 되며 결국, 플렛폼이 1 스트로크 만큼 하강된다. 이때 수직지지대가 하부 수평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약간 더 하강시킬 수 있는 여지가 남겨진 상태에서 1 스트로크 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 제 1핀(146)을 용이하게 수직지지대의 구멍에서 빼낼 수 가 있다.
도 6c와 같이 제 1핀(146)을 수직지지대(141)에서 빼 낸 후, 최종적으로 유압잭을 최종 하강시켜 1 스트로크의 하강이 완성되도록 한다.
도 6d 내지 도 6f는 수직지지대(141)가 수평지지대(142a,142b)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압수단(144)인 유압잭을 1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상승시킴에 따라 플렛폼(200)의 재하강 준비작업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d와 같이 하부 수평지지대(142a)에 지지된 가압수단(144)에 의하여 상부 수평지지대(142b)는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는 하부 수평지지대(142a)에 설치된 하부 핀지지구(145)에 의하여 수직지지대(14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제 2핀(147)의 하부가 상기 하부 핀지지구(145)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부 수평지지대(142b) 상부의 수직지지대(141)의 구멍에는 제 1핀(146)이 1 스트로크 상승높이를 고려하여 삽입되어 있다.
도 6e와 같이 가압수단(144)인 유압잭을 상승시키면 제 1핀(146)이 상부 수평지지대(142b)에 설치된 상부 핀지지구(143)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플렛폼이 연결된 수직지지대는 상부 수평지지대(142b)에 지지된다. 이때 수직지지대가 상부 수평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약간 더 상승시킬 수 있는 여지가 남겨진 상태에서 1 스트로크 상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 제 2핀(147)을 용이하게 수직지지대의 구멍에서 빼낼 수 가 있다.
도 6f와 같이 제 2핀(147)을 수직지지대(141)에서 빼 낸 후, 1 스트로크 하강길이에 해당되는 수직지지대의 구멍에 삽입함으로서 재하강작업이 완료되며 플렛폼(200)의 상승은 하강방법의 역순이 된다.
만약 수직지지대(141)의 길이가 케이슨(500)을 진수시키기 위해 필요한 길이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연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수직지지대의 길이를 도 5g와 같이 연장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진수대(A)를 이용하여 케이슨(500)을 진수시키는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7a와 같이 케이슨제작장(B)에서 제작한 케이슨(500)을 횡방향대차(400)에 설치된 리프팅수단(420)을 이용하여 들어올린 상태에서, 도 7b와 같이 횡방향레일(410)을 따라 횡방향대차(400)가 종방향레일(310)과의 레일교차점(C)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레일교차점(C)에는 종방향대차(300)가 설치되어 있고, 종방향대차(300) 위에는 임시지지대가 설치되어 있어 횡방향대차(400)에 의하여 운반된 케이슨(500)이 상기 임시지지대에 도 7c와 같이 안착되도록 한다.
종방향대차(300)에 안착된 케이슨(500)은 본 발명의 진수대(A)까지 도 7d 및 도 7f와 같이 운반된다.
상기 진수대(A)는 양단지지대(100) 및 플렛폼승강수단(110)이 설치되어 있어 종방향대차(300)와 함께 운반된 케이슨(500)이 플렛폼(200)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상기 플렛폼승강수단(110)에 의하여 1 스트로크 씩 도 7g와 같이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케이슨(500)이 진수대의 플렛폼에 의하여 하강될 때 진수대에 설치된 플렛폼 수평이동방지수단을 이용하여 바람이나 유속에 의하여 케이슨(500)이 요동치지 않게 된다.
하강된 케이슨(500)이 적절한 홀수선만큼 진수되면 케이슨(500) 내에 물을 채워 넣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진수된 케이슨(500)은 물속에 잠긴 상태가 아니므로 부력을 받게 되어 물에 뜨게 된다.
물에 뜬 케이슨(500)은 예인선과 같은 예인수단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로 예인된다.
케이슨(500)이 예인되면 상기 플렛폼은 플렛폼승강수단(110)에 의하여 다시 상승되며, 상승된 플렛폼 위의 종방향대차(300)는 윈치(600)를 이용하여 레일교차점(C)로 회수된다.
본 발명의 케이슨 진수대에 의하여 케이슨이 안착되는 플렛폼의 승강을 위하여 값비싼 승강설비 없이도 용이하게 케이슨을 진수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케이슨 제작 및 운반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보다 경제적인 케이슨 제작, 운반 및 진수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슨제작장을 도시한 것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횡방향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횡방향대차의 정면도 및 A-A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종방향대차의 정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진수대 및 상기 진수대에 종방향대차에 의하여 운반되는 케이슨을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진수대에 설치되는 플렛폼을 도시한 것이고, 도 4c 및 도 4d는 플렛폼에 의하여 지지되며 종방향대차 위에 실려진 케이슨을 정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가압수단으로 작동되는 플렛폼승강수단을 도시한 것이고, 도 5b,도 5c, 도 5d, 도 5e, 도 5f 및 도 5g는 상기 플렛폼승강수단을 이용한 플렛폼의 하강모드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a, 도 6b,도 6c, 도 6d, 도 6e, 및 도 6f는 본 발명의 다른 플렛폼승강수단을 이용한 플렛폼의 상승 및 하강모드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a,도 7b,도 7c,도 7d 및 도 7e는 본 발명의 진수대를 이용한 케이슨 설치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진수대 B:케이슨제작장
C:레일교차점
100:양단지지대 110:플렛폼승강수단 구체예1
140:플렛폼승강수단 구체예2 200:플렛폼
300:종방향대차 310:종방향레일
350:부분 종방향레일 400:횡방향대차
410:횡방향레일 420:리프팅수단
500:케이슨

Claims (10)

  1. 케이슨제작장(B)에 레일을 설치한 후 대차를 이용하여 케이슨(500)을 진수대(A)의 플렛폼(200)까지 운반 후 진수시키는 케이슨(500) 제작 및 설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수대(A)는
    파일(120)에 의하여 물속에서 지지되며 플렛폼(200)이 사이에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설치되고, 플렛폼승강수단(110,140)이 양쪽으로 대칭 설치된 양단지지대(100); 및 상기 양단지지대(100) 사이에 케이슨(500)이 안착된 종방향대차(300)가 이동되어 위치되도록 부분 종방향레일(350)을 지지하며 상기 부분 종방향레일(350)과 직교되어 설치된 프레임지지대로서, 상기 플렛폼승강수단(110,140)에 프레임지지대의 단부가 연결되어 케이슨(500)이 실린 종방향대차(300)와 함께 플렛폼승강수단(110,140)에 의하여 물속에서 승강되는 플렛폼(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렛폼승강수단(140)은
    하단부가 플렛폼의 프레임지지대에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에는 구멍(141a)이 상, 하로 연속되어 형성되어 양단지지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수직지지대(141); 및
    상기 수직지지대(141)가 중간을 관통되며, 양단지지대에 고정되고, 1 스트로크씩 수직지지대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수직지지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핀을 지지하는 하부 핀지지구(145)가 설치된 하부수평지지대(142a);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가압수단(143)에 의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가압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며 상부 핀지지구(145)가 설치된 상부수평지지대(142b);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대(1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렛폼승강수단(110)은
    적어도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하단부가 플렛폼의 프레임지지대에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에는 구멍(111a)이 상, 하로 연속되어 형성되어 양단지지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수직지지대(111); 및
    상기 수직지지대(111)가 양 측단에 관통되며, 양단지지대에 고정되고, 1 스트로크씩 수직지지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판(113c)이 측단을 관통하는 수직지지대를 감싸면서 상방으로 설치된 하부수평지지대(113a);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가압수단(144)에 의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가압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는 상부수평지지대(113b);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대(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113c)은
    하단에는 수직지지대(111)에 형성된 구멍에 대응하는 제 1핀구멍(115)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부에 제 2핀구멍(116a)이 형성된 타원형 구멍(116)이 1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핀구멍 및 타원형구멍에 핀을 단계적으로 끼우거나 빼냄으로서 수직지지대가 1 스트로크씩 승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직지지대에 연결된 플렛폼이 함께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111)는
    연결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용구멍에 핀을 끼움으로서 분절된 수직지지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플레이트(112)에 의하여 전체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과 플렛폼 사이 또는 양단지지대에는 고무바퀴로 제작된 플렛폼 수평이동방지수단(70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대.
  7. 케이슨제작장(B)로부터 횡방향레일(410)을 설치하고, 상기 횡방향레일(410)과 교차하도록 종방향레일(310)을 설치하여 레일교차점(C)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종방향레일(310)은 진수대(A) 초입까지 연장되도록 하고,
    횡방향레일(410) 위에 설치된 횡방향대차(400)에 실리도록 케이슨(500)을 제작하고, 상기 횡방향대차(400)에 설치된 리프팅수단(420)으로 케이슨(500)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횡방향대차(400)를 상기 레일교차점(C)까지 이동시킨 후, 레일교차점(C)에 설치된 종방향대차(300)의 임시지지대(320) 위에 케이슨(500)이 안착되도록 한 후 횡방향대차(400)를 케이슨제작장으로 회수하고,
    케이슨(500)이 안착된 종방향대차(300)를 제 1항의 진수대까지 이동시킨 후 진수대에 설치된 플렛폼승강수단(110,140)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슨(500)을 진수시키고,
    상기 진수된 케이슨(500)에 부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예인수단으로 케이슨(500)을 예항시킨 후 케이슨(500)이 예항된 종방향대차(300)를 포함한 플렛폼(200)을 상승시킨 후 종방향대차(300)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렛폼승강수단(110)은
    적어도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하단부가 플렛폼의 프레임지지대에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에는 구멍(111a)이 상, 하로 연속되어 형성되어 양단지지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수직지지대(111); 및
    상기 수직지지대(111)가 양 측단에 관통되며, 양단지지대에 고정되고, 1 스트로크씩 수직지지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판(113c)이 측단을 관통하는 수직지지대를 감싸면서 상방으로 설치된 하부수평지지대(113a);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가압수단(114)에 의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가압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는 상부수평지지대(113b);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대(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113c)은
    하단에는 수직지지대(111)에 형성된 구멍에 대응하는 제 1핀구멍(115)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부에 제 2핀구멍(116a)이 형성된 타원형 구멍(116)이 1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핀구멍 및 타원형구멍에 핀을 단계적으로 끼우거나 빼냄으로서 수직지지대가 1 스트로크씩 승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직지지대에 연결된 플렛폼이 함께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렛폼승강수단(140)은
    하단부가 플렛폼의 프레임지지대에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에는 구멍(141a)이 상, 하로 연속되어 형성되어 양단지지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수직지지대(141); 및
    상기 수직지지대(141)가 중간을 관통되며, 양단지지대에 고정되고, 1 스트로크씩 수직지지대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수직지지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 핀을 지지하는 하부 핀지지구(143)가 설치된 하부수평지지대(142a);와 상기 하부수평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가압수단(144)에 의하여 지지됨과 더불어 가압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며 상부 핀지지구(145)가 설치된 상부수평지지대(142b);를 포함하는 수평지지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진수방법.
KR10-2004-0016873A 2004-03-12 2004-03-12 케이슨 진수대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KR100525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873A KR100525710B1 (ko) 2004-03-12 2004-03-12 케이슨 진수대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873A KR100525710B1 (ko) 2004-03-12 2004-03-12 케이슨 진수대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011U Division KR200354233Y1 (ko) 2004-03-15 2004-03-15 플렛폼승강수단을 구비한 케이슨 진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426A true KR20050091426A (ko) 2005-09-15
KR100525710B1 KR100525710B1 (ko) 2005-11-03

Family

ID=3727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873A KR100525710B1 (ko) 2004-03-12 2004-03-12 케이슨 진수대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7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475B1 (ko) * 2007-11-29 2009-05-06 김세원 선대 상에서의 선박 승강 시스템
KR101506960B1 (ko) * 2014-05-19 2015-03-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수방법
KR20150043781A (ko) * 2013-10-15 2015-04-23 삼성물산 주식회사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41277A1 (en) * 2006-09-25 2008-04-28 Jurong Shipyard Pte Ltd A method of contemporaneously constructing more than one semi- submersible rig using transverse skidding
KR101220021B1 (ko) * 2010-06-09 2013-01-08 현대건설주식회사 부유식 케이슨 제작장을 이용한 케이슨 제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475B1 (ko) * 2007-11-29 2009-05-06 김세원 선대 상에서의 선박 승강 시스템
KR20150043781A (ko) * 2013-10-15 2015-04-23 삼성물산 주식회사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KR101506960B1 (ko) * 2014-05-19 2015-03-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710B1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0388B2 (en) Structure for transporting, commissioning and decommissioning the elements of a fixed oil platform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such a structure
CN100522793C (zh) 门式起重机的安装方法
US8517637B2 (en) Structure for the transport,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an oil rig deck and method for using one such structure
JP5032787B2 (ja) 重量物の架設装置
CN107499453B (zh) 一种海洋平台设备安装系统
KR100940795B1 (ko)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KR100525710B1 (ko) 케이슨 진수대 및 이를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CN101177933B (zh) 桥梁拱肋吊运及支撑支架一体化施工方法及装置
KR20090076796A (ko) 횡방향 스키딩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반 잠수형 리그의동시 건조 방법
CN101929129A (zh) 用于顶推施工的新型滑道梁
US20110142590A1 (en) Modular heavy lift system
CN112027001B (zh) 自升式海上整体风机安装船
CN206128080U (zh) 一种用于地铁基坑的支撑体系
KR200354233Y1 (ko) 플렛폼승강수단을 구비한 케이슨 진수대
CN107720652B (zh) 一种框架结构大型设备的吊装施工方法
CN107460876B (zh) 改进的打桩机平台
KR20130117171A (ko) 탑 사이드 데크 콘 구조물 설치 방법
CN210369073U (zh) 一种压重堆载体静载试验移动装置
CN113482047A (zh) 管廊安装方法
KR200366910Y1 (ko) 케이슨 진수대
CN114802535B (zh) 一种用于上部组块结构片安装的操作方法
US20210070408A1 (en) Shiplift platform elevation
CN213169974U (zh) 一种厂房内大型设备水平运输、平移工装
JP5365852B2 (ja) エレメント発進架台
JP3268199B2 (ja) 浮函体進水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