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795B1 -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795B1
KR100940795B1 KR1020080105919A KR20080105919A KR100940795B1 KR 100940795 B1 KR100940795 B1 KR 100940795B1 KR 1020080105919 A KR1020080105919 A KR 1020080105919A KR 20080105919 A KR20080105919 A KR 20080105919A KR 100940795 B1 KR100940795 B1 KR 10094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ructure
air
ground
airbag
wi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대진
Original Assignee
곽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대진 filed Critical 곽대진
Priority to KR102008010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longitudinal movement of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8Tracks on slipways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제작장의 지면(60)에 거치되어 있는 반목(20)에 안착되어 있고 수상에 띄울 중량구조물(10)의 전후 양쪽을 와이어로프(50)를 통해 윈치(30)와 예인선(40)에 각각 연결하고, 중량구조물(10)과 지면(60) 사이의 공간과 중량구조물(10)이 진행할 방향에 다수의 에어백(70)을 평행하게 배열하는 단계와; (b) 중량구조물(10)과 지면(60) 사이의 공간에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중량구조물(10)이 반목(20)에서 들어올려지고 대신 중량구조물(10)이 에어백(70)에 안착되는 단계와; (c) 중량구조물(10)이 안착되어 있었던 반목(20)을 제거하는 단계와; (d) 중량구조물(10)의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경우, 중량구조물(10)이 안착되어 있고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서 일정부피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단계 및, (e) 지상의 윈치(30)에서는 와이어로프(50)를 풀고 수상의 예인선(40)에서는 와이어로프(50)를 당겨 중량구조물(10)을 수상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진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는 중량구조물(10) 바닥면의 높이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됨으로써, 초기 시설비의 투입이 없어 비용이 절감되고 중량구조물의 이동 수단인 에어백의 설치와 철수가 간편하여 시공관리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Method for launching and transporting heavy weight structures using air bags}
본 발명은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구조물의 이동에 에어백을 적용함으로써 드라이 도크나 레일을 활용하는 방법과는 달리 초기 시설비의 투입이 없어 비용이 절감되고, 중량구조물의 이동 수단인 에어백의 설치와 철수가 간편하여 시공관리에 유리하며, 특히 제작장에서 케이슨의 이동방향에 제약이 없어 제작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슨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케이슨과 같은 중량구조물의 종래의 진수방법은, 케이슨의 경우 드라이 도크(dry dock)에서 제작한 뒤 물을 끌어들이는 방법, 해상크레인을 이용하여 제작장에서 제작된 케이슨을 진수장으로 옮기는 방법, 철제 레일 위에서 케이슨을 이동시키는 압출이동시스템(IP-CCV, 케이슨을 수직으로 들어 올리는 lifting jack 시스템과 케이슨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pushing jack 시스템 및 케이슨을 들어올린 채 이동할 수 있는 저마찰 sliding 시스템 등으로 구성)과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를 이용한 케이슨의 연직잠수 진수방법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케이슨을 육상에서 이송하는 방법으로는 케이슨 아래에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보기(bogie)를 설치하고 케이슨을 밀어서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선박의 경우에도 드라이 도크(dry dock)에서 선박을 건조하여 드라이 도크 내에 물을 채워 선박을 진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전체의 각 부분을 단위블럭으로 분할하여 각각 제작한 후에 이들을 드라이 도크로 운반하여 용접으로 조립하여 선체를 완성하고, 선체의 조립이 완료되면 드라이 도크에 물을 채워 선체를 띄워 선박을 드라이 도크 밖으로 끌어내어 진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슨의 경우와 같이 압출이동시스템(IP-CCV)과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를 이용한 진수방법도 활용된다.
그러나, 대형 드라이 도크를 건설하고 운용하는 데는 많은 비용과 넓은 부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필요한 대로 드라이 도크를 건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선박 또는 케이슨과 같은 중량구조물을 육상에서 제작한 후 이를 상기 압출이동시스템(IP-CCV) 등을 이용한 방법으로 바다로 이송하여 진수하도록 함으로써, 중량구조물의 수요량으로 인한 드라이 도크 부족현상은 제거하게 되었으나 중량구조물의 이송을 위한 초기시설과 비용이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해상크레인을 이용하여 제작장에서 제작된 케이슨을 직접 진수장으로 옮기는 방법도 케이슨의 제작이 해상크레인의 붐대가 도달 가능한 거리 이내에서만 가능해 제작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고 중량구조물의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이나 케이슨과 같은 중량구조물의 이동에 에어백을 적용함으로써 드라이 도크나 레일을 활용하는 방법과는 달리 초기 시설비의 투입이 없어 비용이 절감되고, 중량구조물의 이동 수단인 에어백의 설치와 철수가 간편하여 시공관리에 유리한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케이슨의 경우, 해상크레인을 이용하여 케이슨을 직접 진수장으로 옮기는 방법에서처럼 해상크레인의 붐대가 도달 가능한 위치에서만 케이슨을 제작할 필요가 없고 이동에 있어 레일이 필요없으며, 제작장에서 케이슨의 이동방향에 제약이 없어 제작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슨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은 (a) 제작장의 지면에 거치되어 있는 반목에 안착되어 있고 수상에 띄울 중량구조물의 전후 양쪽을 와이어로프를 통해 윈치와 예인선에 각각 연결하고, 중량구조물과 지면 사이의 공간과 중량구조물이 진행할 방향에 다수의 에어백을 평행하게 배열하는 단계와; (b) 중량구조물과 지면 사이의 공간에 있는 다수의 에어백에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중량구조물이 반목에서 들어올려지고 대 신 중량구조물이 에어백에 안착되는 단계와;(c) 중량구조물이 안착되어 있었던 반목을 제거하는 단계와;(d) 중량구조물의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경우, 중량구조물이 안착되어 있고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백에서 일정부피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단계 및, (e) 지상의 윈치에서는 와이어로프를 풀고 수상의 예인선에서는 와이어로프를 당겨 중량구조물을 수상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진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백에는 중량구조물 바닥면의 높이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인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은 중량구조물의 이동에 에어백을 적용함으로써 드라이 도크나 레일을 활용하는 방법과는 달리 초기 시설비의 투입이 없어 비용이 절감되고, 중량구조물의 이동 수단인 에어백의 설치와 철수가 간편하여 시공관리에 유리하며, 특히 제작장에서 케이슨의 이동방향에 제약이 없어 제작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슨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b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과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b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 b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을 이용하여 제작장 내의 다수개의 케이슨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면이 해안에 인접한 중량구조물 제작장의 지면(60)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일정한 경사면을 이루는 경우를 살펴보면, 우선, 제작장의 지면(60)에 거치되어 있는 반목(keel block, 20)위에서 선박 또는 케이슨(caisson)과 같은 수상에 띄울 중량구조물(10)의 조립 또는 제작이 완성되어 상기 중량구조물(10)은 반목(20)에 안착되어 있게 된다.
이렇게 반목(20)에 안착되어 있는 선박 또는 케이슨과 같은 중량구조물(10)의 전후 양쪽을 와이어로프(50)를 통해 지상의 윈치(30)와 수상의 예인선(40)에 각각 연결하고, 반목(20)에 의해 형성된, 중량구조물(10)과 지면(60) 사이의 공간과 중량구조물(10)이 진행할 방향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다수의 에어백(70)을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하게 되는데(S100), 여기서 권양수단이 윈치나 예인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량구조물(10)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상기 에어백(70)은 고강도 러버(rubber)를 재질로 하여 10 ton/m2 정도의 강도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와 직경은 현장 상황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겠지만 규격화를 위해 직경은 최대 5m, 길이는 10~20m 로 제작함이 적당하다.
물론, 중량구조물(10)이 직접적으로 안착되는 에어백(70)의 갯수는 에어백(70)의 강도와 중량구조물(10)의 하중을 고려하여 에어백(70)이 중량구조물(10)의 하중을 견뎌낼 수 있을 정도로 정해져야 하고, 에어백(70)에 의해 중량구조 물(10)의 하중은 제작장 지면(60)에 분포하중으로 고르게 전달되게 된다.
다음으로, 선박 또는 케이슨과 같은 중량구조물(10)과 지면(60) 사이의 공간에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 공기압축기(90) 등을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팽창하는 에어백(70)의 직경이 반목(20)의 높이를 초과하면서 중량구조물(10)이 반목에서 들어올려지고 대신 중량구조물(10)이 에어백(70)에 안착되게 되는데(S110), 여기서 중량구조물(10) 바닥면의 수평유지와 안정성을 위해 중량구조물(10)을 떠받치는 다수의 에어백(70) 각각의 공기 주입량은 편차를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일정해야 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에어백(70)에 안착되어 있는 중량구조물(10)의 이동을 위해 중량구조물(10)이 안착되어 있었던 반목(20)을 제거하게 되고(S120), 에어백(70) 내의 공기량이 너무 많아 에어백(70)의 단면이 원형에 가까운 경우에는 중량구조물(10)의 이동시 에어백(70)의 회전이 빨라져 그 위의 중량구조물(10)도 빨리 미끄러져 이동할 가능성이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중량구조물(10)의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경우, 중량구조물(10)이 안착되어 있고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서 일정부피의 공기를 배출시켜 에어백(70)의 단면을 타원 형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S130).
그 다음으로, 지상의 윈치(30)에서는 와이어로프(50)를 풀고 수상의 예인선(40)에서는 와이어로프(50)를 당겨 중량구조물(10)을 수상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때 중량구조물(10)의 이동에 의해 공기가 아직 주입되어 있지 않은 진행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에어백(70)이 순차적으로 중량구조물(10) 바닥면 밑에 위치하게 되므로, 중량구조물(10)의 계속적인 이동을 위해 공기가 아직 주입되어 있지 않은 진행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에어백(70)에는 중량구조물(10) 바닥면의 높이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야 한다(S140). 또한, 해저면의 경사로는 10°이내로 함이 바람직하고 해저면의 경사로에서는 중량구조물(10)의 후미로 갈수록 중량구조물(10) 바닥면 밑에 위치하는 공기가 주입된 에어백(70)의 높이를 순차적으로 점점 낮추기 위해, 중량구조물(10)의 후미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많은 양의 공기를 에어백(70)에서 배출시키면서 실시간으로 에어백(70)의 높이를 조절하여 중량구조물(10)의 기울기를 최대한 완만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로프(50)는 단순히 중량구조물을 견인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중량구조물(10)이 진행경로를 이탈하거나 좌우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역할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선박이나 케이슨과 같은 중량구조물(10)이 해상에 진수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심의 수중위치까지 중량구조물(10)이 이동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해저면에도 다수의 에어백(70)을 설치해 상기 S140 단계를 반복해야 하는데, 여기서도 중량구조물(10)의 후미에 위치하는 에어백(70)의 높이를 중량구조물(10)의 후미로 갈수록 더 낮추도록 조절(0.2~2.0m)하여 에어백(70) 간의 높이 차를 형성시켜 가능한한 많은 수의 에어백(70)이 중량구조물(10)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70)의 어느 한 곳에 집중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중량구조물(10)의 하중을 해저면에 분포하중으로 전달하게 한다.
상기에서 살펴보았듯이, 도 1의 경우는 수심이 얕고 조수간만의 차가 큰 바다에 적용할 수 있는데, 일단 간조시에 상기의 방법으로 중량구조물(10)이 해안으로 어느 정도 이동이 되고 나면 만조시에는 제작장에서 이동된 중량구조물(10)은 저절로 진수가 되기 때문에 상기의 방법은 수상에서 중량구조물(10)을 이동시키기 위해 바지선과 같은 대형 해상장비가 불필요하고 진수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과 수상의 경계가 직립안벽인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도 1의 방법과 유사하게 우선, 제작장의 지면(60)에 거치되어 있는 반목(20)위에서 선박 또는 케이슨과 같은 수상에 띄울 중량구조물(10)의 조립 또는 제작이 완성되어 상기 중량구조물(10)은 반목(20)에 안착되어 있게 된다.
이렇게 반목(20)에 안착되어 있는 선박 또는 케이슨과 같은 중량구조물(10)의 전후 양쪽을 와이어로프(50)를 통해 지상과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의 윈치(30)에 각각 연결하고, 반목(20)에 의해 형성된, 중량구조물(10)과 지면(60) 사이의 공간과 중량구조물(10)이 진행할 방향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다수의 에어백(70)을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한다(S200).
다음으로, 선박 또는 케이슨과 같은 중량구조물(10)과 지면(60) 사이의 공간에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 공기압축기(90) 등을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팽창하는 에어백(70)의 직경이 반목(20)의 높이를 초과하면서 중량구조물(10)이 반목(20)에서 들어올려지고 대신 중량구조물(10)이 에어백(70)에 안착되게 된다(S210).
그 다음으로, 에어백(70)에 안착되어 있는 중량구조물(10)의 이동을 위해 중량구조물(10)이 안착되어 있었던 반목(20)을 제거하게 되고(S220), 중량구조물(10)의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경우, 중량구조물(10)이 안착되어 있고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서 일정부피의 공기를 배출시켜 에어백(70)의 단면을 타원 형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S230).
그 다음으로, 지상의 윈치(30)에서는 와이어로프(50)를 풀고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의 윈치(30)에서는 와이어로프(50)를 당겨 중량구조물(10)을 수상의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때 중량구조물(10)의 이동에 의해 공기가 아직 주입되어 있지 않은 진행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에어백(70)이 순차적으로 중량구조물(10) 바닥면 밑에 위치하게 되므로, 중량구조 물(10)의 계속적인 이동을 위해 공기가 아직 주입되어 있지 않은 진행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에어백(70)에는 중량구조물(10) 바닥면의 높이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야 한다(S240).
마지막으로,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과 제작장의 경계에서 중량구조물(10)이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과 제작장 지면(60)의 높이를 맞추면서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을 발라스팅(ballasting)하여 중량구조물(10)이 수상의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중량구조물(10)을 진수할 해역으로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을 예인하여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을 가라앉힘과 동시에 중량구조물(10)을 띄우게 된다(S25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안에 인접한 제작장에서 특히 다수개의 케이슨을 제작하여 이동시킬 때는 우선,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에서 제일 가까운 케이슨 1(11)을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재배치하기 위해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S300), 여기서 상기 S200~S240 단계를 밟되 전후 양쪽의 윈치(30)는 모두 지상에 설치되어 있다는 데에서 차이가 있다.
다음으로, 케이슨 1(11)을 지지하도록 다시 반목(20)을 케이슨 1(11)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상기 S300 단계에서 사용된 에어백(70)은 공기를 배출시켜 전부 제거한다(S310).
그 다음으로, 상기 S200~S240 단계와 동일하게 케이슨 1(11)을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에어백(70)을 다시 배열하여 케이슨 1(11)을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 위로 이동시킨다(S320). 여기서,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 위로 이동이 완료된 케이슨 1(11)을 지지하도록 다시 반목(20)을 케이슨 1(11)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상기 S320 단계에서 사용된 에어백(70)은 공기를 배출시켜 전부 제거하거나,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 위로 이동이 완료된 케이슨 1(11)을 직접 지지하고 있지 않은 다수의 에어백(70)만을 제거하여 케이슨 1(11)을 다시 반목(20)위에 거치하게 되면 케이슨이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과 함께 이동시 케이슨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에어백(70) 위에 케이슨이 거치되는 것보다 고정된 반목(20)위에 케이슨이 거치되는 것이 더욱 더 안정적이다.
그 다음으로, 케이슨 2(12) 및 케이슨 3(13)을 순차적으로 상기 S300~S320 단계를 반복하여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80) 위로 이동(S330)시킴으로써, 해상크레인을 이용하여 케이슨을 직접 바지선으로 옮기는 방법은 케이슨의 제작이 바지선의 인접한 위치에서만 가능한 데 비해, 이동에 있어 레일이 필요없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장에서 케이슨의 이동이 전후좌우로 자유로워 제작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케이슨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a, b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과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a, b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 b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을 이용하여 제작장 내의 다수개의 케이슨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중량구조물 11,12,13: 케이슨 1,2,3
20: 반목 30: 윈치
40: 예인선 50: 와이어로프
60: 제작장 지면 70: 에어백
80: 바지선(또는 플로팅 도크) 90: 공기압축기

Claims (4)

  1. (a) 제작장의 지면(60)에 거치되어 있는 반목(20)에 안착되어 있고 수상에 띄울 중량구조물(10)의 전후 양쪽을 와이어로프(50)를 통해 윈치(30)와 예인선(40)에 각각 연결하고, 중량구조물(10)과 지면(60) 사이의 공간과 중량구조물(10)이 진행할 방향에 다수의 에어백(70)을 평행하게 배열하는 단계와;
    (b) 중량구조물(10)과 지면(60) 사이의 공간에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중량구조물(10)이 반목(20)에서 들어올려지고 대신 중량구조물(10)이 에어백(70)에 안착되는 단계와;
    (c) 중량구조물(10)이 안착되어 있었던 반목(20)을 제거하는 단계와;
    (d) 중량구조물(10)의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경우, 중량구조물(10)이 안착되어 있고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서 일정부피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단계 및,
    (e) 지상의 윈치(30)에서는 와이어로프(50)를 풀고 수상의 예인선(40)에서는 와이어로프(50)를 당겨 중량구조물(10)을 수상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진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는 중량구조물(10) 바닥면의 높이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f) 해저면이 제작장의 지면(60)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일정한 경사면을 이루는 경우, 일정한 수심의 수중위치까지 중량구조물(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상의 윈치(30)에서는 와이어로프(50)를 풀고 수상의 예인선(40)에서는 와이어로프(50)를 당김과 동시에 해저면에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도 중량구조물(10) 바닥면의 높이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3. (a) 제작장의 지면(60)에 거치되어 있는 반목(20)에 안착되어 있고 수상에 띄울 중량구조물(10)의 전후 양쪽을 와이어로프(50)를 통해 지상과 바지선(80)의 윈치(30)에 각각 연결하고, 중량구조물(10)과 지면(60) 사이의 공간과 중량구조물(10)이 진행할 방향에 다수의 에어백(70)을 평행하게 배열하는 단계와;
    (b) 중량구조물(10)과 지면(60) 사이의 공간에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중량구조물(10)이 반목(20)에서 들어올려지고 대신 중량구조물(10)이 에어백(70)에 안착되는 단계와;
    (c) 중량구조물(10)이 안착되어 있었던 반목(20)을 제거하는 단계와;
    (d) 중량구조물(10)의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경우, 중량구조물(10)이 안착되어 있고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서 일정부피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단계 및,
    (e) 지상의 윈치(30)에서는 와이어로프(50)를 풀고 바지선(80)의 윈치(30)에서는 와이어로프(50)를 당겨 중량구조물(10)을 수상의 바지선(80)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진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에어백(70)에는 중량구조물(10) 바닥면의 높이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f) 중량구조물(10)이 수상의 바지선(80)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중량구조물(10)을 진수할 해역으로 바지선(80)을 예인하여 바지선(80)을 가라앉힘과 동시에 중량구조물(10)을 띄우는 단계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KR1020080105919A 2008-10-28 2008-10-28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KR100940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919A KR100940795B1 (ko) 2008-10-28 2008-10-28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919A KR100940795B1 (ko) 2008-10-28 2008-10-28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795B1 true KR100940795B1 (ko) 2010-02-04

Family

ID=4208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919A KR100940795B1 (ko) 2008-10-28 2008-10-28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79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4101A (zh) * 2011-11-19 2012-04-25 南通贝斯特船舶与海洋工程设计有限公司 船舶利用气囊下水的工艺
CN103803036A (zh) * 2012-11-14 2014-05-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大型船舶利用气囊下水的工艺
KR101496779B1 (ko) * 2014-05-12 2015-02-27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에어백 기둥을 이용한 선박의 진수 방법
KR101506960B1 (ko) * 2014-05-19 2015-03-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수방법
CN106703060A (zh) * 2017-03-01 2017-05-24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沉井气囊法下水的结构及基于该结构的下水方法
RU2679702C1 (ru) * 2018-06-22 2019-02-12 Михаил Иосифович Трибельский Способ перемещения судов
CN110939145A (zh) * 2019-11-12 2020-03-31 中国铁建大桥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台风区潮汐往复流条件下双壁钢吊箱围堰下水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0190A (ja) * 1989-05-23 1990-12-25 Mitsubishi Heavy Ind Ltd 船室ユニットの据付け方法
JPH0737891U (ja) * 1993-12-21 1995-07-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傾斜可能船台
JPH07187069A (ja) * 1993-12-27 1995-07-25 Jatec Kk 船舶の進水方法及び装置
US6637975B2 (en) 2001-04-03 2003-10-28 Robert D. Foxwell Watercraft ra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0190A (ja) * 1989-05-23 1990-12-25 Mitsubishi Heavy Ind Ltd 船室ユニットの据付け方法
JPH0737891U (ja) * 1993-12-21 1995-07-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傾斜可能船台
JPH07187069A (ja) * 1993-12-27 1995-07-25 Jatec Kk 船舶の進水方法及び装置
US6637975B2 (en) 2001-04-03 2003-10-28 Robert D. Foxwell Watercraft ramp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4101A (zh) * 2011-11-19 2012-04-25 南通贝斯特船舶与海洋工程设计有限公司 船舶利用气囊下水的工艺
CN103803036A (zh) * 2012-11-14 2014-05-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大型船舶利用气囊下水的工艺
KR101496779B1 (ko) * 2014-05-12 2015-02-27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에어백 기둥을 이용한 선박의 진수 방법
KR101506960B1 (ko) * 2014-05-19 2015-03-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수방법
CN106703060A (zh) * 2017-03-01 2017-05-24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沉井气囊法下水的结构及基于该结构的下水方法
RU2679702C1 (ru) * 2018-06-22 2019-02-12 Михаил Иосифович Трибельский Способ перемещения судов
CN110939145A (zh) * 2019-11-12 2020-03-31 中国铁建大桥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台风区潮汐往复流条件下双壁钢吊箱围堰下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795B1 (ko) 에어백을 이용한 중량구조물의 이동 및 진수방법
TWI314536B (en) Method for building ship on ground and launching ship using skid launching system
CN107653895B (zh) 一种组合式海上六浮筒浮箱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49891B1 (ko) 육상건조된 선박의 횡방향 진수공법과 그 장치
EP3209548B1 (en) Method for transporting a buoyant structure with a vessel, and the vessel associated with the method
CN107630461B (zh) 一种组合式海上四浮筒浮箱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CN102322062B (zh) 一种桶式防波堤基础桶体的搬运及安装工艺
CN108755644B (zh) 用于潮间带登陆电缆牵拉的中转平台及其安装方法
US6244786B1 (en) Method for offshore load transfer operations and, a floater for offshore transport installation and removal of structural elements
KR20120057993A (ko) 선박의 육상수리공법
CN107268649B (zh) 一种提高筒型基础的浮运水封与负压下沉稳定性的装置
JP6890178B2 (ja) 港湾プラント、及び港湾プラントに浮体を係留するための方法
WO2015136086A1 (en)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CN103332271A (zh) 一种吹砂用可行进式浮动平台
CN113482004A (zh) 一种海上多筒导管架基础及其风电整机码头下水施工方法
GB2501459A (en) Platform removal and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flotation and stabilization units
CN216739456U (zh) 一种码头施工装置
CN201280218Y (zh) 自牵引移动升船和移船的锚碇系统
CN218949450U (zh) 一种漂浮式风机基础下水用的组合吊运系统
JP2006182296A (ja) スキッドランチングシステムを用いた陸上船舶建造及び進水方法
US202203559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ack structure for a transport vessel adapted for use with an offshore self-elevating vessel
CN113931070B (zh) 一种海域浅水区高潮差码头卸梁方法
KR102631910B1 (ko)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
CN115434296B (zh) 一种防冲刷沉降的海上升压站的施工方法
CN202244020U (zh) 用于抬船液压小车横向移动的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