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782A -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782A
KR20050090782A KR1020040016026A KR20040016026A KR20050090782A KR 20050090782 A KR20050090782 A KR 20050090782A KR 1020040016026 A KR1020040016026 A KR 1020040016026A KR 20040016026 A KR20040016026 A KR 20040016026A KR 20050090782 A KR20050090782 A KR 20050090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ain body
manual focus
ke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782A/ko
Publication of KR2005009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78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6Bodies for containing both motion-picture camera and still-picture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노브가 베이스판에 대해 수직으로 회전하는 수동초점키를 렌즈의 일측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킨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는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매체가 수납되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렌즈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제어부와,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가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하는 촬영버튼, 및 본체를 받치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이 편리하도록 상기 렌즈의 일측 본체에 설치되며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수동초점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Manual Focus Key}
본 발명은 렌즈의 초점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노브가 베이스판에 대해 수직으로 회전하는 수동초점키를 렌즈의 일측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킨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시판되고 있는 대다수의 카메라나 캠코더와 같은 영상촬영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자동초점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초점기능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어두운 촬영대상을 촬영하거나, 한쪽으로 치우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등에는 초점이 맞지 않아 영상이 흐리게 촬영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초점을 수동으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수동초점키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수동초점키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의 일예로서 캠코더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렌즈(10)를 맞추면 캠코더의 자동초점기능에 의해 피사체에 대하여 렌즈(10)의 초점이 자동으로 맞추어 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버튼만을 누르면 초점이 맞은 명확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피사체에 대하여 렌즈(10)의 초점을 수동으로 맞추고자 할 경우에는 수동초점기능 선택버튼(30)을 누른다. 그러면, 수동초점키(20)의 회전노브(21)를 돌려서 렌즈(10)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수동초점키(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노브(21)가 회로기판(23)에 대하여 평행하게 회전하는 수평형 스크롤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는 수동초점키(20)가 장치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동초점키(20)의 회전노브(21)를 돌려가면서 렌즈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작이 가장 편리한 위치에 설치된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베이스판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노브를 갖는 수동초점키를 사용함으로써 조작성 향상과 함께 더욱 소형화된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매체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하는 촬영버튼; 및 상기 본체를 받치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이 편리하도록 상기 렌즈의 일측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수동초점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수동초점키는 상기 렌즈의 왼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동초점키는 상기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회전노브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베이스판에 대해 수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동초점키는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된 영상이 기록되는 저장매체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동영상을 촬영하는 캠코더 렌즈; 상기 본체 전면에서 상기 캠코더 렌즈의 아래에 설치되며,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들중 선택된 하나의 렌즈로 촬영을 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렌즈들중 하나의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하는 촬영버튼; 및 상기 본체를 받치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이 편리하도록 상기 카메라 렌즈의 일측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수동초점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수동초점키는 상기 카메라 렌즈의 왼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동초점키는 상기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회전노브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베이스판에 대해 수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동초점키는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수동초점키가 렌즈의 일측면에 조작이 편리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예를 들면, 오른손잡이용의 영상촬영장치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는 오른손으로 촬영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영상촬영장치 본체의 오른쪽 측면을 잡고 왼손으로는 영상촬영장치 본체의 바닥을 잡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수동초점키가 본체를 받치는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닿는 위치, 즉 영상촬영장치의 앞쪽이면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렌즈의 오른쪽편에 설치될 때, 사용자는 수동초점키를 가장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왼손잡이용의 영상촬영장치인 경우에는 반대로 영상촬영장치의 앞쪽이면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렌즈의 왼쪽편에 설치되는 것이 조작이 편리하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카메라 렌즈와 캠코더 렌즈를 갖는 캠코더가 도시되어 있고, 도 4는 도 3의 캠코더를 전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 즉 카메라 렌즈와 캠코더 렌즈를 갖는 캠코더(이하, '듀얼 캠코더'라 함)는 수동초점키가 본체의 앞쪽이고, 그리고 전면에서 보았을 때 카메라 렌즈의 왼쪽편에 설치되어 있다.
듀얼 캠코더는 본체(100)와,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캠코더 렌즈(110)와, 정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120)와, 동영상 촬영과 정지영상 촬영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스위치(130)와, 디스플레이수단(140), 제어부(미도시) 및 수동초점키(160)를 포함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기록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장착/탈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저장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저장매체로는 하드디스크, 메모리 스틱, DVD, 테이프 카세트등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저장장치는 사용되는 저장매체에 따라 그 저장매체를 본체에 장착/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됨은 당연하다. 본체에 저장매체를 장착/탈착하는 저장장치의 기술은 일반적인 캠코더에 적용되는 것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체(100)의 상면에는 플래시(101)가 설치되며, 플래시(101)의 후방에는 외부의 음향을 취득하기 위한 마이크 유닛(103)이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후면에는 영상처리장치의 동작용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05)가 배터리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다.
캠코더 렌즈(110)는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며, 캠코더 렌즈(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캠코더 렌즈(110)의 뒤쪽 본체(100) 내부에 마련된 캠코더 영상센서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저장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카메라 렌즈(120)는 본체(100)의 전면에 캠코더 렌즈(110)의 아래에 설치되며, 카메라 렌즈(120)로 촬영된 영상은 카메라용 영상센서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 된 후 본체(100)의 저장매체에 기록된다.
디스플레이수단(140)은 캠코더 렌즈(110)와 카메라 렌즈(1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해 주는 것으로서, 본체(100)의 후단에 마련된 뷰파인더(141)와,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판넬(14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판넬(142)은 통상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뷰파인더(141)와 액정표시장치(142)는 일반적인 캠코더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상기한 모드 선택스위치(13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동영상촬영인지 정지영상촬영인지를 인식하고, 선택된 촬영모드에 대응되도록 캠코더 렌즈(110) 또는 카메라 렌즈(120)를 구동시킨다. 즉, 모드 선택스위치(130)가 동영상 모드로 선택되면 캠코더 렌즈(110)를 구동시키고, 모드 선택스위치(130)가 정지영상 모드이면 카메라 렌즈(120)를 구동시킨다. 제어부에는 키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제어테이터가 입력되고 세팅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캠코더 영상센서와 카메라 영상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00)의 상측에 마련된 촬영버튼(107)이 눌리면, 제어부는 모드 선택스위치(130)에 의해 선택된 촬영모드에 따라 각각의 영상처리부를 제어하여 캠코더 렌즈(110)나 카메라 렌즈(120)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매체에 기록하며, 또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수단(140)의 뷰파인더(141)나 디스플레이 판넬(142)로 출력한다.
수동초점키(160)는 본체(100)의 앞쪽이며, 전면에서 보았을 때 카메라 렌즈(120)의 오른쪽편에 설치된다. 수동초점키(160)는 오른손잡이인 사용자가 왼손으로 듀얼 캠코더의 본체(100)를 받치는 경우에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놓이는 곳에 설치된다. 수동초점키(160)는 옆에 설치된 기능선택용 버튼(168)을 누름에 따라 수동초점을 조절하는 키의 기능과 디스플레이 판넬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스크롤하는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동초점키(160)를 누르면 스크롤하는 메뉴중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엔터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수동초점키(160)로는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가 사용된다.
이러한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의 일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는 베이스판(161)과, FPC(162)와, 수직형 회전스위치(163)와, 수직형 회전스위치(163)를 돌리는 회전노브(164)와, 상기 회전노브(164)에 의해 눌리는 제1택트 스위치(165)와, 상기 회전노브(164)의 회전을 지지하는 홀더(166)와, 기능선택스위치인 제2택트 스위치(167)와, 상기 제2택트 스위치(167)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스크롤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168)을 포함한다.
베이스판(161)은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160)의 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강성이 있는 재질로 성형되며, 캠코더 본체(1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멍등이 형성되어 있다.
FPC(162)는 Flexible Printed Circuit의 약자로 유연성 있는 재질에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베이스판(161)의 위에 조립된다. 또한, FPC(162) 상에는 수직형 회전스위치(163)와 제1택트 스위치 및 제2택트 스위치(167)가 동일 직선상에 조립되어 있다.
수직형 회전스위치(163)는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회전 중심축이 FPC(162)의 표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FPC(162) 상에 결합되어 있다. 회전노브(164)와의 결합을 위해 수직형 회전스위치(163)는 그 중심부에 6각형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 부분은 일반적으로 스크롤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스위치들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노브(164)는 중앙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양측으로 돌설된 2개의 회전축으로 구성된다. 수직형 회전스위치(163)와 결합되는 회전축은 수직형 회전스위치(163)의 관통구멍에 대응되는 6각형의 단면을 갖는 6각형축으로 성형된다. 회전노브(164) 타측의 회전축은 홀더(166)에 의해 몸통의 회전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원형단면을 갖는 원형축으로 성형된다.
제1택트 스위치(165)는 회전노브(164)의 원형축 아래에 위치하도록 FPC (162)상에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노브(164)가 눌리면 원형축에 의해 제1택트 스위치(165)가 눌려 동작하게 된다.
홀더(166)는 제1택트 스위치(165)의 상측에서 회전노브(164)의 원형축의 회전을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노브(164)가 눌림에 따라 원형축이 상하로 이동하는 동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에는 홀더(166)를 베이스판(161)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마련되어 있다.
제2택트 스위치(167)는 회전노브(164)와 제1택트 스위치(165)를 잇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FPC(162) 상에 설치되며, 베이스판(161)에 고정된 버튼(168)에 의해 눌리게 된다. 버튼(168)은 베이스판(161)에 고정되는 고정부(168a)와 고정부(168a)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택트 스위치(167)를 누르는 누름부(168b)로 구성된다. 버튼(168)의 고정부(168a)는 스크롤키(160)를 소형화시키기위해 회전노브(164)와 홀더(166) 사이에 설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누름부(168b)는 캠코더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제2택트 스위치(170)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버튼 고정부(168a)의 하부에는 버튼을 베이스판(161)에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160)는 베이스판(161)에 회전스위치(163), 제1 및 제2택트 스위치(165,167), 및 제2택트 스위치(167)를 작동시키는 버튼(168)이 일체로 조립되어 있고, 회전스위치(163)를 돌리는 회전노브(164)가 베이스판(161)과 수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고 베이스판(161)을 조립하는 것만으로 듀얼 캠코더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듀얼 캠코더로 촬영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으로는 캠코더의 본체(100) 오른쪽을 잡고 왼손으로는 캠코더 본체(100)의 밑면을 받치게 된다. 그리고 정지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드 선택스위치(130)를 정지영상으로 놓고 카메라 렌즈(120)를 피사체로 향한 후 촬영버튼(107)을 누르면 된다. 이때, 사용자가 수동으로 카메라 렌즈(120)의 초점을 조절하고 싶은 경우에는 수동초점키(160)의 일측에 있는 버튼(168)을 누르면 기능선택스위치인 제2택트 스위치(167)가 동작하여 수동초점 조절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판넬(142)이나 뷰파인더(141)로 피사체를 확인하면서 수동초점키(160)의 회전노브(164)를 돌려 렌즈(120)의 초점을 조절하면 된다. 이때, 수동초점키(160)의 회전노브(164)가 캠코더 본체(100)를 받치고 있는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놓이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회전노브(164)를 돌리는 조작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만일,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고 싶은 경우에는 수동초점키(160)의 버튼(168)을 다시 눌러 주면된다.
또한, 자동초점모드에서는 수동초점키(160)를 디스플레이 판넬(142)에 디스플레이되는 여러 기능메뉴를 스크롤하고 선택하는 키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는 수동초점키(160)의 회전노브(164)를 돌리면 디스플레이 판넬(142)에 출력된 메뉴화면에서 메뉴선택 커서가 메뉴에서 메뉴로 이동하게 된다. 메뉴선택 커서의 이동방향은 회전노브(164)의 회전방향에 따라 정해진다. 특정 메뉴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전노브(164)를 이용하여 메뉴선택 커서를 원하는 메뉴위에 위치시키고 회전노브(164)를 아래로 누르면 그 메뉴가 선택된다. 즉, 수동초점키(160)가 엔터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에 의하면, 수동초점키가 조작성이 가장 좋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촬영장치의 초점을 수동으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는 베이스판에 대해 수직으로 회전하는 회전노브를 갖는 수동초점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장치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수동초점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를 전면에서 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에서 수동초점키로 사용되는 스크롤키의 일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에서 수동초점키를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01; 플래시
105; 배터리 107; 촬영버튼
110; 캠코더 렌즈 120; 카메라 렌즈
130; 모드 선택스위치 140; 디스플레이수단
141; 뷰파인더 142; 디스플레이 판넬
160; 수동초점키 161; 베이스판
162; FPC 163; 수직형 회전스위치
164; 회전노브 165; 제1택트 스위치
166; 홀더 167; 제2택트 스위치
168; 버튼

Claims (8)

  1.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매체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하는 촬영버튼; 및
    상기 본체를 받치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이 편리하도록 상기 렌즈의 일측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수동초점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초점키는 상기 렌즈의 왼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초점키는 상기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회전노브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베이스판에 대해 수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초점키는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5. 촬영된 영상이 기록되는 저장매체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동영상을 촬영하는 캠코더 렌즈;
    상기 본체 전면에서 상기 캠코더 렌즈의 아래에 설치되며,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들중 선택된 하나의 렌즈로 촬영을 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렌즈들중 하나의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하는 촬영버튼; 및
    상기 본체를 받치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이 편리하도록 상기 카메라 렌즈의 일측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수동초점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초점키는 상기 카메라 렌즈의 왼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초점키는 상기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는 회전노브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베이스판에 대해 수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초점키는 기능선택스위치를 구비한 스크롤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KR1020040016026A 2004-03-10 2004-03-10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KR20050090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026A KR20050090782A (ko) 2004-03-10 2004-03-10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026A KR20050090782A (ko) 2004-03-10 2004-03-10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782A true KR20050090782A (ko) 2005-09-14

Family

ID=3727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026A KR20050090782A (ko) 2004-03-10 2004-03-10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7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617B1 (ko) * 2005-12-20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617B1 (ko) * 2005-12-20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6789B2 (en) Multi-function input switch and photographing apparatus therewith
US7526195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wo display panel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575270A1 (en) A camera apparatus having a still camera element and a camcorder element
US20050254358A1 (en) Heat radiating structure of a digital camera
US20060078324A1 (en) Digital camera
JPH0865566A (ja) 撮像装置
US7477318B2 (en) Manual operational member positioning on rotatable grip of digital camera
JP4488088B2 (ja) スチルカメラ
JP4397058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3266092B2 (ja) 電子カメラ
JP4530689B2 (ja) カメラのダイヤル切替装置
JP4064877B2 (ja) 複数表示画面を有するデジタルカメラ
JP2006304002A (ja) 操作装置、該操作装置を備える撮像装置
JP2807616B2 (ja) モニタ付きカメラ一体型記録装置
KR20050090782A (ko)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JP3282622B2 (ja) 電子カメラ
JP2007097152A (ja) 撮影装置
JP2007279396A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07049381A (ja) 撮影装置
JPH1013722A (ja) カメラ
JP3347048B2 (ja) モニタ付きカメラ一体型記録装置
JP2003005266A (ja) カメラ
JP4266750B2 (ja) 電子カメラ
JP2766625B2 (ja) モニタ付きカメラ一体型記録装置
JP4564865B2 (ja) 撮影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