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617B1 -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617B1
KR100730617B1 KR1020050126393A KR20050126393A KR100730617B1 KR 100730617 B1 KR100730617 B1 KR 100730617B1 KR 1020050126393 A KR1020050126393 A KR 1020050126393A KR 20050126393 A KR20050126393 A KR 20050126393A KR 100730617 B1 KR100730617 B1 KR 100730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knob
knob
mode
rotation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는 본체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선택 노브; 상기 선택 노브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작동돌기를 구비한 노브 홀더;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온/오프되는 모드 스위치가 설치된 스위칭 기판; 및 상기 선택 노브의 회전동작에 의해 소정의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선택 노브를 회전 복원시키는 복원유닛;을 포함한다.
영상촬영장치, 캠코더, 모드, 노브, 스위치. 스프링

Description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MODE SWITCH APPARATUS FOR IMAGE PHOTOGRAPH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모드 전환장치의 외측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모드 전환장치의 내측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4a 내지 도 6b는 본 발명 모드 전환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케이스 10 : 선택 노브
11 : 리브 20 : 노브 홀더
21 : 작동돌기 22 : 걸림돌기
25 : 스크류 30 : 스위칭 기판
31 : 전원 스위치 32 : 모드 스위치
40 : 판스프링 50 : 구속유닛
51 : 록버튼 52 : 코일스프링
60 : 복원유닛
본 발명은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캠코더와 같은 영상촬영장치는 전원 온/오프, 스틸 이미지 촬영, 기록, 재생 등과 같은 서로 다른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다. 일반적인 모드 전환장치는 본체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선택 노브를 각각의 모드에 대응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모드 전환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모드 전환장치는 모드 전환을 위해 선택 노브를 회전시킨 후 다시 반대방향으로 수동 회전시켜야 하는 등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구성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모드 전환이 용이하며, 구성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한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는, 본체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선택 노브; 상기 선택 노브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작동돌기를 구비한 노브 홀더;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온/오프되는 모드 스위치가 설치된 스위칭 기판; 및 상기 선택 노브의 회전동작에 의해 소정의 모드로 전환된 후 상기 선택 노브를 회전 복원시키는 복원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복원유닛은, 상기 본체 케이스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며, 일단이 상기 선택 노브에 형성된 리브에 의해 이동되도록 설치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모드 전환장치는 상기 선택 노브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선택 노브에 설치되며,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스와 록 또는 해제되는 록버튼; 및 상기 록버튼을 탄성지지하도록 설치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모드 전환장치는 상기 노브 홀더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판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모드 전환장치의 외측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 모드 전환장치의 내측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는 선택 노브(10), 노브 홀더(20), 스위칭 기판(30), 판스프링(40), 구속유닛(50) 및 복원유닛(60) 등을 구비한다.
상기 선택 노브(10)는 전원 온/오프 모드, 스틸 이미지 촬영 모드, 기록 모드 및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전환을 위해 본체 케이스(1)의 외측에 마련된 장착홈(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선택 노브(10)는 회전시 후술할 토션 스프링의 일단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리브(도 4a의 도면부호 11)를 구비한다. 선택 노브(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록버튼(51)이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버튼홀(10a)이 형성된다.
상기 노브 홀더(20)는 선택 노브(10)의 회전축에 스크류(25)로 고정되며, 본체 케이스(1)의 내측에 위치된다. 노브 홀더(20)는 외주면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작동돌기(21)가 마련되며, 타측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22)가 마련된다.
상기 스위칭 기판(30)은 일반적인 PCB로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다. 스위칭 기판(30)에는 작동돌기(21)에 의해 온/오프되는 전원 스위치(31)와, 모드 스위치(3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판스프링(40)은 선택 노브(10)의 회전시 노브 홀더(20)의 걸림돌기(22)가 접촉되도록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속유닛(50)은 록버튼(51) 및 코일스프링(52) 등을 포함하며, 선택 노브(10)의 회전을 구속한다. 록버튼(51)은 누름동작에 의해 본체 케이스(1)와 록 또는 해제되도록 선택 노브(10)의 버튼홀(10a)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된다. 코일스프링(52)은 록버튼(51)을 반경방향으로 탄성지지하도록 록버튼(51)과 스크류(25)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복원유닛(60)은 본체 케이스(1) 장착홈(1a)의 중앙 축홀(1') 주변에 돌 출형성된 지지돌기(3)에 의해 양단이 각각 지지되며, 일단(60a, 도 4a 참조)이 선택 노브(10)의 리브(11)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 토션 스프링은 선택 노브(10)의 회전동작에 의한 소정의 모드 전환 후, 선택 노브를 회전 복원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는,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노브(10)가 록버튼(51)에 의해 록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이 구속됨으로써, 선택 노브(10)의 오동작이 방지된다. 이때 노브 홀더(20)의 작동돌기(21)는 스위칭 기판(30)의 전원 스위치(31)를 눌러 전원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드 전환장치는 록버튼(51)을 눌러 록 해제되면 선택 노브(10)는 회전이 가능하다. 선택 노브(1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선택 노브(10)에 축결합된 노브 홀더(20)도 회전된다. 이에 따라, 노브 홀더(20)의 작동돌기(21)는 전원 스위치(31)의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전원 온 상태가 된다. 이때, 노브 홀더(20)의 걸림돌기(22)는 판스프링(40)의 걸림턱(42)에 의해 접촉 회전됨으로써, 사용자는 선택 노브(10)를 회전시 안정된 클릭감을 느길 수 있다. 선택 노브(1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선택 노브(10)의 내측에 구비된 리브(11)는 토션 스프링의 일단(60a)에 근접한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드 전환장치는 모드 전환을 위해 전원 온 상태에서 선택 노브(10)를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리브(11)가 토션 스프링의 일단(60a)을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 토션 스프링을 압축시킨 다. 선택 노브(10)를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면 노브 홀더(20)도 함께 회전되면서 작동돌기(21)가 모드 스위치(32)를 작동시킨다. 모드 스위치(32)가 작동되어 스위칭 신호가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되면, 제어부에 의해 소정의 모드, 예컨대 스틸 이미지 촬영 모드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선택 노브(10)를 회전시켜 이미지 촬영 모드 전환이 이루어진 후 선택 노브(10)를 놓으면 압축된 토션 스프링의 일단(60a)은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된다. 토션 스프링의 일단(60a)이 시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리브(11)도 시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선택 노브(10)는 회전 복원된다. 즉, 압축된 토션 스프링이 팽창되면서 선택 노브(10)는 자동으로 회전 복원된다. 한편, 도 5a 내지 6b에 도시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스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다른 모드, 예컨대 기록 모드, 재생 모드 등으로의 모드 전환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 노브의 회전동작에 의한 소정의 모드 전환 후, 상기 선택 노브가 자동으로 회전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모드 전환이 용이하다.
또한, 모드 전환장치의 구성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함 으로써, 조립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단가도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본체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선택 노브;
    상기 선택 노브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작동돌기를 구비한 노브 홀더;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온/오프되는 모드 스위치가 설치된 스위칭 기판; 및
    상기 선택 노브의 회전에 의한 소정의 모드 전환 후, 상기 선택 노브를 자동으로 회전 복원시키는 복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유닛은,
    상기 선택 노브의 회전시 상기 선택 노브에 돌출형성된 리브에 의해 압축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노브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선택 노브에 설치되며, 누름동작에 따라 상기 본체 케이스와 상기 선택 노브를 록킹하거나 해제하는 록버튼; 및
    상기 록버튼을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홀더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KR1020050126393A 2005-12-20 2005-12-20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KR100730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393A KR100730617B1 (ko) 2005-12-20 2005-12-20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393A KR100730617B1 (ko) 2005-12-20 2005-12-20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617B1 true KR100730617B1 (ko) 2007-06-21

Family

ID=3837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393A KR100730617B1 (ko) 2005-12-20 2005-12-20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6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928A (ko) * 2003-07-24 2005-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기기의 줌스위치 장치
KR20050090782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KR20050090887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928A (ko) * 2003-07-24 2005-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기기의 줌스위치 장치
KR20050090782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동초점키를 갖는 영상촬영장치
KR20050090887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 및 그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9478B2 (en) Media playing device
US20030153284A1 (en) Fold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JPH02111175A (ja) テレビカメラのレンズマウント切換機構
US7868945B2 (en) Function key assembly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JP2006032118A (ja) 回転式入力装置
CN110515422B (zh) 功能组件旋转复位装置及电子设备
KR100730617B1 (ko) 영상촬영장치의 모드 전환장치
JP2007256318A (ja) レンズシフト機構と投射型表示装置
US7826204B2 (en) Media playing device
JP2004146163A (ja) 防水型電子機器のスイッチ構造
US11016370B2 (en) Gripp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gripping device
JP4207889B2 (ja) 操作部構造
WO2006115070A1 (ja) アンテナ装置
JP2006024424A (ja) 操作つまみ
JP2004327218A (ja) クリック付きセレクト機構および電子機器
CN218762587U (zh) 一种云台
TWI505065B (zh) 電子裝置
CN101990012A (zh) 便携式电子装置
JP4829560B2 (ja) 操作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JP3353343B2 (ja) カメラのスイッチ機構
JP4352602B2 (ja) カメラ用防水ケース
JP2008311102A (ja) 携帯電子機器のスイッチ作動用ゴムキーの防水構造
JPH0698216A (ja) カメラのレンズカバー開閉機構
JPH07236078A (ja) カメラのスイッチ機構
JP4219233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