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734A -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 - Google Patents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734A
KR20050090734A KR1020040015942A KR20040015942A KR20050090734A KR 20050090734 A KR20050090734 A KR 20050090734A KR 1020040015942 A KR1020040015942 A KR 1020040015942A KR 20040015942 A KR20040015942 A KR 20040015942A KR 20050090734 A KR20050090734 A KR 20050090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tire
folding member
snow chain
rubb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변수
Original Assignee
김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변수 filed Critical 김변수
Priority to KR102004001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734A/ko
Publication of KR2005009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73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21V21/045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being tensioned by translation of parts, e.g. by pushing or pu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자중에 의해 클램프의 길이를 변형시켜 자동으로 스노우체인이 타이어에 밀착되게 함으로서 승용차의 승차감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장착시간을 단축하게 하는 스노우체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은, 다수의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를 타이어에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로 구성된 스노우체인에 있어서, 십자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네단부 각각에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네 단부에 설치된 절첩부재의 일측단부에는 삽입구가 형성된 사각형의 베어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클램프와; 단면이 사각형으로 상기 클램프의 상부절첩부재, 좌측절첩부재 또는 우측절첩부재, 하부절첩부재에 형성된 삽입구에 순차적으로 삽통되는 제 1 및 제 2 조임줄과; 타이어의 외주면과 일측면을 파지하도록 "ㄱ"자로 구부려져 지면에 닿아 마찰을 발생시키며, 타이어의 일측과 이에 대향되는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클램프와 다른 클램프 사이의 제 1및 제2 조임줄에는 연결고리로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의 좌우측 절첩부재에는 조임와이어로 결합되는 고무패드와; 타이어에 체결시 타이어의 측면에 위치하여 원형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양 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고리에 의해 고무패드의 단부에 결합된 연장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고정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스노우체인은, 절첩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를 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장착하여, 자동차 구동시 구부려져 있는 클램프가 자동차의 하중을 받아 펴지게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조임줄 및 조임와이어를 당겨서 상기 조임줄 및 조임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고무패드가 타이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노우체인을 자동차의 타이어에 장착하고 구동하게 되면 자동차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고무패드가 타이어에 밀착됨으로, 스노우체인에 의한 진동이 감소되고 장착이 용이한 스노우체인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Snow-chain using Clamp}
본 발명은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자중에 의해 클램프의 길이를 변형시켜 자동으로 스노우체인이 타이어에 밀착되게 함으로서 승용차의 승차감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장착시간을 단축하게 하는 스노우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눈이 많이 쌓이거나 빙판길에는 타이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스노우체인을 장착하여 사용한다. 상기 스노우체인은 지면에 직접 접하는 패드와 상기 패드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줄 및 스노우체인을 타이어에 밀착시키기 위한 조임줄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의 스노우체인은 스노우체인을 바닥에 펴 놓고 차를 일정길이 진행시킨 후 스노우체인의 양단부를 결합하고 조임줄을 당겨 자동차의 타이어에 스노우체인을 밀착시킴으로서 장착이 완료된다.
상기 스노우체인이 자동차의 타이어에 밀착설치되지 않으면 스노우체인의 패드 유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어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되며, 주행시 스노우체인에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지 못하고 특정부위에 집중되어 그 부분이 파손됨에 따라 안전주행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0335593호에서는 래치조임구를 이용하여 조임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노우체인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스노우체인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양측으로 구비된 두 개의 결박줄과 상기 두 개의 결박줄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미끄럼방지구(910)와 상기 미끄럼방지구가 타이어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외측 결박줄을 당겨 조여주는 줄조임구로 이루어진 스노우체인에 있어서, 상기 줄조임구는 결속클립에 의하여 폐곡선을 이루게 형성한 조임줄(920)과, 상기 조임줄에 구비되어서 외측 결박줄에 걸이 결속되는 다수의 걸고리(940)와, 상기 조임줄의 일측을 구속하여 외측결박 줄에 조임력이 작용되게 권취하는 래치조임구(93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줄(920)에 결합되어 있는 래치조임구(930)를 조작하여 조임줄을 조절하는 것으로, 래치휠(931)에 형성된 결합부(932)에 공구(950)를 삽입하여 일방향으로 돌리게되면 래치휠(931)에 결합된 조임줄(920)이 감기게되고 톱니형상의 래치휠(931)에 치합된 래치(933)에 의해 조임줄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스노우체인을 타이어에 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자가 종래의 스노우체인을 결합하는 방법에 래치휠을 회전시켜 조임줄을 감기게 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게 하는 등 번거로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면과 접하는 스노우체인 부분에 절첩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를 장착하여, 자동차 구동시 구부려져 있는 클램프가 자동차의 하중을 받아 펴지게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조임줄 및 조임와이어를 당겨서 상기 조임줄 및 조임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고무패드가 타이어에 밀착되도록 하는 등, 장착이 용이하고 자동으로 고무패드를 타이어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스노우체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은,
다수의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를 타이어에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로 구성된 스노우체인에 있어서, 십자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네단부 각각에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네 단부에 설치된 절첩부재의 일측단부에는 삽입구가 형성된 사각형의 베어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클램프와; 단면이 사각형으로 상기 클램프의 상부절첩부재, 좌측절첩부재 또는 우측절첩부재, 하부절첩부재에 형성된 삽입구에 순차적으로 삽통되는 제 1 및 제 2 조임줄과; 타이어의 외주면과 일측면을 파지하도록 "ㄱ"자로 구부려져 지면에 닿아 마찰을 발생시키며, 타이어의 일측과 이에 대향되는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클램프와 다른 클램프 사이의 제 1및 제2 조임줄에는 연결고리로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의 좌우측 절첩부재에는 조임와이어로 결합되는 고무패드와; 타이어에 체결시 타이어의 측면에 위치하여 원형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양 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고리에 의해 고무패드의 단부에 결합된 연장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고정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는, 스노우체인 내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조임줄에 장착됨으로서 조임줄을 마름모형상으로 벌려주는 장치이며, 등간격으로 설치되거나, 스노우체인의 크기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를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일정한 경사로 결합되어 있는 절첩부재로 구성되어 있어 자동차의 하중을 받아 굽혀져 있는 몸체와 절첩부재가 펴지면서 마름모형상의 조임줄을 더 크게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클램프는 상하좌우의 4개의 절첩부재가 결합된 형태 또는 조임줄의 좌우 2개만 결합된 형태 및 상하좌우와 대각선방향으로 8개의 절첩부재가 결합되는 형태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고무패드는 지면과 맞닿는 "ㅡ"부분과 타이어의 측면에 접하는 "ㅣ"부분이 일체로 형성된 "┓" 또는 "┗"형태로 타이어의 측면을 파지하며, 마름모형상의 조임줄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결합된다. 이때 클램프가 장착되어 있는 조임줄 부분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즉, 우측에 위치하는 고무패드의 일측에 결합된 와이어는 이에 대향되는 클램프의 좌측 절첩부재 베어링부에 결합되고, 좌측에 위치하는 고무패드의 일측에 결합된 와이어는 이에 대향되는 클램프의 우측 절첩부재 베어링부에 결합됨으로서 클램프가 펴지면 고무패드를 타이어에 밀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고무패드에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면과 접하는 고무패드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스파이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는 통상의 나사를 사용하거나, 고무돌기 등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줄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고무패드 대신 조임줄과 동일한 줄을 상기 조임줄의 양측면에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와이어만으로 형성된 스노우체인과 유사하게 폐타이어를 절단한 줄을 이용하여 스노우체인을 형성하고 자동차의 타이어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에 클램프를 장착한 형태로 스노우체인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절첩부재는, 타이어와 접하는 방향이 개구된 "┗┛"형태로, 조임줄이 내측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절첩부재는 상술한 사각통홈 형태 이외에 원통홈, 삼각통홈, 육각통홈 및 칸막이형의 사각통홈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줄과 이에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고무패드 사이에는, 조임줄을 일정각으로 굴곡시키기 위해 내측에 홈이 형성된 굴곡편(片)을 더 설치한다. 상기 굴곡편은 홈이 형성된 내측이 두께가 얇고 양측면이 두껍게 되어 있으므로, 일단 연결고리에 삽입되면 양측면이 고리에 걸리게 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스노우체인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스노우체인의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클램프를 부분절단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의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를 타이어에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로 구성된 스노우체인에 있어서, 다수의 클램프(20), 제1 및 제2조임줄(30, 30'), 고무패드(40) 및 고정줄(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조임줄(30, 30')은 단면이 사각형으로 신축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제나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형성하며, 양단부에는 서로 체결할 수 있는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체결수단을 형성하지 않고 조임줄(30, 30')을 밀착고정시키는 클립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같은 조임줄(30, 30')에는 조임줄을 늘리거나 줄이기 위한 클램프(20)가 등간격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클램프(20)는 도시된 등간격 이외에 하나 또는 다수개를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20)는 십자형태의 본체(21)와, 상기 본체의 네단부 각각에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첩부재(22)로 구성되며, 상기 네 단부에 설치된 절첩부재(22)의 일측단부에는 삽입구(25)가 형성된 사각형의 베어링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부(23)에 형성된 삽입구(25)는 상술한 제1 및 제2조임줄(30, 30')이 순차적으로 삽통되는 것으로 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조임줄(30)은 클램프의 상부절첩부재, 좌측절첩부재, 하부절첩부재에 형성된 삽입구(25)에 순차적으로 삽통되고, 제2조임줄(30')은 상부절첩부재, 우측절첩부재, 하부절첩부재에 형성된 삽입구(25)에 순차적으로 삽통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조임줄(30, 30')이 같이 삽통되는 상부절첩부재 및 하부절첩부재의 삽입구(25)는 좌우측절첩부재에 형성된 삽입구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으로는 삽입구 안에서 조임줄이 유동가능하도록 조임줄의 단면적 보다 삽입구를 더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클램프(20)의 장착으로 제1 및 제2조임줄(30, 30')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은 마름모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을 하고 있으며, 클램프(20)가 등간격으로 결합되어 클램프가 결합된 마름모, 클램프가 결합되지 않은 마름모가 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조임줄(30, 30')이 형성한 마름모형상의 양측면에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고무패드(40)가 설치된다. 상기 고무패드(40)는 타이어의 외주면과 일측면을 파지하도록 "┗"자로 구부려져 조임줄(30, 3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고무패드(40)는 클램프(20)가 결합된 부분과 결합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연결을 달리하고 있다.
상기 클램프(20)가 결합된 조임줄(30, 30')의 마름모형상부분에는, 고무패드(40) 일측과 이와 거리가 먼 쪽의 절첩부재 베어링부(23)를 조임와이어(42)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타측 고무패드도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연결된다. 이와같은 연결구조에서 클램프(20)가 하중을 받아 펴지면 클램프 베어링부(23)에 삽통된 조임줄(30, 30')의 마름모 형상은 더욱 커지게되고, 조임와이어(42)에 의해 연결된 고무패드(40)는 내측인 타이어(60)에 밀착되는 것이다. 즉, 조임줄(30, 30')이 형성한 마름모의 좌측모서리부분에 근접한 고무패드(40)는 클램프의 우측절첩부재 하단에 형성된 베어링부(23)에 조임와이어(42)로 연결되어 있고, 마름모의 우측모서리부분에 근접한 고무패드(40)는 클램프의 좌측절첩부재 하단에 형성된 베어링부(23)에 조임와이어(42)로 연결되어 있어, 클램프(20)가 펴지게되면 조임와이어에 의해 고무패드(40)가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클램프(20)가 결합되지 않은 조임줄(30, 30')의 마름모형상부분에는, 고무패드(40)가 연결고리(41)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고무패드(40)와 조임줄(30, 30') 사이에는 굴곡편(43)이 삽설되어 있다. 상기 굴곡편(43)은 내측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홈이 조임줄(30, 30')을 구부리에 하여 조임줄이 마름모형상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부 및/또는 하부에 설치된 클램프(20)가 펴지게 되면 조임줄(30, 30')은 상부 및/또는 하부의 클램프(20)가 형성하는 마름모 부분으로 끌려가게 되어 클램프가 설치되지 않는 조임줄(30, 30')의 마름모형상부분은 크기가 작아지게 됨으로 이의 측면에 설치된 고무패드(40)는 내측으로 당겨져서 타이어에 밀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무패드(40)의 측면에는 스노우체인(10)이 자동차의 타이어(6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연장와이어(51)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와이어(51)는 원형으로 체결되는 고정줄(50)에 고리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에 설치된 고정줄(50)은 스노우체인(10)을 타이어에 원형으로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고리를 이용한 방법 이외에 고무패드(40)의 측면에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에 고정줄(50)을 연결하여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패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타이어의 외주면과 측면을 동시에 파지할 수 있는 "┗"형태 및 이와 대향되는 "┛"형태로 되었다. 상기 고무패드(40)는 타이어의 외주면 및 측면과 접하는 부분의 일측에 관통구(45)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조임줄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41), 클램프의 베어링부에 연결되는 조임와이어(42) 및 고정줄에 연결하기 위한 연장와이어(51)가 각각 결합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무패드(40)의 면상에 돌기인 스파이크(44)를 장착하여 마찰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도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클램프(20)는 십자형태의 본체(21)와 상기 본체의 4부분에 회동가능하기 장착된 절첩부재(22)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절첩부재의 단부에는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구가 형성된 베어링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1)와 절첩부재(22)가 접하는 부분에는 하중을 받을 시에만 절첩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돌기 및 이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베어링부(23)에 연결된 조임와이어(42)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절첩부재(22)를 사각통홈으로 형성하여 절첩부재의 내측에서 조임와이어(42)가 유동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클램프(20)의 구조는 본체(21)와 베어링부(23)가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있어, 자동차의 타이어에 장착시 베어링부(23)는 타이어에 접하고 본체(21)는 타이어의 외주면과 소정높이로 이격된다.
즉, 장착된 상태에서 자동차를 구동하게 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동차의 하중이 타이어를 통해 클램프의 베어링부(23)에 전달되어 누르게 됨으로 도 7b에 도시된 상태로 절첩부재(22)는 펴지게 된다. 이때 본체(21)와 절첩부재(22)를 연결하는 힌지(24)를 베어링부(23)의 중심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함으로서 축력에 의해 클램프(20)가 다시 굽혀지는 것을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의 타이어가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클램프(20)에 지속적인 하중이 전달되게 됨으로 클램프는 항상 펴진상태를 유지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구동시 상기 클램프의 본체(21)와 절첩부재(22)를 연결하는 힌지(24)가 베어링부의 중심보다 상부로 위치할 수 있게 보조하는 수단으로, 지면과 근접한 클램프의 본체면에 패드(26)를 더 부착하여 베어링부(23)의 하단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와같이 클램프(20)가 자동차의 하중을 받아 펴지게 되면 클램프의 베어링부에 삽통되는 조임줄(30, 30')이 형성하고 있는 모양이 변하게 되어 조임줄 및 클램프에 결합된 고무패드(40)가 타이어에 밀착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임줄(30, 30')은 클램프(20)를 장착한 부분과 장착하지 않은 부분이 유사한 마름모형상을 하고 있다. 이때 클램프(20)에 하중이 절단되면 상술한 바와같이 클램프의 절첩부재(22)가 펴지게 된다.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램프의 길이가 변함에 따라 클램프(20)를 장착한 부분은 클램프를 장착하지 않은 부분의 조임줄(30, 30')을 당겨서 마름모 형상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형상의 모양이 커지는 부분에 조임와이어(42)를 이용해 장착한 고무패드(40)는 조임와이어(42)가 내측으로 당겨지게됨으로 타이어에 밀착되며, 형상의 모양이 작아지는 부분에 연결고리(41)로 직접 연결된 고무패드(40)는 조임줄(30, 30')에 당겨지게 되어 타이어에 밀착됨으로 별도의 조임과정 없이 스노우체인(10)이 자동으로 타이어에 밀착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은,
절첩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를 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장착하여, 자동차 구동시 구부려져 있는 클램프가 자동차의 하중을 받아 펴지게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조임줄 및 조임와이어를 당겨서 상기 조임줄 및 조임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고무패드가 타이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노우체인을 자동차의 타이어에 장착하고 구동하게 되면 자동차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고무패드가 타이어에 밀착됨으로, 스노우체인에 의한 진동이 감소되고 장착이 용이한 스노우체인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노우체인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스노우체인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스노우체인의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클램프를 부분절단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노우체인 20 : 클램프
21 : 본체 22 : 절첩부재
23 : 베어링부 24 : 힌지
25 : 삽입구 30, 30' : 제1, 제2 조임줄
40 : 고무패드 41 : 연결고리
42 : 조임와이어 43 : 굴곡편
44 : 스파이크 50 : 고정줄
51 : 연장와이어 60 : 타이어
910 : 종래 미끄럼방지구 920 : 종래 조임줄
930 : 종래 래치조임구 940 : 종래 걸고리

Claims (5)

  1. 다수의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를 타이어에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로 구성된 스노우체인에 있어서,
    십자형태의 본체(21)와, 상기 본체의 네단부 각각에 힌지(2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절첩부재(22)로 구성되며, 상기 네 단부에 설치된 절첩부재(22)의 각 단부에는 삽입구(25)가 형성된 사각형의 베어링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클램프(20)와;
    단면이 사각형으로 상기 클램프(20)의 상부절첩부재, 좌측절첩부재 또는 우측절첩부재, 하부절첩부재에 형성된 삽입구(25)에 순차적으로 삽통되는 제 1 및 제 2 조임줄(30, 30')과;
    타이어의 외주면과 일측면을 각각 파지하도록 "┗"자로 구부려져 있는 형태로 타이어의 일측과 이에 대향되는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클램프와 다른 클램프 사이의 제 1및 제2 조임줄(30, 30')에는 연결고리(41)로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20)의 좌우측 절첩부재(22)에는 조임와이어(42)로 결합되는 고무패드(40)와;
    타이어에 체결시 타이어의 측면에 위치하여 원형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양 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고무패드의 단부에 결합된 연장와이어(51)가 고리로 연결되어 있는 고정줄(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절첩부재와 근접한 고무패드(40)에 연결된 조임와이어(42)는 우측절첩부재 베어링부(23)의 하부에 연결되고, 우측절첩부재와 근접한 고무패드(40)에 연결된 조임와이어(42)는 좌측절첩부재 베어링부(23)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절첩부재(22)는 타이어와 접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사각통 홈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줄(30, 30')과 이에 연결고리(41)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고무패드(40) 사이에는, 조임줄(30, 30')을 일정각으로 굴곡시키기 위해 내측에 홈이 형성된 굴곡편(片 : 43)을 더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40)에는 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스파이크(spike : 44)가 더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
KR1020040015942A 2004-03-09 2004-03-09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 KR20050090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942A KR20050090734A (ko) 2004-03-09 2004-03-09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942A KR20050090734A (ko) 2004-03-09 2004-03-09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734A true KR20050090734A (ko) 2005-09-14

Family

ID=3727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942A KR20050090734A (ko) 2004-03-09 2004-03-09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7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8307A (zh) * 2018-02-07 2018-07-06 殷兴 一种带嵌入式可伸缩防滑链的车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8307A (zh) * 2018-02-07 2018-07-06 殷兴 一种带嵌入式可伸缩防滑链的车轮
CN108248307B (zh) * 2018-02-07 2023-09-15 殷兴 一种带嵌入式可伸缩防滑链的车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55109A (ja) 自動車車輪用スノ−チエ−ン
US6439815B1 (en) Fastening device adapted for tightening a rope to fasten goods on a platform of vehicle
JPH0270512A (ja) 自動車車輪用滑り止め装置
KR100794048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 장치
KR20050090734A (ko) 클램프를 이용한 스노우체인
US4836258A (en) Attachment apparatus for a tire mat
CA2486228A1 (en) Clamp fastener and method of using a clamp fastener
KR200440899Y1 (ko) 스노우 체인
US4326668A (en) Low cost vehicle traction device employing pivotally mounted anchoring means
JPH03104716A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US20210101426A1 (en) Tire chain tensioner
KR200233376Y1 (ko) 자동차 휠부 체결형 스노우체인
KR20220120264A (ko) 스노우 체인
JP2008110702A (ja) 車両タイヤ用滑り止め布カバー
JPS62221905A (ja) タイヤ滑り止め装置
JP2661888B2 (ja) タイヤ滑り止め具
US7096906B2 (en) Tire chain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GB2300660A (en) Road vehicle halting device
KR200335593Y1 (ko) 줄조임구를 구비한 스노우 체인
KR100456789B1 (ko) 타이어 미끄럼방지기구
KR20027050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부
JPH0417363Y2 (ko)
KR960010552Y1 (ko) 자동차 바퀴 부착용 미끄럼 방지구
JPH0411845Y2 (ko)
JPH03278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