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551A - 광섬유 인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 인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551A
KR20050088551A KR1020040013921A KR20040013921A KR20050088551A KR 20050088551 A KR20050088551 A KR 20050088551A KR 1020040013921 A KR1020040013921 A KR 1020040013921A KR 20040013921 A KR20040013921 A KR 20040013921A KR 20050088551 A KR20050088551 A KR 20050088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ating
coater
spin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6218B1 (ko
Inventor
오성국
김영석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218B1/ko
Priority to US10/913,212 priority patent/US20050194704A1/en
Priority to CN2004100770402A priority patent/CN1664629A/zh
Priority to EP04021568A priority patent/EP1571132A3/en
Priority to JP2005053121A priority patent/JP2005247683A/ja
Publication of KR20050088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12General methods of coat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7Fibres composed of different sorts of glass, e.g. glass optical fibres
    • C03B37/02745Fibres having rotational spin around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e.g. alternating +/- spin to reduce polarisation mode disper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3Drawing means, e.g. drawing drums ; Traction or tensioning devices
    • C03B37/032Drawing means, e.g. drawing drums ; Traction or tensioning devices for glass optic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104Coating to obtain optical fibres
    • C03C25/1065Multiple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3/00Fibre product details, e.g. structure, shape
    • C03B2203/10Internal structure or shape details
    • C03B2203/18Axial perturbations, e.g. in refractive index or composition
    • C03B2203/20Axial perturbations, e.g. in refractive index or composition hel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3/00Fibre product details, e.g. structure, shape
    • C03B2203/36Dispersion modified fibres, e.g. wavelength or polarisation shifted, flattened or compensating fibres (DSF, DFF, DC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14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tailored to obtain the desired dispersion, e.g. dispersion shifted, dispersion flattened
    • G02B6/02285Characterised by the polarisation mode dispersion [PMD] properties, e.g. for minimising PM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를 인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섬유 모재의 일단을 가열하고, 가열된 상기 광섬유 모재로부터 인출되는 제1 광섬유를 상호 다른 점도를 갖는 코팅 액들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1 광섬유의 외주면 상에 복수의 피복 층들을 형성하기 위한 피복 코팅 과정과, 그 외주면 상에 피복 층들이 형성된 제2 광섬유를 상기 제1 광섬유의 인출 축에 대해서 일정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인출함으로써 꼬임이 형성된 제3 광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꼬임 형성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인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RAWING OPTICAL FIBER}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로부터 광섬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섬유의 인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를 이용한 광통신 망은 높은 전송 속도와, 대량의 광신호들을 송수신 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상기 광섬유는 그 내부를 진행하는 광신호를 분산시키는 편광 모드 분산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상기 광섬유의 내부를 진행하는 광신호의 전송 속도 에러율(bit-error rate)을 증가시킴으로써 광신호의 전송 용량과 속도를 제한하는 문제 요인이 된다.
상기 편광 모드 분산은 상기 광섬유의 기하학적 구조 변형과 상기 광섬유 내부의 잔류 응력 등에 의해 발생하며, 상기 광섬유의 기하학적 구조 변형과 상기 광섬유 내부의 잔류 응력 등은 상기 광섬유 내부에 불규칙적으로 변화된 굴절률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광섬유를 진행하는 광신호는 상호 직교하는 두 개의 성분들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광섬유 내부의 불규칙 적으로 변화된 굴절률 영역을 진행할 때 상기 광신호를 이루는 성분들 간의 각도 및 속도의 불규칙적인 변화가 발생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광신호를 이루는 성분들 간의 속도 및 각도 변화는 상기 광신호의 편광 모드 분산 현상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그 외에도 상술한 편광 모드 분산은 외부 온도의 변화와 같은 외부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서도 발생 가능하며, 상술한 편광 모드 분산을 제어 또는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상술한 편광 모드 분산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광섬유를 꼬아주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상술한 광섬유를 꼬아주는 방법들은 데이비드(David et. al) 등에 의해서 제안된 "Central electricity generating board"(국제 출원 번호 : WO 83/00232)에 게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로 인출하기 위한 광섬유 모재를 회전시키는 방법과, 아서(Arthur et.al) 등에 의해서 제안된 "Method of making a fiber having low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due to a permanent spin"(미국 등록 번호 : US 5298047)외 US5418881, US5704960, US5943466, US6148131 등 다수의 미국 등록된 특허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인출 경로상의 회전 또는 진동 장치를 이용해서 인출되는 광섬유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 외에도 프랭코 코히니(Franco Cocchini et.al) 등에 의해서 제안된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 optical fiber"(미국 등록 번호 : US6189343)에는 피복 층이 코팅되지 않은 베어 광섬유(Bear optical fiber)를 코팅시키기 위한 코팅 장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외부 피복이 코팅된 광섬유에 꼬임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 게시하고 있다.
상술한 방법들은 광섬유의 편광 모드 분산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기 광섬유의 인출 중에 상기 광섬유에 꼬임을 인가하는 방법에 관해서 게시하고 있다. 상기 광섬유의 꼬임을 인가하기 위한 방법은 광섬유가 인출되는 축을 중심으로 좌, 우로 회전력을 상기 광섬유에 반복해서 가함으로써 상호 반대되는 방향의 꼬임을 갖는 헬리시티(helicity)를 상기 광섬유에 인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광섬유에 인가되는 꼬임의 상호 반대되도록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인출중의 광섬유를 인출 축에 대해서 좌, 우로 반복되는 회전력을 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인출 중의 광섬유에 반복적으로 변화되는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광섬유의 기하학적 구조가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의 편광 모드 분산을 억제함과 동시에 기하학적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섬유의 인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모재의 일단을 가열하고, 가열된 상기 광섬유 모재로부터 광섬유를 인출하기 위한 광섬유 인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모재로부터 인출되는 제1 광섬유를 상호 다른 점도를 갖는 코팅 액들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1 광섬유의 외주면 상에 복수의 피복 층들을 형성하기 위한 피복 코팅 과정과;
그 외주면 상에 피복 층들이 형성된 제2 광섬유를 상기 제1 광섬유의 인출 축에 대해서 일정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인출함으로써 꼬임이 형성된 제3 광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꼬임 형성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모재의 일단을 가열하고, 가열된 상기 광섬유 모재로부터 광섬유를 인출하기 위한 광섬유 인출 방법은 피복 코팅 과정과, 그 외주면 상에 피복 층들이 형성된 제2 광섬유를 상기 제1 광섬유의 인출 축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지게 인출함으로써 꼬임이 형성된 제3 광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꼬임 형성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광섬유는 상기 광섬유 모재로부터 인출된 직후의 광섬유로서, 그 중심에 코아와 상기 코아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클래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광섬유는 상기 제1 광섬유의 외주면에 코팅된 피복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광섬유는 피복층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광섬유에 꼬임이 인가된 광섬유이다.
상기 코팅 과정은 상기 제1 광섬유의 외주면에 상호 다른 점도를 갖는 코팅액들로 다수회 코팅함으로써 피복층을 포함하는 제2 광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이다. 상기 제1 광섬유와 동일한 점도를 갖는 피복층을 상기 제1 광섬유의 외주면 상에 형성한다면, 상기 꼬임 형성 과정에서 상기 제2 광섬유에 가해지는 비틀림이 상기 클래드에 전부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피복층은 상호 다른 점도를 갖는 복수의 층들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광섬유에 가해지는 비틀림의 정도를 조절한다. 즉, 상기 피복층들을 구성하는 각 층의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3 광섬유에 가해진 잔류 비틀림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광섬유는 그 피복층이 내경에서 외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점도가 낮은 코팅액에 의해 코팅됨으로써 상기 제2 광섬유에 가해지는 잔류 비틀림(Residual twist)은 증가되는 반면에, 편광모드 분산은 저하되는 특성을 갖게된다.
상술한 광섬유의 편광 모드 분산은 복굴절에 의한 현상으로서 내부적 요인으로는 코아의 비원률, 굴절률 차이, 인출 시 인가되는 비 대칭 응력에 의해 발생하며, 외부적인 요인으로는 광섬유 구부림, 비틀림, 온도 및 습도 등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꼬임수가 임계점을 벗어날 경우에 측 방향 응력(shear stress)에 의해서 편광 모드 분산이 증가하게 된다. 최근 국제 규격인 ITU-T에 의하면, G.652.B와 G.652.D의 광섬유에 대한 케이블 편광모드 분산 링크 디자인 값(Cable PMDg)을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편광모드 분산에 대한 요구가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꼬임수가 1.5turns/M 이상일 경우, 꼬임에 의한 리본 광섬유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편광모드 분산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광섬유의 잔류 비틀림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하, 상기 제2 광섬유에 가해지는 스핀(spin)을 잔류 비틀림이라 하고, 상기 제3 광섬유에 가해진 단위 길이당 잔류 비틀림의 수를 꼬임수라고 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인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인출 장치는 광섬유 모재(11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100)와, 하나 이상의 피복층이 코팅된 제2 광섬유(240)를 형성하기 위한 코팅부(200)와, 일정 방향으로 꼬임이 인가된 제3 광섬유(350)를 형성하기 위한 스핀부(spin part, 300)와, 외경 측정 장치(140)와, 냉각기(15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로(100)는 상기 광섬유 모재(110)의 하단부를 가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열 장치들(120, 130)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부(200)는 상기 제1 광섬유(160)에 피복된 코팅 층의 경화 방법에 따라서, Wet-On-Wet 방법과 Wet-On-Dry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방법에 따른 코팅부(200)의 구성은 도 3과 도 4를 참조해서 각각 구분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팅부의 Wet-On-Wet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코팅부(200)는 상기 제1 광섬유(160)를 자외선 경화성 폴리머 재질의 코팅액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 코팅기(210)와, 상기 제1 코팅기(210)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섬유(160)를 상기 제1 코팅기보다 낮은 점도의 자외선 경화성 폴리머 재질의 코팅액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2 코팅기(220)와, 상기 제2 코팅기(220)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섬유(160)의 피복층을 경화시켜서 다층 구조의 피복층을 포함하는 제2 광섬유(240)를 형성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23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팅부의 Wet-On-Dry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코팅부(200)는 상기 제1 광섬유(160)를 자외선 경화성 폴리머 재질의 코팅액으로 코팅시키기 위한 제1 코팅기(210)와, 상기 제1 코팅기(210)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섬유(160)의 피복층을 경화시키기 위한 제1 자외선 램프(230a)와, 상기 제1 자외선 램프(230a)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섬유(160)를 상기 제1 코팅기(210)보다 낮은 점도의 자외선 경화성 폴리머 재질의 코팅액으로 코팅시키기 위한 제2 코팅기(220)와, 상기 제2 코팅기(220)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섬유(160)의 피복층을 경화시켜서 다층 구조의 피복층을 포함하는 제2 광섬유(240)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자외선 램프(230b)를 포함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상기 자외선 경화성 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 계열 또는 비닐 계열의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코팅기(210)와 상기 제2 코팅기(220) 각각에 주입되는 코팅액들의 점도를 상호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스핀 휠에 의해서 상기 제2 광섬유(240)에 가해지는 잔류 비틀림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자외선 램프들(230, 230a, 230b)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스핀 휠(330)에 의해서 상기 제2 광섬유(240)에 가해지는 잔류 비틀림의 정도와 상기 제3 광섬유(350)의 편광 모드 분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자외선 램프의 세기 변화에 따른 편광 모드 분산과 꼬임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자외선 램프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서 상기 제2 광섬유에 가해지는 잔류 비틀림은 증가하는 반면에 상기 제3 광섬유의 편광 모드 분산은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핀부(300)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핀부(300)는 스핀 휠(330)과, 가이드 휠(320)과, 보조 휠(310)과, 상기 제1 내지 제3 광섬유(160, 240, 350)의 인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캡스턴(340)을 포함한다.
상기 스핀 휠(330)은 상기 제2 광섬유(240)를 상기 제1 광섬유(160)의 인출축(401)에 대해서 기설정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인출함으로써 상기 제2 광섬유(240)에 일정한 방향으로 잔류 비틀림이 인가된 상기 제3 광섬유(350)를 형성한다. 즉, 상기 스핀 휠(330)은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160, 240)가 인출되는 인출축(401)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광섬유(240)에 잔류 비틀림이 인가된 제3 광섬유(35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휠(320)은 상기 스핀 휠(330)과 상기 코팅부(200)의 사이에 상기 인출축(401)에 대해서 평행하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코팅부(200)로부터 상기 스핀부(300)로 입력되는 상기 제 2광섬유(240)가 상기 스핀 휠(330)에 의해서 상기 인출축(401)을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 한다. 즉, 상기 가이드 휠(320)은 상기 스핀 휠(330)과 상기 코팅부(200)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광섬유(240)가 상기 인출축(401)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 휠(310)은 상기 가이드 휠(320)과 상기 코팅부(200)의 사이에 상기 인출축(401)에 대해서 평행하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스핀 휠(330)과 상기 인출축(401) 사이의 각도 차로 인한 과도하게 생성된 회전력을 제어한다.
도 5은 도 1에 제1 광섬유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광섬유(160)는 그 중심에 코아(161)와, 상기 코아(161)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클래드(162)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1에 제2 광섬유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광섬유(240)는 제1 광섬유(160)와, 상기 클래드(162)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제1 및 제2 피복층(241, 242)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들의 편광 모드 분산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의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작된 복수의 광섬유들의 편광 모드 분산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광섬유에 가해진 꼬임수에 따른 편광 모드 분산의 변화를 나타낸다. 즉, 광섬유에 가해지는 꼬임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편광 모드 분산은 감소하는 반면에, 기설정된 임계점을 초과할 경우에 측 방향의 응력(shear stress)에 의한 편광모드 분산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와 종래 광섬유의 길이에 따른 직경의 변화를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는 그 길이를 따라서 ±0.04㎛ 이내의 고른 분포를 보인 반면에, 종래 방법에 의해서 제작된 광섬유는 표준 편차 ±0.15㎛ 사이의 범위에 큰 변화를 갖게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섬유의 피복 층을 상호 다른 점도를 갖는 복수의 코팅액들에서 코팅시키고, 상술한 코팅액들 사이의 점도 차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광섬유에 인가되는 꼬임의 정도를 조절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광섬유에 인가되는 꼬임이 일정한 방향을 갖도록 함으로써 광섬유에 꼬임의 인가가 용이하고, 안정적인 편광 모드 분산의 보상 특성을 갖는 광섬유의 제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인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핀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팅부의 Wet-On-Wet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팅부의 Wet-On-Dry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광섬유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광섬유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들의 편광 모드 분산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의 정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와 종래 광섬유의 길이에 따른 직경의 변화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도 9는 자외선 램프의 세기 변화에 따른 편광 모드 분산과 꼬임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Claims (14)

  1. 광섬유 모재의 일단을 가열하고, 가열된 상기 광섬유 모재로부터 광섬유를 인출하기 위한 광섬유 인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모재로부터 인출되는 제1 광섬유를 상호 다른 점도를 갖는 코팅 액들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1 광섬유의 외주면 상에 복수의 피복 층들을 형성하기 위한 피복 코팅 과정과;
    그 외주면 상에 피복 층들이 형성된 제2 광섬유를 상기 제1 광섬유의 인출 축에 대해서 일정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인출함으로써 꼬임이 형성된 제3 광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꼬임 형성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과정은 상기 제1 광섬유의 외주면에 상호 다른 점도를 갖는 코팅액들로 다수회 코팅함으로써 피복층을 포함하는 제2 광섬유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섬유의 피복층은 그 내경에서 외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점도가 낮은 코팅액에 의해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액들은 상호 다른 점도를 갖는 폴리머 아크릴레이트 재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액들은 상호 다른 점도를 갖는 경화성 폴리머 재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액들은 상호 다른 점도를 갖는 폴리머 비닐의 재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방법.
  7. 광섬유 인출 장치에 있어서,
    광섬유 모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와;
    상기 가열로로부터 인출되는 제1 광섬유의 외주면에 상호 다른 점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피복층이 코팅된 제2 광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코팅부와;
    상기 제2 광섬유를 일정 방향으로 꼬임이 인가된 제3 광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스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핀부는 상기 제2 광섬유를 상기 제1 광섬유의 인출축에 대해서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인출함으로써 상기 제3 광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스핀 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부는,
    상기 스핀 휠과 상기 코팅부의 사이에 상기 인출축에 평행하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코팅부로부터 상기 스핀부로 입력되는 상기 제 2광섬유가 상기 스핀 휠에 의해서 상기 인출축을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휠과;
    상기 가이드 휠과 상기 코팅부의 사이에 상기 인출축에 평행하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스핀 휠에 의해서 상기 제2 광섬유까지 꼬임을 일정하게 인가하기 위한 보조 휠과;
    상기 제1 내지 제3 광섬유의 인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캡스턴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인출 장치는,
    상기 가열로에서 인출되는 상기 제1 광섬유의 외경을 측정하기 위한 외경 측정기와;
    상기 외경 측정기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섬유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제1 광섬유를 자외선 경화성 폴리머 재질의 코팅액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 코팅기와;
    상기 제1 코팅기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섬유를 상기 제1 코팅기보다 낮은 점도의 자외선 경화성 폴리머 재질의 코팅액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2 코팅기와;
    상기 제2 코팅기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섬유의 피복층을 경화시켜서 다층 구조의 피복층을 포함하는 제2 광섬유를 제작하기 위한 자외선 램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 계열 또는 비닐 계열의 물질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제1 광섬유를 자외선 경화성 폴리머 재질의 코팅액으로 코팅시키기 위한 제1 코팅기와;
    상기 제1 코팅기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섬유의 피복층을 경화시키기 위한 제1 자외선 램프와;
    상기 제1 자외선 램프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섬유를 상기 제1 코팅기보다 낮은 점도의 자외선 경화성 폴리머 재질의 코팅액으로 코팅시키기 위한 제2 코팅기와;
    상기 제2 코팅기를 통과한 상기 제1 광섬유의 피복층을 경화시켜서 다층 구조의 피복층을 포함하는 제2 광섬유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자외선 램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장치.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광섬유는 잔류 비틀림이 1.5turns/M 이내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장치.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광섬유의 케이블 편광모드 분산 링크 디자인 값은 이하의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인출 장치.
KR1020040013921A 2004-03-02 2004-03-02 광섬유 인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66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21A KR100566218B1 (ko) 2004-03-02 2004-03-02 광섬유 인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913,212 US20050194704A1 (en) 2004-03-02 2004-08-06 Apparatus and method for drawing optical fiber
CN2004100770402A CN1664629A (zh) 2004-03-02 2004-09-09 拉制光纤的设备和方法
EP04021568A EP1571132A3 (en) 2004-03-02 2004-09-10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an optical fibre
JP2005053121A JP2005247683A (ja) 2004-03-02 2005-02-28 光ファイバーの線引き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21A KR100566218B1 (ko) 2004-03-02 2004-03-02 광섬유 인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551A true KR20050088551A (ko) 2005-09-07
KR100566218B1 KR100566218B1 (ko) 2006-03-29

Family

ID=3474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921A KR100566218B1 (ko) 2004-03-02 2004-03-02 광섬유 인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94704A1 (ko)
EP (1) EP1571132A3 (ko)
JP (1) JP2005247683A (ko)
KR (1) KR100566218B1 (ko)
CN (1) CN16646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511A (ko) * 2021-04-29 2022-11-07 한국광기술원 멀티 코팅 구조의 광섬유, 멀티 코팅 구조의 광섬유의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7155B1 (fr) * 2010-11-08 2017-12-15 Delachaux Sa Dispositif de guidage de fibre optique ameliore
JP5948136B2 (ja) * 2011-05-27 2016-07-0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036108B2 (en) * 2013-11-26 2018-07-31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s of optical fiber coatings
JP6613472B2 (ja) * 2015-11-27 2019-12-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揺動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CN106772856A (zh) * 2016-12-28 2017-05-31 谢建毫 一种光纤绕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8047A (en) * 1992-08-03 1994-03-29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of making a fiber having low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due to a permanent spin
JP3353805B2 (ja) * 1996-03-14 2002-12-0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線引き装置
US5704960A (en) * 1995-12-20 1998-01-06 Corning, Inc. Method of forming an optical fiber for reduced polarization effects in amplifiers
CA2240528A1 (en) * 1996-02-26 1997-08-28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rolled spin in optical fiber
US6324872B1 (en) * 1996-04-12 2001-12-0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controlled spin in optical fibers
AU2252500A (en) * 1998-09-24 2000-04-1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ber
US6427044B1 (en) * 1999-06-23 2002-07-3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KR100441156B1 (ko) * 2002-08-31 2004-07-19 엘지전선 주식회사 광섬유에 인가되는 스핀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양방향스핀의 대칭성을 확보하기 위한 광섬유 제조방법
CN1209308C (zh) * 2003-03-28 2005-07-06 长飞光纤光缆有限公司 低偏振模色散单模光纤的制造方法及用该方法制备的光纤
JPWO2005063640A1 (ja) * 2003-12-26 2007-07-1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捻り装置、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素線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511A (ko) * 2021-04-29 2022-11-07 한국광기술원 멀티 코팅 구조의 광섬유, 멀티 코팅 구조의 광섬유의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6218B1 (ko) 2006-03-29
EP1571132A3 (en) 2006-04-26
EP1571132A2 (en) 2005-09-07
US20050194704A1 (en) 2005-09-08
JP2005247683A (ja) 2005-09-15
CN1664629A (zh)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5894B1 (en) Multimode optical fibers with increased bandwith
EP2799920B1 (en) Multicore optical fiber
US4113350A (en) Optical fibre waveguides
US8857221B2 (en) Optical fib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ptical fiber
AU2007361213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fiber and an optical fiber so obtained
KR100566218B1 (ko) 광섬유 인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4051483A (ja) 振幅および周波数調整ファイバ・スピン関数を使用して超低pmd光ファイバを形成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547755B1 (ko) 스핀을 이용한 광섬유 제조 장치 및 방법
US20120328254A1 (en) Optical fib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ptical fiber
JP2015099211A (ja) マルチコアファイバ
US4115087A (en) Optical fibres
CN104237998B (zh) 带连接器的光缆
KR100808354B1 (ko) 저감된 편광모드분산을 갖는 단일모드 광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100642378B1 (ko) 광섬유 주변의 압력 변화를 이용하여 편광모드분산을개선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제조장치
KR102014291B1 (ko) 세경 광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872235B1 (ko) 편광모드분산 저감을 위한 단일모드 광섬유의 인선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섬유
CN217323881U (zh) 特种光纤拉丝装置
JP4495029B2 (ja) 被覆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3895583B2 (ja) 光ファイバの線引き方法
JP5876913B1 (ja) 光ファイバ及び光ファイバ製造装置
JPH0699165B2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2004277271A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5247608A (ja) 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方法
JP2003040639A (ja) シングルモード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2002122765A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