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129A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129A
KR20050088129A KR1020057011490A KR20057011490A KR20050088129A KR 20050088129 A KR20050088129 A KR 20050088129A KR 1020057011490 A KR1020057011490 A KR 1020057011490A KR 20057011490 A KR20057011490 A KR 20057011490A KR 20050088129 A KR20050088129 A KR 20050088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terminal
portions
hinge port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225B1 (ko
Inventor
모르텐 폰토피단
지오반니 페란티
리키 바르네트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8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2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radial friction, e.g. cylindrical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9Wrap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힌지들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상호연결되는 3개의 부분들을 지닌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상기 단말기는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가 통화하기 위해 위치되는 동작 위치를 지닌 이동 전화일 수 있다. 동작 중이지 않는 경우, 단말기는 안전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손목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단말기를 손목에서 제거하는 것은 해제 수단의 동작 또는 단말기 및 힌지들의 안전 조치인 소정의 힘의 극복을 필요로 한다. 상기 힌지들은 단말기의 부분들의 자유롭게 선택하는 회전 위치 및 스냅 또는 자동 회전의 결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i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회전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3개의 부분들을 지닌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단말기가 다수의 위치를 얻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사람의 손목 둘레에 착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접을 수 있는(foldable) 이동 단말기들을 열거나 펼치는 다수의 상이한 방법들이 기술되었다. 대부분의 이러한 방법들은 단말기를 휴대용의 비동작(inoperative) 위치에서 동작 위치로 열도록 스냅(snap)하기 위한 바이어싱 수단(biasing means)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바이어싱은 전화기가 자동적으로 상기 비동작 위치 및 동작 위치 사이의 다른 위치들을 획득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단말기의 배치(positioning) 등을 어렵게 한다.
또한, 마찰이 이동 단말기들의 힌지들(hinges)에 고의로 제공되는 경우, 양방향의 회전에서 동일한 마찰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클러치들(clutches)이 제공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들을 운반하는 것은 상기 이동 단말기들이 비교적 작고 잘못 두거나 찾기 어렵게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예를 들어 단말기가 사람에게 들리도록 재촉(prompt)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경우 문제를 제공한다.
도 1은 클러치/힌지의 제1 실시예의 부분들을 도시한다.
도 2는 힌지에 조립된 도 1의 부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힌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의 관통 단면도이다.
도 5는 이제 또한 바이어싱 스프링을 갖는 도 4의 힌지의 관통 단면도이다.
도 6은 나선형 스프링을 완화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나선형 스프링을 완화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3개의 부분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힌지들 및 중앙 스프링 완화 수단을 구비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9는 제1 위치에서의 3-부분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은 다른 위치에서의 도 9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와는 상이한 실시예의 다른 위치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들을 처리하며 제1 태양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부분(part)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제1 힌지(hinge)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을 피보트(pivot)가능하게 상호연결하고, 제2 힌지는 상기 제2 및 제3 부분들을 피보트가능하게 상호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힌지들 각각은:
- 종축(longitudinal axis)을 지니는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각각 2개의 종단들을 지니는 하나 이상의 감겨진 물질 가닥들을 포함하는 나선형 스프링;
- 상기 나선형 스프링까지 신장하는 제1 힌지부로서, 상기 종축을 따라 제1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내부와 접촉하는 제1 힌지부; 및
- 상기 제1 위치 또는 영역과는 상이한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하나 이상의 가닥들에 접촉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각 힌지에서, 상기 스프링은:
- 상기 종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힌지부와 관련하여 제1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이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나선형 스프링간에 제1의 낮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 상기 종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힌지부와 관련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이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나선형 스프링간에 제2의 높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 상기 제1 힌지에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부분 중의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부분 중의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 상기 제2 힌지에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2 또는 상기 제3 부분 중의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2 및 상기 제3 부분 중의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 상기 단말기는 각 힌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 동안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나선형 스프링간에 상기 제2의 높은 마찰을 제3 마찰까지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해제 수단(release means)을 더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힌지는 다른, 더 표준적인 힌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은 주목되어야 하는데, 본 나선형 스프링 어셈블리는 대부분 상기 힌지의 회전가능한 클러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스프링까지 신장되는 부분에서, 상기 스프링의 내부 단면에 대응하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지닌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스프링 내부의 접촉(contact)은 상기 스프링의 내부 원주를 따른 접촉일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부와 상기 스프링의 접촉은 부착(attachment) 또는 바이어싱(biasing)일 수 있는데, 상기 스프링의 이동 유형에 따라 상기 제2 힌지부는 방해되거나 브레이크(brake)를 걸 것이다.
표준 나선형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물질(전형적으로 금속 또는 다른 딱딱한 물질)의 단일 가닥(strand) 또는 가늘고 긴 조각으로만 형성된다. 하지만, 스프링들은 다수의 가닥들로 형성되는 것이 고려되는데, 상기 가닥들의 권선(winding)은 상기 스프링의 종축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단지 가닥(들)의 부분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상기 가닥(들)의 종단(end)들은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부분일 필요는 없다. 상기 종단들은 고정 또는 실제 이동과 같은,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랩 스프링 클러치(wrap spring clutch)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2개의 힌지되거나 클러치된 요소들을 상기 스프링까지 신장시켜 상기 스프링의 내부와 연동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동작을 역행하거나 스프링의 외부에서 상기 스프링에 연동시킴으로써 동일한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은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연동(engagement)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을 완화되지 않고(직경이 증가됨) 조여진다(직경이 감소됨).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힌지부는 일반적으로 힌지부의 한 종단으로부터 상기 스프링까지 신장될 것이고 상기 종단으로부터의 어떤 위치 및 영역을 따라 그리고 상기 축을 따른 상기 스프링까지의 소정의 거리에서 (적어도 상기 클러치된 동작에서) 상기 스프링의 내부와 연동될 것이다. 하지만, 상기 부분은 상기 종단에서 상기 스프링과 접촉할 필요는 없고 어떤 위치에서도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들 양자가 상기 스프링까지 신장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힌지부들은 상기 스프링의 종축을 따라 상이한 위치들 또는 영역들에서 상기 스프링과 연동되거나 접촉한다.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스프링까지 신장되지만,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스프링의 외부 표면, 내부 표면 또는 실제로 상기 스프링의 실제 나선형 모양의 부분이 아닌 가닥(들)의 부분과 연동될 수 있다. 이것은 이하에서 더 명백해질 것이다.
회전이 수행된 후에, 마찰을 극복하기에 충분히 큰 힘이 체험될 때까지 두 요소들을 소정 위치로 유지하는 방식은 마찰인 것이 명백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힌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해제 수단이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을 제공하기 위한 바이어싱 수단(biasing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제3 마찰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을 초과하지만 상기 제2 마찰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보다는 낮은 힘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힌지의 해제 수단이 동작함으로써 제2 마찰이 제3 마찰로 감소될 때까지 상기 부분들을 실제로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해제는 상기 단말기에 속한 부분들의 스냅/자동 이동을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 힌지는 동시에 바이어싱 또는 스냅 동작이 상기 해제 수단이 동작하는 경우에만 제공된다는 점에서 2개의 부분들의 자유롭게 선택되는 회전 위치를 제공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 상기 제1 힌지의 제1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제1 부분에 연결되거나 부착되고,
- 상기 제2 힌지의 제1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제3 부분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 상기 제1 및 제2 힌지들의 해제 수단은 상기 단말기의 제2 부분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제1 및 제3 부분들은 상기 제2 부분, 상기 해제 수단 및 상기 스프링들과 관련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상기 제2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것은 해제 수단의 배치 및 형성을 훨씬 더 용이하게 한다.
실제로, 이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제 수단은 단일 버튼과 같은 단일 동작 수단에 의해 동작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양 힌지들은 예를 들어 사람의 하나의 손가락을 사용한 단일 버튼의 동작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스프링이 제1 힌지부와 관련하여 헐겁게 되거나 연동 해제되는 방식에 또는 실제의 감긴 스프링 클러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하나 이상의 가닥들 각각의 종단에 비-나선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단지 상기 비-나선형 부분과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실제로 스프링까지 신장되지 않는 그리고/또는 상기 스프링의 내부와 연동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의 비-나선형 부분과 제2 힌지부간의 접촉은 부착(attachment)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힌지 부재는 적어도 상기 스프링의 완전한 내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그리고/또는 (상기 축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의 나선형 부분의 완전한 길이로 신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의 가닥(들) 각각의 한 종단은 제2 힌지부와 관련하여 고정되고 상기 해제 수단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가닥(들)의 다른 종단(들)을 이동시키기에 적합하다.
상기 이동(displacement)을 획득하는 하나의 방법은 각 힌지에 대해 상기 해제 수단이 병진되기에 적합한 쐐기-모양(wedge-shaped) 요소를 포함하여 상기 종단(들)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각 힌지에 대해, 상기 해제 수단이 상기 종단(들)과 연동되는 유연한 요소(flexible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종단(들)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유연한 요소를 제1의 변형된 상태로 바이어스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유연한 요소를 제1의 정상(regular) 상태에 있도록 야기하여 상기 종단(들)이 제2 위치에 있도록 야기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것은 상기 유연한 요소가 속이 비어 있는 경우 획득될 수 있고, 상기 야기하는 수단은 상기 유연한 요소의 공동(hollowness)으로 병진되도록 적합화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야기하는 수단은 상기 유연한 요소의 내부 및 외부로 병진될 수 있고 상기 종단이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그리고 상기 연동이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스프링간에 획득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상기 공동의 외부 방향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자유롭게 선택 가능한 회전 위치는 상기 힌지들 모두에서 요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제로 해제 수단의 우발적인 동작이 회전을 야기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해제 수단이 동작되는 경우조차 상기 부분들을 소정의 회전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 수단(locking mean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 전화인 경우, 상기 제1, 제2, 및 제3 부분들 중의 하나는 사운드 생성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부분들 중의 하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화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1 및 제2 힌지들이 상기 단말기의 제2 부분과 관련하여 상기 단말기의 제1 및 제3 부분들을 각각 소정의 회전 위치들을 향해 바이어싱하기 위한 바이어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제1 및 제3 부분들이 상기 단말기의 제2 부분과 관련하여 소정의 회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사운드 생성기 및 상기 마이크로폰이 상기 단말기의 소정의 측면(side)에서 액세스 가능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단말기의 제1, 제2, 및 제3 부분들이 힌지들의 회전 축이 평평한 모양의 평면(plane)에 있는 적어도 비교적 평평한 모양을 가질 것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기 소정의 측면은 상기 단말기의 부분들의 평평한 측면을 갖는 측면일 것이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 제1, 제2, 및 제3 부분;
-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이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제1의 낮은 각도 및 제2의 높은 각도 사이에서 회전되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을 피보트가능하게 상호연결하는 제1 힌지(hinge); 및
- 상기 제2 및 제3 부분들이 상기 제2 및 제3 부분 사이의 제3의 낮은 각도 및 제4의 높은 각도 사이에서 회전되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제2 및 제3 부분들을 피보트가능하게 상호연결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고,
- 상기 단말기의 제1, 제2, 또는 제3 부분들 중 하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고,
- 상기 단말기의 제1, 제2, 또는 제3 부분들 중 하나는 사운드 이미터(sound emitter)를 구비하며,
- 상기 단말기는 동작 위치(operative position)를 가지고,
o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의 낮은 각도로 회전하고,
o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4의 높은 각도로 회전하며,
o 상기 마이크로폰 및 사운드 이미터는 상기 단말기의 소정의 측면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2개의 부분들 사이의 각도는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그리고 상기 축 둘레의 소정의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결정된다. 하나의 방법은 상기 부분들의 2개의 소정의 포인트들 또는 부분들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동작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단말기가 전화 통화를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위치이다. 다른 위치들이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전송/수신/입력 또는 출력에 더 적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종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 제2, 및 제3 부분들의 가장 큰 결합된 길이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손목의 둘레의 반을 초과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가장 큰 선형 길이를 갖는 위치에서 단말기는 예를 들어 이동 전화로서 사용하는데 불필요하게 길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는 또한 동작 위치에서 상기 가장 큰 결합된 길이보다 낮은 종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가장 큰 선형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단말기의 접기.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 손목을 적합하게 움켜잡을 수 있도록 제1 및 제3 부분들 각각의 길이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손목의 가장 넓은 부분만큼 길다.
또한, 손목의 움켜잡음(grip) 및 적합한 동작 위치를 획득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 상기 제1의 낮은 각도는 45도보다 낮고,
- 상기 제2의 높은 각도는 90도를 초과하며,
- 상기 제3의 낮은 각도는 110도보다 낮고,
- 상기 제4의 높은 각도는 110도를 초과한다.
실제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은 동작 위치에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다. 인접이라는 것은 각도가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부분들의 형태를 고려하여 가능한 한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제3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사운드 이미터는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한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 상기 제1 힌지는 상기 제1의 낮은 각도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부분에 관해 상기 제1 부분을 바이어스하기에 적합한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하고,
-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제4의 높은 각도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부분에 관해 상기 제3 부분을 바이어스하기에 적합한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부분에 관해 상기 제1 및 제3 부분들을 각각 상기 제1 및 제4 각도로 비스듬히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해제 가능한 수단(releasable means)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단말기 또는 전화는 해제 가능한 수단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언급된 스냅 움직임이 수행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힌지들 각각은:
- 종축(longitudinal axis)을 지니는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각각 2개의 종단들을 지니는 하나 이상의 감겨진 물질 가닥들을 포함하는 나선형 스프링;
- 상기 나선형 스프링까지 신장하는 제1 힌지부로서, 상기 종축을 따라 제1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내부와 접촉하는 제1 힌지부; 및
- 상기 제1 위치 또는 영역과는 상이한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하나 이상의 가닥들에 접촉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각 힌지에서, 상기 스프링은:
- 상기 종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힌지부와 관련하여 제1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이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나선형 스프링간에 제1의 낮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 상기 종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힌지부와 관련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이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나선형 스프링간에 제2의 높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 상기 해제 가능한 유지 수단은 각 힌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 동안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나선형 스프링간에 상기 제2의 높은 마찰을 제3 마찰까지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해제 수단을 포함하며,
- 상기 제1 힌지에서:
o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부분 중의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부분 중의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o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이 상기 제1의 낮은 각도에서 상기 제2의 높은 각도로의 회전이도록 하기에 적합하고,
o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제1의 낮은 마찰을 초과하는 힘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며,
- 상기 제2 힌지에서:
o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2 또는 상기 제3 부분 중의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2 및 상기 제3 부분 중의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o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이 상기 제3의 낮은 각도에서 상기 제4의 높은 각도로의 회전이도록 하기에 적합하며,
o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제3의 마찰을 초과하지만 상기 제2의 마찰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보다는 더 작은 힘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유리한 동작 위치가 획득되고 유리한 스냅 동작 및 사용자 선택 가능한 배치가 획득되도록 힌지들의 장점은 상기 단말기에 적용된다.
상기 더 바람직한 실시예의 장점은 상기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의 제3 태양에서 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순서대로,
1. 상기 바이어싱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의 제2 부분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및 제3 부분들을 상기 동작 위치로 회전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유지 수단을 활성화하는 단계;
2. 상기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유지 단계를 활성화하는 동안, 상기 단말기의 3개의 부분들을 사람의 손목 둘레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동작 이후에 사람의 손목 둘레에 착용될 수 있다. 실제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의 단계 1은 상기 유지 수단을 활성화하는 동안, 상기 단말기를 상기 사람의 손목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3 이후에,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 수단을 해제하고 상기 제1 및 제3 부분들을 상기 손목 둘레에 조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기의 동작은 전화 통화, 게임 실행, 달력 검색, SMS/MMS, 화상, 사운드 기록, 화상, 텍스트 및/또는 사운드와 같은 데이터의 전송 또는 수신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들의 어떤 동작일 수 있다.
스프링들의 방향은 제거가 제2 마찰(안전 조치(safety measure))의 극복 또는 해제 수단의 동작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손목 둘레에 조여질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이어싱 수단으로 인하여 해제 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은 전화 통화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전화 통화를 걸기를 원하는 경우와 같은 단말기의 동작 위치를 자동으로 야기한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알려져 있는 랩-스프링 클러치/힌지(wrap-spring clutch/hinge)의 기본 요소들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힌지(10)는 내부 표면(17)과 2개의 가닥 종단들(strand ends)(18 및 20)을 지닌 나선형 스프링(helical spring)(16) 및 2개의 봉 부재들(rod members)(12 및 14)을 포함한다. 상기 봉 부재들(12 및 14)의 직경들은 상기 스프링(16)의 내경보다 더 크다.
상기 힌지는 도 2에서 조립되는데 상기 봉 부재들이 상기 스프링(16)의 내부와 접촉한다. 상기 종단(18)이 봉 부재(12)와 관련하여 고정되어 유지되는 경우, 화살표 방향으로의 상기 봉 부재(14)의 회전은 상기 스프링(16)을 조일 것이어서 최대 토크(torque)를 획득하도록 상기 2개의 봉 부재들(12 및 14)을 서로 고정(lock)시킬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토션(torsion) 또는 회전 에너지는 상기 봉 부재(14)에서 봉 부재(12)로 전달된다. 다른 한편, 상기 봉 부재(14)가 (화살표와 반대인) 다른 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이동은 스프링(16)을 단지 느슨하게 할 것이고, 거의 아무런 토크도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은 스프링(16)의 종단(20)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쐐기(wedge)(15)이다. 상기 쐐기가 상기 종단(20)을 (도면 상에서) 들어올리기 위해 이동되는 경우, 스프링(16)은 "헐거워질(loosened)" 것인데, 이것은 스프링(16)을 조이지 않고 토크를 봉 부재(12)에 전달함없이 봉 부재(14)가 굵은(fat) 화살표 방향으로 이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의 내경이 증가될 것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해제 쐐기(15)를 동작시키지 않고, 종축(A) 둘레를 따라, 부재(14)를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16)이 조여질 것이라는 사실로 인하여 높은 마찰이 얻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부재(14)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스프링(16)이 헐거워져 훨씬 낮은 마찰이 초래될 것이다. 또한, 상기 쐐기(15)를 동작시키는 경우, 부재(14)를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제3의 낮은 마찰이 경험된다.
종단들(18 및 20)을 지닌 상기 스프링(16) 및 봉 부재(14)를 또한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된다. 하지만, 봉 부재(12)는 제거되었고, 그 대신 지금까지 봉 부재(12)에 연결된 요소는 종단(18)에 부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봉 부재들이 스프링(16)에 접해 있는 실시예보다 어떤 장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봉(14)은 이제 전체 나선형 스프링(16)까지 확장된다.
도 4는 동일한 기능을 지닌 힌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힌지는 또한 제1 봉 부재(12), 제2 봉 부재(14)를 구비한다. 제2 봉 부재(14)는 봉 부재(12)의 일부 상에 신장되는 관 모양의 형태를 갖는다. 스프링(16)은 "잠금 해제 종단(unlocking end)"(20) 및 고정 요소에 이제 고정된 종단(18)을 구비한다.
도 5에는, 스프링(16)이 상기 시스템에서 봉들(12 및 14)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고 백래시(backlash) 등이 생성되지 않게 하는 잠금 요소(locking element)(42) 뿐만 아니라 (종단(18)이 고정되고 봉 부재(12)에 고정되는) 요소(30) 및 (봉 부재(14)에 고정되는) 요소(32)가 도 4의 힌지에 추가되었다. 종단(18)을 고정시키는 것 대신에 요소(30)가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한 종단이 상기 요소(32)에 부착되고 다른 종단(미도시)이 봉 부재(12)에 고정된 바이어싱 스프링(biasing spring)(44)이 추가된다. 따라서, 요소(32) 및 봉 부재(14)가 봉 부재(12) 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고, 이러한 움직임은 바이어싱 스프링(44)에 의해 바이어싱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고정된 종단(18) 및 상기 쐐기(15)(또한 도 6 및 도 7 참조)가 동일한 시스템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것은 상기 요소들이 봉 부재(12) 또는 요소(30)와 관련하여 (병진 가능하지만) 회전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힌지를 조립하는 경우 다수의 선택이 존재한다. 상기 스프링(16)은 비-동작 상태에서 그들간에 연동 또는 마찰을 획득하도록 (봉들의 외경이 스프링의 내경보다 큰 경우) 봉들(12 및 14)을 삽입하기 전에 약간 개방되어, 동작은 스프링(16)의 헐거움(loosening)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동작 상태에서 (봉들의 외경이 스프링의 내경보다 작은 경우) 상기 종단(20)을 실제로 바이어싱하는 것이 요망될 수 있어서, 동작은 스프링(16)의 조임(tightening)일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비-동작 상태에서 "조임" 방향으로 종단(20)을 바이어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스프링(16)을 실제로 헐겁게 하는 다른 방법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쐐기(15)가 스프링(16)의 종단(20)의 2개의 다른 위치들과 함께 도시된다. 쐐기(15) 및 스프링(16)의 나선형 부분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종단(20)의 이동은 스프링(16)의 다소간의 헐거움을 제공할 것이다.
도 6에서, 상기 쐐기(15)는 상기 쐐기(15)와 함께 종단(20)이 이동하는 트랙을 형성하는 다른 요소(15')에 의해 보충된다. 상기 트랙은 종단(20)을 조이는 방향으로 실제로 바이어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종단(20)의 바이어싱되지 않은 위치가 점선의 종단(20')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종단(2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스프링을 헐겁게 할 것이고, 비-동작 위치에서, 종단(20)은 바이어싱되지 않은 위치(20')보다 낮은, 낮은 위치에서 표시된다.
다른 방법이 도 7에 도시되는데, 종단(20)은 유연한 요소(24)에 기대어 위치하는데, 상기 유연한 요소(24) 내부에서 가늘고 긴(elongated) 딱딱한 요소(26)가 슬라이딩할 수 있다. 사실상, 요소(26)가 수축(retract)되는 경우, 종단(20)이 요소(24)를 변형시켜 스프링(16)을 조이는 방식으로 요소(24)에 대해 바이어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요소(26)는 바이어싱 스프링(27)에 의해 요소(24)로부터 떨어져 바이어싱되고, 요소들(26, 24, 및 20)은 홀딩 수단(holding means)(22)에 의해 제어된다.
도 2로 돌아가면, 스프링(16)을 헐겁게 하는 것은 스프링 종단(20)을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또는 스프링(16) 쪽으로 종단(20)을 따른 방향과 같이 다수의 방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8은 제1 힌지(52)를 통해 제3 부분(32)에 그리고 제2 힌지(50)를 통해 제1 부분(34)에 연결되는 제2 부분(30)을 지닌 3-부분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로부터의 참조 번호들은 도면의 명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생략되었다.
상기 힌지들의 실제 "방향"(즉, 높은 마찰 및 낮은 마찰 회전 방향들 및 상기 바이어싱 스프링들의 방향들)은 도 9 및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8의 시스템의 부분(30)은 쐐기(15)와 같은 2개의 완화 메커니즘들(36)에 연결되는 푸시 버튼(28)을 구비하고, 부분(30)내의 고정 요소(40)와 연동되는 2개의 바이어싱 스프링들(38)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스프링 완화 메커니즘(spring loosening mechanism)을 구비한다.
이러한 완화 메커니즘은 2개의 스프링들(16)을 동시에 헐겁게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별적인 완화 메커니즘들이 각 힌지에 대해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3 부분들은 추가로 요소들(42)에 의해 상기 제2 부분에 회전하도록 부착된다. 이것은 단지 부분들의 회전을 안정시키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이동 전화(48)로서 사용하기 위한 특정의 바람직한 3-부분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힌지들(52 및 50)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30), 부분(32), 및 부분(34)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 전화(48)는 부분(34)에 위치하는 스피커(58) 및 부분(32)에 위치하는 마이크로폰(60)을 구비한다. 제2 부분(30)은 힌지들(50 및 52)에서의 2개의 스프링들(16)을 해제하기에 적합한 해제 버튼(release button)(54)을 구비한다.
제1 부분(34)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전화기의 프로세서(미도시)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미도시) 및 키보드(미도시) 등을 구비한다. 제3 부분(32)은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하고, 부분들(32 및 34) 사이에 정보 및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힌지들을 가로질러 플렉스 프린트들(flex prints)(미도시)이 제공된다.
스프링들(16 및 44)의 방향은 전화(48)의 다음 동작을 하도록 정의된다.
전화(48)는 손목(Q) 둘레에 착용되기에 적합하다. 전화(48)를 손목 둘레에 위치시키는 경우, 부분들(34 및 32)을 굵은 화살표(X 및 Y) 방향으로 이동시켜 부분들(34 및 32)이 손목(Q) 둘레에 약간 조여진다.
힌지들(50 및 52)에서의 스프링들(16)은 높은 마찰이 (헐겁게 되지 않은 경우) 굵은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화(48)는 손목(Q)이 움직이는 동안에도 제자리에 유지될 것이다.
사용자는 다른 손을 사용하여 손목에서 전화(48)를 제거할 수 있도록 버튼(54)을 조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 전화(48)를 제거할 수 있는 폭력에 의해 힌지(50 및 52)에서의 높은 마찰이 극복될 수 있다. 이것은 전화(48)가 우발적으로 외부 물건(울타리 또는 그런 종류의 다른 것)과 연동되는 경우 또는 긴급한 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해제 버튼(54)을 조작하는 경우, 바이어싱 스프링들은 전화(48)가 도 10에 도시된 위치를 얻도록 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마이크로폰(60) 및 스피커(58)는 전화 통화에 사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힌지들(50 및 52)은 단지 반사(mirror)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힌지(50)는 스프링(16)의 높은 마찰 방향으로 동작하는 바이어싱 스프링을 구비하지만, 힌지(52)는 스프링(16)의 낮은 마찰 방향으로 동작하는 바이어싱 스프링을 구비한다.
힌지(50)에 있어서, 바이어싱 스프링이 상기 힌지의 제3의 낮은 마찰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을 극복하는데 충분히 큰 바이어싱 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54)이 조작되지 않자마자, 바이어싱 힘은 부분(32)이 이제 화살표(Y)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의 높은 마찰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어떤 주어진 위치에서 유지될 것이다.
힌지(52)에 있어서, 바이어싱 스프링이 낮은 마찰 방향으로 동작한다는 점에서 상황이 상이하다. 따라서, 버튼(54)의 동작은 굵은 화살표(X)의 방향으로 제3 부분(32)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관련되지 않는다. 하지만, 전화를 손목(Q)의 등에 놓는 경우, 버튼(54)은 상기 부분(34)을 화살표(X)에 반대로 회전하도록 동작될 필요가 있다.
상기 전화를 동작시킨 후에, 전화는 다시 손목(Q) 둘레에 위치된다. 이것은 버튼(54)이 다시 부분(34)을 화살표(X)에 반대로 회전하도록 동작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전화가 손목(Q) 둘레에 위치되는 경우, 버튼(54)은 연결이 해제되고 부분들(32 및 34)은 단순히 부분들(32 및 34)을 함께 누름으로써 손목(Q)에 대해 조여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화살표(X 및 Y) 방향으로 수행되고 따라서 버튼(54)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0에 있어서, 제1 부분(34)은 가장 작은 각(A) 및 가장 큰 각(B) 사이에서 적어도 회전할 수 있어야 하고, 제2 부분(32)은 가장 작은 각(C) 및 가장 큰 각(D) 사이에서 적어도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에서, 또한 제1 부분(34)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56)가 도시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다시 각각 제1 부분(34), 제2 부분(30) 및 제3 부분(32)을 구비하는 이동 전화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또한, 해제 버튼(54)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폰(60) 및 스피커(58)가 도시된다.
제1, 제2 및 제3 부분들 사이의 힌지들은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았다.
전화의 운반 위치가 도 11에 도시된다. 도 11에서는 부분들(30, 32, 및 34)을 서로 인접하게 함으로써 전화가 가능한한 소형이 된다.
힌지들이 상기 언급된 유형을 가지며 제2의 회전 방향이 도 11의 위치로부터 전화의 동작 위치인 도 12에 도시된 위치로 멀어지도록 작용한다. 힌지들의 바이어싱 수단은 도 11의 위치로부터 도 12의 위치로 부분들(32 및 34)을 회전시키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버튼(54)을 조작하여 전화를 어떤 위치로부터 도 12의 위치로 되게 함으로써,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가 전화 통화를 하는데 이용가능하다.
또한, 힌지들의 동작으로 인하여,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위치들과 같은 다른 위치들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디스플레이가 부분들(30 또는 32) 중의 하나에 위치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전화의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Claims (16)

  1. 제1, 제2, 및 제3 부분(part)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1 힌지(hinge)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을 피보트(pivot)가능하게 상호연결하고, 제2 힌지는 상기 제2 및 제3 부분들을 피보트가능하게 상호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힌지들 각각은:
    - 종축(longitudinal axis)을 지니는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각각 2개의 종단들을 지니는 하나 이상의 감겨진 물질 가닥들을 포함하는 나선형 스프링;
    - 상기 나선형 스프링까지 신장하는 제1 힌지부로서, 상기 종축을 따라 제1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내부와 접촉하는 제1 힌지부; 및
    - 상기 제1 위치 또는 영역과는 상이한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하나 이상의 가닥들에 접촉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각 힌지에서, 상기 스프링은:
    - 상기 종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힌지부와 관련하여 제1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이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나선형 스프링간에 제1의 낮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 상기 종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힌지부와 관련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이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나선형 스프링간에 제2의 높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 상기 제1 힌지에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부분 중의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부분 중의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 상기 제2 힌지에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2 또는 상기 제3 부분 중의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2 및 상기 제3 부분 중의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 상기 단말기는 각 힌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 동안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나선형 스프링간에 상기 제2의 높은 마찰을 제3 마찰까지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해제 수단(release mean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해제 수단이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을 제공하기 위한 바이어싱 수단(biasing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제3 마찰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을 초과하지만 상기 제2 마찰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보다는 낮은 힘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힌지의 제1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제1 부분에 연결되거나 부착되고,
    - 상기 제2 힌지의 제1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제3 부분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 상기 제1 및 제2 힌지들의 해제 수단은 상기 단말기의 제2 부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수단은 단일 동작 수단에 의해 동작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해제 수단이 동작되는 경우 조차 상기 부분들을 소정의 회전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 수단(locking mean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부분들 중의 하나는 사운드 생성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부분들 중의 하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들은 상기 단말기의 제2 부분과 관련하여 상기 단말기의 제1 및 제3 부분들을 각각 소정의 회전 위치들을 향해 바이어싱하기 위한 바이어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제1 및 제3 부분들이 상기 단말기의 제2 부분과 관련하여 소정의 회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사운드 생성기 및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단말기의 소정의 측면에서 액세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 제1, 제2, 및 제3 부분;
    -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이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제1의 낮은 각도 및 제2의 높은 각도 사이에서 회전되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을 피보트가능하게 상호연결하는 제1 힌지(hinge); 및
    - 상기 제2 및 제3 부분들이 상기 제2 및 제3 부분 사이의 제3의 낮은 각도 및 제4의 높은 각도 사이에서 회전되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제2 및 제3 부분들을 피보트가능하게 상호연결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고,
    - 상기 단말기의 제1, 제2, 또는 제3 부분들 중 하나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고,
    - 상기 단말기의 제1, 제2, 또는 제3 부분들 중 하나는 사운드 이미터(sound emitter)를 구비하며,
    - 상기 단말기는 동작 위치(operative position)를 가지고,
    o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의 낮은 각도로 회전하고,
    o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4의 높은 각도로 회전하며,
    o 상기 마이크로폰 및 사운드 이미터는 상기 단말기의 소정의 측면으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1, 제2, 및 제3 부분들의 가장 큰 결합된 길이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손목의 둘레의 반을 초과하고, 상기 단말기는 동작 위치에서 상기 가장 큰 결합된 길이보다 낮은 가장 큰 선형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 상기 제1의 낮은 각도는 45도보다 낮고,
    - 상기 제2의 높은 각도는 90도를 초과하며,
    - 상기 제3의 낮은 각도는 110도보다 낮고,
    - 상기 제4의 높은 각도는 110도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제3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사운드 이미터는 상기 제1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힌지는 상기 제1의 낮은 각도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부분에 관해 상기 제1 부분을 바이어스하기에 적합한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하고,
    -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제4의 높은 각도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부분에 관해 상기 제3 부분을 바이어스하기에 적합한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부분에 관해 상기 제1 및 제3 부분들을 각각 상기 제1 및 제4 각도로 비스듬히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해제 가능한 수단(releasable mean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들 각각은:
    - 종축(longitudinal axis)을 지니는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각각 2개의 종단들을 지니는 하나 이상의 감겨진 물질 가닥들을 포함하는 나선형 스프링;
    - 상기 나선형 스프링까지 신장하는 제1 힌지부로서, 상기 종축을 따라 제1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내부와 접촉하는 제1 힌지부; 및
    - 상기 제1 위치 또는 영역과는 상이한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하나 이상의 가닥들에 접촉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고,
    각 힌지에서, 상기 스프링은:
    - 상기 종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힌지부와 관련하여 제1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이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나선형 스프링간에 제1의 낮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 상기 종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 힌지부와 관련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이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나선형 스프링간에 제2의 높은 마찰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 상기 해제 가능한 유지 수단은 각 힌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힌지부의 회전 동안 상기 제1 힌지부와 상기 나선형 스프링간에 상기 제2의 높은 마찰을 제3 마찰까지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위치 또는 영역에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해제 수단을 포함하며,
    - 상기 제1 힌지에서:
    o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부분 중의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부분 중의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o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이 상기 제1의 낮은 각도에서 상기 제2의 높은 각도로의 회전이도록 하기에 적합하고,
    o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제1의 낮은 마찰을 초과하는 힘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며,
    - 상기 제2 힌지에서:
    o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2 또는 상기 제3 부분 중의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2 및 상기 제3 부분 중의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며,
    o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이 상기 제3의 낮은 각도에서 상기 제4의 높은 각도로의 회전이도록 하기에 적합하고,
    o 상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제3의 마찰을 초과하지만 상기 제2의 마찰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힘보다는 더 작은 힘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2항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순서대로,
    1. 상기 바이어싱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의 제2 부분과 관련하여 상기 제1 및 제3 부분들을 상기 동작 위치로 회전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유지 수단을 활성화하는 단계;
    2. 상기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유지 단계를 활성화하는 동안, 상기 단말기의 3개의 부분들을 사람의 손목 둘레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단계 1은 상기 유지 수단을 활성화하는 동안, 상기 단말기를 상기 사람의 손목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단계 3 이후에, 상기 유지 수단을 해제하고 상기 제1 및 제3 부분들을 상기 손목 둘레에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7011490A 2002-12-20 2003-12-15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0804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23,822 US7353048B2 (en) 2002-12-20 2002-12-20 Transformer hinge design
US10/323,822 2002-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129A true KR20050088129A (ko) 2005-09-01
KR100804225B1 KR100804225B1 (ko) 2008-02-18

Family

ID=3268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490A KR100804225B1 (ko) 2002-12-20 2003-12-15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353048B2 (ko)
EP (1) EP1574019A2 (ko)
KR (1) KR100804225B1 (ko)
CN (1) CN100433757C (ko)
AU (1) AU2003287899A1 (ko)
HK (1) HK1087870A1 (ko)
WO (1) WO200405784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10B1 (ko) * 2004-06-18 2011-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3012B2 (en) 2007-07-31 2013-01-29 Microsoft Corporation Pointing device for interface with a graphical display
US20100053084A1 (en) * 2008-08-27 2010-03-04 Microsoft Corporation Collapsible mouse with pinch-risk solution
US9360889B2 (en) * 2013-12-27 2016-06-07 Intel Corporation Routing signals via hinge assemblie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9256253B2 (en) 2013-12-28 2016-02-09 Intel Corporation Clasp assembly and data interconnection for wearable computing devices
US9703322B2 (en) 2014-04-01 2017-07-11 Htc Corporation Wearable device
TWI507856B (zh) * 2014-04-16 2015-11-11 Wistron Corp 可變形之穿戴式電子裝置
US9775414B2 (en) * 2014-11-05 2017-10-03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0215A (ja) 1988-08-12 1990-02-20 Canon Inc 座標入力装置
JP3255995B2 (ja)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SE507149C2 (sv) 1996-08-29 1998-04-06 Ericsson Telefon Ab L M Gångjärnsanordning
US5966776A (en) * 1997-05-07 1999-10-19 Strawberry Corporation Hinge device
US6681014B1 (en) * 1997-06-02 2004-01-20 Firooz Ghassabian Wrist-mounted telephone device
FI104927B (fi) 1997-10-02 2000-04-28 Nokia Mobile Phones Ltd Matkaviestin
US5936530A (en) * 1998-04-02 1999-08-10 Meinhold; Robert C. Child protection device
GB2337790B (en) 1998-05-29 2002-12-31 Nokia Mobile Phones Ltd Hinge mechanism
JP2001345907A (ja) * 2000-03-28 2001-12-14 Seiko Instruments Inc 腕時計型無線電話機
TW507979U (en) 2001-04-04 2002-10-21 Benq Corp magnetic hinge apparatus
EP1456734B1 (en) 2001-12-20 2007-06-20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 having foldable functional cover
CN1229920C (zh) * 2002-07-24 2005-11-30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便携式通讯装置
US20040098834A1 (en) * 2002-11-27 2004-05-27 Shin Zu Shing Co., Ltd. Hinge for a mobi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10B1 (ko) * 2004-06-18 2011-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40396A1 (en) 2006-06-29
EP1574019A2 (en) 2005-09-14
HK1087870A1 (en) 2006-10-20
KR100804225B1 (ko) 2008-02-18
WO2004057841A2 (en) 2004-07-08
US7353048B2 (en) 2008-04-01
AU2003287899A1 (en) 2004-07-14
US20040203519A1 (en) 2004-10-14
WO2004057841A3 (en) 2004-08-12
CN100433757C (zh) 2008-11-12
CN1754375A (zh)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3968B2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ing the hinge device
US7596358B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3303394B2 (ja) 携帯電話機
JP2001165144A (ja) 折りたたみ型携帯電話機
US7034755B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4205367B2 (ja) 電子機器
KR100807158B1 (ko) 힌지를 지닌 이동 단말기, 힌지를 지닌 이동 단말기를동작시키는 방법 및 힌지
JPWO2007069300A1 (ja)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4520009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JP2003065320A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10080422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JP4653212B2 (ja) 折りたたみ型携帯電話機
JPH1141328A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3764092B2 (ja) 電子機器用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JP2677247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2005188641A (ja) 二軸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折畳み式の携帯電話機
JP4985278B2 (ja) ヒンジ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5090602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H05263563A (ja) ヒンジ機構
JP2004032817A (ja) 携帯端末のアンテナ伸縮装置
WO2002016718A1 (fr) Telephone cellulaire pliable
JP2004150498A (ja) 電子機器用ヒンジ並びにこの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40070719A (ko) 카메라를 내장한 휴대폰의 카메라 결합 구조
JP2001313704A (ja) 携帯型電話機
JP2003194042A (ja) 枢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