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493A - 여러개의 플랫 패널들을 구비하는 커튼 시스템 - Google Patents

여러개의 플랫 패널들을 구비하는 커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493A
KR20050086493A KR1020057008330A KR20057008330A KR20050086493A KR 20050086493 A KR20050086493 A KR 20050086493A KR 1020057008330 A KR1020057008330 A KR 1020057008330A KR 20057008330 A KR20057008330 A KR 20057008330A KR 20050086493 A KR20050086493 A KR 20050086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fastening means
slats
curtain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754B1 (ko
Inventor
발테르 이. 자나치
Original Assignee
힌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힌노 아게 filed Critical 힌노 아게
Publication of KR2005008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커튼 섬유 또는 다른 평면 재료들로 이루지는 몇몇 플랫 패널들(9)을 구비하는 커튼 시스템이 개시된다. 각 패널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 슬랫(1)이 구비되어 있고, 이것상에 커튼 섬유 또는 패널이 느슨한 방식으로 걸려있다. 슬랫(1)의 양 단부들(2, 3)은 롤러들(5) 또는 슬라이더들(6)을 위한 고정 수단(4)을 포함한다. 각 슬랫(1)의 일 단부(2)의 롤러들(5) 또는 슬라이더들(6)은 제 1 공통 트랙(7) 내측으로 안내되는 한편, 각 슬랫(1)의 다른 단부에 배치된 롤러들(5) 또는 슬라이더들(6)은 상기 패널들(9)이 서로의 상부에서 미끄럼이동하도록 제 2 공통 트랙(8) 내측으로 안내된다. 패널들은 상기 트랙들(7, 8)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하고, 상기 트랙들(7, 8)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장착될시에 상기 패널들이 거의 겹쳐질때까지 서로의 상부상에서 미끄럼이동하며, 그 이유는 상기 고정 수단(4)이 슬랫 또는 그 정렬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 수단(4)이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Description

여러개의 플랫 패널들을 구비하는 커튼 시스템{Curtain system comprising several flat panels}
본 발명은 플랫 패널들, 예를 들어 커튼 재료의 커튼들을 걸기 위한 커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은 커튼 시스템의 향상된 요구 사항을 설정하고 있다. 플랫 커튼 시스템의 적용에 대해, 커튼 재료가 구불구불한 방식으로 더이상 걸리지 않으나 플랫 소자들 또는 패널들을 형성하는 이러한 것들은 많은 광이 롬(room)내에서 얻어지고 다른 광학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현대 환경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달성할 수 있다. 커튼들은 누군가가 외부로부터 가정 내부를 들여다 보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스타일의 필수적인 소자들이 열기와 환경도 전달하고 특정 성능의 인상도 부여할 수 있다. 커다란 윈도우 정면에서 빛을 발산하는 실내에 대해, 커튼은 롬의 전체 폭에 걸쳐 양호하게 당겨진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요구시에 상기 시트 커튼들은 윈도우 또는 시트 도어들을 개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또는 매우 간단하게 외부에 대해 전망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또는 광의 양호한 입사를 보장하기 위하여 측면으로 밀릴 수 있다. 플랫 패널들을 위한 공지된 커튼 시스템에 대해, 이들은 커튼 재료가 직사각형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들과 주로 편평한 직물 편들의 패널들이 커튼 레일의 레일 런너들에 걸리고 이들을 따라 변위가능한 캐리지로부터 자유롭게 걸리는 것들 사이를 구별짓는다. 이에 의한 이러한 패널 캐리지는 커튼 레일에서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더들 또는 롤러들에 대해 걸리거나 또는 안내되고, 대개 윈도우에 대해 평행하게 조립된다. 단일 커튼 레일상의, 즉 단일 레일 런너상의 패널들이 서로 교차하지 않고, 따라서 서로 겹쳐지지 않으나, 양호한 경우에 서로상에서 밀릴 수 있기 때문에, 대개 독립 커튼 레일 또는 독립 레일 런이 요구되고 각 패널을 위해 놓인다. 커버될 0.5m의 패널 폭과 3.50m의 표면 폭에 대해, 적어도 일곱개의 레일 런들은 이들이 양호하지 않은 윈도우의 좌우측으로 독립적으로 패널들을 적층하지 않는 한, 커튼 패널을 갖는 각 위치에서 이들 표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요구된다.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중복부가 달성된다면, 여덟개 이상의 레일 런들이 요구된다. 한편으로는 몇몇 레일 런들을 갖는 이들 커튼 레일들의 어셈블리는 아주 활동적이며 천정에 몇몇 어셈블리가 있는 바와 같이 복잡하다. 커다란 폭 때문에, 다수의 레일 런들을 갖는 레일들은 또한 공간 문제를 일으키고, 따라서 많은 레일 런들을 갖는 레일들은 비싸다. 더욱이, 천정에서 많은 레일 런들을 갖는 레일들은 부피가 커 보이고 시트 커튼 시스템이 조사되는 간략성을 왜곡한다.
시트 커튼 시스템은 두개의 평행한 레일 런들만으로 하나의 레일을 만드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 다음 관련된 캐리지들은 상부측면에서 하나의 단부 영역에 있는 제 1 레일 런에 걸리고, 다른 단부의 영역에 있어서 그들 상부 측면에서 제 2 레일 런에 걸린다. 그러나, 공지된 설계는 이들이 일 측면으로 함께 밀릴시에 상기 패널들이 두꺼운 적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루기 힘든 방식으로 작용한다. 두개의 커튼 레일 런들이 비교적 서로 밀접하게 놓인다면, 개개의 캐리지들은 매우 예각으로 이들에 대해 이어지고, 그들은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방식으로 함께 밀릴 것이다. 실내의 천정에 레일들을 놓기 전에 통상적인 시스템의 캐리지들은 그들 레일 런들로 도입되어야만 하고, 연속하여 레일 런들로부터 더 이상 이동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커튼들은 중공 시임을 갖는 캐리지에 걸쳐 밀리지 않고, 또한 이들은 세정 목적을 위해 이로부터 더 이상 제거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그들 길이 방향 측면상에 있는 캐리지들에는 관련된 커튼 패널의 커튼 재료가 상기 재료의 엣지 상에 꿰메어지는 Velcro(벨크로) 스트립에 의해 가압되는 벨크로 스트립이 구비되어 있다. 커튼 재료의 세정을 위해, 개개의 커튼 패널 재료는 벨크로 클로우져의 해제 중에 캐리지로부터 찢어질 수 있고, 그후에 세정은 다시 캐리지상에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약간의 세정후에 벨로크 스트립은 유지력이 감소되도록 견고한 방식으로 더이상 걸리지 않고 관련된 커튼 패널은 니스 및 레벨 방식으로 제위치로 더 이상 들어오지 않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현존하는 시트 커튼 시스템은 여러가지 기술적 이유에 의해 확실한 신뢰성이 없다. 먼저, 그들 어셈블리는 고가이다. 두번째로, 이들 커튼 패널들은 그 디자인으로 인해 관련된 캐리지들이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힘든 방식으로 작용하고, 패널들은 특히 하나의 윈도우 측면상에서 함께 상기 패널들을 이동시킬시에 두꺼운 적층을 형성하고, 특히 두개의 커튼 레일 런들이 서로 비교적 작은 거리에 있다면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그런 다음 특히 개개의 패널들은 제한된 방식으로만 함께 겹쳐져서 밀릴 수 있다. 세번째로, 이들 시트 커튼 시스템의 제조는 벨크로 스트립을 갖는 값비싼 설계에 따라 너무 비싸다. 마지막으로, 조립되자마자 캐리지의 제거는 레일 런들을 분해할 수 없는 통상적인 시스템을 갖는 힘든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실내의 천정에 조립된 네개의 플랫 패널들을 갖는 어셈블리 레일의 두개의 평행한 레일 런들을 갖는 커튼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슬라이더에 걸기 위한 고정 수단으로서 후크를 갖는 수평 슬랫의 단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롤러 아버에 걸기 위한 후크를 갖는 수평 슬랫의 단부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10은 수평 슬랫의 단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대응하는 삽입 소자들을 갖는 삽입 홈들 또는 삽입 슬리브들의 각종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알루미늄 프로파일과 슬라이드 형태인 관련된 슬랫과 이것 상의 관련된 레일 런을 갖는 스프링 스틸의 삽입 소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걸려진 슬리이드를 갖고 단부면으로부터 슬랫에 삽입된 도 11의 관련된 슬랫을 갖는 스프링 스틸의 삽입 소자를 측면에서 본 도면.
도 13은 풀 체인이 이들에 연결되는 두개의 레일 런들을 갖는 레일에 조립된 커튼 패널들을 위한 세개의 행거 로드들을 도시한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 재로 또는 다른 박막 재료와 같은 몇몇 플랫 패널들로 구성되고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커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동시에 커튼 시스템은 특히 커튼 레일들을 관련된 행거 로드가 소정 시간에 간단한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부에서 각 패널은 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의 수평 슬랫 형태로 시트 재료가 중공 시임상에서 자유롭게 걸리는 행거 로드를 포함하고, 이러한 슬랫에는 롤러들 또는 슬라이더들을 위한 고정 수단이 제공되어 있으며, 각 슬랫의 일 단부 영역의 롤러들 또는 슬라이더들은 제 1 공통 레일로 안내되고, 각 슬랫의 다른 단부 영역의 롤러들 또는 슬라이더들은 제 2 공통 레일로 안내됨으로써, 상기 패널들은 서로에 걸쳐서 밀리는, 시트 재료의 몇몇 플랫 패널들을 갖는 커튼 시스템에 의해 이러한 목적이 달성되고, 상기 슬랫들은 단부면안으로 개방되는 리세스들, 홀들 또는 홈들을 포함하고, 고정 수단은 단부면으로부터 또는 측면으로부터 상기 슬랫에서 이들 리세스들, 홀들 또는 홈들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적용되는 삽입 소자들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튼 시스템은 첨부 도면에 여러 실예로 도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과 그 기능이 이들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고 기술된다.
커튼 시스템이 도 1에 그 적용을 위해 도시되어 있다. 실내의 천정(12)에 조립되고 도시된 실예에서 네개의 플랫 패널들(9)의 변위가능한 행잉(hanging)을 위해 작용하는 두개의 레일 런들(7, 8)을 갖는 어셈블리 레일을 포함한다. 실내 천정상의 대신에, 어셈블리 레일은 하부에 배열된 보드와 보드와 같은 그 자체의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레일 런들은 또한 원형 로드에 배치될 수 있다. 두개의 레일 런들(7, 8)은 여기서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작은 거리로 이어지게 놓여 있고, 실내의 상부 엣지와 평행하게 이어지게 놓여 있다. 각 커튼 패널(9)은 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의 슬랫(1)을 갖는 패널 캐리지와 이것상에 걸린 커튼 재료 편으로 구성된다. 커튼 재료의 상부 엣지에서의 중공 시임은 슬랫(1)상에 커턴 재료의 행잉을 위해 양호하게 작용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 중공 시임을 갖는 커튼은 슬랫(1)에 걸쳐서 간단히 밀린다. 그런 다음, 하향으로 자유롭게 걸려지고 플랫 패널(9)을 형성한다. 그래서 커튼 재료가 거의 어떤 접힘없이 걸리므로, 공지된 방식에서의 하부 시임은 하부 중공 시임으로 밀리는 중량 로드와 같은 인장 중량을 제공할 수 있다. 커튼 재료가 걸리는 슬랫(1)은 고정 수단(4)을 갖는 양 측면상의 단부에 제공되고, 각 경우에 레일 런 내에서, 또는 레일 런들(7, 8)의 내측에서 구르는 각 롤러 쌍의 아버(arbor)상에서 미끄럼이동하는 슬라이더(6)의 아일릿(eyelet)(11)상에 각각 걸리는 후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경우에 그들 고정 수단(4)을 갖는 슬랫들(1)의 좌측 단부(2)는 관찰자와 직면하는 전방 레일 런(7)에서 미끄럼이동하는 슬라이드들(6)상에 걸린다. 그들 고정 수단(4)을 갖는 다른 측면상의 슬랫들(1)의 각 우측 단부(3)는 어셈블리 레일의 레일 런(8)에서 미끄럼이동하는 슬라이더들(6)상에 걸리고, 상기 레일 런은 후방에 있고 관찰자에 대해 떨어져 있다. 이러한 배열에 따르면, 각 패널들(9)은 레일 런들(7, 8)과, 커튼의 뒤로 이어지는 실내 벽 또는 윈도우 벽의 이어지는 방향에 대해 약간 경사진 각도로 걸려야만 한다. 예를 들어 0.5m의 패널 폭과, 레일 런 중간에서 레일 런 중간까지 예를 들어 2㎝의 레일 런들(7, 8)의 간격에 대해, 레일 런들의 이어지는 방향에 대해 단지 2.3°의 각도로 초래된다. 예를 들어 네개의 패널들(9)이 내부로 당겨진다. 이에 대해, 중간 두개는 이들이 1/3만큼 겹쳐지는 위치에 걸린다. 패널 폭의 약 1/3의 갭은 외측 두개의 패널들(9)과 두개의 중간 패널들(9) 사이에 자유롭게 유지된다. 모든 패널들(9)은 레일 런들(7, 8)을 따라 앞뒤로 이동되고, 패널들(9)의 도시된 위치는 설정 가능성을 지시하기 위해서만 선택된다. 예를 들면, 모든 패널들(9)은 이들이 서로 겹쳐질때까지 그리고 그로부터 걸려있는 커튼 재료를 갖는 슬랫(1)이서로 지지될때까지 좌우측으로 완전히 밀리 수 있다. 패널들(9)은 두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 놓여있는 어떤 위치에서 왼전하게 또는 느슨한 방식으로 함께 밀리 수 있다. 인접한 패널과 겹쳐질때까지 이러한 자유로운 변위성에 의해, 많은 가능성은 광에 대한 효과를 위해 이용가능하다. 커튼 패널들은 예를 들어 필요시 그 뒤에 배열된 윈도우가 개방되거나 또는 발코니 또는 테라스 도어가 개방되도록 용이하게 변위될 수 있고, 따라서 외측으로의 통로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다. 부가적인 슬라이더들을 구비하는 풀-코드(pull-cord)가 이러한 것을 위해 작용하고, 이들 슬라이더들은 두개의 레일 런들(7, 8) 중 하나에서 슬랫들(1)의 슬라이더들(6) 사이에 걸려있다. 그 슬라이드들 각각을 갖는 풀-코드는 각 경우에 하나의 패널(9)을 파지하고 변위시킬 수 있고, 또한 그 단부들중 적어도 하나에서 견인 로드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 슬랫(1)의 좌측 단부(2)는 고정 수단(4)과 슬라이더(6)을 함께 나타낸다. 고정 수단(4)은 삽입 소자(18)를 갖는 단부면(19)으로부터 슬랫(1)의 대응하는 리세스(23)안으로 삽입되고 이것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같은 성형 편으로 구성된다. 고정 수단(4)은 커튼 레일(7, 8)에 대해 약간 경사진 각도로 이어지는 슬랫들(1)이 서로 완전하게 밀리도록 그 자체로 슬랫(1)보다 더 두껍거나 또는 넓게 형성되지 않고, 슬랫(1)의 간격은 고정 수단(4)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고정 수단(4)은 후크(10)가 상부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슬라이드 편(6)의 아일릿(11)에 걸려있다. 이 슬라이드 편은 통상적인 방식에서 커튼 레일의 레일 런으로 이어진다. 아일릿(11)과 후크(10)는 고정 수단(4)이 슬라이더(6)에 걸쳐서 걸리는 레일 런(7, 8)에 대해 수직 축에 관해서 피봇가능하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된다. 후크(10)의 단부(15)는 나머지 선명한 폭이 아일릿(11)의 두께 보다 약간 작도록 슬랫(11)의 단부에 밀접하게 되고, 이에 의해 후크(10)에서 더 이상 떨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상부 단부에서 중공 시임을 포함하는 커튼 재료는 슬랫(1)에 걸쳐서 당겨지고, 그 후에 이것은 중공 시임의 초기 영역이 후크(10) 아래의 영역에 놓이도록 그 단부에 걸쳐서 당겨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튼 패널의 중공 시임이 지시되어 있다. 그 외부 단분에서 이러한 중공 시임에는 작은 스티칭(stitching)이 형성되도록 절결부가 제공되고, 이에 의해 상부 외부 코너는 아주작은 포켓(30)을 형성한다. 중공 시임이 슬랫(1)에 걸쳐서 좌측으로 완전히 밀린다면, 이러한 포켓은 상부 코너, 여기선 슬랫(1)중 좌측의 하나에 걸쳐서 놓이게 되고, 실제로 숄더(16)를 형성하는 슬랫(1)의 코너에 걸쳐서 밀린다. 그런다음 상부 슬랫 코너에 의해 형성되는 숄더(16)는 커튼 재료를 위한 바브(barb)로서 작용하고, 이것이 슬랫(1)으로부터 뒤로 미끄럼이동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정확히 시임은 중공 시임의 다른 측면과 슬랫(1)에 적용된다.
도 3은 다른 고정 수단(4)을 도시한다. 이것은 또한 슬랫(1)에서 단부면으로부터 리세스(23)내로 삽입 소자(18)에 의해 슬랫안으로 삽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 수단(4)은 다르게 형성되고 긴 네크(17) 또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부품을 구비하는 후크(10)를 포함한다. 이 후크(10)는 저부에 대해 경사지게 개방되고, 두개의 관련된 롤러들(5) 사이에서 연결 아버(arbor)(13)상에 걸리도록 치수 결정된다. 롤러 쌍(5)은 레일 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르는 커튼 레일의 레일 런안으로 도입된다.
도 4 내지 도 10은 슬랫들(1)을 위한 단부면(19)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서 단부면의 슬랫(1)은 고정 수단(4)상의 대응하는 삽입 핀들(18)이 그 안으로 삽입되는 두개의 삽입 슬리브들(22)을 포함한다. 도 5에서 단부면의 슬랫은 단면 직사각형인 리세스(23)를 인식할 것이고, 관련된 삽입 소자가 그 안으로 삽입될 것이다. 도 6에서, 리세스(23)는 단면 사다리꼴형이고 그 짧은 사다리꼴 측면으로 개방되는 홈으로써 설계되며, 이것은 단면적으로 제비 꼬리형인 슬랫(1)상에 홈을 형성하고, 삽입 소자(18)가 슬랫의 단부면으로부터 그 안으로 삽입될 것이다. 도 7에서 리세스(23)는 또한 직사각형이고 슬랫(1)의 내측에 배열되나, 슬랫(1)의 일 측면상에서 작은 폭으로 개방된다. 도 8에서 각 경우에 상하의 슬랫(1)은 고정 수단(4)상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프로파일 단면(18)이 그 안으로 끼워지는 개방 삽입 홈(23)을 포함한다. 도 9는 단면 직사각형의 측방향으로 리세스된 홈을 갖는 슬랫(1)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최종적으로 양 측면상에 리세스된 단면 직사각형의 각 홈을 갖는 다른 슬랫을 도시하고 있다. 포크형 고정 수단(4)은 이들 두개의 홈들을 거쳐서 삽입되고, 포크 프롱(fork prong)(38)은 탄성적이며, 삽입된 포크가 이 홈에 클램프되도록 커튼 바이어스(bias)를 갖는다.
도 11은 커튼 시스템의 특히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여기선 슬랫(1)의 일 단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슬랫(1)은 압출 방법으로 제조되는 2.4㎜ 두께와 17㎜ 폭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이고, 리세스(23)는 이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비 꼬리 형상 단면을 갖는 1㎜ 깊이보다 약간 큰 측방으로 개방된 삽입 홈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 수단(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예를 들어 대략 0.7㎜ 두께의 스프링 스틸의 삽입 소자(18)에 의해 슬랫(1)의 양 단부들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삽입 소자(18)는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펀칭 부품이다. 더욱이, 단일 특정 슬라이더(6)는 상표명 Clic-slider로 공지되어 있고 또한 통상적인 커튼들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다. 그 아일릿(11)은 고정 수단(4) 상에서 후크(10)에 걸쳐 밀리거나, 또는 후크(10)는 아일릿(11) 상에 걸린다. 특성으로서 양 측면상의 이 Clic-slider(6)는 관련된 커튼 레일(7)의 레일 런의 슬롯(28)을 통하여 어떤 위치에서 아래로부터 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탄성적으로 하향으로 포봇가능한 로킹 립들(26)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 로킹 립들(26)은 하향으로 임시로 선회되고, 슬롯 엣지를 통과한후 이들은 탄성적인 방식으로 뒤로 선회하며, 동시에 커튼 레일(7)의 레일 런에 슬라이더(6)를 고정한다. 그러나, 도시된 상황으로부터 진행하여, 먼저 고정 수단(4)은 후크를 슬라이드 아일릿(11)에 건다음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부착된 슬라이드(6)는 슬랫(1)의 단부면으로부터 삽입 홈(23)안으로 밀린다. 이것은 스프링 스틸의 삽입 소자(18)의 약간 탄성적인 곡률의 한가운데서 효과적이고, 이에 의해 홈의 엣지에서 증가된 슬라이딩 마찰이 일어난다. 삽입 소자(18)가 후방에 대해 증가하는 높이의 결과로 그 내에 쐐기 고정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홈(23)안으로 밀린다면, 후크 단부의 팁(15)은 슬랫(1)의 단부면 또는 프로파일 단부의 높이에 대략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더(6)의 아일릿(11)은 후크(10)로부터 슬립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후크(10)는 아일릿(11)내에서 측방으로 선회되고, 특히 대략 45°만큼 각 측면에 대해 선회된다. 삽입 소자(18)는 접착 마찰에 의해 삽입 홈(23)에 유지된다. 접착 마찰은 삽입 소자(18)의 스프링 작용력에 의해 충분하게 증가하고, 이것은 삽입 홈(23)내에서 멀리 펼쳐진다. 생성된 접착 마찰력은 삽입 소자(18)가 홈내에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크다. 따라서 커튼 패널들의 어셈블리를 위해, 먼저 도시된 방식으로 슬라이더(6)를 갖는 삽입 소자(18)는 단부면으로부터 슬랫(1)의 일 단부에서 삽입 홈(23)에 삽입된다. 그런 다음, 슬랫(1)은 관련된 커튼 재료(9)의 중공 시임을 통해서 삽입된다. 연속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슬랫(1)의 다른 단부에서, 슬라이더(6)를 갖는 삽입 소자(18)가 삽입된다. 그런 다음, 슬라이더(6)에 의해 커튼 재료(9)를 함께 갖는 슬랫(1)은 두개의 이격된 레일 런들(7, 8)안으로 클릭된다. 완전한 재료 패널이 후크 및 슬라이더 소자와 함께 행거 로드로부터 매우 간단하게 스트립되도록 약 2.7 - 3.0㎝의 중공 심을 형성하게 하고, 그런후 와싱은 행거 로드에 걸쳐 다시 밀린다.
도 13은 각각의 경우에 일 단부가 레일 런(7)내에서 슬라이더(6)상에 걸리고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단부가 제 2 레일 런(8)상에 걸리는 세개의 슬랫들(1)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개개의 슬랫들(1)이 어떻게 협동하는지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은 특히 윈도우로부터 실내로 보아서 커튼 패널 없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슬랫들(1)내에서 홈들(23)은 실내로부터 홈들(23)도 또한 이들에 삽입되는 삽입 소자들(18)의 부품들도 볼수 없도록 윈도우와 직면한다. 부가로, 견인 소자들(31)은 슬라이더들(6)의 아일릿상에 걸려있다. 두개의 상기 견인 소자들(31)은 도면에서 아래에 독립적으로 그리고 확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견인 소자(31)가 상부 후크 림(limb)의 약간 펼쳐지는 가운데서 슬라이더(6)의 아일릿(11)에 걸쳐 클립되고 이것 상에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테이퍼진 개구(35)를 구비하는 후크와 함께 플라스틱 혈소판(platelets)인 경우이다. 더욱이 두개의 개략적인 반원형 셀들(33, 34)은 탄성적인 방식으로 다소 이격되어 펼쳐지는 이 혈소판(31)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되고, 홀(36)은 상기 혈소판을 통해 진행하는 이들 두개의 셀들(33, 34) 사이에 놓인다. 체인(37)의 작은 볼(32)은 이 볼이 이들 두개의 셀들(33, 34) 사이에 견고하게 클램프되도록 이들 두개의 셀들(33, 34) 사이에 클램프된다. 도시된 방식으로 이들을 통과하여 코드상에 장착되는 작은 볼들(32)을 갖는 볼 체인(37)은 커튼 배열의 독립적인 슬랫들(1)을 서로 연결한다. 도면에서 최우측에 배치된 슬랫(1)은 단부면상의 슬랫이다. 작은 볼들(32)을 갖는 체인(37)이 고정되는 견인 소자(31)는 이 슬랫의 외부 단부에 부착된다. 그 후, 체인(37)은 연속적인 슬랫(1)의 이면 단부에 놓이고, 동일한 방식으로 걸린 견인 소자(31)상에 견고하게 클립된다. 여기로부터, 체인(37)은 다음 연속적인 슬랫(1)의 이면 단부로 더 안내되고, 다시 동일한 방식으로 걸린 견인 소자(31)상에 견고하게 클립된다. 다른 슬랫들(1)이 이어진다면, 체인(37)은 항상 그들 이면 단부에 걸린다. 마무리 가공된 패널 커튼을 제쳐두고 슬리이딩하거나 또는 개방하기 위해, 체인(37)은 도면의서 우측에 있고 도면에서 좌측으로 당겨지는 그 단부에서 파지될 것이다. 동시에, 도면에서 최우측에 배치된 제 1 슬랫(1)의 좌측 슬라이더는 연속하는, 여기선 중간 슬랫(1)의 좌측 슬라이더에 지지되고, 이 슬라이더(6)는 최종적으로 도면의 최좌측에 배치된 슬랫(1)의 슬라이더(6)상에, 여기선 좌측에 지지된다. 패널 커튼의 재생을 위해, 우측상에 있는 단부에서의 체인(37)은 우측 방향으로 당긴다. 그런 다음, 이것은 인장된 비트 X 비트이고, 그 이면 단부로부터 도면에서 우측으로 후속하는 슬랫(1)을 당긴다. 두개의 고정 지점들 사이의 체인 길이는 인장된 체인에 대해 패널들 또는 슬랫들(1)이 다소 겹쳐지도록 양호하게 선택된다. 그런 다음, 쾌적하고 경쾌한 효과가 패널들에서 나타난다.
상기 패널 커튼의 어셈블리을 위해, 로킹 립들 또는 롤러 쌍들 없이 통상적인 슬라이더들(6)이 사용된다면, 그들 단부면 후크들(10)과 함께 그 위에 걸리는 패널들을 갖는 개개의 슬랫들(1)은 슬라이더들(6)의 아일릿(1)상에 먼저 걸리거나 또는 후크들은 롤러 아버들(13)상에 걸릴 것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슬랫(1)이 파지되고, 생성되는 패널의 평면에서 대략적으로 하향으로 선회된다. 그런 다음, 커튼 레일의 레일 런(8)의 단부 영역에서 통상적인 방식으로 상부 슬라이더 또는 상부 롤러 쌍은 레일 런너의 하측에 배치된 개구를 통해 그 내측으로 도입되고, 그부에서 슬랫(1) 길이의 거리만큼 그 내에서 변위된다. 그런 다음, 슬랫(1)은 상부 슬라이더의 아일릿(11)에 관해 또는 상부 롤러 쌍의 아버(13)에 관해 다시 뒤로 상향으로 선회되고, 제 2 슬라이더 또는 제 2 롤러 쌍은 다른 레일 런(7)안으로 도입된다.

Claims (10)

  1. 상부에서 각 패널은 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의 수평 슬랫(1) 형태로 박막 재료가 중공 시임상에 자유롭게 걸리는 행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슬랫(1)에는 롤러들(5) 또는 슬라이더들(6)을 위한 고정 수단(4)이 제공되어 있으며,
    각 슬랫(1)의 일 단부 영역(2)의 상기 롤러들(5) 또는 슬라이더들(6)은 제 1 공통 레일(7)로 안내도고, 각 슬랫의 다른 단부 영역(3)의 상기 롤러들(5) 또는 슬라이더들(6)은 제 2 공통 레일(8)로 안내됨으로써, 상기 패널들(9)이 서로에 걸쳐서 밀리는, 박막 재료의 몇몇 플랫 패널들(9)을 갖는 커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랫들(1)은 단부면안으로 개방되는 리세스들, 홀들 또는 홈들(23)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4)은 단부면으로부터 또는 측면으로부터 상기 슬랫에서 이들 리세스들, 홀들 또는 홈들(23)안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적용되는 삽입 소자들(18)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된 또는 적용된 삽입 소자들(18)은 그 자체로서 상기 슬랫(1)도 또한 그 가상 연속부도 지나서 측방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두개의 레일 런들(7, 8)상에 걸리는 두개의 인접한 패널들(9)은 상기 박막 재료의 중공 시임을 갖는 그 슬랫들(1)이 기밀 방식으로 서로상에 지지되는 정도로 서로에 걸쳐서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은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또는 상기 측면으로부터 상기 슬랫에서 리세스들(23)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적용되는 스프링 스틸의 펀칭 부품들 형태로 자기 고정 삽입 소자들(18)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은 상기 관련된 슬라이더(6)상의 아일릿(11)상에 또는 두개의 관련된 롤러들(5)의 연결 아버(13)상에 걸리는 후크(10)를 각 경우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 연결부에 의한 상기 고정 수단(4)은 상기 슬랫 단부들(2, 3)의 단부면에서 홀들 또는 리세스들 내로 삽입되고,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이들 홀들 또는 리세스들은 상기 슬랫들로부터 리세스되며, 상기 슬랫들의 플랭크들은 접촉되지 않고 상기 슬랫 단부들(2, 3)까지 연속적으로(전체를 통하여) 자유롭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들(10)을 갖는 상기 고정 수단(4)은 상기 슬랫(1)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 수단(4)에 대해 상기 후크 단부(15)와 상기 슬랫(1) 사이의 명확한 폭이 상기 관련된 슬라이더(6)상에서 상기 아일릿(11)의 두께보다 작은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들(10)을 갖는 상기 고정 수단(4)은 상기 슬랫의 상기 단부면안으로 삽입되는 상기 고정 수단(4)에 대해 숄더(16)가 상기 슬랫 단부(2, 3)에 형성되고 상기 숄더에 걸쳐서 밀리는 코너 포켓(39)을 갖는 중공 시임이 상기 슬랫(1)상에서 뒤로 슬립핑하는 것을 이러한 숄더(16)에 의해 고정되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시스템.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은 접착 마찰에 의해 상기 슬랫(1)의 단부면(19)상에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삽입 슬리브들(22) 또는 리세스들(23)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소자(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들(6)의 상기 아일릿들(11)상에 걸리는 혈소판(31) 형태의 견인 소자들(31)과, 몇몇 견인 소자들(31)이 볼 체인(37)과 인장하는 불명확한 결합 관계로 연결되도록 볼 체인의 볼을 클립핑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33, 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경우에 스티칭(29)에 의해 그 두개의 상부 코너들에서 상기 박막 재료의 상기 중공 시임(27)은 상기 슬랫(1)의 상부 코너에 걸쳐서 밀릴 수 있는 포켓(3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시스템.
KR1020057008330A 2002-11-25 2003-11-19 여러개의 플랫 패널들을 구비하는 커튼 시스템 KR101042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976/02 2002-11-25
CH19762002 2002-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493A true KR20050086493A (ko) 2005-08-30
KR101042754B1 KR101042754B1 (ko) 2011-06-20

Family

ID=3233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330A KR101042754B1 (ko) 2002-11-25 2003-11-19 여러개의 플랫 패널들을 구비하는 커튼 시스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176964B2 (ko)
EP (1) EP1565640B1 (ko)
JP (1) JP4500685B2 (ko)
KR (1) KR101042754B1 (ko)
CN (1) CN100529325C (ko)
AT (1) ATE326606T1 (ko)
AU (1) AU2003275903B2 (ko)
BR (1) BR0316514B1 (ko)
CA (1) CA2506623C (ko)
DE (1) DE50303398D1 (ko)
EA (1) EA007125B1 (ko)
ES (1) ES2265120T3 (ko)
NZ (1) NZ540700A (ko)
PL (1) PL204487B1 (ko)
PT (1) PT1565640E (ko)
WO (1) WO2004048738A1 (ko)
ZA (1) ZA20050349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944B1 (ko) * 2004-11-04 2013-07-15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9005004U1 (de) 2009-07-08 2009-10-01 Lienert, Achim Halteelement mit Gleitern für Gardinenleisten
DE202010000173U1 (de) 2010-02-12 2010-04-15 Lienert, Achim Halteelement mit einem Gleiter für Gardinenleisten
DE202010000289U1 (de) 2010-03-02 2010-06-10 Lienert, Achim Halteelement mit Mitteln zum verschiebbaren Lagern an einer Gardinenleiste
DE202010000379U1 (de) 2010-03-15 2010-06-17 Lienert, Achim Haltevorrichtung für Gardinen- oder Vorhangschienen
EP2647315B1 (en) * 2011-06-10 2016-11-30 Kazuma CO., LTD. Panel type curtain and method for connecting same
TWI606173B (zh) * 2017-03-06 2017-11-21 Wang-Xiu-Nv Chen Horizontal pull floor door and its door frame
US11459821B2 (en) 2019-02-05 2022-10-04 Hunter Douglas Inc. Headrail for an architectural-structure cover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5154A (en) * 1964-03-17 Vane holders for vertical blinds
US2604159A (en) * 1950-05-18 1952-07-22 Henry N Wright Vertical blind
US3280891A (en) * 1964-03-18 1966-10-25 Jr Richard J Eldredge Vertical venetian blind traverse apparatus
US3298425A (en) * 1964-09-23 1967-01-17 Louverdrape Inc Vertical venetian blind
US3348603A (en) * 1965-09-23 1967-10-24 Kirsch Co Movable panel supports
IT1008066B (it) * 1973-11-14 1976-11-10 Modular Spa Tenda a pannelli scorrevoli di tessuto o simili
DE2613751A1 (de) * 1976-03-31 1977-10-06 Hunter Douglas Ind Bv Vorrichtung zum befestigen senkrechter lamellen einer lamellenjalousie
US4221255A (en) * 1978-05-11 1980-09-09 Barkemeyer Erica C Decorative panel assembly
JPS54151444A (en) 1978-05-20 1979-11-28 Nippon Chemical Ind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for camera
US4291738A (en) * 1979-02-05 1981-09-29 John Grenga Universal support for vertical blinds and the like
DE2909240A1 (de) * 1979-03-09 1980-09-11 Lamella Gmbh Fuehrungsschiene fuer vertikal-flaechen- vorhaenge
JPS5958198U (ja) * 1982-10-08 1984-04-16 株式会社ニチベイ パネルスクリ−ン
JPH04767Y2 (ko) * 1985-06-08 1992-01-10
JPH0759859B2 (ja) * 1989-08-31 1995-06-28 東洋エクステリア株式会社 スライドパネルの安定開閉装置
US5168913A (en) * 1991-03-26 1992-12-08 Elkhart Door, Inc. Vertical blind assembly
US5109910A (en) * 1991-09-16 1992-05-05 Osmar Tortorella Vertical curtain panel assembly
FR2736382B1 (fr) * 1995-07-07 2000-08-25 Antonetti Oscar Anselmo Store a lames verticales multipl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944B1 (ko) * 2004-11-04 2013-07-15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방구용의 단일 트랙의 스태킹 패널 커버링
US8875771B2 (en) 2004-11-04 2014-11-04 Hunter Douglas Inc. Single track stacking panel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9598898B2 (en) 2004-11-04 2017-03-21 Hunter Douglas, Inc. Single-track stacking panel covering for an archtectural opening
US10544620B2 (en) 2004-11-04 2020-01-28 Hunter Douglas Inc. Single-Track stacking panel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316514B1 (pt) 2013-04-09
EP1565640B1 (de) 2006-05-17
ZA200503492B (en) 2006-01-25
US8176964B2 (en) 2012-05-15
EA200500537A1 (ru) 2005-12-29
AU2003275903B2 (en) 2008-04-03
ATE326606T1 (de) 2006-06-15
PL204487B1 (pl) 2010-01-29
NZ540700A (en) 2010-08-27
EP1565640A1 (de) 2005-08-24
CN1705813A (zh) 2005-12-07
AU2003275903A1 (en) 2004-06-18
JP4500685B2 (ja) 2010-07-14
US20110005693A1 (en) 2011-01-13
DE50303398D1 (de) 2006-06-22
PL376077A1 (en) 2005-12-12
CA2506623A1 (en) 2004-06-10
PT1565640E (pt) 2006-10-31
EA007125B1 (ru) 2006-06-30
KR101042754B1 (ko) 2011-06-20
WO2004048738A1 (de) 2004-06-10
CN100529325C (zh) 2009-08-19
BR0316514A (pt) 2005-10-04
ES2265120T3 (es) 2007-02-01
CA2506623C (en) 2009-09-29
JP2006507064A (ja)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4620B2 (en) Single-Track stacking panel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US3348603A (en) Movable panel supports
JP3163685U (ja) ブラインドシステム
RU2136201C1 (ru) Занавес для окна, комбинация драпировки и подкладки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навеса для окна
US20070175595A1 (en) Blind with semitransparent sheets of drapery material
EP1739271A2 (en) Window covering
ZA200503492B (en) Curtain system comprising several flat panels
US10689903B2 (en) Single-track stacking panel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ES1063513U (es) Conjunto de cortina panel japones.
US3090072A (en) Combined header and supporting member
JP3671296B2 (ja) 吊下式面状遮蔽体装置
USRE26269E (en) Panel traversing and supporting means
JPS6038943Y2 (ja) すそ丈調整自在カ−テン
ATE263906T1 (de) Vorha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