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052A - 남성 갱년기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위한 카르니틴의 용도 - Google Patents

남성 갱년기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위한 카르니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052A
KR20050084052A KR1020057009768A KR20057009768A KR20050084052A KR 20050084052 A KR20050084052 A KR 20050084052A KR 1020057009768 A KR1020057009768 A KR 1020057009768A KR 20057009768 A KR20057009768 A KR 20057009768A KR 20050084052 A KR20050084052 A KR 20050084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carnitine
months
propionyl
acet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9818B1 (ko
Inventor
알레르도 코베르트
지오르지오 카발리니
지울리오 비아지오티
Original Assignee
시그마타우 인두스트리에 파르마슈티케 리우니테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마타우 인두스트리에 파르마슈티케 리우니테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시그마타우 인두스트리에 파르마슈티케 리우니테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50084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with compounds having an amino group, e.g. acetylcholine, acetyl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205Amine addition salts of organic acids; Inner quaternary ammonium salts, e.g. betaine, 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impot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61P5/26Androg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Diabet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besit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He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노화에 의해, 또는 화학적 또는 외과적 거세에 의해 유발되는 남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 또는 영영 보충물의 제조를 위한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과 아세틸 L-카르니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들 중 하나와의 조합의 용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남성 갱년기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카르니틴의 용도{USE OF CARNITINE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DISORDERS CAUSED BY THE ANDROPAUSE}
본 발명은 남성 갱년기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아세틸 L-카르니틴 및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의 병용된 용도에 관한 것이다.
50 세 이상 남성의 대략 20%는 성욕 또는 성 욕동 및 발기 기능의 저하, 또한 밤 동안의 기분의 우울, 및 지적 활동 및 공간 지향 능력의 감소뿐만 아니라 피로, 흥분, 감소된 제지방 체중, 근육 량, 정신 집중 및 모발 성장 기구의 기능, 증가된 내장 지방, 피부의 위축, 및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을 발생시키는 감소된 골밀도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 이러한 증후군을 "노화 남성에서 남성 호르몬의 저하(ADAM)" 또는 "노화 남성의 부분적인 남성 호르몬 결핍(PADAM)" 또는 "남성 갱년기"라 명명하였다(The Aging Male, 4:151-162, 2001).
문헌[J. Urol., 151:54-61, 1994]에는 상기 증후군이 부분적으로 변경 가능한 연령 관련된 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령 관련 질환은 60 세 이상의 집단에서 빠르게 증가하므로 적용 분야가 확대된다(J. Urol., 163:705-712, 2000).
남성 갱년기는 남성 호르몬 생산의 점진적인 감소와 관련되며(The Aging Male, 4:151-162, 2001), 남성 호르몬 대체 요법을 폐경기 여성에 대해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이 사용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이 다방면에서 주장되고 있다. 실제로 남성 갱년기의 증상들은, 덜 현저하기는 하지만, 전립선의 선암종 치료를 위한 화학적 또는 외과적 거세로부터 발생하는 증상들과 유사하다(J. Urol., 167:2361-2368, 2002).
남성 갱년기의 치료에 유용한 약물들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문헌[The Aging Male, 4:151-162, 2001]에는 남성 갱년기 환자들을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 40 x 2 ㎎/일로 치료하는 경우 상당한 이점이 얻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남성 갱년기에 대한 호르몬 치료는 결점이 없지 않으며; 실제로 문헌[J. Urol., 151:54-61, 1994, and J. Urol., 163:705-712, 2000]에는 무증상이거나 또는 명백한 전립선암의 존재 하에서는 테스토스테론 치료가 제공될 수 없음이 보고되어 있다.
문헌[J. Impot. Res., 2002 Feb; 14 Suppl. 1:S93-8]에는 남성 호르몬의 투여가 간, 지질 상태, 심혈관 및 전립선 질환, 및 수면 및 행동 장애에 역효과를 미칠 수도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더욱이, 선종 및 선암종에 비추어(Rigatti P., Scattoni V., PSA: Antigene prostatico specifico. Edizioni Medico Scientifiche(EDIMES) Pavia, 1997), 남성 갱년기에 기인하는 증상들을 갖는 환자의 약 30%는 남성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을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과 아세틸 L-카르니틴의 선행 용도들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811,457 호에는 만성적인 폐쇄 동맥병증의 치료를 위한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063,820 호에는 당뇨병을 앓고 있는 대상자용의 치료학적 영양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알카노일 L-카르니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 EP 0 973 415에는 격렬한 육체적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선수, 또는 허약한 개인에게 유용한, L-카르니틴, 아세틸 L-카르니틴 및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출원 WO 99/17623에는 알콜 금단 증후군의 치료를 위한, L-카르니틴, 아세틸 L-카르니틴 및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으로 이루어진 식이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6,090,848 호에는 L-카르니틴과 아세틸 L-카르니틴의 조합이 무력성 정자 기형 부족증의 치료에 유용함이 보고되어 있다.
의료 분야에는 상기 분야에 유용한 것으로 공지된 상기 언급된 약물들의 단점을 제공하지 않는, 노화에 의해, 및 화학적 또는 외과적 거세에 의해 유발된 남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한 신규의 치료제에 대한 필요성이 강하게 인식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이르러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과 아세틸 L-카르니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들 중 하나와의 조합이 남성 갱년기에 의해 유발된 질환에 대해 놀라운 치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합은 상술한 남성 호르몬의 부작용을 제공하지 않으며 상기 언급한 남성 호르몬으로 치료될 수 없는 환자의 그룹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남성 노화에 의해, 또는 화학적 또는 외과적 거세에 의해 유발되는 남성 갱년기 증상들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아세틸 L-카르니틴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들 중 하나와의 병용된 용도이며, 상기 증상들은 성욕 또는 성 욕동 및 발기 기능의 저하, 또한 밤 동안의 기분의 우울, 및 지적 활동 및 공간 지향 능력의 감소뿐만 아니라 피로, 흥분, 감소된 제지방 체중, 근육 량, 정신 집중 및 모발 성장 기구의 기능, 증가된 내장 지방, 피부의 위축, 및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을 발생시키는 감소된 골밀도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남성 갱년기를 또한 "노화 남성에서 남성 호르몬의 저하(ADAM)" 또는 "노화 남성의 부분적인 남성 호르몬 결핍(PADAM)"으로서 정의한다.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및 아세틸 L-카르니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의미하는 것은 원치 않는 독성 효과 또는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기 화합물과 산과의 임의의 염이다.
상기와 같은 산들은 약물학자 및 제약 기술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염의 예로는 비 제한적으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오로테이트, 산 아스파테이트, 산 시트레이트, 마그네슘 시트레이트, 산 포스페이트, 푸마레이트 및 산 푸마레이트, 마그네슘 푸마레이트, 락테이트, 말리에이트 및 산 말리에이트, 뮤케이트, 산 옥살레이트, 파모에이트, 산 파모에이트, 산 설페이트, 글루코스 포스페이트, 타르트레이트, 산 타르트레이트, 마그네슘 타르트레이트, 2-아미노 에탄 설포네이트, 마그네슘 2-아미노 에탄 설포네이트, 콜린 타르트레이트 및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가 있다.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및 아세틸 L-카르니틴은 인간 대상자에게 경구 또는 비 경구 투여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및 아세틸 L-카르니틴을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함께 혼합물로서 제형화하거나, 또는 별도로(별도의 팩) 제형화할 수 있다.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및 아세틸 L-카르니틴을, 혼합물 중에 함유된 경우 및 별도로 포장된 경우 모두 개인에게 투여할 수 있다.
다양한 인자들, 예를 들어 유효 성분들의 농도 또는 환자의 상태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을 건강 보충 식품, 영양 보충물, 또는 치료 제품으로서 의무 처방과 함께 또는 상기 처방 없이 시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의 제제는 단위 투여형인 경우 4.0 내지 0.5 g의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내염 및 0.50 g 내지 4.0 g의 아세틸 L-카르니틴 내염, 또는 동몰량의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들 중 하나를 함유한다.
상기 조합의 바람직한 제제는 단위 투여형 중에 2 g의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내염 및 2 g의 아세틸 L-카르니틴 내염, 또는 동몰량의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들 중 하나를 함유한다.
그러나, 투여되는 상기 언급한 유효 성분의 1 일 용량은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전문적인 경험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는 단일 용량 또는 수회 용량으로 대략 0.5 내지 4.0 g/일의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및 4.0 내지 0.5 g/일의 아세틸 L-카르니틴, 또는 동몰량의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들 중 하나를 투여할 것이 권장된다.
상기 유효 성분의 매우 낮은 독성 덕분에 보다 많은 용량을 투여할 수 있다.
남성 노화 증상의 치료에 대한 상기 연관성에 따라 상기 조합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된 임상 시험이 하기에 보고되어 있다.
상기 임상 시험 도중 수행된 측정들은 경부-요도 구역에 영향을 미치는 임의의 병적인 변화 및 기준 화합물과 비교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효능 평가를 목표로 하였다.
상기 시험에 모집된 환자들은 하기의 포함/제외 기준에 부합해야 한다.
포함 기준
유리 및 전체 테스토스테론의 혈액 농도가 낮고(The Aging Male, 4: 151-162, 2001) 국제 노화 남성 연구 협회(I.S.S.A.M.)(The Aging Male, 4:151-162, 2001)가 제시한 남성 갱년기의 작용 정의에서 규정하는 증상들, 즉 성욕 또는 성욕동 및 발기 기능의 저하, 우울한 기분, 집중의 어려움, 흥분 및 피로를 호소하는 60 세 이상의 환자들.
제외 기준
하부 요관의 폐색 또는 염증; 치골 위 초음파 촬영술에서 전립선 부피 >20 ㎤; 전립선-특이 항원(PSA)의 증가된 농도; 직장 검사 시 전립선 굳기에 관한 증가된 의심(Am. J. Med., 110:563-571, 2001); 중증 흡연자 및 음주자; 최근의 심근 경색(<6 개월); 당뇨병; 고혈압 또는 다른 치료되지 않은 심혈관 질환; 활동성 암; 정신작용 약물 또는 항암 요법의 사용; 최근의 큰 수술(<6 개월); 증가된 프로락틴혈증.
모두 57 명의 환자를 포함시켰으며, 이들 중 12 명은 시험을 마치지 못했다.
하기에 보고된, 수득된 결과들은 평균 연령이 66 세(범위: 60 내지 74)인 45 명의 환자에 관한 것이다.
환자들을 각각 15 명씩 3 개의 그룹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첫 번째 그룹의 환자들에게는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AndriolR-Organon) 40 x 2 ㎎/일을 투여한 반면, 두 번째 그룹의 환자들에게는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1 g/일을 아세틸 L-카르니틴 1+1 g/일과 함께 제공하였으며, 세 번째 그룹의 환자들에게는 위약으로서 비타민 C(RedoxonR-Roche)를 제공하였다.
상기 언급한 화합물들을 이름을 밝히지 않은 용기로 상기 환자들에게 제공하였으며 6 개월 간 투여하였다.
데이터 수집
의료 전력-취득 및 신체 검사를 모든 환자들에 대해 수행하였다. 하기의 데이터를 또한 치료시작 전, 치료 3 개월 후 및 치료 기간(6 개월)의 끝에서 수집하였다:
1. 자동 시험 및 단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전체 혈액 전립선-특이 항원(PSA)(ng/㎖)[Rigatti P., Scattoni V., PSA: Antigene prostatico specifico. Edizioni Medico Scientifiche(EDIMES) Pavia, 1997].
2. 치골 위 초음파 촬영술에 의해 측정되고 3 직경 법칙에 의해 계산된 전립선 부피(㎤)[Rigatti P., Scattoni V., PSA: Antigene prostatico specifico. Edizioni Medico Scientifiche(EDIMES) Pavia, 1997].
3. 음경 기저 및 동적인 컬러 도플러 초음파 촬영술에 의해 측정된 피크 심장수축 부피(PSV)(㎝/초), 최종-심장확장 속도(EDV)(㎝/초), 및 음경 동맥(좌측 및 우측 해면)의 내성 지수(RI)(%). RI를 하기와 같이 계산하였다: (PSV-EDV/EDV) x 100(Urology, 1997:49:822-830).
4. 발기유발검사에 의해 수행된 3 일 밤의 기록기간에 걸친 충분한 발기의 지속시간(분). 충분한 발기가 의미하는 것은 기저선 70% 이상의 경축 증가 및 두부에서 직경 > 2 ㎝ 및 기부에서 >3 ㎝의 증가이다(Eardly I, Sethia K., Erectile Dysfunction Current Management and Treatment. The Mosby Company, London 1998).
5. 유리 및 전체 혈액 테스토스테론, LH 및 프로락틴 수준(The Aging Male, 4:151-162, 2001).
6. 성 기능을 소규모로 구성된 인터뷰와 국제 발기 기능 지수(IIEF-15)의 시행에 의해 검사하였다(Urology, 1997:49:822-830). 각 환자에 대한 점수를 계산하였다.
7. 우울증을 해밀턴 우울증 등급 질문서(DMS III)를 사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Cancer, 94:2481-2489, 2002). 각 환자에 대한 점수를 계산하였다.
8. 피로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을 피로 등급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Lison L.: Statistica applicata alla biologia sperimentale. Milano: Casa Editrice Ambrosiana, 1972). 각 환자에 대한 점수를 계산하였다.
9. 부작용
PSA, 유리 및 전체 테스토스테론, 프로락틴 LH, 전립선 부피, PSV, EDV, RI, 충분한 발기 지속기간, IIEF-15, DMS III 및 피로 등급 점수를 그룹들 사이 및 그룹 내부에서 무작위 블록(1 환자 = 1 블록)에 대한 가변 조건수의 3 x 3 계승 분석에 의해 비교하였다. 평균값들의 비교를, 비교를 위해 각 변환(sin-1 √P/100)시킨 데이터를 사용한 RI를 제외하고 원 데이터에 대해 수행하였다. 부작용을 카이-제곱 시험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Lison L.: Statistica applicata alla biologia sperimentale. Milano: Casa Editrice Ambrosiana, 1972). 수득된 결과들을 하기 실시예에 제공한다.
실시예 1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 비교 화합물(테스토스테론) 및 위약으로 치료하기 전, 치료하는 동안 및 치료한 후의 3 개의 환자 그룹들에서의 평균 PSA 수준을 나타낸다.
표 1에 제공된, 수득된 결과는 시험 화합물들에 의한 처리가 의미 있는 변화를 유발시키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전체 전립선 특이 항원(PSA)의 평균 혈청 수준(ng/㎖)(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PSA ng/㎖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2.02±0.74
치료 도중(3 개월) 2.01±0.79
치료 후(6 개월) 2.02±0.85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2.36±0.87
치료 도중(3 개월) 2.21±0.654
치료 후(6 개월) 2.33±0.77
위약 치료 전 1.80±0.77
치료 도중(3 개월) 1.75±0.75
치료 후(6 개월) 1.75±0.75
상기 결과는 테스토스테론, 본 발명에 따른 조합, 및 위약에 의한 처리가 혈액 PSA 수준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았음을 가리킨다.
실시예 2
표 2는 테스토스테론, 본 발명에 따른 조합 및 위약으로 치료하기 전, 치료하는 동안 및 치료한 후의 평균 전립선 부피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치골 위 초음파촬영술에 의해 측정된 평균 전립선 부피(㎤) 및 3 개 직경의 계산(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전립선 부피(㎤)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15.3±2.8
치료 도중(3 개월) 15.5±3.0
치료 후(6 개월) 15.5±2.6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15.2±2.7
치료 도중(3 개월) 14.5±2.6
치료 후(6 개월) 15.1±3.1
위약 치료 전 15.6±3.2
치료 도중(3 개월) 15.5±3.4
치료 후(6 개월) 15.6±3.3
표 2에 나타낸 결과는 시험된 화합물들에 의한 처리가 전립선 부피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았음을 가리킨다.
실시예 3 및 4
표 3은 테스토스테론, 본 발명에 따른 조합 및 위약으로 치료하기 전, 치료하는 동안 및 치료한 후의 음경의 우측 해면 동맥의 피크 심장수축 속도(PSV)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동적인 컬러 도플러 초음파촬영술에 의해 측정된 음경의 우측 해면 동맥의 피크 심장수축 속도(PSV)(평균값, ㎝/초)(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우측해면동맥 PSV(㎝/초)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33.2±3.9
치료 도중(3 개월) 32.8±4.2
치료 후(6 개월) 33.7±3.7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33.9±3.2
치료 도중(3 개월) 33.9±3.2
치료 후(6 개월) 33.9±3.3
위약 치료 전 33.7±4.3
치료 도중(3 개월) 33.9±5.0
치료 후(6 개월) 33.8±4.7
표 3에 나타낸 결과는 시험된 화합물에 의한 처리가 의미 있는 변화를 유도하지 않았음을 가리킨다.
유사한 결과가 우측 해면 동맥의 PSV 측정 시 발생하였으며; 실제로, 표 4에 제공된 결과는 상기 처리가 어떠한 의미 있는 변화도 유도하지 않았음을 보인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동적인 컬러 도플러 초음파촬영술에 의해 측정된 음경의 좌측 해면 동맥의 피크 심장수축 속도(PSV)(평균값, ㎝/초)(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좌측해면동맥 PSV(㎝/초)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33.6±3.7
치료 도중(3 개월) 32.6±4.2
치료 후(6 개월) 33.5±3.5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34.1±3.3
치료 도중(3 개월) 34.2±3.3
치료 후(6 개월) 34.1±3.5
위약 치료 전 33.4±4.0
치료 도중(3 개월) 32.5±4.8
치료 후(6 개월) 32.7±4.9
실시예 5, 6, 7 및 8
하기 표 5, 6, 7 및 8에 나타낸 결과들은 투여된 치료제들이 다른 혈관 변수들(EDV 및 RI)의 경우, 또는 우측 또는 좌측 해면 동맥에 대한 영향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유도하지 않았음을 보인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동적인 컬러 도플러 초음파촬영술에 의해 측정된 음경의 우측 해면 동맥의 최종-심장확장 속도(EDV)(평균값, ㎝/초)(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우측해면동맥 EDV(㎝/초)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7.8±3.6
치료 도중(3 개월) 7.9±3.6
치료 후(6 개월) 7.9±3.6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6.8±3.6
치료 도중(3 개월) 7.1±3.8
치료 후(6 개월) 6.9±3.6
위약 치료 전 6.5±3.8
치료 도중(3 개월) 6.7±4.0
치료 후(6 개월) 6.7±4.3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동적인 컬러 도플러 초음파촬영술에 의해 측정된 음경의 좌측 해면 동맥의 피크 심장확장 속도(EDV)(평균값, ㎝/초)(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좌측해면동맥 EDV(㎝/초)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7.7±3.5
치료 도중(3 개월) 7.5±3.3
치료 후(6 개월) 7.4±3.3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6.4±3.6
치료 도중(3 개월) 6.4±3.3
치료 후(6 개월) 6.5±3.2
위약 치료 전 6.9±3.8
치료 도중(3 개월) 6.3±3.8
치료 후(6 개월) 6.2±3.8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우측 해면 동맥의 내성 지수(RI)(%)(사용된 데이터는 각 변환(sin-1√P/100)시킨 값이며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우측해면동맥 RI%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64.6±8.4
치료 도중(3 개월) 60.9±8.4
치료 후(6 개월) 61.1±7.9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64.2±7.4
치료 도중(3 개월) 63.7±7.4
치료 후(6 개월) 64.1±7.3
위약 치료 전 64.5±8.8
치료 도중(3 개월) 64.4±9.2
치료 후(6 개월) 64.7±9.9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좌측 해면 동맥의 내성 지수(RI)(%)(사용된 데이터는 각 변환(sin-1√P/100)시킨 값이며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좌측해면동맥 RI%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61.5±8.3
치료 도중(3 개월) 61.5±7.8
치료 후(6 개월) 62.1±7.0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64.8±6.8
치료 도중(3 개월) 64.9±7.0
치료 후(6 개월) 64.7±7.0
위약 치료 전 63.3±8.7
치료 도중(3 개월) 64.6±9.6
치료 후(6 개월) 64.7±8.7
실시예 9
표 9는 테스토스테론, 본 발명에 따른 조합 및 위약으로 치료하기 전, 치료하는 동안 및 치료한 후의 3 일 밤 동안 발기유발검사에 의해 기록된 충분한 야간 발기 기간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은 3 개월(F=11.6; P<0.01) 및 6 개월(F=19.1; P<0.01) 모두에서의 충분한 야간 발기 지속기간의 현저한 증가를 유도한 반면, 테스토스테론의 투여는 6 개월(F=12.4, P<0.01) 째에는 충분한 야간 발기 지속기간의 현저한 증가를 유도하였지만, 3 개월(F=1.01; P=n.s.) 째에는 유도하지 못했다.
또한, 상기 야간 발기 지속기간은 테스토스테론으로 처리된 그룹에서 6 개월 후에 관찰된 것보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F=4.2, P<0.05)으로 처리된 그룹에서 6 개월 후에 더 길었다. 위약의 투여는 충분한 야간 발기 지속기간에 영향이 없었다(F=2.4, P=n.s.).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발기유발검사에 의한 3 일 밤의 기록기간 동안의 충분한 발기 지속기간(분)(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충분한 발기 지속기간(분)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108.3±18.7
치료 도중(3 개월) 112.7±21.1
치료 후(6 개월) 119.6±26.0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98.9±18.5
치료 도중(3 개월) 112.8±16.1
치료 후(6 개월) 136.9±28.1
위약 치료 전 105.3±21.2
치료 도중(3 개월) 107.7±21.2
치료 후(6 개월) 102.6±22.9
상기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이 야간 발기의 증가에 있어서(비-심리학적 및 비-거대혈관 기관 기전에 의해) 테스토스테론보다 상당히 더 유효함을 가리킨다.
실시예 10 및 11
표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 테스토스테론 및 위약으로 치료하기 전, 치료 도중 및 치료한 후의 혈액 총 테스토스테론 수준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시험된 화합물들에 의한 처리는 현저한 변화를 유발시키지 않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합, 테스토스테론 및 위약의 투여는 3 개월 또는 6 개월 째에 총 혈청 테스토스테론의 현저한 증가를 유도하지 않았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총 테스토스테론의 혈액 수준(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총 테스토스테론(nmol/ℓ)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14.5±2.1
치료 도중(3 개월) 15.5±3.9
치료 후(6 개월) 15.8±2.6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15.9±2.8
치료 도중(3 개월) 15.2±3.0
치료 후(6 개월) 15.8±4.4
위약 치료 전 14.9±2.0
치료 도중(3 개월) 14.8±2.3
치료 후(6 개월) 14.9±1.9
상기 결과는 경구 테스토스테론의 활성이 주로 유리 및 총 혈액 테스토스테론의 증가를 통해 발휘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상이한 방식, 추정 상 ROS의 생리학적 농도의 회복을 통해 작용함을 가리킨다.
매우 유사한 결과들이 상기 시험 화합물들에 의한 처리 도중 유리 혈액 테스토스테론 분석 시에 수득되었다. 수득된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유리 테스토스테론의 혈액 수준(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유리 혈액 테스토스테론(pg/㎖)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4.4±0.8
치료 도중(3 개월) 19.5±4.2
치료 후(6 개월) 19.7±4.0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4.6±1.0
치료 도중(3 개월) 4.5±1.1
치료 후(6 개월) 4.5±0.8
위약 치료 전 4.2±0.6
치료 도중(3 개월) 4.3±0.8
치료 후(6 개월) 4.1±0.7
실시예 12
표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 테스토스테론 및 위약으로 치료하기 전, 치료 도중 및 치료한 후의 LH의 혈액 수준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합 및 위약에 의한 처리는 3 개월 또는 6 개월(F<1, P=n.s.) 째에 LH의 현저한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테스토스테론의 투여는 3 개월(F=229 P<0.01) 째에 LH의 혈액 수준을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시켰고 6 개월 째에는 현저히 감소시켰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LH의 혈액 수준(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LH IU/ℓ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8.9±0.6
치료 도중(3 개월) 4.3±0.6
치료 후(6 개월) 4.2±1.2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8.4±0.9
치료 도중(3 개월) 8.5±0.7
치료 후(6 개월) 8.5±0.8
위약 치료 전 8.7±0.6
치료 도중(3 개월) 8.6±0.6
치료 후(6 개월) 8.7±0.5
상기 결과는 노화와 관련된 증상의 해결에서 유리 혈액 테스토스테론의 상승이 테스토스테론의 활성을 유발함을 입증한다.
실시예 13
표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 테스토스테론 및 위약으로 치료하기 전, 치료 도중 및 치료한 후의 혈액 프로락틴 수준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수득된 결과는 상기 처리가 어떠한 의미 있는 변화도 유발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혈액 프로락틴 수준(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프로락틴(㎍/㎖)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7.7±1.6
치료 도중(3 개월) 7.4±1.7
치료 후(6 개월) 7.3±1.8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7.6±1.9
치료 도중(3 개월) 7.4±1.9
치료 후(6 개월) 7.5±2.2
위약 치료 전 7.4±1.7
치료 도중(3 개월) 7.7±1.7
치료 후(6 개월) 7.3±1.8
상기 결과는 경구 테스토스테론과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이 프로락틴(증가가 성욕의 감소를 일으키고, 이와 역의 관계도 성립시키는 호르몬)과 관계없이 성욕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가리킨다.
실시예 14
표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 테스토스테론 및 위약으로 치료하기 전, 치료 도중 및 치료한 후의 국제 발기 기능 지수 질문서(IIEF-15)-"발기 기능" 섹션에 대한 점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 및 테스토스테론은 3 개월(각각 F=31.5, P<0.01 및 F=6.3, P<0.05) 째와 6 개월(각각 F=18.9, P<0.01 및 F=29.2, P<0.01) 째 모두 현저한 등급 증가를 유발하였다. 위약의 투여는 의미 있는 점수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국제 발기 기능 지수 질문서(IIEF-15)-"발기 기능" 섹션에 대한 점수(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점수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13.8±2.7
치료 도중(3 개월) 16.7±3.7
치료 후(6 개월) 20.2±5.3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11.4±5.4
치료 도중(3 개월) 16.7±5.4
치료 후(6 개월) 21.9±7.3
위약 치료 전 13.8±1.1
치료 도중(3 개월) 12.9±2.0
치료 후(6 개월) 14.2±2.9
상기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 및 경구 테스토스테론이 발기 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위약은 불활성임을 입증한다.
실시예 15 및 16
매우 유사한 결과들을 "성교 만족"(표 15) 및 "성욕" 섹션(표 16)에서 획득하였다.
상기 결과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합 및 경구 테스토스테론이 성교 만족과 성욕을 현저하게 증가시켰음을 가리킨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국제 발기 기능 지수 질문서(IIEF-15)-"성교 만족" 섹션에 대한 점수(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점수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4.1±0.8
치료 도중(3 개월) 4.8±0.8
치료 후(6 개월) 5.8±1.9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4.6±1.0
치료 도중(3 개월) 5.3±1.2
치료 후(6 개월) 6.9±2.5
위약 치료 전 3.9±0.8
치료 도중(3 개월) 4.3±0.8
치료 후(6 개월) 4.1±0.7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국제 발기 기능 지수 질문서(IIEF-15)-"성욕" 섹션에 대한 점수(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점수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4.3±1.0
치료 도중(3 개월) 5.7±0.8
치료 후(6 개월) 7.1±0.9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3.9±0.8
치료 도중(3 개월) 6.6±1.3
치료 후(6 개월) 7.3±1.9
위약 치료 전 3.3±0.9
치료 도중(3 개월) 3.3±0.9
치료 후(6 개월) 3.5±0.5
실시예 17
표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 테스토스테론 및 위약으로 치료하기 전, 치료 도중 및 치료한 후의 국제 발기 기능 지수 질문서(IIEF-15)-"일반적인 만족" 섹션에 대한 점수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는 현저한 변화를 유발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은 3 개월(F=33.3, P<0.01) 째와 6 개월(F=33.6, P<0.01) 째에 상기 점수를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테스토스테론과 위약의 투여는 의미 있는 점수 변화를 유발하지 못했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국제 발기 기능 지수 질문서(IIEF-15)-"극치 기능" 섹션에 대한 점수(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점수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3.2±1.2
치료 도중(3 개월) 3.9±0.9
치료 후(6 개월) 4.7±1.8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3.7±1.1
치료 도중(3 개월) 5.4±1.3
치료 후(6 개월) 7.2±1.1
위약 치료 전 2.9±0.7
치료 도중(3 개월) 3.4±1.6
치료 후(6 개월) 3.0±0.6
상기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이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일반적인 행복(일반적인 감각)의 증가에 있어서 테스토스테론 및 위약보다 훨씬 더 유효함을 가리킨다.
실시예 18
표 18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 테스토스테론 및 위약으로 치료하기 전, 치료 도중 및 치료한 후의 국제 발기 기능 지수 질문서(IIEF-15)-"극치 기능" 섹션에 대한 점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은 3 개월(F=33.6, P<0.01) 째와 6 개월(F=21, P<0.01) 째에 상기 점수를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테스토스테론의 투여는 3 개월(F=12.6, P<0.01) 째에 상기 점수를 현저하게 증가시켰으나 6 개월(F=2.3, P=n.s.) 째에는 그렇지 못했다. 위약은 어떠한 의미 있는 점수 변화도 유발하지 않았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국제 발기 기능 지수 질문서(IIEF-15)-"일반적인 만족" 섹션에 대한 점수(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점수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3.2±0.6
치료 도중(3 개월) 3.7±1.1
치료 후(6 개월) 4.4±2.2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3.1±0.6
치료 도중(3 개월) 5.2±1.5
치료 후(6 개월) 7.1±1.8
위약 치료 전 2.8±0.7
치료 도중(3 개월) 2.9±0.5
치료 후(6 개월) 3.1±0.8
상기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이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일반적인 만족의 증가에 있어서 위약보다 훨씬 더 유효함을 가리킨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은 테스토스테론보다 훨씬 더 유효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실시예 19
표 19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 테스토스테론 및 위약으로 치료하기 전, 치료 도중 및 치료한 후의 DMS III 질문서에 대한 점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은 3 개월(F=19.2, P<0.01) 째와 6 개월(F=13.0, P<0.01) 째에 모두 DMS III 점수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테스토스테론의 투여는 3 개월(F=4.07, P<0.05) 째에 DMS III 점수를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나 6 개월(F=2.5, P=n.s.) 째에는 그렇지 못했다. 위약의 투여는 3 개월(F=7.75, P<0.05) 째에 DMS III 점수를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나 6 개월(F=2.5, P=n.s.) 째에는 그렇지 못했다. 위약과 테스토스테론에 의해 6 개월(F<1, P=n.s.) 째에 획득된 점수들간에 현저한 차이가 검출되지 않은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조합에 의해 획득된 점수는 현저하게 낮았다(F=17.4; P<0.01).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해밀턴 우울증 등급 질문서(DMS III)에 대한 점수(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점수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6.6±1.0
치료 도중(3 개월) 5.8±0.7
치료 후(6 개월) 5.1±1.3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6.3±1.1
치료 도중(3 개월) 4.7±0.9
치료 후(6 개월) 3.2±1.1
위약 치료 전 6.8±0.8
치료 도중(3 개월) 5.8±0.7
치료 후(6 개월) 5.5±1.1
상기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이 치료를 받는 대상자들의 기분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테스토스테론 및 위약(유사한 활성을 나타냄)보다 훨씬 더 유효함을 가리킨다.
실시예 20
표 20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합, 테스토스테론 및 위약으로 치료하기 전, 치료 도중 및 치료한 후의 피로 등급 질문서에 대한 점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은 3 개월(F=12.2, P<0.01) 째와 6 개월(F=9.3, P<0.01) 째에 상기 점수를 통계학적으로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테스토스테론의 투여는 3 개월(F=33.6, P<0.01) 째에 상기 점수를 통계학적으로 현저하게 증가시켰으나, 6 개월(F=5.9, P=n.s.) 째에는 그렇지 못했다. 위약은 현저한 점수 변화를 유발시키지 않았다.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x2 ㎎/일),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또는 위약을 6 개월 간 각각 환자 15 명의 3 개 그룹에 투여하기 전, 투여하는 동안 및 투여한 후의 피로에 대한 점수(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이다)
치료 유형 관찰 시기 점수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40 x 2 ㎎/일 치료 전 2.8±1.3
치료 도중(3 개월) 1.1±1.0
치료 후(6 개월) 0.6±0.4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1x2 g일 + 아세틸 L-카르니틴 1x2 g/일 치료 전 2.7±1.3
치료 도중(3 개월) 1.3±1.1
치료 후(6 개월) 0.5±0.4
위약 치료 전 2.9±0.8
치료 도중(3 개월) 2.9±0.8
치료 후(6 개월) 3.0±0.8
표 20에 나타낸 결과는 테스토스테론 및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이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일반적인 행복감의 증가에 있어서 위약보다 훨씬 더 유효함을 가리킨다. 최상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에 의해 달성되었다.
위약과 달리, 테스토스테론과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은 모두 남성 갱년기의 증상들을 약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시험된 화합물들 중 어느 것도 경부-요도 구역에 영향을 미치는 병리상태의 변화를 유발하지 못했다. 어쨌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테스토스테론의 경우, 상기의 사용은 전립선 구역 질환의 경우뿐만 아니라 간, 지질 상태, 심혈관 및 전립선 질환, 및 수면 및 행동 장애에 대한 성가신 역효과로 인해 여전히 금기를 나타낸다.
50 세 이상 환자의 중대한 비율이 경부-요도 구역의 질환을 앓고 있으며 따라서 테스토스테론으로는 치료될 수 없음(제외 기준 참조)이 역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은, 테스토스테론보다 더 유효하다는 것 이외에 보다 많은 수의 환자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노화와 관련된 증상들을 갖는 환자의 치료에서 선택 약물로서 간주될 수 있다.

Claims (9)

  1. 남성 갱년기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 또는 영양 보충물의 제조를 위한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과 아세틸 L-카르니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들 중 하나와의 조합의 용도.
  2. 제 1 항에 있어서, 남성 갱년기가 노화에 의해 유발되는 용도.
  3. 제 1 항에 있어서, 남성 갱년기가 화학적 또는 외과적 거세에 의해 유발되는 용도.
  4. 제 1 항에 있어서, 남성 갱년기의 장애가 저하된 성욕 또는 성 욕동 및 야간 발기를 포함한 발기 능력의 저하, 기분의 우울, 지적 활동 및 공간 지향 능력의 감소, 피로, 흥분, 감소된 제지방 체중, 감소된 근육 기능 용량, 감소된 정신 집중, 감소된 모발 성장 기구의 기능, 증가된 내장 지방, 피부의 위축, 및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을 발생시키는 감소된 골밀도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용도.
  5. 제 1 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오로테이트, 산 아스파테이트, 산 시트레이트, 마그네슘 시트레이트, 산 포스페이트, 푸마레이트 및 산 푸마레이트, 마그네슘 푸마레이트, 락테이트, 말리에이트 및 산 말리에이트, 뮤케이트, 산 옥살레이트, 파모에이트, 산 파모에이트, 산 설페이트, 글루코스 포스페이트, 타르트레이트, 산 타르트레이트, 마그네슘 타르트레이트, 2-아미노 에탄 설포네이트, 마그네슘 2-아미노 에탄 설포네이트, 콜린 타르트레이트 및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용도.
  6.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과 아세틸 L-카르니틴과의 조합이 4.0 g 내지 0.50 g의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내염 및 0.50 g 내지 4.0 g의 아세틸 L-카르니틴 내염, 또는 동몰 량의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들 중 하나를 함유하는 단위 투여형으로 존재하는 용도.
  7. 제 6 항에 있어서, 단위 투여 형 중에 2 g의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 내염 및 2 g의 아세틸 L-카르니틴 내염, 또는 동몰 량의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들 중 하나를 함유하는 용도.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과 아세틸 L-카르니틴을 함께 혼합물로서 제형화하거나 또는 이들을 별도로 제형화하는 용도.
  9. 제 8 항에 있어서, 프로피오닐 L-카르니틴과 아세틸 L-카르니틴과의 조합이 경구 또는 비 경구 투여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로 존재하는 용도.
KR1020057009768A 2002-12-13 2003-11-20 남성 갱년기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위한 카르니틴의 용도 KR101039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RM2002A000620 2002-12-13
IT000620A ITRM20020620A1 (it) 2002-12-13 2002-12-13 Uso delle carnitine per la prevenzione e/o il trattamento dei disturbi causati dall'andropaus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052A true KR20050084052A (ko) 2005-08-26
KR101039818B1 KR101039818B1 (ko) 2011-06-09

Family

ID=3258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768A KR101039818B1 (ko) 2002-12-13 2003-11-20 남성 갱년기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위한 카르니틴의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956091B2 (ko)
EP (1) EP1569635B1 (ko)
JP (1) JP4767542B2 (ko)
KR (1) KR101039818B1 (ko)
AT (1) ATE422883T1 (ko)
AU (1) AU2003288739A1 (ko)
CA (1) CA2507429C (ko)
CY (1) CY1109051T1 (ko)
DE (1) DE60326262D1 (ko)
DK (1) DK1569635T3 (ko)
ES (1) ES2322455T3 (ko)
IT (1) ITRM20020620A1 (ko)
MX (1) MXPA05006072A (ko)
PL (1) PL211032B1 (ko)
PT (1) PT1569635E (ko)
SI (1) SI1569635T1 (ko)
WO (1) WO2004054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2812A1 (en) * 2002-02-07 2005-12-08 Pettegrew Jay W Methor for use of acetyl-L-carnitine (ALCAR) for treatment of depressive disorders in humans
US7407778B2 (en) 2002-02-07 2008-08-05 Pettegrew Jay W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neuropsychiatric disorders
US7700074B2 (en) 2002-02-07 2010-04-20 Pettegrew Jay W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s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including chronic alcoholism
ATE437884T1 (de) 2003-05-29 2009-08-15 Jay W Pettegrew Glycerophosphocholin und derivate davon zur medizinischen abbildung von neuropsychiatrischen erkrankungen
ITRM20040561A1 (it) * 2004-11-11 2005-02-11 Sigma Tau Ind Farmaceuti Uso della acetil l-carnitina in combinazione con propionil l-carnitina e sildenafil per il trattamento della disfunzione erettile.
KR101460125B1 (ko) * 2013-02-05 2014-11-11 주식회사 바이오그랜드 루이보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남성 노화 및 갱년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WO2016167254A1 (ja) * 2015-04-17 2016-10-20 株式会社山田養蜂場本社 蜂の子を含有する滋養強壮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0931A (en) * 1972-11-06 1974-08-20 Felice S De Carnitine and its use in the treatment of arrhythmia and impaired cardiac function
IT1206954B (it) * 1979-02-12 1989-05-17 Sigma Tau Ind Farmaceuti Agenti terapeutici a base di un acil derivato della carnitina per la cura di vasculopatie periferiche
IT1116037B (it) * 1979-04-23 1986-02-10 Sigma Tau Ind Farmaceuti Esteri e ammidi di acil carnitine loro procedimenti di preparazione e loro uso terapeutico
IT1157238B (it) * 1982-10-29 1987-02-11 Sigma Tau Ind Farmaceuti Impiego di 1-carnitina per migliorare i paramenti biochimici e comportamentali dell'eta' senile
EP0681839A3 (en) * 1994-05-12 1997-11-12 Hirohiko Kuratsune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an acylcarnitine
IT1290801B1 (it) 1996-07-05 1998-12-11 Mendes Srl Uso della acetil l-carnitina, della isovaleril l-carnitina, della propionil l-carnitina o dei loro sali farmacologicamente accettabili
IT1291127B1 (it) * 1997-04-01 1998-12-29 Sigma Tau Ind Farmaceuti Integratore alimentare per soggetti dediti ad intensa e prolungata attivita' fisica
IT1295408B1 (it) * 1997-10-03 1999-05-12 Sigma Tau Ind Farmaceuti Associazione di l-carnitina e alcanoil l-carnitine per il trattamento dell'alcoolismo
IT1302125B1 (it) * 1998-08-03 2000-07-31 Sigma Tau Healthscience Spa Composizione ad attivita' antiossidante ed antiproliferativacomprendente una carnitina ed un carotenoide
IT1302307B1 (it) * 1998-09-01 2000-09-05 Sigma Tau Healthscience Spa Composizione ad attivita' antiossidante ed atta a migliorarel'utilizzazione metabolica del glucosio, comprendente acetil
IT1306130B1 (it) * 1999-04-16 2001-05-30 Sigma Tau Healthscience Spa Composizione comprendente una carnitina e glutatione, atta adaumentare l'assorbimento del glutatione sinergizzandone gli effetti.
US6399116B1 (en) * 2000-04-28 2002-06-04 Rulin Xiu Rhodiola and used thereof
EP1399143B1 (en) * 2001-05-29 2006-11-15 Sigma-Tau Industrie Farmaceutiche Riunite S.p.A. Use of acetyl l-carnitine for the preparation of a medication to treat anhedon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Y1109051T1 (el) 2014-07-02
PT1569635E (pt) 2009-05-11
US20060135606A1 (en) 2006-06-22
SI1569635T1 (sl) 2009-06-30
KR101039818B1 (ko) 2011-06-09
US7956091B2 (en) 2011-06-07
AU2003288739A1 (en) 2004-07-09
EP1569635B1 (en) 2009-02-18
ES2322455T3 (es) 2009-06-22
PL378418A1 (pl) 2006-04-03
PL211032B1 (pl) 2012-04-30
ATE422883T1 (de) 2009-03-15
WO2004054567A1 (en) 2004-07-01
CA2507429A1 (en) 2004-07-01
ITRM20020620A1 (it) 2004-06-14
CA2507429C (en) 2012-09-04
DE60326262D1 (de) 2009-04-02
JP4767542B2 (ja) 2011-09-07
EP1569635A1 (en) 2005-09-07
DK1569635T3 (da) 2009-04-20
JP2006511531A (ja) 2006-04-06
MXPA05006072A (es) 200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0261B2 (ja) β−ヒドロキシ−β−メチル酪酸および少なくとも1つのアミノ酸を含む組成物および使用法
JP2007182447A (ja) 非バイパス侵襲性介入の結果として起こる介入を伴う狭窄症の予防法
US20080161604A1 (en) Acetyl L-Carnitine For Preventing Painful Peripheral Diabetic Neuropathy
KR101039818B1 (ko) 남성 갱년기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위한 카르니틴의 용도
US7776913B2 (en) Carnitines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sorders caused by andropause
JPWO2007069744A1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予防・改善用組成物
KR20190017860A (ko) 고삼 추출물 또는 마트린을 포함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조성물
JPH0657654B2 (ja) 患者の疲労減少用組成物
US8952059B2 (en) Acetyl L-carnitine for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of painful peripheral neuropath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P6112767B2 (ja) 血液中の尿酸値を低下させるための組成物
JP3816545B2 (ja) 人工透析患者の皮膚そう痒症治療組成物及び副甲状腺機能亢進症治療組成物
WO2021210565A1 (ja) 睡眠の質の改善剤
TWI735658B (zh) 用於減少代謝症候群之組合物及其應用
WO2012087434A2 (en) Use of phosphoric acid
CN109481446B (zh) 改善孕妇产妇乳母胎儿机体功能的组合物及制备工艺
EP1874288B1 (en) Acetyl l-carnitine for preventing painful peripheral diabetic neuropathy
TWI794847B (zh) 用於減少代謝症候群之組合物及其應用
JP2000302677A (ja) カルニチン自己産生能改善作用を有する医薬および食品・飼料組成物
Strupler et al. 10 Medical Issues, Pharmacology and Nutrient Interactions
Jones Heterogeneity of Endothelial Dysfunction and the Role of Nutritional Therapy
CN112641765A (zh) 丙泊酚的抗疲劳制药用途
US2007007291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owering plasma concentrations of low density lipoproteins in humans
JPH08253415A (ja) 抗動脈硬化治療剤
JP2014051459A (ja) 脂質代謝促進剤
JP2006056826A (ja) 美容食品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