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753A -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753A
KR20050082753A KR1020040011311A KR20040011311A KR20050082753A KR 20050082753 A KR20050082753 A KR 20050082753A KR 1020040011311 A KR1020040011311 A KR 1020040011311A KR 20040011311 A KR20040011311 A KR 20040011311A KR 20050082753 A KR20050082753 A KR 20050082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mmunication device
digital communication
portable digita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098B1 (ko
Inventor
임중혁
이창수
박인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098B1/ko
Priority to US11/020,846 priority patent/US7353050B2/en
Priority to CNB2005100509031A priority patent/CN100411313C/zh
Publication of KR2005008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휴대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하우징에서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으로 개폐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제공된 제1힌지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제2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하면이 반전되게 회전하는 이축 힌지 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디지털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 동작과 회전 동작으로 개폐되어 카메라 렌즈가 회전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해주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통상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안테나 장치, 데이터 입출력 장치, 송수화부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게 되며, 사용자의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 모듈이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채용된 외장형 또는 내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은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외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은 항시 휴대 통신 장치와 별도로 휴대해야 함으로서, 분실의 위험이 높고, 적시에 휴대하지 못한 경우도 때때로 발생된다. 또한, 내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은 카메라 렌즈가 고정되어서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상대방과 화상 통화를 할 때, 사용자의 불편한 자세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 렌즈와 스피커 장치를 하나의 하우징에 장착함과 아울러 개폐 여부에 따라서 회전하게 구성하여서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제2하우징의 홈에 놓고, 밀면서 개폐함과 동시에 카메라 렌즈가 지향적으로 회전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하우징에서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으로 개폐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제공된 제1힌지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제2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하면이 반전되게 회전하는 이축 힌지 장치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즉 바형의 제1하우징(100)과, 상기 제1하우징(100)의 길이보다 짧음과 아울러 상기 제1하우징(100)에서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으로 개폐되는 바형의 제2하우징(200)과, 상기 제1,2하우징(100,20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이동 유무에 따라서 회전하여 그의 상면이나 하면이 반전되는 이축 힌지 장치(30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축 힌지 장치(300)는 그의 일단부(302)가 상기 제1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겨되어서 제1힌지축(A1)이 제공되고, 그의 타단부(304)가 상기 제2하우징(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제2힌지축(A2)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제1,2힌지축(A1,A2)은 서로 평행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100)에 상기 제2하우징(200)이 완전히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이축 힌지 장치(300)는 그의 일단부(302)와 타단부(304)가 상기 제1,2하우징(100,200)에 구속되어졌고, 상기 제1,2하우징(100,200)의 길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경사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가 도 1에 보여진다.
상기 제1하우징(100)은 그의 상면(100a)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 어레이(102)가 위치하고, 상기 키 어레이(102)와 이웃하게 마이크 장치(104)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의 하면(100b)에 로킹 노브(108)에 의해 착탈되는 배터리 팩(106)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의 상단에는 한 쌍의 제1힌지 아암들(110,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힌지 아암들(110,112)에 상기 이축 힌지 장치의 일단부(302)가 결합된다.
상기 제2하우징의 상면(200a)에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용이를 위한 홈(202)과 보조 표시 장치(204)가 형성되고, 그의 하면(200b)에는 주 표시 장치(206)가 장착된다. 상기 홈(202)에는 로킹 버튼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에는 한 쌍의 제2힌지 아암들(210,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 아암들(210,212)에 상기 이축 힌지 장치의 타단부(304)가 결합된다. 상기 주 표시 장치(206)와 보조 표시 장치(204)는 액정 표시 장치가 채용된다. 상기 보조 표시 장치(204)에는 안테나 수신 감도를 나타내는 아이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아이콘, 시간, 날짜, 통화 도착 여부를 나타내는 전화 번호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주 표시 장치(206)에는 메시지 전송과 관련된 데이터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힌지 아암들(110,112,210,212)은 대칭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축 힌지 장치(300)는 그의 상면(300a)에 카메라 렌즈 모듈(310)이 장착되고, 그의 하면(300b)에 스피커 장치(312)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100)에 상기 제2하우징(200)이 완전히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10)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상면(100a) 방향쪽으로 향하고, 상기 스피커 장치(312)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하면(100b) 방향쪽으로 향한다. 이러한 상태가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되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에서 완전히 연린 상태가 되면, 상기 스피커 장치(312)는 상기 키 어레이(102)와 이웃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개폐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면(100a)에 형성된 홈(202)에 손가락을 놓고, 이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밀게되며, 상기 제2하우징(200)은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이축 힌지 장치(300)는 회전을 하고, 이어서 상기 제2하우징(200)은 도 5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제2하우징(200)을 열면 도 5c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2하우징(200)은 슬라이딩 이동과 회전 이동으로 상기 제1하우징(100)에서 개폐되며, 동시적으로 상기 이축 힌지 장치의 회전으로 개폐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제2하우징은 두 번의 동작으로 개폐된다.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은 개폐 동작 시에 상기 이축 힌지 장치(300)는 동시적으로 반전되는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과 상기 스피커 장치는 지향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언급된 지향성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100a) 방향이나 하면(100b)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이축 힌지 장치(300)에 내장된 두 개의 힌지 모듈은 도면에 미도시도며, 미도시된 두 개의 힌지 모듈은 제1,2힌지축(A1,A2)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2하우징(200)의 개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폐여부에 따라서 카메라 렌즈나 스피커 장치가 회전하여서 반전되어짐으로서, 카메라 렌즈 모듈과 스피커 장치에 지향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한 이점을 달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제2하우징이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개폐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Claims (7)

  1. 휴대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하우징에서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으로 개폐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에 제공된 제1힌지축과, 상기 제2하우징에 제공되며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제2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하면이 반전되게 회전하는 이축 힌지 장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힌지 장치는 그의 일단이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의 타단이 상기 제2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서 상기 제2하우징이 완전히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이축 힌지 장치는 경사지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축 힌지 장치는 상면에 설치된 카메라 렌즈 모듈과, 하면에 설치된 스피커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홈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이축 힌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제1힌지 아암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이축 힌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제2힌지아암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2힌지 아암들은 서로 대칭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7. 제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상기 제2하우징이 완전힌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의 하면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서 상기 제2하우징이 완전히 열린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은 상기 제1하우징의 하면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방향으로 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20040011311A 2004-02-20 2004-02-20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30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311A KR100630098B1 (ko) 2004-02-20 2004-02-20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US11/020,846 US7353050B2 (en) 2004-02-20 2004-12-23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reversible dual-axis hinge
CNB2005100509031A CN100411313C (zh) 2004-02-20 2005-02-18 便携式数字通信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311A KR100630098B1 (ko) 2004-02-20 2004-02-20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753A true KR20050082753A (ko) 2005-08-24
KR100630098B1 KR100630098B1 (ko) 2006-09-27

Family

ID=3485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311A KR100630098B1 (ko) 2004-02-20 2004-02-20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53050B2 (ko)
KR (1) KR100630098B1 (ko)
CN (1) CN10041131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073B1 (ko) * 2004-10-25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통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433B1 (ko) * 2004-12-22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USD524785S1 (en) * 2005-02-07 2006-07-11 Li Huang Mobile-phone thermal imager
EP1760998B1 (en) * 2005-09-02 2010-08-04 LG Electronics Inc.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chanism for automatically opening at various angles
EP1936472A4 (en) * 2005-09-20 2012-01-11 Sugatsune Kogyo MOBILE DEVICE AND HINGE DEVICE
US20070127199A1 (en) * 2005-12-06 2007-06-07 Arneson Theodore R Electronic device hinge mechanism
US9384672B1 (en) * 2006-03-29 2016-07-05 Amazon Technologies, Inc. Handheld electronic book reader device having asymmetrical shape
US20070291534A1 (en) * 2006-06-15 2007-12-20 Esa-Sakari Maatta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a Dynamic Multifunctional Module
EP1887763B1 (en) * 2006-08-11 201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WO2008056019A1 (en) * 2006-11-07 2008-05-15 Nokia Corporation Resilient lever for a flip top device
EP1931131A1 (en) * 2006-12-04 2008-06-11 Thomson Licensing Double hinge monitor mount
EP2095615A1 (en) * 2006-12-11 2009-09-02 Nokia Corporation An electronic device
JP2009088900A (ja) * 2007-09-28 2009-04-23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20090186662A1 (en) * 2008-01-18 2009-07-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pivotally coupled interconnector
KR101474754B1 (ko) * 2008-01-30 2014-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정보 단말기
TWI346275B (en) * 2008-06-16 2011-08-01 Asustek Comp Inc Biaxial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biaxial module
CN103037047A (zh) 2009-04-28 2013-04-10 Nec卡西欧移动通信株式会社 双轴铰链及便携设备
CN102076200B (zh) * 2009-11-24 2014-1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JP2012173878A (ja) * 2011-02-18 2012-09-10 Toshiba Corp 電子機器
US8471820B2 (en) 2011-03-28 2013-06-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able display guide mechanism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US8619415B1 (en) * 2011-03-31 2013-12-31 Google Inc. Rotatable and extendable display portion of a computing device
TWI475946B (zh) * 2011-06-10 2015-03-01 Wistron Corp 具有可旋轉多媒體單元之電子裝置
US8599362B2 (en) * 2011-06-27 2013-12-03 Brian Tregellas Rangefinder with head covering attachments
WO2015012830A1 (en) 2013-07-25 2015-0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assembly for a computing device
US9354670B2 (en) * 2013-08-26 2016-05-31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ivot attachment
TWI672577B (zh) * 2018-04-17 2019-09-21 宏碁股份有限公司 筆記型電腦
CN108983888A (zh) * 2018-09-30 2018-12-1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20200112094A (ko) * 2019-03-20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99502B2 (en) * 2019-09-10 2024-02-13 Intel Corporation Laptop computers with a movable accessory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4543A (en) * 1993-05-14 1998-12-01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6119019A (en) * 1997-03-07 2000-09-12 Ericsson Inc. Flip cover assembly incorporating a cam member
US6266236B1 (en) * 1997-08-27 2001-07-24 Vad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nd articulating display in a portable computer having multiple display orientations
CN1242650A (zh) * 1998-07-07 2000-01-26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便携电子器件,其壳体和电池隔间
JP3576900B2 (ja) * 1999-11-16 2004-10-13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1197462A (ja) * 2000-01-17 2001-07-19 Nec Corp テレビ電話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テレビ電話システム
AU2000276661A1 (en) * 2000-10-02 2002-04-15 Nokia Corporation Sliding cover
JP2002152355A (ja) * 2000-11-15 2002-05-24 Nec Corp 携帯端末装置
KR100539527B1 (ko) * 2001-06-12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JP2003044169A (ja) * 2001-07-31 2003-02-14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
JP2003249986A (ja) * 2002-02-22 2003-09-05 Canon Inc 撮像および通信装置
US20050083642A1 (en) * 2002-03-08 2005-04-21 Tsuyoshi Senpuku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display-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EP1420567A3 (en) * 2002-11-12 2005-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stereo sound
JP2004214946A (ja) * 2002-12-27 2004-07-29 Casio Comput Co Ltd 折り畳み式携帯情報機器
EP1614913A4 (en) * 2003-04-03 2008-06-11 Sugatsune Kogyo DEVICE BOX OPENING / CLOSING DEVICE AND ARTICULATED 2 AXIS DEVICE
JP2004320375A (ja) * 2003-04-15 2004-11-1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電子機器
US6900981B2 (en) * 2003-04-23 2005-05-31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with synchronizing hinge
KR100539934B1 (ko) * 2003-07-16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JP4357900B2 (ja) * 2003-08-18 2009-11-04 加藤電機株式会社 小型情報端末用スライドヒンジ
TWI225359B (en) * 2003-08-21 2004-12-11 Benq Corp Scanner with a rotatable and length-regulable hinge
US6831229B1 (en) * 2003-09-11 2004-12-14 Nokia Corporation Hinge cover mechanism for folding casings with lift function
US20050099533A1 (en) * 2003-11-10 2005-05-12 Casio Computer Co., Lt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100532334B1 (ko) * 2003-11-26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534125B1 (ko) * 2003-12-10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7495700B2 (en) * 2004-04-05 2009-02-24 Casio Computer Co., Ltd. Moving image capture device, moving image capture control method, and moving image capture control program
JP4111957B2 (ja) * 2004-04-09 2008-07-02 フェニックス コリア 株式会社 回転して広げられたり折り畳まれたりできる二つのユニットを備える携帯装置及びその携帯装置に使用されるヒンジ装置
JP2006157769A (ja) * 2004-12-01 2006-06-15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
DE602005022037D1 (de) * 2004-12-09 2010-08-12 Lg Electronics Inc Scharniergelenk und mobiles Endgerät, welches dieses beinhalt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073B1 (ko) * 2004-10-25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8517A (zh) 2005-08-24
US7353050B2 (en) 2008-04-01
CN100411313C (zh) 2008-08-13
KR100630098B1 (ko) 2006-09-27
US20050186985A1 (en) 200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098B1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63573B1 (ko) 3축 회전 폴더 타입 휴대 장치
KR100703351B1 (ko)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532334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8946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735266B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20050038982A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78041B1 (ko) 슬라이딩/회전성 힌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장치
KR100663550B1 (ko) 폴딩형 휴대 장치
KR100640342B1 (ko) 단차 보상 메카니즘을 구비한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통신 장치
KR100566282B1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630067B1 (ko) 피디에이 겸용 이축 힌지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53993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06108B1 (ko) 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장치
KR100689472B1 (ko) 휴대 통신 장치
KR100606073B1 (ko) 휴대 통신 장치
KR100678042B1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703509B1 (ko)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663484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0689535B1 (ko)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장치
KR200364949Y1 (ko) 폴더형 휴대 장치
KR101119342B1 (ko) 폴딩형 리시버를 가진 휴대 장치
KR20050117114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50004447A (ko)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
KR20060121483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