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282B1 -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282B1
KR100566282B1 KR1020030084043A KR20030084043A KR100566282B1 KR 100566282 B1 KR100566282 B1 KR 100566282B1 KR 1020030084043 A KR1020030084043 A KR 1020030084043A KR 20030084043 A KR20030084043 A KR 20030084043A KR 100566282 B1 KR100566282 B1 KR 10056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key array
digital communicatio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334A (ko
Inventor
김종우
장정희
윤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4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282B1/ko
Priority to US10/945,205 priority patent/US7492606B2/en
Priority to EP04027677A priority patent/EP1536614B1/en
Priority to DE602004011590T priority patent/DE602004011590T2/de
Priority to CNB2004100962440A priority patent/CN100355213C/zh
Publication of KR2005005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4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characterized by 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통신 장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1상면과, 상기 제1상면과 단차진 제2상면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하우징; 제1하면과, 상기 제1하면과 단차진 제2하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평행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사이드 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의 타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평행한 상태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 하우징과 대칭으로 이격된 제2사이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03044583180-pat00001
휴대, 통신 장치, 게임, 스틱.

Description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GAME/COMMUNICATION COMBINATION PORTABLE DEVICE WITH STICK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제2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제1,2사이드 하우징이 90도 정도 각각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게임 기능을 구비한 게임 폰, 디지털 통신 장치 등을 포함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게임에 사용되는 스틱 기능을 가지는 게임 겸용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는 게임 모드 시에 키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종래의 통신 장치의 키 조작은 신속성 및 정확성이 저하된다. 그 이유는 게임 모드에 사용되는 키가 통화 모드에 사용되는 키와 겸용으로 사용되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협소한 하나의 하우징에 다수의 키들이 배열되어 짐으로서, 키와 키간의 사이가 좁아서 키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한 손을 이용하게 되어서 키 조작의 신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별도의 게임을 위한 게임 폰을 장만하기에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경제적인 부담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틱 기능이 필요한 게임 시의 키 조작이 편리한 게임 겸용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임 시의 한 손 또는 양 손을 이용한 키 조작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추구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1상면과, 상기 제1상면과 단차진 제2상면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하우징;
제1하면과, 상기 제1하면과 단차진 제2하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평행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사이드 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의 타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평행한 상태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 하우징과 대 칭으로 이격된 제2사이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평행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소정 각도로 회전된 경우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서 스틱 형상으로 직립되게 배치되는 제1사이드 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평행한 상태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 하우징과 이격되고, 소정 각도로 회전된 경우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서 스틱 형상으로 직립되게 배치되는 제2사이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게임 모드 시, 양 손을 이용하여 키 조작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추구한 통신 장치임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하우징(10)과, 상기 제1하우징(10)과 대면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하우징(20)과, 상기 제1하우징(10)의 일측면(10d)과 대면한 상태로 제1힌지축(A1)(hinge axis)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사이드 하우징(30)(side housing)과, 상기 제2하우징(20)의 일측면(20d)과 대면한 상태로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사이드 하우징(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0)은 제1상면(10a)(top surface)과, 상기 제1상면(10a)과 단차진(stepped) 제2상면(10b)과, 하면(10c)(bottom surface)을 포함한다. 상기 제1상면(10a)은 상기 제1사이드 하우징(30), 특히 상기 제1사이드 하우징의 상면(30a)과 이웃한다. 상기 제2상면(10b)에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12)가 장착된다. 상기 제1키 어레이(12)는 통화에 관련된 키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20)의 슬라이딩 유무에 따라서 개폐된다. 도 4에 상기 제1키 어레이(12)의 다수의 키들의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의 하면(10c)에는 배터리 팩(14)이 착탈된다. 상기 배터리 팩(14)은 로킹 노브(16)(locking knob)에 의해 착탈이 결정된다. 참조부호 16은 충전 단자를 지칭한다.
상기 제2하우징(20)은 상면(20a)과, 제1하면(20b)과, 상기 제1하면(20b)과 단차진 제2하면(20c)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면(20b)은 상기 제2사이드 하우징(40), 특히 상기 제2사이드 하우징의 하면(40c)과 이웃한다. 상기 제2하우징 의 상면(20a)에는 표시 장치(22)가 전체적으로 위치한다. 상기 표시 장치(22)는 엘씨디(LC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홀로그램 스크린(hologram scree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하우징(10,20)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사이드 하우징(30,40)은 대칭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하우징(10,20)을 중심으로 각각 양측으로 상기 제1,2사이드 하우징(30,40)이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2하우징이 서로 슬라이딩을 할 때, 상기 제2상면(10b)과 상기 제2하면(20c)이 서로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0)이 상기 제1하우징(10)에서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제1키 어레이(12)는 점차적으로 가시적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사이드 하우징(30)과 상기 제2사이드 하우징(40)은 서로 멀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2키 어레이(32)와 상기 제5키 어레이(42)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사이드 하우징(30,40)은 상기 제1,2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형상으로 각각 제1,2하우징(10,20)에 각각 상기 제1,2힌지축(A1,A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제1,2사이드 하우징(30,40)이 약 90도 정도 각각 회전하면, 상기 제1,2사이드 하우징(30,40)은 직립된 형상으로 각각 위치하여서 스틱과 같은 위치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제1,2사이드 하우징(30,40)이 스틱 형상으로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사이드 하우징(30)은 그의 상면(30a)에 배치된 제2키 어레이(32)와, 그의 측면(30b)에 배치된 제3키 어레이(34)와, 그의 하면(30c)에 배치된 제4키 어레이(36)를 포함하며, 상기 제2,3,4키 어레이(32,34,36)는 게임에 관련된 키들로 구성된다.
상기 제2사이드 하우징(40)은 그의 상면(40a)에 배치된 제5키 어레이(42)와, 그의 측면(40b)에 배치된 제6키 어레이(44)와, 그의 하면(40c)에 배치된 제7키 어레이(46)를 포함하며, 상기 제5,6,7키 어레이(42,44,46)는 게임에 관련된 키들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하우징(10,20)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2하우징(20)의 슬라이딩 방향과, 상기 제1,2힌지축(A1,A2)이 향하는 방향은 평행하다. 그리고, 상기 제1,2힌지축(A1,A2)은 상기 제1,2하우징(10,20)이 서로 대칭이고, 상기 제1,2사이드 하우징(30,40)이 대칭으로 구성되어졌기 때문에 동축으로 위치한다.
도 5와 도 6은 게임 모드인 경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1,2사이드 하우징(30,40)을 약 90도 정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양 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1,2사이드 하우징(30,40)을 쥡고, 손가락의 누름 동작으로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키는 상기 제2,3,4키 어레이(32,34,36)와 상기 제5,6,7키 어레이(42,44,46)가 주로 사용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게임 모드 시, 양손을 이용한 키 조 작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되어서 사용자에게 게임의 편리성을 제공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15)

  1.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1상면과, 상기 제1상면과 단차진 제2상면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하우징;
    제1하면과, 상기 제1하면과 단차진 제2하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평행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사이드 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평행한 상태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 하우징과 대칭으로 이격된 제2사이드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은 상기 제1사이드 하우징과 이웃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면은 상기 제2사이드 하우징과 이웃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면과 상기 제2하면이 대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은 대칭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사이드 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2사이드 하우징이 각각 90도 정도 회전된 경우, 상기 제1,2하우징에 각각 직립된 스틱 형상으로 각각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2하우징의 슬라이딩 방향과, 상기 제1,2힌지축이 향하는 방향은 평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 지털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면에는 다수 개의 키들이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가 배열되고, 상기 제1키 어레이는 통화에 관련된 키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이동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어짐을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표시 장치가 전체적으로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배치된 제2키 어레이와, 그의 측면에 배치된 제3키 어레이와, 그의 하면에 배치된 제4키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3,4키 어레이는 게임에 관련된 키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드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배치된 제5키 어레이와, 그의 측면에 배치된 제6키 어레이와, 그의 하면에 배치된 제7키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5,6,7키 어레이는 게임에 관련된 키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하면에 배터리 팩이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3.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평행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소정 각도로 회전된 경우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서 스틱 형상으로 직립되게 배치되는 제1사이드 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면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평행한 상태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 하우징과 이격되고, 소정 각도로 회전 된 경우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서 스틱 형상으로 직립되게 배치되는 제2사이드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배치된 제2키 어레이와, 그의 측면에 배치된 제3키 어레이와, 그의 하면에 배치된 제4키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3,4키 어레이는 게임에 관련된 키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드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배치된 제5키 어레이와, 그의 측면에 배치된 제6키 어레이와, 그의 하면에 배치된 제7키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5,6,7키 어레이는 게임에 관련된 키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20030084043A 2003-11-25 2003-11-25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566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043A KR100566282B1 (ko) 2003-11-25 2003-11-25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US10/945,205 US7492606B2 (en) 2003-11-25 2004-09-20 Portable game and communication device
EP04027677A EP1536614B1 (en) 2003-11-25 2004-11-22 Portable game and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sliding and rotating housing parts
DE602004011590T DE602004011590T2 (de) 2003-11-25 2004-11-22 Tragbares spiel- und kommunikationsgerät mit verschiebbaren und drehbaren gehäuseteilen
CNB2004100962440A CN100355213C (zh) 2003-11-25 2004-11-25 包括控制板的便携式游戏和通信设备的外壳构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043A KR100566282B1 (ko) 2003-11-25 2003-11-25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334A KR20050050334A (ko) 2005-05-31
KR100566282B1 true KR100566282B1 (ko) 2006-03-30

Family

ID=3446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043A KR100566282B1 (ko) 2003-11-25 2003-11-25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92606B2 (ko)
EP (1) EP1536614B1 (ko)
KR (1) KR100566282B1 (ko)
CN (1) CN100355213C (ko)
DE (1) DE60200401159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19B1 (ko) * 2004-03-09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임 겸용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367293Y1 (ko) * 2004-08-05 2004-11-09 백남용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KR20060134752A (ko) * 2005-06-23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개폐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26354B1 (ko) * 2005-11-28 2007-06-13 지만석 핸들 기능을 포함하는 게임기
US20070161398A1 (en) * 2006-01-12 2007-07-12 Inventec Corporation Electronic mobile device having a turnable game handle
US7846027B2 (en) * 2006-05-30 2010-12-07 Nokia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7894848B2 (en) 2006-08-31 2011-02-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tandby mod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DE112006004113T5 (de) 2006-11-10 2009-10-15 Razer (Asia-Pacific) Pte. Ltd. Ergonomisch konfigurierbares Spielsteuergerät
KR100799623B1 (ko) * 2006-12-29 2008-01-31 주식회사 엠투시스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의 휴대 단말기
KR101353420B1 (ko) * 2007-04-18 2014-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US20100331062A1 (en) * 2009-06-30 2010-12-30 Nokia Corporation Microslide
CN103856611A (zh) * 2012-11-30 2014-06-11 王金青 一种便携式无线电子通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433B2 (ja) * 1978-03-01 1985-04-1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電卓付テ−プレコ−ダ
US5786789A (en) * 1994-11-14 1998-07-28 Trimble Navigation Limited GPS and cellphone unit having add-on modules
GB2334301A (en) 1998-02-17 1999-08-18 Ericsson Telefon Ab L M Slidable and rotatable hinge assembly for a mobile radiotelephone
AU2001264805A1 (en) 2000-06-16 2002-01-0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unctional enclosure for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US6834199B2 (en) * 2001-03-19 2004-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with an exchangeable data input apparatus
US20030073462A1 (en) * 2001-05-17 2003-04-17 Peter Zatloukal Adding control keys to mobile device via smart interchangeable cover
JP2003179678A (ja) 2001-10-03 2003-06-27 Nec Corp 携帯電話機
JP2003319042A (ja) * 2002-04-25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機器
CN2556869Y (zh) * 2002-06-21 2003-06-18 林文钦 具有电子游戏功能的手机壳结构
US20050070348A1 (en) * 2003-09-29 2005-03-31 Inventec Appliances Corp. Hand-held communicatio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wo slidable keypads
TWM262719U (en) * 2004-07-16 2005-04-21 Inpaq Technology Co Ltd Multi-tasking communication module
TWI260152B (en) * 2005-05-12 2006-08-11 Benq Corp Ergonomic mobile device
JP4205105B2 (ja) * 2006-01-04 2009-01-07 株式会社東芝 携帯電子機器
US7493151B2 (en) * 2006-03-14 2009-02-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Housing arrangement for a portable device with a display
CA117570S (en) * 2006-03-21 2007-10-30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7580726B2 (en) * 2006-04-18 2009-08-25 Nokia Corporation Dual level slide mechanism for extendible device hous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6614B1 (en) 2008-01-30
CN1622479A (zh) 2005-06-01
CN100355213C (zh) 2007-12-12
DE602004011590T2 (de) 2009-01-29
KR20050050334A (ko) 2005-05-31
DE602004011590D1 (de) 2008-03-20
EP1536614A1 (en) 2005-06-01
US7492606B2 (en) 2009-02-17
US20050113155A1 (en) 200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468B1 (ko) 슬라이딩 겸용 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703418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KR100547766B1 (ko) 피디에이 겸용 게임용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78162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KR100703495B1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78200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KR100630098B1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50038982A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40018169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78041B1 (ko) 슬라이딩/회전성 힌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장치
KR20050038980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63550B1 (ko) 폴딩형 휴대 장치
KR100566282B1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703497B1 (ko) 게임 겸용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53993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703459B1 (ko) 슬라이딩 키패드를 구비하여 데이터 입력이 편리한 휴대장치
KR20070047948A (ko) 슬라이딩 회전 유형 휴대 단말기
KR100703509B1 (ko)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663504B1 (ko) 그립감이 향상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63484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0703449B1 (ko) 멀티미디어용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1058654B1 (ko)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78137B1 (ko) 게임 겸용 슬림형 휴대 단말기
KR20050041632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단말기
KR20050109654A (ko) 게임용 데이터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