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320A -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 - Google Patents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320A
KR20050081320A KR1020040009510A KR20040009510A KR20050081320A KR 20050081320 A KR20050081320 A KR 20050081320A KR 1020040009510 A KR1020040009510 A KR 1020040009510A KR 20040009510 A KR20040009510 A KR 20040009510A KR 20050081320 A KR20050081320 A KR 20050081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bevel gear
impact trench
drive shaft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한수
Original Assignee
양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한수 filed Critical 양한수
Priority to KR1020040009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1320A/ko
Publication of KR2005008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3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팩트렌치에 결합되어 임팩트렌치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툴을 구비하여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볼트를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는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 등을 이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는 임팩트렌치의 드라이브 샤프트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툴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측 일측에 구동베벨기어가 자유단에 결합고정된 구동축이 베어링에 의하여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에 임팩트렌치의 드라이브 샤프트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회동자와, 상기 바디의 내측 타측에 구동베벨기어와 치합되는 피동베벨기어가 자유단에 결합고정되고 피동베벨기어가 결합고정된 부분의 반대편은 소켓이 결합되도록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 구성되는 피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Tolls combined with impact-wrench}
본 발명은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팩트렌치에 결합되어 임팩트렌치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툴을 구비하여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볼트를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는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일상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볼트와 너트는 우리의 주위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와 용도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예를 들면, 시계의 내부 부속품들을 연결하는 초소형의 볼트와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난방용 보일러나 전자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소형 볼트에서 보다시피 그 종류와 용도는 매우 광범위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와 광범위한 용도를 갖게된 이유는 무엇보다 볼트 및 너트는 가공하기가 좋고 재질의 강도가 높아 원하는 체결 강도를 얻기 쉽고 용접가공과 같이 결합되는 재질들에서 발생되는 화학적 변형이나 열 변형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결합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볼트는 이용하면 연결 후에도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제품의 분해가 가능하지만, 용접으로 가공된 제품은 제품을 절단하거나 일부분을 제거하여 못쓰게 하여야만 가능하다. 이러한 용접으로 이루어진 제품에 비하여 볼트로 조립하거나 체결한 제품은 분해 작업시 유리한 장점을 갖게 되며 부품 상호간에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부품의 크기가 대형화된 자동차의 각종 부품이나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보 및 빔과 같이 현장에서 연결조립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부품의 운송문제 등으로 인하여 각각의 부품을 일체형으로 용접하여 생산하는 것보다는 볼트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각각의 부품들을 조립한다. 이러한, 볼트와 너트는 체결되는 부품에 적용되는 하중에 비례하여 볼트의 재질과 크기가 정해짐으로 볼트의 체결시 볼트에 회전력을 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등이 사용되어진다. 최근에는 압축공기 등을 이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는 임팩트렌치(Impact Wrench)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임팩트렌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임팩트렌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권총형상을 갖는 몸체(10)가 구비되어지고, 이 몸체(10)의 하단에는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몸체(10)의 내부로 안내하는 에어호스(12)가 결합고정되어진다. 몸체(10)의 내측에 에어호스(12)에 의하여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회전날개(1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지고, 이 회전날개(14)의 일측에는 자유단이 몸체(10)의 일측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드라이브 샤프트(16)가 결합고정되어진다. 드라이브 샤프트(16)는 베어링(18)에 의하여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지고, 이 드라이브 샤프트(16)의 자유단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몸체(10)의 일측에 에어호스(12)를 통하여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작동스위치(20)가 장착되어지고, 이 작동스위치(20)의 상단 부분에는 회전날개(14)의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방향조절스위치(22)가 장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임팩트렌치를 이용하여 볼트와 너트를 용이하게 결합물과 상대결합물을 체결할 수 있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를 체결하거나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볼트를 이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임팩트렌치의 헤드부를 볼트에 위치시킬 수 없음으로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를 체결하거나 체결된 볼트를 이탈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임팩트렌치에 결합되어 임팩트렌치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툴을 구비하여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볼트를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는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 등을 이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는 임팩트렌치의 드라이브 샤프트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툴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바디(70)와, 상기 바디(70)의 내측 일측에 구동베벨기어(78)가 자유단에 결합고정된 구동축(76)이 베어링(80)에 의하여 바디(7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에 임팩트렌치(64)의 드라이브 샤프트(56)가 삽입되는 체결홈(72)이 형성된 회동자(74)와, 상기 바디(70)의 내측 타측에 구동베벨기어(78)와 치합되는 피동베벨기어(82)가 자유단에 결합고정되고 피동베벨기어(82)가 결합고정된 부분의 반대편은 소켓(90)이 결합되도록 바디(70)의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는 피동축(8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설명하면, 권총형상을 갖는 몸체(50)가 구비되고, 이 몸체(50)의 하단에는 압축공기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몸체(50)의 내부로 안내하는 에어호스(52)가 결합고정된다. 몸체(50)의 내측에 에어호스(52)에 의하여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회전날개(5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회전날개(54)의 일측에는 자유단이 몸체(50)의 일측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드라이브 샤프트(56)가 결합고정된다. 드라이브 샤프트(56)는 베어링(58)에 의하여 몸체(5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드라이브 샤프트(56)의 자유단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몸체(50)의 일측에 에어호스(52)를 통하여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작동스위치(60)가 장착되고, 이 작동스위치 (60)의 상단 부분에는 회전날개(54)의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방향조절스위치(62)가 장착된다.
일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바디(70)가 구비되고, 이 바디(70)의 내측 일측에는 임팩트렌치(64)의 드라이브 샤프트(56)가 삽입되는 체결홈(72)이 형성된 회동자(7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회동자(74)의 일측에 구동축(76)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이 구동축(76)의 자유단에는 구동베벨기어(78)가 결합고정된다. 회동자(74)의 구동축(76)은 베어링(80)에 의하여 바디(7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디(70)의 내측 타측에 구동베벨기어(78)와 치합되는 피동베벨기어(82)가 자유단에 결합고정된 피동축(84)이 구비되고, 이 피동축(84)의 일측은 바디(7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바디(70)의 내측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피동축(84)의 자유단은 사각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피동축(84)은 베어링(86)에 의하여 바디(7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툴이 임팩트렌치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를 체결하거나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볼트를 이탈할 경우, 임팩트렌치(64)의 드라이브 샤프트(56) 자유단을 회동자(74)의 체결홈(72)에 삽입고정한다. 이때, 드라이브 샤프트(56) 자유단과 회동자(74)의 체결홈(72)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드라이브 샤프트(56) 자유단이 용이하게 회동자(74)의 체결홈(72)에 삽입고정되는 것이다. 드라이브 샤프트(56) 자유단이 회동자(74)의 체결홈(72)에 삽입고정되면, 바디(70)의 일측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피동축(84)의 자유단에 소켓(90)을 삽입고정한다. 이때, 소켓(90)은 작업하고자 하는 볼트 및 너트의 규격과 동일한 것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바디(70)의 일측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피동축(84)의 자유단에 소켓(90)이 삽입고정되면, 소켓(88)의 하단을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볼트의 상단에 위치시킨다. 이때,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볼트가 소켓(9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갖는다. 소켓(90)의 하단이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볼트의 상단에 위치되면, 임팩트렌치(64)의 작동스위치(60)를 '온' 상태로 변환시킨다. 임팩트렌치(66)의 작동스위치(60)가 '온' 상태로 변환되면, 압축공기발생수단에 발생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드라이브 샤프트(56)가 회전되고, 이 드라이브 샤프트(56)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자(74), 구동축(76), 구동베벨기어(78)가 회전된다. 드라이브 샤프트(56)의 자유단이 회동자(74)의 체결홈(72)에 삽입고정되어 있음으로 드라이브 샤프트(56)가 압축공기에 의하여 회전되면, 이 회전력에 의하여 바디(70)의 내측에 구비된 회전자(74), 구동축(76), 구동베벨기어(78)가 회전되는 것이다. 바디(70)의 내측 일측에 구비된 회전자(74), 구동축(76), 구동베벨기어(78)가 회전되면, 바디(70)의 내측 타측에 구비된 피동베벨기어(78) 및 피동축(84)이 회전된다. 즉, 피동베벨기어 (82)는 구동베벨기어(78)와 치합되어 있음으로 드라이브 샤프트(56)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베벨기어(78)가 회전되면, 이 회전력에 의하여 피동베벨기어(82) 및 피동축(84)이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피동축(84)의 자유단에 삽입고정된 소켓(90)이 회전되고, 회전되는 충격에 의하여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볼트가 이탈된다. 툴(88)을 임팩트렌치(64)에 결합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60)를 '온' 상태로 변환시키면, 드라이브 샤프트(56)의 회전에 의하여 툴(88)의 피동축(84)에 삽입고정된 소켓(90)이 회전됨으로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볼트가 체결공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임팩트렌치(64)에 장착된 방향조절스위치(62)의 위치를 변환시킨 상태에서 작동스위치(60)를 '온' 상태로 변환시키면, 볼트가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것이다.
임팩트렌치(64)에 결합되어 임팩트렌치(64)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툴(88)이 일측으로 절곡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볼트를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툴(88)은 임팩트렌치(64)에만 구한 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볼트 및 너트를 체결 및 해제하는 공구와 결합하여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은 구동베벨기어와 피동베벨기어에 의하여 회전력이 일측으로 전달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된 볼트를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임팩트렌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임팩트렌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일측으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몸체 52 : 에어호스
54 : 회전날개 56 : 드라이브 샤프트
60 : 작동스위치 62 : 방향조절스위치
64 : 임팩트렌치 70 : 바디
72 : 체결홈 74 : 회동자
76 : 구동축 78 : 구동베벨기어
82 : 피동베벨기어 84 : 피동축
88 : 툴 90 : 소켓

Claims (1)

  1. 압축공기 등을 이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는 임팩트렌치의 드라이브 샤프트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툴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바디(70)와,
    상기 바디(70)의 내측 일측에 구동베벨기어(78)가 자유단에 결합고정된 구동축(76)이 베어링(80)에 의하여 바디(7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에 임팩트렌치(64)의 드라이브 샤프트(56)가 삽입되는 체결홈(72)이 형성된 회동자(74)와,
    상기 바디(70)의 내측 타측에 구동베벨기어(78)와 치합되는 피동베벨기어 (82)가 자유단에 결합고정되고 피동베벨기어(82)가 결합고정된 부분의 반대편은 소켓(90)이 결합되도록 바디(70)의 외측으로 돌출 구성되는 피동축(8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하는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
KR1020040009510A 2004-02-13 2004-02-13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 KR20050081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510A KR20050081320A (ko) 2004-02-13 2004-02-13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510A KR20050081320A (ko) 2004-02-13 2004-02-13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320A true KR20050081320A (ko) 2005-08-19

Family

ID=3726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510A KR20050081320A (ko) 2004-02-13 2004-02-13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132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2806A (zh) * 2016-06-30 2016-10-12 国网山西省电力公司晋城供电公司 电动扳手万向转动工具
CN106312897A (zh) * 2016-08-02 2017-01-11 华北理工大学 一种改变螺丝刀头垂直方向的连接轴
CN107932390A (zh) * 2017-09-30 2018-04-20 中国北方发动机研究所(天津) 一种新型螺栓拧紧装置
CN110788786A (zh) * 2019-10-30 2020-02-14 莫建红 一种适用箱体内壁螺钉的扳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0960A (en) * 1986-12-15 1988-03-15 Wilbur Lewis Flexible socket extension
JPH09109042A (ja) * 1995-10-12 1997-04-28 Asahi Chem Ind Co Ltd ボルト締付具
KR200184439Y1 (ko) * 1999-12-23 2000-06-01 조병국 임팩트 렌치에 결합되는 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0960A (en) * 1986-12-15 1988-03-15 Wilbur Lewis Flexible socket extension
JPH09109042A (ja) * 1995-10-12 1997-04-28 Asahi Chem Ind Co Ltd ボルト締付具
KR200184439Y1 (ko) * 1999-12-23 2000-06-01 조병국 임팩트 렌치에 결합되는 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2806A (zh) * 2016-06-30 2016-10-12 国网山西省电力公司晋城供电公司 电动扳手万向转动工具
CN106312897A (zh) * 2016-08-02 2017-01-11 华北理工大学 一种改变螺丝刀头垂直方向的连接轴
CN107932390A (zh) * 2017-09-30 2018-04-20 中国北方发动机研究所(天津) 一种新型螺栓拧紧装置
CN110788786A (zh) * 2019-10-30 2020-02-14 莫建红 一种适用箱体内壁螺钉的扳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1519B2 (en) Box wrench with split gear body and interchangeable drive insert
JP3818363B2 (ja) スプリングリターン型操作器
EP2055436B1 (en) Reaction arm for power-driven torque intensifier
US20030044273A1 (en) Impeller shaft assembly system
JP2005254440A (ja) 産業用ロボットの関節構造
JP2008509346A (ja) 傘歯車伝動装置
WO2008129821A1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KR20050081320A (ko) 임팩트렌치에 결합되는 툴
KR200184439Y1 (ko) 임팩트 렌치에 결합되는 툴
EP1080850A1 (en) Charging type multipurpose combination tool
KR200181156Y1 (ko) 전동용 유니버셜 조인트
JP6863813B2 (ja) 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締付工具
US20120240731A1 (en) Tool extension
JP7375574B2 (ja) ターンバックル用工具
JP2006255823A (ja) 締付具
CN107344349A (zh) 电动工具
JP2002254259A (ja) 2軸同時締付工具
CN207829172U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连接节点
JP5163683B2 (ja) 継手のヨークと回転軸との結合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US20050197193A1 (en) Temporary repair device for mechanical drive couplings
JP4438942B2 (ja) インパクト工具
JP7355327B2 (ja) 手持式ナットランナ
JP3084925U (ja) 手動式ショックレンチ
KR20090005374U (ko) 에어 렌치의 토크 발생용 지그
KR200277816Y1 (ko) 동력 전달 및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