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151A -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151A
KR20050080151A KR1020050064827A KR20050064827A KR20050080151A KR 20050080151 A KR20050080151 A KR 20050080151A KR 1020050064827 A KR1020050064827 A KR 1020050064827A KR 20050064827 A KR20050064827 A KR 20050064827A KR 20050080151 A KR20050080151 A KR 20050080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rum
coupled
wi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6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0151A/ko
Publication of KR2005008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15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72Tensioners, tens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6Wireless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드럼을 유동로드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드럼의 외주연을 주행하는 와이어를 드럼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창문의 상하부 소정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의 주행에 따라 창문의 개폐각도를 거의 90도에 가깝게 확장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양단에 스프링을 구성하여 지지 장력에 의해 드럼의 회전길이와 동일한 와이어의 주행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며, 창문의 개폐시 소음 발생이 없도록 한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창문의 내측면 상하 소정부에는 각각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고정 브라켓의 타단에는 와이어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와이어는 드럼의 외주연을 주행하도록 밀착되어져 있고, 다수개의 상기 드럼은 각 창문의 전방 실내측에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드럼은 유동로드에 축결합되어져 있으면서 상기 유동로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동로드의 일단은 기어박스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축회전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하부에는 정역모터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정역모터의 축과, 상기 기어박스의 전면에 구성된 풀리는 벨트에 의해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고,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 제어는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드럼과 와이어를 사용하여 창문을 개폐하게 되므로 창문의 개폐각도를 최대 90도까지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드럼의 내측으로 별도의 부재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공간의 효율성이 매우 높으며, 와이어의 양단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창문 개폐시 소음 발생이 없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ING A WINDOW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다수의 드럼을 유동로드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드럼의 외주연을 주행하는 와이어를 드럼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창문의 상하부 소정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의 주행에 따라 창문의 개폐각도를 거의 90도에 가깝게 확장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양단에 스프링을 구성하여 지지 장력에 의해 드럼의 회전길이와 동일한 와이어의 주행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며, 창문의 개폐시 소음 발생이 없도록 한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오피스 건물 등에는 복도나 화장실의 공동 공간에 병렬로 다수개의 창호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창호내에서 개폐되는 창문이 다수개 설치되어져 있다. 일반 주거용 건물에도 다수개의 창문이 설치되어져 있어 환기를 위한 개폐를 행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수개의 창문은 일괄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사용자의 편의를 높힐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윈도우 개폐 제어 장치가 출시되어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a, 2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2)는 오피스 빌딩이나, 주거용 건물의 벽체에 설치된 창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벽체에 설치된 창틀(4)을 기준으로 창문(6)을 기계적으로 개폐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창문(6)의 내측면 소정부에는 고정 브라켓(8)이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고정 브라켓(8)의 타단에는 인출로드(10)의 일단이 고정되어져 있으며, 그 인출로드(10)는 고정체(12)의 내부에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인출로드(10)의 하면에는 랙기어(102)가 각설되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체(12)의 내부에서 상기 랙기어(102)는 피니언(104)과 밀착되게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104)은 장방향으로 구성된 유동로드(14)와 축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유동로드(14)는 각 창문(6)의 내측 전방에 구성된 상기 고정체(12)와 각각 결합되어져 있으며, 축회전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또, 상기 유동로드(14)의 일단은 기어박스(2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축회전되는 바, 상기 기어박스(20)의 하부에는 정역모터(22)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정역모터(22)의 축(24)과, 상기 기어박스(20)의 전면에 구성된 풀리(28)는 벨트(26)에 의해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정역모터(22)의 구동 제어는 리모콘(32)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며, 상기 유동로드(14)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조작줄(30)이 구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수동조작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20)의 내부에는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조의 베벨기어(202, 206)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전면방향의 기어(202)는 그 축이 상기 풀리(28)와 결합되어져 있으며, 측면방향의 기어(206)는 상기 유동로드(14)와 축결합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리모콘(32)을 조작하여 정회전 구동키를 발생시키면, 상기 정역모터(22)가 정회전되어 상기 모터축(24)도 동일 축선상에서 회전하게 되며, 그 구동력을 상기 벨트(26)를 통해 풀리(28)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그 풀리(28)의 회전력을 상기 전면방향의 베벨기어(202)가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그 구동력을 측면방향의 베벨기어(206)로 전달하게 되어 상기 유동로드(14)를 정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로드(14)의 회전을 따라 그 유동로드(14)에 고정된 피니언(104)이 정회전하게 되고, 그 피니언(14)에 치합된 인출로드(10)가 건물 외측으로 인출되게 된다. 따라서, 그 인출로드(10)의 인출력에 의해 창문(6)이 개방되게 된다.
창문(6)의 폐쇄순서는 상기 도 2a와 같이 창문(6)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정역모터(22)가 역회전되어 상기 모터축(24)도 동일 축선상에서 회전하게 되며, 그 구동력을 상기 벨트(26)를 통해 풀리(28)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그 풀리(28)의 회전력을 상기 전면방향의 베벨기어(202)가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그 구동력을 측면방향의 베벨기어(206)로 전달하게 되어 상기 유동로드(14)를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로드(14)의 회전을 따라 그 유동로드(14)에 고정된 피니언(104)이 역회전하게 되고, 그 피니언(14)에 치합된 인출로드(10)가 건물 내측으로 인입되게 된다. 따라서, 그 인출로드(10)의 인입력에 의해 창문(6)이 폐쇄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2)는 상기 창문(6)의 개방각도가 약 30도 정도로 매우 작으므로 윈도우 개폐 효과가 매우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상기 인출로드(10)를 무한정 길게 제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창문(6)의 폐쇄한 상태에는 상기 인출로드(10)가 건물의 내측으로 인입되어야 하므로 창문(6)의 내측으로 매우 긴 인출로드(10)가 돌출되게 되어 미관상은 물론이고 공간이 효율적으로 구성될 수 없고, 사람이 지나다니는 데 방해 요소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피니언(104)과 랙기어(102)의 구동에 의해 개폐되는 종래의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2)는 장시간 사용시 상기 피니언(104)과 랙기어(102)의 치합 마찰력에 의해 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인출로드(10) 및 피니언(104), 랙기어(102)를 별도로 코팅해야되고 수시로 윤활유를 도포해야되므로 장치비용이 증대되고 수시 관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의 드럼을 유동로드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드럼의 외주연을 주행하는 와이어를 드럼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창문의 상하부 소정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의 주행에 따라 창문의 개폐각도를 거의 90도에 가깝게 확장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양단에 스프링을 구성하여 지지 장력에 의해 드럼의 회전길이와 동일한 와이어의 주행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며, 창문의 개폐시 소음 발생이 없도록 한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창문의 내측면 상하 소정부에는 각각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고정 브라켓의 타단에는 와이어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와이어는 드럼의 외주연을 주행하도록 밀착되어져 있고, 다수개의 상기 드럼은 각 창문의 전방 실내측에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드럼은 유동로드에 축결합되어져 있으면서 상기 유동로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동로드의 일단은 기어박스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축회전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하부에는 정역모터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정역모터의 축과, 상기 기어박스의 전면에 구성된 풀리는 벨트에 의해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고,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 제어는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는 그 양단에 각각 스프링이 결합되어지고, 그 스프링의 일단은 각각 창문에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드럼의 외주연에 대해 상기 와이어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아 창문측으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어 드럼의 회전력이 손실없이 와이어로 전달되고, 창문 개폐시 별도의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어박스는 그 내부에 1조의 베벨기어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전면방향의 기어는 그 축이 상기 풀리와 결합되어져 있으며, 측면방향의 기어는 상기 유동로드와 축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200)는 다수의 드럼을 유동로드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드럼의 외주연을 주행하는 와이어를 드럼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와이어의 양단을 각각 창문의 상하부 소정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의 주행에 따라 창문의 개폐각도를 거의 90도에 가깝게 확장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양단에 스프링을 구성하여 지지 장력에 의해 드럼의 회전길이와 동일한 와이어의 주행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며, 창문의 개폐시 소음 발생이 없도록 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200)는 오피스 빌딩이나, 주거용 건물의 벽체에 설치된 창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벽체에 설치된 창틀(4)을 기준으로 창문(6)을 기계적으로 개폐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창문(6)의 내측면 상하 소정부에는 각각 고정 브라켓(미도시)이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고정 브라켓(미도시)의 타단에는 와이어(44)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와이어(44)는 드럼(40)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에 끼워져 있으므로 와이어(44)가 드럼(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홈을 밀착된 상태로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44)의 양단에는 각각 스프링(42)이 결합되어져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각 스프링(42)의 일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어져 있으며, 스프링(42)의 타단이 각각 상기 와이어(44)의 양단에 결합되어져 있다.
상기 스프링(42)의 구성에 의해 일정 위치에 설치된 상기 드럼(40)의 외주연에 대해 상기 와이어(44)가 스프링(42)의 탄성력을 받아 창문측으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므로 드럼(40)의 회전력을 손실없이 전달받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42)의 구성에 의해 상기 창문(6)이 개폐될 때 별도의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드럼(40)은 각 창문의 전방 실내측에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드럼(40)은 유동로드(14)에 축결합되어져 있으면서 상기 유동로드(1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또, 상기 유동로드(14)의 일단은 기어박스(2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축회전되는 바, 상기 기어박스(20)의 하부에는 정역모터(22)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정역모터(22)의 축(24)과, 상기 기어박스(20)의 전면에 구성된 풀리(28)는 벨트(26)에 의해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정역모터(22)의 구동 제어는 리모콘(32)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며, 상기 유동로드(14)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조작줄(30)이 구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수동조작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20)의 내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조의 베벨기어(202, 206)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전면방향의 기어(202)는 그 축이 상기 풀리(28)와 결합되어져 있으며, 측면방향의 기어(206)는 상기 유동로드(14)와 축결합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리모콘(32)을 조작하여 정회전 구동키를 발생시키면, 상기 정역모터(22)가 정회전되어 상기 모터축(24)도 동일 축선상에서 회전하게 되며, 그 구동력을 상기 벨트(26)를 통해 풀리(28)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그 풀리(28)의 회전력을 상기 전면방향의 베벨기어(202)가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그 구동력을 측면방향의 베벨기어(206)로 전달하게 되어 상기 유동로드(14)를 정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로드(14)의 회전을 따라 그 유동로드(14)에 고정된 다수개의 드럼(4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드럼(40)의 외주연에 밀착된 와이어(44)가 그 드럼(40)의 외주연을 따라 주행하게 되어 도 4b와 같이 창문(6)을 개방하게 된다.
창문(6)의 폐쇄순서는 상기 도 4a와 같이 창문(6)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정역모터(22)가 역회전되어 상기 모터축(24)도 동일 축선상에서 회전하게 되며, 그 구동력을 상기 벨트(26)를 통해 풀리(28)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그 풀리(28)의 회전력을 상기 전면방향의 베벨기어(202)가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그 구동력을 측면방향의 베벨기어(206)로 전달하게 되어 상기 유동로드(14)를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로드(14)의 회전을 따라 그 유동로드(14)에 고정된 다수개의 드럼(4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드럼(40)의 외주연에 밀착된 와이어(44)가 그 드럼(40)의 외주연을 따라 주행하게 되어 도 4a와 같이 창문(6)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는 드럼과 와이어를 사용하여 창문을 개폐하게 되므로 창문의 개폐각도를 최대 90도까지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드럼의 내측으로 별도의 부재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공간의 효율성이 매우 높으며, 와이어의 양단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창문 개폐시 소음 발생이 없다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2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창틀, 6:창문,
8:고정브라켓, 10:인출로드,
12:고정체, 14:유동로드,
20:기어박스, 22;정역모터,
24:모터축, 26:벨트,
28:풀리, 30:수동조작줄,
32:리모콘, 40:드럼,
42:스프링, 44:와이어.

Claims (3)

  1. 창문의 내측면 상하 소정부에는 각각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고정 브라켓의 타단에는 와이어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와이어는 드럼의 외주연을 주행하도록 밀착되어져 있고, 다수개의 상기 드럼은 각 창문의 전방 실내측에 설치되어져 있으며, 그 드럼은 유동로드에 축결합되어져 있으면서 상기 유동로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동로드의 일단은 기어박스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축회전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하부에는 정역모터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정역모터의 축과, 상기 기어박스의 전면에 구성된 풀리는 벨트에 의해 구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고, 상기 정역모터의 구동 제어는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그 양단에 각각 스프링이 결합되어지고, 그 스프링의 일단은 각각 창문에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드럼의 외주연에 대해 상기 와이어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아 창문측으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어 드럼의 회전력이 손실없이 와이어로 전달되고, 창문 개폐시 별도의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그 내부에 1조의 베벨기어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전면방향의 기어는 그 축이 상기 풀리와 결합되어져 있으며, 측면방향의 기어는 상기 유동로드와 축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KR1020050064827A 2005-07-18 2005-07-18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KR20050080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827A KR20050080151A (ko) 2005-07-18 2005-07-18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827A KR20050080151A (ko) 2005-07-18 2005-07-18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857U Division KR200398800Y1 (ko) 2005-07-18 2005-07-18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51A true KR20050080151A (ko) 2005-08-11

Family

ID=3726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827A KR20050080151A (ko) 2005-07-18 2005-07-18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01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05B1 (ko) * 2012-08-21 2014-09-26 최병두 힌지축을 이용한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CN107558866A (zh) * 2017-07-31 2018-01-09 安徽工程大学 一种窗户控制机器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05B1 (ko) * 2012-08-21 2014-09-26 최병두 힌지축을 이용한 회전식 창문 개폐장치
CN107558866A (zh) * 2017-07-31 2018-01-09 安徽工程大学 一种窗户控制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10099A (en) Electric venetian blind
JP6446724B2 (ja) ドア開閉装置
WO2016021081A1 (ja) ドア開閉装置
JP6446722B2 (ja) ドア開閉装置
CA2334407A1 (en) Counterbalance system for upward-acting door
CN101235697A (zh) 车辆用自动开闭装置
KR200398800Y1 (ko)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KR20050080151A (ko) 윈도우 개폐 제어장치
KR100767794B1 (ko) 우드 브라인드 커튼의 구동장치
JP464163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WO2007089072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JP2001128350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巻取器
KR200489460Y1 (ko) 배연창 개폐장치
JPH11101077A (ja) シャッター
KR200383952Y1 (ko)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KR200419937Y1 (ko) 창호 자동 개폐 장치
KR20160033496A (ko) 어닝 작동장치
KR960002771Y1 (ko) 비닐하우스의 비닐창 개폐장치
WO2019088181A1 (ja) 移動装置
JP6427822B2 (ja) ドア開閉装置
JP6331018B2 (ja) ドア開閉装置
KR830000738B1 (ko) 온실 커어텐의 개폐장치
JP3735806B2 (ja) 建築用電動開閉装置
WO2020183754A1 (ja)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
KR20070102062A (ko) 창호 자동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