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201A - 인쇄용 도피지 - Google Patents

인쇄용 도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201A
KR20050078201A KR1020050002550A KR20050002550A KR20050078201A KR 20050078201 A KR20050078201 A KR 20050078201A KR 1020050002550 A KR1020050002550 A KR 1020050002550A KR 20050002550 A KR20050002550 A KR 20050002550A KR 20050078201 A KR20050078201 A KR 2005007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inting
particle diameter
average particle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338B1 (ko
Inventor
야스히로 아라이
노리유키 후지이
데츠야 히라바야시
Original Assignee
오지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per (AREA)

Abstract

부피가 크고 백지광택도가 높으며, 인쇄 광택이나 인쇄 평활성 등의 인쇄 적성이 우수한 인쇄용 도피지의 제공.
원지의 양면에 도피층을 설치할 때에, 그 도피층의 안료 성분으로서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을 사용하고, 그 사용량을 도피층 중에 포함되는 안료 전량의 50질량%이상으로 한다.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2.0∼3.5μm의 범위내에 있고,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0.35∼0.55μm의 범위내에 있고, 더군다나, 평균 입자 지름(d501)과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2가 4 이상인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인쇄용 도피지{COATED PAPER FOR PRINTING}
본 발명은, 원지의 양면에 안료와 접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피층을 가지는 인쇄용 도피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도가 낮은데도 불구하고, 비교적 백지광택이 높고, 더군다나, 인쇄 광택이나 인쇄 평활성 등의 인쇄적성이 우수한 인쇄용 도피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용 도피지는, 안료와 접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피액을 원지 위에 도피, 건조해서 제조되고, 도피액의 도공량이나 도피지의 다듬질 방법에 의해, 캐스트 코트지, 아트지, 코트지, 미도공지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도피지는, 이것에 다색인쇄 또는 단색인쇄를 실시하여, 광고지, 팜플렛, 포스터 등의 상업용 인쇄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 이외에, 서적, 잡지 등의 출판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인쇄물의 비쥬얼화, 컬러화가 진행되어, 인쇄용 도피지의 백색도나 평활성 등의 외관이 이전보다 더 중요시되고 있다.
도피지의 제조에 대해서는, 제품도피지에의 요구 품질이 높을수록, 도피액의 도공량을 증대시키고, 또한 슈퍼캘린더에 거는 등 비교적 엄격한 평활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도피지의 밀도증대를 초래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백지광택이 높은 그로스조의 도피지는, 그 밀도가 보통 1.15g/㎤ 이상인 것에 비해, 백지광택이 낮은 매트조의 도피지의 밀도는, 보통 0.9g/㎤ 이상1.15g/㎤ 미만이다.
한편, 도피지 자체의 제조 코스트뿐만아니라, 도피지에 인쇄를 실시한 인쇄 출판물 등의 물류 코스트의 저감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인쇄용 도피지의 경량화가 강하게 요청되고 있다. 도피지의 경량화는, 도피액의 도공량의 감소나 원지의 평량의 저하로 실현시킬 수 있지만, 전자는 인쇄 평활성이나 인쇄 광택 등의 인쇄품질을 손상하고, 후자는 종이두께 저하에 의한 인쇄 작업성의 악화나 책자의 볼륨감의 상실, 또한 촉감의 악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당업계에서는, 도피지를 경량화하여도 종이두께 저하를 동반하지 않는 부피가 큰 도피지의 등장이 요망되고 있다.
매트조의 도피지나 슈퍼캘린더 등의 평활화처리를 행하지 않은 도피지는, 일반적으로, 그로스조의 도피지에 비해서 종이두께가 두껍고, 밀도가 낮다. 이것은, 슈퍼캘린더 등의 평활화 처리조건의 차이에 의한 것이 크고, 종이두께를 두껍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활화 처리를 전혀 행하지 않든지, 행해도 그 조건(구체적으로는 캘린더 처리온도, 압력, 처리단수 등)을 온화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평활화 처리를 생략하거나, 생략하지 않더라도 처리 조건을 온화하게 하거나 하면, 제품 도피지의 표면평활성이 저하하고, 인쇄 평활성이나 인쇄 광택 등의 인쇄품질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
평량은 낮지만 종이두께는 그다지 얇지 않은 도피지, 즉, 부피가 큰 도피지를 얻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도피지 제조의 다듬질 공정에 열 소프트 캘린더를 채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1∼2 참조). 그러나, 이 방법은, 당연한 것이지만, 열 소프트 캘린더의 설치가 불가결할 뿐만이 아니라, 가령 열 소프트 캘린더를 채용하여도 일반적인 원지나 도피액 조성을 사용한 것으로는, 만족할 수 있는 품질의 부피가 큰 도피지를 얻는 것이 어렵고, 원하는 부피가 큰 도피지를 얻기 위해서는, 거기에서 사용하는 원지나 도피액 조성에도 배려해야만 하다.
원지자체를 부피화하는 방책의 하나로, 원지에 기계펄프를 배합하는 수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학펄프와 비교해서 기계펄프는, 섬유가 강직하므로, 원지의 부피화에 효과가 있다. 그러나, 기계펄프는 그 종류나 고해의 정도에 의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표면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기계펄프의 배합량이 비교적 많은 원지에 도피층을 설치하여 얻어지는 도피지는, 인쇄 시에 종이 벗겨짐 등이 발생하기 쉬운 난점이 있다. 또한, 이 종류의 원지는 표면의 평활성이 떨어지는 것에 더해, 도피액이 과도하게 침투하기 쉽기 때문에, 도피액의 성능을 충분히 끌어낼 수 없는 난점도 있다.
기계펄프를 배합한 원지로부터 얻어지는 도피지의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법으로서는, 도피층에 침강 용적이 높은 부피가 큰 카올린을 배합하는 것(특허문헌3 참조)이 알려져 있지만, 이 방법을 이용한 경우는, 도피지의 밀도와 백지광택의 밸런스가 충분하지 않고, 인쇄 광택이나 인쇄 평활성이 우수한 도피지를 얻는 것이 어렵다. 또, 기계펄프를 배합하고, 전료로서 무정형 실리카를 내첨한 원지로부터 얻어지는 도피지의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법으로서, 도피액의 안료에, 입도분포가 좁은 안료를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특허문헌4 참조)도 알려져 있지만, 이 방법을 이용한 경우, 섬유간 결합을 저해하는 전료를 배합하기 때문에, 표면강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있고, 우수한 인쇄 적성과 밀도의 밸런스를 잡는 것이 어렵다.
또, 원지를 부피를 크게 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원지에 유연제 등의 부피제를 함유시키는 수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5 참조). 그러나, 상기의 부피제는, 펄프 섬유끼리의 결합을 저해하는 것이 본래의 기능이므로, 이것을 배합한 원지로부터 얻어지는 도피지는, 이것에 적정한 인쇄 강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어렵다. 이것에 더해, 부피제를 함유시킨 원지는, 기계펄프를 많이 배합한 원지의 경우와 동일하게, 표면평활성이 나쁠 뿐만아니라, 도피액이 과도하게 침투하기 쉽기 때문에, 도피액의 성능을 충분히 끌어 낼 수 없는 흠이 있다.
원지에 부피제를 함유한 도피지의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플라스틱 피그먼트를 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지만(특허문헌6 참조), 이 방법에서는, 비교적 가혹한 조건에서 슈퍼캘린더 다듬질을 행할 필요가 있고, 도피지의 밀도를 약 1.0g/㎤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부피가 큰 도피지를 얻는 종래 기술로서는, 상기한 것 이외에, 특정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의 도피층에의 배합이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7∼9 참조). 그러나, 이들의 제안은 모두, 비교적 큰 입자 지름의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을 사용하기 때문에, 백지광택이 비교적 낮은 도피지밖에 얻을 수 없는 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밀도가 낮아도 백지광택이 비교적 높고, 더군다나, 인쇄 광택이나 인쇄 평활성 등의 인쇄 적성도 우수한 도피지를 얻을 수 없다.
(특허문헌1)일본국 특개평9-228298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국 특개평6-294100호 공보
(특허문헌3)일본국 특개평5-98596호 공보
(특허문헌4)일본국 특개2001-214395호 공보
(특허문헌5)일본국 특개2002-155494호 공보
(특허문헌6)일본국 특개2003-171893호 공보
(특허문헌7)일본국 특개평11-302998호 공보
(특허문헌8)일본국 특개2002-105889호 공보
(특허문헌9)일본국 특개2002-194698호 공보
본 발명은, 원지의 양면에 안료와 접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피층을 가지는 인쇄용 도피지로서, 밀도가 낮은데도 불구하고 백지광택이 비교적 높고, 더군다나, 인쇄 광택이나 인쇄 평활성 등의 인쇄 적성이 우수한 인쇄용 도피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인쇄용 도피지의 하나는, 원지의 양면에 안료와 접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피층을 설치한 뒤 평활화 처리를 실시한 인쇄용 도피지에 있어서, 원지와 접하는 도피층이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을 전 안료의 50질량% 이상 함유하고, 수용성 접착제를 전 안료기준으로 1∼6질량% 함유하고, 도피지의 밀도가 0.60∼1.00g/㎤의 범위이며, 도피지의 백지광택도(G)와 밀도(D)로 규정되는 식:D×100-G의 값이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 안료란 도피층에 포함되는 모든 안료를 의미한다. 따라서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을 전 안료의 50질량% 이상 함유한다라는 것은, 도피층에 포함되는 안료 합계량의 50질량% 이상이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으로 차지되어 있는 것과 동의이다. 마찬가지로, 수용성 접착제를 전 안료기준으로 1∼6질량% 함유한다라는 것은, 도피층에 포함되는 안료 합계량의 1∼6질량%에 상당하는 분량의 수용성 접착제가 도피층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과 동의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백지광택도란, IS0 8254-1 Part1(1999)에서 규정되는 75도 경면광택도를 가리키고, 보통 %표시된다.
인쇄용 도피지의 백지광택도(미인쇄 도피지의 광택도를 가리킨다)와, 인쇄용 도피지의 밀도(벌크 밀도라고도 한다)는, 도피지 조제에 사용하는 원지의 밀도, 원지에 도공하는 도피액의 조성 및 도공량, 도공층의 다듬질 조건 등으로 변동한다. 그러나, 현재시장에 유통하고 있는 극히 보통의 복수종의 도피지에 대해서, 각각의 백지광택도(%)와 밀도(g/㎤)를 측정하고, 백지광택도를 y축으로 하고 밀도를 x축으로 한 직교좌표에 각각의 측정치를 플롯함으로써, 도피지의 백지광택도와 밀도와의 관계를 알 수 있다. 그것에 의하면, 몇개의 예외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백지광택도가 높은 도피지는 밀도가 높고, 백지광택도가 낮은 도피지는 밀도도 낮은 것이 통례로서, 이 일반적인 상관관계는 정비례의 관계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관한 인쇄용 도피지는, 원지 위에 설치하는 도피층이 이하에 특정하는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을 특정량 이상 함유하고, 또한 특정량의 수용성 접착제를 함유하고 있는 한, 그 백지광택도와 밀도를, 상기한 직교좌표에 있어서,
0.60≤x≤1.00
100x―30≥y≥100x―50으로 규제되는 영역내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쇄용 도피지에 있어서, 그 도피층에 포함되는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은,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2.0∼3.5μm의 범위에 있고,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0.35∼0.55μm의 범위에 있으며, 평균 입자 지름(d501)과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 2가 4 이상인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인쇄용 도피지는, 원지의 양면에, 특정량 이상의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을 함유하고, 또한 수분산성 접착제에 병용하는 수용성 접착제의 사용량을 제한한 수성 도피액을 도공하고, 건조한 후, 평활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진다.
원지 위에 설치되는 도피층의 전신인 수성 도피액은, 수분산성 접착제와 수용성 접착제를 함유하지만, 그 수용성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전분, 양이온화전분, 에스테르화전분 등의 각종 전분류,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합성수지접착제, 카세인, 대두단백, 합성단백 등의 단백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수성 도피액으로의 수용성 접착제의 배합량은, 수성 도피액에 같이 배합되는 안료 전량의 1∼6질량%, 바람직하게는 2∼5질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이 배합량이 1질량%미만에서는, 도피액의 원지로의 침투를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평활성이 높은 도피층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또, 배합량이 6질량%를 넘으면, 도피액이 건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안료의 나열방법, 특히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의 배향에 흐뜨러짐이 발생하고, 건조도피층의 평활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상기의 수성 도피액에 배합되는 수분산성 접착제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의 공역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아크릴계 중합체 라텍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 공중합체 라텍스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의 수분산성 접착제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상기 수용성 접착제와 병용해서 사용된다. 수성 도피액에 배합되는 접착제의 양은, 수분산성 접착제와 수용성 접착제와의 합계량으로, 수성 도피액에 포함되는 안료 전량의 8∼25질량%, 바람직하게는 10∼20질량%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인쇄용 도피지에 있어서, 그 도피층에 포함되는 안료 전량의 적어도 50질량%을 차지하는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은, 층상구조의 괴상 카올린을 단층으로 벗김으로써 얻어지는 점토광물로서, 애스펙트비가 크다. 이 때문에, 도피층에 이것을 배합하면, 원지를 효과적으로 피복할 수 있고, 도피층의 평활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부터,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은, 도피액의 안료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과 같은 평판형상 입자의 개개의 형상특성은, 그 장경(d)과 두께(t)와의 비(애스펙트비(d/t))로 규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의 입자 형상 특성을, 광산란 방식에 의한 평균 입자 지름(d501)과 침강 방식에 의한 평균 입자 지름(d502)으로 규정한다.
광산란 방식에 의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의 측정에서는, 개개의 입자가 모두 구형입자로 간주되어서 그 지름이 계측되는 것에 비하여, 침강 방식에 의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의 측정에서는, 입자형상이 침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형상이 평판형상이며 침강이 느린 입자일수록, 겉으로 보기에는, 그 지름이 작은 입자로서 계측된다. 따라서, 상기한 애스펙트비가 큰 입자일수록, 광산란 방식에 의한 평균 입자 지름(d501)과 침강 방식에 의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 /d502는, 커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산란 방식에 의한 평균 입자 지름의 측정 방법으로서 레이저 회절식 입도분포 측정장치 SALD-2000(시마즈세이사쿠쇼제)을 사용하고, 침강 방식에 의한 평균 입자 지름의 측정 방법으로 세디그래프5100(Micromeritics Instrument Corporation 제)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도피층에 배합하는 안료 전량의 적어도 50질량%를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으로 구성시키고, 그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으로서,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2.0∼3.5μm의 범위에, 바람직하게는 2.2∼2.8μm의 범위에 있고,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0.35∼0.55μm, 바람직하게는 0.40∼0.50μm의 범위에 있고, 평균 입자 지름(d501)과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2가 4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인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을 사용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평균 입자 지름(d501)과 평균 입자 지름(d502)이 각각 2.0μm 미만 및 0.35μm 미만일 경우에는, 도피액 중의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이, 원지내에 과도하게 침투하기 때문에, 평활성이 높은 도피층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 평균 입자 지름(d501)과 평균 입자 지름(d502)이 각각 3.5μm 및 0.55μm를 넘을 경우에는, 40% 이상의 백지광택도를 가지는 도피지를 얻는 것이 어렵다. 그리고, d501/d502가 4 미만인 경우도 본 발명이 기도하는 인쇄용 도피지를 얻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인쇄용 도피지는, 그 도피층이 위에 특별한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을, 도피층에 포함되는 안료 전량의 50질량% 이상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70∼95질량%의 범위의 양으로 함유한다.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의 배합량이 전 안료의 50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이 기도하는 인쇄용 도피지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인쇄용 도피지의 도피층에는, 상기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 이외의 안료가 배합되지만, 그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범위 이외의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 카올린, 탈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중질탄산칼슘, 경질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아황산칼슘, 석고, 황산바륨, 화이트카본, 비정질실리카,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아연,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벤토나이트, 세리사이트 등의 무기안료 이외, 요소포르말린 수지미립자, 미소중공입자 등의 유기안료를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은 병용도 가능하다. 다만, 이들 기타 안료의 평균 입자 지름은,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입자 지름으로 1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을 넘으면, 가령 그 사용량이 소량이라도, 본 발명이 기도하는 인쇄용 도피지를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인쇄용 도피지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청색계통 또는 자색계통의 염료나 유색안료, 형광염료, 증점제, 보수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도전처리제, 소포제, 자외선흡수제, 분산제, pH조정제, 이형제, 내수화제, 발수제 등의 각종 조제를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인쇄용 도피지에 사용하는 원지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인쇄용 도피지에 사용하는 원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재료가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선택해서 사용된다.
펄프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LBKP나 NBKP 등의 표백화학펄프, 쇄목펄프(GP), 가압식 쇄목펄프(PGW), 리파이너 쇄목펄프(RGP), 써모메카니컬펄프(TMP) 등의 기계펄프, 탈묵 파지펄프(DIP), 파손지 등이 적당하게 혼합 사용되고, 저밀도화에 효과가 있는 기계펄프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신문 파지에 유래하는 DIP 등, 기계펄프를 포함하는 DIP를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기계펄프의 양은, 원지에 배합하는 전 펄프의 70질량%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70질량%을 넘으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도피지의 인쇄 평활성이나 표면강도 등의 인쇄 적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 케나프 등의 비목재 섬유원료로부터 얻어지는 펄프 섬유, 합성 펄프, 무기섬유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원지에 배합 할 수도 있다.
기계펄프나 DIP는, 필요에 따라 표백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표백의 정도도 임의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펄프의 표백에는, 염소가스와 같은 분자형상 염소나 이산화염소와 같은 염소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표백 공정을 채용하는 것이, 환경보전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고, 이러한 표백 공정을 거친 펄프로서는, ECF펄프나 TCF펄프를 들 수 있다.
원지에 내첨되는 전료로서는, 예를 들면, 중질탄산칼슘, 경질탄산칼슘, 아황산칼슘, 석고, 탈크, 카올린, 클레이, 소성 카올린, 화이트카본, 비정질실리카, 디라미카올린,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이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아연 등의 무기안료나 요소포르말린 수지미립자, 미소중공입자 등의 유기안료 등을 예시할 수 있고, 파지나 파손지 등에 포함되는 전료도 재사용할 수 있다. 전료는 2종 이상의 혼합 사용도 가능하다.
전료의 배합량은, 일반적으로, 종이(원지)회분이 3∼20질량%의 범위가 되도록 첨가된다.
또, 원지 중에는 펄프나 전료 이외에, 내첨 사이즈제,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성의 수율 향상제, 여수성 향상제, 지력증강제 등으로 예시되는 각종 초지용 내첨조제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내첨 사이즈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케텐다이머계, 알케닐무수숙신산계, 스티렌-아크릴계, 고급지방산계, 석유수지계 사이즈제, 로진계 사이즈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수율 향상제, 여수성 향상제, 지력 증강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다가금속화합물(구체적으로는, 황산밴드, 염화알루미늄, 알루민산 소다, 염기성알루미늄화합물 등), 각종 전분류, 폴리아크릴아미드, 요소수지, 폴리아미드·폴리아민수지,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민,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더 말하자면, 원지의 조제에 임하여, 펄프 섬유간 결합의 저해기능을 가지는 부피제, 유연제 등을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도피지의 저밀도화를 한층 조력한다. 부피제, 유연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알코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화합물, 다가알코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화합물의 폴리옥시알킬렌화합물, 지방산폴리아미드아민, 다가알코올계 계면활성제, 유지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부피제나 유연제의 첨가량은, 일반적으로, 펄프 성분에 대하여 0.5∼1.0질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인쇄용 도피지에 사용하는 원지의 평량은 일반적으로는, 30∼80g/㎡ 정도의 범위에 있다. 원지의 밀도는 0.70g/㎤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60g/㎤ 미만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원지의 밀도를 상기 범위에 두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펄프배합, 전료배합 및 내첨약품을 적당하게 선택하는 동시에, 습지의 프레스 조건이나 머신 캘린더 조건 등을 적당하게 조정하면 된다.
원지의 초조 조건에도 특별히 한정은 없다. 초지기로서는, 예를 들면, 장망식 초지기, 갭포머형 초지기, 원망식 초지기, 단망식 초지기 등의 상업규모의 초지기가, 목적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초지방식으로서는, 산성초지, 중성초지, 약 알칼리성초지 등 중 어느 방식으로도 좋지만, 최근, 종이의 보존성이 요구되는 것으로부터, 중성초지에 의해 초지된 원지가 바람직하다. 물론, 전분용액 등을 사이즈프레스할 수도 있다.
원지에 도피층을 설치할 때에 사용하는 수성 도피액의 도공장치에도, 특별히 한정은 없다.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트레일링, 플렉시블, 롤 어플리케이션, 파운틴 어플리케이션, 숏 드엘 등의 베벨타입이나 벤트타입의 블레이드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바 코터, 로드 블레이드 코터, 챔프 플렉스 코터, 게이트 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커튼 코터, 다이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의 도공장치를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들 장치는 온 머신이어도 좋고, 오프 머신이어도 좋다.
수성 도피액의 도공량에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얻어지는 인쇄용 도피지의 백지품질, 인쇄품질 및 인쇄적성, 또한 도피지 제조시의 건조 능력 등을 고려해서, 편면당 1∼15g/㎡ 정도, 바람직하게는 4∼8g/㎡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건조 도공량으로 원지의 양면에 단층의 도피층이 형성된다. 또한, 습윤도피층을 건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증기건조, 가스 히터 건조, 전기 히터 건조, 적외선 히터 건조 등의 각종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쇄용 도피지의 제조에 임해서는, 얻어지는 인쇄용 도피지의 백지품질, 인쇄품질 및 인쇄적성을 고려해서, 도피층의 형성 후에, 각종 캘린더장치로 평활화 처리를 실시한다. 이 평활화 처리의 조건에 대해서는, 목표로 하는 품질에 따라 다르지만, 도피지의 밀도가 0.60∼1.00g/㎤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원하는 인쇄용 도피지를 얻을 수 있다. 도피지의 밀도가 0.60g/㎤ 미만의 경우, 인쇄용 도피지로서, 양호한 백지품질 및 양호한 인쇄품질을 얻을 수 없다. 또, 도피지의 밀도가 1.00g/㎤을 넘을 경우, 본 발명의 원하는 백지광택도와 밀도의 관계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이 평활화 처리에 의해, 백지광택도가 40% 이상이 되도록 다듬질함으로써, 한층 더 우수한 인쇄 광택이나 인쇄 평활성 등의 인쇄품질을 얻을 수 있어, 더 바람직하다.
사용 가능한 캘린더장치로서는, 슈퍼캘린더, 소프트캘린더, 그로스캘린더 등의 그로스 다듬질를 하는 캘린더장치를 들 수 있다. 또, 캘린더 다듬질 조건으로서는, 강성 롤의 온도, 캘린더 압력, 닙수, 롤 속도, 캘린더 전의 종이수분 등이, 요구되는 품질에 따라 적당하게 조정된다. 캘린더장치는, 코터와는 별도인 오프 타입과, 코터와 일체로 되어 있는 온 타입이 있지만, 어느 쪽을 채용해도 지장없다. 사용하는 캘린더장치의 재질은, 강성 롤에서는 금속 또는 그 표면에 경질 크롬도금 등으로 경면처리한 롤이다. 탄성 롤은 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페놀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수지 등의 수지롤, 코튼, 나일론, 아스베스토스, 아라미드 섬유 등을 성형한 롤이 적절히 사용된다. 또한, 캘린더에 의한 다듬질 후의 도피지의 조습, 가습을 위한 물도포 장치, 정전 가습 장치, 증기 가습 장치 등을 적당히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물론,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부 및 %는, 각각 고형분 질량부, 고형분 질량%를 나타낸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인쇄용 도피지를,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광산란 방식에 의한 안료의 평균 입자 지름측정
(주)시마즈세이사쿠쇼제의 레이저 회절식 입도분포 측정장치 SALD-2000을 사용해서, 안료의 입도분포를 측정하고, 50누적질량%에 해당하는 평균 입자 지름(d501)을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에 제공한 안료 분산액은, 분산제(폴리아크릴산 나트륨)를 대(對)안료 0.05% 첨가해서 조제한 안료 슬러리를, 해당 측정 장치로 측정 가능한 영역으로까지 희석해서 얻었다.
·침강 방식에 의한 안료의 평균 입자 지름측정
Micromeritics Instrument Corporation 제의 세디그래프5100을 사용해서, 안료의 입도분포를 측정하고, 50누적질량%에 해당하는 평균 입자 지름(d502)을 구하였다. 또한, 측정에 제공한 안료 분산액은, 분산제(폴리아크릴산나트륨)를 대안료 0.05% 첨가하여 조제한 안료 슬러리를, 인산염계 분산제(난카린)의 0.1% 수용액으로, 안료 고형분 농도가 약 1%가 되도록 희석해서 얻었다.
·도피지 및 원지의 밀도
JIS P 8118(1998)에 준거하여, 도피지 및 원지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도피지의 백지광택도
ISO 8254-1 Part1(1999)에 준거하여, 광택도계(GM-25/무라카미 시키사이기쥬츠 켄큐쇼제)를 이용해서 75°광택도를 측정하였다.
·도피지의 인쇄 광택도
RI인쇄 시험기로, 인쇄잉크(바리우스G묵S타입/다이니폰잉키사제)를 0.3cc사용해서 2회 인쇄(겹침 인쇄)를 행하고, 23℃, 50%RH의 분위기에서 2일간 방치해서 잉크를 건조시키고, 광택도계(GM-26D/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켄큐쇼제)를 이용해서 60°광택도를 측정하였다.
·도피지의 인쇄 평활성
RI인쇄 시험기로, 인쇄잉크(바리우스G묵S타입/다이니폰잉키사제)를 0.3cc사용해서 2회 인쇄(겹침 인쇄)를 행하고, 23℃, 50%RH의 분위기에서 2일간 방치해서 잉크를 건조시키고, 인쇄면의 평활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잉크 농도가 균일하며 얼룩이 없고, 인쇄 평활성이 극히 양호하다.
○;잉크 농도에 약간 얼룩이 보이지만, 도피지로서는 양호한 레벨.
△;잉크 농도에 얼룩이 눈에 띄고, 인쇄 평활성이 떨어진다.
×;잉크 농도에 얼룩이 매우 눈에 띄고, 인쇄 평활성이 상당히 떨어진다.
·도피지의 표면강도
RI인쇄 시험기로, 인쇄잉크(종이시험용 SD50홍/도요잉키사제)를 0.6cc사용해서 인쇄를 행하고, 인쇄면의 피킹의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피킹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표면강도가 극히 양호하다.
○;피킹이 약간 발생하고 있지만, 도피지로서는 양호한 레벨이다.
△;피킹이 발생하고 있고, 표면강도가 떨어진다.
×;피킹이 많이 발생하고 있고, 표면강도가 상당히 떨어진다.
(실시예1)
(A)원지의 조제
산소-오존-수산화나트륨-과산화수소-이산화염소로 이루어지는 공정에서 다단 표백된 LBKP(CSF430ml) 50%와, 산소-오존-수산화나트륨-과산화수소-이산화염소로 이루어지는 공정에서 다단 표백된 NBKP(CSF450ml) 20%와, GP(CSF80ml) 30%로 이루어지는 펄프 슬러리에, 전료로서 경질탄산칼슘(타마팔TP-121/오쿠다마고교사제)을 원지회분이 10%가 되도록 첨가한 후, 펄프 고형분에 대하여 황산알루미늄 0.5%, 양이온전분(에이스K-100/오지콘스타치사제) 0.5%, 알킬케텐다이머사이즈제(사이즈파인K-287/아라가와 카가쿠사제) 0.1%, 폴리아크릴아미드(폴리스트롬851/아라가와 카가쿠사제) 0.02%를 순서대로 첨가하고, 지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지료를 온탑 트윈와이어 초지기로 초지하고, 또한 게이트 롤 사이즈 프레스 장치로 산화전분(에이스A/오지콘스타치사제)을 양면으로 1.5g/㎡(고형분) 도포·건조하고, 머신 캘린더로 평활화 처리를 실시해서 실량 50g/㎡, 종이두께 73μm, 밀도 0.68g/㎤의 원지를 얻었다.
(B)수성 도피액의 조제
분산제로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분산하는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에 대하여 0.1부 첨가한 수용액에,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A)(콘투어1160/이메리스사제) 90부, 중질탄산칼슘(하이드로커브90/비호쿠훈카고교사제) 10부를 순서대로 첨가하고, 코어레스 분산기로 분산하고, 안료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 슬러리에, 접착제로서 전분(에이스A/오지콘스타치사제) 4.0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T-2561C/JSR사제) 12부, 윤활제로서 스테아린산 칼슘(노프코트C-104HS/산노프코사제) 0.2부, 및 소포제, 염료 등의 조제를 순서대로 가하고, 또한 물을 가하여 고형분농도 53%의 수성 도피액을 얻었다. 또한, 이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A)은,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2.7μm,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0.38μm,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과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2가 7.1이었다.
(C)도피지의 제조
상기 수성 도피액을 상기 조건에서 초지한 원지에, 건조 중량이 편면당 7g/㎡가 되도록 블레이드 코터로 양면 도피, 건조한 후, 슈퍼 캘린더 다듬질를 행하여, 실량 64g/㎡, 종이두께 66μm, 밀도 0.97g/㎤의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실시예2)
실시예1의 수성 도피액의 안료 중, 중질탄산칼슘(하이드로커브90/비호쿠훈카고교사제)을 조립의 중질탄산칼슘(하이드로커브60/비호쿠훈카고교사제)으로 변경해서 수성 도피액을 조제한 것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쇄용 도피지는, 실량 64g/㎡, 종이두께 66μm, 밀도 0.97g/㎤이었다.
(실시예3)
(A)원지의 조제
산소-오존-수산화나트륨-과산화수소-이산화염소로 이루어지는 공정에서 다단 표백된 NBKP(CSF450ml) 35%와, GP(CSF80ml) 50%와, 신문 파지로 제조한 DIP(CSF180ml) 15%로 이루어지는 펄프 슬러리에, 전료로서 경질탄산칼슘(타마팔TP-121/오쿠다마고교사제)을 원지회분이 15%가 되도록 첨가한 후, 펄프 고형분에 대하여 황산알루미늄 0.5%, 양이온전분(에이스K-100/오지콘스타치사제) 0.5%, 알킬케텐다이머사이즈제(사이즈파인K-287/아라가와 카가쿠사제) 0.1%, 폴리아크릴아미드(폴리스트롬851/아라가와 카가쿠사제) 0.02%를 순서대로 첨가하고, 지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지료를 온탑 트윈와이어 초지기로 초지하고, 또한 게이트 롤 사이즈 프레스 장치로 산화전분(에이스A/오지콘스타치사제)을 양면으로 1.5g/㎡(고형분) 도포·건조하고, 머신 캘린더로 평활화 처리를 실시하여 실량 50g/㎡, 종이두께 86μm, 밀도 0.58g/㎤의 원지를 얻었다.
(B)수성 도피액의 조제
분산제로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을, 분산하는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에 대하여 0.1부 첨가한 수용액에,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B)(콘투어1500/이메리스사제) 80부, 중질탄산칼슘(하이드로커브90/비호쿠훈카고교사제) 20부를 순서대로 첨가하고, 코어레스 분산기로 분산하고, 안료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 슬러리에, 접착제로서 전분(에이스B/오지콘스타치사제) 4.0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T-2561C/JSR사제) 12부, 윤활제로서 스테아린산 칼슘(노프코트C-104HS/산노프코사제) 0.2부, 및 소포제, 염료 등의 조제를 순서대로 가하고, 더욱 물을 가해서 고형분농도 52%의 수성 도피액을 얻었다. 또한, 이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B)은,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2.7μm,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0.46μm,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과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2가 5.9이었다.
(C)도피지의 제조
상기 수성 도피액을 상기 조건에서 초지한 원지에, 건조 중량이 편면당 5g/㎡가 되도록 블레이드 코터로 양면 도피, 건조한 후, 슈퍼 캘린더 다듬질를 행하여, 실량 60g/㎡, 종이두께 67μm, 밀도 0.90g/㎤의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실시예4)
(A)원지의 조제
산소-오존-수산화나트륨-과산화수소-이산화염소로 이루어지는 공정에서 다단 표백된 LBKP(CSF430ml) 70%와, 산소-오존-수산화나트륨-과산화수소-이산화염소로 이루어지는 공정에서 다단 표백된 NBKP(CSF450ml) 30%로 이루어지는 펄프 슬러리에, 전료로서 경질탄산칼슘(타마팔TP-121/오쿠다마고교사제)을 원지회분이 10%가 되도록 첨가한 후, 펄프 고형분에 대하여 황산알루미늄 0.5%, 양이온전분(에이스K-100/오지콘스타치사제) 0.5%, 알킬케텐다이머사이즈제(사이즈파인K-287/아라가와 카가쿠사제) 0.1%, 폴리아크릴아미드(폴리스트롬851/아라가와 카가쿠사제) 0.02%를 순서대로 첨가하고, 지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지료를 온탑 트윈와이어 초지기로 초지하고, 또한 게이트 롤 사이즈 프레스 장치로 산화전분(에이스A/오지콘스타치사제)을 양면으로 1.5g/㎡(고형분) 도포, 건조하고, 머신 캘린더로 평활화 처리를 실시해서 실량 50g/㎡, 종이두께 65μm, 밀도 0.77g/㎤의 원지를 얻었다.
(B)수성 도피액의 조제
분산제로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을, 분산하는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에 대하여 0.1부 첨가한 수용액에,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B)(콘투어1500/이메리스사제) 90부, 중질탄산칼슘(하이드로커브90/비호쿠훈카고교사제) 10부를 순서대로 첨가하고, 코어레스 분산기로 분산하고, 안료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 슬러리에, 접착제로서 전분(에이스B/오지콘스타치사제) 4.0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T-2561C/JSR사제) 12부, 윤활제로서 스테아린산 칼슘(노프코트C-104HS/산노프코사제) 0.2부, 및 소포제, 염료 등의 조제를 순서대로 가하고, 더욱 물을 가해서 고형분농도 52%의 수성 도피액을 얻었다.
(C)도피지의 제조
상기 수성 도피액을 상기 조건에서 초지한 원지에, 건조 중량이 편면당 5g/㎡가 되도록 블레이드 코터로 양면 도피, 건조한 후, 슈퍼 캘린더 다듬질를 행하여, 실량 60g/㎡, 종이두께 62μm, 밀도 0.97g/㎤의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실시예5)
(A)원지의 조제
산소-오존-수산화나트륨-과산화수소-이산화염소로 이루어지는 공정에서 다단 표백된 LBKP(CSF430ml) 80%와, 산소-오존-수산화나트륨-과산화수소-이산화염소로 이루어지는 공정에서 다단 표백된 NBKP(CSF450ml) 20%로 이루어지는 펄프 슬러리에, 전료로서 경질탄산칼슘(타마팔TP-121/오쿠다마고교사제)을 원지회분이 8%가 되도록 첨가한 후, 펄프 고형분에 대하여 황산알루미늄 0.5%, 양이온전분(에이스K-100/오지콘스타치사제) 0.5%, 알킬케텐다이머사이즈제(사이즈파인K-287/아라가와 카가쿠사제) 0.1%, 부피제(KB-115/카오사제) 0.8%, 폴리아크릴아미드(폴리스트롬851/아라가와 카가쿠사제) 0.02%를 순서대로 첨가하고, 지료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지료를 온탑 트윈와이어 초지기로 초지하고, 또한 게이트 롤 사이즈 프레스 장치로 산화전분(에이스A/오지콘스타치사제)을 양면으로 1.5g/㎡(고형분) 도포, 건조하고, 머신 캘린더로 평활화 처리를 실시해서 실량 70g/㎡, 종이두께 106μm, 밀도 0.66g/㎤의 원지를 얻었다.
(B)수성 도피액의 조제
분산제로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을, 분산하는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에 대하여 0.1부 첨가한 수용액에,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C)(콘투어2070/이메리스사제) 60부, 중질탄산칼슘(하이드로커브90/비호쿠훈카고교사제) 40부를 순서대로 첨가하고, 코어레스 분산기로 분산하고, 안료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 슬러리에, 접착제로서 전분(에이스B/오지콘스타치사제) 4.0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T-2561C/JSR사제) 12부, 윤활제로서 스테아린산 칼슘(노프코트C-104HS/산노프코사제) 0.2부, 및 소포제, 염료 등의 조제를 순서대로 가하고, 더욱 물을 가해서 고형분농도 53%의 수성 도피액을 얻었다. 또한, 이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C)은,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2.1μm,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0.47μm,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과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2가 4.5였다.
(C)도피지의 제조
상기 수성 도피액을 상기 조건에서 초지한 원지에, 건조 중량이 편면당 6g/㎡이 되도록 블레이드 코터로 양면 도피, 건조한 후, 슈퍼 캘린더 다듬질를 행하여, 실량 82g/㎡, 종이두께 90μm, 밀도 0.91g/㎤의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비교예1)
실시예1의 수성 도피액에 있어서, 전분(에이스A/오지콘스타치사제) 4부를 0부로 변경하고, 보수제(소말렉스270E/소말사제)를 0.1부 첨가해서 수성 도피액을 조제한 것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쇄용 도피지는, 실량 64g/㎡, 종이두께 66μm, 밀도 0.97g/㎤이었다.
(비교예2)
실시예1의 수성 도피액에 있어서, 전분(에이스A/오지콘스타치사제) 4부를 8부에 변경해서 수성 도피액을 조제한 것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쇄용 도피지는, 실량 64g/㎡, 종이두께 60μm, 밀도 1.07g/㎤이었다.
(비교예3)
실시예3의 수성 도피액의 안료 중,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B)(콘투어1500/이메리스사제)을 미립 카올린(미라그로스/엔겔하드사제)으로 변경해서 수성 도피액을 조제한 것 이외는, 실시예3과 동일하게 하여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또한, 본 미립 카올린은,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1.8μm,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0.24μm,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과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2가 7.5였다. 또, 얻어진 인쇄용 도피지는, 실량 60g/㎡, 종이두께 66μm, 밀도 0.919/㎤이었다.
(비교예4)
실시예3의 수성 도피액의 안료 중,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B)(콘투어1500/이메리스사제)을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D)(카핑NP/RCC사제)으로 변경해서 수성 도피액을 조제한 것 이외는, 실시예3과 동일하게 하여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또한,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D)은,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3.7μm,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0.95μm,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과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2가 3.9였다. 또, 얻어진 인쇄용 도피지는, 실량 60g/㎡, 종이두께 66μm, 밀도 0.91g/㎤이었다.
(비교예5)
실시예3의 수성 도피액의 안료 중,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B)(콘투어1500/이메리스사제)을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E)(카핑DG/RCC사제)으로 변경해서 수성 도피액을 조제한 것 이외는, 실시예3과 동일하게 하여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또한,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E)은,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2.3μm,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0.61μm,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과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2가 3.8이었다. 또, 얻어진 인쇄용 도피지는, 실량 60g/㎡, 종이두께 66μm, 밀도 0.91g/㎤이었다.
(비교예6)
실시예5의 수성 도피액의 안료 중,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C)(콘투어2070/이메리스사제)을 엔지니어드 카올린(엑시론/엔겔하드사제)으로 변경해서 수성 도피액을 조제한 것 이외는, 실시예5와 동일하게 하여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또한, 본 엔지니어드 카올린은,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2.4μ
m ,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0.61μm,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과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2가 3.9였다. 또, 얻어진 인쇄용 도피지는, 실량 82g/㎡, 종이두께 90μm, 밀도 0.91g/㎤이었다.
(비교예7)
실시예5의 수성 도피액의 안료 중,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C)(콘투어2070/이메리스사제)을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F)(뉴사프/엔겔하드사제)으로 변경해서 수성 도피액을 조제한 것 이외는, 실시예5와 동일하게 하여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또한,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F)은,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5.6μm,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2.1μm, 광산란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과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2이 2.7이었다. 또, 얻어진 인쇄용 도피지는, 실량 82g/㎡, 종이두께 90μm, 밀도 0.91g/㎤이었다.
(비교예8)
실시예5의 수성 도피액의 안료 중,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C)(콘투어2070/이메리스사제) 60부 중, 30부를 미립 카올린(미라그로스/엘겔하드사제)으로 변경해서 수성 도피액을 조제한 것 이외는, 실시예5와 동일하게 하여 인쇄용 도피지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인쇄용 도피지는, 실량 82g/㎡, 종이두께 90μm, 밀도 0.91g/㎤이었다.
도피지밀도Dg/㎤ 광택도G% Dx100-G 인쇄광택% 인쇄평활성 표면강도
실시예1 0.97 51 46 90
실시예2 0.97 49 48 85
실시예3 0.90 45 45 85
실시예4 0.97 50 48 80
실시예5 0.91 45 46 80
비교예1 0.97 53 44 75
비교예2 1.07 48 59 85
비교예3 0.91 38 53 70 ×
비교예4 0.91 37 54 75
비교예5 0.91 39 52 75
비교예6 0.91 38 53 75
비교예7 0.91 25 66 80
비교예8 0.91 35 56 75
본 발명에 따라서, 원지의 양면에 안료와 접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피층을 가지는 인쇄용 도피지에 있어서, 밀도가 낮은데도 불구하고 백지광택이 비교적 높고, 더군다나, 인쇄 광택이나 인쇄 평활성 등의 인쇄 적성이 우수한 인쇄용 도피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원지의 양면에 안료와 접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피층을 설치한 뒤 평활화 처리를 실시한 인쇄용 도피지에 있어서, 원지와 접하는 도피층이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을 전 안료의 50질량% 이상 함유하고, 수용성 접착제를 전 안료의 1∼6질량% 함유하고, 도피지의 밀도가 0.60∼1.00g/㎤의 범위이고, 도피지의 백지광택도(G)와 밀도(D)로 규정되는 식:D×100-G의 값이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도피지.
  2. 제 1 항에 있어서, 백지광택도가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도피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이,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2.0∼3.5μm의 범위내에 있고,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0.35∼0.55μm의 범위내에 있고, 더군다나, 평균 입자 지름(d501)과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2가 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도피지.
  4. 원지의 양면에 안료와 접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피층을 설치한 뒤 평활화 처리를 실시한 인쇄용 도피지에 있어서, 도피층에 포함되는 안료 전량의 50질량% 이상이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으로서, 그 디라미네이티드 카올린이, 광산란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1)이 2.0∼3.5μm의 범위내에 있고, 침강 방식에 의해 측정한 평균 입자 지름(d502)이 0.35∼0.55μm의 범위내에 있고, 더군다나, 평균 입자 지름(d501)과 평균 입자 지름(d502)의 비, d501/d502가 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도피지.
  5. 제 4 항에 있어서, 도피층에 함유되는 접착제가 수분산성 접착제와 수용성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수용성 접착제가 전 안료의 1∼6질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도피지.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인쇄용 도피지의 밀도가 0.60∼1.00g/㎤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도피지.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쇄용 도피지의 백지광택도가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도피지.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피층이 설치되는 원지의 밀도가 0.60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도피지.
KR1020050002550A 2004-01-30 2005-01-11 인쇄용 도피지 KR101100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3742 2004-01-30
JP2004023742A JP4344930B2 (ja) 2004-01-30 2004-01-30 印刷用塗被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201A true KR20050078201A (ko) 2005-08-04
KR101100338B1 KR101100338B1 (ko) 2011-12-30

Family

ID=3487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550A KR101100338B1 (ko) 2004-01-30 2005-01-11 인쇄용 도피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44930B2 (ko)
KR (1) KR101100338B1 (ko)
CN (1) CN10057266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1692B2 (ja) * 2005-09-13 2011-02-16 王子製紙株式会社 オフセット印刷用新聞用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05938B2 (ja) * 2005-09-14 2012-08-22 日本製紙株式会社 浸透抑制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印刷用塗工原紙並びに印刷用塗工紙
FR3012153B1 (fr) * 2013-10-21 2016-03-04 Arjo Wiggins Fine Papers Ltd Papier destine en particulier a l'impression d'une couche electro-conductrice
CN104141258A (zh) * 2014-07-17 2014-11-12 陆振飞 一种纸张用涂料的制作方法
CN107345380B (zh) * 2017-07-20 2020-03-24 岳阳林纸股份有限公司 一种文艺书纸的制造方法
TW202146591A (zh) * 2020-06-09 2021-12-16 新川創新股份有限公司 塗料組合物以及紙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0049B2 (ja) 2000-09-27 2009-12-09 日本製紙株式会社 オフセット印刷用艶消し塗工紙
JP4918747B2 (ja) * 2003-07-15 2012-04-18 日本製紙株式会社 グラビア印刷用塗工紙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13698A (ja) 2005-08-11
CN1648339A (zh) 2005-08-03
JP4344930B2 (ja) 2009-10-14
CN100572663C (zh) 2009-12-23
KR101100338B1 (ko)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214B1 (ko) 인쇄용 도피지
US7208068B2 (en) Dullish coated paper for printing
JP5625655B2 (ja) 塗工白板紙
US20070054100A1 (en) Coated paper
KR101100338B1 (ko) 인쇄용 도피지
JP2000226791A (ja) 塗工紙
KR20100109986A (ko) 오프셋 인쇄용 신문용지
JP2009221613A (ja) 印刷用塗工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92736B2 (ja) 印刷用塗被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04856A (ja) 印刷用塗被紙
US20130011553A1 (en) Processes for preparing coated printing paper
JP2008214782A (ja) グラビア印刷用塗工紙
JP2008075200A (ja) 印刷用塗工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73892A (ja) グラビア印刷用塗工紙
JP6149680B2 (ja) 塗工白板紙の製造方法
JPH0593392A (ja) 印刷用中質紙
JP6149679B2 (ja) 塗工白板紙
JP6503666B2 (ja) 塗工白板紙
JP2002088679A (ja) グラビア印刷用塗工紙
JP6507539B2 (ja) 塗工白板紙
JP2007046218A (ja) 印刷用塗被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03770B2 (ja) 印刷用紙の製造方法
JP6149678B2 (ja) 塗工白板紙
JP2013148700A (ja) 湿式電子写真印刷用紙
JP2009235617A (ja) 印刷用両面塗工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