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426A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 Google Patents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426A
KR20050077426A KR1020040005301A KR20040005301A KR20050077426A KR 20050077426 A KR20050077426 A KR 20050077426A KR 1020040005301 A KR1020040005301 A KR 1020040005301A KR 20040005301 A KR20040005301 A KR 20040005301A KR 20050077426 A KR20050077426 A KR 20050077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flammatory analgesic
skin
weight
nonsteroidal an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2651B1 (ko
Inventor
최영권
유현석
이영무
임선묵
Original Assignee
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5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6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투과촉진제로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는 지지체, 프라이머층, 약물층, 박리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약물층에는 유효약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1 내지 25중량%, 피부투과촉진제로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를 1 내지 30중량% 함유하며, 또 다른 피부투과촉진제로 비이온성계면활성제, 지방산, 지방산 유도체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1 내지 30중량% 병용하여 유효약물에 의한 소염진통효과를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플라스터제이다.

Description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Plaster comprising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본 발명은 피부투과촉진제로서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경구투여가 약물의 주된 투여경로로 사용되는 의약품으로서, 소염진통 효과가 우수하고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비교적 적어 널리 사용되는 의약품중 하나이다. 그러나 장기복용시 또는 과량투여시 간 장애 또는 위장 장애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부작용 및 경구투여시 간초회통과효과에 의해 약제의 생체이용률이 저하되어 필요이상의 약물을 여러 번 투여해야 하는 단점을 개선하고, 주사제 등이 갖고 있는 투약상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환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경피투여제제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금까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함유하는 겔제, 액제, 습포제 및 플라스터제 등이 개발되어 상품화되었다. 그러나, 겔제 및 액제는 유효 조성성분을 밀봉시켜주는 약물보호층이 없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되므로, 사용자의 옷에 약물이 묻거나 일회 도포시 적용량이 일정하지 않고, 하루에 여러 번 도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낮은 피부투과도로 인하여 생체이용률이 낮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겔제, 액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습포제 및 플라스터가 개발되어, 부착시 1매의 적용량이 일정하며 약물이 옷에 묻거나 하루에 여러 번 부착해야하는 점 등의 투약상의 불편이 개선되었으며, 그 중 플라스터 제형은 사용되어지는 원단의 재질과 점착성분의 성질에 따라 신체 어떤 부위라도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최근 이에 대한 연구가 활기를 띄고 있다. 그러나 약물의 피부투과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제내에 결정이 석출되지 않고 제제의 성상을 유지시키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면 약물이 포화농도로 유지되어야 하며, 적절한 피부투과제를 사용하여 각질층으로 분배 및 확산되는 약물량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플라스터에 있어서 약물의 피부투과는 플라스터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하였을 시 약물이 플라스터로부터 환자의 피부로 방출되고, 여러 층의 피부를 통하여 이동하여 약효를 발현하게 되는 것이다. 피부 자체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부를 통한 약물의 투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피부내 각질층의 저항성을 약화시켜 피부투과를 촉진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피부를 통한 약물의 흡수 촉진방법으로는 크게 물리적, 생화학적 및 화학적 방법 등이 있으며; 1)물리적인 방법은 주로 열, 전기 및 초음파에너지 등을 활용하고, 2)생화학적 방법으로는 프로드럭화 방법을 주로 이용하는데 약물이 피부흡수 중이나 흡수 후에 모활성약물로 변화되어 약효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화학적 구조수식은 단백성 약물에 주로 활용되며, 3)화학적 방법으로는 주로 복합체 형성, 다양한 종류의 물질, 계면활성제, 용매류 및 지방산류 등이 활용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피부투과촉진의 기전은 약물의 열역학적 특성을 변화시키거나 혹은 피부의 성질변화에 있으며, 특히 피부내 지질성분들의 유동성의 변화, 피부세포내 당 및 단백질과의 상호작용 및 각질층으로 약물의 분배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약물의 피부투과를 촉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피부투과촉진제를 사용하여 약물흡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가장 보편화 되어있다. 그러나 환자의 질병이 만성적이고 환자에게 빈번하게 투여되는 경우 가려움, 홍반 및 피부발진 등이 더욱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피부에 대한 일차자극(Primary Irritation)과 감작화(Sensitization)현상은 약물적용에 많은 제한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현재 시판되는 제제들의 20 내지 30%가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약물이 피부 각질을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약물의 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피부투과촉진제는 피부에 자극이나 손상을 입히지 않고 피부의 흡수장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약물의 피부투과를 향상시켜야 한다. 현재 사용되거나 보고된 피부투과촉진제로는 알콜, 아미드, 아존유도체, 피롤리돈,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등의 지방산 및 지방산 유도체, 트윈 등의 계면활성제,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콜 또는 글리콜, 멘톨 등의 테르펜이 있다.
상기 피부투과촉진제를 사용할 경우, 피부 내로의 침투 증가는 상기 피부투과촉진제가 피부의 최상층을 침투하여 피부의 장벽 기능이 더 이상 완전히 효과적이지 못하게 하는 방법으로 피부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사실에 의해서 본질적으로 달성된다. 즉 피부투과촉진제는 생체막 내로 혼입되어 수화 및 팽윤 등에 의하여 지질 및 단백질의 천연 구조를 변형시킴으로써 피부에 적용된 약물을 다양한 피부층을 통하여 더욱 용이하게, 즉 더욱 신속하게 이동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피부투과촉진제를 사용할 경우 많은 단점이 발생하는데, 무엇보다도 피부투과촉진제는 무독성, 무자극성이어야 하고 생리학적 부작용을 일으키지 말아야 하며, 피부투과촉진제와 약물 및 플라스터를 구성하는 점착제 및 부형제와 상용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피부투과촉진제는 그 효과가 플라스터 적용 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양으로 플라스터 중에 존재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지금까지의 피부투과촉진제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과 관련된 특허로서 미국특허 제3711602호에서는 약리활성 물질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한 피부투과촉진제로서 디메틸설폭사이드를 사용하였고, 미국특허 제4017641호에서는 적당한 오일과 알콜에스테르를 사용하였다. 또한, 미국특허 제4,557,934호에서는 질소에 치환된 아자시클로알킬-2-온과 배합된 1-도데실-아자시클로헵탄-2-온(Azone, Nelson Research and Development제조)으로 이루어진 흡수촉진제의 기술을, 일본특허 제61-249,934호에서는 탄소수 7 내지 20의 저급알콜, 탄소수 5 내지 30의 지방족탄화수소, 탄소수 19 내지 26의 지방족카르복실산의 알콜에스테르, 탄소수 10 내지 24의 모노 또는 디에테르, 물과 혼합된 탄소수 11 내지 15의 케톤과의 혼합에 의한 흡수촉진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특허들에 사용된 물질들은 흡수촉진의 효과는 있으나, 약물에 따라서 피부에 발진 및 홍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며 특히 장기간부착시에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형적인 흡수촉진제와 흡수촉진조성물은 피부안정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으므로 피부 저자극성 경피흡수촉진 조성물(일본특허 제평 2-115,131호)이 제안되었으나, 이 방법 또한 알콜에 민감한 사람에 대한 투여시 그 부분의 피부자극이 관찰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61281호에서는 피부투과촉진제로서 테르펜계 화합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으며, 미국특허 제 4,933,184호에는 피부투과촉진제로 휘발성 멘톨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피부투과 효과가 촉진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휘발성 멘톨 유도체는 피부 자극성이 높으며 휘발성 때문에 제조 공정이 까다롭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01424호에서는 약물을 액화시킴으로써 흡수를 촉진시키는 용해제로서 비휘발성 멘톨 유도체중 하나인 3-L-메톡시프로판-1,2-디올을 사용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플라스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의 피부투과촉진제와 이제까지 플라스터에 피부투과촉진제로서 사용된 적이 없는 온감조성물인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를 피부투과촉진제로 병용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전혀 없거나 또는 거의 없고 소량으로도 장시간 지속되는 약물의 피부투과촉진을 달성할 수 있어 초회통과효과를 피할 수 있으며 체내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경피투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피부투과촉진제와 이제까지 플라스터에 피부투과촉진제로서 사용된 적이 없는 피부내에서 국부적으로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혈액순환을 증가시키는 온감조성물인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를 피부투과촉진제로 병용함으로써, 국소피부의 부작용을 줄이고 유효성분의 경구투여로 인한 위장장해를 없애며, 또한 체내 부작용을 방지함으로써 약효가 크게 개선된 플라스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유효약물로 함유하고, 용해제, 분산제, 피부투과촉진제, 감압성점착제가 함유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효약물로는 해열, 진통 및 소염 작용을 나타내는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펠비낙, 피록시캄, 케토룰락, 디클로페낙, 메페나믹산, 살리실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포함하며, 피부투과촉진제로는 바닐릴에틸에테르, 바닐릴부틸에테르, 바닐릴펜틸에테르 및 바닐릴헥실에테르 등의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를 포함하고,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와 병용하는 피부투과촉진제로는 모노글리세라이드류, 소르비탄에스테르류, 솔비탄에스테르옥시에틸렌류 등의 비이온성계면활성제: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카프린산, 미리스틴산, 올레일알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올레이트 등의 지방산 및 지방산에테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유효약물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효과적으로 용해시키기 위한 용해제로서 N-알킬-피롤리돈, 바람직하게는 N-메틸-2-피롤리돈을 유효약물 투여량 대비 0.5 내지 3.0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며, 분산제로 폴리비닐피롤리돈류를 분자량 분포에 따라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하고, 감압성점착제가 아크릴레이트 중합물로 이루어진 아크릴계점착제, 합성 및 천연고무에 점착부여수지, 오일,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가하여진 고무계점착제 및 수용성점착제 등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약물의 투과를 막아주는 지지체(1), 약물의 확산을 막아주고 피부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층 (2), 상기한 유효약물을 함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약물층(3) 및 약물층에 박리가 가능토록 부착된 이형필름(4)의 다층으로 구성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의 안쪽면에 있는 프라이머층(2)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감압성점착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약물층에 사용되는 유효약물은 조성성분 중에 1 내지 25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되며, 이 배합비율로 함으로써, 약물의 경피흡수성, 약효의 지속성, 약물의 분산성 등이 양호하고, 경제적으로도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에, 유효약물의 배합량이 1 중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약효를 얻을 수 없고, 배합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면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의 발현이나 경제성의 면에서도 적절하지 않으며, 플라스터내 약물의 용해도 부족으로 약물의 결정 석출 및 점착력 감소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용해제로 사용하는 N-메틸-2-피롤리돈은 유효약물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고 건조과정에서 모두 휘발되어 최종 약물층 내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약물의 고농도화를 통한 경피흡수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물질로서 전체 조성물 중에 1 내지 3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N-메틸-2-피롤리돈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용해효과가 거의 없으며 30 중량% 을 초과하면 건조 후 잔존하여 피부부착성 등의 플라스터제의 물리적 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점착용액 중에 고르게 분산시키고 장시간 보관 시 결정생성을 억제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분산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류(포비돈 K90, K25등 ; ISP)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분포에 따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분산제는 유효약물이 약물층내의 다른 조성물과 함께 균일한 분산상태로 존재하게 함으로써 유효약물의 농도를 최대로 한 경우에도 유효약물의 결정생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점착력, 응집력, 부착성 등의 물리적 성질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한 분산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약물층을 구성하는 전체 조성물 중에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중량% 함유시키도록 한다. 만일 상기 분산제가 1 중량%보다 적게 사용되면 분산효과가 없으며, 30 중량%보다 많게 되면 증점 효과가 필요이상으로 커져 제제의 점착력이 저하되며 점도증가로 인하여 작업성도 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염진통성분 유효약물의 피부흡수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 약물을 플라스터내에서 고농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용해제 및 분산제 외에도 피부투과촉진제로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를 특징적으로 전체 조성물 중에 1 내지 30 중량% 사용하고 기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 지방산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병용한다. 본 발명에서 병용하는 피부투과촉진제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모노글리세라이드류, 소르비탄 에스테르류, 솔비탄 에스테르 산화 에틸렌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지방산으로는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카프린산, 미리스틴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유도체로는 올레일알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라우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촉진제는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그 총량은 매트릭스층을 구성하는 전체 조성물 중에 1 내지 30 중량% 범위로 함유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터 조성물에 사용되는 감압성 점착제로는 수용성 또는 용제형 점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감압성 점착제로는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멀젼, 로진계 수지, 테르펜 수지, 석유계 수지, 실리콘 중합체, 천연 또는 합성고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감압성 점착제는 단독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매트릭스층을 구성하는 전체 조성물 중에 30 내지 90 중량% 범위로 함유시키도록 한다. 감압성 점착제의 양이 30 중량% 이하가 되면 점착력이 저하되며, 90 중량% 이상이 되면 유효성분의 양이 낮아지고 더 이상의 우수한 점착력을 기대할 수 없다.
상기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플라스터제에 있어서는, 상기 피부투과촉진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높은 경피투과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유효약물에 의한 충분한 소염진통효과를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고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고, 또한 제제의 우수한 안정성 및 부착성도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형화한 플라스터제를 포함하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 플라스터는 피부 적용시 효과적으로 약물을 경피투여시킬 수 있도록 4가지 구성물로 설계되어 있다. 즉, 약물의 투과를 막아주는 지지체(1), 약물의 역확산을 막아주고 피부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층(2), 상기한 유효약물 함유 조성물로 이루어진 약물층(3) 및 약물층 하부에 박리가 가능토록 부착된 이형필름(4)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1)는 약물층(3)내의 약물이 투과되지 아니하며 투습성과 신축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물의 방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지지체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의 필름, 시트, 시트상 발포체, 직포 또는 부직포, 이들의 적층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지지체의 안쪽면에 있는 프라이머층(2)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점착제로 구성되며, 상기한 지지체(1)와 프라이머층(2)의 두께는 각각 30 내지 200㎛, 10 내지 50㎛가 적당하다. 각각의 층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굴곡부위의 피부에 적용시 응집력이나 보형성이 저하되어 점착력 감소로 부착감이 나빠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약물층(3)은 필요에 따라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데, 다층으로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약물층(3)을 구성하는 각 층의 조성을 같게 하거나, 아니면 조성을 서로 다르게 변화시켜서 피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층이 가장 빠른 피부침투가 가능하게 하면서 차례로 중첩되게 층을 형성하여 유효성분의 확산 침투속도가 가장 낮은 경우를 1차층(2)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형필름(4)은 약물층과 접하는 면이 실리콘 또는 불소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종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의 적합한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조성물 성분 중 감압성 점착제를 제외한 모든 성분을 각각 일정의 비율이 되도록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이소프로필알콜,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에 첨가, 교반 및 용해한 다음 감압성 점착제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균일한 점착성 물질을 얻는다. 이 점착성 물질을 기포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방치한 후 이형필름에 도포 후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유기용매를 휘발, 제거시킨 후에 지지체를 압착, 전사시켜 플라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터는 원형, 사각형, 타원형 등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 잘 알려진 형태 또는 모양으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서의 각 조성물을 배합하는 순서는, 그 일례를 서술하는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플라스터의 제조방법은 이 배합순서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비교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비교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비교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플라스터의 약학적 활성 및 점착물성이 변하지 않는 한, 적당하다고 간주되는 경우에는 세부사항이 삭제, 추가 또는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의 변화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 내에서 보완된다.
실시예 1.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실시예 (1)의 제조
하기 표 1에 보인 배합량에 따라, 용매 및 용해제로 N-메틸-2-피롤리돈에 피부투과촉진제, 분산제 및 유효약물을 가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 다음, 이 용액에 감압성점착제로 아크릴계 점착제를 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다음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 혼합물을 이형필름에 원하는 약물 함량이 되도록 적절한 두께로 도포한 후, 90℃에서 15분간 건조시켜 용해보조제, 용매 및 감압성 점착제의 휘발성분을 제거하였다. 건조 후에는 미리 제조한 프라이머층이 도포된 지지체로 노출된 약물층을 덮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플라스터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실시예 (1)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실시예 (2) 내지 (6)의 플라스터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플라스터를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6의 플라스터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플라스터의 제조에 사용되어진 유효약물, 필수 피부투과촉진제, 피부투과촉진제 및 점착성고분자의 종류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중량%) 비교예 (중량%)
1 2 3 4 5 6 1 2 3
유효약물 케토프로펜 9 9 9 9 9
플루르비프로펜 6 6
펠비낙 10 10
필수피부투과촉진제 바닐릴부틸에테르 5 15 5 15 5 5
피부투과촉진제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7 7 7 7 12 12 12
올레일알콜 7 7
점착성고분자 아크릴계점착제 74 64 74 64 77 62 74 77 70
용해제 N-메틸-2-피돌리돈 2 2 2 2 2 3 2 2 3
분산제 폴리비닐피롤리돈류 3 3 3 3 3 5 3 3 5
실험예 1 : 피부투과시험
제조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플라스터와 기존 플라스터 제품의 피부투과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무모 마우스(hairless mouse) 피부와 프란츠 확산 셀(유효면적: 0.64cm2, 수용상의 부피: 5.2㎖)을 사용하여 부침상태(sink condition) 하에서 피부투과시험을 실시하였다. 수용상은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 sigma)을 사용하였으며, 먼저 수용상을 프란츠 확산 셀에 채우고 32 ± 0.5℃로 유지시킨 다음 피부를 장착하고, 피부의 표피층에 시료를 부착하여 투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는 4주령의 무모 마우스로부터 피부층만을 적출한 다음, 진피층의 지방층을 제거한 후 사용하였으며 피부를 확산 장치에 장착한 후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수용상은 자석 교반기를 이용하여 600rpm으로 교반하였다. 투과된 약물의 정량을 위하여 도포 후 일정시간 경과된 시점에 수용상 0.25㎖를 취한 후 HPLC로 정량하였으며, 프란츠 확산 셀은 다시 수용상으로 채워 넣었다.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 분석조건 >
- 검출기 : 자외부 흡광광도계
- 칼럼 : 캅셀 팩 UG120(Capcell Pak UG120), C18(Shiseido사)(4.6mm 150mm)
-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인산 완충액(Acetonitrile : Phosphate buffer = 60:40)(Phosphate buffer :0.01M potassium phosphate / phosphoric acid, pH 1.5)
- 유속: 1.0㎖/분
- 칼럼온도 : 40℃
- 시료주입량 : 20㎕
실험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플라스터 내에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를 첨가함에 따라 약물의 피부투과도가 증가되며 병용하는 피부투과촉진제의 종류에 의해서도 피부투과도가 영향을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실시예 (중량%) 비교예 (중량%)
1 2 3 4 5 6 1 2 3
피부투과도(㎍/㎠/h) 8.18 11.44 6.83 8.60 7.10 10.12 6.01 5.39 6.86
본 발명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전혀 없고, 소량으로도 장시간 지속되는 약물의 피부투과촉진 효과를 달성할 수 있어 초회통과효과를 피할 수 있으며 체내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경피투여할 수 있다. 또한, 제제의 안정성 및 부착성도 우수하여 소염진통에 효과적인 의약품으로써 유용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의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 및 기존 첩부제의 무모 마우스(Hairless Mouse)에서의 부착시간별 피부투과도을 나타낸 도로서,
도 2a는 유효약물로서 케토프로펜(Ketoprofen)을 사용하였을 때의 피부투과도를 나타낸 도이며,
도 2b는 유효약물로서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을 사용하였을 때의 피부투과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2c는 유효약물로서 펠비낙(Felbinac)을 사용하였을 때의 피부투과도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10)

  1. 유효성분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전체 조성 중 1 내지 25 중량%, 피부투과촉진제로서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를 1 내지 30 중량% 함유하고, 또 다른 피부투과촉진제로서 비이온성계면활성제, 지방산, 지방산 유도체를 단독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1 내지 30 중량% 병용하며, 용해제로 N-알킬-피롤리돈을 1 내지 30 중량%, 분산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3 내지 20 중량% 함유하며 감압성 점착제가 30 내지 90 중량% 함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투과촉진제는 바닐릴에틸에테르, 바닐릴부틸에테르, 바닐릴펜틸에테르 및 바닐릴헥실에테르 등의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약물은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플루르비프로펜, 펠비낙, 피록시캄, 케토롤락, 디클로페낙, 메페나믹산 또는 살리실산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바닐릴알콜알킬에테르와 병용하는 피부투과촉진제로는 모노글리세라이드류, 소르비탄에스테르류, 솔비탄에스테르옥시에틸렌류 등의 비이온성계면활성제: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카프린산, 미리스틴산, 올레일알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올레이트 등의 지방산 및 지방산에스테르 등에서 선택된 단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유효약물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효과적으로 용해시키기 위한 용해제로서 N-알킬-피롤리돈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용해제로서 N-알킬-피롤리돈은 N-메틸-2-피롤리돈을 유효약물 투여량 대비 0.5 내지 3.0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로 폴리비닐피롤리돈류를 분자량 분포에 따라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성점착제가 아크릴레이트 중합물로 이루어진 아크릴계점착제, 합성 및 천연고무에 점착부여수지, 오일,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가하여진 고무계점착제 및 수용성점착제 등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
  9. 약물의 투과를 막아주는 지지체(1), 약물의 역확산을 막아주고 피부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층(2), 상기한 유효약물을 함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약물층(3) 및 약물층에 박리가 가능토록 부착된 이형필름(4)의 다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안쪽면에 있는 프라이머층(2)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감압성 점착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조성물.
KR1020040005301A 2004-01-28 2004-01-28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KR100552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301A KR100552651B1 (ko) 2004-01-28 2004-01-28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301A KR100552651B1 (ko) 2004-01-28 2004-01-28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426A true KR20050077426A (ko) 2005-08-02
KR100552651B1 KR100552651B1 (ko) 2006-02-20

Family

ID=3726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301A KR100552651B1 (ko) 2004-01-28 2004-01-28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6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298A (ko) * 2012-06-20 2015-03-25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경피 흡수 촉진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첩부제
EP1951211B1 (en) 2005-10-24 2017-06-14 Handok Inc. Transdermal preparations containing hydrophobic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KR101882679B1 (ko) * 2017-08-11 2018-07-27 이태완 저자극성 진통소염용 경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841B1 (ko) * 2013-08-28 2014-01-15 윤경 쿨링 및 히팅 기능을 갖는 셀룰로오즈 패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51211B1 (en) 2005-10-24 2017-06-14 Handok Inc. Transdermal preparations containing hydrophobic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EP1951211B2 (en) 2005-10-24 2020-06-24 Handok Inc. Transdermal preparations containing hydrophobic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KR20150032298A (ko) * 2012-06-20 2015-03-25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경피 흡수 촉진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첩부제
KR101882679B1 (ko) * 2017-08-11 2018-07-27 이태완 저자극성 진통소염용 경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2651B1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7477C (en) Transdermal delivery of ketoprofen polar derivatives
US2005018721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delivery of meloxicam
JP5542665B2 (ja) マトリックス型経皮投与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777692B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transdermal absorption of drug and patch preparation
JPH10218793A (ja) 経皮吸収型消炎鎮痛用テープ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22864B (zh) 用于治疗睡眠障碍的经皮吸收制剂
KR100294084B1 (ko) 비-스테로이드성소염진통제의경피흡수투여용조성물및이를포함하는경피흡수투여용제형
KR20070059079A (ko) 경피 페로스피론 투여용 의약적 조성물
KR100552651B1 (ko)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JP2007520480A (ja) 少なくとも一つの脂肪酸を含むジヒドロピリジンタイプのカルシウムアンタゴニスト用の経皮的デリバリー器具
KR100322988B1 (ko) 소염진통첩부제조성물및이를함유한소염진통첩부제
KR100552649B1 (ko) 펠비낙 함유 소염진통용 플라스터
KR100552650B1 (ko) 피록시캄 함유 소염진통용 플라스터
TWI491690B (zh) 含有聯苯乙酸之經皮吸收製劑
KR20070059758A (ko)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를 포함하는 경피투여 조성물
JP6864968B2 (ja) 貼付剤
KR102436756B1 (ko)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와 살리실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 제제
KR100867262B1 (ko) 펠비낙을 함유하는 플라스터 조성물
JP5606683B2 (ja) ケトロラックの経皮吸収用組成物
KR20190048320A (ko) 바레니클린 경피흡수제
KR20010005871A (ko) 경피흡수용 기제조성물 및 이 기제조성물을 함유하는 경피흡수제제
KR20100117387A (ko) 덱시부프로펜 및 툴로부테롤을 함유하는 신규 복합 경피흡수제
KR20070071453A (ko) 경피 투여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