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758A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를 포함하는 경피투여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를 포함하는 경피투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758A
KR20070059758A KR1020050118995A KR20050118995A KR20070059758A KR 20070059758 A KR20070059758 A KR 20070059758A KR 1020050118995 A KR1020050118995 A KR 1020050118995A KR 20050118995 A KR20050118995 A KR 20050118995A KR 20070059758 A KR20070059758 A KR 20070059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dermal
lidocaine
skin
steroidal anti
local anesth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영
황용연
김용한
엄기안
민동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8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9758A/ko
Publication of KR20070059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phenothiazine, chlorpromazine, piroxic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가 함유된 경피 투여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atory drug, NSAID),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 및 점착성 고분자와 효과적인 경피흡수 촉진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피부 투과를 증진시키고 이에 따라 상승된 진통 효과를 갖는 경피 투여제에 관한 것이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비염화물, 국소마취제, 경피 투여제, 피부 투과 증진

Description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를 포함하는 경피 투여 조성물{Transdermal delivery system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local anesthetic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록시캄 경피 투여 조성물의 피부 투과시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녹시캄 경피 투여 조성물의 피부 투과시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멜록시캄 경피 투여 조성물의 피부 투과시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록시캄 경피 투여 조성물의 동물시험 약동력학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가 함유된 경피 투여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atory drug, NSAID),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 및 점착성 고분자와 효과적인 경피흡수 촉진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피부 투과를 증진시키고 이에 따라 상승된 진통 효과를 갖는 경피 투여제에 관한 것이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는 조직 손상이나 염증 반응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생합성 및 유리를 억제시킨다.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에는 콕스(COX) Ⅰ과 콕스(COX) Ⅱ라는 두 가지 효소가 작용하는데, 콕스 Ⅰ은 혈관, 위, 신장 등에서 발견되며, 콕스 Ⅱ는 염증 부위에서 발견된다. 대부분의 비스테로이드성 함염증제는 콕스 Ⅰ, Ⅱ 모두에 비선택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경구로 투여할 경우 심각한 위장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간초회통과 효과가 크기 때문에 약물의 생체이용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구 투여 이외의 다양한 경로에 대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피부를 통한 경피 투여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소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경피 흡수제제는 주로 국소마취제, 국소진통제 및 국소소염진통제 등이 연구개발, 임상 중이며 일부가 상품화되어 있다. 소염진통 약물의 경피 흡수제제 개발은 케토프로펜, 인도메타신, 플루르비프로펜, 피록시캄, 디틀로페낙 등이 플라스터제 등으로 개발되어 있다. 경피 흡수제제는 피부를 통해 근육, 관절부위 등에 소염, 진통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충분한 농도로 침 투시킴으로써 적용부위 약물농도에 비해 전신순환 혈중의 약물 농도 상승을 낮춤으로써 위장 장해 뿐 아니라 전신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를 통한 지속적인 약물 침투로 국소 염증 부위의 약물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국소 부위의 약물 농도의 변동을 줄일 수 있고 지속적인 소염 진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 혈중 농도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의 성공적인 경피 흡수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인체의 피부는 몸으로부터의 수분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의 화학물질이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강력한 보호막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약물들은 피부를 통하여 치료에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양이 통과되기 어렵다. 특히, 약물의 피부투과에서 가장 중요한 관건은 각질층의 지질장벽을 통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약물의 투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은 각질층을 경계로 하여 크게 두 가지 단계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첫째, 적용된 경피투여 시스템으로부터 보다 많은 양의 약물을 각질층까지 이행시키는 것과 둘째, 각질층까지 도달된 약물을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통과시켜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피부 표면의 약물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용제 중 약물의 열역학적 활성도를 최대로 할 필요가 있다. 열역학적 활성도는 대략 용해도에 대한 농도비에 비례하기 때문에 경피흡수 시스템의 개발시에는 약물의 용해도를 최적화시킬 필요가 있다. 약물을 충분히 녹이기 위하여 사용된 방법으로는 약물의 염화물화, 혼합용매의 사용, 결정다형의 이용,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포접 화합물 을 만드는 등의 복합체화, 공용혼합물화 및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피부장벽의 저항성을 가역적으로 제거시켜 경피 흡수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흡수촉진제를 사용하거나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와 소노포레시스(sonophoresis) 등의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거나 프로드럭을 이용하는 등의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흡수 촉진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데 많은 물질이 흡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상적인 피부투과 촉진제의 조건으로는 약물학적으로 활성을 가지지 않고, 독성이나 자극성이 없어야 하며, 적용시 발현 시간이 빠르며 효력 시간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하고 피부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노출된 조직은 손상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소염진통 효과를 목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경피투여 조성물의 개발시 국소마취제를 첨가하는 것은, 상기 두 가지 관점 모두에서 약효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약산성 물질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약염기성을 나타내는 국소마취제와 결합하여 용해도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약물의 용해성과 물리화학적 안전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염화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는 이미 많은 발명에 언급된 바 있다. 유럽 특허 제0123520호는 셀룰로오스나 락토오스와 같은 담체를 필요로 하는 피록시캄의 염화물에 관한 제조방법을, 미국 특허 제4434164호는 특별한 제조장치나 촉매제 없이 간단하게 피록시캄의 에탄올아민염 결정체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994457호에는 피록시캄의 에 탄올아민염을 이용한 발명예가 있으나 경구제품에 준하고 있으며, 유럽특허 제 0123520호 역시 경구제품에 한정되어 있다. 상기 제조방법들을 이용하여 피부 투과를 살펴본 예로는 미국 특허 제5413776호(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나 지방산 알킬올아미드를 흡수촉진제로 함유하는 피록시캄 플라스타제), 제5676970호(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플라스타제), 일본 특허공개 평10-087494호(폴리옥시에틸렌글라이콜 스테아릭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피록시캄 패취제), 유럽 특허 제0617956호(폴리옥시에틸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에틸렌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플라스타제) 등이 있다. 상기 발명을 포함한 많은 연구에서 용해도 증가를 위하여 아민류 등의 염기성 물질을 이용하여 염화물을 형성한 예가 많이 있으나 이 경우 첨가된 염기성 물질에 의한 피부 자극 문제가 끊임없이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민류 등의 염기성 물질 대신 국소마취제를 첨가하는 경우 피부 자극은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안전한 경피 투여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증가된 용해도와 함께 국소마취제 자체의 진통 효과가 배가되어 한층 더 상승된 소염진통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둘째, 국소마취제를 첨가한 경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흡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즉, 국소마취제가 흡수촉진제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는 일본 특허공개 제2002-128699호에도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는 주로 염화물의 국소마취제를 이용한 것으로 수용성 용매계에 적합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상기 일본특허의 경우는 염화리도카인 을 사용하는 것에 반해 본 발명은 리도카인을 사용함). 구체적인 예로서 액제, 크림제, 연고제, 겔제, 접착제, 에어졸제 등을 언급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성분 중에 물을 포함하고 있는 친수성 조성이다. 약물이 피부를 투과하기 위해서는 지용성과 수용성이 함께 적절히 요구된다. 이는 피부의 구조가 지용성이 높은 각질층과 수용성이 높은 살아있는 표피층과 진피층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친수성 용매뿐 아니라 지용성 용매에서의 효과도 함께 검증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비염화물 형태의 국소마취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염산염 형태의 국소마취제의 사용은 피부 적용시 자극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염화물 형태가 더 안전하다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는 피부 투과성의 평가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사람 피부 재구축 모델(TESTSKIN, 등록상표 LES-003, 6구 타입, 도요방적(주시)야시로제)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실제 피부를 이용한 실험이 아니라 세포 단위의 배양 실험으로서 이 결과만으로 피부 내 약물의 이행을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사람 피부와 비슷한 조직을 사용한 생체 외 실험과 함께 동물 실험 등의 생체 내 실험 자료가 뒷받침될 때 인체 적용시의 흡수 보다 더 긴밀한 관련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피부를 통한 약물의 투여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만큼의 혈중농도에 도달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경피 흡수 촉진제를 첨가함으로써 약물의 피부 투과를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특허에 제시된 경피투여 조성물에는 적절한 물성을 위하여 계면활성제, 습윤제, pH 조절제, 유화제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 피 부 투과 증진을 위한 첨가제는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비록 외형적으로 제형은 확보될 수 있겠지만 효과적인 면에서 그 의미가 적다고 볼 수 있다. 경피 흡수 촉진제의 선택은 활성성분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제제의 구성 성분이나 구조적 특징과 관련이 깊다. 즉, 모든 경우에 있어 피부 흡수를 증가시키며 실용성 있는 제형을 가능하게 하는 만능의 물질은 따로 존재할 수 없으며 따라서 직접적인 투과 실험을 통한 검증을 통해서만 특정 물질이 특정 조성에서 흡수 증진의 효과를 발휘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여러 가지 물질에 대한 피부투과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및 국소마취제의 피부투과를 증진시키는 물질들을 찾아낼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볼 때 상기 특허에 제시된 경피 투여 조성물은 실제 적용 시에 많은 부족함이 예상되는 바, 비수용성 용매계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흡수를 증진시킨 효과적인 경피 투여제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동시에 기존의 염화물이 아닌 비염화물 형태의 국소마취제 첨가하여 수용성 용매 시스템은 물론이거니와 비수용성 용매 시스템에서도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용해도를 개선시키며 또한 피부 자극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안전한 경피 투여제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피 투여제가 사람의 피부를 이용한 생체 외 실험 외에도 마우스와 토끼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기존의 경피 투여제에 비해 피부투과능이 현저히 향상되고 이로 인한 진통효과도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atory drug, NSAID) 및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가 함유되어 피부투과능이 증진된 경피 투여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atory drug, NSAID),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 및 점착성 고분자와 효과적인 경피흡수 촉진제가 함유되어 피부투과능이 증진된 경피 투여제를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atory drug, NSAID),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 및 점착성 고분자와 효과적인 경피흡수 촉진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피부 투과를 증진시키고 이에 따라 상승된 진통 효과를 갖는 경피 투여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피 투여제의 구성 요소는 유효활성성분으로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를 포함하며 점착성 고분자와 함께 선택적으로 경피 흡수 촉진제 및 경피 투여제의 완성을 위한 통상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효활성성분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경피 투여제 전체 조성 함량 중 0.1 ~ 30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약효가 없고, 과량 첨가하면 그 이상의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경피 투여 조성물 내에서 결정상태로 잔류하게 되므로 침투 효과의 저하, 점착력의 감소,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이 일어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사용한 염화물의 국소마취제가 아닌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를 사용하여 수용성 용매계 뿐만 아니라 지용성 용매에서도 피부 투과능을 증진시키고 그에 따른 약효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로는 에스테르 타입의 프로카인(procaine), 클로로프로카인(chlorocaine), 테트라카인(tetracaine)과, 아마이드 타입의 프릴로카인(prilocaine), 리도카인(lidocaine), 메피바카인(mepivacaine), 부피바카인(bupivacaine), 로피바카인(ropivacaine), 에티도카인(etidocaine)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의 함량은 경피 투여제 전체 조성 함량 중 1 ~ 20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과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는 1 : 0.1 ~ 10의 몰비로 함유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일 그 사용량이 너무 적으면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에 대한 용해도 증가 및 피부 투과 증가에 대한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수 없으며 과량 첨가하면 경피 투여제 내에서 결정상태로 잔류하게 되므로 침투효과의 저하, 점착력의 감소,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피 투여제 조성 중 점착성 고분자는 의료용의 감압성 점착 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로서, 수계 또는 유기용매계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합성 또는 천연고무,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경피 투여제 전체 조성 함량 중 30 ~ 80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점착성 고분자가 30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다른 첨가물들과 섞이어 균일한 상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도포 상의 어려움과 함께 함량의 불균일성이 초래되며 점착력 감소 등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점착성 고분자가 80 중량% 초과하면 주 약물의 함유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약물 함량이 낮아지며 첨가제들의 포함량 역시 함께 감소하게 되므로 각 성분들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약물의 흡수가 현저하게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적인 경피 흡수 촉진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및 비염화물 국소마취제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올레인산, 올레일마크로골-6-글리세라이드, 라우로일사코신,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카프릴카프로일마크로골-8-글리세라이드, 폴리글리세릴-3-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다이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0-올레일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카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 사용 가능하다. 경피 투여제 함량 중 0.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고, 만약 첨가하지 않거나 소량 첨가시 활성성분의 피부 투과가 충분하지 않아 약리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과량 첨가시 제제의 물성이 좋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피부에 대한 점착력도 감소되고 피부 부작용을 유발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경피 투여제 제조 시 상기 경피 흡수 촉진제 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즉 용해제 및 용해보조제, 점도조절제 등을 선택적으로 첨가시킬 수 있다. 용해제 및 용해보조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에톡시디글리콜, 엔-메틸-2-피로리돈,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아실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도조절제로는 메틸셀룰로스, 스테아릴알콜, 아세트산셀룰로스, 카르복실메틸셀룰로스나트륨,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 점착성 고분자 및 경피 흡수 촉진제의 최적 조성 함량비를 확립하여 피부 투과능을 현저히 증진시킴과 동시에 약효를 증가시켜 보다 강력한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경피 투여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여러 가지 용매에 대하여 테녹시캄을 단독으로 녹인 경우와 국소마취제를 첨가한 경우 각각의 약물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증류수, 디메틸술폭시드, 에톡시디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의 용매 중에 테녹시캄을 넣고 48 시간동안 실온에서 진탕시킨 후 1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취한 후 HPLC 이동상으로 희석하여 여과한 후에 HPLC로 약물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동일한 용매를 사용하여 테녹시캄과 함께 1당량 해당량의 리도카인을 넣고 위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분석된 약물의 농도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리도카인이 첨가된 경우 리도카인이 첨가되지 않은 것에 비하여 테녹시캄의 용해도가 현저하게 증가된 것으로 보아 리도카인의 첨가는 실험한 용매에서 테녹시캄의 용해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리도카인 첨가에 따른 테녹시캄의 용해도 증가비
용매 테녹시캄 테녹시캄+리도카인
증류수 1 27.0
디메틸술폭시드 1 104.9
에톡시디글리콜 1 6.7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1 3.5
프로필렌글리콜 1 68.5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1 5.3
실험예 2
여러 가지 용매에 대하여 피록시캄을 단독으로 녹인 경우와 국소마취제를 첨가한 경우 각각의 약물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다음 표 2의 결과를 얻었다. 리도카인이 첨가된 경우 리도카인이 첨가되지 않은 것에 비하여 피록시캄의 용해도가 현저하게 증가된 것으로 보아 리도카인의 첨가는 실험한 용매에서 피록시캄의 용해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리도카인 첨가에 따른 피록시캄의 용해도 증가비
용매 피록시캄 피록시캄+리도카인
증류수 1 4.0
디메틸술폭시드 1 5.1
에톡시디글리콜 1 2.5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1 3.2
프로필렌글리콜 1 12.3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1 27.9
실험예 3
여러 가지 용매에 대하여 멜록시캄을 단독으로 녹인 경우와 국소마취제를 첨가한 경우 각각의 약물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다음 표 3의 결과를 얻었다. 리도카인이 첨가된 경우 리도카인이 첨가되지 않은 것에 비하여 멜록시캄의 용해도가 현저하게 증가된 것으로 보아 리도카인의 첨가는 실험한 용매에서 멜록시캄의 용해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리도카인 첨가에 따른 멜록시캄의 용해도 증가비
용매 멜록시캄 멜록시캄+리도카인
증류수 1 3.0
디메틸술폭시드 1 3.3
에톡시디글리콜 1 6.3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1 1.7
프로필렌글리콜 1 89.5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1 6.2
실험예 4
여러 가지 용매에 대하여 피록시캄에 리도카인을 첨가한 경우와 염산리도카인을 첨가한 경우 각각의 약물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다음 표 4의 결과를 얻었다. 리도카인이 첨가된 경우 염산 리도카인이 첨가된 것에 비하여 피록시캄의 용해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피록시캄의 용해도를 상승시키는 효과는 염산 리도카인보다 리도카인에 의한 영향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리도카인 및 염산 리도카인 첨가에 따른 피록시캄의 용해도 증가비
용매 피록시캄 +리도카인 피록시캄 + 염산 리도카인
증류수 3.0 1
디메틸술폭시드 110.9 1
에톡시디글리콜 3.0 1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3.1 1
프로필렌글리콜 8.8 1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4.4 1
비교예 1
3.6 g의 디메틸술폭시드와 1 g의 에톡시디글리콜의 혼합 용액에 0.5g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넣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 혼합 용액에 0.55 g의 트로메타민, 0.1 g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0.8 g의 올레인산을 넣어 잘 섞이도록 교반한 후 가온하였다. 2.4 g(0.007몰)의 피록시캄을 넣고 균질하게 분산시킨 후 투명하게 녹을 때까지 교반하였다. 가온을 중단한 후 이 혼합용액에 24 g의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 혼합물(Monsanto사 제품, GELVA 737과 GELVA 788)을 가하여 30분 동안 혼합한 후 20분간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기포가 제거된 혼합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0.5 mm 두께로 도포하여 80 ℃에서 10분간 건조시키고, 그 위에 박리지를 부착시키고 나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진공 포장하여 보관하였다.
실시예 1
3.6 g의 디메틸술폭시드와 1 g의 에톡시디글리콜의 혼합 용액에 0.5 g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넣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 혼합용액에 0.1 g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0.8 g의 올레인산을 넣어 잘 섞이도록 교반한 후 가온하였다. 2.4 g(0.007몰)의 피록시캄과 0.83 g(0.004몰)의 리도카인을 넣고 균질하게 분산시킨 후 투명하게 녹을 때까지 교반하였다. 가온을 중단한 후 이 혼합용액에 24 g의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 혼합물(Monsanto사 제품, GELVA 737과 GELVA 788)을 가하여 30분 동안 혼합한 후 20분간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2
3.6 g의 디메틸술폭시드와 1 g의 에톡시디글리콜의 혼합 용액에 0.5 g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을 넣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 혼합용액에 0.1 g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0.8 g의 올레인산을 넣어 잘 섞이도록 교반한 후 가온하였다. 2.4 g(0.007몰)의 피록시캄과 1.67 g(0.007몰)의 리도카인을 넣고 균질하게 분산시킨 후 투명하게 녹을 때까지 교반하였다. 가온을 중단한 후 이 혼합용액에 24 g의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 혼합물(Monsanto사 제품, GELVA 737와 GELVA 788)을 가하여 30분 동안 혼합한 후 20분간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1.67 g(0.007몰)의 리도카인 대신에 1.92 g(0.007몰)의 염화리도카인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앞의 실험예 4에서 살펴보았듯이 염화리도카인이 첨가된 경우 리도카인이 첨가된 것에 비하여 피록시캄의 용해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 사용한 동일한 몰비에 해당하는 염화리도카인을 사용하여서는 동일한 양의 피록시캄을 용해시킬 수 없었으며 결과적으로 비교예 2의 제형은 채 녹지 못한 결정들이 관찰되는 등 물성이 좋지 못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3.6 g의 디메틸술폭시드와 1 g의 에톡시디글리콜의 혼합 용액에 0.5g의 포비돈을 넣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 혼합용액에 0.1 g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0.8 g의 올레인산을 넣어 잘 섞이도록 교반한 후 가온하였다. 2.4 g(0.007몰)의 피록시캄과 3.4 g(0.015몰)의 리도카인을 넣고 균질하게 분산시킨 후 투명하게 녹을 때까지 교반하였다. 가온을 중단한 후 이 혼합용액에 24 g의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 혼합물(Monsanto사 제품, GELVA 737와 0GELVA 788)을 가하여 30분 동안 혼합한 후 20분간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3
2.2 g(0.007몰)의 테녹시캄을 2 g의 엔-메틸-2-피로리돈에 녹인 후 2 g의 올레인산과 29 g의 아크릴레이트계 점착제(Soken사 제공, MP-01N)를 넣어 30분 동안 혼합한 후 20분간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4
2.2 g(0.007몰)의 테녹시캄과 0.9 g(0.004몰)의 리도카인을 2 g의 엔-메틸-2-피로리돈에 녹인 후 2 g의 올레인산과 28 g의 아크릴레이트계 점착제(Soken사 제공, MP-01N)를 넣어 30분 동안 혼합한 후 20분간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5
2.2 g(0.007몰)의 테녹시캄과 1.55 g(0.007몰)의 리도카인을 2 g의 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녹인 후 0.7 g의 올레인산과 1.4 g의 라우로일사코신과 함께 25 g의 천연고무계 점착제(DowCorning사 제공, PA-0153)를 넣어 30분 동안 혼합한 후 20분간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6
2.2 g(0.007몰)의 테녹시캄과 1.5 g(0.006몰)의 리도카인을 2 g의 디메틸술폭시드에 녹인 후 2 g의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와 29 g의 아크릴레이트계 점착제(Soken사 제공, MP-17N)를 넣어 30분 동안 혼합한 후 20분간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4
3 g(0.009몰)의 멜록시캄을 2 g의 디프로필렌글리콜과 3 g의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용매에 녹인 후 1 g의 카프로카프로일마크로골-8-글리세라이드와 41 g의 아크릴레이트계 점착제(Soken사 제공, MP-17N)를 넣어 30분 동안 혼합한 후 20분간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7
3 g(0.009몰)의 멜록시캄과 1 g(0.004몰)의 리도카인을 2 g의 디프로필렌글리콜과 3 g의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용매에 녹인 후 1 g의 카프로카프로일마크로골-8-글리세라이드와 38.5 g의 아크릴레이트계 점착제(Soken사 제공, MP-17N)를 넣어 30분 동안 혼합한 후 20분간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8
3 g(0.009몰)의 멜록시캄과 1.5 g(0.006몰)의 리도카인을 5 g의 프로필렌글리콜과 0.1 g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에 녹인 후 1 g의 프로필렌그리콜모노카프레이트와 41 g의 아크릴레이트계 점착제(Soken사 제공, MP-01D)를 넣어 30분 동안 혼합한 후 20분간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9
3 g(0.009몰)의 멜록시캄과 2 g(0.009몰)의 리도카인을 2 g의 디프로필렌글리콜과 3 g의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용매에 녹인 후 1 g의 폴리옥시에틸렌-10-올레일에테르와 41 g의 아크릴레이트계 점착제(Soken사 제공, MP-07N)를 넣어 30분 동안 혼합한 후 20분간 정치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형을 완성하였다.
시험예 1
상기 비교예 1 ~ 2 및 실시예 1 ~ 2에 따라 제조된 3가지 종류의 경피 투여제를 이용하여 피부투과시험을 실시하여 피록시캄 및 리도카인의 경피 플럭스를 알아보았다.
미국 오하이오 밸린 티슈스킨 센터(Ohio Valley Tissue and Skin Center)로부터 공급 받은 죽은 사람의 피부를 1시간 동안 pH 7.4 인산염완충액(미국약전, 표준완충액)으로 수화시킨 후 확산 셀에서 생체 외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화된 피부를 32 ℃, 12.4 mL, pH 7.4 인산염완충액(미국약전, 표준완충액)이 들어있는 유효면적 1.0 cm2인 확산 셀 위에 완충액과 접촉하도록 놓고, 피부의 윗면에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경피 투여제를 점착시키고 클립으로 고정하였다. 24시간 동안 피부를 통하여 확산셀 내부로 흡수되는 피록시캄 및 리도카인의 양을 HPLC로 분석하여 피부투과량을 구하였다.
상기 조건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5 및 도 1과 같다.
피부투과실험을 통한 24시간 누적 투과량(㎍, 평균값 ± 편차)
구분 피록시캄 리도카인
비교예 1 13.2 ± 2.6 (-)
비교예 2 13.5 ± 3.3 249.8 ± 15.9
실시예 1 23.4 ± 3.1 281.3 ± 13.7
실시예 2 29.5 ± 2.9 559.0 ± 12.4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리도카인이 첨가된 제형)의 경우 비교예 1(리도카인이 첨가되지 않은 제형)과 비교예 2(염화리도카인이 첨가된 제형)에 비하여 피록시캄의 투과량이 증가하였으며, 리도카인의 양이 증가할수록 피록시캄의 투과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 보아 리도카인의 첨가는 피록시캄의 피부 투과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시험예 2
상기 비교예 3 및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2가지 종류의 경피 투여제를 이용하여 피부 투과시험을 실시하여 테녹시캄의 경피 플럭스를 알아보았다.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분석된 테녹시캄 약물의 농도 결과는 다음 표 6 및 도 2와 같으며, 리도카인이 첨가된 제형의 경우 리도카인이 첨가되지 않은 제형에 비하여 테녹시캄의 투과량이 증가하였다.
피부투과 실험을 통한 24시간 누적 투과량(㎍, 평균값 ± 편차)
구분 테녹시캄
비교예 3 13.5 ± 4.5
실시예 4 27.0 ± 5.2
실시예 5 30.1 ± 3.9
실시예 6 33.2 ± 4.7
시험예 3
상기 비교예 4 및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2가지 종류의 경피 투여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투과시험을 실시하여 멜록시캄의 경피 플럭스를 알아보았다.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분석된 멜록시캄 약물의 농도 결과는 다음 표 7 및 도 3과 같으며, 리도카인이 첨가된 제형의 경우 리도카인이 첨가되지 않은 제형에 비하여 멜록시캄의 투과량이 증가하였다.
피부 투과실험을 통한 24시간 누적 투과량(㎍, 평균값 ± 편차)
구분 멜록시캄
비교예 4 14.3 ± 5.6
실시예 7 24.5 ± 6.2
실시예 8 27.2 ± 5.9
실시예 9 28.1 ± 7.0
시험예 4
상기 비교예 1과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경피 투여 조성물 20 cm2를 각각 토끼(종류:NZW, 수컷, 2.6 ± 0.14 kg) 4마리에 적용하여 혈중농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토끼의 등 부위의 피모를 실험 하루 전에 제거한 다음, 각각의 경피 투여제를 등 부위에 부착하여 24시간 동안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은 원심분리한 후 혈장을 취하였으며 분석은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 8과 같으며, 혈중 농도 추이는 도 4와 같다.
약동력학적 지표(평균값 ± 편차)
구분 투여 면적 (cm2) AUC0→24hr (㎍*hr/㎖/㎏/cm2) Cmax (㎍/㎖/㎏/cm2) Tmax (hr)
비교예 1 20 27.3 ± 12.5 1.52 ± 0.7 7 ± 2.6
실시예 3 20 31.4 ± 15.4 1.9 ± 0.9 6.5 ± 1.9
아민성 관능기를 가진 트로메타민 첨가 대신 리도카인을 첨가한 경우 향상된 피부 흡수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5
상기 비교예 1과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경피 투여제 4 cm2(2 cm X 2 cm)를 12 명의 사람에게 적용하여 일차 피부자극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방법으로는 피험자의 전박 부분의 피부를 70% 알코올로 세척한 후 두 가지 제형의 경피 투여 조성물을 각각 첩포하였다. 24시간이 경과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홍반, 부종 등의 피부반응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행하였고 평점의 평균값(n=6)을 각 제형의 피부반응 점수로 하였다. 아민성 관능기를 가진 트로메타민 첨가한 비교예 1 보다 리도카인을 첨가한 실시예 3에서 더욱 작은 자극을 나타났다.
피부 반응의 평가 기준
평점 판정기준
0 피부 변화가 전혀 관찰되지 않는 것(음성)
1 의심스러운 또는 미미한 홍반
2 소수포를 동반하지 않는 약한 반응, 홍반, 구진
3 소수포를 동반하는 중정도 반응, 홍반, 구진, 소수포
4 강한 반응, 대수포 반응
일차 피부자극 시험 결과 (평균값 ± 편차)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3
피부반응 점수 1.0 ± 0.6 0.8 ± 0.4 0.5 ± 0.5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피 투여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피부투과능을 증진시키고, 이렇게 향상된 피부 투과능은 혈중농도를 증가시키게 되어 약효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1.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atory drug, NSAID) 0.1 ~ 30 중량%,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 1 ~ 20 중량%, 점착성 고분자 30 ~ 80 중량% 및 경피 흡수 촉진제 0.1 ~ 20 중량%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투과능이 증진된 경피 투여제.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 흡수 촉진제는 올레인산, 올레일마크로골-6-글리세라이드, 라우로일사코신,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카프로카프로일마크로골-8-글리세라이드, 폴리글리세릴-3-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다이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0-올레일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카프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투여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비염화물의 국소마취제가 1 : 0.1 ~ 10의 몰비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투여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이부프로펜(ibuprofen), 케토프로펜(ketoprofen),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 페노프로펜(feno- profen), 나프록센(naproxen), 피록시캄(piroxicam), 테녹시캄(tenoxicam), 이속시캄(isoxicam), 멜록시캄(melo-xicam),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아세클로페낙(aceclofenac) 또는 디클로페낙(diclo-fena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투여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마취제는 프로카인(procaine), 클로로프로카인(chlorocaine), 테트라카인(tetracaine), 프릴로카인(prilocaine), 리도카인 (lidocaine), 메피바카인(mepivacaine), 부피바카인(bupivacaine), 로피바카인(ropivacaine) 또는 에티도카인(etidoca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투여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아크릴레이트중합체 또는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합성 또는 천연 고무 및 실리콘계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투여제.
KR1020050118995A 2005-12-07 2005-12-07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를 포함하는 경피투여 조성물 KR20070059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995A KR20070059758A (ko) 2005-12-07 2005-12-07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를 포함하는 경피투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995A KR20070059758A (ko) 2005-12-07 2005-12-07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를 포함하는 경피투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758A true KR20070059758A (ko) 2007-06-12

Family

ID=3835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995A KR20070059758A (ko) 2005-12-07 2005-12-07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를 포함하는 경피투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97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320A1 (en) * 2011-12-23 2013-06-27 Sanovel Ilac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Flurbiprofen formulations
EP3097907A1 (en) 2015-05-28 2016-11-30 Abdi Ibrahim Ilac Sanayi ve Ticaret A.S. A gel formulation comprising analgesic and anesthesic agents
EP3342397A1 (en) 2016-12-31 2018-07-04 Abdi Ibrahim Ilac Sanayi ve Ticaret A.S. A pharmaceutical spray dosage form comprising naproxen and lidocaine free ba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699A (ja) * 2000-10-26 2002-05-09 Sankyo Co Ltd 消炎鎮痛外用剤組成物
KR20020081513A (ko) * 2001-04-18 2002-10-28 윤상권 수용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 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96424A (ko) * 1991-06-27 2003-12-31 노벤 파머수티컬즈, 인코퍼레이티드 용해도 변수를 근거로 한 약물 전달 시스템과 약물 포화농도를 변경시키는 방법
KR200371990Y1 (ko) * 2004-08-04 2005-01-10 대신제약주식회사 일체형 습포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424A (ko) * 1991-06-27 2003-12-31 노벤 파머수티컬즈, 인코퍼레이티드 용해도 변수를 근거로 한 약물 전달 시스템과 약물 포화농도를 변경시키는 방법
JP2002128699A (ja) * 2000-10-26 2002-05-09 Sankyo Co Ltd 消炎鎮痛外用剤組成物
KR20020081513A (ko) * 2001-04-18 2002-10-28 윤상권 수용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경피흡수 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371990Y1 (ko) * 2004-08-04 2005-01-10 대신제약주식회사 일체형 습포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320A1 (en) * 2011-12-23 2013-06-27 Sanovel Ilac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Flurbiprofen formulations
EP3097907A1 (en) 2015-05-28 2016-11-30 Abdi Ibrahim Ilac Sanayi ve Ticaret A.S. A gel formulation comprising analgesic and anesthesic agents
EP3342397A1 (en) 2016-12-31 2018-07-04 Abdi Ibrahim Ilac Sanayi ve Ticaret A.S. A pharmaceutical spray dosage form comprising naproxen and lidocaine free b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721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delivery of meloxicam
EP0974350B1 (en)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tranilas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850889B2 (ja) 薬物の皮膚送達のための接着性外皮形成製剤とそれを使用する方法
CA2667477C (en) Transdermal delivery of ketoprofen polar derivatives
US20140314815A1 (en) Adhesive solid gel-forming formulations for dermal drug delivery
JPH03193728A (ja) 消炎鎮痛貼付剤
ES2372959T3 (es) Analgésico anti-inflamatorio para uso externo.
ES2197077T3 (es) Dispositivo transdermico que comprende farmacos anti-inflamatorios no esteroides incorporados en una matriz de un polimero acrilico adhesivo.
KR20070059079A (ko) 경피 페로스피론 투여용 의약적 조성물
KR20070059758A (ko)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국소마취제를 포함하는 경피투여 조성물
JP4807721B2 (ja) 消炎鎮痛外用剤
JPH04217919A (ja) エペリゾンまたはトルペリゾン経皮吸収製剤
KR100322988B1 (ko) 소염진통첩부제조성물및이를함유한소염진통첩부제
US20050158371A1 (en) Novel external agent
JP2009249348A (ja) 塩酸ブテナフィン含有水性貼付剤
CN104367566A (zh) 一种吲哚美辛巴布剂及其组合物
KR100552649B1 (ko) 펠비낙 함유 소염진통용 플라스터
KR101894891B1 (ko) 흡수가 증가된 덱시부프로펜 에멀젼 함유 겔 제형
KR100552651B1 (ko)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함유 플라스터
WO2022172915A1 (ja) 酸化防止剤含有経皮吸収製剤
EP1043979B1 (en) Compositions for the transdermal and dermal administration of biologically active agents
KR20070071534A (ko)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가 함유된 경피 투여제
KR102362912B1 (ko) 첩부제
JPH01207246A (ja) 外用製剤用基剤組成物及び外用医薬組成物
JPH06279288A (ja) パップ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