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729A -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729A
KR20050076729A KR1020040012231A KR20040012231A KR20050076729A KR 20050076729 A KR20050076729 A KR 20050076729A KR 1020040012231 A KR1020040012231 A KR 1020040012231A KR 20040012231 A KR20040012231 A KR 20040012231A KR 20050076729 A KR20050076729 A KR 20050076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beam
yoke
floor
suppor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이다이쿠오
오키타히로시
요시무라고지
구로키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루네스 겐큐쇼
가부시키가이샤 이이다 겐치쿠 셋케이 지무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루네스 겐큐쇼, 가부시키가이샤 이이다 겐치쿠 셋케이 지무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루네스 겐큐쇼
Publication of KR2005007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72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4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cutting films into narrow ribbons or filaments or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 D01D5/426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cutting films into narrow ribbons or filaments or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by cutting fil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콘크리트 구조체(F)의 단차부(段差部)(3)의 상면(上面)에, 멍에 빔(beam) (BS)을 고정하는 일 없이 지지하고, 그 멍에 빔(BS)의 양단부(兩端部)에 횡(橫) 지지 부재(ST)를 각각 설치하고, 이 횡 지지 부재(ST)의 하부(下部)에 압압(押壓) 수단(P)을 설치하여, 이 압압 수단(P)을 완충재(緩衝材)를 통해서 단차부(3)의 측면에 꽉 누름으로써, 멍에 빔(BS)에, 그 멍에 빔(BS)이 윗쪽을 향해서 볼록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방향의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 m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체의 지지부 상에 플로우팅 (floating) 지지되는 멍에 빔에, 그 멍에 빔이 윗쪽을 향해서 볼록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방향의 굽힘 모멘트를 부여하므로, 바닥에 고도(高度)의 차음(遮音) 성능을 확보하면서 바닥에 걸린 하중(荷重)에 대한 휨 변형을 가급적으로 저감시켜 바닥의 진동(振動) 장해(障害)를 방지한다.

Description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FLOOR SUPPORT STRUCTURE FOR BUILDING}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를 갖는 건물 혹은 목조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음(遮音) 대책을 위해서, 구조체, 혹은 수평 기초의 지지면에 고정되는 일 없이 지지시킨 바닥의 지지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집합 주택 등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갖는 건물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체의 대들보 등의 바닥 지지면 상에, 동자 기둥을 사용하지 않고 멍에 빔을 고정하는 일 없게 플로우팅(floating) 지지시켜, 그 위의 바닥에 가해지는 진동 소음이, 구조체를 통해서 아래층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소위 「사운드 브리지(sound bridge) 현상」의 발생을 방지해서 차음 성능을 높이도록 한, 건물에 있어서의 바닥 지지 구조는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81891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바닥 지지 구조는, 멍에 빔이 콘크리트 구조체의 대들보 상에 양쪽 지지 상태로 플로우팅 지지되기(바닥 슬래브(slab) 상에는, 멍에 빔을 지지하기 위한 재래의 동자 기둥이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멍에 빔에는, 그 자중(自重)에 의해 굽힘 모멘트가 발생해서 하향(下向)으로 휘어져, 그 중앙 부분에서 휨량이 크게 되고, 이것에 기인해서 바닥의 진동 소음이 발생하며, 특히, 멍에 빔의 지지 스팬(span)을 길게 설정했을 경우에는, 그 경향이 한층 크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멍에 빔의 강성(剛性)을 높이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렇게 하면, 멍에 빔의 중량 증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그 취급이 곤란하게 되어서, 바닥 구조체의 비용이 대폭적으로 증대한다고 하는 다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멍에 빔에, 그 자중에 의한 굽힘 모멘트에 대항하는 굽힘 모멘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해서, 멍에 빔의 휨에 의한 바닥의 진동 장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규인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구조체에 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되는 지지부의 상면에, 멍에 빔을 고정하는 일 없이 교가(橋架) 지지하고, 그 멍에 빔 상에 상판(床板)을 부설(敷設)해서 이루어지는,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멍에 빔의 양단부에 횡 지지 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이 횡 지지 부재는, 멍에 빔에 고정되는 부착부와, 이 부착부에 일체로 설치되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암(arm)부를 구비하고, 이 암부의 자유단(自由端)에 압압 수단을 설치하여, 그 압압 수단의 단부(端部)를 완충재를 통해서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꽉 누름으로써, 상기 멍에 빔에, 그 멍에 빔이 윗쪽을 향해서 볼록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방향의 굽힘 모멘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목조 건물의 수평 기초에 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되는 지지부의 상면에, 멍에 빔을 교가 지지하고, 그 멍에 빔 상에 상판을 부설해서 이루어지는,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멍에 빔의 양단부에 횡 지지 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이 횡 지지 부재는, 멍에 빔에 고정되는 부착부와, 이 부착부에 일체로 설치되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암부를 구비하고, 이 암부의 자유단에 압압 수단을 설치하고, 그 압압 수단의 단부를 완충재를 통해서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꽉 누름으로써, 상기 멍에 빔에, 그 멍에 빔이 윗쪽을 향해서 볼록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방향의 굽힘 모멘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멍에 빔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그것들 멍에 빔과 교차하는 복수의 보강 부재를 직렬로 해서 배치하고, 각각의 보강 부재의 양단부와, 그 양단부가 대향하는 멍에 빔의 측면간을 연결 금구에 의해 일체로 결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횡 지지 부재의 부착부는, 멍에 빔의 길이 방향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횡 지지 부재의 암부의 자유단에 설치되는 상기 압압 수단은,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대하여 진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예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서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8을 참조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데, 이 제1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콘크리트 구조체 구조의 집합 주택에 실시한 경우이며, 도 1은 바닥 지지 구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3화살표로 본 가상선 주위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4-4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5-5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6∼도 8은, 본 발명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집합 주택의 골격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체(F)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건물을 복수의 계층으로 구획하는 수평 구조체 부분(Fh)과, 연직(鉛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의 수평 구조체 부분(Fh)을 서로 연결하는 연직 구조체 부분(Fv)을 구비하고 있다.
집합 주택의 하나의 거주 공간은, 수평 구조체 부분(Fh)을 구성하는 상하의 바닥 슬래브(1)와, 그것들 바닥 슬래브(1) 사이를 결합하는, 연직 구조체 부분(Fv)을 구성하는 벽식 구조체 벽(2)에 의해 구획된다. 서로 대향하는 벽식 구조체 벽(2)의 하부(바닥 슬래브(1)와의 결합부)에는, 단차부(3)가 각각 일체로 성형(형 틀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체를 성형할 때에 일체로 성형됨)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단차부(3)는 단면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대략 수평으로 된 상면(3u)과, 대략 연직으로 된 측면(3s)을 가지며, 그 상면(3u)은 후술하는 멍에 빔(BS)의 지지면을, 또한 그 측면(3s)은 후술하는 횡 지지 부재(ST)의 압압면(押壓面)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벽식 구조체 벽(2)의 하부의 단차부(3)의 상면(3u)간에는, 평행으로 병렬되는 복수의 멍에 빔(BS)의 양단부가, 뒤에 설명하는 지지 수단(H)을 통해서, 콘크리트 구조체(F)에 고정되는 일 없이 양쪽 지지 상태로 플로우팅 지지된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멍에 빔(BS)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부(10)와, 이 연직부(10)의 상하에 경사면을 통해서 일체로 접속되는, 단면(斷面)이 채널(channel) 형상의 상, 하단부(11, 12)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직부(10)에는, 길이 방향에 간격을 두어서 복수의 관통 구멍(13)이 뚫려 설치되어 있다.
콘크리트 구조체(F)의 멍에 빔(BS)의 지지부, 즉 벽식 구조체 벽(2)의 단차부(3)의 상면(3u) 상에는, 복수의 멍에 빔(BS)의 단부가 이하에 설명하는 지지 수단(H)에 의해 플로우팅 지지된다.
도 5에 명료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지지 수단(H)은, 피트(pit)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성형되는 아연도금 철판제의 지지판(36)과, 단면이 오목 형상의 방진 고무(37)와, 1쌍의 레벨(level) 조정 볼트(38)와, 그것들 레벨 조정 볼트(38)에 각각 나사로 끼워지는 1쌍의 로크 너트(locknut)(4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판(36)은, 좌우 양측에 대략 수평으로 늘어난 장출부(張出部)(36a)를 갖고, 이것들 장출부(36a)에는, 상기 레벨 조정 볼트(38)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 구멍이 뚫려 설치되는 동시에 그것들의 하면에 그 볼트 구멍과 동심(同心)으로, 레벨 조정 볼트(38)가 나사로 끼워지는 웰드 너트(weld nut)(39)가 용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36)의 오목부에는, 상기 방진 고무(37)가 다소의 죔 값을 가지고 자리 잡아 끼워 맞추어지며, 그 때에, 그것들은 일체로 접합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1쌍의 레벨 조정 볼트(38)는, 그 하단의 두부(頭部)(38a)의 하면에 원형의 착좌판(着座板)(40)이 각각 목 흔듦이 자유롭게 연결되며, 그 착좌판(40)의 하면에 원반 형상의 완충 고무(41)가 접착되어 있다.
이 바닥 지지 수단(H)을 이용하여, 멍에 빔(BS)을 단차부(3)의 상면(3u)에 지지하기 위해서는, 1쌍의 레벨 조정 볼트(38)의 수나사부(38b)를, 1쌍의 웰드 너트(39)에 나사로 끼우는 동시에 장출부(36a)를 관통시켜, 좌우 장출부(36a)로부터 돌출하는 수나사부(38b)의 자유단에, 로크 너트(42)를 나사로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지지판(36)은, 1쌍의 레벨 조정 볼트(38)에 의해 지지되며, 그것들 레벨 조정 볼트(38)의 착좌판(40)은, 완충 고무(41)를 통해서 단차부(3)의 상면(3u)에 착좌된다. 이 때, 레벨 조정 볼트(38)는, 단차부(3) 상에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1쌍의 레벨 조정 볼트(38)는, 단차부(3)의 상면(3u)에 대하여 자유스러운 가로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지지판(36)의 저면(底面)은, 단차부(3)와의 사이에 간극(間隙)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단차부(3)와 접촉하는 일이 없다. 지지판(36)의 오목부에는, 상기 방진 고무(37)가 고정되는 일 없이 꼭 끼워지며, 이 방진 고무(37) 상에, 멍에 빔(BS)의 하단부(12)가 고정되는 일 없이 지지된다.
바닥 지지 수단(H)을 구성하는 지지판(36), 1쌍의 레벨 조정 볼트(38), 1쌍의 로크 너트(42) 및 방진 고무(37)는, 모두 서로 고정되는 일이 없고, 그것들은 자유롭게 분리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멍에 빔(BS)의 양단면과, 벽식 구조체 벽(2)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열려져 있어서, 그것들 멍에 빔(BS)의 단면(端面)과, 콘크리트 구조체(F)와는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고, 멍에 빔(BS)에 가해지는 진동이 콘크리트 구조체(F)에 직접 전파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멍에 빔(BS)의 양단부에는, 본 발명에 관한 횡 지지 부재(ST)가, 그 멍에 빔(BS)의 길이 방향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착된다. 이 횡 지지 부재(ST)는, 부착부(20)와, 이 부착부(20)로부터 일체로 하향으로 연장되는 암부(21)로서 구성되어 있다. 부착부(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멍에 빔(BS)의 1측면에 연접되어 있으며, 그 멍에 빔(BS)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부착부(20)의, 멍에 빔(BS)의 연직부(10)와 대면하는 부분에는, 그 멍에 빔(BS)의 관통 구멍(13)에 일치하는 1쌍의 긴 구멍(23)이 가로 방향으로 뚫려 설치되며, 이것들 긴 구멍(23)과 상기 관통 구멍(13)을 관통한 부착 볼트(24)와, 이것에 나사로 결합되는 너트(25)에 의해, 횡 지지 부재(ST)의 부착부(20)는 멍에 빔(BS)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암부(21)는, 아래 쪽을 향해서 끝이 가늘어진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암부(21)의 자유단, 즉 하단에는, 압압 수단(P)이 설치된다. 이 압압 수단(P)은, 암부(21)의 하단에 멍에 빔(BS)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통과되는 조절 볼트(27)를 구비하고, 이 조절 볼트(27)에 나사로 결합되는 너트(28, 29)를 암부(21)의 전후면에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조절 볼트(27)는, 암부(21)의 하단에 고정된다. 조절 볼트(27)의 단차부(3) 측의 단부에는, 외단면(外端面)에 완충재(31)를 고정한 착좌판(30)이 설치된다. 너트(28, 29)를 늦춤으로써, 조절 볼트(27)를, 단차부(3)의 측면(3s)에 대하여 진퇴 조절할 수 있다.
각각의 횡 지지 부재(ST)의 암부(21)의 하단은, 압압 수단(P)에 의해 단차부 (3)의 측면(3s)에 꽉 눌러, 그 단차부(3)로부터의 압축 반력 o(도 7, 도 8 참조)를 받음으로써, 멍에 빔(BS)에는, 이것을 상향에 볼록 형상으로 휘게하는 방향의 굽힘 모멘트 m(도 7, 도 8 참조)이 부여되며, 이것에 의해, 멍에 빔(BS)는, 그 하면에 압축력을, 또한 그 상면에 인장력을 받는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렬되는 복수의 멍에 빔(BS) 상에는, 그것들과 교차해서 복수의 장선(長線)(6)이 올려져 설치되고, 그것들 장선(6) 상에 상판(7)이 부설된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주로 도 6∼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하는 데, 복수의 멍에 빔(BS)은, 지지 수단(H)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체(F)에 접촉하는 일 없이, 벽식 구조체 벽(2) 하부의 단차부(3) 상에 완충 고무(41)를 통해서 플로우팅 지지된다.
지금, 만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 지지 부재(ST)를 설치하지 않은 멍에 빔(BS)의 양단부를, 좌우의 단차부(3)의 상면(3u)에 지지 수단(H)을 통해서 양쪽 지지 상태로서 플로우팅 상태로 지지시켰을 경우를 상정(想定)하면, 프리 (free) 상태의 멍에 빔(BS)은, 그 자중에 의해 하향에 오목 형상으로 휘어져, 그 중앙부에 있어서, 그 휨량이 가장 크게 된다. 그리고, 멍에 빔(BS)의 상면에는,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력이 작용하고, 또한 그 하면에는, 화살표 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장력이 작용한다. 그런데, 이렇게 자중으로 휘어진 멍에 빔(BS) 상에, 장선(6)을 통해서 상판(7)을 부설하면, 멍에 빔(BS)은, 콘크리트 구조체(F)에 플로우팅 지지(동자 기둥에 의해 직접 지지되지 않음)되어서, 상판(7)에 걸린 충격 진동을 콘크리트 구조체(F)에 직접 전하는 일이 없으므로, 차음 성능에는 우수하지만, 그 반면, 멍에 빔(BS)은, 단차부(3)에 대하여 프리이기 때문에, 바닥 하중을 받았을 때 휨량이 한층 크게 되고, 거기에 기인해서 상판(7)의 변형을 크게 하여, 그 진동 장해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크게 된다고 하는 폐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폐해를 없애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멍에 빔(BS)의 양단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한, 상기 횡 지지 부재(ST)의 암부(21)의 하단을, 압압 수단(P)을 통해서 단차부(3)의 측면(3s)에 꽉 누른다. 이것에 의해, 횡 지지 부재(ST)는 콘크리트 구조체 (F)로부터 화살표 o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 반력(反力)을 받고, 멍에 빔(BS)의 양단부에 화살표 m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향의 굽힘 모멘트, 즉 멍에 빔(BS)의 자중에 의한 굽힘을 부정하는 방향의 굽힘 모멘트를 부여할 수 있어, 멍에 빔(BS)의 상면에는, 화살표 p'로 나타내는 인장력(도 6의 압축력 c를 부정하는 힘)을, 또한, 그 하면에는, 화살표 c'로 나타내는 압축력(도 6의 인장력 p를 부정하는 힘)을 부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멍에 빔(BS)은, 대략 수평으로 수정되는 상태로서, 단차부(3)에 플로우팅 지지될 수 있고, 멍에 빔(BS) 상에 장선(6)을 통해서 지지되는 상판(7)은, 고도의 차음 성능을 확보하면서 바닥 하중에 강하고, 휨 변형을 가급적으로 저감해서, 바닥의 진동 장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판(7) 상에, 피아노, 워터 베드(water bed), 유닛 배스(unit bath) 등의 중량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압 수단(P)에 의한 압압력(押壓力)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각의 횡 지지 부재(ST)의 하단을, 콘크리트 구조체(F)의 단차부(3)를 향해서 전진시킨다. 이것에 의해, 횡 지지 부재(ST)에 걸리는 콘크리트 구조체(F)로부터의 압축 반력 o가 증가해서, 멍에 빔(BS)의 양단부에 걸리는 굽힘 모멘트 m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 멍에 빔(BS)의 상면에 걸리는 인장력 p" 및 그 하면에 걸리는 압축력 c"가 증대한다. 그러나, 멍에 빔(BS)은, 거기에 가해지는 상기 굽힘 모멘트 m의 증가에 따라, 그 강성이 한층 높어지며, 그 결과, 인장에 강한 멍에 빔(BS)과, 압축에 강한 콘크리트 구조체(F)가 상승(相乘)해서, 상판(7)에 상기 큰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도, 멍에 빔(BS)의 휨을 최소한으로 하여, 상판(7)의 변형을 극력 억제할 수 있어, 바닥의 진동 장해가 발생하는 걱정이 없다.
이어서, 도 9, 도 10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멍에 빔의 콘크리트 구조체에의 지지부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10-10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면 중,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첨부된다.
이 제2실시예는, 횡 지지 부재(ST)의 구조가,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약간 상이하다. 횡 지지 부재(ST)는, 멍에 빔(BS)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측면 길이가, 상기 제1실시예의 것 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멍에 빔(BS)의 관통 구멍(13)에 일치하는 3개의 긴 구멍(23)이 줄지어 설치되어, 서로 일치하는 관통 구멍(13)과 긴 구멍(23)에는, 부착 볼트(24)가 각각 관통되며, 그것들 볼트 (24)에는 각각 너트(25)가 나사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게 너트(25)를 늦춤으로써, 횡 지지 부재(ST)를, 멍에 빔(BS)에 대하여 위치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너트(25)를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횡 지지 부재(ST)를 멍에 빔(BS)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제2실시예의 것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것에 비교해서 횡 지지 부재(ST)의 멍에 빔(BS)에 대한 고정이 한층 견고하며,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3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정량(正梁)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갖는 건물에 실시한 경우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구비한, 정량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종단면도이고, 도면 중,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첨부된다.
정량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체(F)는, 바닥 슬래브(1)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정량(NB)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정량(NB)의 바로 위에 구조체 벽(302)이 세워져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구조체 벽(302)의 하부에는, 멍에 빔(BS)의 지지부로 되는 단차부(303)가 일체로 성형된다. 서로 대향하는 단차부(303)의 상면에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게, 멍에 빔(BS)이, 상기 지지 수단(H)을 통해서 플로우팅 지지되며, 또한, 멍에 빔(BS)의 양단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횡 지지 부재(ST)의 자유단은, 압압 수단(P)을 통해서 단차부(303)의 측면에 꽉 눌려지게 된다.
그러나, 이 제3실시예의 것도 상기 제1, 제2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4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역량(逆梁)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갖는 건물에 실시한 경우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구비한, 역량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종단면도이고, 도면 중,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첨부된다.
역량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체(F)는, 바닥 슬래브(1)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역량(RB)을 구비하고 있어, 그 역량(RB)의 바로 위에 구조체 벽(402)이 세워 설치된다. 상기 역량(RB)은, 멍에 빔(BS)의 지지부를 직접 구성하는 것이며, 서로 대향하는 역량(RB)의 상면에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게, 멍에 빔(BS)이, 상기 지지 수단(H)을 통해서 플로우팅 지지되며, 또한, 멍에 빔(BS)의 양단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횡 지지 부재(ST)의 자유단, 즉 하단은, 압압 수단(P)을 통해서 역량(RB)의 측면에 꽉 눌려진다.
그리고, 이 제4실시예의 것도, 상기 제1실시예∼제3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제4실시예의 것은, 역량(RB)을 직접 멍에 빔(BS)의 지지부로 할 수 있어, 상기 제1실시예∼제3실시예의 것과 같은 단차부(3, 303)를 특별히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어서, 도 13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5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단독 목조 주택에 실시한 경우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구비한, 단독 목조 주택의 기초 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면 중,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첨부된다.
목조 단독 주택의 수평 기초(CF) 상에는, 완충재(501)를 통해서 멍에 빔(BS)이 양쪽 지지 상태로 플로우팅 지지된다. 멍에 빔(BS)의 양단부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횡 지지 부재(ST)의 하단은, 압압 수단(P)을 통해서 수평 기초(CF)의 측면에 꽉 눌려진다.
또한, 도 13 중, 502는 수평 기초(CF) 상에 고정되는 토대(土臺), 503은 토대(502)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기둥이다.
그러나, 이 제5실시예의 것도, 상기 제1실시예∼제4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이어서, 도 14∼도 16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6실시예는, 상기 제5실시예와 동일하게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단독 목조 주택에 실시한 경우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구비한, 단독 목조 주택의 기초 부분의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15-15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16-16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면 중, 상기 제5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첨부된다.
목조 단독 주택의 수평 기초(CF) 상에는, 완충재(501)를 통해서 집성재(集成材)로서 이루어지는 목제의 멍에 빔(BS)이 양쪽 지지 상태로 플로우팅 지지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제의 멍에 빔(BS) 단부의, 평단면 명치 형상의 볼록부(ma)는, 수평 기초(CF) 상의 토대(502)의 개미 홈 형상의 오목부(fe)에 끼워 맞추어져서, 멍에 빔(BS)의 양단(兩端)은, 토대(502)에 연결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제의 멍에 빔(BS)은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그 양단부에 횡 지지 부재(ST)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부착된다. 횡 지지 부재(ST)의 부착부(20)는, 단면이 앵글(angle)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목제의 멍에 빔(BS)의 측면 및 저면에 연접된다. 부착부(20)에는, 1쌍의 긴 구멍(23)이 뚫려 설치되어, 목제의 멍에 빔(BS)과, 이것들 긴 구멍(23)을 관통한 2개의 부착 볼트(24)와, 이것에 나사로 결합되는 너트(25)에 의해, 횡 지지 부재(ST)는, 목제의 멍에 빔(BS)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 횡 지지 부재(ST)의 암부(21)는, 압압 수단(P)을 통해서 수평 기초(CF)의 측면에 꽉 눌려진다.
그러나, 이 제6실시예의 것도, 상기 제1실시예∼제4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이어서, 도 17∼도 20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7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멍에 빔의 중간부를 보강 부재로써 보강한 경우이며, 도 17은, 바닥 지지 구조의 전체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18-18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19-19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20-20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면 중,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첨부된다.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복수 개의 멍에 빔(BS)의 양단은 지지 수단(H)을 통해서 벽식 구조체 벽(2) 하부의 단차부(3) 상에 플로우팅 지지되며, 또한, 멍에 빔(BS)의 양단부에 부착되는 횡 지지 부재(ST)의 하단은, 압압 수단(P)에 의해 단차부(3)의 측면에 꽉 눌려진다.
이 제7실시예는, 각각의 멍에 빔(BS)의 중간부를, 보강 부재(R) 및 연결 금구(J)로써 보강하여, 멍에 빔(BS)의 강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멍에 빔(BS)의 중간부는, 그 양측에서 연결 금구(J)에 의해 클램프(clamp)된다. 연결 금구(J)의 좌우 1쌍의 클램프 반체(半體)(710)는, 각각 멍에 빔(BS)의 측면 형상을 따르도록 단면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들 클램프 반체 (710)의 중간부에는 횡 방향의 긴 구멍(711)이 각각 뚫려 설치되어 있다. 좌우 1쌍의 클램프 반체(710)에 의해 멍에 빔(BS)의 연직부(10)를 그 양측으로부터 클램프하고, 좌우 클램프 반체(710)의 긴 구멍(711)과, 멍에 빔(BS)의 중간부에 뚫어 설치한 관통 구멍(13)을 일치시킨 뒤, 그것들 구멍을 통과시켜서 볼트·너트(726)에 의해, 멍에 빔(BS)의 중간부에, 연결 금구(J)의 좌우 클램프 반체(710)가 고정된다. 좌우 클램프 반체(710, 710)의 외면(外面)에는, 쌍을 이루는 보강 부재 받이 (712)가 각각 용접된다. 각각의 보강 부재 받이(712)에는, 멍에 빔(BS)에 대하여 교차해서 배열 설치되는 보강 빔(R)의 단부가 각각 지지되어, 볼트·너트(728)에 의해 고정된다. 보강 부재(R) 및 연결 금구(J) 상에는, 장선(6)이 부설된다.
이상과 같이, 이 제7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멍에 빔(BS)의 중간부에, 이것과 교차하는 보강 부재(R)가 연결 금구(J)를 통해서 고정되므로, 멍에 빔(BS) 자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서, 상기 횡 지지 부재(ST) 및 지지 수단(H)과 협동해서, 바닥의 진동 장해의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 상에 플로우팅 지지되는 멍에 빔에, 그 멍에 빔이 윗쪽을 향해서 볼록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방향의 굽힘 모멘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바닥은, 고도의 차음 성능을 확보하면서 바닥에 걸리는 하중에 대한 휨 변형을 가급적으로 저감해서 바닥의 진동 장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멍에 빔의 중간부를 보강 부재로써 보강하므로, 멍에 빔 자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멍에 빔은, 굽힘 모멘트의 부여와 상승해서, 바닥의 진동 장해의 방지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횡 지지 부재의 부착부는, 멍에 빔의 길이 방향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멍에 빔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의 가감 조정을 간단히 실행할 수 있어, 바닥 하중에 대응한 바닥의 강성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횡 지지 부재의 암부의 자유단에 설치되는 압압 부재는, 멍에 빔의 지지부의 측면에 대하여 진퇴 조절 가능하므로, 멍에 빔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의 미세 조정을 할 수 있고, 바닥 하중에 대응한 바닥의 강성 조정을 더욱 섬세하고 치밀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바닥 지지 구조의 전체 사시도(제1실시예).
도 2는 도 1의 2-2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제1실시예).
도 3은 도 2의 3 화살표로 본 가상선 주위 부분의 확대도(제1실시예).
도 4는 도 3의 4-4선에 따르는 단면도(제1실시예).
도 5는 도 3의 5-5선에 따르는 단면도(제1실시예).
도 6은 작용 설명도(제1실시예).
도 7은 작용 설명도(제1실시예).
도 8은 작용 설명도(제1실시예).
도 9는 멍에 빔의 콘크리트 구조체에의 지지부의 측면도(제2실시예).
도 10은 도 9의 10-10선에 따르는 단면도(제2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구비한, 정량(正梁)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종단면도(제3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구비한, 역량(逆梁)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종단면도(제4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구비한, 단독 목조 주택의 기초 부분의 종단면도(제5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바닥 지지 구조를 구비한, 단독 목조 주택의 기초 부분의 종단면도(제6실시예).
도 15는 도 14의 15-15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제6실시예).
도 16은 도 14의 16-16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제6실시예).
도 17은 바닥 지지 구조의 전체 사시도(제7실시예).
도 18은 도 17의 18-18선에 따르는 단면도(제7실시예).
도 19는 도 17의 19-19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제7실시예).
도 20은 도 19의 20-20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제7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부착부 21: 암(arm)부
31: 완충재 BS: 멍에 빔
F: 구조체(콘크리트 구조체) ST: 횡 지지 부재
P: 압압 수단 CF: 수평 기초
J: 연결 금구(金具) R: 보강 부재

Claims (5)

  1. 구조체(F)에 간극(間隙)을 두어서 대향 설치되는 지지부의 상면(上面)에, 멍에 빔(BS)을 고정하는 일 없이 교가(橋架) 지지하고, 그 멍에 빔(BS) 상에 상판(床板)(7)을 부설(敷設)해서 이루어지는,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멍에 빔(BS)의 양단부(兩端部)에 횡 지지 부재(ST)를 각각 설치하고, 이 횡 지지 부재(ST)는, 멍에 빔(BS)에 고정되는 부착부(20)와, 이 부착부(20)에 일체로 설치되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암(arm)부(21)를 구비하고, 이 암부(21)의 자유단에 압압(押壓) 수단(P)을 설치하여, 그 압압 수단(P)의 단부(端部)를 완충재 (緩衝材)(31)를 통해서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꽉 누름으로써, 상기 멍에 빔(BS)에, 그 멍에 빔(BS)이 윗쪽을 향해서 볼록 형상으로 휘어질수 있는 방향의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2. 목조 건물의 수평 기초(CF)에 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되는 지지부의 상면에, 멍에 빔(BS)을 교가 지지하고, 그 멍에 빔(BS) 상에 상판(7)을 부설해서 이루어지는,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멍에 빔(BS)의 양단부에 횡 지지 부재(ST)를 각각 설치하고, 이 횡 지지 부재(ST)는, 멍에 빔(BS)에 고정되는 부착부(20)와, 이 부착부(20)에 일체로 설치되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암부(21)를 구비하고, 이 암부(21)의 자유단에 압압 수단(P)을 설치하여, 그 압압 수단(P)의 단부를 완충재(31)를 통해서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꽉 누름으로써, 상기 멍에 빔(BS)에, 그 멍에 빔(BS)이 윗쪽을 향해서 볼록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방향의 굽힘 모멘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멍에 빔(BS)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그것들 멍에 빔(BS)과 교차하는 복수의 보강 부재(R)를 직렬로서 배치하여, 각각의 보강 부재(R)의 양단부와, 그 양단부에 대향하는 멍에 빔(BS)의 측면간을 연결 금구(金具)(J)로써 일체로 결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 지지 부재(ST)의 부착부 (20)는, 멍에 빔(S)의 길이 방향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 지지 부재(ST)의 암부 (21)의 자유단(自由端)에 설치되는 상기 압압 수단(P)은,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대하여 진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KR1020040012231A 2004-01-22 2004-02-24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KR200500767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4193A JP2005207097A (ja) 2004-01-22 2004-01-22 建物の床支持構造
JPJP-P-2004-00014193 2004-0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729A true KR20050076729A (ko) 2005-07-27

Family

ID=3487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231A KR20050076729A (ko) 2004-01-22 2004-02-24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207097A (ko)
KR (1) KR20050076729A (ko)
CN (1) CN1644842A (ko)
TW (1) TWI2400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0272B (zh) * 2013-12-18 2016-03-02 安徽森泰塑木新材料有限公司 新型集成房屋防水梁与地板连接结构
JP6386879B2 (ja) * 2014-11-04 2018-09-05 Ykk Ap株式会社 デッキ支持材、デッキおよびデッキ施工方法
JP2018109306A (ja) * 2017-01-04 2018-07-12 独立行政法人都市再生機構 二重床構造
CN108612284A (zh) * 2018-05-15 2018-10-02 重庆互邦莱装配式建筑工程有限公司 架空钢架及其安装方法
CN110067360B (zh) * 2019-03-25 2021-02-09 丰屋科技(深圳)有限公司 架空可调节地坪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07097A (ja) 2005-08-04
TWI240036B (en) 2005-09-21
TW200525068A (en) 2005-08-01
CN1644842A (zh) 200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490B1 (ko)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JP4517950B2 (ja) スラブパネル及び床構造
KR20050076729A (ko)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KR100887742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의 제작방법
JPH09221852A (ja) 建物の制振装置
KR20150016009A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구조물
KR100559764B1 (ko) 아치리브가 부착된 스틸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40106861A (ko) 파일과 조립주형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시공방법
CN214835224U (zh) 一种具有抗震的装配式建筑结构
KR101259247B1 (ko) 댐핑형 구조물
KR102385827B1 (ko) 하중전이 방지형 방음벽
KR20050049303A (ko)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KR200346336Y1 (ko) 건축물용 방음패널 어셈블리
JP6925114B2 (ja) 接続構造
JP3457065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支持構造
CN216552609U (zh) 一种装配式预制混凝土叠合板
KR102319576B1 (ko) 건축물용 내진보강구조
JP2022149708A (ja) 床スラブ補強構造
JP7492899B2 (ja) 制振建物
JPH06272217A (ja) 橋梁用支承体
CN211646708U (zh) 一种新型预制装配式钢筋混凝土梁柱节点构造
CN215802305U (zh) 一种楼体墙板与楼层板连接结构
JP3184482B2 (ja) 防振床構造
KR102003286B1 (ko) 보와 기둥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와이드 합성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