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773A -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호 처리 방법 및 그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호 처리 방법 및 그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773A
KR20050074773A KR1020040002662A KR20040002662A KR20050074773A KR 20050074773 A KR20050074773 A KR 20050074773A KR 1020040002662 A KR1020040002662 A KR 1020040002662A KR 20040002662 A KR20040002662 A KR 20040002662A KR 20050074773 A KR20050074773 A KR 20050074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ke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5937B1 (ko
Inventor
박재선
김홍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937B1/ko
Priority to US10/929,259 priority patent/US7729723B2/en
Priority to CNB2004100881176A priority patent/CN100373970C/zh
Priority to CN2007101811691A priority patent/CN101132587B/zh
Publication of KR2005007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937B1/ko
Priority to US11/954,581 priority patent/US7899490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 및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 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와 상기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간의 전환을 위한 통화 전환키 및 상기 이동통신시스템들로부터의 호들을 종료하기 위한 통화 종료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일반 통화 모드 중에 현재 통화를 연결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아닌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착신되는 호가 있는 지를 판단하고,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호가 착신되었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 전환키가 눌러지면 현재 연결된 통화 채널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다른 호에 대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통화 환경을 마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호 처리 방법 및 그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METHOD FOR PROCESSING CALL IN 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기식과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세계적으로 보급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은 현재 유럽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GSM 이동통신시스템과 북미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CDMA 이동통신시스템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CDMA 이동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식은 동기식이고 GSM 이동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식은 비동기식이다. 동기식은 미국의 GPS 위성을 이용해 송신측과 수신측의 시간대를 맞추는 방식이고, 비동기식은 특별한 칩이나 소프트웨어를 통해 동기화를 이루는 방식이다.
한편, 어떤 지역에서는 동기식 CDMA 이동통신시스템과 비동기식 GSM 이동통신시스템이 모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런 동기식 CDMA 이동통신시스템과 GSM 이동통신시스템이 중첩된 지역에서는 사용자는 CDMA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으면 CDMA 단말기를 구비하여야 하고, GSM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으면 GSM 단말기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최근 동기식 CDMA 이동통신시스템과 비동기 GSM 이동통신시스템에 모두 접속 가능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듀얼 모드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동기식 통신 모드와 비동기식 통신 모드중 하나의 모드에서 동작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기식 통신 모드와 비동기식 통신 통신 모드간의 전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CDMA 이동통신시스템 및 GSM 이동통신시스템에 모두 접속하여 동기식 통신 모드와 비동기식 통신 모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도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동기식 통신 모드와 비동기식 통신 모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CDMA 이동통신시스템 및 GSM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한번에 호 착신하는 경우의 제어에 대한 어떠한 기술 또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호 처리 방법 및 그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 및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 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와 상기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간의 전환을 위한 통화 전환키 및 상기 이동통신시스템들로부터의 호들을 종료하기 위한 통화 종료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일반 통화 모드 중에 현재 통화를 연결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아닌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착신되는 호가 있는 지를 판단하고,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호가 착신되었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 전환키가 눌러지면 현재 연결된 통화 채널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다른 호에 대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통화 환경을 마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시스템들의 서비스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10)과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20)이 커버하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과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 동시에 접속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10)과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20)으로부터 호를 착신할 수 있다. 또한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10)과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20)으로부터 동시에 문자 메시지, 정보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듀얼 모드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을 선택하여 호 발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동기식 CDMA 이동통신시스템 또는 비동기식 GSM 이동통신시스템중 어느 하나로부터 호 착신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동기식 CDMA 이동통신시스템 또는 비동기식 GSM 이동통신시스템중 다른 하나로부터 호 착신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린다. 그러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통화 종료키 또는 통화 전환키를 누를 수 있다. 통화 종료키는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를 종료하기 위한 통화 종료키와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를 종료하기 위한 통화 종료키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전환키는 사용자에게 현재 통화중인 호를 보류하고 착신된 호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듀얼 모드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통화 종료키가 눌러지는 지 또는 통화 전환키가 눌러지는 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에 응답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듀얼 모드 단말기(100)는 통화 종료키가 눌러지면 눌러진 통화 종료키에 대응하는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를 종료하고 해당 이동통신시스템으로 호 종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는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통화 전환키가 눌러지면 현재 연결된 통화 채널을 유지하면서 통화를 위한 스피커와 마이크를 제어하여 다른 호와의 통화 환경을 마련한다. 이러한 듀얼모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제1 및 제2 스위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동기식 CDMA부(2), 비동기식 GSM부(4), 제어부(30), 표시부(40) 및 키입력부(42)를 포함한다. 또한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마이크(50) 및 스피커(60)와 이들 마이크(50) 및 스피커(60)에 연결된 제1 및 제2 스위치(52,62)를 포함한다. 이 제1 및 제2 스위치(52,62)는 제어부(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동기식 CDMA부(2) 및 비동기식 GSM부(4)는 제어부(30)에 의해 그 동작이 전반적으로 제어된다. 동기식 CDMA부(2)는 CDMA 안테나(11), 송수신 분리부(12), 수신부(14), 송신부(16) 및 CDMA 모뎀부(18)를 포함한다. CDMA 안테나(11)는 동기식 CDMA 이동통신망(10)에 대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며, CDMA 이동통신망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에 민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CDMA 안테나(11)를 통해 CDMA 이동통신망(10)으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신호는 CDMA부(2)의 송수신 분리부(12)에 입력된다. CDMA부(2)의 송수신 분리부(12)는 CDMA 안테나(11)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수신부(14)로 출력한다. 그리고 송수신 분리부(12)는 CDMA 모뎀부(18)로부터 송신부(16)를 통해 송신 신호가 입력되면, 송신 신호를 CDMA 안테나(11)로 출력한다. 송신부(16)는 CDMA 모뎀부(18)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에 실어 송수신 분리부(14) 및 CDMA 안테나(11)를 통해 송신한다. 그리고 수신부(14)는 CDMA 안테나(11)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송수신 분리부(14)를 통해 입력받아 중간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 및 데이터로 복조하여 CDMA 모뎀부(18)로 출력한다. CDMA 모뎀부(18)는 마이크(5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부(14)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GSM 안테나(21)는 비동기식 GSM 이동통신망(20)에 대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며, GSM 이동통신망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에 민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GSM 안테나(21)를 통해 GSM 이동통신망(20)으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신호는 GSM부(4)의 스위치(22)에 입력된다. GSM부(4)의 스위치(22)는 GSM 안테나(21)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수신부(24)로 출력한다. 그리고 스위치(22)는 GSM 모뎀부(28)로부터 송신부(26)를 통해 송신 신호가 입력되면, 송신 신호를 GSM 안테나(21)로 출력한다. GSM의 듀플렉스 방식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므로 업링크(uplink) 및 다운링크(downlink)로 할당되는 채널은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존재한다. 그리고 단말기와 기지국은 서로 일정한 타임 슬롯의 시간차를 두고 서로 송수신이 이루어지므로 단말기의 입장에서 보면 송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GSM 단말기에서는 송신 동작시 수신부는 동작하지 않으며 수신시 송신부는 동작하지 않는다. 스위치(22)는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송신시 송신부(26)의 출력을 GSM 안테나(21)에 연결한다. 그리고 스위치(22)는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수신시에는 GSM 안테나(21)를 수신부(26)의 입력에 연결한다.
송신부(26)는 GSM 모뎀부(28)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에 실어 스위치(22) 및 GSM 안테나(21)를 통해 송신한다. 그리고 수신부(24)는 GSM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스위치(24)를 통해 입력받아 중간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 및 데이터로 복조하여 GSM 모뎀부(28)로 출력한다. GSM 모뎀부(28)는 마이크(5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부(24)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60)를 통해 출력한다. 표시부(40)는 통상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이며,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아이콘 등을 표시한다. 키입력부(42)는 숫자키 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30)에 제공한다. 그리고 키입력부(42)는 본 발명에 따라 통화 전환키,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를 종료하기 위한 통화 종료키 및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를 종료하기 위한 통화 종료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서 CDMA 안테나(11)와 GSM 안테나(21)은 하나의 안테나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동기식 CDMA부(2) 및 비동기식 GSM부(4)에 연결되어 동기식 CDMA부(2) 및 비동기식 GSM부(4)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즉 동기식 CDMA부(2) 및 비동기식 GSM부(4)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동기식 CDMA부(2) 또는 비동기식 GSM부(4)를 통해 호가 착신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착신호에 응답하면 마이크(50) 및 스피커(60)에 연결된 제1 및 제2 스위치(52,62)를 제어하여 마이크(50) 및 스피커(60)를 호가 착신된 동기식 CDMA부(2) 또는 비동기식 GSM부(4)에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3a을 참조하면, 제어부(30)는 마이크 제어 신호를 제1 스위치(52)에 인가함으로써 마이크(50)가 CDMA 모뎀부(18)와 GSM 모뎀부(28)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스피커 제어 신호를 제2 스위치(62)에 인가함으로써 스피커(60)가 CDMA 모뎀부(18)와 GSM 모뎀부(28)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사용자가 동기식 CDMA부(2) 또는 비동기식 GSM부(4)중 어느 하나를 통해 하나의 이동통신시스템과 연결되어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다른 하나의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호가 착신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 때, 제어부(30)는 호가 착신되었음을 표시부상(40)에 소정의 메시지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경고음이나 알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통화 종료키가 눌러지는 지 또는 통화 전환키가 눌러지는 지를 판단한다. 통화 종료키가 눌러졌으면 제어부(30)는 눌러진 통화 종료키에 대응하는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를 종료하고 해당 이동통신시스템으로 호 종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제1 및 제2 스위치(52,62)를 제어하여 마이크(50) 및 스피커(60)를 호가 유지되고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모뎀부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통화 전환키가 눌러졌으면 제어부(30)는 현재 연결된 통화 채널을 유지하면서 현재 통화를 위해 하나의 모뎀부에 연결되어 있었던 스피커(50)와 마이크(60)를 다른 모뎀부에 연결되도록 제1 및 제2 스위치(52,62)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다른 호에 대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의 호 처리를 위한 제어 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호 처리를 위한 제어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호 처리시 발생하는 표시부 상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듀얼모드 단말기의 제어부(30)는 단계 210에서 일반 통화 모드에 있다. 일반 통화 모드는 듀얼모드 단말기가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 및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착신 호에 응답하여 일반적인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제어부(30)는 이와 같은 일반 통화 모드 중에 현재 통화를연결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아닌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착신되는 호가 있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착신 호가 없으면 제어부(30)는 일반 통화 모드를 수행한다. 그러나,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호가 착신되었으면 제어부(30)는 단계 230으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통화중 호 이외의 다른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린다. 예컨대, 제어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를 통해 현재 통화중 호 이외의 다른 호가 착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다시 말해 제어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이 아닌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착신되는 호에 관한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착신된 호의 전화번호, 착신된 시간이 호 착신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42)를 통한 키입력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 사용자에 의한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30)는 단계 250으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가 통화 전환키인지 또는 통화 종료키인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통화 전환키(310),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를 종료하기 위한 키(320) 및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를 종료하기 위한 키(330)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원하는 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와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를 모두 유지하면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통화 전환키를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동기식 및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들중 하나를 종료하고 일반 통화 모드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2개의 통화 종료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도 5에서는 각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를 각각 종료하기 위한 키들이 모두 구현되어 있지만, 다르게는 하나의 통화 종료키만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사용자에 의해 통화 종료키가 눌러졌으면 현재 제1 및 제2 스위치(52,62)에 의해 마이크(50)와 스피커(60)가 연결된 이동통신시스템의 모뎀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통화를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사용자에 의해 통화 종료키가 눌러졌으면 단계 270으로 진행하여 눌러진 통화 종료키에 대응하는 이동통신시스템으로 호 종료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호를 종료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단계 280으로 진행하여 종료되지 않은 호의 통화를 위한 통화 환경을 마련한다. 즉, 제어부(30)는 제1 및 제2 스위치(52,62)를 제어하여 마이크(50) 및 스피커(60)를 호가 유지되고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모뎀부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단계 210으로 진행하여 일반 통화 모드로 동작한다.
만약 통화 전환키가 눌러졌으면 제어부(30)는 단계 260으로 진행하여 현재 연결된 통화 채널을 유지하면서 현재 통화를 위해 하나의 모뎀부에 연결되어 있었던 스피커(50)와 마이크(60)를 다른 모뎀부에 연결되도록 제1 및 제2 스위치(52,62)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다른 호에 대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단계 240으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한 바에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에 의하면 사용자는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과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를 모두 수신하고 또한, 동시에 상이한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호가 착신된 경우에도 2개의 호에 응답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시스템들의 서비스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된 제1 및 제2 스위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호 처리를 위한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호 처리시 발생하는 표시부 상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

Claims (6)

  1.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 및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 접속 가능한 듀얼 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와 상기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간의 전환을 위한 통화 전환키 및 상기 이동통신시스템들로부터의 호들을 종료하기 위한 통화 종료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일반 통화 모드 중에 현재 통화를 연결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아닌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착신되는 호가 있는 지를 판단하고,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호가 착신되었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 전환키가 눌러지면 현재 연결된 통화 채널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다른 호에 대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통화 환경을 마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종료키가 눌러지면 상기 눌러진 통화 종료키에 대응하는 이동통신시스템으로 호 종료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호를 종료하고 종료되지 않은 호의 통화를 위한 통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을 위한 제1 모뎀부 및 상기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을 위한 제2 모뎀부와,
    마이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모뎀부와 제2 모뎀부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 및 스피커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모뎀부와 제2 모뎀부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를 제어하여 마이크 및 스피커를 종료되지 않은 호의 이동통신시스템의 모뎀부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통화중 호 이외의 다른 호가 착신되었음을 표시부 상에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5.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 및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와 상기 비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호간의 전환을 위한 통화 전환키 및 상기 이동통신시스템들로부터의 호들을 종료하기 위한 통화 종료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를 갖는 듀얼 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일반 통화 모드 중에 현재 통화를 연결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아닌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착신되는 호가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으로부터 호가 착신되었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 전환키가 눌러지면 현재 연결된 통화 채널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다른 호에 대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통화 환경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종료키가 눌러지면 상기 눌러진 통화 종료키에 대응하는 이동통신시스템으로 호 종료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호를 종료하고 종료되지 않은 호의 통화를 위한 통화 환경을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02662A 2004-01-14 2004-01-14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호 처리 방법 및 그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662A KR100605937B1 (ko) 2004-01-14 2004-01-14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호 처리 방법 및 그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US10/929,259 US7729723B2 (en) 2004-01-14 2004-08-30 Call control method for dual-mode mobile terminals and a dual-mode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B2004100881176A CN100373970C (zh) 2004-01-14 2004-10-15 在双模式移动终端中控制呼叫的装置和方法
CN2007101811691A CN101132587B (zh) 2004-01-14 2004-10-15 双模式移动终端及其呼叫处理方法
US11/954,581 US7899490B2 (en) 2004-01-14 2007-12-12 Call control method for dual-mode mobile terminals and a dual-mode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662A KR100605937B1 (ko) 2004-01-14 2004-01-14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호 처리 방법 및 그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773A true KR20050074773A (ko) 2005-07-19
KR100605937B1 KR100605937B1 (ko) 2006-08-01

Family

ID=3473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662A KR100605937B1 (ko) 2004-01-14 2004-01-14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호 처리 방법 및 그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729723B2 (ko)
KR (1) KR100605937B1 (ko)
CN (2) CN10037397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86A2 (en) * 2009-08-24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dual mod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0414B2 (ja) * 2004-09-09 2011-01-2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869406B2 (en) * 2005-01-04 2011-01-11 Sk Telecom Co., Ltd.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20060205392A1 (en) * 2005-03-08 2006-09-1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ultiple calls to provide feature support in a handoff environment
CN100385982C (zh) * 2005-07-22 2008-04-30 杭州斯达康通讯有限公司 双模通信终端及其控制方法
US7751850B2 (en) 2005-09-01 2010-07-06 Broadcom Corporation Single chip multimode baseband processing circuitry with a shared radio interface
CN1809195A (zh) * 2005-09-12 2006-07-2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多模终端的多通信网络呼叫处理方法
CN100446599C (zh) * 2005-09-16 2008-1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双模手机语音来电管理系统及方法
US20070117588A1 (en) * 2005-11-23 2007-05-24 Motorola, Inc. Rejection of a call received over a first network while on a call over a second network
US7558590B2 (en) * 2005-11-25 2009-07-07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party calling using a dual mode phone with private call
US7486645B2 (en) * 2005-12-09 2009-02-03 Alcatel-Lucent Usa Inc. Obtaining data rates for mobile stations based on a forward link of a cellular system
CN1984399B (zh) * 2005-12-12 2010-12-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根据cdma2000寻呼消息向HRPD网络切换的终端
CN100446585C (zh) * 2006-07-04 2008-12-24 北京航空航天大学 基于短信的分布式信息发布系统
KR100765484B1 (ko) * 2006-08-29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 통신 단말의 시스템 접속 방법 및 장치
US20080161076A1 (en) * 2006-12-20 2008-07-03 Lg Electronics Inc. Case for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CN101094527B (zh) * 2007-07-24 2010-1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模终端的呼叫等待处理方法及系统
CN101141741B (zh) * 2007-10-09 2010-1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双模终端的网络切换方法和系统
JP2010098366A (ja) * 2008-10-14 2010-04-30 Panasonic Corp 無線端末装置及び通信品質表示方法
TW201038091A (en) * 2009-04-07 2010-10-16 Inventec Appliances Corp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mplified group meeting
KR101544373B1 (ko) * 2009-05-18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개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통신 시스템 접속 방법
CN101640949B (zh) * 2009-06-29 2012-07-2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多天线无线收发装置
CN101854574A (zh) * 2010-04-28 2010-10-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双模双待移动终端中的麦克风电路及其实现方法
US8666341B2 (en) * 2010-10-22 2014-03-04 Ultra Electronics Tcs Inc. Multi-mode communication unit
JP5822765B2 (ja) * 2012-03-19 2015-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CN103582182B (zh) * 2012-08-10 2018-07-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双模双待移动终端及其双通实现方法
CN103685769A (zh) * 2012-09-20 2014-03-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同时进行多条通话的方法和通信装置
US20150249903A1 (en) * 2012-09-28 2015-09-03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transfer control method
US9906637B2 (en) * 2012-12-27 2018-02-27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terminal device
US9686324B2 (en) * 2013-03-25 2017-06-20 Kir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s between mobile devices
CN103581438A (zh) * 2013-10-21 2014-02-12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切换双通电话状态的方法及终端
EP3579443A1 (en) * 2018-06-07 2019-12-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hicle,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mmunicating in multiple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9230A (en) * 1988-09-23 1991-01-29 Motorola, Inc. Cellular cordless telephone
JPH09233555A (ja) * 1996-02-27 1997-09-05 Nec Corp 共用電話装置
US7321783B2 (en) * 1997-04-25 2008-01-22 Minerva Industries, Inc. Mobile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6526039B1 (en) * 1998-02-12 2003-02-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timing of base stations in an asynchronous CDM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0293997B1 (ko) * 1998-08-10 2001-07-12 윤종용 무선단말기의상태표시방법
US6321097B1 (en) * 1998-10-26 2001-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modes in a dual mode cellular phone
US6567666B2 (en) * 1998-12-02 2003-05-20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 Corp. Forward link inter-generation soft handoff between 2G and 3G CDMA systems
JP2002538699A (ja) * 1999-02-26 2002-11-12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非同期cdma基地局と同期cdma基地局とのハンドオフ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3630629B2 (ja) * 1999-10-28 2005-03-16 ユーティースターコム コリア リミテッド 非同期移動通信システム
US6704581B1 (en) * 1999-11-13 2004-03-09 Hyundai Electronics Industry Co.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between asynchronous base station and synchronous base station
JP2001156707A (ja) * 1999-12-01 2001-06-08 Toshiba Corp 移動通信装置
KR100602023B1 (ko) * 2000-01-22 2006-07-20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롱 코드 스테이트 정보전송방법
US7113384B2 (en) * 2000-01-27 2006-09-26 Vssl Commercial, Inc. Dynamic degaussing system
US7023987B1 (en) * 2000-05-04 2006-04-04 Televo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a phone for use in network voice operations
JP2001326975A (ja) * 2000-05-17 2001-11-22 Nec Corp 携帯電話機
KR100392643B1 (ko) * 2000-12-07 2003-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핸드오프 결정지원 방법
US7295536B2 (en) * 2001-01-04 2007-11-13 Ericss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oft handoff and other diversity communication using base stations supporting common radio configurations
WO2003043358A1 (en) * 2001-11-09 2003-05-22 Spatial Wireles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services using an access network and a core network based on different technologies
KR100810332B1 (ko) * 2002-12-05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이동통신시스템들 사이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CN1310531C (zh) 2003-09-30 2007-04-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听多呼叫的方法
JP2005269394A (ja) * 2004-03-19 2005-09-29 Nec Corp 移動体通信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5277455A (ja) 2004-03-22 2005-10-06 Oki Electric Ind Co Ltd 異種網通信装置、発信元認識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5303760A (ja) 2004-04-14 2005-10-27 Oki Electric Ind Co Ltd 異種網回線通信装置及び記録媒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86A2 (en) * 2009-08-24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dual mode terminal
WO2011025186A3 (en) * 2009-08-24 2011-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dual mode terminal
US8942279B2 (en) 2009-08-24 2015-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dual mod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90605A1 (en) 2008-04-17
CN101132587B (zh) 2011-06-22
US7899490B2 (en) 2011-03-01
US7729723B2 (en) 2010-06-01
US20050153733A1 (en) 2005-07-14
KR100605937B1 (ko) 2006-08-01
CN1642329A (zh) 2005-07-20
CN100373970C (zh) 2008-03-05
CN101132587A (zh)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937B1 (ko)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호 처리 방법 및 그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40364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 서비스 제공 여부를 사용자에게알리는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WO20060496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n emergency call
JP2000023253A (ja) マルチモード移動無線装置及びマルチモード無線装置、並びにマルチモード移動無線装置及びマルチモード無線装置における着信通知方法
KR10028295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00557104B1 (ko)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060496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n emergency call
JP3533353B2 (ja) Phs向けの移動局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
JP3033407B2 (ja) 移動体間の通話システム
JP3839582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待ち受け処理方式
US5978683A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JPH1042360A (ja) 高速無線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00611118B1 (ko)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539872B1 (ko)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JP2003219449A (ja) 移動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通信ネットワーク、通信制御装置及び移動局
JPH11261720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通信方法
KR101240270B1 (ko) 듀얼모드 단말기 및 그의 모니터링 방법
JP2984605B2 (ja) 携帯無線電話システム
KR1009536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자 응답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JPH11355846A (ja) パーソナルハンディホンシステム
KR2002006996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대기 호 수신 제한방법
KR2002005321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모드시 음성메시지 송출방법
KR200600772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투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JP2002141847A (ja) 衛星通信システム
JPH09261737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および通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