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300A - 산소부화기 - Google Patents

산소부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300A
KR20050074300A KR1020050002035A KR20050002035A KR20050074300A KR 20050074300 A KR20050074300 A KR 20050074300A KR 1020050002035 A KR1020050002035 A KR 1020050002035A KR 20050002035 A KR20050002035 A KR 20050002035A KR 20050074300 A KR20050074300 A KR 20050074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main body
incubator
secondary battery
oxygen enri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다도시유키
오시마야스오
모리시타가즈히사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30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0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 A61M16/101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using an oxygen concentr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 전원을 얻을 수 없는 옥외나, 자동차, 전차 등의 차량내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장된 전기부품의 신뢰성이 높은 산소부화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산소부화기는 산소부화 수단(15)과 상기 산소부화 수단으로 얻어진 산소부화공기를 소정 개소에 공급하는 펌프 수단(5)을 내장한 본체(1)와, 상기 본체내에 외기를 흡인하여 상기 산소부화 수단에 공급한 후 상기 본체 밖으로 배기하는 송풍 수단(24)과, 상기 펌프 수단 및 상기 송풍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31)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펌프 수단, 상기 송풍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전원으로 되는 이차전지(32)를 포함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산소부화기는 이차전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교류 전원이 없는 실외나, 차량 등의 안에서도 산소부화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리성이 대폭 향상된다.

Description

산소부화기{OXYGEN ENRICH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산소부화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산소부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산소부화기에 대하여,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종래의 산소부화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산소부화기의 본체(50)에는, 공기중의 산소농도를 높이는 산소부화 수단(51)과, 산소부화 수단(51)으로 얻어진 산소부화공기를 토출 수단(52)에 공급하는 펌프 수단(53)을 내장함과 함께, 운반용의 핸들(54)과, 펌프 수단(5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코드(55)가 설치되어 있다. 토출 수단(52)은, 사용자의 머리에 세팅(착용)하는 헤드셋(headset)(도시하지 않음)에 마련된 토출구(도시하지 않음)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헤드셋을 머리에 착용하여, 전원 코드(55)를 옥내의 콘센트에 꼽고, 본체(50)의 전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온하면, 펌프 수단(53)의 운전이 개시되어, 외기가 산소부화 수단(51)내에 흡인됨과 동시에 산소부화된 공기가 토출 수단(52)에 보내어지고, 사용자는, 자기의 입가에 설치된 토출구로부터 산소부화된 공기를 흡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 3096113 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산소부화기에 있어서는, 본체(50)는 교류 전원으로 운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옥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상용 전원이 얻어지지 않는 옥외나 차의 안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최근에 와서 이러한 종류의 산소부화기의 인지도가 높아져, 운동중의 사용, 공부시의 사용, 또한 자동차내에서의 사용 등과 같이, 폭넓은 장소에서 사용되는 것이 많아져, 사용상의 제약은 과제의 하나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상용 전원를 얻을 수 없는 옥외나, 자동차, 전차 등의 차량내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장된 전기부품의 신뢰성이 높은 산소부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산소부화 수단과 상기 산소부화 수단으로 얻어진 산소부화공기를 소정개소에 공급하는 펌프 수단을 내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외기를 흡인하여 상기 산소부화 수단에 공급한 후 상기 본체밖으로 배기하는 송풍 수단과, 상기 펌프 수단 및 상기 송풍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펌프 수단, 상기 송풍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전원으로 되는 이차전지를 포함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차전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교류 전원이 없는 실외나, 차량 등의 안에서도 산소부화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리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덧붙여, 상기 산소부화 수단의 한쪽의 면에 상기 제어 수단을, 다른쪽의 면에 상기 이차전지를 각각 배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송풍 수단에 의해 도입된 외기로 냉각되는 산소부화 수단의 한쪽에 면에, 충ㆍ방전시에 열을 방출하는 이차전지를, 다른쪽의 면에 운전시에 열을 발생하는 제어 수단이 위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이들이 효율적으로 냉각되어, 이차전지의 조기열화를 방지하고, 제어 수단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구성의 펌프 수단의 상부에 산소부화 수단을 배치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크게 질량이 무거운 펌프 수단을 아래쪽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본체의 안정감이 증가되는 동시에, 비교적 박형의 산소부화 수단의 양측에 발생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이차전지와 제어 수단의 배치에 이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 본체의 취급, 운반,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구성의 본체내에 펌프 수단 및 산소부화 수단을 내장하는 내장 케이스를 구비하고,이 내장 케이스내에 송풍 수단에 의한 공기가 흐르도록 한 것으로, 펌프 수단 및 산소부화 수단을 내장 케이스에 수납하는 것으로 부품의 유닛화가 가능하여, 본체 전체의 조립을 쉽게 함과 동시에, 상기 내장 케이스로 송풍 수단에 의한 공기가 지나는 공기통로를 겸하기 때문에, 공기통로용의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산소부화기를 염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송풍 수단에 의해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구와, 그것을 배기하는 배기구를 마련하고,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본체의 동일면내에 형성한 것으로, 본체의 사용시에, 흡기구 및 배기구를 마련한 일면이외의 5면의 어느것이라도 밑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형태의 선택도가 증가되어, 사용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이차전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급전용 단자를 본체에 마련한 것으로, 본체를 실내에서 사용할 때는, 급전용 단자에 일반의 교류 전원을 접속하도록 하거나, 차내에서 사용할때에는, 시가라이터로부터 급전용 단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차전지의 소모가 억제됨과 동시에, 그 교류 전원 또는 시가라이터로부터의 전력으로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이 가능하게 되어, 이차전지의 조기열화를 방지하고, 또한 본체의 사용편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본체의 적소에, 어깨걸이용의 끈을 장착하기 위한 걸기부를 마련한 것으로, 비교적 무거운 이차전지를 구비한 본체를 끈을 이용하여 어깨에 걸기 때문에, 운반시에 손이나 팔에 가해지는 부담이 대폭 경감되어, 보다 사용이 쉽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본체 상부에 운반용의 핸들을 마련하고, 상기 핸들의 대략 중심과, 제어 수단과 이차전지의 사이를 지나는 중심선상에 본체의 중심을 위치시키도록 한 것으로, 핸들의 대략 중심의 아래쪽에 본체의 중심이 위치하기 때문에, 본체의 운반시에, 핸들을 쥔 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본체 상부에 운반용의 핸들을 마련하고, 상기 핸들과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안전 벨트를 통과시켜 본체를 차내의 좌석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운전하면서 또는, 조수석, 뒷좌석 등에서 산소부화공기를 얻기 위해서 본체를 운전할 때에, 안전 벨트로, 본체를 좌석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중에 본체가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전도하거나 하는 일이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가 차내의 바닥에 낙하하거나, 도어에 부딪혀서 파손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핸들을 본체에 대하여 인출자재로 한 것으로, 본체의 운전시나, 수납시에 핸들을 본체에 수납함으로써, 외관이 좋고, 또는 장소도 차지하지 않으며, 운반시에는 핸들을 인출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게 되어, 지극히 사용편리성이 좋은 산소부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산소부화기에 대하여, 도 1∼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1)는 세로로 긴 상자형의 본체로, 그 외곽은, 전후 두개의 케이스(1a, 1b)를 맞댐결합하여 구성되고, 바닥판(2)에 나사고정 결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3)는 본체(1)내에 마련한 내장 케이스로, 좌우 두개의 케이스(3a, 3b)를 맞댐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1)의 바닥판(2)에 착탈자유롭게 나사 고정되어 있다. 참조부호 (4)는 상기 본체(1)의 상부 개구를 덮는 천정판으로, 상기 내장 케이스(3)에 나사고정에 의해 착탈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5)는, 내장 케이스(3)의 하부에 내장된 벨로우즈 펌프 등으로 이루어지고 후술의 산소부화 수단(15)에 연통하는 펌프 수단으로, 바닥판(2)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참조부호 (6)은 바닥판(2)의 펌프 수단 장착 오목부(2a)에 끼워져 설치된 베이스판으로, 그 적소를 바닥판(2)에 나사고정하고 있다. 참조부호 (7)는 상기 펌프 수단(5)의 저면에 나사결합된 부착판으로, 전후좌우의 코너부에 코일스프링 등으로 형성된 제 1 탄성 수단(8)과, 그 중심측으로 치우친 부분에 고무와 같은 탄력성을 갖는 주상(柱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2 탄성 수단(9)을 거쳐서 상기 베이스판(6)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탄성 수단(9)은, 그 상하 각 단부의 원주상에 마련된 걸기부(9a)가 베이스판(6) 및 부착판(7)에 각각 마련한 구멍(6a, 7a)의 가장자리에 끼워져서 결합되어 있으며, 이 결합에 의해서 베이스판(6)과 부착판(7)을 연결하여 방진(防振) 유닛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판(6) 및 부착판(7)의 제 1 탄성 수단(8)을 수용하는 부분에는 이것의 좌굴방지용(坐屈防止用)의 돌기부 등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펌프 수단(5)도 내장 케이스(3)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즉 참조부호 (10, 11)은 상기 펌프 수단(5)을 좌·우·전방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3탄성 수단으로, 압축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각 제3탄성 수단(10, 11)은 그 일단이 지지판(12)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을 상기 내장 케이스(3)의 좌우측면 및 전방측에 형성한 개구부(13)로부터 삽입하고 펌프 수단(5)의 측면 및 전방측에 압접시킨 후, 개구부 주연의 결합부(14)에 상기 지지판(12)을 슬라이드 결합시킴으로써 내장 케이스(3)에 나중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참조부호 (15)는 상기 펌프 수단(5)의 상부에 배치한 산소부화 수단으로, 측면의 상하 방향에 걸쳐 마련한 팩킹(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상기 내장 케이스(3)의 케이스(3a, 3b)로 협지 고정되어 있다. 이 산소부화 수단(15)은 도 8,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시(mesh) 구조의 프레임(17)의 양측면에 대략 직사각형의 산소부화막(18)을 붙여 양막 사이를 통로로 한 모듈(19)을, 복수매 적층한 대략 직방체의 유닛 구조로 되어 있고, 프레임(17)의 통로내를 흡인함으로써, 산소부화막(18)의 외측 주변을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산소부화막(18)을 통과하여 프레임(17)의 통로내로 들어가, 산소부화공기를 얻을 수 있다. 얻어진 산소부화공기는 유일한 출구인 배출구(20)로부터 상기 펌프 수단(5)이 파이프(21)을 거쳐서 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산소부화막(18)은 유기고분자의 평막으로 구성되어, 공기중의 질소에 비하여 산소를 잘 통과시키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산소농도의 이른바 산소부화공기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펌프 수단(5)에 의한 흡인에 의해서 통상 약 21%의 산소농도를 약 30%로 높인 산소부화공기를 얻을 수 있다.
참조부호 (22)는 상기 본체(1)의 천정판(4)에 개구시킨 토출구로, 파이프(23)를 거쳐서 상기 펌프 수단(5)의 배출측에 접속되어, 펌프 수단(5)으로부터 송출된 산소부화공기가 토출되는 곳이다. 참조부호 (23a)는 상기 파이프(23)의 도중에 마련한 소음기(消音器)로, 도중의 통로면적을 확대시키는 것으로 소음(消音)시키고 있다.
참조부호 (24)는 상기 펌프 수단(5)의 후부에 배치한 송풍 수단으로, 본체(1)의 후면에 또한 산소부화 수단(15)에 대향하여 마련한 흡기구(25)로부터 외기를 흡인하여, 내장 케이스(3)내의 산소부화 수단(15)으로 취입하고, 그 후 하향으로 흐름방향을 바꿔 펌프 수단(5)을 냉각한 후에 배기구(26)로부터 본체(1) 밖으로 배기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송풍 수단(24)은, 펌프 수단(5)을 냉각하는 기능외에, 산소부화 수단(15)에 신선한 외기를 보내는 것에 의해, 산소부화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장 케이스(3)내를 공기통로로서 활용함과 더불어, 흡기구(25), 배기구(26)의 양쪽을 본체(1)의 동일면에, 본 실시예에서는 후면에 마련하고 있다.
참조부호 (29, 30)는 내장 케이스(3)의 산소부화 수단(15)을 협지 고정하고 있는 부분의 측면에 형성된 요부로, 그 하부에 배치된 펌프 수단(5)보다 산소부화 수단(15)의 폭이 좁은 것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31)는 한쪽의 요부(29)에 배치되어 전자부품(31a)을 탑재한 제어 기판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 수단으로, 상기 펌프 수단(5), 송풍 수단(24)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32)는, 반대측의 요부(30)에 착탈자유롭게 장착되는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로, 상기 펌프 수단(5), 송풍 수단(24), 제어 수단(31) 등의 전원으로 되는 것이며, 본체(1)의 하부 측면에 마련한 급전용 단자(33)를 거쳐서 교류 전원이나 차내의 시가라이터(도시하지 않음) 등의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 급전용 단자(33)는 또한 교류를 전원으로 했을 때의 전원 단자로도 되는 것으로, 일단에 플러그 일체형 변압기(34a)를 갖고, 타단에 출력 플러그(34b)를 갖는 전원어댑터(34)의 출력 플러그(34b)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교류를 전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플러그 일체형 변압기(34a)의 플러그부를 콘센트에 꽂은 때에는 교류 전원이 전원으로 되고, 콘센트로부터 뺀 때에는 상기 이차전지(32)가 전원으로 되도록 상기 제어 수단(31)이 전환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급전용 단자(33)를 차내의 시가라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자동차의 배터리를 전원으로서, 운전하도록 하도록 하여도 좋다.
참조부호 (35)는 본체(1)의 천정판(4)에 마련한 운전 스위치이고, 참조부호 (36)는, 본체(1)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운전 표시 수단이고, 참조부호 (37)은 운전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스위치로, 예컨대 30분, 1 시간, 3 시간으로 미리 설정한 시간 운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참조부호 (38)는, 타이머 스위치(37)로 설정된 타이머 시간을 표시하는 타이머 표시 수단으로, 상기 각 표시 수단은 모두 LED나 램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40)는 본체운반용의 핸들로서, 그 파지부(40a)가 천정판(4)의 상면과 면일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핸들(40)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성되어, 파지부(40a) 양측의 다리부(40b)에 마련한 축부(40c)를 내장 케이스(3)의 상부에 마련한 상하 방향의 긴 구멍(3c)에 관통 설치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자유롭게 하고 있고, 또한, 축부(40c)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41)는 본체(1)의 상부 전후로 마련한 걸기부로, 끈(42)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해당 본체(1)를 어깨에 건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참조부호 (43)는 상기 본체(1)의 천정판(4)에 개구시킨 토출구(22)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산소부화공기 토출유닛으로, 일단이 토출구(22)에 접속되고 타단에 토출구체(46)가 접속된 유연한 튜브(44)와, 그 도중에 마련되어 산소부화공기에 포함되는 결로수를 포집하는 결로용 용기(45)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구체(46)를 헤드셋 형식으로서, 그 상부를 머리부, 목부, 귀 등에 착용하고, 하방으로 마련한 마우스피스(47)가 사용자의 입가에 대향하게 되어 있어, 사용자는 양손을 자유롭게 한 채로 산소부화공기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근거하는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초에, 사용자는, 토출유닛(43)을 머리부, 목부 또는 귀부에 착용한다. 그리고 운전 스위치(35)를 ON 조작하면, 펌프 수단(5)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어 통전 상태를 나타내는 운전 표시 수단(36)이 점등함과 동시에, 타이머 스위치(37)로 설정한 시간에 따라 펌프 수단(5)이 운전하고, 또한 송풍 수단(24)이 작동한다. 그리고 송풍 수단(24)의 작동에 의해 본체(1)에 마련한 흡기구(25)로부터 외기가 흡인되고, 이 외기는 산소부화 수단(15)을 지나, 배기구(26)로부터 본체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산소부화 수단(15)을 지나는 외기의 일부는 펌프 수단(5)의 운전에 의해 산소부화 수단(15)의 프레임(17)내에 흡인되어, 산소부화된 공기로 된다. 그리고 이 산소부화공기는 토출구(22)에 송출되고, 튜브(44)을 거쳐서 산소부화공기 토출유닛(43)의 토출구체(46)의 마우스피스(47)로부터 토출되어, 사용자는 산소부화공기를, 입이나 코로부터 흡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체(1)는 통상 바닥판(2)을 밑으로 하여 책상이나 마루의 면 등의 설치면에서 사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있는 때에는, 진동원으로 되는 펌프 수단(5)의 진동은 제 1, 제 2 탄성 수단(8, 9)의 탄성력으로 흡수되어, 본체(1)에의 전파가 방지된다. 따라서 본체(1)가 진동하는 것 같은 일은 없고, 당연한 일이지만 사용자는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본체(1)를 눕혀서 횡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3탄성 수단(10, 11)이 펌프 수단(5)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이 제3탄성 수단(10, 11)이 펌프 수단(5)자체의 진동을 흡수하는 것으로 되어, 이 경우도 본체(1)에의 전파가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1)를 눕혀서 사용하더라도 본체(1)가 진동하는 것 같은 일이 없고,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펌프 수단(5)의 바닥판(2)에의 부착부나 펌프 수단(5)과 파이프(23)와의 부착부 등에 외력이나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 같은 것도 억제할 수 있어,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산소부화기는, 외부 전원이 접속할 수 있는 급전용 단자(33)와 이차전지(3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교류 전원에 의한 옥내사용은 물론, 이차전지(32)를 이용하여 옥외나 자동차의 차내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전원어댑터(34)를 콘센트로부터 뽑고 운전 스위치(35)를 ON하면, 자동적으로 이차전지(3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은 운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산보하면서, 또는 차내에서 산소부화공기를 흡인하는 것 같은 옥외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차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때에는 자동차의 시가라이터를 전원으로서 충전용 단자(33)를 통해서 전원을 취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이차전지(32)를 충전할 수도 있어, 장시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송풍 수단(24)에 의해 도입된 외기로 냉각되는 산소부화 수단(15)의 한쪽의 면에, 충·방전시에 열을 방출하는 이차전지(32)를, 다른쪽의 면에 운전시에 열을 발생하는 제어 수단(31)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시에 이차전지(32), 제어 수단(31)이 효율적으로 냉각되고, 이차전지(32)의 조기 열화(劣化)를 방지하여, 제어 수단(3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크고 또한 질량이 큰 펌프 수단(5)을 아래쪽에, 경량인 산소부화 수단(15)을 위쪽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본체(1)의 안정감이 증가함과 동시에, 비교적 박형(搏型)의 산소부화 수단(15)의 양측에 발생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이차전지(32)와 제어 수단(31)의 배치에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 본체(1)의 취급, 운반,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흡기구(25), 배기구(26)가 본체(1)의 동일면에 모아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구(25), 배기구(26)가 각각 별개의 면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설치 제약이 적어진다. 즉, 흡기구(25), 배기구(26)가 별개의 면에 마련되어 있으면, 흡기구(25), 배기구(26)가 마련된 두개의 면을 설치면로 하여 사용할 수가 없게 되지만(흡기구(25), 배기구(26)가 설치면에 의해서 막혀 흡·배기를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흡기구(25) 및 배기구(26)를 마련한 하나의 면 이외의 5면 중 어느 것이라도 밑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형태의 선택도가 증가되어, 사용편리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체(1)를 종으로 하더라도 횡으로 눕히더라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형태의 제약이 적어져 사용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산소부화기는, 운반의 시는, 핸들(40)을 인출하여 손으로 잡거나 또는 본체(1)의 상부 전후로 마련한 걸기부(41)에 끈(42)을 설치하고 이 끈(42)을 어깨에 거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사용자는 걷거나 또는 헬스 사이클(exercise bicycle) 등을 이용하여 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때에는 본체(1)가 흔들흔들하여 횡방향의 외력이 펌프 수단(5)에 가해지게 되지만, 그 때에도 상기 횡방향의 외력을 제3탄성 수단(10, 11)이 흡수하는 것으로 되어 내장 케이스(3)의 내벽에 펌프 수단(5)이 직접 접촉하는 것 같은 일이 없고, 본체(1)가 진동하여 사용자가 이것을 이상이라고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 산소부화기는 통상의 바닥판(2)을 밑으로 한 사용형태에 부가하여, 본체(1)를 횡으로 눕혀도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1)를 흔들흔들하여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어, 사용형태의 제약이 적어져 사용편리성이 향상됨과 함께 폭넓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40)을 인출자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1)의 사용후 핸들(40)을 본체(1)에 수납 하여, 외관성이 좋고, 또 수납하는 때도 장소를 차지하지 않아, 매우 사용편리성이 좋은 산소부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체(1)를 차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40)을 인출하고, 그 핸들(40)과 본체(1)와의 사이에 안전벨트(48)를 통과시켜, 본체(1)를 차내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등에 고정하면, 이동중에 본체(1)가 예기하지 않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전도하거나 하는 일이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1)가 차내의 바닥에 낙하하거나, 도어에 부딪히거나 하여 파손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장 케이스(3)내에 펌프 수단(5) 및 산소부화 수단(15)을 수납하는 것으로 부품의 유닛화가 가능하고, 미리 유닛부품으로서 조립하여 두고 그것을 본체(1)에 조립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제품으로서의 조립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내장 케이스(3)로 송풍 수단(24)에 의한 공기가 지나는 공기통로도 겸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통로용의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게 되어, 산소부화기를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40)의 대략 중심과, 제어 수단(31)과 이차전지(32)의 사이를 지나는 중심선(C.L)상에 본체(1)의 중심(G)이 위치하도록 하면, 본체(1)의 운반시에, 핸들(40)을 쥔 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도 6에서는, 산소부화 수단(15)은 본체 중앙에 위치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제어 수단(31)에 비하여 이차전지(32)가 무겁기 때문에, 이차전지(32), 산소부화 수단(15) 및 제어 수단(31)을 전체적으로 제어 수단(31)측으로 약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1)의 중심(G)을 중심선(C.L) 상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펌프 수단(5)을 좌·우·전방의 3면을 제 3 탄성 수단(10, 11)으로 탄성지지하도록 했지만, 후면을 포함하는 4면을 탄성지지하더라도 좋고, 그 경우는 흡·배기구(25, 26)는 상식적으로 설치면으로 하는 일이 없는 천정면(4)에 마련하면 좋다. 또한, 전원어댑터(34)로서 변압기부착의 것으로 설명했지만, 본체(1)측에 변압기를 내장하여, 보통의 전원 코드를 직접 급전용 단자(33)에 접속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는 급전용 단자(33)는 충전 전용 단자로 하고, 별도 전원 코드를 마련하거나, 또는 해당 전원 코드를 접속하는 급전구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산소부화기는, 상용 전원을 얻을 수 없는 옥외나, 자동차, 전차 등의 차량내등 어디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사용편리성이 좋고, 또한 내장된 전기부품의 신뢰성이 높은 것이다.
본 발명의 산소부화기는 산소부화 수단과 상기 산소부화 수단으로 얻어진 산소부화공기를 소정개소에 공급하는 펌프 수단을 내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외기를 흡인하여 상기 산소부화 수단에 공급한 후 상기 본체밖으로 배기하는 송풍 수단과, 상기 펌프 수단 및 상기 송풍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펌프 수단, 상기 송풍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전원으로 되는 이차전지를 포함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이차전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교류 전원이 없는 실외나, 차량 등의 안에서도 산소부화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리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덧붙여, 상기 산소부화 수단의 한쪽의 면에 상기 제어 수단을, 다른쪽의 면에 상기 이차전지를 각각 배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송풍 수단에 의해 도입된 외기로 냉각되는 산소부화 수단의 한쪽에 면에, 충ㆍ방전시에 열을 방출하는 이차전지를, 다른쪽의 면에 운전시에 열을 발생하는 제어 수단이 위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이들이 효율적으로 냉각되어, 이차전지의 조기열화를 방지하고, 제어 수단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구성의 펌프 수단의 상부에 산소부화 수단을 배치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크게 질량이 무거운 펌프 수단을 아래쪽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본체의 안정감이 증가되는 동시에, 비교적 박형의 산소부화 수단의 양측에 발생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이차전지와 제어 수단의 배치에 이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어, 본체의 취급, 운반,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구성의 본체내에 펌프 수단 및 산소부화 수단을 내장하는 내장 케이스를 구비하고,이 내장 케이스내에 송풍 수단에 의한 공기가 흐르도록 한 것으로, 펌프 수단 및 산소부화 수단을 내장 케이스에 수납하는 것으로 부품의 유닛화가 가능하여, 본체 전체의 조립을 쉽게 함과 동시에, 상기 내장 케이스로 송풍 수단에 의한 공기가 지나는 공기통로를 겸하기 때문에, 공기통로용의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산소부화기를 염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송풍 수단에 의해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구와, 그것을 배기하는 배기구를 마련하고,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본체의 동일면내에 형성한 것으로, 본체의 사용시에, 흡기구 및 배기구를 마련한 일면이외의 5면의 어느것이라도 밑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형태의 선택도가 증가되어, 사용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이차전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급전용 단자를 본체에 마련한 것으로, 본체를 실내에서 사용할 때는, 급전용 단자에 일반의 교류 전원을 접속하도록 하거나, 차내에서 사용할때에는, 시가라이터로부터 급전용 단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차전지의 소모가 억제됨과 동시에, 그 교류 전원 또는 시가라이터로부터의 전력으로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이 가능하게 되어, 이차전지의 조기열화를 방지하고, 또한 본체의 사용편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본체의 적소에, 어깨걸이용의 끈을 장착하기 위한 걸기부를 마련한 것으로, 비교적 무거운 이차전지를 구비한 본체를 끈을 이용하여 어깨에 걸기 때문에, 운반시에 손이나 팔에 가해지는 부담이 대폭 경감되어, 보다 사용이 쉽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본체 상부에 운반용의 핸들을 마련하고, 상기 핸들의 대략 중심과, 제어 수단과 이차전지의 사이를 지나는 중심선상에 본체의 중심을 위치시키도록 한 것으로, 핸들의 대략 중심의 아래쪽에 본체의 중심이 위치하기 때문에, 본체의 운반시에, 핸들을 쥔 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본체 상부에 운반용의 핸들을 마련하고, 상기 핸들과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안전 벨트를 통과시켜 본체를 차내의 좌석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운전하면서 또는, 조수석, 뒷좌석 등에서 산소부화공기를 얻기 위해서 본체를 운전할 때에, 안전 벨트로, 본체를 좌석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중에 본체가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전도하거나 하는 일이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가 차내의 바닥에 낙하하거나, 도어에 부딪혀서 파손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핸들을 본체에 대하여 인출자재로 한 것으로, 본체의 운전시나, 수납시에 핸들을 본체에 수납함으로써, 외관이 좋고, 또는 장소도 차지하지 않으며, 운반시에는 핸들을 인출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게 되어, 지극히 사용편리성이 좋은 산소부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산소부화기의 좌측면도, 도 1b는 동산소부화기에 접속되는 전원어댑터의 측면도
도 2는 동산소부화기의 배면도
도 3은 동산소부화기의 평면도
도 4는 동산소부화기의 케이스를 분리한 때의 좌측면도
도 5는 동산소부화기의 케이스를 분리한 때의 우측면도
도 6은 동산소부화기의 케이스를 분리한 때의 배면도
도 7a는 동산소부화기의 베이스판, 부착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b는 동베이스판, 부착판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동산소부화기의 산소부화 수단의 모듈의 분해도
도 9a는 동모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b는 동산소부화 수단의 사시도
도 10은 동산소부화기의 산소부화공기 토출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동산소부화기의 좌석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산소부화기의 단면도

Claims (10)

  1. 산소부화 수단과 상기 산소부화 수단으로 얻어진 산소부화공기를 소정개소에 공급하는 펌프 수단을 내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외기를 흡인하여 상기 산소부화 수단에 공급한 후 상기 본체밖으로 배기하는 송풍 수단과, 상기 펌프 수단 및 상기 송풍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펌프 수단, 상기 송풍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전원으로 되는 이차전지를 포함시킨 산소부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산소부화 수단의 한쪽의 면에 상기 제어 수단을, 다른쪽의 면에 상기 이차전지를 각각 배치한 산소부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펌프 수단의 상부에 산소부화 수단을 배치한 산소부화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내에 펌프 수단 및 산소부화 수단을 내장하는 내장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내장 케이스내에 송풍 수단에 의한 공기가 흐르도록 한 산소부화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풍 수단에 의해 외기를 도입하는 흡기구와, 그것을 배기하는 배기구를 마련하고,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본체의 동일면내에 형성한 산소부화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차전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더불어 외부 전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급전용 단자를 본체에 마련한 산소부화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의 적소에, 어깨걸이용의 끈을 장착하기 위한 걸기부를 마련한 산소부화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 상부에 운반용의 핸들을 마련하고, 상기 핸들의 대략 중심과, 제어 수단과 이차전지의 사이를 지나는 중심선상에 본체의 중심을 위치시키도록 한 산소부화기.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 상부에 운반용의 핸들을 마련하고, 상기 핸들과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안전벨트를 통해서 본체를 차내의 좌석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산소부화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핸들을 본체에 대하여 인출자재로 한 산소부화기.
KR1020050002035A 2004-01-13 2005-01-10 산소부화기 KR200500743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5250A JP2005198691A (ja) 2004-01-13 2004-01-13 酸素富化機
JPJP-P-2004-00005250 2004-0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300A true KR20050074300A (ko) 2005-07-18

Family

ID=3461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035A KR20050074300A (ko) 2004-01-13 2005-01-10 산소부화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31753B2 (ko)
EP (1) EP1555060A1 (ko)
JP (1) JP2005198691A (ko)
KR (1) KR20050074300A (ko)
CN (1) CN1803583A (ko)
TW (1) TW2005298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0744B2 (en) 2006-03-24 2010-01-2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of reducing NOx emissions in gas turbine system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8821133B2 (en) * 2011-11-03 2014-09-02 Draeger Medical Systems, Inc. Transportable medical air compressor
CN103120823B (zh) * 2012-08-08 2015-06-03 青岛道一空优科技有限公司 一种吸氧终端
CN103452346A (zh) * 2013-08-23 2013-12-18 得高健康家居有限公司 一种富氧学习舱
US20150238721A1 (en) * 2014-02-24 2015-08-27 Vetland Medical Sales and Services, LLC Electronic E-Cylinder
CN104815404A (zh) * 2015-05-08 2015-08-05 杭州克霾环保科技有限公司 防雾霾头盔
JP1557747S (ko) * 2016-02-24 2016-09-05
CN105888306A (zh) * 2016-05-17 2016-08-24 刘玉航 一种富氧学习舱
USD861874S1 (en) * 2018-05-15 2019-10-01 Ngk Spark Plug Co., Ltd. Medical oxygen concentrator
USD854691S1 (en) * 2018-05-22 2019-07-23 Ngk Spark Plug Co., Ltd. Medical oxygen concentra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16755D0 (en) * 1995-08-16 1995-10-18 Normalair Garrett Ltd Oxygen generating device
US3369343A (en) * 1963-04-01 1968-02-20 Gen Electric Structures and processes incorporating permeable membranes for the support of animallife during unfavorable conditions
BE795150A (fr) * 1972-02-14 1973-05-29 Braun Ag Ventilateur deplacable
DE3587995T2 (de) * 1984-12-27 1995-10-12 Teijin Ltd Gerät zur Sauerstoffanreicherung.
US4826510A (en) * 1988-01-13 1989-05-02 The John Bunn Company Portable low profile DC oxygen concentrator
US5144945A (en) 1989-04-20 1992-09-08 Nippon Sanso Kabushiki Kaisha Portable oxygen-enriching air inhaler
JP2523516Y2 (ja) 1990-01-22 1997-01-29 東芝タンガロイ株式会社 ツイストドリル
US4971609A (en) * 1990-02-05 1990-11-20 Pawlos Robert A Portable oxygen concentrator
JPH04314457A (ja) 1991-02-28 1992-11-05 Suzuki Motor Corp 携帯用酸素吸入装置
US5428868A (en) * 1993-11-03 1995-07-04 Capezio Luggage And Travelware Retractable handle
US6126721A (en) * 1998-08-28 2000-10-03 Compact Membrane Systems, Inc. Oxygen enriched air supply apparatus
FR2809329B1 (fr) * 2000-05-25 2002-08-16 Air Liquide Concentrateur d'oxygene portable
US6651658B1 (en) 2000-08-03 2003-11-25 Sequal Technologies, Inc. Portable oxygen concent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GB2397303B (en) * 2003-01-17 2007-04-04 Smartmembrane Corp Gas separation membranes
US7135059B2 (en) * 2003-10-07 2006-11-14 Inogen, Inc. Portable gas fractionalization system
US7273051B2 (en) * 2004-01-22 2007-09-2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Dual mode medical oxygen concent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61044A1 (en) 2005-07-28
TW200529898A (en) 2005-09-16
JP2005198691A (ja) 2005-07-28
US7431753B2 (en) 2008-10-07
EP1555060A1 (en) 2005-07-20
CN1803583A (zh)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4300A (ko) 산소부화기
US7922789B1 (en) Portable gas fractionalization system
CN2684833Y (zh) 氧气富化装置
KR200489541Y1 (ko) 정화공기 공급형 마스크 시스템
JP2018122094A (ja) 電子機器
KR102428949B1 (ko) 이동형 공기청정기
KR101974459B1 (ko) 분리형 공기청정기
JP2008136663A (ja) 酸素濃縮装置
JP2001321306A (ja) 電気掃除機
USD484852S1 (en) Combination rechargeable portable battery booster pack, air compressor and DC power supply
JP4520209B2 (ja) 酸素濃縮装置
JP2008136658A (ja) 酸素濃縮装置
JP2007082958A (ja) 酸素濃縮装置および酸素濃縮方法
JP4567365B2 (ja) 酸素濃縮装置
JP2003111695A (ja) 電気掃除機
JP2005198690A (ja) 酸素富化機
JP2004188120A (ja) 加湿器
JP2002360475A (ja) 電気掃除機
JP2004016607A (ja) 電気掃除機
JP2011143023A (ja) 酸素濃縮装置
CN218536161U (zh) 一种带有教学辅助功能的吸尘式黑板擦
JP4819459B2 (ja) 酸素濃縮装置
KR102135008B1 (ko) 공기청정기능이 포함된 휴대용 선풍기
JP7137253B1 (ja) 空気清浄モジュール脱着型ヘッドホンシステム
CN211158029U (zh) 便携式多功能心理调节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