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508A - 패널 부재 유닛과 전자기기 및 부착 부재 - Google Patents

패널 부재 유닛과 전자기기 및 부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508A
KR20050073508A KR1020040060678A KR20040060678A KR20050073508A KR 20050073508 A KR20050073508 A KR 20050073508A KR 1020040060678 A KR1020040060678 A KR 1020040060678A KR 20040060678 A KR20040060678 A KR 20040060678A KR 20050073508 A KR20050073508 A KR 20050073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 member
bracket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8079B1 (ko
Inventor
다츠카미잇기
구마가이미노루
지카자와나가히사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 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부속 부품을 패널 부재에 비교적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패널 부재 유닛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고, 또한 그러한 패널 부재 유닛 및 전자기기의 실현에 크게 공헌할 수 있는 부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패널 부재 유닛(19)은 패널 부재(24)와, 패널 부재(24)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프레임(25)을 구비한다. 프레임(25)에는 패널 부재(24)의 외주면에 중첩되는 브래킷(38)이 연결된다. 브래킷(38)에는 부속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47)가 부착된다. 이러한 패널 부재 유닛(19)에서는, 브래킷(38)이나 수용 부재(47)를 부착할 때에 패널 부재(24)의 이면(裏面)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패널 부재(24)의 파손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브래킷(38)이나 수용 부재(47)는 패널 부재(24)에 비교적 간단하게 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 부재 유닛과 전자기기 및 부착 부재{PANEL MEMBER UNIT}
본 발명은 패널 부재와, 패널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패널 부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소위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이하, "노트북")는 널리 알려져 있다. 노트북은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기기 본체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용 케이스를 구비한다. 이 디스플레이용 케이스에 패널 부재 유닛, 즉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 유닛이 수용된다. LCD 패널 유닛에는 패널 부재, 즉 LCD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형광관이 내장된다. LCD 패널 유닛에는 형광관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기판 등의 부속 부품이 접속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924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6723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55511호 공보
인버터 기판은, 예컨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LCD 패널의 이면(裏面) 커버에 직접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이 실시될 때, LCD 패널의 커버에 나사가 체결된다. 이러한 나사는 LCD 패널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커버에 체결된다. 이러한 방향으로 나사가 체결되면 LCD 패널에는 커다란 힘이 가해지게 된다. LCD 패널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인버터 기판을 부착할 때에 조립은 신중하게 실시되어야 한다. 조립 효율의 저하는 피할 수 없다.
그 밖의 경우에, 인버터 기판은 디스플레이용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LCD 패널 유닛의 부착에 앞서 디스플레이용 케이스에는 인버터 기판이 부착된다. 계속해서, 인버터 기판에는 LCD 패널 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선이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이 실시될 때, LCD 패널 유닛은 작업대 위에서 직립 자세로 유지되어야 한다. 또는, LCD 패널 유닛은 작업자의 손으로 공중에 유지되어야 한다. 작업성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패널 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부속 부품을 패널 부재에 비교적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 패널 부재 유닛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러한 패널 부재 유닛 및 전자기기의 실현에 크게 공헌할 수 있는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 발명에 따르면, 패널 부재와, 패널 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패널 부재에 소정의 연결 기구로 연결되어 패널 부재의 배후에서 부속 부품을 수용하는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이 제공된다.
이러한 패널 부재 유닛에 있어서, 부착 부재는 패널 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패널 부재에 연결된다. 따라서, 부착 부재 및 패널 부재를 연결할 때에 패널 부재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패널 부재의 파손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부착 부재는 예컨대 패널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프레임을 통해 패널 부재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연결 기구로는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과, 부착 부재를 관통하면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나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해서 나사 구멍은 패널 부재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에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는 패널 부재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체결된다. 패널 부재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부착 부재는, 외주면에 중첩되어 나사로 프레임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부속 부품을 수용하고 패널 부재의 이면으로 연장되는 안내로를 따라 브래킷 위를 이동하는 수용 부재, 그리고 안내로 안에서 수용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패널 부재 유닛에서는, 브래킷 및 수용 부재를 연결할 때에, 수용 부재는 패널 부재의 이면으로 연장되는 안내로를 따라 브래킷 위를 이동한다. 따라서, 브래킷 및 수용 부재를 연결할 때에 패널 부재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패널 부재의 파손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규제 기구에 기초하여 안내로 안에서 수용 부재의 이동은 규제된다. 수용 부재의 브래킷으로부터의 이탈은 저지된다. 수용 부재는 브래킷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수용 부재는 패널 부재에 비교적 간단히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 부재 유닛에 있어서, 브래킷에는 패널 부재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브래킷에 기초하여, 예컨대 나사로 케이스 등의 피결합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은 예컨대 판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은 패널 부재로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되는 것이 좋다. 부속 부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인버터 기판이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 때, 수용 부재는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해서 수용 부재가 절연 재로로 구성되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인버터 기판은 확실히 절연될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소정의 연결 기구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후에서 부속 부품을 수용하는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부착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다. 따라서, 부착 부재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할 때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부착 부재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프레임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연결 기구에는,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과, 부착 부재를 관통하면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나사가 이용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해서 나사 구멍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에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체결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부착 부재는, 외주면에 중첩되어 나사로 프레임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부속 부품을 수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면으로 연장되는 안내로를 따라 브래킷 위를 이동하는 수용 부재, 그리고 안내로 안에서 수용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전자기기에서는, 브래킷 및 수용 부재를 연결할 때에, 수용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면으로 연장되는 안내로를 따라 브래킷 위를 이동한다. 따라서, 브래킷 및 수용 부재를 연결할 때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파손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규제 기구에 기초하여 안내로 안에서 수용 부재의 이동은 규제된다. 수용 부재의 브래킷으로부터의 이탈은 저지된다. 수용 부재는 브래킷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수용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교적 간단히 부착될 수 있다.
브래킷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브래킷이,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으로 확장되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예컨대 나사에 기초하여 비교적 간단히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할 때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브래킷은 예컨대 판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은 전자기기에 있어서, 부속 부품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인버터 기판이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 때, 수용 부재는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해서 수용 부재가 절연 재료로 구성되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인버터 기판은 확실하게 절연될 수 있다.
제3 발명에 따르면, 패널 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패널 부재에 연결되어 패널 부재의 배후에서 부속 부품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부착 부재는 패널 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패널 부재에 연결된다. 따라서, 부착 부재 및 패널 부재를 연결할 때에, 패널 부재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패널 부재의 파손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부착 부재는, 예컨대 패널 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프레임에 소정의 연결 기구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연결 기구로는,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과, 부착 부재를 관통하면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나사가 이용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해서 나사 구멍은 패널 부재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에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는 패널 부재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체결된다. 패널 부재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부착 부재는, 외주면에 중첩되어 나사로 프레임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부속 부품을 수용하고 패널 부재의 이면으로 연장되는 안내로를 따라 브래킷 위를 이동하는 수용 부재, 그리고 안내로 안에서 수용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브래킷 및 수용 부재를 연결할 때에, 수용 부재는 패널 부재의 이면으로 연장되는 안내로를 따라 브래킷 위를 이동한다. 따라서, 브래킷 및 수용 부재를 연결할 때에 패널 부재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패널 부재의 파손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규제 기구에 기초하여 안내로 안에서 수용 부재의 이동은 규제된다. 수용 부재의 브래킷으로부터의 이탈은 저지된다. 수용 부재는 브래킷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수용 부재는 패널 부재에 비교적 간단히 부착될 수 있다.
브래킷에는 패널 부재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브래킷에 기초하여, 예컨대 나사로 케이스 등의 피결합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은 예컨대 판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은 패널 부재에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되는 것이 좋다. 부속 부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인버터 기판이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 때, 수용 부재는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해서 수용 부재가 절연 재료로 구성되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인버터 기판은 확실하게 절연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전자기기, 즉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소위 노트북 : 11)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이 노트북(11)은 박형 기기 본체(12)와, 소정의 회전축(13)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기기 본체(12)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4)를 구비한다. 기기 본체(12)의 케이스 내에는 소위 마더 보드(도시 생략)가 내장된다. 주지한 바와 같이, 마더 보드에는 예컨대 CPU(중앙 연산 처리장치)나 메모리 등의 주요한 처리 회로가 실장된다. CPU는, 예컨대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받아들여지는 OS(operating system)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연산 처리를 실시한다. CPU가 연산 처리를 실시할 때, 사용자는 기기 본체(12)에 탑재되는 키보드(15)나 포인팅 디바이스(16) 등의 입력 장치로부터 여러 가지 데이터나 지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4)는 베이스(17)와, 베이스(17)를 덮는 커버(18)를 구비한다. 커버(18) 및 베이스(17) 사이에는 직사각형의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 유닛(19)이 수용된다. LCD 패널 유닛(19)의 화면 상에는 CPU의 연산 처리에 기초하여 그래픽스나 텍스트가 투영된다. 커버(18)나 베이스(17)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재료나 마그네슘 등의 금속 재료로 성형되는 것이 좋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8)와 베이스(17)를 결합할 때에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4)에는 복수 개의 나사(21)가 체결된다. 나사(21)의 중심축은 LCD 패널 유닛(19)의 화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나사(21)는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4)의 정면에서 삽입된다. 나사(21)를 삽입할 때에,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4)의 정면에는 관통 구멍(22)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관통 구멍(22)은 예컨대 화장재(도시 생략)로 덮는 것이 좋다.
LCD 패널 유닛(19)은 LCD 패널(24)과, LCD 패널(24)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프레임, 즉 베젤(25)로 구성된다. LCD 패널 유닛(19)에는 베젤(25)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는 돌기(26)가 형성된다. 돌기(26)에는 전술한 나사(21)를 넣는 나사 구멍(27)이 형성된다. 즉, 나사 구멍(27)은 LCD 패널(24)의 화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17)에는 나사(21)를 넣는 나사 구멍(28)이 형성된다. 이렇게 해서 LCD 패널 유닛(19), 커버(18) 및 베이스(17)의 결합은 확립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패널 유닛(19)에서는, 베젤(25)로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직사각형의 LCD 패널(24)이 수용된다. 이 LCD 패널(24)은 예컨대 한 쌍의 유리 기판 사이에서 액정 셀을 구성한다. 각 액정 셀은 표시 화면의 화소에 대응한다. LCD 패널(24)의 배면에는 확산판(29), 프리즘판(31), 도광판(32) 및 반사판(33) 등의 패널 형태의 모듈 부품이 순서대로 중첩된다. 도광판(32)의 일단에는 2개의 형광관(34, 34)이 인접하게 배치된다. 주지한 바와 같이, 형광관(34)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은 도광판(32)의 작용으로 LCD 패널(24)의 전체에 똑같이 이를 수 있다. 반사판(33)의 배후에는 표시 제어용 회로 기판(35)이 배치된다. 이 회로 기판(35)은 전후 한 쌍의 절연성 시트(36a, 36b) 사이에 끼워진다. 회로 기판(35)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7)이 접속된다. 베젤(25)은 중첩된 LCD 패널(24), 모듈 부품(29, 31, 32, 33) 및 절연성 시트(36a, 36b)를 서로 결합한다. 베젤(25)은 하나의 부재라도 좋고, 복수 부재로 분할되어도 좋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패널 유닛(19)에는 한 쌍의 브래킷(38, 38)이 부착된다. 한 쌍의 브래킷(38, 38)은 연결 기구(41)에 기초하여 LCD 패널(24)의 외주면, 즉 짧은 변측의 측면에 부착된다. 브래킷(38)은 LCD 패널(24)의 이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평판 부재(42)를 구비한다. 제1 평판 부재(42)는 LCD 패널(24)의 짧은 변을 따라 연장된다. 제1 평판 부재(42)에는 제1 평판 부재(42)로부터 만곡되는 한 쌍의 제2 평판 부재(43)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평판 부재(43)는 전술한 돌기(26)에 해당한다. 제2 평판 부재(43)는 LCD 패널(24)의 외주면, 즉 긴 변측의 측면으로부터 직립한다. 개개의 제2 평판 부재(43)에는 전술한 나사 구멍(27)이 형성된다. 나사 구멍(27)은 LCD 패널(24)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브래킷(38)은, 예컨대 아연 도금 처리 강판 등의 판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판금을 채용하면, 박형화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38)에서는 ESD(정전 방전) 효과나 EMI(전자파 실드) 효과, 방열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평판 부재(42)에는 LCD 패널(24)의 이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3 평판 부재(44)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3 평판 부재(44)끼리는 LCD 패널(24)의 이면에서 서로 접근한다. 제3 평판 부재(44)에는 LCD 패널(24)의 이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판조각(45)이 일체로 형성된다. 판조각(45)은 단차에 기초하여 LCD 패널(24)의 이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판조각(45, 45) 사이에는 부속 부품, 즉 인버터 기판(46)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47)가 연결된다. 인버터 기판(46)은 수용 부재(47)의 수용 공간에 끼워 넣어진다. 여기서는, 수용 부재(47) 및 LCD 패널(24)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수용 부재(47)는, 예컨대 수지 재료 등의 절연 재료로 성형되는 것이 좋다. 수용 부재(47)는 인버터 기판(46) 및 LCD 패널(24) 사이에 배치된다. 인버터 기판(46) 및 LCD 패널(24)은 확실하게 절연될 수 있다.
인버터 기판(46)에는 전압을 순간적으로 끌어올리는 트랜스(도시 생략)가 내장된다. 이러한 인버터 기판(46)은 LCD 패널 유닛(19) 내에 내장되는 형광관(34)에 교류 전류를 공급한다. 인버터 기판(46) 및 형광관(34)은, 예컨대 배선(48) 및 커넥터(49, 49)에 기초하여 접속된다. 배선(48)은 LCD 패널(24)의 짧은 변측의 측면을 따라 LCD 패널 유닛(19) 내로 연장된다. 한편, 인버터 기판(46)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선(51)은 커넥터(52)에 기초하여 예컨대 기기 본체(12)내의 마더 보드에 접속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커넥터(52)에는 회로 기판(35)을 향해 연장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7)이 접속된다. 기기 본체(12)의 마더 보드로부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7)을 통하여 공급되는 구동 신호는 회로 기판(35)상에 구축되는 표시 제어 회로로 받아들여진다. 표시 제어 회로는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각 액정 셀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평판 부재(42)에는 제1 평판 부재(42)로부터 만곡되는 복수 개의 고정 부재(53)가 일체로 형성된다. 고정 부재(53)는 LCD 패널(24)의 짧은 변측의 측면에 중첩된다. 개개의 고정 부재(53)에는 체결용 관통 구멍(54)이 형성된다. 이 관통 구멍(54)에 대응하게 베젤(25)의 측면에는 나사 구멍(55)이 형성된다. 즉, 나사 구멍(55)은 LCD 패널(24)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나사(56)는 관통 구멍(54)을 관통한 후에 나사 구멍(55)에 체결된다. 이렇게 해서 브래킷(38)은 LCD 패널(24)에 고정된다. 나사 구멍(55) 및 나사(56)는 본 발명의 연결 기구(41)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브래킷(38) 및 수용 부재(47)의 연결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부재(47)에는 측벽(47a)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판조각(61, 61)이 형성된다. 제1 판조각(61, 61)의 표면에는 하나의 수평면이 형성된다. 한쪽 제1 판조각(61)에는 그 표면으로부터 직립하는 제2 판조각(62)이 접속된다. 여기서, 제2 판조각(62)은 수용 부재(47)의 측벽(47a)에 일단에 접속된다. 제1 판조각(61)의 표면에는 수용 부재(47)의 측벽(47a)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3 판조각(63)이 대향 배치된다. 제3 판조각(63)은 제1 판조각(61, 61)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3 판조각(63)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판조각(63)의 하면에는 제1 판조각(61, 61)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63a)가 형성된다. 수용 부재(47) 및 브래킷(38)을 연결할 때에, 돌기부(63a)는 판조각(45)에 형성된 홈(64) 안에 넣어진다. 동시에, 판조각(45)의 하면은 제1 판조각(61, 61)의 표면, 즉 하나의 수평면에 수용된다. 판조각(45)의 측면은 제2 판조각(62)에 수용된다. 판조각(45)의 선단은 측벽(47a)에 수용된다. 이렇게 해서 브래킷(38) 및 수용 부재(47)의 연결은 확립된다. 단, 제1 판조각(61, 61)은 예컨대 하나의 판조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다음에, 인버터 기판(46) 및 수용 부재(47)의 끼워 넣기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부재(47)의 측벽(47a) 및 바닥판(47b)에는 한 쌍의 노치(65, 65)가 형성된다. 개개의 노치(65)에는 측벽(47a)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벽(47c)이 배치된다. 이 돌출벽(47c)에는 수용 공간을 향해 돌기, 즉 갈고리(47d)가 돌출된다. 인버터 기판(46)을 수용 부재(47)의 수용 공간에 넣으면, 인버터 기판(46)은 갈고리(47d)에 꼭 맞게 맞물린다. 이 때, 돌출벽(47c)은 수용 부재(47)의 외측을 향해 탄성 변형한다. 인버터 기판(46)을 수용 공간에 더 밀어 넣으면, 갈고리(47d)는 인버터 기판(46)과 맞물린다. 이렇게 해서 인버터 기판(46)은 수용 부재(47)에 끼워 넣어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7)에는 평판상의 금속판(71)이 부착된다. 금속판(71)의 양측에는 베이스(17)의 짧은 변측의 측벽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제1 핀(72)이 형성된다. 금속판(71)의 아래쪽에는 베이스(17)의 긴 변측의 측벽을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핀(73)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금속판(71)의 아래쪽에는, 베이스(17)의 긴 변측의 측벽을 향해 돌출되는 제3 핀(74)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핀(72, 73)은 베이스(1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된다. 베이스(17)의 제3 핀(74)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76)가 형성된다. 오목부(76)내에서 제3 핀(74)은 베이스(1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만곡된다. 오목부(76)에는 LCD 패널(24)에 부착되는 수용 부재(47)가 넣어진다. 이러한 금속판(71)에는, 예컨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가 이용되는 것이 좋다.
베이스(17)에 LCD 패널 유닛(19)이 부착되면, LCD 패널 유닛(19)은 금속판(71)을 향해 압박된다. 이렇게 해서 제1 핀(72)은 브래킷(38)의 제1 평판 부재(42)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제2 핀(73)은 제3 평판 부재(44)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수용 부재(47)에 수용되는 인버터 기판(46)은 제3 핀(74)에 대향 배치된다. 이렇게 해서 LCD 패널(24)이나 인버터 기판(46)으로부터의 열은 금속판(71)에 전도된다. 금속판(71)은 베이스(17)의 거의 전면에 걸쳐 확장되기 때문에, 열은 효율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또한, 금속판(71)은 전자파 실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다.
다음에, LCD 패널 유닛(19)의 조립 공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베젤(25)의 외주면에 브래킷(38)이 나사(56)에 기초하여 부착된다. 그 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7)이 커넥터에 기초하여 회로 기판(35)에 접속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7)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선(51)이나 커넥터(52)는 LCD 패널(24)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다.
그 후, 수용 부재(47)는 LCD 패널(24)의 외측에서 LCD 패널(24)의 이면에 평행하게 판조각(45)에 삽입된다. 수용 부재(47)의 수용 공간에는 미리 인버터 기판(46)을 끼워 넣는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인버터 기판(46)에는 커넥터(49)나 배선(51)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가 미리 접속되는 것이 좋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조각(61)은 판조각(45)의 하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슬라이드한다. 제3 판조각(63)의 돌기부(63a)는 판조각(45)의 표면에 수용된다. 제3 판조각(63)은 탄성 변형한다. 수용 부재(47)가 더 밀어 넣어지면, 제1 판조각(61) 및 제3 판조각(63)은 판조각(45)에 평행하게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판조각(45) 위에는 제1 판조각(61) 및 제3 판조각(63), 즉 수용 부재(47)의 안내로가 형성된다.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63a)는 판조각(45)의 홈(64)에 끼워 넣어진다. 안내로를 따라 수용 부재(47)의 이동은 규제된다. 수용 부재(47)의 이탈은 저지된다. 즉, 돌기부(63a) 및 홈(64)은 본 발명의 규제 기구로서 기능한다. 동시에, 제2 판조각(62)은 판조각(45)의 측면에 수용된다. 이 때, 수용 부재(47)의 측벽(47a)은 판조각(45)의 선단에서 안내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하게 된다. 수용 부재(47)의 움직임은 규제된다. 이렇게 해서 수용 부재(47) 및 브래킷(38)의 연결은 확립된다. 브래킷(38) 및 수용 부재(47)는 본 발명의 부착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렇게 해서 LCD 패널 유닛(19)은 조립된다.
조립된 LCD 패널 유닛(19)을 뒤집어서 베이스(17)에 부착한다. 이 때,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7)은 LCD 패널(24) 및 수용 부재(47)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7)이나 배선(51), 커넥터(52)의 덜거덕거림은 방지될 수 있다. LCD 패널 유닛(19)은 베이스(17)에 비교적 간단히 중첩된다. LCD 패널 유닛(19) 및 베이스(17)에는 커버(18)가 씌워진다. 이렇게 해서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4)는 완성된다. 그 후, 배선(51) 및 커넥터(52)는 기기 본체(12) 내의 마더 보드에 접속된다.
이상과 같은 LCD 패널 유닛(19)에서 브래킷(38) 및 수용 부재(47)는 LCD 패널(24)의 외주면에서 베젤(25)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을 실시할 때,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56)가 체결된다. 또한, 브래킷(38) 및 수용 부재(47)를 연결할 때, 수용 부재(47)는 판조각(45) 위의 안내로를 따라 브래킷(38) 위를 이동한다. 수용 부재(47)는 LCD 패널(24)의 이면에 평행하게 이동한다. 따라서, 브래킷(38) 및 수용 부재(47)를 부착할 때에 LCD 패널(24)의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LCD 패널(24)의 파손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인버터 기판(46) 등의 부속 부품은 수용 부재(47)에 끼워 넣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수용 부재(47)는 예컨대 나사 또는 나사 구멍 등의 연결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서 브래킷(38)에 부착된다. LCD 패널(24)에 비교적 간단히 부착될 수 있다.
종래의 LCD 패널 유닛에는, 예컨대 1개의 형광관이 내장된다. 한편, 최근의 LCD 패널 유닛에는 2개의 형광관이 내장된다. 인버터 기판 내에서는, 예컨대 2개의 트랜스 또는 회로 기판이 필요하게 된다. 인버터 기판은 지금까지에 비하여 대형화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LCD 패널 유닛(19)에서, 인버터 기판(46)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47)는 LCD 패널(24)의 배후에 부착된다.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4)의 외형은 소형화될 수 있다. 한편, 종래와 같이, LCD 패널(24)의 외주면에 서로 인접하게 인버터 기판이 배치되면, 디스플레이용 케이스의 윤곽은 대형화된다.
이상과 같은 LCD 패널 유닛(19)에서, 예컨대 제3 평판 부재(44)는 생략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제1 평판 부재(42)에 직접 판조각(45)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수용 부재(47)의 횡방향 폭은 판조각(45, 45) 사이의 거리에 맞추어 설정되는 것이 좋다. 또한, 수용 부재(47)는 예컨대 LCD 패널(24)의 배후에서 전면에 걸쳐 확장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베이스(17)에서 오목부(76)의 크기는 수용 부재(47)에 맞추어 설정되는 것이 좋다. 부속 부품에는 인버터 기판(46) 이외에 예컨대 안테나 등의 안테나 관련 부품이나, 리모콘 수광부 등의 리모콘 관련 부품, 그 밖의 여러 가지 부속 부품이 포함된다. 이상과 같은 케이스(14)에는 LCD 패널(24) 이외에 어떠한 패널 부재가 내장되어도 좋다. 케이스(14)는 노트북 이외의 전자기기에 이용되어도 좋다.
이상과 같은 LCD 패널 유닛(19)에서는 수용 부재(47) 및 브래킷(38)을 연결할 때에, 예컨대 나사 또는 접착제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수용 부재(47) 및 브래킷(38)의 연결이 확립된 후에, 베젤(25)의 외주면에 브래킷(38)이 나사(56)로 부착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LCD 패널 유닛(19)을 조립할 때에, LCD 패널(24)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LCD 패널(24)의 외주면에만 힘은 작용한다. LCD 패널(24)의 파손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수용 부재(47) 및 브래킷(38)이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면, 브래킷(38)만이 간단히 교환될 수 있다. LCD 패널(24)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브래킷(38)을 준비하면, 수용 부재(47)는 여러 가지 크기나 형상의 LCD 패널(24)에 확실하게 부착될 수 있다.
기타,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부재(47) 및 브래킷(38)은 일체화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일체화에 있어서 수용 부재(47) 및 브래킷(38)은 예컨대 수지 재료에 기초하여 일체 성형되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기구에 기초하여 브래킷(38)이 베젤(25)에 연결되면, 수용 부재(47)는 LCD 패널(24)의 배후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LCD 패널 유닛(19)을 조립할 때에, LCD 패널(24)의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LCD 패널(24)의 외주면에만 힘이 작용한다. LCD 패널(24)의 파손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해서 수용 부재(47) 및 브래킷(38)이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면, 부품 단가나 조립 비용은 저감될 수 있다. 그 결과, 제품 비용은 저감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나 PDA 등의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경량 소형의 LCD 패널 유닛에는 정밀한 조형이 요구된다. 수지 재료에 기초한 일체 성형에 따르면, 브래킷(38)은 정밀하고 치밀한 조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브래킷(38)을 부착할 때에, 전술한 나사(56) 대신에, 예컨대 양면 접착 테이프가 이용되어도 좋다.
(부기 1) 패널 부재와, 패널 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패널 부재에 소정의 연결 기구로 연결되어 패널 부재의 배후에서 부속 부품을 수용하는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부기 2) 부기 1에 기재한 상기 패널 부재 유닛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 부재는 프레임을 통해 상기 패널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부기 3) 부기 2에 기재한 패널 부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과, 부착 부재를 관통하면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부기 4) 부기 3에 기재한 패널 부재 유닛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외주면에 중첩되어 상기 나사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부속 부품을 수용하고 패널 부재의 이면으로 연장되는 안내로를 따라 브래킷 위를 이동하는 수용 부재, 그리고 안내로 안에서 수용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부기 5) 부기 4에 기재한 패널 부재 유닛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부기 6) 부기 4에 기재한 패널 부재 유닛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판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부기 7) 부기 1에 기재한 패널 부재 유닛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부기 8) 부기 7에 기재한 패널 부재 유닛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인버터 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부기 9) 부기 8에 기재한 패널 부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부기 10)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소정의 연결 기구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후에서 부속 부품을 수용하는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부기 11) 부기 10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 부재는 프레임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부기 12) 부기 11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과, 부착 부재를 관통하면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부기 13) 부기 12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외주면에 중첩되어 상기 나사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부속 부품을 수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면으로 연장되는 안내로를 따라 브래킷 위를 이동하는 수용 부재, 그리고 안내로 안에서 수용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부기 14) 부기 13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부기 15) 부기 13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판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부기 16) 부기 10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인버터 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부기 17) 부기 13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부기 18) 부기 10에 기재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처리 회로를 탑재한 기기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자유롭게 요동하도록 기기 본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부기 19) 패널 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패널 부재에 연결되어 패널 부재의 배후에서 부속 부품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부재.
(부기 20) 부기 19에 기재한 부착 부재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프레임에 소정의 연결 기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부재.
(부기 21) 부기 20에 기재한 부착 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과, 상기 부착 부재를 관통하면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부재.
(부기 22) 부기 21에 기재한 부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외주면에 중첩되어 상기 나사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부속 부품을 수용하고 패널 부재의 이면으로 연장되는 안내로를 따라 브래킷 위를 이동하는 수용 부재, 그리고 안내로 안에서 수용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부재.
(부기 23) 부기 22에 기재한 부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부재.
(부기 24) 부기 22에 기재한 부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판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부재.
(부기 25) 부기 19에 기재한 부착 부재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부재.
(부기 26) 부기 25에 기재한 부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인버터 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부재.
(부기 27) 부기 26에 기재한 부착 부재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부재.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 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부속 부품을 패널 부재에 비교적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 패널 부재 유닛 및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러한 패널 부재 유닛 및 전자기기의 실현에 크게 공헌할 수 있는 부착 부재가 제공된다.
도 1은 전자기기, 즉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노트북)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커버 및 베이스에 조립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 유닛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LCD 패널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수용 부재가 부착된 상태의 LCD 패널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LCD 패널에 부착되는 브래킷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브래킷에 수용 부재가 부착될 때에 수용 부재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7-7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브래킷에 수용 부재가 부착될 때에 수용 부재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수용 부재 및 인버터 기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커버에 부착되는 금속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커버의 평면도.
도 10은 브래킷에 수용 부재가 부착될 때에 수용 부재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LCD 패널 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브래킷에 수용 부재가 부착될 때에 수용 부재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수용 부재가 부착된 상태의 LCD 패널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전자기기)
14 : 디스플레이용 케이스(케이스)
19 : LCD 패널 유닛
24 : LCD 패널(패널 부재, 디스플레이 패널)
25 : 베젤(프레임)
38 : 브래킷(부착 부재)
46 : 인버터 기판(부속 부품)
47 : 수용 부재(부착 부재)
55 : 나사 구멍(연결 기구)
56 : 나사(연결 기구)
63a : 돌기부(규제 기구)
64 : 홈(규제 기구)

Claims (10)

  1. 패널 부재와, 패널 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패널 부재에 소정의 연결 기구로 연결되어 패널 부재의 배후에서 부속 부품을 수용하는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 부재는 프레임을 통해 상기 패널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외주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과, 부착 부재를 관통하면서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외주면에 중첩되어 상기 나사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부속 부품을 수용하고 패널 부재의 이면으로 연장되는 안내로를 따라 브래킷 위를 이동하는 수용 부재, 그리고 안내로 안에서 수용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이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는 인버터 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는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부재 유닛.
  9.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소정의 연결 기구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후에서 부속 부품을 수용하는 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패널 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패널 부재에 연결되어 패널 부재의 배후에서 부속 부품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부재.
KR1020040060678A 2004-01-09 2004-07-31 패널 부재 유닛과 전자기기 및 부착 부재 KR100618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04455 2004-01-09
JP2004004455A JP4694789B2 (ja) 2004-01-09 2004-01-09 パネル部材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並びに取り付け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508A true KR20050073508A (ko) 2005-07-14
KR100618079B1 KR100618079B1 (ko) 2006-08-30

Family

ID=3473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678A KR100618079B1 (ko) 2004-01-09 2004-07-31 패널 부재 유닛과 전자기기 및 부착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54013B2 (ko)
JP (1) JP4694789B2 (ko)
KR (1) KR100618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976B1 (ko) * 2007-01-09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7869197B2 (en) 2007-03-28 2011-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003B1 (ko) * 1998-11-11 2005-11-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휴대용컴퓨터와그평판표시장치의결합방법
JP4148523B2 (ja) * 2004-02-09 2008-09-10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用シャーシ組立体,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7580089B2 (en) * 2005-10-31 2009-08-25 Chunghwa Picture Tub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07998B1 (ko) * 2006-06-30 2013-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인버터 고정 구조
WO2008018234A1 (fr) * 2006-08-11 2008-02-14 Sharp Kabushiki Kaisha Appareil d'affichage et appareil électronique pourvu de celui-ci
US7944520B2 (en) * 2006-08-11 2011-05-17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TWM313920U (en) * 2006-10-25 2007-06-11 Lian-Tzung Li An outer fram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WO2008142872A1 (ja) * 2007-05-17 2008-11-27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用照明装置、表示装置
JP5079922B1 (ja) * 2011-08-23 2012-11-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ブラケット、取付システムおよび型紙
JP5935282B2 (ja) * 2011-09-30 2016-06-15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6071719B2 (ja) 2013-04-11 2017-02-0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3399A (ja) * 1986-04-15 1987-10-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支持装置
US6330148B1 (en) * 1999-01-13 2001-12-11 Lg. Philips Lcd Co., Ltd. Flat panel display module for computer
JP2001255511A (ja) 2000-03-08 2001-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取付方法
JP4399968B2 (ja) 2000-08-01 2010-01-20 チッソ株式会社 長繊維不織布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JP3536018B2 (ja) * 2000-09-04 2004-06-0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0410979B1 (ko) * 2000-12-27 2003-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시디 모니터
KR100510716B1 (ko) * 2000-12-29 2005-08-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터치패널 일체형 엘시디
JP2002258770A (ja) * 2001-02-16 2002-09-1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直下型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I224293B (en) * 2001-05-09 2004-11-21 Sanyo Electric Co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0793727B1 (ko) 2001-05-18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710152B1 (ko) * 2001-06-20 2007-04-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인버터 고정구조
JP2003005660A (ja) 2001-06-22 2003-01-08 Casio Comput Co Ltd 情報処理装置
JP5048188B2 (ja) * 2001-06-28 2012-10-17 アイホン株式会社 液晶パネル導電接続構造
KR100783609B1 (ko) * 2001-07-10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793728B1 (ko) * 2001-09-14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03167231A (ja) 2001-11-30 2003-06-13 Nippon Seiki Co Ltd 表示モジュール
JP2004055988A (ja) * 2002-07-23 2004-02-19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976B1 (ko) * 2007-01-09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7852426B2 (en) 2007-01-09 2010-12-1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US7869197B2 (en) 2007-03-28 2011-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51041A1 (en) 2005-07-14
KR100618079B1 (ko) 2006-08-30
US7254013B2 (en) 2007-08-07
JP2005196059A (ja) 2005-07-21
JP4694789B2 (ja)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8655B2 (en) Display device
US6816213B2 (en) Liquid crystal module mounting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mounted with the same
KR100425167B1 (ko) 평판형 표시장치의 결합구조
EP158936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682589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835139A (en) Computer having liquid crystal display between frames attached at the edges
EP2083313B1 (en) Liquid crystal module
KR100618079B1 (ko) 패널 부재 유닛과 전자기기 및 부착 부재
US6421231B1 (en) Display unit and portable computer using the same
EP2209102A1 (en) Display device
US8736782B2 (en) Notebook compu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having particular antenna structure
TW200406611A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JP2005275076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60176416A1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surface-illuminant device
US7609531B2 (en) Flat panel display having shield cover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rotection
JP2005107071A (ja) 両面表示型液晶表示装置
CN100365477C (zh) 平面显示装置
TW201348818A (zh) 背光模組及液晶顯示裝置
JP2007093957A (ja) 液晶モジュール
JP4470553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695228B2 (ja) パネル部材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並びに取り付け部材
KR20010015310A (ko)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모듈과 그것을 구비하는 표시 유니트
KR20090059625A (ko) 액정 표시장치
KR100303067B1 (ko) 평판표시장치, 컴퓨터 및 평판표시장치의 고정방법
CN117032399A (zh) 一种笔记本电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