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330A - 빌딩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빌딩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330A
KR20050072330A KR1020040000721A KR20040000721A KR20050072330A KR 20050072330 A KR20050072330 A KR 20050072330A KR 1020040000721 A KR1020040000721 A KR 1020040000721A KR 20040000721 A KR20040000721 A KR 20040000721A KR 20050072330 A KR20050072330 A KR 20050072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means
receiver
control unit
failure
centr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5444B1 (ko
Inventor
타나베타케시
정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5881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7233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444B1/ko
Priority to CN 200410033388 priority patent/CN1637670A/zh
Priority to EP20040252098 priority patent/EP1553535B1/en
Priority to DE200460011462 priority patent/DE602004011462T2/de
Priority to JP2005001946A priority patent/JP2005196792A/ja
Publication of KR20050072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2Indicating arrangements
    • H03J1/025Indicating arrangements with voiced announc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빌딩설비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장감지부와, 상기 고장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고장보고를 송신하는 로컬제어부와, 각 빌딩설비별 소정의 이상통지를 수신할 수신자와 수신서열이 정해진 상기 수신자의 수신수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로컬제어부로부터 상기 고장보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모리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보고가 된 빌딩설비의 수신자의 선순위 수신수단에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수단은 수신된 상기 이상통지를 상기 수신자가 확인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로 수신확인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선순위 수신수단에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고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동안 상기 선순위 수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신확인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후순위 수신수단으로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담당 엔지니어가 빌딩설비의 고장사실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빌딩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remote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equipment}
본 발명은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은 분산되어 있는 복수개의 빌딩설비의 동작상태, 고장여부 등을 원격으로 감시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도1은 종래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100)은 복수의 고장감지부(101a~101f), 로컬제어부(102) 및 중앙제어부(103)를 갖고 있다.
고장감지부(101a~101f)는 빌딩설비(104a~104f)의 고장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빌딩설비(104a~104f)는 도어, 공기정화기, 냉난방기,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과 같은 빌딩이용의 편의를 위한 설비이다.
로컬제어부(102)는 복수의 고장감지부(101a~101f)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빌딩설비(104a~104f)의 고장보고를 송신한다.
중앙제어부(103)는 로컬제어부(102)로부터 고장보고를 수신한 경우 빌딩설비(104a~104f)의 고장점검 및 수리를 담당하는 당해 엔지니어에게 고장사실을 알린다. 각 엔지니어는 고유의 전화와 이메일 주소 등의 수신수단(105a~105c)을 가지고 있다. 중앙제어부(103)는 고장보고에 기초하여 적정한 엔지니어의 수신수단(105a~105c)으로 고장사실을 송신한다.
그런데 종래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100)은 엔지니어가 고장사실을 확인하였는지 중앙제어부(103)가 알 수 없었다. 또한 엔지니어가 수신수단(105a~105c)을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 중앙제어부(103)는 엔지니어에게 고장사실을 알릴 수 없었다. 이로 인해 긴급을 요하는 고장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빌딩설비의 고장사실을 엔지니어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빌딩설비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장감지부와, 상기 고장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고장보고를 송신하는 로컬제어부와, 각 빌딩설비별 소정의 이상통지를 수신할 수신자와 수신서열이 정해진 상기 수신자의 수신수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로컬제어부로부터 상기 고장보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모리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보고가 된 빌딩설비의 수신자의 선순위 수신수단에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수단은 수신된 상기 이상통지를 상기 수신자가 확인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로 수신확인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선순위 수신수단에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고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동안 상기 선순위 수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신확인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후순위 수신수단으로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후순위 수신수단으로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고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선순위 수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신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후순위 수신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수신확인정보의 수신대기를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빌딩설비 관리시스템의 상기 메모리는 수신서열이 정해진 빌딩설비별 상기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선순위 수신자의 모든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신확인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후순위 수신자의 상기 선순위 수신수단으로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후순위 수신자의 상기 수신수단으로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확인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동안 상기 선순위 수신자의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신확인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후순위 수신자로부터의 상기 수신확인정보의 수신대기를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신수단은 전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전화기에 소정의 음성메시지로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1)은 고장감지부(10a~10f), 로컬제어부(20), 메모리(30) 및 중앙제어부(40)를 갖고 있다.
고장감지부(10a~10f)는 빌딩설비(50a~50f)의 고장여부를 감지하고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빌딩설비(50a~50f)는 도어, 공기정화기, 냉난방기,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과 같은 빌딩이용의 편의를 위한 설비이다. 그래서 고장감지부(10a~10f)는 빌딩설비(50a~50f)의 고장원인, 고장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고장감지부(10a~10f)는 빌딩설비(50a~50f)에 따라 스위칭 장치, 온도센서, 공기필터, 전기공급 감지장치, 차단기 등일 수 있다.
로컬제어부(20)는 고장감지부(10a~10f)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고장보고를 송신한다. 여기서 고장보고는 고장이 발생한 빌딩설비(50a~50f), 고장의 증상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고장 발생시 고장사실을 수신할 엔지니어 및 그 수신수단(60a~62c)에 대한 정보를 각 빌딩설비(50a~50f)별 혹은 고장증상별로 저장하고 있다. 도3은 빌딩설비별 이상통지를 수신할 수신자(60d, 61d, 62d) 및 수신서열을 갖는 수신수단(60a~62c)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트리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각 빌딩설비(50a~50f)의 점검 및 수리를 담당하는 엔지니어가 수신자(60d, 61d, 62d)로 저장되고, 하부에 수신수단(60a~62c)이 수신서열을 갖고 링크되어 있다.
여기서 수신수단(60a~62c)은 수신된 소정의 이상통지를 수신자(60d, 61d, 62d)가 확인하는 경우 수신확인정보를 송신한다. 수신수단(60a~62c)은 통신의 방법에 따라 다른 장치가 사용된다. 이상통지의 송신방식이 인터넷을 이용한 메일송신인 경우 수신수단(60a~62c)은 컴퓨터 단말기가 될 것이다. 한편 수신수단(60a~62c)이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수단인 경우 이상통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나 음성메시지로 전달될 수 있다.
중앙제어부(40)는 로컬제어부(20)로부터 고장보고를 수신한 경우 메모리(30)로부터 적정한 수신자(60d, 61d, 62d) 및 선순위 수신수단(60a,61a,62a)을 검색하여 이상통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선순위 수신수단(60a,61a,62a)은 수신자(60d, 61d, 62d)가 수신된 이상통지를 확인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선순위 수신수단(60a,61a,62a)은 수신자(60d, 61d, 62d)가 이상통지를 확인하는 경우 중앙제어부(40)로 수신확인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중앙제어부(40)는 이상통지를 송신한 후 타이머를 작동하고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수신확인정보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한다. 대기시간 동안 수신확인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중앙제어부(40)는 메모리(30)를 통해 다음 순위의 수신수단(60b,61b,62b)을 검색한다. 그리고 중앙제어부(40)는 검색된 수신수단(60b,61b,62b)으로 이상통지를 송신한다.
이상통지를 수신한 후순위 수신수단(60b,61b,62b)에 대하여 동일한 과정이 반복된다. 만약 후순위 수신수단(60b,61b,62b)에서 수신확인정보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중앙제어부(40)는 다음 순위의 수신수단(60c,61c,62c)으로 이상통지를 송신하게 될 것이다.
후순위 수신수단(60c,61c,62c)으로부터의 수신확인정보의 수신을 체크하는 도중에, 선순위 수신수단(60a,60b,61a,61b,62a,62b)으로부터 수신확인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엔지니어에게 이상통지가 전달된 것으로 간주하고 수신확인정보의 수신대기를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한 엔지니어에 대한 모든 수신수단(60a~62c)으로부터 수신확인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모든 수신수단(60a~62c)으로 재차 이상통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상통지의 재송신이 담당 엔지니어의 이상통지 확인을 보장해줄 수는 없다.
이를 위해 메모리(30)는 수신서열을 갖는 복수의 엔지니어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빌딩설비(50a~50f)별 혹은 고장증상별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빌딩설비별 이상통지를 수신할 수신서열을 갖는 수신자 및 수신수단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트리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중앙제어부(40)는 빌딩설비A에 대하여 수신서열에 따라 수신자A1에게 이상통지를 송신한다. 이 때, 중앙제어부(40)는 수신자A1에 링크되어 있는 수신수단에 대하여 수신서열에 따라 이상통지를 송신한다.
최하순위 수신수단A3으로부터 수신확인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중앙제어부(40)는 다음 순위의 수신자를 검색한다. 중앙제어부(40)는 후순위 수신자A2의 수신수단에 대하여 수신서열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상통지를 송신하고 선순위 수신자에 대한 과정을 반복한다.
그런데 후순위 수신자에 대한 이상통지의 송신 후 수신확인정보의 수신대기상태에 있는 동안 선순위 수신자의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확인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담당 엔지니어에게 이상통지의 송신 목적이 달성된 것으로 보고, 후순위 수신자에 대한 대기상태를 종료한다. 아울러 후순위 수신자에 대하여 선순위 수신자에 대한 이상통지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릴 필요가 있다.
메모리(30)에 저장되는 수신자 및 수신수단에 대한 정보 및 수신서열은 가변될 수 있다. 예컨대, 수신수단으로서 엔지니어의 개인 핸드폰의 전화번호가 변경되는 경우, 중앙제어부(40)는 엔지니어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수령하여 메모리의 데이터를 변경한다. 또한 엔지니어의 수신서열은 담당 엔지니어들의 근무일정을 토대로 재편될 수 있다.
도3과 도4의 빌딩설비(50a~50f)별로 저장된 데이터는 그 고장증상에 따라 더욱 세분화되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을 빌딩설비별로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담당 엔지니어가 빌딩설비의 고장사실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3은 빌딩설비별 이상통지를 수신할 수신자 및 수신서열을 갖는 수신수단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트리상태로 도시한 것,
도4는 빌딩설비별 이상통지를 수신할 수신서열을 갖는 수신자 및 수신수단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트리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f, 101a~101f : 고장감지부
20, 102 : 로컬제어부
30 : 메모리
40, 103 : 중앙제어부
50a~50f, 104a~104f : 빌딩설비
60a~62c, 105~105c : 수신수단

Claims (5)

  1.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빌딩설비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장감지부와,
    상기 고장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고장보고를 송신하는 로컬제어부와,
    각 빌딩설비별 소정의 이상통지를 수신할 수신자와 수신서열이 정해진 상기 수신자의 수신수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로컬제어부로부터 상기 고장보고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모리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보고가 된 빌딩설비의 수신자의 선순위 수신수단에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수단은 수신된 상기 이상통지를 상기 수신자가 확인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로 수신확인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선순위 수신수단에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고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동안 상기 선순위 수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신확인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후순위 수신수단으로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후순위 수신수단으로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고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선순위 수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신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후순위 수신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수신확인정보의 수신대기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수신서열이 정해진 빌딩설비별 상기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선순위 수신자의 모든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신확인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후순위 수신자의 상기 선순위 수신수단으로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후순위 수신자의 상기 수신수단으로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확인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동안 상기 선순위 수신자의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신확인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후순위 수신자로부터의 상기 수신확인정보의 수신대기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전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전화기에 소정의 음성메시지로 상기 이상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원격관리시스템.
KR1020040000721A 2004-01-06 2004-01-06 빌딩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 KR10059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721A KR100595444B1 (ko) 2004-01-06 2004-01-06 빌딩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
CN 200410033388 CN1637670A (zh) 2004-01-06 2004-04-07 建筑设备的远程管理系统
EP20040252098 EP1553535B1 (en) 2004-01-06 2004-04-08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installations
DE200460011462 DE602004011462T2 (de) 2004-01-06 2004-04-08 Fernverwaltungssystem für Installationen in Gebäuden
JP2005001946A JP2005196792A (ja) 2004-01-06 2005-01-06 ビル設備の遠隔管理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721A KR100595444B1 (ko) 2004-01-06 2004-01-06 빌딩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330A true KR20050072330A (ko) 2005-07-11
KR100595444B1 KR100595444B1 (ko) 2006-07-03

Family

ID=3458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721A KR100595444B1 (ko) 2004-01-06 2004-01-06 빌딩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53535B1 (ko)
JP (1) JP2005196792A (ko)
KR (1) KR100595444B1 (ko)
CN (1) CN1637670A (ko)
DE (1) DE602004011462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7112A1 (ko) * 2009-04-09 2010-10-14 이화준 구내 감시 시스템
KR20220143199A (ko) * 2021-04-15 2022-10-25 에스엔시스(주)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6624A (zh) * 2016-08-22 2016-11-02 安徽瑞宏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智能化管理系统
JP7111576B2 (ja) * 2018-10-09 2022-08-0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とビル設備の監視システム
WO2020159922A1 (en) * 2019-01-31 2020-08-06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Notification and task management system
CN112731872A (zh) * 2020-12-18 2021-04-30 广东智源信达工程有限公司 智能建筑设备故障监测信号与物业管理联动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601941A (en) * 1977-03-04 1981-11-04 Post Office System for transmitting alarm information over telephone lines
US5381527A (en) * 1991-11-13 1995-0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efficient message distribution by succesively selecting and converting to an alternate distribution media indicated in a priority table upon preferred media failure
US5754111A (en) * 1995-09-20 1998-05-19 Garcia; Alfredo Medical alerting system
CN1169032C (zh) * 1996-11-29 2004-09-29 松下电工株式会社 建筑物自动监控系统
KR19990070211A (ko) * 1998-02-18 1999-09-15 이종수 원격감시 엘리베이터의 고장대응장치 및 방법
US6437691B1 (en) * 1999-01-09 2002-08-20 Heat-Timer Corporation Electronic message delivery system utilizable in the monitoring of remote equipment and method of same
KR20010000272A (ko) * 2000-09-01 2001-01-05 박인표 건물 자동화 관리 시스템
US6400265B1 (en) * 2001-04-24 2002-06-04 Microstrategy,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ecurity systems by using video images
WO2002093886A2 (en) * 2001-05-15 2002-11-21 Avaya Technolog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otification and respon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7112A1 (ko) * 2009-04-09 2010-10-14 이화준 구내 감시 시스템
KR20220143199A (ko) * 2021-04-15 2022-10-25 에스엔시스(주)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11462T2 (de) 2009-02-12
EP1553535B1 (en) 2008-01-23
JP2005196792A (ja) 2005-07-21
EP1553535A1 (en) 2005-07-13
CN1637670A (zh) 2005-07-13
KR100595444B1 (ko) 2006-07-03
DE602004011462D1 (de)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6031B1 (en) Error management system of air conditioner
JP2012030903A (ja) エレベーターの通信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100595444B1 (ko) 빌딩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
KR100832324B1 (ko) 전력계통 감시 장치
US201100408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ort automation
KR20110017979A (ko) 에스엠에스 문자메세지를 이용한 빌딩통합관리시스템
KR100904089B1 (ko) 자동회선 절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02084A (ja) 携帯電話端末を利用した遠隔保守システム及び遠隔保守方法
KR20090043872A (ko) 공기조화기의 에러관리 시스템
JPH09261374A (ja) 集合住宅集中監視システム
JP3336214B2 (ja) ビルの遠隔管理装置
JP3064681B2 (ja) 遠隔監視装置
JP2005244596A (ja) ビル設備遠隔監視システム
JP402905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監視システム
JPH1017415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CN117376217A (zh) 通信故障监测系统及方法
JP2011041139A (ja) 無線内線電話システム
JP2021026284A (ja) 火災報知設備及び火災報知設備のリニューアル方法
KR20110042493A (ko) 무선망을 이용하는 가입자 단말장치의 장애체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340024A (ja) 遠隔地設置装置、または遠隔地設置装置統合監視装置
KR20050066081A (ko) 빌딩설비 원격제어시스템
JP2004236176A (ja) 監視システム
JPH1041901A (ja) 監視制御装置
JP5367756B2 (ja) 通信アダプタ
JP2006217052A (ja) 監視センターの回線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