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317A -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317A
KR20050071317A KR1020040023409A KR20040023409A KR20050071317A KR 20050071317 A KR20050071317 A KR 20050071317A KR 1020040023409 A KR1020040023409 A KR 1020040023409A KR 20040023409 A KR20040023409 A KR 20040023409A KR 20050071317 A KR20050071317 A KR 20050071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embers
connection member
side member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2468B1 (ko
Inventor
탁태식
Original Assignee
동남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남정공(주) filed Critical 동남정공(주)
Publication of KR20050071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어느 장소에서든지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배설(配設)되는 케이블의 표면 손상을 없게 하는 구조를 갖게 한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한 소정 길이를 갖는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사이드부재들을 횡설하는 상태로 배치하여 그 양단이 사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한 수평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한 케이블 지지대;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인접하는 단부에 설치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연결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구비한 장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서 케이블(Cable)의 배선 작업시 사용하는 케이블 지지대를 어느 장소에서든지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배설(配設)되는 케이블의 표면 손상을 없게 하는 구조를 갖게 한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의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는 전원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장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설되며, 특히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 케이블 트레이(Tray)를 사용하여 천정 등의 벽체를 따라서 배치함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는 작업상의 편리성이나 운반 등의 편리성을 위해 자체 중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는 강재를 일일히 절단한 후, 이를 프레스기에 의해 절곡부와 구멍을 설치하고, 이들을 다시 조합 후 용접을 통하여 완성품을 만들고, 이어서 부식 방지를 위한 도금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작업 공정수로 인한 생산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강재로 인한 무게의 증가는 천정 벽면 등 공중으로 운반 이동하여 설치하는 작업 특성상 많은 노동력을 소요 되게 하는 작업상의 불편을 초래하고, 선박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설치 길이에 대응하여 평균적으로 10000m ~ 20000m의 길이에 해당하는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기 때문에 선박의 전체 무게 관리에 큰 영향을 주게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느 장소에서든지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배설(配設)되는 케이블의 표면 손상을 없게 하는 구조를 갖게 한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한 소정 길이를 갖는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사이드부재들을 횡설하는 상태로 배치하여 그 양단이 사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한 수평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한 케이블 지지대;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인접하는 단부에 설치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연결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구비한 장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부재들은 평판 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부재들은 사각봉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부재들은 내측으로 요입하게 형성한 반원형 혹은 반사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요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평판 형상, 사각봉 형상, 및 어느 일측이 개구되게 절곡한 사각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부재들은 알루미늄 재질의 압출 성형품이고, 양측 단부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외측으로 벌어지게 절곡된 경사면과, 그 경사면의 단부에서 소정 각도를 이루며 다시 내측으로 좁아지게 절곡된 경사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지지대를 벽체에 현가하기 위한 지지바를 더 구비하고, 그 지지바는 "ㄱ" 형상의 단면구조이며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Slot Hole)을 형성하여 상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은,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한 소정 길이를 갖는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사이드부재들을 횡설하는 상태로 배치하여 그 양단이 사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한 수평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한 케이블 지지대;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인접하는 단부에 설치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사이드부재들에 대해 직교하는 외측 방향으로 케이블 지지대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연결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구비한 장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형성한 연결부재와, 그 연결부재에 외측방향으로 직교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보조수평부재들로 일체화 된 보조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평판 혹은 수평면과 수직면을 갖도록 이루게 절곡한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은,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한 소정 길이를 갖는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사이드부재들을 횡설하는 상태로 배치하여 그 양단이 사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한 수평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한 케이블 지지대;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인접하는 단부에 설치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반원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 및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연결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부재들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형성한 장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은,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한 소정 길이를 갖는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사이드부재들을 횡설하는 상태로 배치하여 그 양단이 사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한 수평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한 케이블 지지대;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보조수평부재들에 의해 일체로 고정됨과 동시에 소정 각도의 곡면을 이루게 절곡되어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인접하는 단부에 설치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소정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연결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구비한 장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좌우상하 중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곡면을 이루게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은,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한 소정 길이를 갖는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사이드부재들을 횡설하는 상태로 배치하여 그 양단이 사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한 수평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한 케이블 지지대;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함과 동시에 어느 하나에는 경사절곡부를 구비하여 보조수평부재들에 의해 일체로 고정시 양측 단부의 폭을 달리하여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케이블 지지대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연결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구비한 장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바를 이용하여 천장에 현가하기 위해 그 천장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도록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수평부재(102)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사이드부재(110a)들로 이루어진 케이블 지지대(1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과 상기 수평부재(102)들의 결합은 일반적인 용접이나 끼움 맞춤에 의해서 실행되는데, 어느 것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은, 전 길이에 걸쳐 그 길이 방향의 각 모서리부에 곡면을 갖는 사각봉 형상을 이루게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그 사이드부재(110a)들의 측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장공(Slot)(31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이드부재(110a)의 제작은 상기 제1장공(312)들을 형성한 상태에서 사각봉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는 것에 의해 길이 방향의 각 모서리부에 곡면을 갖게 제작한다.
이와 같이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을 사각봉 형상으로 제작하게 되면 그 사이드부재(110a)들의 각 모서리부가 곡면을 이루게 됨에 따라 케이블의 설치시 케이블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의 단면 형상은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사각봉 형상을 이루게 형성할 수 있으며, 뒤에서 설명하는 도 5 ~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여러 형상을 갖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부재(102)에 대한 구성은 도 3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도 2표시의 B-B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수평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수평부재에 대한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표시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102)는 알루미늄으로 연속하여 압출 성형된 제품으로, 상부에는 케이블의 결속밴드를 결속함에 사용하는 구멍(103)이 형성된 기판(基板)부(102a)와, 그 기판부(102a)의 양단에서 연속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102b)에 의해서 몸체를 이루며, 또한 상기 경사부(102b)의 양단에는 내측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절곡된 경사단부(102c)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수평부재(102)의 양단에 형성한 경사부(102b) 및 경사단부(102c)는 상기 수평부재(102)의 끝을 보강하여, 전체적으로 수평부재(102)로 하여금 보강력을 갖게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02)는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함과 아울러 그 기판부(102a)에는 다수개의 구멍(103)들을 설치한 구조에 의해, 상기 수평부재(102)의 무게를 줄여주는 경량성을 갖게 한다.
이와 같은 수평부재(102)는 도 4의 표시와 같이, 상기 경사부(102b)의 양단에 내측으로 형성한 경사단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러한 수평부재(102) 역시 상기 경사부(102b)에 의해서 수평부재(102)의 끝을 보강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 경량성을 갖게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02)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그 수평부재(102)들에 의해 일체로 설치되는 사이드부재(110a)들은 지지바(Support)에 의해 천장에 현가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뒤에서 도 25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케이블 지지대의 제1변형예에서는, 상기 사이드부재(110b)들의 단면 형상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변형예에 의한 사이드부재(110b)들은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내측면을 요입하게 반사각 형상의 요홈(114)을 더 형성하여 그 상하부측에 각각 사각형상의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제1변형예에 의한 사이드부재(110b)들 역시 각 모서리부가 라운드를 이룸에 따라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케이블 지지대의 제2변형예 역시 상기 사이드부재(110c)의 단면 형상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상기 제2변형예에 의한 사이드부재(110c)는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내측면을 요입하게 반원 형상의 요홈(116)을 더 형성하여 그 상하부측에 각각 소정 형상의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제2변형예에 의한 사이드부재(110c) 역시 각 모서리부가 라운드를 이룸에 따라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E-E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케이블 지지대의 제3변형예에서는, 상기 사이드부재(110d)를 사각봉 형상이 아닌 평판 형상의 판넬로 형성한 것이 위 변형예들과 차이점이다. 이러한 제3변형예는 상기 사이드부재(110d)의 무게를 줄여, 케이블 트레이의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다. 또한, 평판 형상의 판넬로 이루어지는 제3변형예에 의한 사이드부재(110d)는 상하단부의 각 모서리부를 곡면을 갖도록 처리함에 따라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변형예들에 따른 상기 사이드부재(110a,110b,110c,110d)들을 소정 방향으로 연장 설치할 수 있게 그 사이드부재(110a,110b,110c,110d)들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20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200)의 측면부에는 상기 제1장공(312)과의 취부에 사용되는 제2장공(314)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200)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 11 ~ 도 12에 표시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표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10)는 상기 사이드부재(110a)의 단부에 위치되어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게 하부가 개구(212)된 사각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10)는, 사이드부재(110a)의 상부에서 안착되어 사이드부재(110a)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연결부재(210)에 의한 연결 작업 후에도 견고한 상태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10)는 그 측면부에 상기 사이드부재(110a)에 형성되어 있는 제1장공(312)들과의 취부에 사용되는 제2장공(314)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제2장공(312,314)들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210)와 사이드부재(110a)는 체결구(410)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체결한다. 이 체결구(410)는 제1,제2장공(312,314)들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210)와 사이드부재(110a)들을 착탈되게 나사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구(410)로는 볼트(412)와 너트(414)를 이용함이 좋은데, 상기 볼트(412)에 대한 일 예를 13a와 도 13b에 나타내었다.
도 13a와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와 연결부재를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한 볼트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볼트(412)에는 제1장공(312) 혹은 제2장공(314)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게 하기 위해 사각 면을 이루는 평면부(412a)를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평면부(412a)가 상기 제1장공(312) 혹은 제2장공(314)에 끼움된 상태에서는 상기 볼트(412)가 회전되지 않게 함으로서, 그 볼트(412)에 체결되는 너트(414)의 체결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으며, 또 견고한 상태의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410)는 상기 사이드부재(110a)의 단부에 연결부재(210)를 끼워지게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그 사이드부재(110a)의 측면부에 형성한 제1장공(312)과 상기 연결부재(210)의 측면부에 형성한 제2장공(314)을 일치되게 하여 상기 제1,제2장공(312,314)들을 통해 상기 체결구(410)의 볼트(412)와 너트(414)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이드부재(110a)들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연결부재(210)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을 일직선상으로 길게 연장하여 그 사이드부재(110a)들의 길이를 연장되게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을 필요한 길이로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는 도 25 ~ 도 2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04)에 의해 천장에 현가되게 설치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100)들을 연결하기 위한 제2실시예의 연결부재(220)는,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그 사이드부재(110a)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20)는 상기 사이드부재(110a)에 형성되어 있는 제1장공(312)과의 취부에 사용하기 위한 제2장공(31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20)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의 단부가 삽입되게 하여 설치될 때 상기 사이드부재(110a)의 단부를 완전하게 감싸게 됨에 따라 위 실시예와 같이 견고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표시의 F-F선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6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100)들을 연결하기 위한 제3실시예의 연결부재(230)는, 상기 사이드부재(110d)들의 측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으며 그 상하단부는 상기 사이드부재(110d)의 상하부를 감쌀 수 있게 직각으로 절곡 형성한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30)는 상기 사이드부재(110d)에 형성되어 있는 제1장공(312)과의 취부에 사용하기 위한 제2장공(31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30)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부재(110d)들을 연결하기 위해 체결구(410)에 의해 설치될 때 상기 사이드부재(110d)의 외측면과 상하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하여 설치됨에 따라 설치후의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9a와 도 19b는 도 16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변형예의 연결부재(230a)는, 상하단부 중에서 어느 일측만을 직각으로 절곡 형성한 것으로, 이러한 변형예는 상기 사이드부재(110d)를 상하측 중에서 어느 일측만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표시의 G-G선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0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100)들을 연결하기 위한 제4실시예의 연결부재(240)는, 상기 사이드부재(110d)들의 측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평판 형상의 판넬로 이루어져 상기 사이드부재(110d)에 측면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40)에는 상기 사이드부재(110d)에 형성되어 있는 제1장공(312)과의 취부에 사용하기 위한 제2장공(3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340)의 각 모서리부에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곡면(342)을 이루게 형성하여 모서리부의 뾰족함으로 인한 케이블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100)들을 연결하기 위한 제5실시예의 연결부재(250)는,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의 외측에 위치되게 반원형상의 판넬로 이루어지며, 그 판넬에는 상기 사이드부재(110a)에 형성되어 있는 제1장공(312)과의 취부에 사용하기 위한 제2장공(314)들이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5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50)에 의하면, 연장되게 연결 설치되는 사이드부재(110a)들의 높이차가 있을 경우 사이드부재(110a)들의 높이차에 따른 소정의 경사부를 이루며 사이드부재(110a)들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즉, 제5실시예의 연결부재(250)에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2장공(314)의 각도에 의해 사이드부재를 경사지게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5실시예의 연결부재(250)는,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의 설치 공간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100)의 높이 차가 발생될 경우 그 높이차에 따른 경사부를 이루며 연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250)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장공(314)들 중에서 그 높이차에 따른 경사부에 대응하는 제2장공(314)을 선택하여 연결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25는 위 실시예들에 의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도 26은 도 25표시의 평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대(100)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의 길이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일예로써,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의 길이를 최대 2.4M로 결정하였을 경우 상기 지지바(104)의 거리는 NEMA VE 1-7998 규정에 의거 2.4M 이내에서 형성하도록 되며, 상기 연결부재(200)에 의해 사이드부재(110a)가 연결된다.
도 2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수평부재(102)들의 양측에 사이드부재(110a)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셋트(SET)를 이루는 케이블 지지대(100)의 좌,우측에 각각 한 개의 지지바(104)를 설치하여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바(104)는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한 연결부재(210)의 근접한 곳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내구력에 견딜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104)를 케이블 지지대(110a)에 각각 4개 이상 설치하였던 종래 기술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104)를 2개로 결정하여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중량 감소 및 원가 절감, 제작, 설치 공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Support)(104)는 직교하게 절곡된 형상의 단면 구조로써, 일정한 간격으로 제3장공(Slot Hole)(105)을 형성하여 상하 위치결정이 용이하도록 체결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제3장공(105)에 의해 중량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제작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8은 도 27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의 연결부재(260)는, 상기 연결부재(260)를 좌측과 우측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 곡면을 갖도록 절곡 형성하여 케이블 지지대(100)를 좌우측 방향 중에서 임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60)는 사이드부재(110a)에 대하여 좌측 혹은 우측방향으로 절곡되게 케이블 지지대(1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절곡되는 각도는 30ㅀ~ 90ㅀ사이에서 다양한 곡각 지점을 이루게 절곡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60)에 의해 협소한 공간에서 케이블 지지대(1000)의 설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60)의 측면부에도 상기 사이드부재(110a)의 제1장공(312)들과의 취부에 사용되는 제2장공(314)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60)는,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대한 연결부재(210)를 이용하여 사이드부재(110a)들에 간격에 대응되게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하여 설치하고, 그 사이에 보조수평부재(262)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게 구비한 것이다. 상기 보조수평부재(262)에 의해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는 케이블들을 고정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조수평부제(262)는 위에서 설명한 수평부재(10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6실예에 따른 연결부재(260)는,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를 원하는 임의 방향으로 즉, 좌우측 방향 중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다른 사이드부재를 연결 설치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의 케이블 트레이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도 29는 도 27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6실시예에 따른 변형예의 연결부재(260a)는, 위 제6실시예에서 사이드부재(110a)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치한 연결부재의 형상을 앞에서 설명한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이용하여 사이드부재(110a)들에 간격에 대응되게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하여 설치한 것에 차이가 있다. 그 외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위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1은 도 30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7실시예의 연결부재(270)는,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 곡면을 갖도록 절곡 형성하여 케이블 지지대(100)를 상측과 하측의 어느 한 방향 중에서 임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7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70)에 의해 케이블 지지대(100)를 상부 혹은 하부방향 중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절곡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절곡되는 각도는 90ㅀ의 곡각 지점을 이루게 절곡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7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70)에 의해 협소한 공간에서 케이블 지지대의 설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7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80)의 측면부에도 상기 사이드부재(11a)의 제1장공(312)들과의 취부에 사용되는 제2장공(314)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7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70)는 위 제6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에 대응되는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보조수평부재(272)들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게 구비함이 좋다. 상기 보조수평부재(272) 역시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시 케이블을 고정지지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수평부재(10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제7실예에 따른 연결부재(270)는,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를 원하는 임의 방향으로 즉, 상하부 방향 중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다른 사이드부재를 연결 설치할 수 있다.
도 32는 도 30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7실시예에 따른 제1변형예의 연결부재(270a)는, 위 제7실시예에서 사이드부재(110a)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치한 연결부재의 형상을 앞에서 설명한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이용하여 사이드부재(110a)들에 간격에 대응되게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하여 설치한 것에 차이가 있다. 그 외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위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33은 도 30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7실시예에 따른 제2변형예의 연결부재(270b)는, 위 제7실시예와 제1변형예와는 달리 절곡된 방향에 차이가 있다. 즉, 제7실시예와 제1변형예에서는 내측으로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데, 본 제2변형예에서는 외측으로 향하도록 절곡 되어 있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또한, 사이드부재(110a)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치한 연결부재의 형상은 앞에서 설명한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이용하여 사이드부재(110a)들에 간격에 대응되게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하여 설치한 것이다. 그 외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위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에 대한 제8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연결부재(280)에 외측 방향으로 보조연결부재(282)가 더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부재(110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 다른 사이드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를 "T"자 형상으로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80)는 그 연결부재(280)의 외측 방향으로 또 다른 사이드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상기 사이드부재들에 대응되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보조연결부재(282)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보조연결부재(282)의 사이에 보조수평부재(284)가 일체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수평부재(294)에 의해 케이블을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조수평부재(282)의 구성은 위에서 수평부재(10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8실시예에 대한 연결부재(280)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부재(110a)의 상면과 외측면에 접촉되게 수평면과 수직면을 갖도록 "ㄱ"형상으로 절곡한 단면을 갖으며, 그 연결부재(280)의 외측으로 설치된 보조연결부재(282)는 하부가 개구된 형상이다. 즉,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연결부재 형상을 소정 곡면을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80)와 보조연결부재(282)의 측면부에는 각각 제2장공(314)들이 형성되어 사이드부재(110a)의 제1장공(312)들과 취부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제8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280)가 "ㄱ" 형상의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사이드부재(110a)의 임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부재(110a)들의 내측으로는 수평부재(102)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수평부재(102)에 영향을 받지 않고 좌우 방향의 임의 위치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80)에 의해 상기 사이드부재(110a)의 임의 위치에서 "T"자 형상으로 케이블 지지대(10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280)를 2개 사용하게 되면 "+"자 형상(Cross)으로 케이블 지지대를 연결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6은 도 34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변형예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7은 도 36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8실시에에 따른 제1변형예에서는 상기 사이드부재(110d)에 설치되는 연결부재(280a)의 형상을 제4실시예에 대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그 외측 방향으로 보조연결부재(282a)를 설치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 의한 연결부재(280)는 위 제8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도 38은 위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부재들을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8에는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10)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를 길이 방향에 대하여 길게 연장되게 설치하고, 또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80)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 다른 케이블 지지대를 설치하여, 지지바(104)에 의해 천장에 현가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의 상부에 배선 작업시 사용하는 케이블(C)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들에 의해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할 경우에는 도 38에 나타낸 연결부재들 뿐만 아니라 다른 연결부재들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39는 도 34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변형예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0은 도 34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8실시에에 따른 제2변형예에서는 상기 사이드부재(110d)에 설치되는 연결부재(280b)의 형상을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그 외측 방향으로 보조연결부재(282b)를 설치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 의한 연결부재(280b)는 위 제8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도 41은 위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부재들을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1에는 위에서 설명한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10)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를 길이 방향에 대하여 길게 연장되게 설치하고, 또 제8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연결부재(280b)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 다른 케이블 지지대를 설치하여, 지지바(104)에 의해 천장에 현가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의 상부에 배선 작업시 사용하는 케이블(C)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들에 의해 상기 케이블 지지대(100)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할 경우에는 도 41에 나타낸 연결부재들 뿐만 아니라 다른 연결부재들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9실시예의 연결부재(290)는,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사이드부재(110a)들의 간격이 서로 다를 경우 즉,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9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90)는, 상기 제1실시예의 의한 2개의 연결부재들을 보조수평부재(292)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한 것으로, 어느 일측단은 간격이 좁게, 그리고 다른 일측단은 간격이 넓게 하기 위해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에 경사절곡부(294)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90)의 측면부에는 사이드부재(110a)에 구비된 제1장공(312)과의 취부에 사용하기 위한 제2장공(314)들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9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290)에 의해 폭이 다른 케이블 지지대들의 연결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43은 도 42표시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대한 제1변형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290a)의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제9실시예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일측단의 폭이 좁고 우측에 위치하는 다른 일측단의 폭이 넓게 구성되어 있으며, 본 제1변형예에서는 좌측에 위치하는 일측단의 폭이 넓고 우측에 위치하는 다른 일측단의 폭이 좁게 구성된 것에 차이점이 있다.
도 44는 위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5는 도 44표시의 H-H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4에는 상기 제9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290)를 이용하여 폭이 다른 케이블 지지대(1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7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270)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100)를 수직 방향으로 직교하게 연결하고, 제2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220)를 이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연결하도록 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6은 도 42표시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7은 도 42표시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9실시예에 따른 변형예들에서는, 상기 사이드부재에 설치되는 연결부재(290b,290c)의 형상을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한 연결부재를 이용한 것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한 제9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도 48은 위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8에는 상기 제9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한 연결부재(290b)를 이용하여 폭이 다른 케이블 지지대(1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7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의한 연결부재(270a)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100)를 수직 방향으로 직교하게 연결하고, 제24시예에 의한 연결부재(240)를 이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연결하도록 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지지대의 설치시 위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들에 의한 연결부재들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케이블 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다. 즉, 폭이 다른 케이블 지지대의 연결이 가능하게 하고, 또 케이블 지지대의 길이를 길게 연장할 수 있게 연결할 수 있으며, 케이블 지지대의 방향을 변경되게 하여 연결하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장소에서든지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배설(配設)되는 케이블의 표면 손상을 없게 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B-B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수평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수평부재에 대한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E-E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표시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a와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지지대와 연결부재를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한 볼트의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표시의 F-F선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6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a와 도 19b는 도 16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표시의 G-G선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0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5는 위 실시예들에 의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6은 도 25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8은 도 27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7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1은 도 30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0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3은 도 30표시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4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변형예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7은 도 36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8은 위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부재들을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9는 도 34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변형예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0은 도 34표시의 제8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1은 위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부재들을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2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3은 도 42표시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4는 위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5는 도 44표시의 H-H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6은 도 42표시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7은 도 42표시의 제9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8은 위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블 지지대 102 - 수평부재
110a,110b,110c,110d - 사이드부재 200 - 연결부재
312,314 - 제1,제2장공 410 - 체결구

Claims (14)

  1.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한 소정 길이를 갖는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사이드부재들을 횡설하는 상태로 배치하여 그 양단이 사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한 수평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한 케이블 지지대;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인접하는 단부에 설치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연결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구비한 장공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부재들은 평판 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부재들은 사각봉 형상으로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부재들은 내측으로 요입하게 형성한 반원형 혹은 사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요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평판 형상의 판넬, 사각봉 형상, 및 어느 일측이 개구되게 절곡한 사각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들은 알루미늄 재질의 압출 성형품이고, 양측 단부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외측으로 벌어지게 절곡된 경사면과, 그 경사면의 단부에서 소정 각도를 이루며 다시 내측으로 좁아지게 절곡된 경사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대를 벽체에 현가하기 위한 지지바를 더 구비하고, 그 지지바는 "ㄱ" 형상의 단면구조이며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Slot Hole)을 형성하여 상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8.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한 소정 길이를 갖는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사이드부재들을 횡설하는 상태로 배치하여 그 양단이 사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한 수평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한 케이블 지지대;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인접하는 단부에 설치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사이드부재들에 대해 직교하는 외측 방향으로 케이블 지지대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연결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구비한 장공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형성한 연결부재와, 그 연결부재에 외측방향으로 직교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보조수평부재들로 일체화 된 보조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는 평판 혹은 수평면과 수직면을 갖도록 이루게 절곡한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11.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한 소정 길이를 갖는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사이드부재들을 횡설하는 상태로 배치하여 그 양단이 사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한 수평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한 케이블 지지대;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인접하는 단부에 설치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반원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 및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연결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부재들에는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형성한 장공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12.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한 소정 길이를 갖는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사이드부재들을 횡설하는 상태로 배치하여 그 양단이 사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한 수평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한 케이블 지지대;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보조수평부재들에 의해 일체로 고정됨과 동시에 소정 각도의 곡면을 이루게 절곡되어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인접하는 단부에 설치하여 케이블 지지대들을 소정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연결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구비한 장공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좌우상하 중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곡면을 이루게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14.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한 소정 길이를 갖는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사이드부재들을 횡설하는 상태로 배치하여 그 양단이 사이드부재의 내측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한 수평부재들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한 케이블 지지대;
    상기 사이드부재들의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함과 동시에 어느 하나에는 경사절곡부를 구비하여 보조수평부재들에 의해 일체로 고정시 양측 단부의 폭을 달리하여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케이블 지지대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케이블 지지대와 상기 연결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착탈되게 체결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에 각각 구비한 장공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040023409A 2003-12-31 2004-04-06 케이블 트레이 KR100612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569 2003-12-31
KR1020030101569 2003-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317A true KR20050071317A (ko) 2005-07-07
KR100612468B1 KR100612468B1 (ko) 2006-08-16

Family

ID=3726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409A KR100612468B1 (ko) 2003-12-31 2004-04-06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246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060B1 (ko) * 2005-12-07 2006-04-28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폭 조정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및 사용방법
KR100816296B1 (ko) * 2008-01-02 2008-03-24 (주)광명이엔지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WO2009142358A1 (en) * 2008-05-22 2009-11-26 Dongnam Precision Ind.Co., Ltd. Cable tray
KR20160031434A (ko) * 2014-09-12 2016-03-22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케이블 트레이 접합부 및 이음매 판 결합 시스템
WO2017192420A1 (en) * 2016-05-02 2017-11-09 Panduit Corp. Cable mounting system with cable expansion compensation
KR101951829B1 (ko) * 2018-08-06 2019-02-25 조병욱 케이블 트레이
EP3477805A1 (en) * 2017-10-25 2019-05-01 Unex Aparellaje Electrico S.L. Cable ladder corner
KR20190052532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 트레이
EP3633808A1 (en) * 2018-10-02 2020-04-08 Unex Aparellaje Electrico S.L. Cable ladd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811U (ko) * 1995-05-04 1996-12-18 임용선 케이블 배설용 트레이 연결장치
KR200156567Y1 (ko) * 1996-09-06 1999-09-01 임용선 건물내 케이블 배설용 트레이
KR100739662B1 (ko) * 2000-07-18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 및 그를 이용한 송신자확인방법
KR20030000959A (ko) *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20020057931A (ko) * 2002-06-20 2002-07-12 조옥현 향수 자판기
JP4166164B2 (ja) 2004-01-30 2008-10-15 株式会社カメダデンキ 支持材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060B1 (ko) * 2005-12-07 2006-04-28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폭 조정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및 사용방법
KR100816296B1 (ko) * 2008-01-02 2008-03-24 (주)광명이엔지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WO2009142358A1 (en) * 2008-05-22 2009-11-26 Dongnam Precision Ind.Co., Ltd. Cable tray
KR20160031434A (ko) * 2014-09-12 2016-03-22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케이블 트레이 접합부 및 이음매 판 결합 시스템
CN109075547A (zh) * 2016-05-02 2018-12-21 泛达公司 具有缆线膨胀补偿的缆线安装系统
US10008841B2 (en) 2016-05-02 2018-06-26 Panduit Corp. Cable mounting system with cable expansion compensation
WO2017192420A1 (en) * 2016-05-02 2017-11-09 Panduit Corp. Cable mounting system with cable expansion compensation
KR20190002466A (ko) * 2016-05-02 2019-01-08 팬듀트 코포레이션 케이블 팽창 보상을 갖춘 케이블 장착 시스템
CN109075547B (zh) * 2016-05-02 2020-04-07 泛达公司 具有缆线膨胀补偿的缆线安装系统
EP3477805A1 (en) * 2017-10-25 2019-05-01 Unex Aparellaje Electrico S.L. Cable ladder corner
KR20190052532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 트레이
KR101951829B1 (ko) * 2018-08-06 2019-02-25 조병욱 케이블 트레이
EP3633808A1 (en) * 2018-10-02 2020-04-08 Unex Aparellaje Electrico S.L. Cable lad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2468B1 (ko) 200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107B2 (en) Cold rolled channel without clip
KR100612468B1 (ko) 케이블 트레이
US10941570B2 (en) End cap for ceiling panel and ceiling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11296489B2 (en) Support system for electrical boxes
US4493468A (en) Adjustable pipe fastener
KR20110122935A (ko) 본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랙 행거
US8714506B2 (en) Mounting assembly for electrical fixture
JP2022107492A (ja) ボルト支持金具
JP4166164B2 (ja) 支持材
JP2005030167A (ja) 天井構造
KR200347114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KR200223940Y1 (ko) 전선 지지장치
JP5486200B2 (ja) 浴室用吊り架台
JP4369893B2 (ja) バスダクト用固定金具
KR102488206B1 (ko) 건축용 전력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JP6489613B2 (ja) 吊天井の落下防止構造
JPH116238A (ja) 天井用吊架具
JP2014105533A (ja) 建築用取付材及びその外囲体
JP7062257B1 (ja) ボルト支持金具
JP2007146386A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5738603B2 (ja) 建築用パネルと建築部材のための固定金具、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US20240035277A1 (en) Connector bracket for non-rectangular grid
JP2017150186A (ja) 太陽光発電パネル取付フレーム
JP4173417B2 (ja) 建築化粧壁用パネルとそ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施工法並びに建築物の化粧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JP2005299089A (ja) オープン階段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