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305A - 유성기어 변속기와 그 것을 이용한 차량 - Google Patents

유성기어 변속기와 그 것을 이용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305A
KR20050071305A KR1020040004838A KR20040004838A KR20050071305A KR 20050071305 A KR20050071305 A KR 20050071305A KR 1020040004838 A KR1020040004838 A KR 1020040004838A KR 20040004838 A KR20040004838 A KR 20040004838A KR 20050071305 A KR20050071305 A KR 20050071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ing gear
planetary
planetary gea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동환
Original Assignee
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동환 filed Critical 변동환
Publication of KR20050071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30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3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of one piece, e.g. of corrugate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0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outside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4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adapted for selective electrical or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성기어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기가 다양한 동력 전달 방법을 갖게 하기 위하여 제 2태양기어와 복수의 제 1유성기어를 장착한 제 1유성기어 캐리어; 제 1태양기어와 복수의 제 2유성기어를 장착한 제 2유성기어 캐리어; 제 1유성기어 캐리어를 고정 장착한 제 1축; 제 2유성기어 캐리어를 축방향으로 병진 가능하게 스플라인 장착한 제 2축; 하우징 내벽에서 분리되어 회전 및 축방향으로 병진 가능한 스윙 링기어; 스윙 링기어의 축방향 이동과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을 허용하거나 저지하는 것을 제어하는 링기어 제어 부재; 상기 제 2유성기어 캐리어를 축방향으로 병진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2유성기어 캐리어 제어 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속모드, 증속모드와 변속없이 동력이 전달되는 직결모드 및 동력 전달이 차단되는 중립모드를 갖는 유성기어 변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성기어 변속기와 그 것을 이용한 차량{Planetary Gear Transmission and Vehicle using same}
본 발명은 유성기어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기가 다양한 동력 전달 방법을 갖게 하기 위하여 제 2태양기어와 복수의 제 1유성기어를 장착한 제 1유성기어 캐리어; 제 1태양기어와 복수의 제 2유성기어를 장착한 제 2유성기어 캐리어; 제 1유성기어 캐리어를 고정 장착한 제 1축; 제 2유성기어 캐리어를 축방향으로 병진 가능하게 스플라인 장착한 제 2축; 하우징 내벽에서 분리되어 회전 및 축방향으로 병진 가능한 스윙 링기어; 스윙 링기어의 축방향 이동과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을 허용하거나 저지하는 것을 제어하는 링기어 제어 부재; 상기 제 2유성기어 캐리어를 축방향으로 병진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2유성기어 캐리어 제어 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성기어 감속기의 링기어를 주변 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함으로써 좀더 선택적인 동력 전달 방법을 갖는 유성기어 감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에 적용하여 경사길의 등판 및 하강이 보다 용이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유성기어 감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성기어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기가 다양한 동력 전달 방법을 갖게 하기 위하여 제 2태양기어와 복수의 제 1유성기어를 장착한 제 1유성기어 캐리어; 제 1태양기어와 복수의 제 2유성기어를 장착한 제 2유성기어 캐리어; 제 1유성기어 캐리어를 고정 장착한 제 1축; 제 2유성기어 캐리어를 축방향으로 병진 가능하게 스플라인 장착한 제 2축; 하우징 내벽에서 분리되어 회전 및 축방향으로 병진 가능한 스윙 링기어; 스윙 링기어의 축방향 이동과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을 허용하거나 저지하는 것을 제어하는 링기어 제어 부재; 상기 제 2유성기어 캐리어를 축방향으로 병진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2유성기어 캐리어 제어 부재;로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개략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2
한편, 앞에서 개시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성기어 변속기는 링기어가 결합되는 위치를 변화 시킴으로써 유성기어 변속기가 갖는 기어비에 의해 변속되는 변속기능 외에 동력 전달을 차단하거나 변속 없이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양한 용도로 적용 가능하지만 특히 휠체어에 적용하여 경사길의 등판 및 하강을 용이하도록 보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 2단 변속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속 2단 변속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단 유성기어 변속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유성기어 변속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단 유성기어 변속기를 수동 휠체어에 적용한 예에 있어서 개략도.
도 6은 엑슬의 사시도
도 7은 모드 선택 제어부재를 나타낸 하우징의 부분도
도 8은 다른 형태의 모드 선택 제어부재를 나타낸 하우징의 부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laims (11)

  1. 원통형 내벽에 링기어, 링기어의 가운데에 배치된 태양기어, 태양기어와 링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태양기어와 링기어에 각각 계합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 유성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유성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기어 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상기 링기어가 원통형 내벽에 고정 결합되는 제 1위치;
    상기 링기어가 태양기어로부터 확장된 디스크 또는 유성캐리어에 고정 결합되는 제 2위치;
    상기 링기어가 제 1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링기어와 계합된 상기 유성기어를 따라 회전하는 제 3위치;를 갖도록 축방향 이동 가능한 링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변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이동 가능한 링기어는
    제 1위치와 제 2위치에서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 단부에 각각 대향하는 결합부재;를 갖고
    상기 원통형 내벽에 형성된 이동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변속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원통형 내벽을 갖는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홈;
    상기 관통 홈을 지나 외부로 돌출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변속기
  4. 제 2항 및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축방향으로 제어되는 엑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변속기
  5. 제 3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 홈은
    축선과 일정 각을 이루며 길게 형성되어 있고, 링기어가 제 1위치 및 제 2위치에서 결합이 미끄러지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힘을 가하고 유성기어 변속기의 내부 작동에 의해 결합이 스스로 풀리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변속기
  6. 제 2항에 있어서, 링기어가 제 1위치와 제 2위치에서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재는
    태양기어로부터 확장된 디스크 또는 유성캐리어에 형성된 요철형 돌기;
    변속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된 요철형 돌기;
    상기 각각의 요철형 돌기에 대향하여 링기어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요철형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변속기
  7. 제 1항에 있어서, 중심축에 고정되어 외주면에 나선 홈을 갖고 변속 장치의 일측을 감싸고 있는 변속기 하우징;
    양측 단부에 대향되는 부재와 치합되는 요철형 돌기를 갖고, 외주면을 따라 파인 홈과 내부 치차를 갖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의 요철형 돌기에 대향하여 핸드림에서 확장된 디스크 면에 고정 설치된 요철형 돌기와 태양기어를 갖고 휠 허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드림;
    상기 링기어의 요철형 돌기에 대향하여 변속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된 요철형 돌기;
    휠 허브에 고정되어 확장된 유성캐리어에 의해 지지되고 링기어와 태양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유성기어; (감속모델)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 홈과 링기어의 외부 홈에 의해 이동하여 링기어를 제 1 링부재나 제 2 링부재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조작하는 전환 레버;를 갖는 유성기어 변속기;
  8. 제 1항에 있어서, 중심축에 고정되고 변속기를 감싸고 있는 변속기 하우징;
    일측 단부가 하우징의 주면에 장착되고 타측 단부에 요철형 돌기와 외주면에 나선 홈을 갖는 링부재;
    양측 단부에 대향되는 부재와 치합되는 요철형 돌기를 갖고, 외주면을 따라 파인 홈과 내부 치차를 갖는 링기어;
    링기어의 요철형 돌기에 대향하여 핸드림으로부터 확장된 디스크 면에 고정 설치된 요철형 돌기를 갖고 유성기어 캐리어 역활을 하며 휠허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드림;
    휠 허브에 고정되어 확장된 태양기어와 링기어에 치합하고 핸드림에서 확장된 디스크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유성기어; (증속모델)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 홈과 링기어의 외부 홈에 의해 이동하여 링기어를 제 1 링부재나 제 2 링부재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조작하는 전환 레버;를 갖는 유성기어 변속기;
  9. 링기어, 링기어의 가운데에 배치된 태양기어, 태양기어와 링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태양기어와 링기어에 각각 계합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 유성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유성기어 캐리어를 구비하는 유성기어 변속기에 있어서,
    제 2태양기어와 복수의 제 1유성기어를 장착한 제 1유성기어 캐리어;
    제 1태양기어와 복수의 제 2유성기어를 장착한 제 2유성기어 캐리어;
    제 1유성기어 캐리어를 고정 장착한 제 1축;
    제 2유성기어 캐리어를 축방향으로 병진 가능하게 스플라인 장착한 제 2축;
    하우징 내벽에서 분리되어 회전 및 축방향으로 병진 가능한 스윙 링기어;
    스윙 링기어의 축방향 이동과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을 허용하거나 저지하는 것을 제어하는 링기어 제어 부재;
    상기 제 2유성기어 캐리어를 축방향으로 병진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 2유성기어 캐리어 제어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 1태양기어와 상기 제 1유성기어와 하우징에 고정된 상기 스윙 링기어가 이루는 제 1변속모드;
    상기 제 2태양기어와 상기 제 2유성기어와 하우징에 고정된 상기 스윙 링기어가 이루는 제 2변속모드;와 제 1유성기어와 제 2유성기어가 결합하여 같이 회전하여 이루는 변속 없는 직결모드; 및 자유회전하는 링기어가 어느 한 유성기어와 결합하여 이루는 중립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변속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제 1유성기어 캐리어를 고정 장착한 제 1축은 차량의 허브;
    제 2유성기어 캐리어를 축방향으로 병진 가능하게 스플라인 장착한 제 2축은 차량의 바퀴와 분리된 핸드림;
    하우징 내벽에서 분리되어 회전 및 축방향으로 병진 가능한 스윙 링기어는 외측면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원추 마찰면을 갖는 스윙 링기어;이며,
    프레임에 회전하지 않게 지지되고 상기 허브를 관통하여 허브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엑슬;
    엑슬에 고정되어 상기 스윙 링기어의 원추 마찰면을 대향하는 마찰면을 제공하고 외주면에 링기어 제어부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관통 홈을 갖는 하우징;
    스윙 링기어의 축방향 이동을 제어함으로서 클러치의 결합과 해제에 의해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을 허용하거나 저지하는 것을 제어하는 링기어 제어 부재;
    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된 링기어 제어부재와 연결되어 하우징을 감싸고 있는 링형의 조정 핸들;로 구성되어
    상기 제 1태양기어와 상기 제 1유성기어와 하우징에 고정된 상기 스윙 링기어가 이루는 제 1변속모드;
    상기 제 2태양기어와 상기 제 2유성기어와 하우징에 고정된 상기 스윙 링기어가 이루는 제 2변속모드;
    제 1유성기어와 제 2유성기어가 스윙링기어와 동시에 결합하여 같이 회전하여 이루는 변속 없는 직결모드;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성기어 변속기.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 2유성기어는 제 2유성기어 캐리어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제 2태양기어와 치합하고, 제 2유성캐리어를 지나서 위치한 다른 일측에는 스윙 링기어와 치합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기어 변속기.
KR1020040004838A 2004-01-02 2004-01-26 유성기어 변속기와 그 것을 이용한 차량 KR200500713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00001 2004-01-02
KR1020040000001 2004-01-02
KR20040000266 2004-01-05
KR1020040000266 2004-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305A true KR20050071305A (ko) 2005-07-07

Family

ID=3726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838A KR20050071305A (ko) 2004-01-02 2004-01-26 유성기어 변속기와 그 것을 이용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13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4230B2 (ja) 内装変速機
JP2011016528A (ja) 自動変速装置
JPH10502436A (ja) 5速自動変速機
JPS627419B2 (ko)
JP2004249979A (ja) 共通のキャリアを有する2つの遊星歯車装置を備えたトランスファーケース
JP2008538599A (ja) ギア切換え装置
KR20080003165A (ko) 유성 기어식 변속기와 그것을 이용한 차량
JP2007505276A (ja) 伝動装置アッセンブリ
JP2002327828A5 (ko)
KR20050071305A (ko) 유성기어 변속기와 그 것을 이용한 차량
JP4085457B2 (ja) 無段変速装置
JPH01500684A (ja) 二重遊星歯車変速装置
US4223572A (en) Overdrive for motor vehicles
JPH068360Y2 (ja) 正逆転切換装置
KR101321967B1 (ko) 변속장치
JPH0794855B2 (ja) 自動変速機におけるクラツチ装置
JP3926137B2 (ja) 遊星歯車式変速機のリングギア支持構造
JP4331326B2 (ja) Vベルトが用いられた無段変速機の変速装置
JP2678987B2 (ja) 自走式作業機の変速機構を含む動力伝達装置
JP2002257204A (ja) 旋回制御歯車式自動無段変速機
JP2004125050A (ja) 変速機
KR920001739B1 (ko) 자전거용 자동변속장치
JP2664097B2 (ja) 無段変速減速装置
JPH0546508Y2 (ko)
JP2504469Y2 (ja) 二速切換歯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