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698A -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698A
KR20050070698A KR1020030100545A KR20030100545A KR20050070698A KR 20050070698 A KR20050070698 A KR 20050070698A KR 1020030100545 A KR1020030100545 A KR 1020030100545A KR 20030100545 A KR20030100545 A KR 20030100545A KR 20050070698 A KR20050070698 A KR 20050070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key
display unit
mouse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207B1 (ko
Inventor
유경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207B1/ko
Priority to US11/019,390 priority patent/US20050156896A1/en
Publication of KR2005007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시스템에서 화면 분할 기능과 방향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서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고 빠르게 마우스 포인팅할 수 있는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입력장치,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는 복수개의 방향 키 및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정보를 출력한다. 제어부는 입력장치로부터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 신호가 수신되면, 표시부의 화면을 분할하고, 입력장치로부터 복수개의 방향키중 하나의 방향키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표시부상의 마우스 포인터를 수신된 방향키 신호가 지시하는 방향의 화면 분할 간격단위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Mouse pointing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우스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시스템에 사용되는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보조 입력 장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디지털 텔레비전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의 기능이 날로 다양해지면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마우스 포인팅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의 경우에 방송국 또는 서버 운영자와 시청자간에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면, 시청자는 디지털 텔레비전을 이용하여 전자 상거래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디지털 텔레비전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중에서 특정한 정보 또는 항목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디지털 텔레비전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 또는 항목을 빠르고 용이하게 선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원하는 정보 또는 항목을 빠르고 용이하게 선택하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마우스 포인팅 기능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 텔레비전과 같은 전자기기는 컴퓨터와 달리 원거리에서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기능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선 마우스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무선 마우스나 터치 패드를 장착한 리모콘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 마우스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는 리모콘 이외의 별도의 입력장치를 운영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입력 환경이 번거로워 진다. 터치 패드를 장착한 리모콘의 경우도 사용자가 터치 패드 이용에 숙달되지 않으면 정확하게 포인팅 하기 어렵다. 이는 노트북에 마우스 터치 패드가 장착되어도 별도의 유선 마우스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통해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하물며 대부분 한 쪽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되는 리모콘에 장착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마우스 포인팅 하기란 쉽지 않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우스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시스템에서 정확하고 빠르게 마우스 포인팅할 수 있는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화면 분할 기능과 리모콘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서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고 빠르게 마우스 포인팅할 수 있는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방향 키 및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입력장치로부터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 신호가 수신되면, 표시부의 화면을 분할하고, 입력장치로부터 복수개의 방향키중 하나의 방향키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표시부상의 마우스 포인터를 수신된 방향키 신호가 지시하는 방향의 화면 분할 간격단위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마우스 포인팅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방향 키 및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를 갖는 리모콘; 수신되는 방송신호 및/또는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로부터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분할하고, 수신부로부터 복수개의 방향 키중 하나의 방향키 신호가 수신되면, 표시부상의 마우스 포인터를 상기 방향키 신호가 지시하는 방향의 화면 분할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마우스 포인팅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방향 키 및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를 포함한 입력장치에 의해 기능이 제어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우스 포인팅 방법에 있어서,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에 의해 시스템의 정보 출력 화면에 대한 분할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분할 모드에 따라 정보 출력 화면을 분할하는 단계; 복수개의 방향키중 하나의 방향키가 제어되면, 정보 출력 화면상의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된 방향키가 지시하는 방향의 분할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우스 포인팅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포인팅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기능 블록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리모콘(100)에 의해 제어되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텔레비전(110)이다.
도 1에 도시된 리모콘(100)은 입력부(101), 제어부(102) 및 송신부(103)로 구성된다.
입력부(1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증가 키(201), 분할 감소 키(202), 상측 방향키(203), 하측 방향키(204), 좌측 방향키(205), 우측 방향키(206) 및 선택키(207)로 구성된다.
분할 증가키(201)는 디지털 텔레비전(110)에 포함되는 표시부(115)상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영역 분할 개수를 증가하기 위한 제어키이다. 즉, 분할 증가키(201)를 한번 제어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부(115)상의 화면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 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분할된 상태에서 분할 증가 키(201)가 다시 제어되면, 표시부(115)상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세밀하게 분할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분할된 상태에서 분할 증가 키(201)가 다시 제어되면, 표시부(115)상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세밀하게 분할될 수 있다.
도 3(c)와 도 3(d)에 도시된 화면 분할 개수는 일 예이다. 화면 분할 개수는 사전에 설정된 조건을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 2×2개로 분할된 화면에 대한 분할 증가가 요구되면, 8×8개로 화면을 재분할하고, 8×8개로 분할된 화면에 대한 분할 증가가 요구되면, 32×32개로 화면을 재분할하고, 32×32개로 분할된 화면에 대한 분할 증가가 요구되면, 128×128개로 화면을 재분할하도록 설정된 경우에 분할 증가 키(201)가 눌려진 횟수에 따라 설정된 분할 모드에 따라 표시부(115)상의 화면은 분할될 수 있다.
분할 감소 키(202)는 디지털 텔레비전(110)에 포함되는 표시부(115)상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영역 분할 개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키이다. 즉, 분할 증가 키(201)와 반대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분할 감소 키(202)가 제어될 때마다 표시부(115)상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영역 분할 개수는 도 3(d)에서 도 3(c), 도 3(c)에서 도 3(b)와 같이 줄어들게 된다.
표시부(115)상에 화면에 대한 분할 개수가 많으면, 분할 간격이 작은 것이고, 화면에 대한 분할 개수가 적으면 분할 간격이 큰 것이다. 따라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분할 증가 키(201)와 분할 감소 키(202)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표시부(115)상에 화면에 대한 분할 간격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면서 빠른 시간내에 마우스 포인터를 원하는 지점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방향키들(203, 204, 205, 206)은 표시부(115)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방향을 지시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상측 방향키(203)가 제어되면, 표시부(115)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하측 방향키(204)가 제어되면, 표시부(115)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좌측 방향키(205)가 제어되면, 표시부(115)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우측 방향키(206)가 제어되면, 표시부(115)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선택키(207)는 마우스 포인터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마우스를 클릭하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제어부(102)는 입력부(101)상에 구비되어 있는 키중 하나의 키가 제어되면, 제어된 키에 대응되는 신호를 송신부(103)로 전송한다.
송신부(103)는 제어부(10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디지털 텔레비전(110)으로 송출한다.
디지털 텔레비전(110)은 수신부(111), 제어부(112), 안테나(113), 방송 신호 수신부(114), 영상 신호 처리부(115), 표시부(116), 오디오 신호 처리부(117), 스피커(118) 및 데이터 통신부(119)를 포함한다.
수신부(111)는 리모콘(100)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12)는 수신부(11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110)의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수신부(111)를 통해 리모콘(100)으로부터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 신호가 수신되면, 표시부(116)에 대한 화면 분할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분할 모드에 따라 표시부(116)상의 화면을 분할한다. 표시부(116)상이 화면 분할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수신부(111)를 통해 리모콘(100)으로부터 복수개의 방향키중 하나의 방향키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제어부(112)는 표시부(116)상의 마우스 포인터를 수신된 방향키 신호가 지시하는 방향의 화면 분할 간격단위로 이동시킨다. 이 때, 화면 분할 간격은 상기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 신호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안테나(113)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방송 신호 수신부(114)는 제어부(112)에 의해 제어되어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영상신호 처리부(115)는 제어부(112)에 의해 제어되어 방송 신호 수신부(114)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16)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신호 처리한다. 표시부(116)는 영상신호 처리부(115)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 또는/및 데이터 통신부(119)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17)는 방송 신호 수신부(114)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118)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 한다. 스피커(118)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116)상에 표시되는 화면 분할 간격의 다른 일 예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116)상에 표시되는 화면 분할 간격의 또 다른 예이다. 그러나, 표시부(116)상에 현재 설정된 화면 분할 간격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포인팅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 도이다.
리모콘(100)과 같은 입력 장치의 키 제어 대기상태(제 601 단계)에서 임의의 키가 제어된 것으로 인식되면(제 602 단계), 제어부(112)는 제 603 단계에서 제어된 키가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인지 판단한다.
제 603 단계에서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로 인식되면, 제어부(112)는 제 604 단계에서 분할 증가 요구키인지 판단한다. 제 604 단계에서 분할 증가 요구키로 인식되면, 제어부(112)는 제 605 단계에서 표시부(116)상의 화면에 대한 영역 분할 개수를 증가시키고 제 601 단계로 리턴된다. 그러나, 제 604 단계에서 분할 감소 요구키로 인식되면, 제어부(112)는 제 606 단계로 진행되어 표시부(116)상의 화면에 대한 영역 분할 개수를 감소시키고 제 601 단계로 리턴된다.
제 603 단계에서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2)는 제 607 단계에서 방향키가 제어되었는지 판단한다. 제 607 단계에서 상, 하, 좌, 및 우 방향키중 어느 한 방향키가 제어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4)는 제 608 단계에서 제어된 방향키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현재 설정된 분할 간격만큼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제 601 단계로 리턴된다.
제 607 단계에서 임의의 방향키가 제어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4)는 제 609 단계에서 제어된 키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마우스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동안 리모콘(100)에 구비되는 분할 증가키(201) 및 분할 감소키(202)를 이용한 화면 분할 모드 변경으로 화면 분할 간격을 변경시켜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나, 마우스 사용이 불편하고 방향키 사용이 가능한 시스템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 리모콘에 장착된 화면 분할 제어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분할하고 리모콘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분할간격 단위로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킴으로써,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 빠르게 원하는 위치를 마우스 포인팅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동안 화면의 분할 간격을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마우스 포인팅 위치에 따라 세밀하게 분할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를 마우스 포인팅 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콘의 이용 환경을 충분히 고려함으로써, 마우스 포인팅을 위해 리모콘 이용자의 자세 교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포인팅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모콘의 입력부에 구비되는 기능 키에 대한 예시 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화면 분할 간격의 일 예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화면 분할 간격의 다른 일 예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화면 분할 간격의 또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포인팅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9)

  1. 복수개의 방향 키 및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방향키중 하나의 방향키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표시부상의 마우스 포인터를 상기 수신된 방향키 신호가 지시하는 방향의 화면 분할 간격단위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마우스 포인팅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는 상기 표시부상의 화면에 대한 분할 개수 증가 요구키와 분할 개수 감소 요구키를 포함하는 마우스 포인팅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 신호에 의해 설정된 화면 분할 모드에 대응되는 화면 분할 간격을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포인팅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화면 분할 간격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포인팅 제어 장치.
  5. 복수개의 방향 키 및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를 갖는 리모콘;
    수신되는 방송신호 및/또는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되는 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수신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방향 키중 하나의 방향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상의 마우스 포인터를 상기 방향키 신호가 지시하는 방향의 화면 분할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마우스 포인팅 제어 장치.
  6. 복수개의 방향 키 및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를 포함한 입력장치에 의해 기능이 제어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우스 포인팅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에 의해 상기 시스템의 정보 출력 화면에 대한 분할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분할 모드에 따라 상기 정보 출력 화면을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방향키중 하나의 방향키가 제어되면, 상기 정보 출력 화면상의 마우스 포인터를 상기 제어된 방향키가 지시하는 방향의 분할 간격만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우스 포인팅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포인팅 방법은,
    상기 선택된 분할 모드에 따른 분할 간격을 상기 정보 출력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우스 포인팅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모드는 상기 정보 출력 화면에 대한 분할 개수 증가를 위한 복수개의 분할 모드와 상기 정보 출력 화면에 대한 분할 개수 감소를 위한 복수개의 분할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포인팅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포인터가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는 동안 상기 분할 간격이 적어도 한번 변경되도록 상기 화면 분할 모드 제어키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출력 화면에 대한 분할 모드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우스 포인팅 방법.
KR1020030100545A 2003-12-30 2003-12-30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0940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545A KR100940207B1 (ko) 2003-12-30 2003-12-30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
US11/019,390 US20050156896A1 (en) 2003-12-30 2004-12-23 Pointing method and pointing contro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545A KR100940207B1 (ko) 2003-12-30 2003-12-30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698A true KR20050070698A (ko) 2005-07-07
KR100940207B1 KR100940207B1 (ko) 2010-02-10

Family

ID=3474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545A KR100940207B1 (ko) 2003-12-30 2003-12-30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56896A1 (ko)
KR (1) KR1009402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88B1 (ko) * 2005-12-09 200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2549B1 (ko) * 2006-05-29 2007-12-06 (주)엠지쿡 모바일 기기의 포인팅 인터페이스 구현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5205A (ja) * 2004-11-29 2006-06-15 Fujitsu Ltd 電子装置、入力制御装置、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TWI337338B (en) * 2006-03-17 2011-02-11 Lite On Technology Corp Pointing method and system for quickly moving an object to a designated area
TW200817980A (en) * 2006-10-05 2008-04-16 Elan Microelectronics Corp Remote-control device with a pointing function
US8605219B2 (en) * 2008-11-11 2013-12-10 Sony Corporation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cursor for televisions
KR20150004156A (ko) * 2013-07-02 201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10673940B2 (en) * 2014-10-21 2020-06-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inting device router for smooth collaboration betwee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5810A (en) * 1979-09-28 1982-12-28 Selectro-Vision, Ltd. Gaming board
US4566001A (en) * 1983-02-08 1986-01-21 Northern Telecom Limited Touch strip input for display terminal
US5371851A (en) * 1989-04-26 1994-12-06 Credence Systems Corporation Graphical data base editor
JP2811501B2 (ja) * 1990-08-30 1998-10-1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カーソル移動制御方法及び装置
US5864359A (en) * 1995-05-30 1999-01-26 Smith & Nephew, Inc. Stereoscopic autofocusing based on comparing the left and right eye images
JP3535647B2 (ja) * 1996-02-05 2004-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006161A (en) * 1996-08-02 1999-12-21 Aisin Aw Co., Ltd. Land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multi-screen mode selectivity
KR19980029354U (ko) * 1996-11-27 1998-08-17 김광호 키패드 겸용 원격 포인팅 장치
JPH10164404A (ja) * 1996-12-04 1998-06-19 Sharp Corp 撮像装置
US20030113096A1 (en) * 1997-07-07 2003-06-19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screen display system for automatically changing a plurality of simultaneously displayed images
US6313851B1 (en) * 1997-08-27 2001-11-06 Microsoft Corporation User friendly remote system interface
US6476816B1 (en) * 1998-07-17 2002-11-05 3Dlabs Inc. Ltd. Multi-processor graphics accelerator
KR100363159B1 (ko) * 1998-10-17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수채널을동시에수신하는디지털수신기와디스플레이제어방법
KR100477636B1 (ko) * 1999-10-29 200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위치 이동 방법
US7010530B2 (en) * 2000-01-06 2006-03-07 George P. Johnson Company Event management system
JP3496620B2 (ja) * 2000-03-22 2004-02-16 ヤマハ株式会社 楽譜データ表示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JP4806840B2 (ja) * 2000-08-11 2011-11-02 ソニー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7003726B2 (en) * 2001-02-21 2006-02-21 Nanonation Incorporated Computer network having context sensitive and interactive multimedia applications and controls, forming dynamic user interfaces on local computer terminals
US7730401B2 (en) * 2001-05-16 2010-06-0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US20050024341A1 (en) * 2001-05-16 2005-02-03 Synaptics, Inc.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US6892081B1 (en) * 2001-05-31 2005-05-10 Nok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using content sensitive menu keys in keypad locked mode
CN1287334C (zh) * 2002-09-05 2006-11-2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打印方法、程序及装置、商品销售数据处理装置、pos系统
DE10249474A1 (de) * 2002-10-24 2004-05-13 Rasmussen Gmbh Verbindung einer Schelle mit einem Schlauch zur Vorpositionierung der Schelle
CA2503576A1 (en) * 2002-11-05 2004-05-27 Speakeasy, Llc Integrated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with environmental controls
US6915218B2 (en) * 2003-02-25 2005-07-05 Tektronix, Inc. Method of constraints control for oscilloscope timebase subsection and display parameters
US7155355B2 (en) * 2003-02-25 2006-12-26 Tektronix, Inc. Method of constraints control for oscilloscope vertical subsection and display parameters
US7254498B2 (en) * 2003-10-14 2007-08-07 Tektroni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ndwidth extension and channel match for oscilloscop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988B1 (ko) * 2005-12-09 2007-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2549B1 (ko) * 2006-05-29 2007-12-06 (주)엠지쿡 모바일 기기의 포인팅 인터페이스 구현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207B1 (ko) 2010-02-10
US20050156896A1 (en)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730B1 (ko) 인터넷 검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수신장치
US9453732B2 (en) Remote control for sensing movement,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pointer by the remote contro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93906B1 (ko) 영상처리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5777605A (en) Coordinate input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6538643B2 (en) Remote control having a touch pad operable in a pad-to-screen mapping mode for highlighting preselected parts of a slide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US2013017624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4281400B2 (ja) 通信装置、その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US201901079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401573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7886322B2 (en)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control program
JP2000175070A (ja) 遠隔操作器を有する映像表示機器のポインティング位置認識装置及びその認識方法
KR20110035650A (ko) 방송 수신 장치의 방송 가이드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EP2869587A1 (en) Multimedia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synchronizing screen, and method for same
KR20110103789A (ko)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40207B1 (ko)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
US9753561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input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20030169280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crolling a screen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a cursor
US9060153B2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CN103941845A (zh) 显示操控系统及其操作方法
EP2755398A1 (en) Display apparatus, terminal, and a method of providing video using the display apparatus
KR20160095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658656B1 (ko) 리모콘을 구비한 tv세트
JP6106564B2 (ja) 放送受信装置
KR100608546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을 원격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9990005778A (ko) 마우스 콘트롤러가 내장된 텔레비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