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988B1 -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988B1
KR100733988B1 KR1020050121167A KR20050121167A KR100733988B1 KR 100733988 B1 KR100733988 B1 KR 100733988B1 KR 1020050121167 A KR1020050121167 A KR 1020050121167A KR 20050121167 A KR20050121167 A KR 20050121167A KR 100733988 B1 KR100733988 B1 KR 100733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button
position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0936A (ko
Inventor
손영성
박현
오봉진
문경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2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988B1/ko
Priority to US11/633,738 priority patent/US20070132729A1/en
Publication of KR2007006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외부 입력장치(예 : 리모트 컨트롤러, 조이스틱)의 버튼 입력 신호에 따라 외부 출력장치상의 캐릭터(커서 등)를 이동시키되, 일부 버튼에 기능을 동적으로 할당하고 버튼 조합을 통해 캐릭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화면상의 캐릭터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해석하여 기능 상태 전환 요청 신호일 경우 상기 입력장치의 해당 버튼에 대한 설정 기능을 전환하고, 캐릭터 움직임 요청 신호일 경우 그 해석 결과를 위치 관리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 해석 수단; 상기 명령 데이터 해석 수단으로부터 임의의 입력 신호에 대한 해석 결과를 전달받음에 따라 화면상 캐릭터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 관리 수단; 및 화면상 캐릭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위치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등에 이용됨.
동적 기능 할당, 버튼 조합, 캐릭터, 버튼 입력 신호 해석,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Description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Charac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combination of button and function assignmen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과 연결된 외부의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서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방향 지정에 따른 캐릭터 위치 이동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5 는 상기 도 4의 상태에서 이동단위 변경에 따른 캐릭터 위치 이동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6 은 영역 지정에 따른 캐릭터 위치 이동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7 은 상기 도 6의 상태에서 이동단위 변경에 따른 캐릭터 위치 이동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입력장치 11 : 무선송신부
12 : 위치지정버튼 13 : 위치지정표시부
14 : 이동단위지정버튼 15 : 이동단위표시부
16 : 숫자버튼 17 : 방향버튼
20 : 출력장치 21 : 무선수신부
22 : 위치지정표시부 23 : 이동단위표시부
24 : 디스플레이부 30 :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31 : 명령 데이터 해석기 32 : 위치 관리기
33 : 위치정보 저장부 34 : 렌더러
본 발명은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입력장치(예 : 리모트 컨트롤러, 조이스틱)의 버튼 입력 신호에 따라 외부 출력장치상의 캐릭터(커서 등)를 이동시키되, 일부 버튼에 기능을 동적으로 할당하고 버튼 조합을 통해 캐릭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화면상의 캐릭터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리모트 컨트롤러, 조이스틱 등을 이용하여 화면상의 캐릭터(커서)를 움직이는 방법에 대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원격 포인팅 방법(공개번호 10-2005-0089630, 2005.09.08 공개)"을 살펴보면, 영상표시기기 및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 개의 숫자키를 커서 이동키로 설정하고, 마우스 모드 설정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숫자키를 커서 이동키로 전환하여 이후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8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에 별도의 커서 이동키를 구비하지 않고도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 모드에 따라 숫자키와 커서 이동키가 상호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방향키가 없더라도 숫자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기 선택된 소수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커서의 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을 뿐, 커서에 의해 지정된 영역의 이동 혹은 지정된 영역의 범위 조절 및 이동과 같은 다양한 캐릭터 움직임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커서의 현 위치에서 시작하여 한 단계씩 커서가 이동하도록 하므로, 보드 게임(예 : 바둑, 장기)과 같이 전체 화면을 대상으로 커서가 움직여야하는 경우 커서의 이동거리가 상당히 멀어 키 입력 횟수가 비례하여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외부 입력장치(예 : 리모트 컨트롤러, 조이스틱)의 버튼 입력 신호에 따라 외부 출력장치상의 캐릭터(커서 등)를 이동시키되, 일부 버튼에 기능을 동적으로 할당하고 버튼 조합을 통해 캐릭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화면상의 캐릭터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해석하여 기능 상태 전환 요청 신호일 경우 상기 입력장치의 해당 버튼에 대한 설정 기능을 전환하고, 캐릭터 움직임 요청 신호일 경우 그 해석 결과를 위치 관리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 해석 수단; 상기 명령 데이터 해석 수단으로부터 임의의 입력 신호에 대한 해석 결과를 전달받음에 따라 화면상 캐릭터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 관리 수단; 및 화면상 캐릭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위치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서의 캐릭터 위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버튼 입력 신호를 전송받는 버튼 입력 단계; 상기 전송받은 버튼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제어 명령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기능 상태 전환 요청 신호일 경우 해당 버튼에 대한 설정 기능을 상호 전환하는 설정 기능 전환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캐릭터 움직임 요청 신호일 경우 화면상 캐릭터의 위치정보 및 상기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움직임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캐릭터(커서) 및 지정 영역(화면상에서 선택된 임의 크기의 영역)을 편리하게 방향 이동, 영역 확대/축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부의 버튼에 기능을 동적으로 할당하고(설정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해석하도록 함), 하나의 버튼 입력이 아닌 다수 버튼의 조합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력장치의 제한된 버튼(기능키, 숫자키, 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캐릭터 움직임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과 연결된 외부의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은 기능키, 숫자키, 방향키 등을 구비한 입력장치(10)와 화면을 통해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출력장치(20)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때, 출력장치(20)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입력장치(10)는 상기 출력장치(2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입력장치(10)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 신호를 내부의 무선송신부(11)를 통해 출력장치(20)의 무선수신부(21)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되는 버튼 입력 신호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 의해 해석되고, 그에 따라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입력장치(10)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입력장치(10)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부(11), "방향지정"과 "영역지정"의 두 기능이 상호 전환되는 위치지정버튼(12), 상기 위치지정버튼(12)의 기능 상태("방향지정" 혹은 "영역지정")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지정표시부(13), 캐릭터 및 지정 영역 이동시의 이동 단위가 입력되는 이동단위지정버튼(14), 상기 이동단위지정버튼(14)에 의해 지정된 이동단위(여기서는, 4)가 디스플레이되는 이동단위표시부(15), 다수의 숫자버튼(16), 및 다수의 방향버튼(1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지정버튼(12)에는 "방향지정"과 "영역지정" 기능이 동적으로 할당된 상태이다. 즉, 위치지정버튼(12)이 한 차례 입력될 때마다 "방향지정" 기능과 "영역지정" 기능이 상호 전환된다.
그리고, 위치지정버튼(12), 이동단위지정버튼(14), 숫자버튼(16) 및 방향버튼(17)의 조합을 통해 일정한 제어 명령이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으로 입력된다.
정확하게는, 각 입력 신호의 해석은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출력장치(20)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출력장치(20)는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부(21), 현재 위치지정 기능의 상태("방향지정" 혹은 "영역지정")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지정표시부(22), 현재 지정된 이동단위(여기서는, 4)가 디스플레이되는 이동단위표시부(23), 각종 정보(캐릭터 등)를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수신부(21)는 입력장치(10)의 무선송신부(1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버튼 입력 신호를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24)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은, 무선수신부(21)로부터 전달받은 버튼 입력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 해석기(31), 상기 명령 데이터 해석기(32)의 해석 결과에 따라 캐릭터 및 지정 영역(이하, 캐릭터라 통칭함)의 움직임(이동, 영역 확대/축소)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 관리기(32), 현재 캐릭터(커서 등의 일반 캐릭터, 지정 영역)의 화면상 위치정보(좌표)를 저장하기 위한 위치정보 저장부(33), 및 렌더링을 수행하기 위한 렌더러(34)를 포함한다.
이때, 명령 데이터 해석기(31)는 무선수신부(21)로부터 전달받은 버튼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숫자버튼(16) 또는/및 방향버튼(17)의 입력에 따른 캐릭터 움직임 요청 신호인지, 위치지정버튼(12) 또는/및 이동단위지정버튼(14)의 입력에 따른 기능 상태 전환 요청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기 입력받은 버튼 입력 신호에 따른 설정 상태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의 종류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 명령 판단 결과, 캐릭터 움직임 요청 신호일 경우 그 해석 결과를 위치 관리기(32)로 전달하여 위치정보 저장부(33)에 저장된 현재의 캐릭터 위치를 참조하여 화면상의 캐릭터를 이동(커서를 포함하는 일반 캐릭터 및 지정 영역의 경우)시키거나 혹은 영역을 확대/축소(지정 영역의 경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 명령 판단 결과, 기능 상태 전환 요청 신호일 경우 해당 버튼에 대한 기능을 전환한다. 즉, 해당 버튼에 기능을 동적으로 할당하여(정확하게는, 기 설정 상태를 참조하여 각 버튼 입력 신호를 동적으로 해석함) 입력장치(10)의 위치지정버튼(12)에 대한 입력 신호를 "방향지정"에서 "영역지정"으로, 혹은 그 반대로 "영역지정"에서 "방향지정"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또는, 이동단위지정버튼(14)에 대한 입력 신호를 다음 차례의 일정 숫자에 대한 입력 신호로 인식하도록 한다(예를 들면, 기존의 4에서 새로운 0으로 변경되어 인식되도록 설정함).
그리고, 위치 관리기(32)는 캐릭터 위치지정 요청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명령 데이터 해석기(31)로부터 전달받은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캐릭터의 위치를 수정한 후 그 결과를 렌더러(34)로 전달한다. 이때, 위치정보 저장부(33)에 저 장된 현재의 캐릭터 위치정보(좌표)를 참조하여 새로운 캐릭터(일반 캐릭터 및 지정 영역)의 위치를 계산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서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명령 데이터 해석기(31)가 사용자의 버튼 입력 신호를 전달(전송)받는다(301). 즉, 입력장치(10)에 구비된 각종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무선수신부(21)로부터 전달받는다.
이후, 상기 명령 데이터 해석기(31)가 상기 버튼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302) 제어 명령을 판단한다(303). 즉, 캐릭터 움직임 요청 신호인지 혹은 기능 상태 전환 요청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 명령 판단 결과(303), 기능 상태 전환 요청 신호일 경우 그 해석 결과에 따라 해당 버튼에 대한 기능을 변환한다(304). 즉, 위치지정버튼(12)에 대한 기능을 "방향지정"에서 "영역지정"으로 전환하거나, "영역지정"에서 "방향지정"으로 전환한다. 또는, 이동단위지정버튼(14)의 입력이 새로운 일정 숫자에 대한 입력 신호로 인식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종료한다.
한편, 상기 제어 명령 판단 결과(303), 캐릭터 움직임 요청 신호일 경우 그 해석 결과를 위치 관리기(32)로 전달한다(305).
그러면, 상기 위치 관리기(32)는 상기 전달받은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캐릭터의 위치를 수정한 후(306) 렌더러(34)로 그 결과를 전달한다(307). 그러면, 렌더러(34)가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즉, 수정된 위치에 캐 릭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위치 관리기(32)는 캐릭터(일반 캐릭터 및 지정 영역)의 좌표를 이동시키거나 지정 영역을 이동, 확대/축소할 수 있는데, 위치정보 저장부(33)에 저장된 캐릭터의 현재 위치(좌표)를 참조하여 새로운 위치를 계산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캐릭터 및 지정 영역의 좌표 이동, 지정 영역의 확대/축소에 대한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 캐릭터와 지정 영역은 커서, 사각 테두리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 는 방향지정에 따른 캐릭터 위치 이동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10)에 구비된 위치지정버튼(12)은 "방향지정" 기능으로 전환된 상태이고, 이동단위지정버튼은 이동단위가 "3"으로 설정된 상태이다. 각 버튼별 상태 표시는 위치지정표시부(13, 22)와 이동단위표시부(15, 23)를 통해 각각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현재, 일반 캐릭터(여기서는, 커서)와 지정 영역(사각형 테두리)은 전체 화면 중 좌측 상단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이고, 상기 커서는 지정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캐릭터 움직임 요청 신호, 즉 숫자버튼(16) 혹은 방향버튼(17)이 눌려짐에 따라 커서 및 지정 영역이 해당 버튼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이동단위만큼 움직이게 된다. 즉, "방향지정"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숫자버튼(16) 중 "9"가 눌려짐에 따라(42) 우측 하단의 방향으로 커서 및 지정 영역이 동시에 이동하되, 기 설정된 이동단위인 "3"만큼 이동한다(41). 결과적으로, 화면의 중앙 부분 에 위치한다. 여기서, 커서는 새로이 디스플레이되는 지정 영역의 중앙에 도시된다.
각 숫자버튼(16)과 방향버튼(17)이 나타내는 의미를 살펴보면 "1"부터 "9"까지의 숫자버튼(16)의 경우 그 차례대로 각각 "좌측 상단", "상단", "우측 상단", "좌측", "중앙", "우측", "좌측 하단", "하단", "우측 하단"을 나타낸다. 그리고, 4 종류의 방향버튼(17)은 각각 해당 화살표 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우측 하단의 방향으로 "3"만큼 이동한 상태에서, 이동단위지정버튼이 눌려져 이동단위가 변경될 경우에 대한 동작 설명을 도 5을 참조하여 개시하기로 한다.
도 5 는 상기 도 4의 상태에서 이동단위 변경에 따른 캐릭터 위치 이동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지정버튼이 "방향지정" 기능으로 유지되고 있는 반면에, 이동단위지정버튼(14)이 재입력됨에 따라 이동단위는 "오토"(즉, 0이 됨)로 변경된 상태이다. 이는 이동단위표시부(15, 23)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화면의 중앙에 위치한 커서 및 지정 영역은 캐릭터 움직임 요청 신호, 즉 숫자버튼(16) 혹은 방향버튼(17)이 눌려짐에 따라 해당 버튼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지정 영역의 범위가 자동으로 줄어들고 상기 커서는 새로이 디스플레이되는 지정 영역의 중앙에 위치한다. 즉, 이동단위가 "0"인 상태(자동으로 단위가 줄어듦을 의미함)에서 숫자버튼(16) 중 "9"가 한 차례 더 입력되었으므로(52), 기 존 범위 내에서 요청받은 방향("9"가 가리키는 방향인 우측 하단)으로 지정 영역이 줄어들어 도시된다(51). 상세하게는, 전체 화면이 "3*3" 단위로 분할된 상태에서 "9"가 한 차례 더 입력됨에 따라 지정 영역이 1/3로 줄어들어 우측 하단으로 이동한 것이다. 여기서는, 이동단위가 기존의 "3"에서 "1"로 변경됨에 따라 "3*3"의 지정 영역이 "1*1"로 줄어든다.
상기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방향지정"일 경우 커서 및 지정 영역이 요청받은 방향으로 점진 이동하고, 지정 영역의 범위가 축소되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하기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영역지정"일 경우 지정 영역 전체가 지정된 위치로 일시에 이동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6 은 영역지정에 따른 캐릭터 위치 이동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지정버튼(12)은 "영역지정" 기능으로 전환된 상태이고, 이동단위지정버튼(14)의 재입력에 따라 이동단위가 "3"으로 설정된 상태이다. 각 버튼별 상태 표시는 위치지정표시부(13, 22)와 이동단위표시부(15, 23)를 통해 각각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캐릭터 움직임 요청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요청받은 방향으로 커서 및 지정 영역이 일시 이동한다(단계별 점진 이동과 반대됨). 이때, 이동단위가 "3"으로 설정된 상태이므로, 전체 화면은 "3*3" 단위로 분할되고 상기 영역 단위가 곧 커서 및 지정 영역의 이동단위가 된다. 그리고, 숫자버튼(16) 중 "9"가 입력되었으므로(62), 상기 "9"가 가리키는 방향인 우측 하단에 지정 영역 전체가 위치하게 된다(61). 커서는 새로운 지정 영역의 중앙에 위치한다.
도 7 은 상기 도 6의 상태에서 이동단위 변경에 따른 캐릭터 위치 이동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지정버튼(12)은 "영역지정" 기능으로 유지되는 상태이고, 이동단위지정버튼(14)의 재입력에 따라 이동단위가 "0"으로 변경되어 설정된 상태이다.
이때, 숫자버튼(16) 중 "9"가 한 차례 더 입력됨에 따라 커서 및 지정 영역이 우측 하단에 위치하되, 이동단위가 "0"인 상태이므로 본래의 "3*3"에서 "1*1"로 영역 단위가 축소되어 지정 영역이 이동한다. 즉, 전체 화면이 "3*3"로 분할되어 있었으나 이동단위가 "0"으로 줄어든 상태에서 숫자버튼(16) 중 "9"가 입력됨에 따라(72) 우측 하단으로 일시에 이동하되, 축소된 영역 단위만큼 지정 영역도 줄어들어 우측 하단으로 이동한다(71). 각 커서는 상기 새로운 지정 영역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30)은 리모트 컨트롤러, 조이스틱과 같은 입력장치(10) 및 화면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출력장치(20)와 연결된 환경에서 입력장치(10)에 구비된 다수의 버튼에 기능을 동적으로 할당하고 버튼 조합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화면상의 캐릭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캐릭터(커서) 및 지정 영역의 좌표 이동, 지정 영역의 확대/축소, 버튼별 기능의 동적 할당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버튼에 기능을 동적으로 할당하고, 버튼의 조합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버튼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삭제
  2.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해석하여 기능 상태 전환 요청 신호일 경우 상기 입력장치의 해당 버튼에 대한 설정 기능을 전환하고, 캐릭터 움직임 요청 신호일 경우 그 해석 결과를 위치 관리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 해석 수단;
    상기 명령 데이터 해석 수단으로부터 임의의 입력 신호에 대한 해석 결과를 전달받음에 따라 화면상 캐릭터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 관리 수단; 및
    화면상 캐릭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위치정보 저장 수단
    을 포함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데이터 해석 수단은,
    기능 상태 전환 요청 신호 중 위치지정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일 경우, 상기 입력장치의 위치지정버튼에 대한 입력신호의 설정 기능을 방향지정에서 영역지정으로, 혹은 그 반대로 상호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데이터 해석 수단은,
    기능 상태 전환 요청 신호 중 이동단위지정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일 경우, 상기 입력장치의 이동단위지정버튼에 대한 입력신호를 다음 차례의 일정 숫자(이동단위)에 대한 입력 신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수단은,
    상기 명령 데이터 해석 수단으로부터 캐릭터 위치지정 요청 신호에 대한 해석 결과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전달받은 해석 결과와 상기 위치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화면상 캐릭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캐릭터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수단은,
    커서를 포함하는 일반 캐릭터 및 지정 영역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수단은,
    상기 외부 입력장치의 숫자버튼, 방향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캐릭터를 이동시키되, 현재 설정된 이동단위를 참조하여 캐릭터의 좌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수단은,
    현재 이동단위가 소정 값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외부 입력장치의 숫자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른 해당 방향으로 지정 영역을 확대/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수단은,
    지정 영역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경우, 새로운 지정 영역의 중앙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
  10.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서의 캐릭터 위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버튼 입력 신호를 전송받는 버튼 입력 단계;
    상기 전송받은 버튼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제어 명령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기능 상태 전환 요청 신호일 경우 해당 버튼에 대한 설정 기능을 상호 전환하는 설정 기능 전환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캐릭터 움직임 요청 신호일 경우 화면상 캐릭터의 위치정보 및 상기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움직임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서의 캐릭터 위치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기능 전환 단계는,
    위치지정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일 경우, 상기 위치지정버튼에 대한 입력신호의 설정 기능을 방향지정에서 영역지정으로, 혹은 그 반대로 상호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서의 캐릭터 위치 관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기능 전환 단계는,
    이동단위지정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일 경우, 상기 이동단위지정버튼에 대한 입력신호를 다음 차례의 일정 숫자(이동단위)에 대한 입력 신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서의 캐릭터 위치 관리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제어 단계는,
    커서를 포함하는 일반 캐릭터 및 지정 영역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서의 캐릭터 위치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제어 단계는,
    숫자버튼, 방향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캐릭터를 이동시키되, 현재 설정된 이동단위를 참조하여 캐릭터의 좌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서의 캐릭터 위치 관리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제어 단계는,
    현재 이동단위가 소정 값으로 설정된 경우, 외부의 숫자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른 해당 방향으로 지정 영역을 확대/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서의 캐릭터 위치 관리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제어 단계는,
    지정 영역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경우, 새로운 지정 영역의 중앙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관리 시스템에서의 캐릭터 위치 관리 방법.
KR1020050121167A 2005-12-09 2005-12-09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3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167A KR100733988B1 (ko) 2005-12-09 2005-12-09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33,738 US20070132729A1 (en) 2005-12-09 2006-12-05 Character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167A KR100733988B1 (ko) 2005-12-09 2005-12-09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936A KR20070060936A (ko) 2007-06-13
KR100733988B1 true KR100733988B1 (ko) 2007-06-29

Family

ID=3813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167A KR100733988B1 (ko) 2005-12-09 2005-12-09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132729A1 (ko)
KR (1) KR100733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506B1 (ko) * 2007-12-21 2009-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 정보 입력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동작 정보 입력 방법
WO2009117685A2 (en) * 2008-03-20 2009-09-24 Spy Rock, Llc Dynamic visual feature coordination in an electronic hand held device
US8605219B2 (en) * 2008-11-11 2013-12-10 Sony Corporation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cursor for televisions
TWI448961B (zh) * 2011-12-16 2014-08-11 Wistron Neweb Corp 電子裝置及其操控方法
WO2017113312A1 (zh) * 2015-12-31 2017-07-0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输入方法及输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698A (ko) * 2003-12-30 200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7286A (en) * 1988-12-12 1990-10-30 Disctronics Manufactu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digital image on an optical recording disc
JPH10163953A (ja) * 1996-11-29 1998-06-19 Sony Corp 情報入力装置およびカーソル移動装置、ならびに、これらを使用した携帯電話装置
US6493541B1 (en) * 1999-07-02 2002-12-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 power control time delay compens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2003044204A (ja) * 2001-07-31 2003-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情報端末
JP2006155205A (ja) * 2004-11-29 2006-06-15 Fujitsu Ltd 電子装置、入力制御装置、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698A (ko) * 2003-12-30 200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우스 포인팅 방법 및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936A (ko) 2007-06-13
US20070132729A1 (en)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165B1 (ko)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오에스디 기능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방법
JP384764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方法
JP578690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の表示方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28730B1 (ko) 인터넷 검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수신장치
EP0883320A2 (en) Network control system, network terminal and control terminal
US20140066200A1 (en) Video game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game processing program product
RU2609101C2 (ru) Узел сенсор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ми, контроллер и электрон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KR100733988B1 (ko)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29864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8165735A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画面表示方法
JP2012531667A (ja) 協働する入力ソースと効率的な動的座標リマッピングを用いるデュアルポインタ管理方法
KR20070008379A (ko) 이동 전화 및 이동 전화 제어 방법
KR100597403B1 (ko) 리모콘으로 오브젝트 선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그 방법
US10238960B2 (en) Dual input multilayer keyboard
KR100774928B1 (ko) 투명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이동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투명아이콘의 디스플레이방법
JP2009205492A (ja) コンピュータの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7048033A (ja) ウエブ閲覧装置及びウエブ情報表示方法
WO2023157556A1 (ja) ペン及びペン位置検出装置を含むシステム、ペン位置検出装置、並びに、ペンに内蔵されるハプティクス素子を動作させる方法
WO2001026090A1 (en) Home entertainment device remote control
JPH09251350A (ja) メニュー選択装置
KR101661142B1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JP4900955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96821B1 (ko) 지도 표시 변경 장치 및 방법
KR20110011845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4133124A (ja) ポインティングカーソル移動制御方法およびそのデー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