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142B1 -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142B1
KR101661142B1 KR1020100013520A KR20100013520A KR101661142B1 KR 101661142 B1 KR101661142 B1 KR 101661142B1 KR 1020100013520 A KR1020100013520 A KR 1020100013520A KR 20100013520 A KR20100013520 A KR 20100013520A KR 101661142 B1 KR101661142 B1 KR 101661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ursor
pointing
pointing curso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5591A (ko
Inventor
유호준
소병석
최은석
최상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017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299699A3/en
Priority to US12/855,726 priority patent/US8661365B2/en
Publication of KR20110025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591A/ko
Priority to US14/100,816 priority patent/US961272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을 상기 제1화면 위에 겹쳐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2화면 중 상기 제1화면과 겹쳐진 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DTV 또는 PC 상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단일 또는 복수의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제어하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시 제어를 위하여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TV(Digital Television) 또는 PC(Personal Computer) 상에서 조작 가능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단일 또는 복수의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제어하고, 나아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시 제어를 위한 커서를 표시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TV에서는 단순히 단일 방송 영상을 화면에 송출하여 보여주는데 비해, 최근에 등장한 디지털 방식의 TV에서는 두 개 이상의 방송 화면과 컨텐츠 화면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다. 또한 TV의 처리 성능이 높아지고 컨텐츠가 다양화됨에 따라, 단순히 방송 시청 서비스만을 제공하던 일방향 형태의 TV에서 사용자가 리모컨이나 마우스 등의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양방향 형태의 TV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게임이나 DMC(Digital Contents Management) 등의 인터렉티브 (interactive) 컨텐츠를 TV에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렉티브 컨텐츠를 TV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버튼만 배치되어 있는 형태의 기존 리모컨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커서, 포인터 등 자유도가 높은 보다 진보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TV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PC에서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구동되더라도 한 시점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창이나 프로그램은 1개이기 때문에, 복수의 프로그램이 겹쳐 있는 경우라도 활성화되어 있는 창이나 프로그램을 제어하면 된다. 따라서 1명의 사용자가 다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활성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직접 전환하는 동작을 취하여 제어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복수의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고, 이와 동시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각 입력 디바이스로 독립적으로 제어되기 위해서는, 어떤 커서가 어떤 프로그램에 할당이 되어 있으며 어떻게 동작을 하는지가 새롭게 설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DTV 또는 PC 환경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입력 디바이스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제어하고, 나아가 화면에 출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의 커서를 표시 및 이동시킬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을 상기 제1화면 위에 겹쳐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2화면 중 상기 제1화면과 겹쳐진 부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커서를 적어도 하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커서는, 아래에 겹쳐서 표시되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가장 인접한 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커서는, 상기 제1화면 아래, 상기 제1화면 위, 상기 제1화면과 상기 제2화면 사이 및 상기 제2화면 위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커서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포인팅 커서의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팅 커서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팅 디바이스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커서는 제1포인팅 커서와 제2포인팅 커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는, 각각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 아래에 겹쳐서 표시되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가장 인접한 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경우,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는, 이동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는, 각각 제1포인팅 디바이스 및 제2포인팅 디바이스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과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을 겹쳐지지 않도록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 및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 위에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을 겹쳐서 표시하고,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2화면 중 상기 제1화면과 겹쳐진 부분을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 및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과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을 겹쳐지지 않게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되,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DTV 또는 PC환경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 단일 또는 복수의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제어하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시 제어를 위한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제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한 개의 컴퓨터 디바이스에서 동시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제어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는 하나의 포인팅 커서가 표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포인팅 커서가 어플리케이션 간을 이동하며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c는 두 개의 포인팅 커서가 표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2d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복수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각각 제어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2e는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아직 표시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2f는 포인팅 커서가 이동 가능한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의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의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b는 도 6a의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b는 도 7a의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a는 하나의 포인팅 커서가 표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8b는 포인팅 커서가 어플리케이션 간을 이동하며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c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복수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각각 제어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8d는 제어 대상을 벗어난 경우 포인팅 커서의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100)는 디지털 TV, LFD(Large Format Display), 데스크 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이동 단말, 셋탑박스 등이 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포인팅 디바이스(15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전자 장치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10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100)는 영상 처리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10)는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11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커서 및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오브젝트는 가상 슬라이더, 가상 버튼, 그 밖의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1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및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포인팅 디바이스(150)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120)는 포인팅 디바이스(150)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 및 근거리 통신 등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명령은 포인팅 동작 및 특정 키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1화면과 제2화면이 겹쳐져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 위에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을 겹쳐서 표시하고, 제1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경우 제2화면 중 제1화면과 겹쳐진 부분을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1화면 및 제2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커서를 적어도 하나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 (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포인팅 커서는 아래에 겹쳐서 표시되는 제1화면 및 제2화면 중 가장 인접한 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팅 커서는, 제1화면 아래, 제1화면 위, 제1화면과 제2화면 사이 및 제2화면 위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포인팅 커서가 이동하는 경우, 포인팅 커서의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도 2c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포인팅 커서는 제1포인팅 커서와 제2포인팅 커서를 포함하며, 제1포인팅 커서 및 제2포인팅 커서는 각각 제1어플리케이션 및 제2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포인팅 커서 및 제2포인팅 커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 아래에 겹쳐서 표시되는 제1화면 및 제2화면 중 가장 인접한 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제1포인팅 커서 및 제2포인팅 커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경우,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포인팅 커서 및 제2포인팅 커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 경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는, 이동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d 내지 도 2f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1화면과 제2화면이 겹쳐지지 않게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과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을 겹쳐지지 않게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110)를 제어하고, 제1어플리케이션 및 제2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되,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1화면 및 제2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커서를 적어도 하나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110) 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포인팅 커서는 아래에 표시되는 제1화면 또는 제2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팅 커서는, 제1화면 위, 제1화면 아래, 제2화면 위 및 제2화면 아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포인팅 커서가 이동하는 경우, 포인팅 커서의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a 및 도 8b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포인팅 커서는 제1포인팅 커서와 제2포인팅 커서를 포함하며, 제1포인팅 커서 및 제2포인팅 커서는 각각 제1어플리케이션 및 제2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포인팅 커서 및 제2포인팅 커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1포인팅 커서 및 제2포인팅 커서는, 이동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c 및 도 8d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포인팅 디바이스(150)는 마우스 또는 이와 유사한 커서를 기반으로 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1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을 영상처리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포인팅 디바이스(150)는 영상처리장치 (1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포인팅 디바이스(15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포인팅 디바이스(150)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디바이스 A는 방송 화면에 할당되고, 포인팅 디바이스 B는 게임 화면에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포인팅 디바이스 A를 사용하여 방송 시청을 제어하고, 포인팅 디바이스 B를 사용하여 게임을 실행한다.
또한, 복수 개의 포인팅 디바이스(150)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할당되지 않고, 포인팅 디바이스(150)가 위치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할당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포인팅 디바이스(150)에 대응하는 포인팅 커서가 임의의 화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디바이스 A는 대응되는 포인팅 커서 A의 위치에 따라, 방송 화면에 할당되거나 게임 화면에 할당될 수 있다. 만일, 포인팅 커서 A가 방송 화면과 게임 화면이 겹쳐진 부분에 위치한다면, 아래에 위치한 화면 중 가장 인접한 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DTV 환경에서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 DTV 상에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1화면과 제2화면이 겹쳐져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게임 화면(210) 위에 방송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방송 화면(220)이 겹쳐져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화면 및 제2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커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포인팅 커서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팅 디바이스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a는 하나의 포인팅 커서가 표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포인팅 커서(231)는 포인팅 디바이스 A(230)에 대응된다.
만일, 포인팅 디바이스 A(230)가 포인팅 커서(231)의 위치에 따라, 게임 화면(210) 또는 방송 화면(220)에 할당된다면, 포인팅 커서(231)는 아래에 겹쳐서 표시되는 게임 화면(210) 및 방송 화면(220) 중 가장 인접한 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a에서는, 하위 레어어부터 상위 레이어 순으로, 배경 -> 게임 화면(210) -> 방송 화면(220) -> 포인팅 커서(231)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포인팅 커서(231)의 아래에 겹쳐서 표시되는 화면 중 포인팅 커서(231)에 가장 인접한 화면은 방송 화면(220)이다. 따라서, 포인팅 커서(231)는 방송 화면(220)을 제어하게 된다.
도 2b는 포인팅 커서가 어플리케이션 간을 이동하며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포인팅 커서(232, 233, 234, 235, 236)는 게임 화면(210)과 방송 화면(220)간을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인팅 커서(232, 233, 234, 235, 236)는 게임 화면(210) 아래, 게임 화면(210) 위, 게임 화면(210)과 방송 화면(220) 사이 및 방송 화면(220) 위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포인팅 커서(232, 233, 234, 235, 236)가 이동하는 경우, 포인팅 커서(232, 233, 234, 235, 236)의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2b의 경우, 낮은 레이어에 배치된 화면 위로 이동할수록, 포인팅 커서(232, 233, 234, 235, 236)의 명암은 낮아진다. 구체적으로, 방송 화면(220)위에 위치한 포인팅 커서(232)가 게임 화면(210)위로 이동하는 경우, 명암이 소정 단계만큼 낮아진 형태의 포인팅 커서(234)로 변경된다. 게임 화면(210)위에 위치한 포인팅 커서(234)가 게임 화면(210) 아래로 이동하면, 명암이 소정 단계만큼 더 낮아진 형태의 포인팅 커서(236)로 변경된다.
한편, 방송 화면(220)위에 위치한 포인팅 커서(232)가 게임 화면(210)과 방송 화면(220)사이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위 레어어부터 상위 레이어 순으로, 배경 -> 게임 화면(210) -> 포인팅 커서(233, 234) -> 방송 화면(220)순으로 배열되게 된다. 따라서, 게임 화면(210)위에 위치한 포인팅 커서(234)와, 게임 화면(210)과 방송 화면(220)사이에 위치한 포인팅 커서(233)는 동일한 레이어에 존재한다. 그러나, 후자(233)는 전자(234)와는 달리 게임 화면(210)과 방송 화면(220)이 겹쳐진 영역에 존재하므로, 방송 화면(220)에 의하여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표시하기 위하여, 게임 화면(210)과 방송 화면(220)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포인팅 커서(233)는 경계가 점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234)와 후자(233)는 동일한 레이어에 존재하므로, 명암이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게임 화면(210)아래에 위치한 포인팅 커서(236)와 배경과 게임 화면(210) 사이에 위치한 포인팅 커서(235)의 명암을 동일하게 표시하되, 후자(235)의 경계를 점선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만일, 포인팅 디바이스 A(230)가 포인팅 커서(232, 233, 234, 235, 236)의 위치에 따라 게임 화면(210) 또는 방송 화면(220)에 할당된다면, 포인팅 커서(232, 233, 234, 235, 236)는 아래에 겹쳐서 표시되는 게임 화면(210) 및 방송 화면(220) 중 가장 인접한 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b에서, 방송 화면(220)위에 위치하는 포인팅 커서(232)는 방송 화면(220)을 제어할 수 있다. 게임 화면(210)위에 위치하는 포인팅 커서(234)와 게임 화면(210)과 방송 화면(220)사이에 위치하는 포인팅 커서(233)는 게임 화면(21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게임 화면(210) 아래에 위치한 포인팅 커서(236)와 배경과 게임 화면(210) 사이에 위치한 포인팅 커서(235)는 제어 대상이 없다.
한편, 도 2b의 경우, 게임 화면(210)과 방송 화면(220) 상호간에 포인팅 커서(232, 233, 234, 235, 236)가 이동하더라도, 게임 화면(210)과 방송 화면(220)은 계속 표시되며 사라지지 않는다. 또한, 게임 화면(210)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상위 레이어에 표시된 방송 화면(220)은 그대로 표시되며 사라지지 않는다.
도 2c는 두 개의 포인팅 커서가 표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포인팅 커서 A(237)는 포인팅 디바이스 A(230)에 대응되며, 포인팅 커서 B(241)는 포인팅 디바이스 B(240)에 대응된다. 도 2c에서, 포인팅 커서 A(237)와 포인팅 커서 B(241)는 각각 게임 화면(210) 위에 표시된다.
만일, 포인팅 디바이스 A(230)와 포인팅 디바이스 B(240)가 각각 포인팅 커서 A(237) 및 포인팅 커서 B(241)의 위치에 따라 게임 화면(210) 또는 방송 화면(220)에 할당된다면, 포인팅 커서 A(237) 및 포인팅 커서 B(241)는 아래에 겹쳐서 표시되는 게임 화면(210) 및 방송 화면(220) 중 가장 인접한 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c에서는, 하위 레어어부터 상위 레이어 순으로, 배경 -> 게임 화면(210) -> 포인팅 커서 A(237), 포인팅 커서 B(241) -> 방송 화면(220)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포인팅 커서 A(237)의 아래에 겹쳐서 표시되는 화면 중 포인팅 커서 A(237)에 가장 인접한 화면은 게임 화면(210)이다. 또한, 포인팅 커서 B(241)의 아래에 겹쳐서 표시되는 화면 중 포인팅 커서 B(241)에 가장 인접한 화면 역시 게임 화면(210)이다. 따라서, 포인팅 커서 A(237)와 포인팅 커서 B(241)는 모두 게임 화면(21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d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복수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각각 제어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만일, 포인팅 디바이스 A(230)가 게임 화면(210)에 할당되고 포인팅 디바이스 B(240)가 방송 화면(220)에 할당된다면, 포인팅 커서 A(238)는 게임 화면(210)을 제어하고 포인팅 커서 B(242)는 방송 화면(2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d에서는, 하위 레어어부터 상위 레이어 순으로, 배경 -> 게임 화면(210) -> 포인팅 커서 A(238) -> 방송 화면(220) -> 포인팅 커서 B(242)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포인팅 커서 B(242)는 게임 화면(210)과 방송 화면(220)이 겹쳐진 영역에 위치한다. 그러나, 포인팅 커서 B(242)는 방송 화면(220)만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포인팅 커서 B(242)를 조작하더라도 게임 화면(210)은 제어되지 않는다. 이 경우, 방송 화면(220)만이 제어될 뿐이다.
반대로, 포인팅 디바이스 B(240)가 게임 화면(210)에 할당되고 포인팅 디바이스 A(230)가 방송 화면(220)에 할당된다면, 포인팅 커서 B(242)는 게임 화면(210)을 제어하고 포인팅 커서 A(238)는 방송 화면(2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d에서, 포인팅 커서 B(242)는 게임 화면(210)과 방송 화면(220)이 겹쳐진 영역에 위치한다. 그러나, 포인팅 커서 B(242)는 게임 화면(210)만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포인팅 커서 B(242)를 조작하더라도 방송 화면(220)은 제어되지 않는다. 포인팅 커서 A(238)는 방송 화면(220)을 벗어난 영역에 위치한다. 포인팅 커서 A(238)는 방송 화면(220)만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포인팅 커서 A(238)를 조작하더라도 게임 화면(210)은 제어되지 않는다.
도 2e는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아직 표시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다.
도 2e에서는, 포인팅 디바이스 B(240)의 제어 대상인 방송 화면(220)이 아직 표시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가 로딩중인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팅 커서 B(243)의 제어 대상은 없다. 따라서, 포인팅 커서 B(243)는 방송 화면(220)이외에, 아래에 겹쳐서 표시되는 화면 중 가장 인접한 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e 에서는, 배경 -> 게임 화면(210) -> 포인팅 커서 A(238) -> 방송 화면(220) -> 포인팅 커서 B(243)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포인팅 커서 B(243) 아래에 겹쳐서 표시되는 화면 중 가장 인접한 화면은 게임 화면(210)이므로, 포인팅 커서 B(243)는 게임 화면(2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포인팅 커서 B(243)가 제어 대상인 방송 화면(220)이 아닌 게임 화면(210)을 제어하는 경우, 포인팅 커서 B(243)는 경계가 점선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f는 포인팅 커서가 이동 가능한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포인팅 커서 A(238)는 제어 대상인 게임 화면(210) 영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포인팅 커서 B(242)는 제어 대상인 방송 화면(220) 영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2f에서, 포인팅 커서 A(238)는 A 영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포인팅 커서 B(242)는 B 영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팅 커서 A(238)와 포인팅 커서 B(242)는 이동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경계가 점선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A 영역을 벗어난 포인팅 커서 A(238')와 B 영역을 벗어난 포인팅 커서 B(242')는 경계가 점선으로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레이어(Layer) 또는 그래픽 레이어(Graphic Layer)는 영상이 배치되는 면이다. 레이어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포인팅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포인팅 커서 및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오브젝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컨텐츠 레이어(Content Layer)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배치되는 레이어이다. 커서 레이어(Cursor Layer)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포인팅 커서가 배치되는 레이어이다. 제어 오브젝트 레이어(Control Object Layer)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레이어이다.
화면, 포인팅 커서 및 제어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처리과정은 각각 다르다. 따라서, 영상처리장치(100)는 이들을 독립적으로 처리하여 각각 대응되는 레이어에 표시하고, 복수의 레이어를 겹쳐서 배치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시각에는 화면상에 포인팅 커서 및 제어 오브젝트가 겹쳐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PC 환경, 즉MS_OS(Microsoft Operating System) 또는 리눅스의 윈도우 환경에서는 최상단의 그래픽 레이어에만 커서 레이어를 설정한다. 이 경우, 하단 레이어에 실행되는 프로그램 중 활성화된 컨텐츠 상에서 커서가 가리키는 좌표를 계산하여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활성화된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커서 레이어 바로 하단에 위치한 프로그램이다. 즉, 기존에는 하나의 커서 레이어만이 설정되므로, 커서 바로 하단에 위치하는 프로그램 만을 제어할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레이어 별로 커서 레이어를 대응하여 설정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커서 레이어는 컨텐츠 레이어에 대응하여 설정되지만, 커서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도 있고 컨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커서는 커서가 위치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할당될 수 있다. 또는, 도 2d 내지 도 2f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서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할당될 수 있다.
커서 레이어는 대응하는 컨텐츠 레이어의 상단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 A 레이어(320)는 컨텐츠 A 레이어(310)의 상단에 위치하고, 커서 B 레이어(340)는 컨텐츠 B 레이어(330)의 상단에 위치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커서 A 레이어(320)에 표시된 커서를 이용하여 컨텐츠 A 레이어(310)에 표시된 컨텐츠를 제어하고, 커서 B 레이어(340)에 표시된 커서를 이용하여 컨텐츠 B 레이어(330)에 표시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컨텐츠 레이어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항상 전체 레이어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레이어의 일부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만 화면 또는 커서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각 커서 레이어에 표시되는 커서가 이동할 수 있는 영역은 대응하는 컨텐츠 레이어에 표시되는 컨텐츠 영역에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서 A 레이어(320)에 표시된 커서는 컨텐츠 A 레이어(310)에 표시된 컨텐츠 영역의 범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고, 커서 B 레이어(340)에 표시된 커서는 컨텐츠 B 레이어(330)에 표시된 컨텐츠 영역의 범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최상위 커서 레이어가 아닌 커서 레이어에 출력되는 커서는 상위 레이어에 표시된 컨텐츠 또는 커서 등에 의해 경우에 따라 가려질 수 있다. 이 경우 반투명/불투명/투명/ 기타 기호 등을 사용하여 하단 레이어에서의 커서 위치를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커서 A 레이어(320)에 표시된 커서는, 컨텐츠 B 레이어 (330)에 표시된 컨텐츠에 의하여 가려져서 투명하게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오브젝트 레이어는 대응하는 컨텐츠 레이어와 대응하는 커서 레이어 사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오브젝트가 표시된 제어 오브젝트 레이어(Layer #2)(420)는 대응하는 TV 영상이 표시된 컨텐츠 레이어(layer #1)(410)와 대응하는 커서가 표시된 커서 레이어(Layer #3)(430)사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커서 레이어(430)는 최상단에, 제어 오브젝트 레이어(420)는 중간에, 컨텐츠 레이어(410)는 최하단에 위치한다. 즉, 레이어의 숫자가 높을수록 상위 레이어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제어 오브젝트 레이어(420)에 표시된 제어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컨텐츠 레이어(410)에 표시된 컨텐츠와 관련된 소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서 레이어(430)에 표시된 커서를 이용하여 제어 오브젝트를 제어함으로써, 컨텐츠의 소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변형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오브젝트 레이어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제어 오브젝트가 컨텐츠 레이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커서를 이용하여 커서에 대응되는 컨텐츠 레이어에 표시된 제어 오브젝트를 직접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제어 UI가 게임 화면에 포함된 경우, 사용자는 커서를 이용하여 컨텐츠 레이어에 표시된 제어 오브젝트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b는 도 4a의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만일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 A를 이용하여 채널 및 볼륨을 제어하는 등의 조작을 하면서 TV를 시청하고 있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화면(415)상에는 포인팅 디바이스 A에 대응하는 커서 A(440)와 볼륨 조절을 수행하는 제어 오브젝트 VOL(450) 및 채널 변경을 수행하는 제어 오브젝트 CH(460)가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 A를 이용하여 커서 A(440)를 조작하는 경우, 예를 들어 포인팅 디바이스 A에 존재하는 버튼이나 터치 패드 등을 이용하여 포인팅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커서 A(440)가 위치한 커서 레이어(430)상의 2차원 좌표(x, y)를 인식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어 오브젝트 레이어(420)상에 존재하는 제어 오브젝트(예를 들어, VOL(450), CH(460)) 중 인식한 커서 A(440)의 2차원 좌표(x, y)에 대응되는 제어 오브젝트를 실행시킨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의 경우, 포인팅 디바이스 A 와 포인팅 디바이스 B가 영상처리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디바이스 A에 대응하는 커서 A(580)는 layer #3 (530)에 표시되고, 포인팅 디바이스 B에 대응하는 커서 B(590)는 layer #5(550)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Layer #5(550)에 대응하는 컨텐츠 레이어(540)에 아직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포인팅 디바이스 A를 이용하여 방송 화면을 조작하고 시청하는 중에, 사용자 B가 포인팅 디바이스 B를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다. 기존 포인팅 디바이스 A로 제어되는 영상처리장치(100)에 사용자 B가 포인팅 디바이스 B를 새롭게 연결하는 경우, 기존의 커서 A(580)가 위치하는 Layer #3(530) 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layer #5(550)에, 포인팅 디바이스 B에 대응하는 커서 B(590)가 표시된다. 이후 Layer #4(540)에는 게임 컨텐츠가 로딩되어 표시될 것이지만, 현재 Layer #4(540)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경우, 게임 컨텐츠가 로딩되어 표시되기 전까지는 커서 B(590)에 대응하는 제어 오브젝트 레이어 또는 컨텐츠 레이어에 표시된 컨텐츠가 없기 때문에, 현재 커서 B(590)의 제어 대상은 없다. 따라서, 커서 B(590)는 보다 하단에 위치하는 레이어를 탐색하여, Layer #2(520)에 존재하는 제어 오브젝트 또는 Layer #1(510)에 표시된 방송 영상을 조작할 수 있다.
Layer #4(540)에 대응하는 커서 B(590)를 사용하여 Layer #2(520)에 표시된 제어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경우, 영상처리장치(100)는 Layer #5(550) 상에 표시된 커서 B의 좌표(x, y)에 대응하는 Layer #2(520)의 제어 오브젝트를 실행하게 된다. 만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서 B(590)를 이용하여 GAME(564)을 선택함으로써 게임을 실행하게 되면, 게임 컨텐츠가 로딩되어 게임 화면이 표시된다. 이 경우, 게임 화면은 Layer #5(550)에 표시되는 커서 B(590)에 의하여 제어되기 위하여, Layer #5(550)에 대응하는 컨텐츠 레이어 또는 제어 오브젝트 레이어에 표시되게 된다. 도 5a에서는 게임 화면이 Layer #5(550)의 하단, 즉 Layer #4(540)에 표시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커서 A(580)는 Layer #3(530)의 2차원 공간을 모두 움직일 수 있지만, 커서 B(590)가 Layer #5(550)의 2차원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Layer #4(540)에서 실제 컨텐츠가 위치하고 있는 좌표만큼의 공간으로 한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커서의 조작면에서 편리하다. 즉, 상위 컨텐츠 레이어에 위치한 컨텐츠의 2차원 공간에서의 크기가 하위 컨텐츠 레이어에 위치한 컨텐츠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위 커서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대응하는 컨텐츠의 크기만큼으로 제한하는 것이 조작 측면에서 보다 편리할 수 있다.
한편, Layer #3(530)에 표시된 커서 A(580)가 Layer #4(540)에 표시된 컨텐츠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서 A(580)가 Layer #1(510)에 표시된 방송 화면과 Layer #4(540)에 표시된 게임 화면이 겹쳐진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커서 A(580)는 Layer #1(510)에 대응하는 커서 레이어(530)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Layer #4(540)에 표시된 게임 화면을 제어할 수는 없다. 이 경우, 커서 A(580)를 상위 컨텐츠 레이어인 게임 화면과 반투명으로 혼합하여 표시하거나, 커서 A(580) 대신 특수한 기호나 형태로 표시되는 의사 커서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로부터, 커서 A(580)가 어떤 레이어에 위치하는지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의사 커서는 하위 레이어의 커서가 상위 레이어에 영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서, 실제 커서는 아니다. 따라서, 의사 커서를 이용하여 상위 레이어에 표시된 컨텐츠 또는 제어 오브젝트를 조작하더라도, 선택 또는 실행되지 않는다.
도 5b는 도 5a의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Layer #4(540)에 게임 화면이 아직 표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하나의 화면 즉, 방송 화면(515)만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방송 화면(515)에서 수행되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오브젝트(즉, TV(562), GAME(564), DVD(566), VOL(572), CH(574)), 커서 A(580) 및 커서 B(590)가 방송 화면(515) 상에 표시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b는 도 6a의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레이어 상태에서 게임 컨텐츠가 로딩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레이어(Layer #4)(640)에 게임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게임 화면은 커서 B(690)가 표시되는 Layer #5(650)에 대응하는 Layer #4(640)에 표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 B(690)를 이용하여 게임 화면(67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커서 A(680)를 사용하여 방송 화면(615) 또는 제어 오브젝트 VOL(662) 및 제어 오브젝트 CH(66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b는 도 7a의 경우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Layer #3(740)에 위치한 커서 A(770)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Layer #1(710)에 표시된 방송 화면(715)이 아닌 게임 화면(760)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a에서는 커서 B(690)를 이용하여 게임 화면(670)을 제어한다. 따라서, 게임 화면(670)은 커서 B(690)가 표시되는 Layer #5(650)에 대응하는 Layer #4(640)에 표시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커서 A(770)를 이용하여 게임 화면(760)을 제어하게 되므로, 게임 화면(760)은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Layer #3(740)과 Layer #2(720)의 사이인 Layer #2.5(730)에 로딩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커서 레이어의 커서로 새로운 컨텐츠 레이어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생성되는 새로운 컨텐츠 레이어를 특정 커서 레이어의 하단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특정 커서 레이어의 하단에 동시에 위치하는 제어 오브젝트와 겹칠 경우에는 보다 상위의 컨텐츠 레이어의 제어 오브젝트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 A(770)를 이용하여 게임 화면(76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1화면과 제2화면이 겹쳐지지 않게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화면(810)과 방송 화면(820)은 독립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게임 화면(810)과 방송 화면(82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커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포인팅 커서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팅 디바이스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a는 하나의 포인팅 커서가 표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포인팅 커서(831)는 포인팅 디바이스 A(830)에 대응된다.
만일, 포인팅 디바이스 A(830)가 포인팅 커서(831)의 위치에 따라, 게임 화면(810) 또는 방송 화면(820)에 할당된다면, 포인팅 커서(831)는 아래에 표시되는 게임 화면(810) 또는 방송 화면(8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a에서, 포인팅 커서(831)의 아래에 표시되는 화면은 방송 화면(820)이다. 따라서, 포인팅 커서(831)는 방송 화면(820)을 제어하게 된다.
도 8b는 포인팅 커서가 어플리케이션 간을 이동하며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포인팅 커서(832, 832')는 게임 화면(810)과 방송 화면(820)간을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인팅 커서(832, 832')는, 게임 화면(810) 위, 게임 화면(810) 아래, 방송 화면(820) 위 및 방송 화면(820) 아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포인팅 커서(832, 832')가 이동하는 경우, 포인팅 커서(832, 832')의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만일, 포인팅 디바이스 A(830)가 포인팅 커서(831)의 위치에 따라, 게임 화면(810) 또는 방송 화면(820)에 할당된다면, 도 8b에서 포인팅 커서(832)가 방송 화면(820)위에 위치하는 경우 포인팅 커서(832)는 방송 화면(82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포인팅 커서(832')가 게임 화면(810)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포인팅 커서(832')는 게임 화면(810)을 제어할 수 없다. 또한, 이 경우, 게임 화면(810)에 의해 가려져 포인팅 커서(832')는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8c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복수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각각 제어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포인팅 커서 A(833)는 포인팅 디바이스 A(830)에 대응되며, 포인팅 커서 B(841)는 포인팅 디바이스 B(840)에 대응된다.
만일, 포인팅 디바이스 A(830)가 게임 화면(810)에 할당되고 포인팅 디바이스 B(840)가 방송 화면(820)에 할당된다면, 포인팅 커서 A(833)는 게임 화면(810)을 제어하고 포인팅 커서 B(841)는 방송 화면(8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c에서, 포인팅 커서 A(833)와 포인팅 커서 B(841)는 각각 제어 대상인 게임 화면(810) 및 방송 화면(820) 영역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포인팅 커서 A(833)와 포인팅 커서 B(841)는 각각 게임 화면(810) 및 방송 화면(820)을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포인팅 디바이스 B(840)가 게임 화면(810)에 할당되고 포인팅 디바이스 A(830)가 방송 화면(820)에 할당된다면, 포인팅 커서 B(841)는 게임 화면(810)을 제어하고 포인팅 커서 A(833)는 방송 화면(8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c에서, 포인팅 커서 A(833)는 게임 화면(810) 위에 위치한다. 즉, 제어 대상인 방송 화면(820) 영역 밖에 존재하므로, 포인팅 커서 A(833)는 방송 화면(820)을 제어할 수 없다. 또한, 포인팅 커서 B(841)는 방송 화면(820) 위에 위치한다. 즉, 제어 대상인 게임 화면(810) 영역 밖에 존재하므로, 포인팅 커서 B(841)는 게임 화면(810)을 제어할 수 없다.
도 8d는 제어 대상을 벗어난 경우 포인팅 커서의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만일, 포인팅 디바이스 A(830)가 게임 화면(810)에 할당되고 포인팅 디바이스 B(840)가 방송 화면(820)에 할당된다면, 포인팅 커서 A(834)는 제어 대상인 게임 화면(810) 영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포인팅 커서 B(842)는 제어 대상인 방송 화면(820) 영역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팅 커서 A(834)와 포인팅 커서 B(842)는 이동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경계가 점선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게임 화면(810) 영역을 벗어난 포인팅 커서 A(834)와 방송 화면(820) 영역을 벗어난 포인팅 커서 B(842)는 경계가 점선으로 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영상처리장치(100)는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을 표시한다(S901).
영상처리장치(100)는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을 제1화면 위에 겹쳐서 표시한다(S902).
영상처리장치(100)는 제1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경우, 제2화면 중 제1화면과 겹쳐진 부분을 표시한다(S903).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영상처리장치(100)는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과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을 겹쳐지지 않도록 표시한다(S1001).
영상처리장치(100)는 제1어플리케이션 및 제2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S1002).
영상처리장치(100)는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되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S1003).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영상처리장치 110: 영상 처리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제어부
150: 포인팅 디바이스

Claims (44)

  1.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을 제1그래픽 레이어에 표시하고,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1포인팅 커서를 상기 제1그래픽 레이어 위의 제2그래픽 레이어에 표시하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을 제3그래픽 레이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2포인팅 커서를 상기 제3그래픽 레이어 위의 제4그래픽 레이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포인팅 커서를 이용한 제1사용자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이 표시되는 제1그래픽 레이어에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1사용자명령입력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포인팅 커서를 이용한 제2사용자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이 표시되는 제3그래픽 레이어에서 상기 제2포인팅 커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2사용자명령입력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와 제2포인팅 커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화면이 표시되는 제1그래픽 레이어 아래, 상기 제1그래픽 레이어 위, 상기 제1그래픽 레이어와 상기 제2화면이 표시되는 제3그래픽 레이어 사이 및 상기 제3그래픽 레이어 위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 가능한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와 제2포인팅 커서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제2포인팅 커서의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 중 적어도 하나는, 그 포인팅 커서의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상기 제1그래픽 레이어 및 제3그래픽 레이어에 표시되지 않은 경우, 그 포인팅 커서의 아래에 표시되는 화면인 상기 제1그래픽 레이어에 표시된 제1화면 및 상기 제3그래픽 레이어에 표시된 제2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중 가장 인접한 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 중 적어도 하나가 그 포인팅 커서의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경우, 그 포인팅 커서의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 내에서만 이동 가능한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그 포인팅 커서의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는, 각각 제1포인팅 디바이스 및 제2포인팅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 및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을 제1그래픽 레이어에 표시하고,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1포인팅 커서를 상기 제1그래픽 레이어 위의 제2그래픽 레이어에 표시하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을 제3그래픽 레이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2포인팅 커서를 상기 제3그래픽 레이어 위의 제4그래픽 레이어에 표시하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포인팅 커서를 이용한 제1사용자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화면이 표시되는 제1그래픽 레이어에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1사용자명령입력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포인팅 커서를 이용한 제2사용자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2화면이 표시되는 제3그래픽 레이어에서 상기 제2포인팅 커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2사용자명령입력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와 제2포인팅 커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화면이 표시되는 제1그래픽 레이어 아래, 상기 제1그래픽 레이어 위, 상기 제1그래픽 레이어와 상기 제2화면이 표시되는 제3그래픽 레이어 사이 및 상기 제3그래픽 레이어 위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 가능한 영상처리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와 제2포인팅 커서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제2포인팅 커서의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영상처리장치.
  28. 삭제
  29. 삭제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 중 적어도 하나는, 그 포인팅 커서의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상기 제1그래픽 레이어 및 제3그래픽 레이어에 표시되지 않은 경우, 그 포인팅 커서의 아래에 표시되는 화면인 상기 제1그래픽 레이어에 표시된 제1화면 및 상기 제3그래픽 레이어에 표시된 제2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중 가장 인접한 화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영상처리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 중 적어도 하나가 그 포인팅 커서의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경우, 그 포인팅 커서의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영상처리장치.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 내에서만 이동 가능한 영상처리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 가능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그 포인팅 커서의 투명도, 모양, 명암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영상처리장치.
  3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인팅 커서 및 상기 제2포인팅 커서는, 각각 제1포인팅 디바이스 및 제2포인팅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영상처리장치.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KR1020100013520A 2009-09-04 2010-02-12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61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72368A EP2299699A3 (en) 2009-09-04 2010-08-10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12/855,726 US8661365B2 (en) 2009-09-04 2010-08-13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14/100,816 US9612729B2 (en) 2009-09-04 2013-12-09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3338 2009-09-04
KR1020090083338 2009-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591A KR20110025591A (ko) 2011-03-10
KR101661142B1 true KR101661142B1 (ko) 2016-10-11

Family

ID=4393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520A KR101661142B1 (ko) 2009-09-04 2010-02-12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1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591A1 (ko) * 2017-09-29 2019-04-04 클릭트 주식회사 가상현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KR20190077253A (ko) * 2019-06-10 2019-07-03 클릭트 주식회사 가상현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KR102247323B1 (ko) 2020-04-27 2021-05-03 주식회사 해커스홀딩스 비대면 영상 설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359B2 (ja) * 1986-12-26 1996-11-2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7682A (ja) * 1997-01-17 1998-08-07 Fujitsu Ltd 画像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359B2 (ja) * 1986-12-26 1996-11-2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591A1 (ko) * 2017-09-29 2019-04-04 클릭트 주식회사 가상현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KR20190038044A (ko) * 2017-09-29 2019-04-08 클릭트 주식회사 가상현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KR101990373B1 (ko) * 2017-09-29 2019-06-20 클릭트 주식회사 가상현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US11127208B2 (en) 2017-09-29 2021-09-21 Clicked, Inc.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image and program using same
KR20190077253A (ko) * 2019-06-10 2019-07-03 클릭트 주식회사 가상현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KR102192153B1 (ko) 2019-06-10 2020-12-16 클릭트 주식회사 가상현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KR102247323B1 (ko) 2020-04-27 2021-05-03 주식회사 해커스홀딩스 비대면 영상 설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591A (ko)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272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JP6271858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259077B2 (en)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user command 3-dimensionally and method for employing the same
US946773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user input
US8386944B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16248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402234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uitive user interaction between multiple devices
US9811303B2 (en) Display apparatus, multi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326421A1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10963136B2 (en) Highlighting of objects on a display
US9671892B2 (en)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receives an input to an input area of the input apparatus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using the input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ensor
US11435870B2 (en) Input/output controller and input/output control program
JP2004054589A (ja)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20140282151A1 (en) User Interface for Toolbar Navigation
KR20110088930A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31442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020473A (zh) 界面操作方法及系统
WO201316880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4216644A (zh) 一种映射被遮挡区的系统和方法
KR101101945B1 (ko) 터치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한 리모컨 및 리모컨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EP260552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visual display screens to touch screens
KR20200136589A (ko) 터치센서를 구비한 멀티기능 수행 터치 키보드
KR101661142B1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US20130021367A1 (en) Methods of controlling window display on an electronic device using combinations of event generators
CN102830892A (zh) 触碰控制方法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