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659A - 엠피시8260 엠시시를 이용한 다중 유에이알티 통신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엠피시8260 엠시시를 이용한 다중 유에이알티 통신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659A
KR20050070659A KR1020030100460A KR20030100460A KR20050070659A KR 20050070659 A KR20050070659 A KR 20050070659A KR 1020030100460 A KR1020030100460 A KR 1020030100460A KR 20030100460 A KR20030100460 A KR 20030100460A KR 20050070659 A KR20050070659 A KR 20050070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art
mcc
data
mpc8260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0659A/ko
Publication of KR20050070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6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ART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MPC8260 프로세서의 MCC(Multi-Channel Controller, 이하 "MCC"라 함)와 UART 프레임의 송신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UART 콘트롤 로직을 이용하여 다중 UART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안된 본 발명인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송수신 데이터들을 시리얼(Serial)로 송수신하는 MPC8260 MCC와; 상기 MCC로부터 데이터들을 전달받아 UART 프레임을 생성하여 각 목적지에 맞는 송신 속도로 출력하는 송신부와, 들어오는 UART 프레임들을 디프레이밍한 후 상기 MCC로 전달하는 수신부로 구성된 UART 콘트롤 로직과;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UART 프레임을 다른 보드로 전송하거나 다른 보드로부터 들어오는 UART 프레임을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에 전달하는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엠피시8260 엠시시를 이용한 다중 유에이알티 통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UART COMMUNICATION BY THE MULTIPLEX USING MPC8260 MCC}
본 발명은 UART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MPC8260 프로세서의 MCC(Multi-Channel Controller, 이하 "MCC"라 함)와 UART 프레임의 송신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UART 콘트롤 로직을 이용하여 다중 UART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UART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수단은, 송신할 데이터를 생성하여 병렬 라인을 통하여 출력하거나 들어오는 수신 데이터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UART 프레임화하여 출력하거나 들어오는 UART 프레임에 대하여 디프레이밍을 수행하는 UART 로직과, 상기 UART 로직으로부터 전달되는 UART 프레임을 다른 보드로 전송하거나 들어오는 UART 프레임을 전달받아 상기 UART 로직으로 전송하는 디퍼런셜(Differential)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종래의 UART 통신 장치의 작용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종래의 UART 통신 장치의 구성도)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세서(1)는 다른 보드로 송신할 UART 데이터를 생성하고, 다른 보드로부터 전달되는 UART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프로세서는 UART 통신이 가능하게 하기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고, 아래에서 설명할 UART 로직과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UART 로직(2)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생성되어 병렬 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UART 데이터를 전달받아 UART 프레임으로 만들어 출력하거나, 다른 보드로부터 들어오는 UART 프레임에 대하여 디프레이밍을 수행하여 순수한 데이터만을 만들어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에 사전에 약속되어 있는 방식에 의해 스타트(Start) 비트와 스톱(Stop) 비트를 부가하여 출력하거나, 들어오는 UART 프레임에 붙어있는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제거하여 순수한 데이터만을 생성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디퍼런셜(Differential) 라인 드라이버/리시버(3)는 상기 UART 로직으로부터 전달되는 UART 프레임을 전달받아 다른 보드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가 수행), 다른 보드로부터 들어오는 UART 프레임을 전달받아 상기 UART 로직으로 전송하는 역할를 수행한다(디퍼런셜 라인 리시버가 수행).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UART 통신이 이루어지는데, 송신과 수신에 관한 동작 및 실시예를 계속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신 동작을 보면, 프로세서가 송신할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생성하여 병렬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UART 로직에 전송한다. 그러면, UART 로직에서는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에 사전에 약속되어 있는 방식에 따라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부가한 UART 프레임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출력되는 UART 프레임은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에서 전송받아 다른 보드로 전송하게 된다.
수신 동작을 살펴보면, 다른 보드로부터 전달되는 UART 프레임을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에서 전송받아 UART 로직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UART 로직에서는 전달받은 UART 프레임에 대하여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제거하여 순수한 데이터로 만드는 디프레이밍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순수한 데이터들은 프로세서로 전달되어 처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노드간의 UART 통신은 1:1 UART 통신만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UART 로직에서는 6개의 포트만을 지원하여 대용량이 필요로 하는 경우 문제점이 발생하고, 모든 노드가 동일한 보 레이트(Baud rate)를 사용하고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MPC8260 MCC를 사용하여 다중 채널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UART 콘트롤 로직에 전송하고, UART 콘트롤 로직에서는 각 목적지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프레이밍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송신속도를 조절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송수신 데이터들을 시리얼(Serial)로 송수신하는 MPC8260 MCC와;
상기 MCC로부터 데이터들을 전달받아 UART 프레임을 생성하여 각 목적지에 맞는 송신 속도로 출력하는 송신부와, 들어오는 UART 프레임들을 디프레이밍한 후 상기 MCC로 전달하는 수신부로 구성된 UART 콘트롤 로직과;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UART 프레임을 다른 보드로 전송하거나 다른 보드로부터 들어오는 UART 프레임을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에 전달하는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의 송신부는,
상기 MCC로부터 들어오는 시리얼 데이터를 각각의 목적지에 맞게 분배하는 디먹스부와, 상기 디먹스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UART 프레임으로 변경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전달되는 UART 프레임에 대하여 목적지에 맞는 송신속도로 조절하는 송신속도 조절부와, 상기 조절되는 UART 프레임을 임시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의 수신부는,
상기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로부터 전달되는 UART 프레임들을 디프레이밍하는 디프레임부와, 상기 디프레임된 데이터들을 해당 속도로 조절하는 수신속도 조절부와, 상기 수신속도가 조절된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먹싱하는 먹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또 다른 본 발명인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MPC8260 MCC에 의해 송신할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이 데이터들에 대하여 UART 프레임으로 프레이밍을 하여 각 프레임의 전송속도에 따라 다른 보드로 전송하는 송신단계와; 다른 보드에서 들어오는 UART 프레임들에 대하여 디프레이밍을 수행하고, 해당 수신속도로 조절한 후 먹싱하여 MPC8260 MCC에 전달하여 처리하는 수신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송신단계는, MCC에서 송신 데이터들을 시리얼로 UART 콘트롤 로직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전달된 데이터들을 디먹싱하여 각 목적지에 따라 분배하는 과정과, 상기 분배된 데이터들에 대하여 UART 프레임화하는 과정과, 상기 UART 프레임에 대하여 송신속도를 조절하여 해당 보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신단계는, 다른 보드로부터 들어오는 UART 프레임들을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를 통해 UART 콘트롤 로직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전달된 UART 프레임들에 대하여 디프레이밍을 수행하여 패이로드(Payload)들로 만드는 과정과, 상기 패이로드들에 대하여 수신속도를 조절하는 과정과, 상기 속도가 조절된 패이로드들을 먹싱하여 시리얼로 MCC로 전송하여 처리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인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작용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은 크게 송신 작용과 수신 작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첨부된 도 2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MPC8260 MCC(10)와 UART 콘트롤 로직(20)과 디퍼런셜(Differential) 라인 드라이버/리시버(30)로 구성된다.
MPC8260 MCC(10)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사항 중에 하나인 채널 다중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써, MCC는 일반적으로 2개로 구성되어 통신 프로토콜 모듈을 지원한다. 각 MCC는 128개의 Serial, Full-Duplex 데이터 채널을 다룰 수 있는데, 128개의 채널을 32개의 채널씩 4개의 서브 그룹으로 나뉘어진다. 서브 그룹들은 SI의 TDM을 통해 다중화되어 전송되는데, 채널에는 한 채널에 하나의 타임 슬롯이 배정되는 Normal 채널과 한꺼번에 여러 개의 타임 슬롯이 배정되는 Super 채널이 있다. 상기와 같은 MPC8260 MCC는 본 발명에서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여 후술할 UART 콘트롤 로직과 시리얼로 연결되어 생성한 데이터를 TDM을 통해서 전송하거나,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으로부터 들어오는 시리얼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UART 콘트롤 로직(20)은 송신부와 수신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송신부는 상기 MPC8260 MCC로부터 시리얼 라인을 통하여 들어오는 데이터들을 전달받아 각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UART 프레임을 생성하여 각 목적지(Destination)에 맞는 송신속도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수신부는 UART 콘트롤 로직으로 들어오는 UART 프레임들을 디프레이밍을 수행하여 순수한 데이터들로만 구성되는 패이로드(Payload)로 만든 후, 이들을 먹싱하여 상기 MPC8260 MCC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UART 콘트롤 로직(20)의 송신부와 수신부를 이루는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것인데, 송신부(40)는 디먹스부(41)와 프레임부(42)와 송신속도 조절부(43)와 버퍼(44)로 구성되고, 수신부(50)는 디프레임부(51)와 수신속도 조절부(52)와 버퍼(53)와 먹스부(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송신부(40)의 디먹스부(41)는 상기 MPC8260 MCC로부터 들어오는 여러 채널을 구성하는 시리얼 데이터들을 전달받아 각각의 채널 별로 데이터들을 나누어 각각의 목적지(Destination)에 맞게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MPC8260 MCC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들은 TDM을 통해 여러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이 하나의 시리얼 라인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디먹스부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들을 각 채널 별 데이터로 구분하고 해당 목적지 별로 분배하는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송신부의 프레임부(42)는 상기 디먹스부로부터 전달되어 해당 목적지로 전달될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사전에 약속된 방식에 따라 UART 프레임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UART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약속된 방식에 따라 전송하게 되는데, 그 예로 데이터에 스타트(Start) 비트와 스톱(Stop) 비트를 부쳐서 UART 프리이밍을 수행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송신부의 송신속도 조절부(43)는 상기 프레임부에서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부쳐 UART 프레임화된 프레임 데이터를 전달받아 해당 UART 프레임이 전송될 목적지에 맞는 송신속도로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각각의 UART 프레임은 목적지가 상이할 것이고 데이터의 크기도 상이할 것이므로, 목적지에 전송할 전송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은 동작을 상기 송신속도 조절부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송신부의 버퍼(44)는 상기 송신속도 조절부에서 송신속도가 조절된 UART 프레임들을 전달받아 임시 저장하여 각 목적지에 전달될 수 있도록 후술할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수신부(50)의 디프레임부(51)는 후술할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로부터 전달되는 UART 프레임을 전달받아 디프레이밍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로부터 전달되는 UART 프레임은 순수한 데이터에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가 부쳐진 상태이므로, 상기 디프레임부는 UART 프레임에서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제거하고 순수한 데이터만을 가지는 패이로드(Payload)들을 생성한다.
수신부의 수신속도 조절부(52)는 상기 디프레이밍이 수행되어 순수한 데이터들로만 구성된 패이로드에 대하여 MPC8260 MCC에 전송할 수신속도에 맞게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수신부의 버퍼(53)는 상기 수신속도 조절부로부터 전달되는 순수 데이터들로만 구성된 패이로드들을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신부의 먹스부(54)는 상기 버퍼에 저장된 패이로드 데이터들을 먹싱하여 상기 MPC8260 MCC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MPC8260 MCC과 UART 콘트롤러 로직은 시리얼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어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해당 채널에 맞게 먹싱을 하여 MPC8260 MCC에 전달해야 하는 것이다.
도 2의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를 이루는 마지막 구성요소인 디퍼런셜(Differential)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는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으로부터 전달되는 각 목적지를 가지는 UART 프레임을 수신하여 다른 보드로 전송을 수행하거나(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에서 수행), 다른 보드들로부터 전달되어 들어오는 UART 프레임들을 수신하여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은, 본 발명인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인 송수신 단계의 절차도를 보여주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UART 통신 방법에 적용되는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 작용과 수신 작용으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송신단계는 MPC8260 MCC에 의해서 송신할 데이터들을 생성하여 시리얼로 UART 콘트롤 로직으로 전송하면, 이 데이터들은 UART 콘트롤 로직에서 UART 프레임으로 프레이밍되고, 각 UART 프레임에 맞는 전송속도로 조절되어 다른 보드로 전송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수신단계는 다른 보드에서 들어오는 UART 프레임이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를 통해 UART 콘트롤 로직에 전달되면, UART 프레임들에 대하여 디프레이밍을 수행하여 순수한 데이터들만으로 구성된 패이로드들로 만들고, 이들을 먹싱하여 MPC8260 MCC에 전송하여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송신단계와 수신단계로 구성되어 본 발명인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방법을 이룬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송신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와 바람직할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MPC8260 MCC에서 여러 개의 채널에 해당하는 송신 데이터들을 생성하여 시리얼 라인을 통해 UART 콘트롤 로직으로 전달한다(S21). 즉, MPC8260 MCC에서는 다중 채널을 지원하므로 각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을 생성하여 TDM을 통하여 데이터들을 시리얼 라인으로 전송하여 UART 콘트롤 로직에서 수신하게 한다.
상기 MPC8260 MCC로부터 UART 콘트롤 로직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들은 여러 개의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달되는 데이터들을 디먹싱하여 각 목적지에 따라 분배를 하여야 한다(S22). 즉, UART 콘트롤 로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은 여러 채널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이 시리얼로 들어오므로, 들어오는 데이터들에 대하여 각 채널 별 데이터들로 분리하여 각 목적지에 따라 분배하는 디먹싱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각 목적지 별로 분배된 데이터들은 프레임부에 의해 UART 프레이밍되는 프레임화 단계를 수행하여야 한다(S23). 즉, 각 채널 별로 데이터가 분리되어 해당 목적지 별로 데이터가 분배되면, 각 목적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은 프레임부에서 프레이밍되어 UART 프레임으로 변경되는데, 상기 프레이밍은 사전에 약속된 방식에 따라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다른 보드와 UART 통신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전송할 데이터에 대하여 가공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프레임부로 들어오는 순수한 데이터들에 대하여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부쳐서 새로운 UART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부에서 각 목적지에 전송될 데이터들이 사전에 약속된 방식에 따라 프레이밍이 수행되어 UART 프레임이 생성되면, 이 UART 프레임에 대하여 송신속도를 조절하여 해당 보드로 전송한다(S24). 즉, 각 목적지에 전송될 UART 프레임의 데이터는 서로 크기가 다르고, 목적지가 상이하므로 전송속도도 서로 다르게 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은 이유로 송신속도 조절부에서는 해당 UART 프레임에 대하여 송신속도를 조절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방법의 일 실시예인 데이터 수신방법에 관한 작용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다른 보드로부터 들어오는 UART 프레임들은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를 통해서 UART 콘트롤 로직으로 전달된다(디퍼런셜 라인 리시버에서 수행)(S31). 상기의 UART 프레임들은 사전에 약속된 방식에 따라 순수한 데이터에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가 부가된 상태로 전달된다.
상기 디퍼런셜 라인 리시버를 통해서 UART 콘트롤 로직으로 들어오는 UART 프레임들은 디프레이머에서 디프레이밍되어 순수한 데이터로 구성된 패이로드(Payload)들로 만들어진다(S32). 즉, UART 콘트롤 로직으로 들어오는 UART 프레임은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가 부가된 데이터이므로 디프레이머에서 상시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제거하여 순수한 데이터인 패이로드들로 변환하는 것이다.
상기 디프레이머에서 순수한 데이터로 구성된 패이로드로 변환된 데이터들은 수신속도 조절부에서 적절한 속도로 조절된다(S33). 즉,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 내로 수신되는 데이터들은 각각 다른 수신속도로 전달되므로 MPC8260 MCC로 전달하기 위한 적절한 속도로 조절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기 속도가 조절된 패이로드들은 일단 버퍼에 임시적으로 저장되고 먹스부에 의해서 먹싱되어 시리얼로 MPC8260 MCC로 전송되어 처리된다(S34). 즉, MPC8260 MCC와 UART 콘트롤 로직은 시리얼로 연결되어 있고 UART 콘트롤 로직과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는 다중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들은 시리얼 라인을 통해 MPC8260 MCC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버퍼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패이로드들을 먹스부에서 먹싱하여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인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1:N의 UART 통신이 가능하고 각 노드마다 각각 다른 보 레이트(Baud rate)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 레이트의 조정이 가능하여 그만큼 성능이 향상되고 최대 32개의 노드를 지원할 수 있어 최대 64Kbps까지 지원된다. 즉, 노드개수*64Kbps의 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UART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엠피시8260 엠시시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UART 콘트롤 로직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엠피시8260 엠시시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방법의 일 실시예인 송신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엠피시8260 엠시시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방법의 일 실시예인 수신방법의 절차도이다.

Claims (6)

  1. 송수신 데이터들을 시리얼(Serial)로 송수신하는 MPC8260 MCC와;
    상기 MCC로부터 데이터들을 전달받아 UART 프레임을 생성하여 각 목적지에 맞는 송신 속도로 출력하는 송신부와, 들어오는 UART 프레임들을 디프레이밍한 후 상기 MCC로 전달하는 수신부로 구성된 UART 콘트롤 로직과;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으로부터 출력되는 UART 프레임을 다른 보드로 전송하거나 다른 보드로부터 들어오는 UART 프레임을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에 전달하는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의 송신부는,
    상기 MCC로부터 들어오는 시리얼 데이터를 각각의 목적지에 맞게 분배하는 디먹스부와, 상기 디먹스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UART 프레임으로 변경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전달되는 UART 프레임에 대하여 목적지에 맞는 송신속도로 조절하는 송신속도 조절부와, 상기 조절되는 UART 프레임을 임시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ART 콘트롤 로직의 수신부는,
    상기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로부터 전달되는 UART 프레임들을 디프레이밍하는 디프레임부와, 상기 디프레임된 데이터들을 해당 속도로 조절하는 수신속도 조절부와, 상기 수신속도가 조절된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먹싱하는 먹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장치.
  4. MPC8260 MCC에 의해 송신할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이 데이터들에 대하여 UART 프레임으로 프레이밍을 하여 각 프레임의 전송속도에 따라 다른 보드로 전송하는 송신단계와; 다른 보드에서 들어오는 UART 프레임들에 대하여 디프레이밍을 수행하고, 해당 수신속도로 조절한 후 먹싱하여 MPC8260 MCC에 전달하여 처리하는 수신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계는,
    MCC에서 송신 데이터들을 시리얼로 UART 콘트롤 로직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전달된 데이터들을 디먹싱하여 각 목적지에 따라 분배하는 과정과, 상기 분배된 데이터들에 대하여 UART 프레임화하는 과정과, 상기 UART 프레임에 대하여 송신속도를 조절하여 해당 보드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는,
    다른 보드로부터 들어오는 UART 프레임들을 디퍼런셜 라인 드라이버/리시버를 통해 UART 콘트롤 로직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전달된 UART 프레임들에 대하여 디프레이밍을 수행하여 패이로드(Payload)들로 만드는 과정과, 상기 패이로드들에 대하여 수신속도를 조절하는 과정과, 상기 속도가 조절된 패이로드들을 먹싱하여 시리얼로 MCC로 전송하여 처리하게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C8260 MCC를 이용한 다중 UART 통신 방법.
KR1020030100460A 2003-12-30 2003-12-30 엠피시8260 엠시시를 이용한 다중 유에이알티 통신 장치및 방법 KR20050070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460A KR20050070659A (ko) 2003-12-30 2003-12-30 엠피시8260 엠시시를 이용한 다중 유에이알티 통신 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460A KR20050070659A (ko) 2003-12-30 2003-12-30 엠피시8260 엠시시를 이용한 다중 유에이알티 통신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659A true KR20050070659A (ko) 2005-07-07

Family

ID=3726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460A KR20050070659A (ko) 2003-12-30 2003-12-30 엠피시8260 엠시시를 이용한 다중 유에이알티 통신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06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672B1 (ko) * 2009-12-31 2015-03-05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모바일 인더스트리 프로세서 인터페이스
KR20170065586A (ko) * 2014-09-25 2017-06-13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직렬 통신들을 위한 스택 타이밍 조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672B1 (ko) * 2009-12-31 2015-03-05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모바일 인더스트리 프로세서 인터페이스
KR20170065586A (ko) * 2014-09-25 2017-06-13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직렬 통신들을 위한 스택 타이밍 조정
US10649947B2 (en) 2014-09-25 2020-05-12 Micro Motion, Inc. Stack timing adjustment for serial communic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0163B1 (en) Network interface for interfacing PDH network and ATM network
US6320863B1 (en) Backplane architecture for dynamic synchronous transfer mode
JP3522252B2 (ja) 光回線データを広域/都市域リンクに伝送するためのフレキシブルなマルチプレクサ/デマルチプレクサ及び方法
US7239642B1 (en) Multi-protocol network interface card
JPH06284130A (ja) 等時性能力を備えたデータ通信ネットワーク
JPH06216908A (ja) フレーム構造を有する等時性ソースデータの伝送用ネットワーク
US7130276B2 (en) Hybrid time division multiplexing and data transport
CA2326894A1 (en) Voice and data apparatus comprising a selective tapp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resource
US5452307A (en) Data multiplexing system having at least one low-speed interface circuit connected to a bus
JPH07170284A (ja)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ネットワーク、そのメインステーション及びサブステーション
US7643504B2 (en) Credit based flow control in an asymmetric channel environment
US5946315A (en)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izing dynamic synchronous transfer mode in a ring topology
CN101313481B (zh) 一种利用背板业务总线传送业务的方法及装置
CN101360277A (zh) 改善数据传输中无线电频谱使用的系统和方法
US7289499B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data communicated over a local area network and storage data communicated over a storage area network
KR20050070659A (ko) 엠피시8260 엠시시를 이용한 다중 유에이알티 통신 장치및 방법
US7286570B2 (en) High speed sequenced multi-channel bus
US70428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time division multiplexed switching of data using a high-speed packet switch
AU2003234645A8 (en) Communication system for sending data of dissimilar type and size across channels formed within a locally synchronized bus
JP2001111514A (ja) デジタル信号の多重化・逆多重化システムと方法
KR20070033558A (ko) 이종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시스템들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및 장치
JPH0779321B2 (ja) フレーム伝送方法
EP1286486B1 (en) Method to share upstream bandwidth in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related network terminator and access system.
KR100549596B1 (ko) 이더넷 신호-ds3급 신호 다중/역다중 장치
KR20050057983A (ko) 중계기 정합용 다중화 포트 장치 및 다중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