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8516A -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 Google Patents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8516A
KR20050068516A KR1020030100023A KR20030100023A KR20050068516A KR 20050068516 A KR20050068516 A KR 20050068516A KR 1020030100023 A KR1020030100023 A KR 1020030100023A KR 20030100023 A KR20030100023 A KR 20030100023A KR 20050068516 A KR20050068516 A KR 20050068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module
center
equalizing
pin
m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8516A/ko
Publication of KR2005006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5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램프, 범퍼 백 빔 및 혼 등의 조립체인 프런트 앤드 모듈(front end module, FEM) 장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준점을 양측 휀더의 상부에 설정하여 외관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런트 앤드 모듈을 차체측에 설정된 기준공에 대하여 정렬시키는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에 있어서,
차량 양측 휀더의 상부에 기준공을 형성하고,
상기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에 상기 기준공에 삽입되는 기준핀과, 상기 기준핀의 중심을 찾기 위한 이퀄라이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핀의 중심에 대하여 프런트 앤드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부의 중심을 정렬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Front end module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램프, 범퍼 백 빔 및 혼 등의 조립체인 프런트 앤드 모듈(front end module, FEM) 장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준점을 양측 휀더의 상부에 설정하여 외관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프런트 앤드 모듈이란 차량 전면에 부착되는 부품들의 조립체를 말하는 것으로 헤드램프, 범퍼 백 빔(bumper back beam), 쿨링팬(cooling fan), 혼(horn) 등의 부품이 조립된 것이다. 이러한 부품들을 조립하여 프런트 앤드 모듈을 형성한 후 차체에 장착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 때 사용되는 장치가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이다.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는 완성된 프런트 앤드 모듈을 파지 하여 차체 측으로 이동시키고, 차체에 설정된 기준공에 대하여 정렬한 후 위치를 고정시켜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작업을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종래의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는 프런트 앤드 모듈의 기준점을 차체 측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사이드 멤버(side member)에 두고 있었다. 차량은 많은 수의 부품들 및 이들의 조립체인 모듈들이 조립되어 완성되는 것인데, 각 부품은 저마다의 공차를 가지고 있고, 또 조립시에는 상기 공차들이 누적되므로 조립시의 기준점을 어디에 설정하고 작업하느냐에 따라서 조립되는 위치가 조금씩 달라진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의 기준점을 사이드 멤버로 설정할 경우에는, 실차 완성시에 프런트 앤드 모듈이 사이드 멤버에 대해서는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었다고 할지라도 양측 휀더에 대해서는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제로 프런트 앤드 모듈의 조립에 있어서 외관상 가장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부분이 헤드 램프와 휀더간의 단차 발생이었다. 이러한 단차는 외관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 후 별도의 수정작업을 거쳐 보완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 작업에 사용되는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의 기준점을 양측 휀더로 설정함으로써 헤드 램프와 휀더간에 발생하는 단차를 줄여 외관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런트 앤드 모듈을 양측 휀더에 설정된 기준공의 중앙에 정렬하는 기능을 가진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런트 앤드 모듈을 차체측에 설정된 기준공에 대하여 정렬시키는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에 있어서,
차량 양측 휀더의 상부에 기준공을 형성하고,
상기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에 상기 기준공에 삽입되는 기준핀과, 상기 기준핀의 중심을 찾기 위한 이퀄라이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핀의 중심에 대하여 프런트 앤드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부의 중심을 정렬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이퀄라이징 장치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블럭과, 상기 회전블럭에 연결되어 있는 좌측 이퀄라이징 바 및 우측 이퀄라이징 바를 포함하고, 상기 이퀄라이징 바들의 양측 단부에 기준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블럭의 중심에 지그부 중심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준핀을 승하강 시키는 핀 작동부를 더 포함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의 정면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의 측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100)는 헤드램프(L)와 범퍼 백 빔(B)과, 쿨링팬(C)과 혼(H) 등의 조립체인 프런트 앤드 모듈(FEM)을 고정하는 지그부(120)와, 상기 지그부(120)와 연결되어 있는 이퀄라이징 작동부(150)와, 상기 이퀄라이징 작동부(15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이퀄라이징 작동부(150)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이동하는 좌측 이퀄라이징 바(130') 및 우측 이퀄라이징 바(130)와, 상기 이퀄라이징 바들(130,130')의 단부에 장착되어 휀더(F)측에 형성된 기준공(FH)에 기준핀(162, 162')을 삽입하는 핀 작동부(160, 160')를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100)의 장착기 상부(102)는 이송장치와 연결되어 있어서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100) 전체를 원하는 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지그부(120)에는 복수개의 지그(122)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지그(122)가 프런트 앤드 모듈(FEM)을 고정하고, 프런트 앤드 모듈(FEM)의 장착작업 완료 후에는 고정을 해지 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지그부(120)의 중심위치인 지그부 중심(125)은 이퀄라이징 작동부(150)에 연결되어 있어서, 이퀄라이징 작동부(150)가 중심 찾기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지그부 중심(125)이 양측 이퀄라이징 바(130, 130')의 단부에 위치하는 기준핀들(162, 162')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은 이퀄라이징 작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퀄라이징 작동부(150)는 양측 이퀄라이징 바(130, 130')의 중심위치를 찾는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지그부 중심(125)에 연결되어 있다. 이퀄라이징 작동부(150)는 양측의 이퀄라이징 바(130, 130')를 회전블럭(140)으로 연결하고 있고, 상기 회전블럭(140)은 구동모터 등의 회전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회전블럭(1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이퀄라이징 바(130, 130')가 중심을 향해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고, 회전블럭(14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이퀄라이징 바(130, 130')가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멀어지게 된다. 이렇게 회전블럭(140)이 회전함에 따라 양측의 이퀄라이징 바(130, 130')는 동일한 길이만큼 이동하게 되고 회전블럭(140)의 회전중심(145)은 항상 양측 이퀄라이징 바(130, 13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지그부 중심(125)은 상기 회전블럭(140)의 회전중심(14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퀄라이징 작동부(150)를 작동시켜 지그부 중심(125)을 양측 이퀄라이징 바(130, 130')의 중심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양측 이퀄라이징 바(130, 130')의 끝부분에 구비된 핀 작동부(160, 160')의 기준핀들(도 2의 162, 162')을 양측 휀더(F)의 기준공(FH)에 삽입하고 이퀄라이징 작동부(150)를 작동시키면 양측 휀더(F)의 정중앙에 프런트 앤드 모듈(FEM)을 위치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a 및 4b는 핀 작동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로, 도 4a는 기준핀 하강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기준핀 하강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퀄라이징 바(130, 130')의 단부에 위치하는 핀 작동부(160)는 기준핀(162)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준핀(162)을 승하강 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기준핀(162)은 휀더(F)에 형성된 기준공(FH)에 삽입된다.
우선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상부(102)에 연결된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기준핀(162)이 휀더(F)에 구비된 기준공(FH)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대략적으로 이동시킨다(도 4a상태). 다음으로 상기 핀 작동부(160)를 동작시켜 기준핀(162)을 하강시켜 기준핀(162)이 기준공(FH)에 완전히 삽입한다(도 4b 상태).
기준핀(162)의 하강시에 휀더(F)가 상기 기준핀(162)에 의해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부재(165)를 구비하여 기준핀(162)을 포함한 핀 작동부(160) 전체가 좌우로 어느 정도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기준핀(162) 삽입시에 핀 작동부가 좌우로 비대칭적으로 이동한다고 하더라도, 기준핀(162) 삽입 이후에 수행되는 상술한 이퀄라이징 작동부(150)가 동작하여 중심 찾기 작업이 수행될 때 양측의 탄성부재(165)가 받는 힘이 동일해 지도록 양측의 이퀄라이징 바(130, 130')가 이동하게 되므로 탄성부재(165)에 의해서 중심 찾기의 오차가 발생하지는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는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 기준점을 휀더 상부에 설정하여 헤드 램프와 휀더간의 단차발생을 방지하고, 또 이퀄라이징 작동부를 이용해 중심 찾기 작업을 수행하여 프런트 앤드 모듈을 양측 휀더의 정중앙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는 프런트 앤드 모듈을 휀더를 기준으로 장착하도록 함으로써 외관불량 요인인 휀더와 헤드램프의 단차발생을 방지하여 후속 수정작업이 불필요하게 함으로써 비용과 인력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의 정면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의 측면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이퀄라이징 작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4a 및 4b는 핀 작동부의 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120 : 지그부
125 : 지그부중심 130 : 우측 이퀄라이징 바
130' : 좌측 이퀄라이징 바 150 : 이퀄라이징 작동부
160 : 핀 작동부 162 : 기준핀
165 : 탄성부재

Claims (3)

  1. 프런트 앤드 모듈을 차체측에 설정된 기준공에 대하여 정렬시키는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에 있어서,
    차량 양측 휀더의 상부에 기준공을 형성하고,
    상기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에 상기 기준공에 삽입되는 기준핀과, 상기 기준핀의 중심을 찾기 위한 이퀄라이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핀의 중심에 대하여 프런트 앤드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부의 중심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퀄라이징 장치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블럭과, 상기 회전블럭에 연결되어 있는 좌측 이퀄라이징 바 및 우측 이퀄라이징 바를 포함하고,
    상기 이퀄라이징 바들의 양측 단부에 기준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블럭의 중심에 지그부 중심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핀을 승하강 시키는 핀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KR1020030100023A 2003-12-30 2003-12-30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KR20050068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023A KR20050068516A (ko) 2003-12-30 2003-12-30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023A KR20050068516A (ko) 2003-12-30 2003-12-30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516A true KR20050068516A (ko) 2005-07-05

Family

ID=3725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023A KR20050068516A (ko) 2003-12-30 2003-12-30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85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075A (zh) * 2018-05-31 2018-11-1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前端模块助力装置
CN113218270A (zh) * 2021-04-20 2021-08-0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分体式白车身前端模块开口检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075A (zh) * 2018-05-31 2018-11-1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前端模块助力装置
CN113218270A (zh) * 2021-04-20 2021-08-0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分体式白车身前端模块开口检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5254B2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組付方法および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組付装置
TR199801308A2 (xx) Motorlu ara�lar i�in bir radyat�r mahfazas� kurmak i�in metod ve ara�lar.
CN1075256C (zh) 安装在电路板上的连接器
CN110800390B (zh) 导线的插入方法及其实施所使用的保持装置
KR20050068516A (ko) 프런트 앤드 모듈 장착기
US6192570B1 (en) Method for the remanufacturing of a sealed module
KR100717636B1 (ko) 자동차 헤드램프 조립장치
JP2001150188A (ja) 治具用クランプ装置
KR100676746B1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조립장치
JP2001030133A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
JP2005047453A (ja) 車両のドアヒンジ取り付け装置
KR100376705B1 (ko) 조립용 패널 위치 고정장치
CN214393975U (zh) 车辆前端模块的夹持机构、装配工装以及车辆装配系统
JP2002284057A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取付装置および取付方法
KR100460899B1 (ko) 차량의 프론트 엔드 어셈블리용 장착로더
KR20040024796A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구조
JP6729990B2 (ja) 車両構造
CN218550299U (zh) 一种自动传送smt贴片扣合治具
JP2005096712A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およびワーク位置決め方法
KR100568141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조립용 지그
KR101250459B1 (ko) 도어 장착장치
CN215316654U (zh) 一种用于线束焊接夹具的自动调节机构
KR20110076096A (ko) 차량 헤드램프용 액츄에이터
JP2002193576A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改修方法
JP4668713B2 (ja) ドアガラスをアッパガイドレールに取付ける取付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