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325A -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325A
KR20050066325A KR1020030097595A KR20030097595A KR20050066325A KR 20050066325 A KR20050066325 A KR 20050066325A KR 1020030097595 A KR1020030097595 A KR 1020030097595A KR 20030097595 A KR20030097595 A KR 20030097595A KR 20050066325 A KR20050066325 A KR 20050066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server
detergent concentration
user
washing machine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7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6325A/ko
Publication of KR2005006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32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서버가 동작 제어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세탁 종료후에 잔류 세제 농도값을 기준으로 헹굼 횟수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최종 헹굼 이후에 배수가 이루어지면, 스마트 서버의 요청에 의해 배수되는 물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스마트 서버에서 세제 농도 측정값과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추가 헹굼의 실시 여부를 묻는 질문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사용자의 응답 메시지를 기준으로 스마트 서버의 제어에 의해 추가 헹굼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home appliance using the smart server}
본 발명은 스마트 서버가 동작 제어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세탁 종료후에 잔류 세제 농도값을 기준으로 헹굼 횟수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거쳐 오염된 세탁물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기로서, 회전날개, 외조 또는 내조(세탁조/탈수조)의 수평방향 회전을 이용한 전자동 세탁기 또는 드럼의 수직방향 회전을 이용한 드럼 세탁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세탁 코스, 기능 등이 개발되고 실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날개, 내조 또는 외조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1)와, 급수밸브·배수밸브 등의 기타 여러 가지 부하(12)와, 사용자가 각종 세탁관련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KEY) 입력부(13)와, 세탁기의 동작상태 또는 기능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4)와, 상기 키 입력부(1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동작명령에 상응하는 세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모터(11) 및 부하(12)의 구동을 제어하고 해당 동작상태 또는 기능표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4)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4)는 주로 LED(Light Emitting Diode)에 의해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방식의 것이 사용되었으며, 마이컴(15)내에는 세탁관련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ROM)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기의 전원을 '온'시키고, 세탁조 내에 세탁물을 투입한 다음 키 입력부(13)를 통해 세탁물의 종류에 따른 코스 선택을 하거나 수동모드로의 기능전환을 하거나 세탁명령을 입력한다.
이어서 마이컴(15)은 상기 키 입력부(13)를 통해 입력되는 세탁명령을 인식하고 내부의 롬(도시생략)에서 해당 세탁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이를 바탕으로 모터(11) 및 부하(12)를 구동하여 세탁을 수행한다.
그리고 세탁 행정이 완료되면, 배수하고 헹굼 탈수 등 다음 행정을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컴(15)은 현재 세탁 진행 상태가 디스플레이부(14)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세탁기는 사용자가 직접 기능 버튼을 조작하여 세탁기를 작동시켜야 했기 때문에 외부에서 세탁기를 원격 제어할 수 없었고, 외출시 예약 기능을 이용하여 세탁기를 작동시킬 수 있으나 정해진 예약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세탁기를 포함하는 여러 가전 기기를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각 가정 또는 원격에서 가정에 있는 가전 기기들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초기의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의 경우 전화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각 기기를 별도로 제어하는 수준이었고 각 기기간의 연계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이제는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가전기기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두어 통합 관리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상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서와 같이, 가정의 다수의 전자기기들 즉, 냉장고, 에어컨, 전자레인지, 세탁기, 퍼스널 컴퓨터(PC) 등이 통신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가 구성된다.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에 적용되는 많은 마이컴들은 직렬 통신 기능을 빌트 인(Built-in)으로 갖고 있기 때문에 다른 마이컴이나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의 세탁기의 제어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세탁이 종료된 후에 헹굼 정도가 부족하여도 사용자가 설정한 값대로 세탁 프로세스가 종료되어 세탁물이 완전히 헹구어지지 않고 세제가 남아 있을 수 있다.
특히, 세탁물의 종류 또는 세탁물의 양에 비해 과다한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정해진 세탁 프로세스에 의해 세탁 행정을 수행하므로 헹굼 정도가 부족하여 세탁물이 탈색 또는 변색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능화된 스마트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이전의 세탁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가능하고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새로운 세탁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세탁기의 제어에 있어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서버가 동작 제어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세탁 종료후에 잔류 세제 농도값을 기준으로 헹굼 횟수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최종 헹굼 이후에 배수가 이루어지면, 스마트 서버의 요청에 의해 배수되는 물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스마트 서버에서 세제 농도 측정값과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추가 헹굼의 실시 여부를 묻는 질문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사용자의 응답 메시지를 기준으로 스마트 서버의 제어에 의해 추가 헹굼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세제 농도의 측정값보다 기준값이 작은 경우에만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질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질문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한 후에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스마트 서버가 헹굼을 추가 실시할 것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1회의 추가 헹굼을 실시하고 세제 농도를 측정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기준값보다 측정값이 작을 때까지 반복한다.
그리고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질문 메시지에는 세제 농도의 기준값과 측정값과의 차이, 그 차이에 따라 산출한 헹굼의 추가 권장 횟수를 포함한다.
그리고 배수되는 물의 세제 농도 측정 및 비교는, 세탁기에서 배수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면 스마트 서버에서 이를 수신하는 단계;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로 배수부에서의 세제 농도를 측정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스마트 서버의 요청에 의해 세탁기에서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회신하는 단계;스마트 서버에서 배수부의 세제 농도값을 수신하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배수되는 물의 세제 농도 측정 및 비교는, 세탁기에서 배수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면 스마트 서버에서 이를 수신하는 단계;스마트 서버에서 세제 농도 측정기로 가정의 배수로에서의 세제 농도를 측정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스마트 서버의 요청에 의해 세제 농도 측정기에서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회신하는 단계;스마트 서버에서 배수부의 세제 농도값을 수신하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이하에서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세탁기의 배수부에 세제 농도 측정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와, 세탁기의 배수부가 아니고 가정의 배수로에 세제 농도 측정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세탁기의 배수부에 세제 농도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에서의 시스템 구성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스마트 서버의 제어에 의해 세탁기에 부착된 세제 농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배수부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잔류 세제의 농도값에 따라 헹굼 횟수를 조정하는 것이다.
즉, 최종 헹굼 이후에 배수를 한 후에 세탁기 배수부에서의 세제 농도에 따라 스마트 서버에서 헹굼 추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등의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세탁 행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그 구성은 도 3a에서와 같이, 인터넷(31)등의 통신망에 접속되고 각각의 가전 기기들을 홈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서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홈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기(32)와, 홈 네트워크 관리기(32)를 통하여 가정내에 구성되는 가전 기기들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배수의 세제 농도 측정 결과에 따른 스마트 서버(34)의 제어에 의해 헹굼의 추가 실시를 하는 세탁기(33)와,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제조 업체 사이트를 통한 기기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의 업데이트 그리고 최종 헹굼 행정 이후에 배수가 시작되면 측정된 배수부의 세제 농도를 기준으로 헹굼 횟수의 추가에 관한 사용자의 의견을 묻는 메시지의 전송 등의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서버(34)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외부에서 다른 PC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세탁기(33)를 제어하거나 스마트 서버의 요청에 의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 관리기(32)와 스마트 서버(34)에 관하여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홈 네트워크 관리기(32)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어느 하나 예를 들면, DTV 또는 냉장고 또는 PC등에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홈 네트워크 관리에 주목적이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은 스마트 서버(34)는 관리 기능을 배제하고 지능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만약, 스마트 서버에 서비스 기능 이외에 관리 기능을 추가하여 하나의 통합 모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다른 홈 네트워크 관리기(예를 들면, 제조 회사가 다른 경우)와의 결합이 어렵다.
그러나 스마트 서버를 서비스 기능으로 한정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홈 네트워크 관리기와의 결합이 용이하여 충분한 확장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스마트 서버(34)를 서비스 기능으로 한정하여 이미 다른 홈 네트워크 관리기에 의해 관리되는 가전 기기들도 지능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관리 기능을 갖는 홈 네트워크 관리기와 서비스 가능을 갖는 스마트 서버를 나누어 구성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기능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경우에 복합 프로그램에 의한 시스템보다는 더 용이하게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수부의 세제 농도에 따른 헹굼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 제어는 세탁기를 직접 제어하거나,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 서버에서 전송된 헹굼 횟수의 추가에 관한 질문 메시지를 사용자가 수신하고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갖는다.
먼저, 세탁기에서 세탁 행정을 수행하고 최종 헹굼 이후의 배수가 이루어지면, 세탁기에서 배수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스마트 서버로 전송한다.(S301)
스마트 서버에서는 최종 배수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면 세탁기의 배수부의 세제 농도를 측정할 것을 세탁기에 요청한다.(S302)
세탁기는 스마트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자체의 세제 농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배수부에서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로 회신한다.(S303)
이어, 스마트 서버에서 배수부 세제 농도 측정값을 수신하고(S304), 측정된 세제 농도값과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추가 헹굼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305)
여기서, 기준값은 세탁물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의류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세제가 세탁물에 잔류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농도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세제 농도 측정 장치는 세탁수의 도전율을 측정하는 음이온 측정기 등을 사용한다.
만약, 판단 결과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다면 헹굼 이후의 세탁 행정을 수행하고(S306), 아니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로 일시 정지 명령을 전송한다.(S307)
세탁기는 스마트 서버에서의 일시 정지 명령에 의해 일시 정지후에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로 회신한다.(S308)
스마트 서버는 세탁기로부터의 일시 정지에 관한 결과를 수신한 후에(S309) 사용자에게 추가로 헹굼을 실시할 것인지에 관한 질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310)
질문 메시지는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 관리기 또는 다른 가전 기기 예를 들면, PC 또는 TV등 사용자가 메지시를 수신할 수 있는 매체를 이용하거나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통신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질문 메시지에는 기준값과 측정값과의 차이, 차이에 따른 헹굼의 추가 권장 횟수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그리고 스마트 서버는 질문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설정 시간내에 사용자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311)
여기서, 설정 시간은 사용자가 세탁기에서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내용을 기초로 헹굼의 추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30분으로 한다.
만약, 설정된 시간내에 사용자로부터의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스마트 서버는 1회 추가하여 헹굼을 하도록 세탁기로 재동작 명령을 전송한다.(S315)
이와 같이 1회의 헹굼을 추가 실시하고 다시 배수부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내에 사용자로부터의 회신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헹굼을 추가로 실시하는 것을 원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S312), 추가 실시를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헹굼을 실시할 것을 세탁기로 명령하고(S314) 배수부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만약, 사용자가 헹굼을 추가 실시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후의 세탁 행정을 진행한다.(S313)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스마트 서버의 제어에 의해 세탁기의 배수부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잔류 세제 농도값에 따라 사용자에게 추가로 헹굼 횟수를 실시할 것인지 여부를 묻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스마트 서버의 결정에 의해 세탁물의 추가 헹굼을 실시하여 세탁 종료후에 세탁물에 세제 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가정의 배수로에 세제 농도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에서의 시스템 구성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스마트 서버의 제어에 의해 가정의 배수로에 구성된 세제 농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배수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잔류 세제의 농도값에 따라 헹굼 횟수를 조정하는 것이다.
즉, 최종 헹굼 이후에 배수를 한 후에 가정의 배수로에서의 세제 농도에 따라 스마트 서버에서 헹굼 추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등의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세탁 행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그 구성은 도 4a에서와 같이, 인터넷(31)등의 통신망에 접속되고 각각의 가전 기기들을 홈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서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홈 네트워크를 관장하는 홈 네트워크 관리기(32)와, 홈 네트워크 관리기(32)를 통하여 가정내에 구성되는 가전 기기들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배수의 세제 농도 측정 결과에 따른 스마트 서버(34)의 제어에 의해 헹굼의 추가 실시를 하는 세탁기(33)와,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제조 업체 사이트를 통한 기기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의 업데이트 그리고 최종 헹굼 행정 이후에 배수가 시작되면 측정된 가정의 배수로에서의 세제 농도를 기준으로 헹굼 횟수의 추가에 관한 사용자의 의견을 묻는 메시지의 전송 등의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서버(34)와, 스마트 서버(34)의 요청에 의해 가정의 배수로(35)에서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34)로 회신하는 세제 농도 측정기(36)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정의 배수로의 세제 농도에 따른 헹굼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 제어는 세탁기를 직접 제어하거나, 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 서버에서 전송된 헹굼 횟수의 추가에 관한 질문 메시지를 사용자가 수신하고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갖는다.
먼저, 세탁기에서 세탁 행정을 수행하고 최종 헹굼 이후의 배수가 이루어지면, 세탁기에서 배수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스마트 서버로 전송한다.(S401)
스마트 서버에서는 최종 배수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면 가정의 배수로에서의 세제 농도를 측정할 것을 세제 농도 측정기에 요청한다.(S402)
세제 농도 측정기는 스마트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배수로에서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로 회신한다.(S403)
이어, 스마트 서버에서는 세제 농도 측정기에서 보내온 배수로의 세제 농도 측정값을 수신하고(S404), 측정된 세제 농도값과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추가 헹굼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405)
여기서, 기준값은 세탁물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의류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세제가 세탁물에 잔류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농도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세제 농도 측정 장치는 세탁수의 도전율을 측정하는 음이온 측정기 등을 사용한다.
만약, 판단 결과 측정값이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다면 헹굼 이후의 세탁 행정을 수행하고(S406), 아니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로 일시 정지 명령을 전송한다.(S407)
세탁기는 스마트 서버에서의 일시 정지 명령에 의해 일시 정지를 한 후에 그 결과를 스마트 서버로 회신한다.(S408)
스마트 서버는 세탁기로부터의 일시 정지에 관한 결과를 수신한 후에(S409) 사용자에게 추가로 헹굼을 실시할 것인지에 관한 질문 메시지를 전송한다.(S410)
질문 메시지는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홈 네트워크 관리기 또는 다른 가전 기기 예를 들면, PC 또는 TV등 사용자가 메지시를 수신할 수 있는 매체를 이용하거나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통신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질문 메시지에는 기준값과 측정값과의 차이, 차이에 따른 헹굼의 추가 권장 횟수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그리고 스마트 서버는 질문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설정 시간내에 사용자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411)
여기서, 설정 시간은 사용자가 세탁기에서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내용을 기초로 헹굼의 추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30분으로 한다.
만약, 설정된 시간내에 사용자로부터의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스마트 서버는 1회 추가하여 헹굼을 하도록 세탁기로 재동작 명령을 전송한다.(S414)
이와 같이 1회의 헹굼을 추가 실시하고 다시 배수로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값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내에 사용자로부터의 회신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헹굼을 추가로 실시하는 것을 원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S412), 추가 실시를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헹굼을 실시할 것을 세탁기로 명령하고(S413) 배수부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만약, 사용자가 헹굼을 추가 실시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추가 헹굼없이 이후의 세탁 행정을 진행할 것을 명령한다.(S415)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스마트 서버의 제어에 의해 가정의 배수로에 설치되는 세제 농도 측정기에서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잔류 세제 농도값에 따라 사용자에게 추가로 헹굼 횟수를 실시할 것인지 여부를 묻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스마트 서버의 결정에 의해 세탁물의 추가 헹굼을 실시하여 세탁 종료 후에 세탁물에 세제 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세탁기에서 헹굼 이후에 배수를 하게되면 세탁기에서 베수되는 물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세탁기가 헹굼을 추가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스스로 헹굼을 추가하여 세탁물에 세제가 남지 않도록 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고, 세탁물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에서 배수되는 물의 세제 농도 측정값에 따라 세탁 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세탁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스마트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인터넷 32. 홈 네트워크 관리기
33. 세탁기 34. 스마트 서버
35. 배수로 36. 세제 농도 측정기

Claims (9)

  1. 최종 헹굼 이후에 배수가 이루어지면,
    스마트 서버의 요청에 의해 배수되는 물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스마트 서버에서 세제 농도 측정값과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추가 헹굼의 실시 여부를 묻는 질문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를 기준으로 스마트 서버의 제어에 의해 추가 헹굼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세제 농도의 측정값보다 기준값이 작은 경우에만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질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질문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한 후에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스마트 서버가 헹굼을 추가 실시할 것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1회의 추가 헹굼을 실시하고 세제 농도를 측정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기준값보다 측정값이 작을 때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내에 사용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횟수만큼 헹굼을 추가 실시한 후에 세탁기에서 배수되는 물의 세제 농도를 측정하여 기준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결과 사용자가 헹굼의 추가를 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마트 서버에서 세제 농도의 측정값과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관계없이 이후의 세탁 행정을 바로 실행할 것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스마트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질문 메시지에는 세제 농도의 기준값과 측정값과의 차이, 그 차이에 따라 산출한 헹굼의 추가 권장 횟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배수되는 물의 세제 농도 측정 및 비교는,
    세탁기에서 배수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면 스마트 서버에서 이를 수신하는 단계;
    스마트 서버에서 세탁기로 배수부에서의 세제 농도를 측정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스마트 서버의 요청에 의해 세탁기에서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회신하는 단계;
    스마트 서버에서 배수부의 세제 농도값을 수신하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배수되는 물의 세제 농도 측정 및 비교는,
    세탁기에서 배수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면 스마트 서버에서 이를 수신하는 단계;
    스마트 서버에서 세제 농도 측정기로 가정의 배수로에서의 세제 농도를 측정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스마트 서버의 요청에 의해 세제 농도 측정기에서 세제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회신하는 단계;
    스마트 서버에서 배수부의 세제 농도값을 수신하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030097595A 2003-12-26 2003-12-26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20050066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595A KR20050066325A (ko) 2003-12-26 2003-12-26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595A KR20050066325A (ko) 2003-12-26 2003-12-26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325A true KR20050066325A (ko) 2005-06-30

Family

ID=3725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595A KR20050066325A (ko) 2003-12-26 2003-12-26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63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7549A (zh) * 2022-03-07 2022-05-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投放功能的洗衣机及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7549A (zh) * 2022-03-07 2022-05-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投放功能的洗衣机及控制方法
CN114457549B (zh) * 2022-03-07 2022-12-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投放功能的洗衣机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85450B (zh) 家用电器及包括该家用电器的联机系统
KR102504104B1 (ko) 세탁기,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8965481A (zh) 家用电器及包括该家用电器的联机系统
JP2005034179A (ja) 機器の制御システム
JP2003079990A (ja) 洗浄装置
KR20050066324A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20050066325A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029801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998905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050066329A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033567B1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029802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050050891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74083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29804B1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100370088B1 (ko) 세탁기의 맞춤코스 추천장치 및 방법
KR10083384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46353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717459B1 (ko)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22761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024905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20050051909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0400759B1 (ko) 세탁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4201B1 (ko) 세탁기 및 그 서비스 요청방법
KR10039399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